KR100389873B1 -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873B1
KR100389873B1 KR10-2001-0074959A KR20010074959A KR100389873B1 KR 100389873 B1 KR100389873 B1 KR 100389873B1 KR 20010074959 A KR20010074959 A KR 20010074959A KR 100389873 B1 KR100389873 B1 KR 100389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orming apparatus
temperature
roller
scan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261A (ko
Inventor
정수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8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은, 대전롤러, 현상롤러, 광주사장치, 전사롤러,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어서 상기 광주사장치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 상기 전사롤러에 용지를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인쇄환경의 온도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정속운전에 필요한 시간 및 메인 구동부를 스타트시키는 시간을 나타낸 룩업테이블을 마련하는 단계; (나) 인쇄시작신호를 받아서 상기 광주사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다) 상기 (나)단계와 함께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온도를 검지하는 단계; (라) 상기 검지된 온도에 해당되는 지연시간을 룩업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선택된 시간지연 후,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인쇄기를 스타트해서 실제 인쇄가 진행될 때 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Operating method of electric-pictur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광주사장치 및 기타 구동부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와 같은 전자사진 형성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10)과, 감광드럼(10) 상에 소정 레벨의 전위를 인가하는 대전기(20)와, 대전된 감광 드럼(10)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30)와,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토너를 현상하여 가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40)와, 현상된 화상을 용지(P)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50)와, 전사롤러(50)와 감광드럼(10) 사이에 용지(P)를 공급하는 용지공급 픽업롤러(60)를 구비한다.
광주사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출사하는 광원(32)과, 다수의 반사면을 가지고 모터(34)에 의해 설정된 회전속도로 구동되는 회전다면경(36) 및 회전다면경(36)을 거쳐 진행하는 광을 감광체로 집속하는 렌즈유니트(38)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 설비는 제어부(70)에 의해서 구동된다. 제어부(70)는 고전압공급원(High voltage power supply: HVPS)(80)을 제어하여 대전기, 현상롤러 및 전사롤러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제어하며, 광주사장치의 다면경 모터(34)를 제어하며, 또한, 메인구동부(90)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 설비를 구동시킨다.
도 3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인쇄신호가 제어부(70)에 입력이 되면, 제어부(70)는 광주사장치(30)의 다면경(36)을 회전시키는 모터(34)를 구동한다. 이어서, 다면경 구동모터(34)의 구동속도가 일정한 속도에 달하면(TA 지점), 메인 구동부(90)를 구동하여 픽업롤러(60)로부터 용지를 전사롤러(50) 및 감광드럼)10) 사이의 닙(nip)으로 공급하면서, 대전기(20), 현상롤러(40), 전사롤러(50) 및 감광드럼(10)을 구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전자사진 형성장치를 구동시에는 광주사장치(20)가 정속도에 도달한 후 메인 구동부(90)를 구동하기 때문에 인쇄신호를 받은 후부터 실제 인쇄과정이 일어나는 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주사장치의 정속회전과 인쇄작동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간 사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광주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 타이밍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감광드럼 20: 대전기
30: 광주사장치(LSU) 40: 현상롤러
50: 정착롤러 60: 용지공급 픽업롤러
80: 고전압공급원(HVPS) 90: 메인 구동부
100: 제어부 110: 룩업테이블(LUT)
120: 타이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은, 대전롤러, 현상롤러, 광주사장치, 전사롤러,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어서 상기 광주사장치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 상기 전사롤러에 용지를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인쇄환경의 온도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정속운전에 필요한 시간 및 메인 구동부를 스타트시키는 시간을 나타낸 룩업테이블을 마련하는 단계; (나) 인쇄시작신호를 받아서 상기 광주사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다) 상기 (나)단계와 함께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온도를 검지하는 단계; (라) 상기 검지된 온도에 해당되는 지연시간을 룩업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선택된 시간지연 후,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종래의 발명과 동일한 구조의 물건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자화상 형성장치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드럼(Organic Photo Conductive: OPC)(10)과, 감광드럼(10) 상을 소정 레벨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20)와, 대전된 감광드럼(10)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장치(30)와, 감광드럼(30) 상의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40)와, 현상된 감광드럼(10)과의 사이로 통과하는 용지(P)에 상기 가시화상을 전사하는 전사롤러(50)와, 전사롤러(50)와 감광드럼(10) 사이에 용지(P)를 공급하는 용지공급 픽업롤러(60)를 구비한다.
상기 대전기(20), 현상롤러(40) 및 전사롤러(50)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며 이를 위한 고전압공급원(8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전압공급원(80) 및 구성설비의 구동부(34, 9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는 타이머(120) 및 록업테이블(LUT)(110)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쇄 시작신호가 들어오면, 광주사장치(30)를 스타트 시킨다. 광주사장치(30)의 다면경(38)이 정속도가 되기 전에 용지공급 픽업롤러(60)를 포함한 메인 구동부(90)를 작동하여서 광주사장치(30)가 정속도가 된 후로부터 인쇄가 실제로 시작되는 데 까지의 데드 타임(dead time)을 최대로 줄이는 것이다. 즉, 일정 인쇄환경 조건에서 광주사장치(30)가 정속도가 되는 TA 지점에서 메인 구동부(90)를 스타트 시키면 실제 인쇄는 메인 구동부(90)가 스타트 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첫 번째 인쇄가 진행된다.
그러나, TA 지점에서 메인 구동부(90)를 스타트 시키는 대신에 광주사장치(30)가 가속되는 동안에 도면에서 TB에서 미리 메인 구동부(90)를 구동시킴으로써 도면에서 TA지점과 TB지점 사이의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광주사장치의 다면경이 정속운전하기 전까지의 가속에 필요한 시간(TA)은 인쇄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인쇄온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상기 온도를 함수로 하여 광주사장치(30)로부터 메인구동부(90)의 구동시간(TB)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인쇄환경의 온도는 직접 온도 측정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거나, 또는 전사롤러의 저항치로부터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도전성의 스폰지 러버로 형성된 전사롤러의 저항치는 온도에 반비례하므로 전사롤러의 전류값을 읽으면 전사롤러가 놓인 환경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룩업테이블(LUT)은 상기 측정되거나 또는 추정된 인쇄환경의 온도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정속운전에 필요한 시간(TA) 및 메인 구동부(90)를 스타트시키는 시간(TB)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테이블(110)로부터 선택된 시간지연(Time delay: TD)인 TB에 따라서 인쇄신호 입력시부터 시간지연(TD)이 도달되면 출력신호를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이 출력신호를 받아서 메인구동부(90)를 구동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측정되거나 또는 추정된 인쇄환경의 온도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정속운전에 필요한 시간(TA) 및 메인 구동부(90)를 스타트시키는 시간(TB)을 나타낸 룩업테이블을 마련한다(S100).
인쇄정지 상태 또는 인쇄 대기 상태로부터 인쇄신호가 들어오면 타이머(120) 및 광주사장치가 ON 된다(S200, S210).
또한, 인쇄온도 측정수단으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받아서(S220),룩업테이블(110) 상에서 그 온도에 해당되는 지연시간(time delay)을 선택한다(S230).
선택된 지연시간이 도달되면, 타이머(120)가 출력신호를 제어부(100)에 출력한다(S250).
이때 지연시간에 이르지 않은 경우는 계속 반복하여 지연시간에 도달될 때까지 타이머를 체크한다(S240).
메인 구동부(90)는 S250 단계에서 제어부(100)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ON 된다(S260).
이어서 인쇄를 수행한다(S27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은 인쇄기를 스타트해서 실제 인쇄가 진행될 때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대전롤러, 현상롤러, 광주사장치, 전사롤러, 상기 대전롤러에 의해 대전되어서 상기 광주사장치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상기 현상롤러로부터 공급되는 토너에 의해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 상기 전사롤러에 용지를 공급하는 픽업롤러, 상기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 인쇄환경의 온도에 따른 광주사장치의 정속운전에 필요한 시간 및 메인 구동부를 스타트시키는 시간을 나타낸 룩업테이블을 마련하는 단계;
    (나) 인쇄시작신호를 받아서 상기 광주사장치를 구동하는 단계;
    (다) 상기 (나)단계와 함께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온도를 검지하는 단계;
    (라) 상기 검지된 온도에 해당되는 지연시간을 룩업테이블로부터 선택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선택된 시간지연 후,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단계의 룩업테이블은, 상기 (다)단계의 검지된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지연이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단계의 지연시간은, 상기 광주사장치의 다면경의 회전속도가 정속도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의 상기 온도검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롤러의 저항을 읽고, 이로부터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의 상기 온도검지하는 단계는, 별개의 온도감지센서를 사용하여 인쇄환경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1-0074959A 2001-11-29 2001-11-29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KR100389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959A KR100389873B1 (ko) 2001-11-29 2001-11-29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959A KR100389873B1 (ko) 2001-11-29 2001-11-29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261A KR20030044261A (ko) 2003-06-09
KR100389873B1 true KR100389873B1 (ko) 2003-07-04

Family

ID=2957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959A KR100389873B1 (ko) 2001-11-29 2001-11-29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8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77B1 (ko) * 2005-04-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6642202B2 (ja) * 2016-03-30 2020-0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261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8898B1 (ko)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품질 향상방법
JP5538846B2 (ja) 画像形成装置
KR0174698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장치의 대전전압 제어방법
KR100389873B1 (ko)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구동방법
US117336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029024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fer voltage in an 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apparatus
KR100542356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설정 용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9057996B2 (en)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for transfer
US110481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19408B1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장치
JPH06237591A (ja) 直流モータの定電流駆動回路
JP665012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12518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7467085B2 (ja) 画像形成装置
JP678193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17325A (ja) 帯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037934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露光方法及び装置
KR0174667B1 (ko) 정착온도의 보정방법과 장치
KR100987752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 램프 전원 공급 제어 장치
KR100631198B1 (ko) 피드백을 이용하여 전사전압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242121B1 (ko) 전사전압 제어방법
KR10054235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 이 장치의 레이저 스캐닝유니트 모터 제어 방법
KR20050048714A (ko) 화상 형성 장치의 대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0304389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KR20000033927A (ko) 전자사진 현상장치의 내부온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