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781A - 복합기 - Google Patents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781A
KR20050047781A KR1020030081570A KR20030081570A KR20050047781A KR 20050047781 A KR20050047781 A KR 20050047781A KR 1020030081570 A KR1020030081570 A KR 1020030081570A KR 20030081570 A KR20030081570 A KR 20030081570A KR 20050047781 A KR20050047781 A KR 2005004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main body
flat plate
cov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923B1 (ko
Inventor
김영민
안병선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923B1/ko
Priority to US10/937,410 priority patent/US7085513B2/en
Publication of KR2005004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9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09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for space saving, e.g. structural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26Multi-job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배지함의 개구면에 개폐가능한 배지함덮개가 설치되어, 배지함을 통해 복합기 내부로 먼지 등의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복합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는, 본체; 본체 상부면에 설치되어 원고를 셋팅하는 평판(flat bed); 본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평판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평판덮개; 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인쇄된 용지를 수납하며, 그 상측에 개구면을 가지는 배지함; 및 본체의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개구면을 개폐하는 배지함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기{MULTI-FUCTION PRODU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터, 스캐너,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MFP: Multi-function product)는 문서를 스캔하여 화상 데이터로 만든 후 통신회선을 통해 다른 곳으로 전송시키는 팩시밀리 기능뿐만이 아니라 입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프린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사무용기기를 말한다. 이런한 복합기는 문서를 스캔하기 위한 스캐닝부와 문서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캐너,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복합기의 일예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 전자사진방식의 복합기의 개략적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의 복합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0)와 이송부(20), 현상부(30), 정착부(40), 배지부(50), 배지함(60) 및 스캐닝부(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캐닝부(70)의 상측에는 스캐닝 대상이 되는 원고를 셋팅하는 평판(flat bed, 7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평판(71)을 개폐하기 위한 평판덮개(72)가 복합기(1) 상부면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배지함(60)은, 복합기(1)의 후면에 상측이 개구되도록 설치되어, 인쇄면이 전면을 향하도록 인쇄용지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배지함(60)의 후벽면에는 수납된 인쇄용지를 지지하기위해 가이드판(61)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합기(1)가 프린터 또는 복사기로 동작할 경우, 상기 평판(71) 또는 외부장치에서 입력된 화상이미지는 종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한 작업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급지부(10)에서 공급된 인쇄용지는, 복수의 롤러로 구비된 이송부(20)에서 현상부(30)로 이송되어 인쇄용지 표면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착부(40)에서 고온고압으로 인쇄용지에 토너화상을 고정하여 복수의 배지롤러로 구성된 상기 배지부(50)를 통해 상기 배지함(60)에 수용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판(61)은 상측으로 신장되어 인쇄용지를 지지한다.
그런데, 상기 배지함(60)의 상부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 부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복합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된 먼지 등의 이물질은 복합기의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납된 인쇄용지를 지지하는 가이드판(61)을 사용할 때마다 신장시켜 가이드위치에 위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지함을 통해 복합기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이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복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는, 복합기 본체와, 복합기 본체 상부면에 설치되어 원고를 셋팅하는 평판(flat bed)과 상기 복합기 본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평판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평판덮개와, 상기 복합기 후벽면에 설치되어 인쇄된 용지를 수납하며, 그 상측에 개구면을 가지는 배지함; 및 일단은 상기 배지함 상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평판덮개 상측과 접촉되어, 상기 평판덮개의 개방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개구면을 개방하는 배지함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복합기 본체 상측으로 돌출된 후벽면을 포함하여, 상기 후벽면에 상기 배지함덮개가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지함덮개는, 상기 평판덮개와 접촉되는 끝단이 라운드처리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지함덮개는, 그 개방각도가 95 ~ 135 도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를 나타낸 사시도로, 본체(101)는, 용지를 수납하는 급지부(C)가 그 전방을 향해 오픈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면에 평판덮개(210)가 힌지결합되어, 원고가 셋팅되는 평판(F, 도 3 참조)을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1)의 후면에는 인쇄된 용지를 수용하는 배지함(110)이 설치되는데, 상기 배지함(110)은, 상부면이 오픈되어 인쇄된 용지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면(111)과, 상기 인쇄된 용지를 지지하는 후벽면(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면(111)은, 일단이 상기 후벽면(112)에 힌지결합되며, 그 타단이 상기 평판덮개(C)와 접촉되는 배지함덮개(220)에 의해 개폐된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100)의 내부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100)는, 급지부(C)와 이송부(102), 현상부(103), 정착부(104), 배지부(105), 배지함(110) 및 스캐닝부(S)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캐닝부(S)의 상측에는 스캐닝 대상이 되는 원고를 셋팅하는 평판(flat bed, F)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평판(F)을 개폐하기 위한 평판덮개(210)가 복합기(100) 상부면의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인쇄과정은 일반적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지함덮개(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단독으로 개방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덮개(210)의 회동에 연동하여 함께 개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지함덮개(220)는, 상기 평판덮개(210)와 접촉되는 끝단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처리된 끝단(221)을 가질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22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100)의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캐너,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100)를, 프린터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인쇄된 용지가 상기 배지함(110)에 수납되기 위해, 상기 배지함(110)의 상측에 위치한 개구면(111)이 개방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배지함덮개(220)를 단독으로 들어올려, 상기 후벽면(112)의 소정 위치로 회동시켜 상기 개구면(111)을 개방할 수 있다. 이 때, 개방된 상기 배지함덮개(220)는, 상기 후벽면(112)과 겹쳐지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벽면(112)을 상측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인쇄가 종료된 용지는, 상기 배지부(105)를 통과하여, 상기 후벽면(112)과 접촉하면서, 선단이 상측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면(111)을 통과한 용지는 상기 후벽면(112)와, 상기 배지함덮개(220)를 따라 이송되면서, 인쇄면이 전면을 향하면서 상기 배지함(11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용지의 상기 개구면(111)을 통과한 부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함덮개(220)가 후벽면(112)을 상측으로 연장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 휘어지면서, 복합기(100) 후방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함덮개(220)가 개방되는 각도(α)는 95도 ~ 135도 사이가 되는 것이 좋은데, 각도가 95도 미만이 될 경우, 수납된 용지가 복합기(100)의 전면으로 쓰러질 수가 있으며, 각도가 135도 이상이 될 경우, 복합기(100)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사용자 편이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100)를, 스캐너 또는 복사기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평판덮개(210)를 개방하여, 평판(F)의 상부면을 원고에 대하여 노출하여, 원고를 셋팅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원고는 스캐닝할 면을 상기 평판(F)과 대면되도록 하여, 상기 스캐닝부(S)가 원고면을 독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평판덮개(210)가 개방되면, 상기 배지함덮개(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덮개(210)에 겹쳐지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평판덮개(210)의 회동과 연동하여 함께 회전된다. 이 때, 상기 평판덮개(210)의 회동각도(β)는 적어도 90도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평판덮개(210)의 회동에 의한 관성력이 상기 배지함덮개(220)에 전달되어, 사용자가 상기 평판덮개(210)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배지함덮개(220)를 함께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평판덮개(210)와 접촉하는 상기 배지함덮개(220)의 끝단에 작용되는 마찰력은, 상기 평판덮개(210)의 개방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력은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배지함덮개(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 처리된 끝단(221)을 가질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회전되는 롤러(222)가 설치된 끝단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평판덮개(210)의 회전시, 상기 평판덮개(210)와 접촉되는 상기 배지함덮개(220)는, 라운딩처리된 끝단(221)이 도 6과 같이 미끌어지거나, 접촉부에 설치된 롤러(222)가 아이들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배지함덮개(220)가 상기 평판덮개(210)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배지함덮개(220)는, 상기 평판덮개(210)를 개방하는 동작에 의해 최대 회동각도 만큼 회동되어, 상기 개구면(111)을 개방하며, 상기 후벽면(112)과 함께 용지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복합기(100)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배지함(110)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한 역순 즉, 상기 배지함덮개(220)를 도 4 내지 도 7의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3에 도시된 최초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에 의하면, 배지함의 개구면에 개폐가능한 배지함덮개가 설치되어, 배지함을 통해 복합기 내부로 먼지 등의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된다.
또한, 배지함에 수납된 인쇄용지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판의 역할을 배지함덮개가 개방되면서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복합기를 사용하기 전에 가이드판을 인쇄용지 지지위치로 이동시켜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복합기의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의 외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기의 간략도,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도로서, 단독으로 회동하는 배지함덮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요부확대도로서, 평판덮개의 회동과 연동하여 함께 회동하는 배지함덮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끝단이 라운딩처리된 배지함덮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끝단에 롤러가 구비된 배지함덮개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복합기 101; 본체
102; 이송부 103; 현상부
104; 정착부 105; 배지부
110; 배지함 111; 개구면
112; 후벽면 210; 평판덮개
220; 배지함덮개 C; 급지부
F; 평판 S; 스캐닝부

Claims (6)

  1.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캐너,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구비한 복합기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 상부면에 설치되어 원고를 셋팅하는 평판(flat bed);
    상기 본체에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평판의 상부면을 개폐하는 평판덮개;
    상기 본체의 후방에 형성되어 인쇄된 용지를 수납하며, 그 상측에 개구면을 가지는 배지함; 및
    상기 본체의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면을 개폐하는 배지함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함은,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후벽면에 상기 배지함덮개가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함덮개는,
    상기 평판덮개 상측과 접촉되어, 상기 평판덮개의 개방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개구면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함덮개는,
    상기 평판덮개와 접촉되는 끝단이 라운드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함덮개는,
    상기 평판덮개와 접촉되는 끝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함덮개는,
    그 개방각도(α)가 95 ~ 135 도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
KR10-2003-0081570A 2003-11-18 2003-11-18 복합기 KR100538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70A KR100538923B1 (ko) 2003-11-18 2003-11-18 복합기
US10/937,410 US7085513B2 (en) 2003-11-18 2004-09-10 Multi-function offi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570A KR100538923B1 (ko) 2003-11-18 2003-11-18 복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781A true KR20050047781A (ko) 2005-05-23
KR100538923B1 KR100538923B1 (ko) 2005-12-27

Family

ID=3456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570A KR100538923B1 (ko) 2003-11-18 2003-11-18 복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85513B2 (ko)
KR (1) KR100538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471B1 (ko) 2006-09-11 2008-01-02 윤석영 비누 및 그 제조방법
US20090136255A1 (en) * 2007-11-26 2009-05-2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5018906B2 (ja) * 2010-01-28 2012-09-0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動作確認方法、画像形成装置の動作確認プログラム
US8449107B2 (en) * 2010-10-04 2013-05-28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US10498913B2 (en) * 2016-07-29 2019-12-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4502A (ja) 1991-11-14 1993-05-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264448B2 (ja) 1991-11-14 2002-03-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280735B2 (ja) 1993-02-03 2002-05-13 コピア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195867A (ja) 1995-01-12 1996-07-30 Canon Inc 複合型画像形成装置
JPH09185198A (ja) 1995-12-27 1997-07-15 Ricoh Co Ltd 排紙装置
JPH09304986A (ja) * 1996-05-13 1997-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読取り等複合装置
US5913095A (en) * 1997-08-25 1999-06-1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3548494B2 (ja) * 2000-04-18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42290B2 (ja) 2001-08-31 2011-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85513B2 (en) 2006-08-01
US20050105933A1 (en) 2005-05-19
KR100538923B1 (ko)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6419B2 (en) Multifunc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overed main power switch
JP4363303B2 (ja) ヒンジ装置、そのヒンジ装置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14803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6311638B2 (ja) ヒンジ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39614B2 (ja) 多機能画像形成装置
KR100538923B1 (ko) 복합기
US6321063B1 (en) Document conveyance device having drop-prevention mechanism,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JP3356172B2 (ja) 画像形成装置
JP4633017B2 (ja) 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60232793A1 (en) Recording medium delivery mechanism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JP376898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1019274A (ja) 原稿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93993B2 (ja) 画像形成装置
JP3245059B2 (ja) 自動原稿給送装置
JP3465701B2 (ja) 複写機
JP2006117382A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そ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る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3466819B2 (ja) 画像形成装置
JP4143551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255403A (ja) 画像形成装置
US20050105943A1 (en) Multifunction product
JP200714249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189156B1 (ko) 다기능 프린터의 복사장치 및 그 방법
JP3507022B2 (ja) シート部材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507652B2 (ja) 画像形成装置
JP3647016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