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007A -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007A
KR20050047007A KR1020030080871A KR20030080871A KR20050047007A KR 20050047007 A KR20050047007 A KR 20050047007A KR 1020030080871 A KR1020030080871 A KR 1020030080871A KR 20030080871 A KR20030080871 A KR 20030080871A KR 20050047007 A KR20050047007 A KR 20050047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nufacturing
pipe
fix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목
Original Assignee
고기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기목 filed Critical 고기목
Priority to KR102003008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7007A/ko
Publication of KR20050047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조가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이루어 지고 기밀성이 뛰어나며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어큐뮤레이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 강관을 인발작업을 통하여 원통형의 용기를 형성한 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컷팅하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제작단계와; 상기 본체 제작단계 후 그 본체의 일단 내측면으로 용제와 필터를 삽입하여 압착 고정하는 필터 고정단계와; 상기 본체의 양단과 대응되게 제작된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각각의 연결관을 코킹(caulking) 작업에 의해 고정하는 연결관 고정단계와;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 후 상기 본체의 양단 외측면으로 상기 상,하부 캡을 결합한 다음 각 연결 부분을 브레이즈 용접(braze welding)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ccumulator}
본 발명은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제조가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이루어 지고 기밀성이 뛰어나며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에어컨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의 냉동사이클은 압력조절과 기화조절을 기계적으로 행하여 냉매가스를 압축→응축→팽창→증발 과정이 연소적으로 이루어 지면서 냉방 및 냉동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냉동사이클에 있어 순환되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증발 과정을 거쳐 열교환된 후 완전한 기체상태로 압축기에서 압축 과정을 행할 수 있도록 유입되어야 하는 데, 상기 증발기에서 미쳐 열교환되지 못한 액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 내로 유입됨에 따라 압축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에 따라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는 기체냉매 속에 포함된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시키는 어큐뮤레이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는 어큐뮤레이터는 종래에도 용도나 용량에 따라 여러 방법을 통하여 제작되고 있는 바, 통상적으로 어큐뮤레이터는 제조하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끝단으로 냉매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각각의 연결관(140)(140a)이 결합되는 유입관부(102)와 배출관부(112)가 형성되는 각각의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110)를 드로잉(drawing) 작업을 통하여 형성한 후,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냉매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걸러 주는 필터(120)를 삽입하여 고정한 다음 상기 상부몸체의 일단을 하부몸체로 삽입하여 그 연결부분을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한 드로잉작업 이외에 도 9에서와 같이 각 끝단으로 냉매가 유입되과 배출되는 각각의 연결관(240)(240a)이 결합되는 유입관부(202)와 배출관부(212)이 형성되도록 각각의 상부몸체(200)와 하부몸체(210)를 스웨징(swaging) 작업을 통하여 형성한 후, 상기 하부몸체의 일단 내로 필터(220)를 용접하여 고정한 다음 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맞닿는 부분을 재차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어큐뮤레이터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드로잉 작업에 따른 금형비가 상당히 고가이면서 제조작업에 따른 소재 또한 상당히 고가인 문제점과 아울러 상,하부 몸체의 용접부분에서 기밀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스웨징 작업에서는 용접에 의한 필터를 고정하는 작업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터를 정확한 위치로의 셋팅하기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 작업시나 스웨징 작업시 가장 문제가 되었던 것은 작업 과정에서 일부분의 불량시에도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천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어큐뮤레이터의 제조가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이루어 지고 기밀성이 뛰어나며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결합되는 연결관이 보다 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관의 용접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제조원가를 더욱더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큐뮤레이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 강관을 인발작업을 통하여 원통형의 용기를 형성한 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컷팅하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제작단계와; 상기 본체 제작단계 후 그 본체의 일단 내측면으로 용제와 필터를 삽입하여 압착 고정하는 필터 고정단계와; 상기 본체의 양단과 대응되게 제작된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각각의 연결관을 코킹(caulking) 작업에 의해 고정하는 연결관 고정단계와;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 후 상기 본체의 양단 외측면으로 상기 상,하부 캡을 결합한 다음 각 연결 부분을 브레이즈 용접(braze welding)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 후 그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의 각 선단을 라운드 밴딩하는 라운드 밴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에서 그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연결되는 연결관은 내,외측면에 동도금된 강판을 측면으로부터 튜형태로 이중으로 포밍(forming) 작업 후 브레이징(brazing) 작업을 거쳐 제작된 이중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로 설치되어 기체냉매 속에 포함된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시키는 어큐뮤레이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
본 발명은 설치하고자 하는 부분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파이프 강관을 도 2에서와 같이 공지의 인발작업을 통하여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의 용기(P)를 형성한 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컷팅하고 그 컷팅된 부분을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면처리하여 본체(10)를 형성하는 본체 제작단계(S1)를 행한다.
상기 본체 제작단계 후 그 본체(10)의 액체냉매가 유입되는 일단 내측면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액체냉매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걸러 주고 후술하는 용접고정시 필터를 상기 본체의 내측면으로 용접고정되도록 동링 등과 같은 용제와 필터(20)를 삽입하여 압착 고정하는 필터 고정단계(S2)를 행한다.
그런 다음 상기 본체의 양단과 대응되게 공지의 드로잉 또는 프레스 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상,하부 캡(30)(30a)의 유입관부(32)와 배출관부(32a)로 도 4에서와 같이 동으로 제작된 각각의 연결관(40)(40a)을 공지의 코킹 작업에 의해 고정하는 연결관 고정단계(S3)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 후 상기 본체(10)의 양단 외측면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부 캡(30)(30a)을 삽입하여 결합한 다음 각 연결 부분인 상,하부 캡과 본체 사이와, 그 상,하부 캡으로 코킹 고정된 각 연결관(40)(40a) 부분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괄적으로 공지의 브레이즈 용접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 내측면으로 필터 고정시 삽입되어 있는 용제 또한 용융되면서 그 필터를 본체의 내측면으로 용접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어큐뮤레이터를 필터가 고정되는 본체와 각 연결관이 고정되는 상,하부 캡으로 각각 제작한 후 본체와 상,하부 캡을 조립한 다음 각 연결부분을 브레이즈 용접하여 결합하므로서, 단시간 내에 간편하면서 높은 기밀성을 가지는 어큐뮤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조시 발생하는 불량시에도 그 발생된 불량 부품만을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게 교체함에 따라 종래 드로윙 작업시나 스웨징 작업시 불량으로 인해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천적인 가장 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라운드 밴딩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상,하부 캡으로 고정되는 각각의 연결관을 보다 큰 고정력을 가지면서 그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의 정중앙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 후 그 상,하부 캡(30)(30a)의 유입관부(32)와 배출관부(32a)의 각 선단을 연결관(40)(40a)의 외측면과 맞물리 듯이 지지할 수 있도록 라우드부(50)가 형성되게 라운드 밴딩하는 라운드 밴딩단계(S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삽입되는 각 연결관이 코킹과 브레이즈 용접 및 특히 라운드 밴딩에 의해 보다 큰 고정력을 결합 고정됨과 동시에 그 연결관이 유입관부와 배출관부의 정중앙으로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는 조건도 가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결합되는 각각의 연결관을 원가가 비싼 동재질의 연결관 대신에 동관과 같이 용접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원가 저렴한 연결관으로 대치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에서 상기 상,하부 캡(30)(30a)의 유입관부(32)와 배출관부(32a)로 연결되는 연결관(40)(40a)은 내,외측면에 동도금된 강판을 측면으로부터 튜형태로 이중으로 포밍 작업 후 브레이징 작업을 거쳐 제작된 이중 강관인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관은 증발기와 압축기로 연결시 원활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관에 비해 현저하게 재료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큐뮤레이터를 본체와 상,하부 캡으로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한 후 브레이즈 용접을 통하여 결합 고정하므로서, 어큐뮤레이터의 제조가 단시간 내에 간편하게 이루어 지고 기밀성이 뛰어나며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관을 라운드 밴딩하므로서,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연결관이 보다 큰 고정력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그 유입관부와 배출관부의 정중앙으로 위치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연결되는 연결관을 이중으로 제작된 강관을 사용하므로서, 증발기와 압축기와의 연결작업에 따른 용접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제조원가를 더욱더 낮출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단계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체 제작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관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용접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라운드 밴딩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종래 드로잉 작업에 의해 제조된 어큐뮤레이터를 나타낸 요부도.
도 9는 종래 스웨징 작업에 의해 제조된 어큐뮤레이터를 나타낸 요부도.
10 : 본체
20 : 필터
30 : 상부캡
32 : 유입관부
30a : 하부캡
32a : 배출관부
40,40a : 연결관
50 : 라운드부
P : 원통형 용기

Claims (3)

  1. 어큐뮤레이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파이프 강관을 인발작업을 통하여 원통형의 용기를 형성한 후 필요로 하는 길이로 컷팅하여 본체를 형성하는 본체 제작단계(S1)와;
    상기 본체 제작단계 후 그 본체의 일단 내측면으로 용제와 필터를 삽입하여 압착 고정하는 필터 고정단계(S2)와;
    상기 본체의 양단과 대응되게 제작된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각각의 연결관을 코킹 작업에 의해 고정하는 연결관 고정단계(S3)와;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 후 상기 본체의 양단 외측면으로 상기 상,하부 캡을 결합한 다음 각 연결 부분을 브레이즈 용접에 의해 용접하는 용접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 후 그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의 각 선단을 라운드 밴딩하는 라운드 밴딩단계(S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고정단계에서 그 상,하부 캡의 유입관부와 배출관부로 연결되는 연결관은 내,외측면에 동도금된 강판을 측면으로부터 튜형태로 이중으로 포밍 작업 후 브레이징 작업을 거쳐 제작된 이중 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KR1020030080871A 2003-11-15 2003-11-15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KR20050047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871A KR20050047007A (ko) 2003-11-15 2003-11-15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871A KR20050047007A (ko) 2003-11-15 2003-11-15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007A true KR20050047007A (ko) 2005-05-19

Family

ID=3724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871A KR20050047007A (ko) 2003-11-15 2003-11-15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70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08B1 (ko) * 2006-04-17 2007-05-25 주식회사 스틸카스피 에어컨디셔너 실내기용 어큐무레이터 제조방법
KR100782553B1 (ko) * 2006-06-15 2007-12-10 주식회사 한국쿨러 자동변속기용 오일냉각기
CN111745353A (zh) * 2019-03-27 2020-10-09 景津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滤板制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308B1 (ko) * 2006-04-17 2007-05-25 주식회사 스틸카스피 에어컨디셔너 실내기용 어큐무레이터 제조방법
KR100782553B1 (ko) * 2006-06-15 2007-12-10 주식회사 한국쿨러 자동변속기용 오일냉각기
CN111745353A (zh) * 2019-03-27 2020-10-09 景津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滤板制造方法
CN111745353B (zh) * 2019-03-27 2022-03-04 景津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滤板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3217A (en) Refrigerant condenser with integral receiver
US8590604B2 (en) Double-wall-tube heat exchanger
US20060123837A1 (en) Receiver tank for a cond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113671A (ja) 密閉型圧縮機
KR20050047007A (ko)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KR101802240B1 (ko)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KR100574333B1 (ko) 열교환기용 헤더 파이프의 냉매 입출구 파이프 가조립방법
JP2002372316A (ja) 冷凍装置
KR100855707B1 (ko)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9168313A (ja) 熱交換器
KR100542494B1 (ko) 에어컨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그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20020078060A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200156695Y1 (ko) 관체 접합구조
KR200311590Y1 (ko) 로타리 컴프레서용 트윈 벤트튜브 타입 일체형 철제어큐무레이터
JP7026846B2 (ja) 分離器、油分離器、気液分離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分離器の製造方法
KR20050094612A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응축기 헤더의 연결구조
KR20090044102A (ko) 어큐물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9062B1 (ko) 자동차용 응축기 헤더와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조립체
KR200363469Y1 (ko) 밀폐형 압축기 토출관의 이음구조
CN209926659U (zh) 受液器及使用受液器的冷凝器
KR100524879B1 (ko) 응축기 시스템 및 그 가공방법
KR100214357B1 (ko) 관체 접합방법
KR200205883Y1 (ko) 냉방기의 어큐뮬레이터
KR20000008225U (ko) 냉동사이클의 드라이어
JPH09113152A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