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240B1 -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240B1
KR101802240B1 KR1020160173503A KR20160173503A KR101802240B1 KR 101802240 B1 KR101802240 B1 KR 101802240B1 KR 1020160173503 A KR1020160173503 A KR 1020160173503A KR 20160173503 A KR20160173503 A KR 20160173503A KR 101802240 B1 KR101802240 B1 KR 101802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ring
screen
tube holder
pipe
accu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하
Original Assignee
이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하 filed Critical 이재하
Priority to KR102016017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8Soldering within a furn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흡입관(12)의 외주면에 용접링(WR)을 결합하는 흡입관 용접링 결합 단계; 상기 용접링(WR)이 바디(11)에 구비된 흡입 포트(11A)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입 포트(11A)에 상기 흡입관(12)을 삽입하는 흡입관 인서트 단계; 토출관(13)의 외주면에 용접링(WR)을 결합하는 토출관 용접링 결합 단계; 상기 용접링(WR)이 상기 바디(11)에 구비된 토출 포트(11B)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토출 포트(11B)에 상기 토출관(13)을 삽입하는 토출관(13) 인서트 단계; 상기 바디(11)에 상기 흡입관(12)과 상기 토출관(13)이 결합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상기 흡입관(12)의 상기 용접링(WR)과 상기 토출관(13)의 상기 용접링(WR)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상기 바디(11)에 상기 흡입관(12)과 상기 토출관(13)이 고정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Accumulato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 설비용 부품인 어큐뮬레이터의 흡입 토출구와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스크린, 관홀더, 바디가이드의 용접에 있어서 브레이징 연속로를 이용하여 1회에 모든 부품들의 접합부를 동시에 용접 할 수 있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는 에어컨 또는 냉장고에 사용되어 냉동 사이클에 의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이송되는 냉매가 기체 상태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원하는 냉동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즉, 공조 설비용 부품인 어큐뮬레이터는 냉방기용 콤프레샤에서 발생하는 맥동을 완화시키고 내부에 있는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주며 액화된 냉매가스의 콤프레서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주요 부품 중의 하나이다.
통상의 어큐뮬레이터의 구조 중 바디의 형상은 딥드로잉 공법으로 제작하거나 조관 파이프를 사용한 원통형 파이프에 외경의 양쪽 끝을 CNC선반을 이용한 스피닝(Spinning) 공법 또는 프레스를 이용한 넥킹(Necking) 공법에 의하여 적정한 크기의 흡입구와 토출구를 가지며 이 토출구는 또 다른 냉매이송용 배관과 결합되고 제품의 내부에는 제품의 이물질을 걸러주며 액화된 냉매의 콤프레샤 유입을 방지하는 스크린(Screen) 등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어큐뮬레이터의 대량생산이 쉽지 않고 그에 따른 제조 원가 상승과 항상 동일한 수준의 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어큐뮬레이터 제작 공정의 경우 작업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품질불량률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고온에서 주요부의 용접 과정에 의해 어큐뮬레이터를 제작할 때에 각 부품의 조직 변태점에서 산화 현상이 생겨서 제품의 소손에 따른 품질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0413호(2002.03.19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424296호(2004.03.11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26045호(2004.03.27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공조 설비용 부품인 어큐뮬레이터의 흡입 토출구와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스크린, 관홀더, 바디가이드의 용접에 있어서 브레이징 연속로를 이용하여 1회에 모든 부품들의 접합부를 동시에 용접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부의 고유 형상과 각 부품의 고유 형상을 발명하고 그에 따른 용접재와 연속로의 조건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관의 외주면에 용접링을 결합하는 흡입관 용접링 결합 단계; 상기 용접링이 바디에 구비된 흡입 포트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입 포트에 상기 흡입관을 삽입하는 흡입관 인서트 단계; 토출관의 외주면에 용접링을 결합하는 토출관 용접링 결합 단계; 상기 용접링이 상기 바디에 구비된 토출 포트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토출 포트에 상기 토출관을 삽입하는 토출관 인서트 단계; 상기 바디에 상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이 결합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상기 흡입관의 상기 용접링과 상기 토출관의 상기 용접링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상기 바디에 상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이 고정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가열로는 복수개의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연속 브레이징로로 구성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연속 브레이징로에 복수개로 연속 이송시켜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대량 생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속 브레이징로에 의한 브레이징 작업시에 제품 보호와 산화 방지(산소제거)를 위하여 분해가스를 연속 브레이징로의 내부에 투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해가스는 수소, LPG, 암모니아 가스 중에서 채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 용접링 결합 단계의 수행 이전에 먼저 수행되는 스크린 조립 단계와 관홀더 조립 단계 및 바디 가이드 조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조립 단계에서 스크린의 외주면에 스크린 용접링을 결합하고, 상기 바디를 형성하기 이전의 바디 모재인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상기 스크린을 삽입하고, 상기 관홀더 조립 단계에서는 상기 관홀더의 외주면에 관홀더 용접링을 결합하고, 상기 바디 가이드 조립 단계에서는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상기 관홀더를 삽입하고, 상기 바디 가이드의 외주면에 바디 가이드 용접링을 결합하고, 상기 바디 가이드를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한쪽 단부에서 상기 스크린을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다른 쪽 단부에서 상기 관홀더와 상기 바디 가이드를 상기 바디 포밍 슬립의 내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바디의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에 상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을 삽입하고, 상기 용접링들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형성된 용접 접합부들에 의해 상기 바디의 상기 흡입 포트와 상기 토출 포트에 상기 흡입관과 상기 토출관을 고정하고, 상기 관홀더와 상기 스크린과 상기 바디 가이드를 상기 바디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홀더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관홀더 비드홈을 형성하는 관홀더 비드홈 포밍 단계; 상기 관홀더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보스에 용접링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접링 수용홈에 내주연 용접링을 삽입하여 내주연 용접링의 위치를 잡아주는 단계; 상기 관홀더의 비드홈에 용접링을 결합하고 상기 관보스의 용접링 수용홈에 용접링을 결합한 관홀더 어셈블리를 바디의 내부에 삽입하는 관홀더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링의 내주면은 상기 관홀더 비드홈의 내경에 접촉되며, 상기 용접링의 외주면은 상기 비드홈의 끝단보다 더 안쪽에 들어가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비드홈의 끝단과 상기 용접링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거리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홀더 비드홈의 끝단에서 용접링의 외주면이 더 들어가 있는 이격 거리는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주연 용접링의 외주면은 상기 관보스의 용접링 수용홈의 내경에 접촉되며, 상기 내주연 용접링의 내주면은 상기 용접링 수용홈의 끝단보다 더 안쪽에 들어가 있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접링 수용홈의 끝단과 상기 내주연 용접링의 내주면 사이에 관홀더 이격 거리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링 수용홈의 끝단에서 내주연 용접링의 내주면이 더 들어가 있는 이격 거리는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용접링을 상기 흡입 포트의 단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흡입관을 상기 흡입 포트에 삽입하고, 상기 흡입관이 상기 흡입 포트에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흡입 포트에 코킹 작업에 의해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킹 작업은 상기 흡입 포트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흡입 포트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의 외경과 상기 흡입 포트의 내경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05 ~ -0.1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포트의 내주면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부에 상기 흡입관의 단부가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포트의 단부측 내주면에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에 상기 흡입관에 끼워져 있는 용접링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관의 외주면에 끼워진 용접링을 상기 토입 포트의 단부에 마주하도록 상기 토출관을 상기 토출 포트에 삽입하고, 상기 토출관이 상기 토출 포트에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관은 상기 토출 포트에 코킹 작업에 의해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킹 작업은 상기 토출 포트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토출 포트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토출관의 외경과 상기 토출 포트의 내경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05 ~ -0.1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 포트의 단부측 내주면에 테이퍼부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에 상기 토출관에 끼워져 있는 용접링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관은 내부 토출관과 외부 토출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토출관의 단부측 일부는 확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토출관의 외주면에 결합된 외부 토출관 용접링은 상기 확관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관부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의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 의해 어큐뮬레이터가 제공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에 각각 연결된 흡입관 및 토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스크린과 관홀더 및 바디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 설비용 부품인 어큐뮬레이터의 흡입 토출구와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스크린, 관홀더, 바디가이드의 용접에 있어서 브레이징 연속로를 이용하여 1회에 모든 부품들의 접합부를 동시에 용접 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부의 고유 형상과 각 부품의 고유 형상을 발명하고 그에 따른 용접재와 연속로의 조건을 제시함으로 어큐뮬레이터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제조 원가 절감과 항상 동일한 수준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연속로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연결관 및 부품 용접에 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디의 흡입 포트와 흡입관 및 용접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디와 스크린의 결합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크린에 용접링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주요부인 스크린의 정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도시된 스크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관홀더와 바디와 토출관의 결합 부분에 용접링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관홀더와 바디 사이에 용접링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관홀더와 토출관 사이에 용접링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바디 가이드와 바디 사이에 용접링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바디 가이드와 바디 사이에 용접링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토출관과 바디의 토출 포트 사이에 용접링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주요부인 바디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트윈 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트윈 바디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크린의 정면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트윈 바디의 토출 포트와 도 13에 도시된 스크린에 토출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주요부인 바디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로서 오일 분리기 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오일 분리기 바디의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에 각각 흡입관과 토출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주요부인 바디의 외관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바디에 흡입관과 토출관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바디에 브라켓과 브라켓 풋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의 주요부인 바디의 다른 변형된 실시예로서 오일 분리기 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서 연속 브레이징로에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통과시켜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도 22는 도 21의 연속 브레이징로에서 제조된 어큐뮬레이터를 건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흡입관(12)의 외주면에 용접링(WR)을 결합하는 흡입관 용접링 결합 단계, 흡입관 인서트 단계, 토출관(13)의 외주면에 용접링(WR)을 결합하는 토출관 용접링 결합 단계, 바디(11)에 구비된 토출 포트(11B)에 토출관(13)을 삽입하는 토출관(13) 인서트 단계,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흡입관(12)의 용접링(WR)과 토출관(13)의 용접링(WR)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상기 바디(11)에 흡입관(12)과 토출관(13)이 고정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바디(11)의 내부에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를 내장시켜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흡입관 용접링 결합 단계와 토출관 용접링 결합 단계 이전에 먼저 수행되는 스크린 조립 단계와 관홀더 조립 단계와 바디 가이드 조립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BK는 브라켓이고, BF는 브라켓 풋트이다.
상기 스크린 조립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스크린(15)의 위치를 잡기 위해 바디(11)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비드(BD)를 형성하는 바디 비드 포밍 단계를 수행한다. 바디 비드 포밍 단계에서는 비드 포밍장치에 의해 바디 포밍 슬리브의 외주면을 바디 포밍 슬리브의 중심부 쪽으로 눌러서 바디 비드(BD)를 형성한다. 바디 비드(BD)가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중심부 쪽으로 돌출된다. 즉, 바디(11)의 내주면에서 중심부 쪽으로 더 돌출된 바디 비드(BD)가 형성된다. 바디 비드(BD)의 바깥쪽에는 바디 비드홈(BG)이 형성된다. 바디 포밍 슬리브의 외주면이 바디 포밍 슬리브의 중심부 쪽으로 눌려져서 바디 비드(BD)가 형성되므로, 바디 비드(BD)는 바디 포밍 슬리브의 중심부 쪽으로 돌출되고 바디 비드홈(BG)은 바디 비드(BD)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것이다. 바디 비드홈(BG)은 바디 포밍 슬리브의 중심부 쪽으로 오목한 홈 형태이다. 바디 비드홈(BG)은 단면 원주형 오목홈으로 형성된다. 정리하면, 상기 바디(11)는 양단부가 연통된 관형상(주로 원형관 형상)의 바디 포밍 슬리브의 양단부측을 축관시켜서 유입측 축관부와 유입 포트 및 토출측 축관부와 토출 포트(11B)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 비드 포밍 단계에서는 스크린(15)의 위치를 잡기 위해 바디 포밍 슬리브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비드(BD)를 형성한다. 결국, 상기 바디(11)에 바디 비드(BD)와 바디 비드홈(BG)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 조립 단계에서는 스크린(15)의 외주면에 스크린 용접링(WR)을 결합하고, 바디(11)를 형성하기 이전의 바디(11) 모재인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스크린(15)을 삽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바디(11)의 내부에 스크린(15) 조립 및 압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스크린(15) 조립 및 압입 단계에서는 바디(11) 외경에 적정한 크기의 비딩 가공을 하여 스크린(15)의 위치를 결정하고 스크린 바디 측면에 적정크기의 비딩 홈을 주어 그 홈에 연결되지 않은 원형 형태의 용접링(WR)을 장착하여 실린더를 이용하여 바디(11) 내부에 압입한다. 이때, 용접링(WR)의 크기는 비드홈(BG) 직경의 -1mm 상태로 하여 용접링(WR)을 조립 후 용접링(WR)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하여 비드홈(BG) 내부에서 용접링(WR)이 이탈되지 않도록 조절한다. 또한, 용접링(WR)이 스크린(15) 외경을 벗어나지 않도록 비드홈(BG) 크기나 용접링(WR)의 크기를 조절한다.
즉, 본 발명은 스크린(15)의 위치를 잡기 위해 바디(11)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비드(BD)를 형성하는 바디 비드 포밍 단계와, 스크린(15)의 몸체부인 스크린 바디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비드홈(BG)을 형성하는 스크린 비드홈 포밍 단계와, 스크린(15)의 스크린 비드홈(BG)에 용접링(WR)을 결합한 스크린 어셈블리를 바디(11)의 내부에 삽입하여 바디(11)의 내주면에 돌출된 비드(BD)에 의해 스크린(15)이 바디(11)의 내부에서 위치를 잡도록 하는 스크린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15)은 필터링 부재가 스크린 바디에 결합된 구성이다. 스크린 바디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스크린(15)홀을 구비하고, 스크린 바디의 둘레부에는 스크린 테두리부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 바디에 필터링 부재가 결합된다.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필터링 부재가 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비드홈 포밍 단계에서는 스크린 바디의 둘레부에 구비된 스크린 테두리부에 비딩 가공에 의해 스크린 비드홈(BG)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 용접링(WR)의 내주면은 스크린 비드홈(BG)의 내경에 접촉되며, 상기 스크린 용접링(WR)의 외주면은 스크린 비드홈(BG)의 끝단보다 더 안쪽에 들어가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 비드홈(BG)의 끝단과 스크린 용접링(WR)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거리(D)가 확보된다. 이때, 스크린 비드홈(BG)의 끝단에서 스크린 용접링(WR)의 외주면이 더 들어가 있는 이격 거리(D)는 -1mm이다.
상기 스크린 결합 단계에서는 스크린 어셈블리를 바디(11)의 내부에 삽입하여 스크린(15)이 바디(11)의 내부에 들어가서 자리를 잡도록 한다. 즉, 상기 스크린(15)의 스크린 비드홈(BG)에 용접링(WR)을 결합한 스크린 어셈블리를 실린더를 이용하여 압입한다.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로 스크린 어셈블리를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바디(11) 내부에 압입한다. 이때,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비드(BD)(내향 바디 비드(BD))에 스크린(15)의 일단부가 걸려지므로, 스크린(15)이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서 자리를 잡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홀더(16)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관홀더 비드홈(BG)을 형성하는 관홀더 비드홈 포밍 단계, 상기 관홀더(16)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홀더(16BS)에 용접링 비드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용접링 비드홈에 내주연 용접링(WR)을 삽입하여 내주연 용접링(WR)의 위치를 잡아주는 단계, 상기 관홀더(16)의 비드홈(BG)에 용접링(WR)을 결합하고 관홀더(16BS)의 용접링 비드홈에 용접링(WR)을 결합한 관홀더 어셈블리를 바디(11)의 내부에 삽입하는 관홀더(16)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홀더 비드홈 포밍 단계에서는 관홀더(16)의 둘레부에 구비된 관홀더(16) 테두리부의 외주면 일부를 눌러서 오목홈 구조인 관홀더 비드홈(BG)을 형성한다. 상기 관홀더(16) 테두리부는 바디 포밍 슬리브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비드 포밍장치에 의해 관홀더(16) 둘레부에 구비된 관홀더(16) 테두리부의 외주면을 관홀더(16)의 중심부 쪽으로 눌러서 관홀더 비드홈(BG)을 형성한다. 관홀더 비드홈(BG)이 관홀더(16)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관홀더 비드홈(BG)은 단면 원주형 오목홈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홀더 비드홈(BG)의 내경에 관홀더 용접링(WR)의 내주면이 접척되며, 상기 관홀더 용접링(WR)의 내주면은 관홀더 비드홈(BG)의 끝단보다 더 안쪽에 들어가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관홀더 비드홈(BG)의 끝단과 관홀더 용접링(WR)의 외주면 사이에 관홀더(16) 이격 거리(D)가 확보되도록 구성된다. 즉, 관홀더 비드홈(BG)의 끝단과 관홀더 용접링(WR) 사이에 이격 거리(D)가 확보된다. 이때, 상기 관홀더 비드홈(BG)의 끝단에서 관홀더 용접링(WR)의 내주면이 더 들어가 있는 이격 거리(D)는 -1mm이다. 상기한 이격 거리(D)를 확보함으로써 관홀더 용접링(WR) 조립 후 관홀더 용접링(WR)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하여 관홀더 비드홈(BG) 내부에서 관홀더 용접링(WR)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관홀더(16)의 조립 단계를 수행한다. 관홀더 조립 단계에서는 관홀더(16) 외부의 측면에 적정크기의 비딩 홈을 주고 그 홈에 연결되지 않은 원형 형태의 용접링(WR)을 장착하여 실린더를 이용하여 바디(11) 내부에 압입한다. 이때, 용접링(WR)의 크기는 튜브 홀더 외부 측면에 성형된 비딩 홈 직경의 -1mm 상태로 하여 용접링(WR) 조립 후 용접링(WR)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하여 비딩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용접링(WR)이 스크린(15) 외경을 벗어나지 않도록 비딩 크기나 용접링(WR)의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관홀더(16)와 연결관 튜브의 고정을 위하여 관홀더(16) 중심부를 2단의 버링형태로 성형하여 그 버링 내부로 튜브를 압입하여 튜브 홀더와 튜브를 고정시키며 2단 버링부의 상부의 단차 부위에 원형의 용접링(WR)을 안착시킨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관홀더(16)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홀더(16BS)에 용접링 비드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관홀더(16BS)는 관홀더(16) 테두리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역시 비드 포밍장치에 의해 관홀더(16)와 관홀더(16BS)가 이어지는 단부(관홀더(16BS)의 일단부)를 관홀더(16)의 중심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눌러서 용접링 비드홈을 형성한다. 상기 용접링 비드홈을 편의상 관홀더 비드홈(BG)이라 한다. 관홀더 비드홈(BG)이 관홀더(16)의 중앙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관홀더 비드홈(BG)은 단면 원주형 오목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홀더 비드홈(BG)에 끼워지는 용접링(WR)(편의상 관홀더 용접링(WR)이라 함)의 외주면은 관홀더 비드홈(BG)의 내경에 접촉되며, 상기 관홀더 용접링(WR)의 내주면은 비드홈(BG)의 끝단보다 더 안쪽에 들어가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비드홈(BG)의 끝단과 용접링(WR)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거리(D)가 확보된다. 즉, 관홀더 비드홈(BG)의 끝단과 관홀더 용접링(WR) 사이에 이격 거리(D)가 확보된다. 이때, 상기 관홀더 비드홈(BG)의 끝단에서 관홀더 용접링(WR)의 내주면이 더 들어가 있는 이격 거리(D)는 -1mm이다. 상기 이격 거리(D)를 확보함으로써 관홀더 용접링(WR) 조립 후 관홀더 용접링(WR)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하여 관홀더 비드홈(BG) 내부에서 관홀더 용접링(WR)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바디 가이드(17)의 조립 단계를 수행한다. 바디 가이드 조립 단계는 바디 가이드(17)의 외부 측면에 적정크기의 비딩홈을 주고 그러한 비딩홈에 연결되지 않은 원형 형태의 용접링(WR)을 장착하여 실린더를 이용하여 바디(11) 내부에 압입한다. 이때, 용접링(WR)의 크기는 바디 가이드(17) 외부 측면에 성형된 비딩홈 직경의 -1mm 상태로 하여 용접링(WR) 조립 후, 용접링(WR)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하여 비딩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크기를 조절한다. 또한, 용접링(WR)이 스크린(15) 외경을 벗어나지 않도록 비딩 크기나 용접링(WR)의 크기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바디 가이드(17)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가이드 비드홈(BG)을 형성하는 가이드 비드홈 포밍 단계, 상기 바디 가이드(17)의 가이드 비드홈(BG)에 용접링(WR)을 결합한 바디 가이드 어셈블리를 바디(11)의 내부에 삽입(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하는 바디 가이드(17)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비드홈 포밍 단계에서는 바디 가이드(17)의 외주면 일부를 눌러서 오목홈 구조인 가이드 비드홈(BG)을 형성한다. 비드 포밍장치에 의해 바디 가이드(17)의 외주면을 바디 가이드(17)의 중심부 쪽으로 눌러서 가이드 비드홈(BG)을 형성한다. 본 발며에서 가이드 비드홈(BG)은 단면 원주형 오목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 가이드(17) 결합 단계에서는 바디 가이드(17)의 가이드 비드홈(BG)에 용접링(WR)을 결합한 바디 가이드 어셈블리를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실린더를 이용하여 압입한다.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로 바디 가이드 어셈블리를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바디(11) 내부에 압입한다.
이때, 상기 용접링(WR)(편의상 바디 가이드 용접링(WR)이라 함)의 내주면은 바디 가이드(17)에 형성된 가이드 비드홈(BG)의 내경에 접촉되며, 상기 바디 가이드 용접링(WR)의 외주면은 가이드 비드홈(BG)의 끝단보다 더 안쪽에 들어가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비드홈(BG)의 끝단과 바디 가이드 용접링(WR)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 거리(D)가 확보된다. 상기 가이드 비드홈(BG)의 끝단에서 바디 가이드 용접링(WR)의 외주면이 더 들어가 있는 이격 거리(D)는 -1mm이다. 상기 이격 거리(D)를 확보함으로써 바디 가이드 용접링(WR) 조립 후 바디 가이드 용접링(WR)의 스프링백 현상에 의하여 바디 가이드 비드홈(BG) 내부에서 바디 가이드 용접링(WR)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한쪽 단부(석션쪽)에서 상기 스크린(16)을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다른 쪽 단부(토출쪽)에서 관홀더(6)와 바디 가이드(17)를 바디 포밍 슬립의 내부에 삽입한다. 상기 스크린 어셈블리는 바디(11)가 형성되기 이전의 바디 모재인 바디 포밍 슬리브의 한쪽 단부에서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다른 쪽 단부에서 관홀더 어셈블리와 바디 가이드 어셈블리가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디(11)의 내부, 다시 말해, 양단부 쪽에 유입측 축관부와 유입 포트 및 토출측 축관부와 토출 포트(11B)가 형성되기 이전의 관형태의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스크린(15)과 관튜브 및 바디 가이드(17)가 결합된 다음에는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양쪽 단부측을 축관시켜서 바디(11)의 양단부쪽에 유입측 축관부와 유입 포트 및 토출측 축관부와 토출 포트(11B)가 구비되도록 한다.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된 바디 포밍 슬리브 외경의 양쪽 끝을 CNC선반을 이용한 스피닝(Spinning) 공법 또는 프레스를 이용한 넥킹(Necking) 공법에 의하여 흡입측 축관부와 적정한 크기의 흡입구 및 토출측 축관부와 토출구를 가지도록 바디(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바디(11)의 양단부쪽의 유입측 축관부와 유입 포트 및 토출측 축관부와 토출 포트(11B)는 통상의 드로잉 작업을 수행하거나 축관기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11)의 양쪽 단부쪽에 유입측 축관부와 유입 포트 및 토출측 축관부와 토출 포트(11B)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는,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양단부에 축관부와 포트가 구비된 유입측 캡부재와 토출측 캡부재를 용접 등의 접합수단으로 접합함으로써 유입측 축관부와 유입 포트 및 토출측 축관부와 토출 포트(11B)를 구비한 바디(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홀더(16)(Tube Holder)는 바디(11) 내부로 유입된 토출관(13)을 고정하여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는 것이고, 상기 바디 가이드(17)(Body Guide)는 어큐뮬레이터의 안정된 무게 배분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바디(11)에 형성된 흡입 포트(11A)에 흡입관(12)을 결합하는 흡입관(12)의 조립 단계를 수행한다. 흡입관 조립 단계에서는 바디(11)로부터 적정크기로 축관된 한쪽의 관 형태의 내경에 단차를 두어 연결관의 위치를 결정하여 주고, 바디(11)와 연결관의 접촉 부위에 용접링(WR)을 끼워넣은 후 금형이나 지그에 의하여 코킹하여 바디(11) 내경과 연결관의 클리어런스를 -0.05 ~ -0.1mm 수준의 억지끼움 형태를 만들어준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흡입관(12)의 외주면에 끼워진 용접링(WR)을 흡입 포트(11A)의 단부에 마주하도록 흡입관(12)을 흡입 포트(11A)에 삽입하고, 상기 흡입관(12)이 흡입 포트(11A)에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 포트(11A)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SP)에는 흡입관(12)의 단부(내측 단부)가 걸려져서 흡입관(12의 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상기 흡입관(12)은 바디(11)의 흡입 포트(11A)에 코킹 작업에 의해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코킹 작업은 흡입 포트(11A)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흡입 포트(11A)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흡입관(12)의 외경이 흡입 포트(11A)의 내경보다 더 크도록 가공하여 상기 흡입관(12)의 바디(11)의 흡입측 축관부에 형성된 흡입 포트(11A)에 억지 끼움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관(12)의 외경과 흡입 포트(11A)의 내경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05 ~ -0.1mm가 되도록 구성된다. 흡입 포트(11A)의 내경이 흡입관(12)의 외경보다 -0.05 ~ -0.1mm 더 작으므로, 상기 바디(11)의 흡입측 축관부에 형성된 흡입 포트(11A)에 흡입관(12)이 억지 끼움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포트(11A)의 단부측 내주면에 테이퍼부(TP)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TP)에 흡입관(12)에 끼워져 있는 용접링(WR)이 마주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 포트(11A)의 내주면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부에 흡입관(12)의 단부가 걸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12)이 바디(11)의 흡입 포트(11A)에 다 들어간 다음에는 흡입관(12)의 일단부(내측단부)가 흡입 포트(11A)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걸려지므로, 상기 흡입관(12)이 무리하게 바디(11)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적당한 위치에 자리를 잡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디(11)에 형성된 토출 포트(11B)에 토출관(13)을 결합하는 토출관(13)의 조립 단계를 수행한다. 토출관(13) 조립 단계에서는 바디(11) 몸체로부터 적정크기로 축관된 한쪽의 관 형태의 바디(11)와 연결관을 금형이나 지그를 이용하여 바디(11)와 연결관을 상호 조립하고 접촉 부위에 용접링(WR)을 끼워넣은 후 금형이나 지그로 코킹하여 바디(11) 내경과 연결관 클리어런스를 -0.05 ~ -0.1mm 수준의 억지끼움 형태를 만들어준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토출관(13)의 외주면에 끼워진 용접링(WR)을 토출 포트(11B)의 단부에 마주하도록 토출간을 토출 포트(11B)에 삽입하고, 상기 토출관(13)이 토출 포트(11B)에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출관(13)은 바디(11)의 토출 포트(11B)에 코킹 작업에 의해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코킹 작업은 토출 포트(11B)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토출 포트(11B)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것이다. 토출관(13)의 외경이 토출 포트(11B)의 내경보다 더 크도록 가공하여 상기 토출관(13)이 바디(11)의 토출측 축관부에 형성된 토출 포트(11B)에 억지 끼움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관(13)의 외경과 토출 포트(11B)의 내경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05 ~ -0.1mm가 되도록 구성된다. 토출 포트(11B)의 내경이 토출관(13)의 외경보다 -0.05 ~ -0.1mm 더 작으므로, 상기 토출관(13)이 바디(11)의 토출측 축관부에 형성된 토출 포트(11B)에 억지 끼움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관(13)은 내부 토출관(13)과 외부 토출관(13)이 결합되는데, 상기 내부 토출관(13)이 바디(11)의 토출 포트(11B)에 억지 끼움되도록 할 수 있다. 내부 토출관(13A)은 철로 구성되고, 외부 토출관(13B)는 동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 토출관(13A)을 철로 구성하고 외부 토출관(13B)을 동으로 구성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토출 포트(11B)의 단부측 내주면에 테이퍼부(TP)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TP)에 토출관(13)에 끼워져 있는 용접링(WR)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관(13)은 내부 토출관(13)과 외부 토출관(13)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토출관(13)의 단부측 일부는 확관부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 토출관(13)의 외주면에 결합된 외부 토출관(13) 용접링(WR)은 확관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확관부의 내주면에는 테이퍼부(TP)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확관부의 내주면 일부를 깎아서 테이퍼부(TP)를 형성할 수 있다. 확관부 내주면의 테이퍼부(TP)는 상기 내부 토출관(13)의 내측단에서 외측단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내경이 벌어진 구조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확관부는 테이퍼부(TP)에서부터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11)와 스크린(15)과 관홀더(16)와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이 결합된 것을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라고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용접하여 각 구성부분, 다시 말해, 바디(11)와 스크린(15)과 관홀더(16)와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이 접합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한다.
어큐뮬레이터의 각 구성원(즉, 상기 바디(11)와 스크린(15)과 관홀더(16)와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 부분)은 냉매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엄격한 기밀을 유지하는 용접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때의 용접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연속로에 의한 브레이징 방법을 채용한다. 연속 브레이징로(20)에 다량의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투입 및 이송시켜서 다량의 어큐뮬레이터를 대량 생산하게 된다. 즉, 가열로는 복수개의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연속 브레이징로로 구성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연속 브레이징로에 복수개로 연속 이송시켜서 어큐뮬레이터를 대량 생산한다.
이때, 연속로(연속 브레이징로)에 의한 브레이징 방법은 용접재를 용융하기 위하여 연속 브레이징로 내부에 고온이 필요하며, 이때 각 부품의 조직 변태점에서 산화방지에 따른 제품보호와 산소 제거를 위한 분해 가스를 투입하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가스는 LPG, 암모니아, 수소 가스이다. 또한, 용접재로서는 인청동, 순동, 은납을 통상 사용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속 브레이징로에 의한 브레이징 작업시에 제품 보호와 산화 방지(산소제거)를 위하여 분해가스를 연속 브레이징로의 내부에 투입한다. 상기 분해가스는 수소, LPG, 암모니아 가스 중에서 채택된 어느 하나이다. 이때, 제품은 어큐뮬레이터를 의미한다.
한편, 조립된 용접재(즉,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각 구성부인 바디(11)와 스크린(15)과 관홀더(16)와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에 결합된 용접링(WR))으로 인청동을 사용할 경우 로의 온도 조건은 1040℃ ~ 1043℃ 조건에서 작업하고, 조립된 용접재를 순동을 사용할 경우 로의 온도 조건은 1080℃ ~ 1100℃ 조건에서 작업하며, 조립된 용접재를 은납을 사용할 경우 로의 온도 조건은 640℃ ~ 643℃ 조건에서 작업하며, 이때, 용접로, 다시 말해, 연속 브레이징로(20)의 매쉬 벨트(22)는 200~300mm/분의 이송 조건을 유지한다.
분해가스로 수소를 사용할 경우 수소 70%, 질소 30% 비율로 혼합가스를 투입하여 용접하고, 분해가스로 LPG를 사용할 경우 산소 대 LPG 가스를 17:1의 비율로 혼합해 투입하여 용접하고, 분해가스로 정제된 암모니아 가스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바디(11)에 흡입관(12)과 토출관(13)과 스크린(15)과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가 결합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흡입관(12)의 용접링(WR)과 토출관(13)의 용접링(WR)의 용융 및 스크린(15)과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의 용접링(WR)의 용융에 의해 상기 각 구성 부분을 바디(11)에 접합시킬 수 있는 용융 접합 용접액이 형성되고, 건조 단계에서 가열로(즉, 연속 브레이징로)에 이어진 냉각 구간에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에서 용융 접합 용접액을 경화시킴으로써 용접 접합부에 의해 상기 각 구성 부분을 바디(11)에 접합한 어큐뮬레이터를 만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 의해서 만들어지 어큐뮬레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는 바디(11)와, 이 바디(11)의 내부에 구비된 스크린(15)과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바디(11)의 내부에 스크린(15)과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가 생략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스크린(15)이 구비되면 이물질을 걸러내서 더 바람직하고, 관홀더(11)와 바디 가이드(17)가 설치되면, 각각 관홀더(16)에 토출관(13)을 잡아주어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바디 가이드(17)에 의해서는 안정된 무게 배분을 하고 바디(11)가 외압 등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으므로, 상기 바디(11) 내부에 적어도 스크린(15)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고, 관홀더(16)와 바디 가이드(17)가 구비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주요 효과는 어큐뮬레이터의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항상 동일한 수준의 어큐뮬레이터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15)과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에 용접링(WR)을 끼워놓고 바디(11)에 스크린(15)과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을 용접링(WR)들을 한꺼번에 용융 및 경화시켜줌으로써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항상 동일한 수준의 어큐뮬레이터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열로, 다시 말해, 연속 브레이징로에 투입하여 다량의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이송시키면서 어큐뮬레이터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어큐뮬레이터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요 특징이 나온다. 기존에 비하여 어큐뮬레이터의 생산성이 현저히 높아지게 된다. 용접링(WR)들을 상기 주요 구성 부분에 미리 결합하고 바디(11)에 주요 구성 부분들을 한꺼번에 용접하기 때문에, 각 구성 부분을 부분 부분별로 개별 용접하는 경우에 비하여 용접 작업이 월등이 수월하면서도 어큐뮬레이터의 생산성도 월등히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어큐뮬레이터의 품질불량률이 현저히 저하되는 장점이 있다. 고온에서 주요부분의 용접 과정에 의해 어큐뮬레이터를 제작할 때에 가열로에 분해가스를 투입하여 각 부품, 다시 말해, 스크린(15)과 관홀더(16) 및 바디 가이드(17)와 흡입관(12) 및 토출관(13) 및 바디(11)의 의 조직 변태점에서 산화 현상이 생기려 하여도 분해가스에 의해 산화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산화 현상의 방지로 인하여 제품의 소손에 따른 품질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제품이라 함은 어큐뮬레이터로서 분해가스로 인하여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의 품질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해소되는 것이다. 특히, 브레이징로 통과 과정에서 이물질 산화, 수분 제거 등이 이루어져서 제품의 청결도가 월등히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흡입 포트(11A)의 단부측 내주면에 테이퍼부(TP)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TP)에 흡입관(12)에 끼워져 있는 용접링(WR)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가열로(브레이징로)에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투입하여 용접링(WR)을 용융시킬 때에, 용접링(WR)이 녹은 용접액이 테이퍼부(TP)로 인하여 흡입 포트(11A)와 흡입관(12) 사이로 보다 확실하게 스며들어서 경화되므로, 용접링(WR)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흡입 포트(11A)와 흡입관(12)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 신뢰성과 접합 강도가 확실하게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토출 포트(11B)의 단부측 내주면에도 테이퍼부(TP)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TP)에 토출관(13)에 끼워져 있는 용접링(WR)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가열로(브레이징로)에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투입하여 용접링(WR)을 용융시킬 때에, 용접링(WR)이 녹은 용접액이 테이퍼부(TP)로 인하여 토출 포트(11B)와 토출관(13) 사이로 보다 확실하게 스며들어서 경화되므로, 용접링(WR)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토출 포트(11B)와 토출관(13)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 신뢰성과 접합 강도 역시 확실하게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토출관(13)은 내부 토출관(13)과 외부 토출관(13)으로 구성되는데, 내부 토출괸의 외측단에 확관부를 형성함으로써 확관부에 의해 외부 토출관(13)을 내부 토출관(13)에 보다 쉽게 삽입할 수 있고, 내부 토출관(13)의 확관부 내주면에도 테이퍼부(TP)를 형성하여, 상기 테이퍼부(TP)에 외부 토출관(13)에 끼워져 있는 용접링(WR)이 마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가열로(브레이징로)에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투입하여 용접링(WR)을 용융시킬 때에, 용접링(WR)이 녹은 용접액이 테이퍼부(TP)로 인하여 내부 토출관(13)과 외부 토출관(13) 사이로 보다 확실하게 스며들어서 경화되므로, 용접링(WR)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내부 토출관(13)과 외부 토출관(13) 사이를 접합하는 접합 신뢰성과 접합 강도 또한 확실하게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12)의 외경과 흡입 포트(11A)의 내경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0.05 ~ -0.1mm가 되도록 구성되어, 흡입관(12)이 바디(11)의 흡입 포트(11A)에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흡입관(12)과 흡입 포트(11A) 사이의 결합력이 보다 높아지고 용접링(WR)이 용융된 용접액이 흡입 포트(11A)와 흡입관(12) 사이로 삼투압 현상(모세관 현상)에 의해 확실하게 스며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용접액이 흡입 포트(11A)와 흡입관(12) 사이로 확실하게 스며들도록 한다는 것은 용접에 의해 흡입 포트(11A)와 흡입관(12) 사이의 만족스러운 접합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토출관(13)의 외경과 토출 포트(11B)의 내경 사이의 클리어런스도 -0.05 ~ -0.1mm가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출관(13) 쪽에서도 흡입관(12) 쪽에서와 동일한 효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바디 비드(BD)가 구비되어, 스크린(15)을 바디(11) 내부에 삽입할 때에 바디 비드(BD)가 스크린(15)을 잡아주므로, 스크린(15)이 바디(11) 내부에서 자리를 잡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고, 상기 바디 비드(BD)에 의해 바디(11) 자체의 강도도 보강하므로, 바디(11)의 강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 내부에 관홀더(16)가 구비되어, 관홀더(16)에 의해 토출관(13)을 잡아주게 되므로,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 내부에는 바디 가이드(17)가 구비되어, 바디 가이드(17)가 어큐뮬레이터의 안정된 무게 배분을 하게 된다. 안정된 무게 배분을 한다는 것은 어큐뮬레이터의 작동시에 외부 압력이나 유체 흐름에 의한 진동 등을 방지하여 어큐뮬레이터의 만족스러운 성능을 발휘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바디 가이드(17) 자체가 바디(11) 안에서 바디(11)를 받쳐주므로, 바디(11)가 외압 등에 의해 찌그러지는 것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바디(11), 흡입관(12)과 토출관(13), 스크린(15), 관홀더(16), 바디 가이드(17)를 포함한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바디(11), 흡입관(12) 및 토출관(13), 스크린(15), 바디 가이드(17)를 포함한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바디(11), 흡입관(12) 및 토출관(13), 스크린(15), 관홀더(16)를 포함한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바디(11), 흡입관(12) 및 토출관(13), 스크린(15)을 포함한 형태의 어큐뮬레이터, 바디(11), 흡입관(12) 및 토출관(13)을 포함한 형태의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바디(11)는 전술한 싱글 바디(11), 트윈 바디(11), 오일 분리기 바디(11)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는데, 트위 바디(11)에는 두 개의 토출 포트(11B)가 구비되어, 두 개의 토출 포트(11B)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토출관(13)이 연결되고, 오일 분리기 바디(11)에는 두 개의 흡이 포트가 구비되어, 두 개의 흡입 포트(11A)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흡입관(12)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트윈 바디(11)인 경우에는 토출관(14)의 두 개 이므로, 관홀더(16)에는 두 개의 결합홀이 구비되어, 관홀더(16)의 두 개의 결합홀에 각각 두 개의 토출관(14)이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바디(11)가 싱글 바디(11), 트윈 바디(11), 오일 분리기 바디(11)이던 상관 없이 상기한 각 구성 부분을 동일한 방식으로 바디(11)에 접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 바디 12. 흡입관
13. 토출관 15. 스크린
16. 관홀더 17. 바디 가이드
BD. 비드 BG. 비드홈
TP. 테이퍼부 WR. 용접링

Claims (7)

  1. 흡입관(12)의 외주면에 용접링(WR)을 결합하는 흡입관 용접링 결합 단계;
    상기 용접링(WR)이 바디(11)에 구비된 흡입 포트(11A)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흡입 포트(11A)에 상기 흡입관(12)을 삽입하는 흡입관 인서트 단계;
    토출관(13)의 외주면에 용접링(WR)을 결합하는 토출관 용접링 결합 단계;
    상기 용접링(WR)이 상기 바디(11)에 구비된 토출 포트(11B)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토출 포트(11B)에 상기 토출관(13)을 삽입하는 토출관(13) 인서트 단계;
    상기 바디(11)에 상기 흡입관(12)과 상기 토출관(13)이 결합된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가열로에 투입하여 상기 흡입관(12)의 상기 용접링(WR)과 상기 토출관(13)의 상기 용접링(WR)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상기 바디(11)에 상기 흡입관(12)과 상기 토출관(13)이 고정된 어큐뮬레이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 용접링 결합 단계의 수행 이전에 먼저 수행되는 관홀더 조립 단계와 스크린 조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홀더 조립 단계에서는 상기 관홀더(16)의 외주면에 관홀더 용접링(WR)을 결합하고, 상기 바디(11)를 형성하기 이전의 바디 모재인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상기 관홀더(16)를 삽입한 다음, 상기 스크린 조립 단계에서 스크린(15)의 외주면에 스크린 용접링(WR)을 결합하고,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스크린(15)을 삽입하도록 구성되고,
    바디 가이드(17)의 외주면에 바디 가이드 용접링(WR)을 결합하고, 상기 바디 가이드(17)를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하는 바디 가이드(17) 조립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디 포밍 슬리브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바디(11)의 흡입 포트(11A)와 토출 포트(11B)에 상기 흡입관(12)과 상기 토출관(13)을 삽입하고 상기 용접링(WR)들의 용융 및 경화에 의해 형성된 용접 접합부들에 의해 상기 바디(11)의 상기 흡입 포트(11A)와 상기 토출 포트(11B)에 상기 흡입관(12)과 상기 토출관(13)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12)의 용접링(WR) 결합 단계와 상기 토출관(13)의 용접링(WR) 결합 단계 이전에 먼저 수행되는 스크린 조립 단계와 관홀더 조립 단계와 바디 가이드 조립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 조립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스크린(15)의 위치를 잡기 위해 바디(11)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비드(BD)를 형성하는 바디 비드 포밍 단계;
    상기 관홀더(16)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관홀더 비드홈(BG)을 형성하는 관홀더 비드홈 포밍 단계;
    상기 스크린(15)의 둘레부에 구비된 스크린 테두리부에 비딩 가공에 의해 스크린 비드홈(BG)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바디 가이드(17)의 외주면에 비딩 가공에 의해 가이드 비드홈(BG)을 형성하는 가이드 비드홈 포밍 단계;
    상기 관홀더(16)에 형성된 관홀더 비드홈(BG)에 용접링(WP)이 삽입된 관홀더 어셈블리를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15) 둘레부의 상기 스크린 테두리부에 형성된 스크린 비드홈(BG)에 용접링(WP)을 결합한 스크린 어셈블리를 상기 바디(11)의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디 가이드(17)의 가이드 비드홈(BG)에 용접링(WR)을 결합한 바디 가이드 어셈블리를 바디(11)의 내부에 삽입(바디 포밍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하는 바디 가이드(17) 결합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테두리부의 상기 스크린 비드홈(BG)에 삽입된 용접링(WR)의 외주면과 상기 관홀더(16)의 상기 관홀더 비드홈(BG)에 삽입된 용접링(WP)의 외주면 및 상기 바디 가이드(17)의 상기 가이드 비드홈(BG)에 삽입된 상기 용접링(WR)의 외주면은 상기 바디(11)의 내주면에서 일정 거리(D)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접링(WR)들의 용융에 의해 상기 스크린(15)과 상기 관홀더(16) 및 상기 바디 가이드(17)가 상기 바디(11)의 내주면에 접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는 복수개의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연속 브레이징로로 구성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연속 브레이징로에 복수개로 연속 이송시켜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대량 생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브레이징로에 의한 브레이징 작업시에 제품 보호와 산화 방지(산소제거)를 위하여 분해가스를 연속 브레이징로의 내부에 투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가스는 수소, LPG, 암모니아 가스 중에서 채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60173503A 2016-12-19 2016-12-19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KR101802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503A KR101802240B1 (ko) 2016-12-19 2016-12-19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503A KR101802240B1 (ko) 2016-12-19 2016-12-19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240B1 true KR101802240B1 (ko) 2017-11-28

Family

ID=6081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503A KR101802240B1 (ko) 2016-12-19 2016-12-19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2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79B1 (ko) * 2021-04-02 2021-07-12 두성산업 (주) 스테인리스관과 동 커넥터의 용접에 의한 매니폴더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니폴더
KR102365784B1 (ko) * 2021-08-13 2022-02-18 주식회사 엠티에스 어큐물레이터의 제조 방법
WO2023124719A1 (zh) * 2021-12-29 2023-07-06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固定板、储液器及空调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357B1 (ko) * 1996-09-30 1999-08-02 김진곤 관체 접합방법
JP2004205094A (ja) * 2002-12-25 2004-07-22 Fuji International Kk 冷暖房装置におけるアキュームレーターの低圧冷媒導入パイプのろう付け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357B1 (ko) * 1996-09-30 1999-08-02 김진곤 관체 접합방법
JP2004205094A (ja) * 2002-12-25 2004-07-22 Fuji International Kk 冷暖房装置におけるアキュームレーターの低圧冷媒導入パイプのろう付け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79B1 (ko) * 2021-04-02 2021-07-12 두성산업 (주) 스테인리스관과 동 커넥터의 용접에 의한 매니폴더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니폴더
KR102365784B1 (ko) * 2021-08-13 2022-02-18 주식회사 엠티에스 어큐물레이터의 제조 방법
WO2023124719A1 (zh) * 2021-12-29 2023-07-06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固定板、储液器及空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240B1 (ko)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JP5086840B2 (ja) 二重管接続構造および二重管接続方法
US20100140920A1 (en) Pipe joint including a pipe and method for producing a joint section of a pipe joint
JP2001235080A (ja) 二重管用継手
CN107726893B (zh) 套管式换热器及其制造方法
CN107131366A (zh) 一种管件连接结构及不锈钢管件与铜管的连接结构
JP2009250441A (ja) チューブ/ホース継手
US7942456B2 (en) Fluid conduits with integral end fitting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KR101809025B1 (ko) 분지관 제조방법
JP2007187413A (ja) 熱交換器
CA2409535C (en) Baffle connection for an accumulato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304660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조립방법
CN108980505B (zh) 接管与阀座的固定结构及其加工方法
KR101133382B1 (ko) 에어컨 냉매순환라인의 수놈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5446A (ko) 냉장고용 증발기와 캐피러리 튜브 및 석션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 방법
CN201103741Y (zh) 镶嵌式气门咀及包括其的截止阀
KR100680160B1 (ko) 냉매 파이프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08493B1 (ko) 어큐뮬레이터의 튜브 연결구조
CN212839974U (zh) 一种高低压空调管路总成
KR100214357B1 (ko) 관체 접합방법
KR102342588B1 (ko) 고압냉매관용 분기관
KR200205884Y1 (ko) 냉방기의 어큐뮬레이터
CN215215285U (zh) 一种消音器
JP7026846B2 (ja) 分離器、油分離器、気液分離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分離器の製造方法
KR20050047007A (ko) 어큐뮤레이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