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6600A -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6600A
KR20050046600A KR1020040092282A KR20040092282A KR20050046600A KR 20050046600 A KR20050046600 A KR 20050046600A KR 1020040092282 A KR1020040092282 A KR 1020040092282A KR 20040092282 A KR20040092282 A KR 20040092282A KR 20050046600 A KR20050046600 A KR 20050046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der
circuit board
top cover
oute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294B1 (ko
Inventor
푸미히꼬 스즈끼
타까유끼 아이타
히로아끼 카노
코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Abstract

리드선의 구부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리드선은 외부 패키지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서 수용된다.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2, 3)은 상부 커버(6)에 수용된 회로 기판에 접착된다. 홀더(11)는 수지 성형 재료로 제조되고 예컨대 사출성형에 의해 생산된 상부 커버(6)에 기계적으로 맞춰진다. 홀더(11) 상에 형성된 리브(12a, 12b, 12c)의 가장자리 면은 상부 커버(6) 내의 회로 기판(4)을 수용하는 평면 역할을 한다. 서로 맞춰진 상부 커버(6)와 홀더(11)는 90°회전되어, 리드선(2, 3)을 구부리면서 셀(1)의 가장자리 면의 개구부쪽으로 이동되며, 이때 리드선(2, 3)은 홀더(11)의 두 측벽과 바닥면의 윤곽선을 따라서 구부려저 외부 패키지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수용된다. 상부 커버(6)의 주위면은 열에 의해 외부 패키지의 내부면으로 접착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명세서는 2003년 11월 14일에 일본 특허청에 모두 출원된 일본 우선권(JP2003-385288, JP2003-385290) 및 2004년 10월 29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우선권(JP2004-316988)을 기초로 하며, 이들 우선권의 전체 내용은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리튬 이온 폴리머 2차 배터리에 사용된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랩탑 개인용 컴퓨터, 휴대 전화,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휴대단말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가 시장에 널리 소개되어왔으며, 이러한 장치에 대한 전원으로서, 고전압, 고에너지 밀도를 제공하고, 경량이라는 점과 같은 장점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널리 사용되어 왔다.
나아가, 리튬 이온 폴리머 2차 배터리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액체 누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배터리의 예로는, 비-수용성 전해질 용액, 또는 고체 상태의 전해질이 주입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젤라틴화된 폴리머 필름을 전해질로서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2차 배터리가 있다.
폴리머 리튬 이온 배터리는 양의 전극, 음의 전극, 및 폴리머 전해질을 갖는 배터리 요소를 포함하는 셀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은 각각 리드선(lead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리드선은 예컨대 알루미늄 박판과 같은 패키지 필름으로 덮여 있다. 나아가, 셀과, 회로 부분이 그 위에 장착된 배선 기판은 함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박스-형태의 플라스틱 성형 케이스에 수용된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출원, 제 2002-260608호는 상기 구조를 갖는 리튬 이온 폴리머 2차 배터리의 예를 설명하고 있다.
종래에는, 배터리 요소의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에 연결된 리드선은 저항 용접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접착되었고, 배터리 요소와 함께 플라스틱 성형 케이스에 수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스트립-형태의 양의 전극, 스트립-형태의 음의 전극, 및 폴리머 전해질 및/또는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분리기(separator)는 서로 적층되어 있고 장축 방향에서 서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고,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은 각각 리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은 "배터리 요소"로서 지칭된다. 외부 커버(패키지)로 덮여 있는 배터리 요소는 "셀"로 지칭된다. 나아가, 보호 회로와 같은 회로가 그 위에 장착되어 있는 회로 기판을 갖는 셀은 "배터리 팩"으로 지칭된다.
박스-형태의 성형 케이스를 사용한 배터리의 종래의 구조는 두께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셀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되어왔으며, 셀의 두께 방향에서 상부 성형 케이스나 하부 성형 케이스 어느 것으로도 덮여 있지 않은 셀, 즉 얇은 금속판을 패키지로서 사용하는 셀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다. 이들 셀에서, 셀의 양 가장자리 면으로부터 커버 내로 수지 주형(resin mold)이 삽입된다. 종래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셀이 완성된 이후 배터리 팩의 구성요소들이 조립된다. 게다가, 셀 및 배터리 팩의 조립 라인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도 15는 종래의 배터리 팩에 회로 기판이 맞춰지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종래의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에서, 회로 기판은 배터리 요소의 양의 전극 및 음의 전극에 각각 연결된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패키지 필름에 의해 한정된 컨테이너 공간 내에 수용되었다.
도 15에서, 참조번호(21)는 회로기판을 표시한다. 회로 기판(21)은 PTC, 퓨즈, 또는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보호 요소를 갖는 보호 회로를 그 위에 장착하고 있다. 게다가,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22)은 저항 용접에 의해 회로 기판(21)에 접착되어 있다. 회로 기판(21)은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고, 셀을 담기 위한 패키지(23)의 상부측 상의 가장자리 면에 있는 개구부에 배치되며, 그런 다음 전용 다이(exclusive die)에 놓여서 수지 주형에서 통합 성형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를 갖는 종래의 배터리 팩에서, 리드선은 지그(jig)나 손에 의해 구부려져 패키지 필름 내로 병합되며, 그러므로 리드선의 구부려진 형태가 안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통합 성형을 위한 다이와 통합 성형을 위한 전용 사출성형기계가 필요하며, 나아가, 수지 성형을 하는 동안에 초래되는 온도 상승은 회로 기판 상의 IC 부품 또는 납땜부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배터리 팩의 구성 부품은 셀이 완성된 이후 조립된다. 게다가, 셀 및 배터리 팩에 대한 조립 라인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므로, 배터리 팩의 생산 프로세스가 복잡하게될 문제점이 있다. 다른 한편, 셀이 완성되고, 그런 다음 셀과 수지 주형 부분이 통합 성형되게 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 방법은 수지 성형하는 동안에 초래된 온도 상승이 회로 기판 상의 IC 부품 또는 납땜 부분에 악영향을 미치며, 배터리 팩의 치수 정확도가 열악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리드선이 안정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 성형이 필요하지 않아서 성형하는 동안의 온도 상승의 악영향을 회피하는 장점이 있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을 제공할 목적으로 발명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 팩의 생산 프로세스가 간략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 성형을 필요로 하지 않아서 통합 성형으로 인해 초래되는 문제점들이 없는 장점이 있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셀-유형 제조 라인에 배치될 수 있는 콤팩트한 고온용융 성형기계를 삽입함으로써, 제조 라인이 간소화될 수 있고, 기계강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나아가, 수지 성형에 의해 저온에서 성형될 수 있는 고온 용융제(폴리아미드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하는 동안에 열로 인한 기판 상의 악영향이 회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모드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문제점들에 관해서 발명되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2차 배터리용의 배터리 요소와, 배터리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그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외부 패키지와;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제 1 및 제 2 개구부에 각각 맞춰지는 제 1 및 제 2 커버와; 제 1 개구부에 맞춰진 제 1 커버에 수용된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연결된 회로 기판을 갖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모드는 2차 배터리용의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외부 패키지에 수용된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수지 성형함으로서 제조된 상부 커버로 회로 기판을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덮는 상부 커버 조립 단계와; 상부 커버의 개방측으로부터 홀더에 의해 회로 기판을 지지하면서 상부 커버를 홀더와 맞물리는 커버 맞물림 단계와;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서로 맞물린 상부 커버와 홀더를 거의 90°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커버와 홀더를 제 1 개구부를 거쳐서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커버 조립 단계와; 후방 커버를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제 2 개구부를 거쳐서 삽입하는 후방 커버 조립 단계와; 상부 커버와 후방 커버를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모드는 2차 배터리용의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외부 하드 패키지에 수용된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수지 성형함으로써 제조된 상부 커버로 회로 기판을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덮는 상부 커버 조립 단계와; 상부 커버의 개방 측으로부터 홀더에 의해 회로 기판을 지지하면서 상부 커버를 홀더와 맞물리는 커버 맞물림 단계와;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서로 맞물린 상부 커버와 홀더를 거의 90°만큼 회전시켜 상부 커버와 홀더를 제 1 개구부를 거쳐서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커버 조립 단계와; 후방 커버를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제 2 개구부를 거쳐서 삽입하는 후방 커버 조립 단계와; 상부 커버를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제 1 결합 단계와; 접착제나 고온 용융제를 사용하여 상부 커버를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4 모드는 2차 배터리용의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외부 하드 패키지에 수용된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수지 성형함으로써 제조된 상부 커버로 회로 기판을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덮는 상부 커버 조립 단계와; 상부 커버의 개방 측으로부터 홀더에 의해 회로 기판을 지지하면서 상부 커버를 홀더와 맞물리는 커버 맞물림 단계와;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서로 맞물린 상부 커버와 홀더를 거의 90°만큼 회전시켜 상부 커버와 홀더를 제 1 개구부를 거쳐서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커버 조립 단계와; 후방 커버를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제 2 개구부를 거쳐서 삽입하는 후방 커버 조립 단계와; 상부 커버를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와; 제 2 개구부로부터의 수지 또는 고온 용융제에 의해 형성된 후방 커버를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삽입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모드는 2차 배터리용의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은: 배터리 요소를 박판 재료 내로 수용하는 수용 단계와;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회로 기판을 제 1 커버에서 조립하는 기판 조립 단계와; 개방 상태에서 박판 재료 상에, 회로 기판이 그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제 1 커버와 배터리 요소의 또 다른 단부 상에 배치된 제 2 커버를 장착하는 커버 장착 단계와; 제 1 및 제 2 커버와 배터리 요소를 박판 재료로 둘러싸고, 박판 재료의 단부 부분뿐만 아니라 박판 재료의 내부 표면을 제 1 및 제 2 커버의 주위면(circumferential surface)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회로 기판에 맞춰지는 수지 주형 커버는 다른 단계에서 별도로 생산된 성형 부품이며, 그러므로, 회로 기판은 수지 주형 부분과 셀이 함께 통합 성형될 때 초래되는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에 따라 신뢰도를 개선한다. 게다가, 수지 주형 커버는 크기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나아가, 셀에 대한 생산 라인과 배터리 팩에 대한 생산 라인이 통합될 수 있어서, 생산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지 주형 커버와 패키지는 확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패키지의 가장자리는 벗겨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이들은 열 접착, 열 접착 시트를 통한 열 압착,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 또는 유사한 기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그러므로, 저가의 장비만이 결합에 필요하고, 그에 따라 배터리 팩의 생산비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팩의 구성 부품은 박판 재료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립되어, 배터리 팩의 구성 부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박판 재료는 수지 주형 커버 형태에 따라 구부려져서, 박판 재료의 구부려진 형태는 안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품들은 수지 홀더를 지지하면서 조립되며, 그러므로, 회로 기판에 손이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드선은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하게 구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계 강도의 저하는 셀-유형 제조 라인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콤팩트한 고온 용융 성형을 도입함으로서 회피된다.
본 발명에서, 온도로 인한 회로 기판 상의 악영향은 저온에서 성형될 수 있는 고온 용융제를 사용함으로써 회피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수반하는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현재 바람직한 예시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좀더 명백해질 것이다.
이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 1 모드가 조립 순서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1)는 예컨대 리튬 이온 폴리머 2차 배터리로 제조된 배터리용의 셀을 표시한다. 셀(1)은 예컨대 하드 박판 재료로 덮인 배터리 요소를 패키지로서 포함한다.
배터리 요소는 스트립-형태의 양의 전극, 스트립-형태의 음의 전극, 및 폴리머 전해질 및/또는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분리기(separator)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적층되어 있고 장축 방향에서 서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으며, 여기서,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은 리드선 단자(2 및 3)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의 전극은 스트립-형태의 양극 전류 컬렉터 상에 형성된 양극 활성 재료 층과, 추가로 양극 활성 재료 층 상에 형성된 폴리머 전해질 층을 포함한다. 음의 전극은 스트립-형태의 음극 전류 컬렉터 상에 형성된 음극 활성 재료 층과, 추가로 음극 활성 재료 층 상에 형성된 폴리머 전해질 층을 포함한다. 리드 단자(2 및 3)는 양극 전류 컬렉터와 음극 전류 컬렉터에 각각 결합된다. 양극 활성 재료, 음극 활성 재료, 및 폴리머 전해질로서, 이미 제안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양의 전극에서, 양극 활성 재료로서, 금속 산화물, 금속 황화물, 또는 특정한 폴리머가 원하는 배터리의 유형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가 제조될 때, 양극 활성 재료로서, 주로 LixMO2(여기서, M은 적어도 하나의 전이 금속을 나타내며, x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1.10을 나타내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나 방전 상태에 따라 변경됨)로 구성되는 리튬-함유 혼합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리튬-함유 혼합 산화물을 구성하는 전이 금속(M)으로서, Co, Ni, 또는 Mn이 바람직하다.
리튬 이온-함유 혼합 산화물의 특정한 예는 LiCoO2, LiNiO2, LiNiyCo1-y O2(여기서, 0<y<1), LiMn2O4를 포함한다. 이들 리튬-함유 혼합 산화물은 고전압 및 뛰어난 에너지 밀도를 보인다. 대안적으로, 양극 활성 재료로서, TiS2, MoS2, NbSe2 , 또는 V2O5와 같이, 리튬을 갖지 않는 금속 황화물이나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양의 전극에서, 복수의 이들 양극 활성 재료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양의 전극이 전술된 양극 활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때, 전기 전도체, 접합제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음의 전극의 재료로서, 리튬으로 도핑될 수 있거나 도핑되지 않을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비-흑연 탄소 재료나 흑연 재료와 같은 탄소 함유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열분해 탄소, 코크스(coke){피치 코크(pitch coke), 니들 코크스(needle coke), 석유 코크스, 흑연, 유리 탄소, {페놀 수지, 푸란(furan) 수지나, 이들 수지를 적절한 온도에서 산화시켜서 얻은 이들 수지의 유사물을 탄화시켜서 얻은} 유기 폴리머 혼합물의 산화물, 탄소섬유 또는 활성 탄소와 같은 탄소계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리튬이 도핑될 수 있고 도핑되지 않을 수 있는 재료로서, 폴리아세틸렌이나 폴리피롤과 같은 폴리머나, SnO2와 같은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음의 전극이 상기 재료로부터 형성될 때, 접착제 등이 추가될 수 있다.
폴리머 전해질은 폴리머 재료, 전해질 용액, 및 전해질 염(electrolyte salt)을 서로 혼합하여 얻은 젤라틴화된 전해질이 섞인 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머 재료는 이러한 전해질 용액과 융화성이 있는 속성을 가지며, 실리콘 겔, 아크릴 겔, 아크릴로니트릴 겔, 폴리포스파진 변형 폴리머, 폴리에틸렌 산화물, 폴리프로필렌 산화물, 또는 혼합 폴리머, 교차결합된 폴리머, 또는 이들의 변형된 폴리머, 또는 플루오르 폴리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테트라플루오로사플루오로프로필렌)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에틸렌)와 같은 풀리머 재료, 또는 그 혼합물이 그 예로서 사용된다.
전해질 용액 성분은 전술한 폴리머 재료 내에 분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와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aprotic solvent)가 그 예로서 사용된다. 전해질 염으로서, 용제와 융화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며, 이 전해질 염은 양이온과 음이온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양이온으로, 알카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이 사용된다. 음이온으로, Cl-, Br-, I-, SCN-, ClO4 -, BF4 -, PF 6 -, CF3SO3 - 등이 사용된다. 전해질 염으로서, 상세하게, 리튬 헥사플로우로포스파이트나 리튬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가 전해질 용액에 용해될 수 있는 농도로 사용된다.
하드 박판 재료는 예컨대 내부의 소프트 박판 재료 상에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소프트 박판 재료가 사용되는 이유는 배터리 요소를 내부에 담기 위한 오목부가 드로잉(drawing)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내부의 소프트 박판 재료는 그 내부 측(하드 박판 재료와 접촉하는 측)에서부터, 접착 층인 폴리프로필렌(PP) 층, 소프트 알루미늄 금속 층, 및 폴리프로필렌(PP) 층을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적층된다.
폴리프로피렌 층은 열 접착되어, 폴리머 전해질의 속성이 변하는 것을 막는다. 폴리프로필렌 층으로, 주조된 폴리프로필렌(CPP) 등이 사용된다. 예컨대, 대략 30㎛ 두께인 폴리프로필렌(PP) 층이 형성된다. 이 폴리프로필렌(PP) 층은 열 접착 동안 셀에 인가된 열이 셀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융 온도를 갖는다.
소프트 알루미늄 금속 층은 습기가 배터리 요소 내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소프트 알루미늄 금속 층(16A)으로, 30 내지 130㎛ 의 두께 범위를 갖는 어닐링된 알루미늄{(3003-0 JIS H 4160) 또는 (3004-0 JIS H 4160)} 등이 사용된다.
외부 표면 상에 보이는 하드 박판 재료는 딱딱하여, 구부려지거나 외부 힘으로 인한 변형에 저항할 때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드 박판 재료는 접착 층인 폴리프로필렌 층, 하드 알루미늄 금속 층, 및 표면 보호 층인 나일론 층 또는 PET 층을 갖는다. 나일론 층 또는 PET 층은 이 표면을 보호한다. 나일론 층 또는 PET 층은 대략 10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다.
각각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에 연결된 리드선(2 및 3)은 셀(1)의 (상부측 상의) 한 가장자리 면에서부터 도입된다. 회로 기판(4)은 저항 용접,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리드선(2 및 3)에 접착된다. 회로 기판(4)은 퓨즈, PTC, 서미스터와 같은 온도 보호 요소, 배터리 팩을 식별하기 위한 ID 저항 등을 포함하는 보호 회로를 그 표면 상에 장착하고 있다. 회로 기판(4) 상에는 복수 예컨대 세 개의 접촉부(5)가 형성된다. 전술된 보호 회로에서, 2차 배터리의 모니터링을 실행하고 FET(Field Effect Transistor)를 제어하며, 충전/방전 제어 FET를 제어하는 IC를 포함하는 보호 회로가 또한 적용된다.
PTC는 배터리 요소에 직렬로 연결되며, 배터리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더 높을 때 배터리에서의 전류를 실질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전기 저항을 신속하게 증가시킨다. 퓨즈 또는 서미스터는 또한 배터리 요소에 직렬로 연결되며, 배터리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더 높을 때 배터리에서의 전류를 차단한다. 게다가, 만약 2차 배터리의 단자 전압이 4.3 내지 4.4V/2차 배터리를 초과한다면, 열생성 및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2차 배터리를 모니터하고 FET를 제어하며, FET의 충전/방전을 제어하는 IC를 포함하는 보호 회로는 4.3 내지 4.4V/2차 배터리를 초과한다면 충전 제어 FET를 턴 오프함으로서 충전을 방지한다. 2차 배터리의 단자 전압은 방전-금지 전압까지 아래로 과도하게 방전되며, 2차 배터리의 전압이 0V일 때, 2차 배터리는 내부적으로 단락회로가 되어, 배터리를 다시 재충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에 따라, 2차 배터리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방전-금지 전압보다 더 낮은 전압을 갖는 방전 제어 FET를 턴오프함으로써 방전이 방지된다.
도 2에서, 참조번호(6)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서로 다른 단계에서 별도로 생산된 수지 성형 부품으로 제조된 상부 커버를 표시한다. 상부 커버(6)는 회로 기판(4)을 덮기 위해 회로 기판(4)에 맞춰진다. 상부 커버(6)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4)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너 부(retainer portion)가 제공된다. 나아가, 세 개의 개구부(7)가 상부 커버(6)의 상부 표면 상의 접촉부(5)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 접촉부(5)는 개구부(7)를 거쳐서 노출된다. 상부 커버(6)의 폭은 셀(1)의 상부 측 상의 가장자리 면에서 개구부의 높이의 내부 크기보다 약간 더 작게 되도록 선택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1)는 상부 커버(6)에 맞춰진다. 홀더(11)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서로 다른 단계에서 별도로 생산된 수지 성형 부품으로 제조된다. 상부 커버(6) 쪽으로 돌출한 리브(12a, 12b, 12c)는 각각 홀더(11)의 양 단부와 중간부에서 형성된다. 리브(12a, 12b, 및 12c)의 가장자리 면은 상부 커버(6) 내의 회로 기판(4)을 수용하는 평면 역할을 하여, 회로 기판(4)이 확실하게 지지되게 한다.
홀더(11)는 하부 측으로부터 상부 커버(6)에 맞춰진다. 이 실시예에서,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기계적 맞물림 수단에 의해 서로 맞춰진다. 상세하게, 맞물림용 구멍(8)이 상부 커버(6)에 형성되며, 홀더(11)의 리브(12c)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후크(13)가 구멍(8)에 끼워져, 상부 커버(6)와 홀더(11)는 서로 맞춰진다.
미도시된 유사한 후크가 홀더(11)의 또 다른 단부 상의 리브(12a)에 형성되며, 이 후크는 상부 커버(6)의 홀에 끼워져, 상부 커버(6)와 홀더(11)는 서로 맞춰지게 한다.
그러면, 서로 맞춰진 상부 커버(6)와 홀더(11)는 손 또는 지그에 의해 도 5의 화살표(R)로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회로 기판(4)이 수직으로 변한다. 이 경우, 회로 기판(4)은 상부 커버(6)와 홀더(11) 사이에 배치되며, 그러므로 노출되지 않고, 따라서 상부 커버와 홀더는 회로 기판(4)을 만지지 않고도 회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2 및 3)을 구부리면서, 상부 커버(6)와 홀더(11)는 서로 셀(1)의 가장자리 면의 개구부 쪽{화살표(S)로 표시한 방향}으로 서로 이동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6)의 폭(W)은 개구부의 내부 크기보다 약간 더 작으며, 따라서, 그 사이에 회로 기판(4)이 배치된 상부 커버(6)와 홀더(11)는 셀(1)의 가장자리 면 근처의 하드 박판 재료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7은 전술된 바와 같이 화살표(R)로 표기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된 상부 커버(6)와 홀더(1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상부 커버(6)와 홀더(11)가 셀(1)용 하드 박판 재료에 의해 한정된 컨테이너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상부 커버(6)는 셀(1)의 가장자리 면의 개구부에 맞춰지며, 상부 커버(6)의 주위면과 하드 박판 재료의 내부면은 서로 긴밀하게 접촉된다.
리드선(2, 3)은 홀더(11)의 측벽과 바닥면의 윤곽선을 따라 구부려진다. 회로 기판으로의 리드선 용접 및 홀더(11)의 주위 윤곽선의 길이를 고려해서, 리드선의 구부려진 형태가 안정하게 될 수 있도록 리드선(2, 3) 각각의 길이가 선택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2, 3)은 하드 박판 재료의 내부와, 홀더(11)의 두 측벽 및 바닥면 사이의 갭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리드선(2, 3)을 구부릴 때, 리드선(2, 3)을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다. 나아가, 리드선(2, 3)은 홀더(11)의 원주 윤곽선을 따라 구부려지며, 따라서, 리드선의 구부려진 형태는 안정하게 되며, 나아가, 이러한 구부려진 형태는 리드선이 셀(1)에 수용된 상태에서 안정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커버(15)는 셀(1)의 바닥측 상의 가장자리 면에서 하드 박판 재료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된다. 바닥 커버(15)는 바닥 측 상이 개구부를 닫는다.
그러면, 전체 길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접착되기 위해 지그에 의해 압착된다. 상세하게, 상부측 상의 단부 근처의 셀(1) 부분은, 상부 커버(6)의 원주면을 열에 의해 박판 재료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층에 접착시키기 위해,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제조된 히터 블록(16a 및 16b) 사이에 끼워진다. 유사하게, 바닥 측 상의 단부 근처의 셀(1) 부분은, 바닥 커버(15)의 원주면을 박판 재료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층에 열에 의해 접착시키기 위해 히터 블록(17a 및 17b) 사이에 끼워진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단계를 거쳐서 생산된다.
이후,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셀(1)에 수용된 상부 커버(36)와 홀더(11)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31)에 수용된 상부 커버(36)와 홀더(11)를 담고 있는 세트를 주형(미도시) 내로 삽입하여 고온 용융제를 붓는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두 개의 구멍이 상부 커버(36)에 제공된다. 구멍(35a)이 고온 용융제를 붓기 위해 제공된다. 다른 구멍(35b)은 성형하는 동안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구멍의 크기는 예컨대 Φ0.8 내지 1.5mm이다.
고온 용융제가 내부로 부어지면, 도 8에 도시된 구성 공간은 고온 용융제로 채워지므로, 기판 지지부 및 제 1 커버의 기계적인 강도가 향상된다. 비록 다음으로 제한되지는 않지만, 사용되는 적절한 고온 용융제는 예컨대 폴리아미드-그룹의 고온 용융제이다.
이후에, 본 발명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열-접착까지의 프로세스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1)의 바닥측의 단부에 하드 박판 재료가 형성한 개구부를 등지고 바닥 커버(15)를 삽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한 프로세스이다. 그러면, 전체 길이는 지그에 의해 압착되며, 열 접착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대로 실행된다. 이 경우, 열-접착은 본 발명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닥측에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3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닥은 열 크림핑(heat crimping)없이 결합된다.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록 수지 성형에 의해 생산된 바닥 커버가 사용된다 하더라도, 바닥측의 바닥의 개구부를 닫기 위해, 본 발명의 이러한 제 3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부 커버 측으로부터 부어진 고온 용융제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고온 용융제를 사용하여 주조함으로써 어떤 공간도 셀 요소 사이에 남아있지 않으므로, 기계적인 강도는 개선될 수 있다.
이후에, 본 발명의 제 4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된 바닥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열 접착을 초래할 때까지의 프로세스는 도 9에 도시된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 4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프로세스에서처럼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된 바닥 커버를 사용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를 붓기 위한 구멍(39)이 이 바닥 커버에 제공된다. 이 구멍(39)은 예컨대 Φ0.8 내지 Φ1.5mm이다. 이 구멍(39)으로부터 수지(고온 용융제)를 붓고, 그에 따라 공간을 수지로 채움으로써 접합이 이뤄진다. 배터리 팩의 기계 강도는, 셀 부분과 바닥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사출된 수지로 채워지기 때문에 개선된다. 게다가, 수지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은 한 곳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본 발명의 제 5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3에서, 참조번호(24)는 예컨대 리튬 이온 폴리머 2차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용 셀을 표시한다. 예컨대, 셀(24)은 얇고 직사각형이며,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내부의 박판 필름 재료로 덮인 배터리 요소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배터리 요소를 그 내부에 담기 위한 오목부가 드로잉에 의해 내부 박판 필름에 형성되며, 배터리 요소가 이 오목부에 삽입되며, 그러면, 전극 리드선이 배터리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오목부의 개구부의 둘레는 열 접착 등에 의해 봉합되어, 셀(24)을 생산한다.
셀(24)은 하드 패키지 박판 필름(40)으로 덮이고 감긴다. 패키지 박판 필름(40)은, 리드선이 삽입되는 측("상부 측"으로 지칭됨) 상의 셀(24)의 가장자리 면과 그 반대 측("바닥 측"으로 지칭됨) 상의 가장자리 면이 노출되도록 셀(24) 주위에 감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 상의 커버와 바닥 측 상의 커버는, 패키지 박판 필름(40)을 셀 주위에 덮고 그런 다음 패키지 박판 필름(40)을 접기 이전에 조립된다. 패키지 박판 필름(40)은 두 가장자리 면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측면(41a 및 41b)과 이들 측면에 수직인 측면(42a 및 42b)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부 측 상의 커버는 서로 맞춰지는 상부 커버(29)와 홀더(32)를 포함한다. 상부-측 커버와 하부 커버(35)는 수지 성형에 의해 서로 다른 단계에서 별도로 생산된다.
게다가, 바닥측은 전술된 바와 같이 고온 용융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나아가, 바닥측은 수지 삽입 구멍(39)이 제공되고 또 다른 프로세스에서 수지 제조에 의해 제조된 바닥 커버를 사용하여 결합되고, 구멍을 거쳐서 고온 용융제를 채워넣고 그에 따라 수지로 이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상부-측 커버(29, 32)와 바닥 커버(35)가 배치되며, 그러면, 이들의 위치를 지그에 의해 유지하면서, 패키지 박막 필름(40)이, 측면(42a 및 42b)이 서로 접촉하거나, 서로 바라보지만 약간의 갭만큼 떨어져 있도록 접힌다. 접힌 패키지 박막 필름(40)이 열에 의해 내부 박막 필름에 접착된다.
패키지 박막 필름(40)에 열 접착한 이후에, 측면(41a)을 따라서 있는 단부 영역의 내부면은 열에 의해 상부 커버(29)의 주위면에 접착되며, 측면(41b)을 따라서 있는 단부 영역의 내부면은 열에 의해 바닥 커버(35)의 주위면에 접착된다. 도 13은 그에 따라 완성된 배터리 팩을 도시한다. 열 접착되게 하기 위해, 서로 바라보는 내부 박막 필름의 표면과 패키지 박막 필름의 표면은 열에 의해 접착될 수 있는 접착 층으로 개별적으로 제조된다. 수지 주형에 의해 생산된 커버의 주위면과 접착 층은 서로 열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터리 요소는, 스트립-형태의 양의 전극, 스트립-형태의 음의 전극, 및 폴리머 전해질 및/또는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사이에 배치된 분리기(separator)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적층되어 있고 장축 방향에서 서로 나선형으로 감겨져 있고,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은 각각 리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 폴리머 전해질, 전해질 용액 성분, 패키지, 상부 측 상의 커버, 및 PTC의 재료는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재료와 유사하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에 따라, 여러 변경, 변형, 결합, 하위결합 및 이들의 서로 다른 응용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열 접착은 수지 주형 커버를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 부재와 결합하는 열 접착 방법이 아니라 열 접착 시트, 접착제, 고온 용융제 등을 삽입하는 등과 같은 접착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초음파 용접, 셀 구조 및 스냅 구조 등에 의해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에서 리드선이 안정적으로 구부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 성형이 필요하지 않고, 그리하여 성형하는 동안의 온도 상승의 악영향을 회피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회로 기판이 셀의 리드선에 맞춰지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커버가 맞춰지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홀더가 맞춰지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서로 맞춰진 상부 커버와 홀더의 상세한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리드선이 구부려지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커버와 홀더를 셀의 가장자리 면의 개구부 내로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리드선이 구부려지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부 커버와 홀더가 셀의 가장자리 면의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바닥 커버가 삽입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열 접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셀 내에 수용된 상부 커버와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바닥 커버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커버가 개방 상태의 패키지 박판 필름 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패키지 박판 필름이 접히고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종래의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셀 2, 3: 리드선 단자
4: 회로 기판 5: 접촉부
6: 상부 커버 7: 개구부
8: 맞물림용 구멍 11: 홀더

Claims (14)

  1. 2차 배터리용 배터리 요소와;
    상기 배터리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가 있는 외부 패키지와;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 각각에 맞춰지는 제 1 및 제 2 커버와;
    상기 제 1 개구부에 맞춰진 상기 제 1 커버 내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결합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기계적 맞물림 수단이나 접착에 의해 서로 맞물리는 상부 커버 및 홀더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상부 커버의 개방측에서부터 상기 상부 커버로 삽입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개방측에서부터 상기 상부 커버와 맞물리며,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홀더의 지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 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요소와 상기 제 1 커버 사이의 공간은 고온 용융제로 채워지는, 배터리 팩.
  4.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맞물린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는 거의 90°회전되어 상기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 면내로 삽입되는, 배터리 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상기 외부 패키지 내로 삽입된 상기 홀더의 주위 윤곽선을 따라서 상기 외부 패키지 내에서 구부려지는, 배터리 팩.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키지 내로 삽입된 상부 커버의 주위면은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팩.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패키지 내로 삽입된 상기 상부 커버의 상기 주위면과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면을 구성하는 접착 층은 열 접착에 의해 결합되는, 배터리 팩.
  8. 2차 배터리용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가 있는 외부 패키지 내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된 상부 커버로 회로 기판을 상기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덮는 상부 커버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커버의 개방측으로부터 홀더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홀더와 맞물리는 커버 맞물림 단계와;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서로 맞물린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를 거의 90°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를 상기 제 1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커버 조립 단계와;
    후방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상기 제 2 개구부를 거쳐서 삽입하는 후방 커버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후방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9. 2차 배터리용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외부 하드 패키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된 상부 커버로 회로 기판을 상기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덮는 상부 커버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커버의 개방 측으로부터 홀더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홀더와 맞물리는 커버 맞물림 단계와;
    상기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서로 맞물린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를 거의 90°만큼 회전시켜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를 상기 제 1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커버 조립 단계와;
    후방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의 상기 내부 공간 내로 상기 제 2 개구부를 거쳐서 삽입하는 후방 커버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제 1 결합 단계와;
    접착제나 고온 용융제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제 2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0. 2차 배터리용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양 단부에 제 1 및 제 2 개구부를 갖는 외부 하드 패키지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된 상부 커버로 회로 기판을 상기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덮는 상부 커버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커버의 개방 측으로부터 홀더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홀더와 맞물리는 커버 맞물림 단계와;
    상기 리드선을 구부리면서 서로 맞물린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를 거의 90°만큼 회전시켜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를 상기 제 1 개구부를 거쳐서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커버 조립 단계와;
    후방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상기 제 2 개구부를 거쳐서 삽입하는 후방 커버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와;
    상기 제 2 개구부로부터의 수지 또는 고온 용융제에 의해 형성된 후방 커버를 상기 외부 패키지의 내부 공간 내로 삽입하는 삽입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조립 단계는 상기 외부 패키지 내로 삽입된 상기 홀더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상기 리드선을 구부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2. 2차 배터리용 배터리 요소를 갖는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 요소를 박판 재료 내로 수용하는 수용 단계와;
    상기 배터리 요소의 리드선에 회로 기판을 결합하는 기판 결합 단계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제 1 커버에 조립하는 기판 조립 단계와;
    개방 상태에서 박판 재료 상에, 상기 회로 기판이 그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배터리 요소의 다른 단부 상에 배치된 제 2 커버를 장착하는 커버 장착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와 상기 배터리 요소를 상기 박판 재료로 둘러싸고, 상기 박판 재료의 단부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박판 재료의 내부 표면을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의 주위면(circumferential surface)에 결합하는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각각 수지 성형에 의해 제조된 상부 커버와 홀더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기판 조립 단계는:
    상기 회로 기판을 상기 상부 커버로 상기 회로 기판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덮는 상부 커버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커버의 개방측에서부터 상기 홀더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면서 상기 상부 커버를 상기 홀더와 맞물리는 커버 맞물림 단계와;
    서로 맞물린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홀더를 거의 90°로 회전시키는 회전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재료는 서로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접착 층, 금속 층, 및 표면 보호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금속 층은 그 형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견고하게 제조되며, 외부 힘에 의해 초래된 변형에 대해 내성이 있는, 배터리 팩 제조 방법.
KR1020040092282A 2003-11-14 2004-11-12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 KR101024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85288 2003-11-14
JPJP-P-2003-00385288 2003-11-14
JPJP-P-2003-00385290 2003-11-14
JP2003385290 2003-11-14
JP2004316988A JP3922281B2 (ja) 2003-11-14 2004-10-29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JP-P-2004-00316988 2004-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600A true KR20050046600A (ko) 2005-05-18
KR101024294B1 KR101024294B1 (ko) 2011-03-29

Family

ID=3468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282A KR101024294B1 (ko) 2003-11-14 2004-11-12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62956B2 (ko)
JP (1) JP3922281B2 (ko)
KR (1) KR101024294B1 (ko)
CN (1) CN1316648C (ko)
DE (1) DE102004054807B4 (ko)
TW (1) TWI278137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224B1 (ko) * 2005-09-02 2009-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접 접속방식의 이차전지
US8623532B2 (en) 2007-11-07 2014-01-0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8741452B2 (en) 2008-12-22 2014-06-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099707B2 (en) 2009-07-06 2015-08-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09065829A (zh) * 2018-09-18 2018-12-21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熔体灌注系统
CN110571372A (zh) * 2019-07-10 2019-12-13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18650锂离子蓄电池组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2281B2 (ja) 2003-11-14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KR100649561B1 (ko) * 2004-09-21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케이스와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KR100601509B1 (ko) * 2004-09-2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케이스
JP3973166B2 (ja) * 2004-11-19 2007-09-1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パック
TWI308806B (en) 2005-01-21 2009-04-11 Sony Corp Battery pack
JP5044934B2 (ja) * 2005-01-21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TW200627688A (en) * 2005-01-27 2006-08-01 Exa Energy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JP4877455B2 (ja) * 2005-03-28 2012-02-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保護モジュールおよびリード実装方法
KR100684795B1 (ko) * 2005-03-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KR20060112731A (ko) * 2005-04-27 2006-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00143793A1 (en) * 2005-05-25 2010-06-10 Hiroshi Yamamoto Battery Pack
TWI328892B (en) 2005-08-12 2010-08-11 Sony Corp Secondary battery
JP4604912B2 (ja) * 2005-08-12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5011678B2 (ja) * 2005-08-12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4561542B2 (ja)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KR100878703B1 (ko) * 2005-11-28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측면 실링부에 pcm이 장착되어 있는 소형 전지팩
WO2007072736A1 (ja) * 2005-12-22 2007-06-28 Showa Denko Packaging Co. 電池用ラミネート外装材及びラミネート電池
JP5235270B2 (ja) * 2005-12-22 2013-07-1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用ラミネート外装材及びラミネート電池
JP4722015B2 (ja) 2005-12-29 2011-07-13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ポリマー電池パック
JP2007184473A (ja) * 2006-01-10 2007-07-19 Funai Electric Co Ltd 電気機器キャビネット
JP2007280617A (ja) * 2006-04-03 2007-10-25 Sony Corp 電池パック
US8669003B2 (en) * 2006-04-03 2014-03-11 Lg Chem,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improved safety and capacity
JP5036239B2 (ja) * 2006-07-18 2012-09-2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7654A (ja) * 2006-11-06 2008-05-22 Sony Corp 電池パック
JP5087943B2 (ja) * 2007-02-13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24865B1 (ko) * 2007-03-16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4991581B2 (ja) 2008-01-22 2012-08-0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及び配線基板
DE202008004352U1 (de) 2008-03-31 2008-07-17 SONY CORPORATION, Minato-ku Batteriepackung und Verdrahtungssubstrat
DE102008020912A1 (de) * 2008-04-17 2009-10-22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mit irreversibler Sicherung
US8334063B2 (en) 2008-09-22 2012-12-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030876B1 (ko) * 2008-11-19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8287185B2 (en) * 2009-10-01 2012-10-16 Delphi Technologies, Inc. Cell temperature sensing apparatus for a battery module
US8343653B2 (en) * 2009-11-30 2013-01-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20110250474A1 (en) * 2010-04-13 2011-10-1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113554B1 (ko) 2010-07-29 2012-0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92042B1 (ko) * 2010-11-01 2012-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016035A (ko) * 2011-08-04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20130016034A (ko) 2011-08-04 2013-0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팩
KR20130018478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20130018476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20130018477A (ko)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20130018097A (ko) * 2011-08-12 2013-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JP6160898B2 (ja) * 2012-01-24 2017-07-1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US20140120379A1 (en) * 2012-11-01 2014-05-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JP2013152935A (ja) * 2013-02-28 2013-08-08 Lg Chem Ltd 大容量電池パック
KR102073192B1 (ko) 2013-08-07 2020-0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배터리셀
KR102082871B1 (ko) 2013-09-11 2020-02-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배터리 셀
KR101619926B1 (ko) 2013-09-27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650027B1 (ko) * 2013-09-27 2016-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102172843B1 (ko) 2014-03-20 2020-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6303780B2 (ja) * 2014-05-02 2018-04-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池および電子機器
TWI602339B (zh) * 2014-06-23 2017-10-11 台達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電池的製作方法
WO2016006152A1 (ja) 2014-07-11 2016-01-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パック、及び、蓄電池パックの動作方法
KR101872307B1 (ko) * 2015-04-15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KR101872308B1 (ko) * 2015-04-15 2018-06-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핫 멜팅 고정 구조를 이용한 내장형 전지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지팩
JP2017059507A (ja) * 2015-09-18 2017-03-23 リチウム エナジー アンド パワ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ッ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Lithium Energy and Power GmbH & Co. KG 蓄電素子
USD814403S1 (en) * 2016-01-22 2018-04-03 Lg Electronics Inc. Secondary battery for cellular phone
USD795185S1 (en) * 2016-03-02 2017-08-22 FxA LLC Mobile battery bank
USD837790S1 (en) * 2016-08-03 2019-01-08 Transcend Information, Inc. Mobile storage device
KR102651576B1 (ko) * 2016-10-18 202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1969154A (zh) * 2020-09-22 2020-11-20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及无人机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4281B2 (ja) 1990-05-28 1999-09-2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54748B2 (ja) * 1999-02-26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484420B1 (ko) * 1999-03-30 2005-04-2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보호회로를 구비한 2차 전지
DE20005816U1 (de) * 2000-03-29 2000-07-13 Varta Geraetebatterie Gmbh Elektrischer Akkumulator mit elektronischer Sicherheitsschutzschaltung
JP2001325927A (ja) 2000-05-17 2001-11-22 Gs-Melcotec Co Ltd 電池パック
JP3727840B2 (ja) * 2000-09-29 2005-12-21 株式会社東芝 電池パック及び携帯用電子機器
JP3625773B2 (ja) 2001-02-27 2005-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3653475B2 (ja) * 2001-03-29 2005-05-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3609741B2 (ja) * 2001-03-30 2005-0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2003162987A (ja) 2001-06-28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基板一体化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3738202B2 (ja) * 2001-06-29 2006-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3728234B2 (ja) 2001-10-25 2005-12-2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6803144B2 (en) * 2001-11-01 2004-10-12 Nokia Corporation Battery pack for electronic device
JP2003282039A (ja) 2002-03-22 2003-10-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EP1487032A4 (en) * 2002-02-13 2008-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DE10350693A1 (de) * 2002-10-31 2004-05-19 Sanyo Electric Co., Ltd., Moriguchi Batteriepack
JP3922281B2 (ja) 2003-11-14 2007-05-30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224B1 (ko) * 2005-09-02 2009-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용접 접속방식의 이차전지
US8623532B2 (en) 2007-11-07 2014-01-0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8741452B2 (en) 2008-12-22 2014-06-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9099707B2 (en) 2009-07-06 2015-08-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109065829A (zh) * 2018-09-18 2018-12-21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熔体灌注系统
CN109065829B (zh) * 2018-09-18 2024-02-02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熔体灌注系统
CN110571372A (zh) * 2019-07-10 2019-12-13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18650锂离子蓄电池组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22281B2 (ja) 2007-05-30
DE102004054807A1 (de) 2005-07-14
DE102004054807B4 (de) 2018-04-26
TW200525801A (en) 2005-08-01
TWI278137B (en) 2007-04-01
JP2005166644A (ja) 2005-06-23
CN1316648C (zh) 2007-05-16
KR101024294B1 (ko) 2011-03-29
CN1655380A (zh) 2005-08-17
US7262956B2 (en) 2007-08-28
US20050181242A1 (en)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294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 방법
US7563535B2 (en) Battery pack with insulating film sheath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7989105B2 (en) Battery pack
KR101295995B1 (ko) 이차 전지
KR101288192B1 (ko) 전자 장치용 2차 전지
KR101285443B1 (ko) 2차 전지
US8178232B2 (en) Battery pack
JP5044934B2 (ja) 電池パック
US20060046139A1 (en) Battery pa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1777663A (zh) 电池组及其装配方法
KR100947963B1 (ko) 이차 전지용 보호회로 기판과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190036979A (ko)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JP4797385B2 (ja) 電池パック
CN101615700B (zh) 电池组件
EP3054499B1 (en) Battery pack comprising electrically insulating pack case
KR101134393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
JP4639818B2 (ja) 電池パック
US20110117391A1 (en) Battery pack
JP2011204603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JP5135805B2 (ja) 電池パック
JP2010165646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