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979A -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 Google Patents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979A
KR20190036979A KR1020170126531A KR20170126531A KR20190036979A KR 20190036979 A KR20190036979 A KR 20190036979A KR 1020170126531 A KR1020170126531 A KR 1020170126531A KR 20170126531 A KR20170126531 A KR 20170126531A KR 20190036979 A KR20190036979 A KR 20190036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secondary battery
pcm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675B1 (ko
Inventor
최성호
정대호
오성진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26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675B1/ko
Priority to EP18860026.6A priority patent/EP3573167A4/en
Priority to PCT/KR2018/011333 priority patent/WO2019066441A1/ko
Priority to CN201880005809.XA priority patent/CN110140254B/zh
Priority to US16/473,506 priority patent/US11355788B2/en
Priority to JP2019558324A priority patent/JP6743312B2/ja
Publication of KR20190036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21
    • H01M2/0212
    • H01M2/0275
    • H01M2/1016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incorporated circuit board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은,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파우치 외장재의 내부에 밀봉되고, 일측에 전극 리드가 형성된 전지셀; 및 보호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지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리드 접속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상기 리드 접속판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형성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본 발명은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캔형 이차전지는 다시 금속 캔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전지와 각형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파우치는, 하부 시트와 이를 덮는 상부 시트로 크게 구분되고, 상기 파우치에는 양극 및 음극과 세퍼레이터가 적층 권취되어 형성된 전극조립체가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다음 상부 시트와 하부 시트의 가장자리를 열융착 등에 의해 실링하게 된다. 또한, 각 전극에서 인출된 전극탭이 전극 리드에 결합되고, 상기 전극 리드에는 실링부와 접촉한 부분에 절연 필름이 부가될 수 있다.
이처럼,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융통성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작은 부피와 질량으로 같은 용량의 이차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캔형과 달리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연질의 파우치를 용기로 사용하므로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수분 침투의 가능성이 있으며, 내부 쇼트, 허용된 전류 및 전압을 초과한 과충전 상태, 고온에 노출, 낙하 등에 의한 충격과 같은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동 상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전지 내부의 고온 및 고압에 의해 전지의 폭발을 초래하는 안전성 문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에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보호회로모듈(PCM)이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이차전지 팩(10)은 보호회로모듈(12)과 전지셀(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접속 부재(13)를 사용하였다. 상기 접속 부재(13)는 전지셀(11)에 형성된 전극 리드(14, 15)와 보호회로모듈(12)의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 각각에 용접 결합되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러한 접속 부재(13)는, 일부위(13A)가 보호회로모듈(12)의 접속 단자와 접합되고, 타부위(13B)는 전지셀(11)의 전극 리드(14, 15)와의 접합 공정을 수행하도록 일부위(13A)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접속 부재는, 종래기술의 보호회로모듈을 전지셀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전극 리드와 접합된 절곡 연장된 부위를 추가적으로 절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호회로모듈의 설치 작업이 복잡해지고, 설치 시간이 긴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접속 부재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접합되는 일부위와, 이러한 일부위로부터 절곡 연장된 타부위를 형성시킨 복잡한 형태로 제조되므로, 이에 대한 제조 비용과 제조 시간의 소요가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은,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파우치 외장재의 내부에 밀봉되고, 일측에 전극 리드가 형성된 전지셀; 및
보호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지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리드 접속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상기 리드 접속판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형성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 접속판은 단일의 평평한 시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접속판은, 일면의 적어도 일부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접합되고, 타면의 적어도 일부위는 상기 전극 리드와 접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노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관통구,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주에서 내부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전기적 절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위치된 PCM 절연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 주변으로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PCM 절연 패드의 타면이 상기 실링부 중 상기 전극 리드가 돌출된 부분인 테라스부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테라스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M 절연 패드는, 상기 노출부와 연통되고 상기 리드 접속판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통부는,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고 상기 PCM 절연 패드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연통구이거나, 또는 상기 만입홈과 연통되고 상기 PCM 절연 패드의 외주에서 내부 방향으로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PCM 절연 패드의 일부가 내부에 매입된 매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매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주의 일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파인 형태로 구성된 고정홈,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내입된 형태로 구성된 고정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CM 절연 패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부가된 열 용융형 수지가 경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PCM 절연 패드는, 적어도 일부분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투명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외부입출력단자와 접속 결합된 다른 인쇄회로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접속 결합된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의 위치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노출부를 통해 상기 리드 접속판과 전극 리드를 용접시키가 용이하고,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리드 접속판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전지셀의 테라스부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리드 접속판을 절곡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은, 부재의 크기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핫 멜트 수지로 형성된 PCM 절연 패드는, 유해 성분을 포함하는 용제를 포함하지 않아, 상기 PCM 절연 패드를 구성할 경우 제조자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PCM 절연 패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 및 부품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PCM 절연 패드는, 상기 테라스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개제됨에 따라,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전지셀이 의도하지 않은 합선이나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PCM 절연 패드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구 또는 만입홈과 연통되는 연통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PCM 절연 패드가 용접봉을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용접을 위해 주사된 레이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용접 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PCM 절연 패드가 외부 충격에 쉽게 탈리되지 않도록 매입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상기 PCM 절연 패드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어, 이차전지 팩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리드 접속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보호회로모듈이 테라스부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C’ 점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인쇄회로기판의 일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보호회로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100)은, 전지셀(110) 및 보호회로모듈(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지셀(110)은,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특히, 여기서 파우치형 전지셀(110)은, 전극 조립체(도시하지 않음), 전해질(도시하지 않음) 및 파우치 외장재(11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파우치 외장재의 내부에 밀봉되고, 일측에 전극 리드(111, 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도시하지 않음)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 및 하나 이상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조립체는, 하나의 양극판과 하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된 권취형, 및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스택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파우치 외장재(115)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 외장재(115)는,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 등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고,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에 의한 전기 화학적 성질에 대한 보완 및 방열성 등을 제고하기 위하여 금속 박막, 이를테면 알루미늄 박막이 포함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알루미늄 박막은,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과 같은 전지셀(110) 내부의 구성요소나 전지셀(110) 외부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전기적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연물질로 형성된 절연층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 외장재(115)는, 2개의 파우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한 형태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우치 외장재(115)는,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된 수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파우치 외장재(115)는, 전극 조립체가 수용된 수납부(116)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2개의 파우치가 서로 융착되어, 상기 수납부(116) 주변으로 실링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 외장재(115)의 전방 외주변에 위치한 실링 처리된 테라스부(117S)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파우치형 전지셀(110)은, 전극 리드(111, 11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극 리드(111, 112)는, 양극 리드(111) 및 음극 리드(112)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리드(111, 112) 각각은, 도 3에 표기한 F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어, 2개의 넓은 면이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전, 후, 좌, 우, 상, 하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관측자의 위치나 대상의 놓여진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F 방향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방향을 구분하여 나타내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 리드(111)가 전지셀(110)의 테라스부(117S)의 일측변의 일측에 돌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전극 리드(112)는, 하나의 전극 리드(111)로부터 이격되어 테라스부(117S)의 일측변의 타측에 돌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100)에는, 본원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전지셀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보호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21)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인쇄회로기판(121)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외부입출력단자(122)에 접속 결합된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은, 다른 외부 기기와 접속하기 위해 일단부에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은 연성의 기판이 구비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이 전지셀(110)의 전극 리드(111, 1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일면에 형성된 리드 접속판(1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리드 접속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a), 정면도(b) 및 측면도(c)이다.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드 접속판(130)은, 단일의 평평한 시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접속판(13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일면과 평행한 평면을 갖도록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리드 접속판(130)의 일면(131)은 인쇄회로기판(121)에 형성된 접속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접합될 수 있고, 타면(132)은 전지셀(110)의 전극 리드(111, 112)와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모듈(120)은, 2개의 전극 리드(111, 112)와 결합 연결된 2개의 리드 접속판(13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리드 접속판(13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일면과 평행한 평면을 갖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드 접속판은 종래기술과 달리 단일의 시트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전지셀의 테라스부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리드 접속판을 절곡하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종래의 부재와 비교할 때 형상 구조가 복잡하지 않으며,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다시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타면에는 상기 리드 접속판(13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출부(123)는, 상기 리드 접속판(130)의 일면을 가열하여 상기 리드 접속판(130)의 타면이 전지셀(110)의 전극 리드(111, 112)와 용융 접합되도록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부(123)는, 상기 리드 접속판(130)이 상기 전극 리드(111, 112)와 용접 결합할 수 있도록 적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부(123)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관통구(124)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2개의 관통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12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양측부 각각에는 평면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노출부(123)를 통해 상기 리드 접속판(130)과 전극 리드(111, 112)를 용이하게 용접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리드 접속판(130)과 상기 전극 리드(111, 112) 간의 용접 등의 접합 공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노출부(123)는, 상기 보호회로모듈(120A)의 인쇄회로기판(121A)의 외주에서 내부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홈(12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만입홈(125)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후방측 외주변에서 내부 방향으로 만인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에는 2개의 만입홈(125)이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만입홈(125)은, 상기 관통구(도 3의 124)와 비교했을 때, 일측이 외부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임으로, 상기 노출부(123)가 다른 물체와 간섭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용접 공정시 용접 기구를 상기 리드 접속판(130)에 접촉하거나, 일정 거리로 떨어져 레이저를 조사하는 등의 열을 가하는 타겟을 설정하기가 더 유용한 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에는 다수의 소자(127)나 부품(128)이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자(127) 및 부품(128)은 이차전지 팩(100A)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소자 및 부품으로써, 이하에서는 그 구성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전기적 절연성 재질로 구성된 PCM 절연 패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상기 노출부(123)를 덮지 않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타면에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M 절연 패드(140)가 2개의 관통구(1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적 절연성 재질은, 전기 전도성이 낮은 고분자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고분자 수지,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열 용융형 고분자 수지가 경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열 용융형 수지는 핫 멜트(Hot-Melt)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핫 멜트 수지는, 무용제형 수지로서, 상온에서 고체이나 가열하면 용융점 이상에서 용융 되었다가 냉각에 의해 고화되어 접착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핫 멜트 수지로 형성된 PCM 절연 패드(140)는, 유해 성분을 포함하는 용제를 포함하지 않아, 상기 PCM 절연 패드(140)를 구성할 경우 제조자 및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소자(127) 및 부품(128)이 실장된 타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타면에 소자(127) 내지 부품(128)이 실장된 후, 상면에 용융된 고온의 수지가 도포되고, 도포된 수지가 냉각되면서 경화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실장된 소자(127) 및 부품(128)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소자(127) 및 부품(128)이 외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적어도 일부분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투명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실장된 소자 및 부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타면이 모두 보일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투명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보호회로모듈이 테라스부에 안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과 함께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상기 PCM 절연 패드(140)의 타면이 상기 전지셀(110)의 실링부(117) 중 상기 전극 리드(111, 112)가 돌출된 부분인 테라스부(117S)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테라스부(117S)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이 상기 전지셀(110)의 테라스부(117S) 상에 안착될 경우,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타면과 상기 테라스부(117S)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PCM 절연 패드(140)는, 상기 테라스부(117S)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 사이에 개제됨에 따라, 상기 보호회로모듈(120)과 전지셀(110)이 의도하지 않은 합선이나 단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기술에서는 보호회로모듈(120)과 전지셀(110)의 합선이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절연 테이프를 테라스부(117S)에 부가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절연 테이프를 부가하지 않아도, 상기 PCM 절연 패드(140)가 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PCM 절연 패드(140)의 상기 인쇄회로기판(121)과 접하고 있는 일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소자(127) 및 부품(128)의 외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에 대한 일부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과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CM 절연 패드(140B)는, 상기 노출부(123)와 연통되고 상기 리드 접속판(130)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연통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통부(143)는, 상기 관통구(124)와 연통되고 상기 PCM 절연 패드(140B)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연통구(144)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에 형성된 관통구(124)와 연통되도록 2개의 연통구(14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통구(14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CM 절연 패드(140A)는, 상기 연통부(143)는, 내입홈(145)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입홈(145)은, 상기 만입홈(125)과 연통되고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의 외주에서 내부 방향으로 내입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에 형성된 2개의 만입홈(125)과 연통되도록 2개의 내입홈(14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입홈(145)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에 형성된 연통부(143)를 통해, 상기 리드 접속판(130)의 일면을 가열하여 상기 리드 접속판(130)의 타면이 전지셀(110)의 전극 리드(111, 112)에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부(143)가 상기 관통구(124) 또는 상기 만입홈(125)과 연통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PCM 절연 패드(140A)가 용접봉을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접을 위해 주사된 레이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용접 공정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에는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의 일부가 내부에 매입된 매입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입부(14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외주의 일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파인 형태로 구성된 고정홈(14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우측부에는 나머지 부분보다 내부 방향으로 파인 고정홈(14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147)은,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의 일부가 내부로 매입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PCM 절연 패드(140)가 외부 충격에 쉽게 탈리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홈(147)에 의해 상기 PCM 절연 패드(140A)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품의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매입부(14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타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내입된 형태로 구성된 고정홀(14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148)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형태일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C’ 점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21C)은, 상기 매입부(146)로 상기 인쇄회로기판(121C)의 타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내입된 형태로 구성된 고정홀(148)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148)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일면(121C)에서 타면(121D)까지 관통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홀(148)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일면(121C)에서 타면(121D)까지 단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단차 구조(K)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148)의 내부 공간의 내벽을 따라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의 일부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148)은,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의 일부가 내부로 매입되어, 상기 PCM 절연 패드(140A)가 외부 충격에 쉽게 탈리되지 않도록 상기 PCM 절연 패드(140A)를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홀(148)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는 2개의 고정홀(148)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PCM 절연 패드(140)의 양측부의 일부위가 상기 고정홀(148)에 매입 또는 삽입됨에 따라, 상기 PCM 절연 패드(140A)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A)의 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인쇄회로기판의 일부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일 실시예 따른 고정홀(148B)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B)의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D)로 파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148B)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의 일부가 매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PCM 절연 패드(140A)의 일부분이 상기 고정홀(148B)을 통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융된 PCM 절연 패드(140A)의 오염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의 보호회로모듈(120E)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팩(101)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1E)에 다른 부분 보다 두께가 내부에서 외부 방향(S)으로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경사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129)는,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E)의 일면에 접속 결합된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1)의 타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129)는, 상기 PCM 절연 패드(140E)를 형성 시에, 도포된 용융 수지가 상기 경사부(129)를 따라 흘러내려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의 일부위(E)에 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의 일부위(E)에 도포된 용융된 수지는, 추후 경화된 후, 상기 PCM 절연 패드(140E) 일부분으로 형성되며, 상기 PCM 절연 패드(140E)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을 상기 인쇄회로기판(121)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경사부(129)를 따라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150) 상에 PCM 절연 패드(140E)의 일부분으로 형성됨으로써, 다른 인쇄회로기판(150)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21E)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101: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120: 보호회로모듈
110: 전지셀 121: 인쇄회로기판
115: 파우치 외장재 122: 외부입출력단자
111, 112: 전극 리드 129: 경사부
117: 실링부 130: 리드 접속판
117S: 테라스부 123: 노출부
116: 수납부 124: 관통구
140: PCM 절연 패드 125: 만입홈
143: 연통부 146: 매입부
144: 연통구 147: 고정홈
145: 내입홈 148: 고정홀

Claims (14)

  1.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파우치 외장재의 내부에 밀봉되고, 일측에 전극 리드가 형성된 전지셀; 및
    보호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전지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리드 접속판이 구비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상기 리드 접속판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형성된 보호회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접속판은 단일의 평평한 시트 형상이고,
    상기 리드 접속판은, 일면의 적어도 일부위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접합되고, 타면의 적어도 일부위는 상기 전극 리드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관통구,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주에서 내부 방향으로 만입된 만입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전기적 절연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위치된 PCM 절연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외장재는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된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 주변으로 실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PCM 절연 패드의 타면이 상기 실링부 중 상기 전극 리드가 돌출된 부분인 테라스부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기 테라스부 상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M 절연 패드는, 상기 노출부와 연통되고 상기 리드 접속판의 일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연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관통구와 연통되고 상기 PCM 절연 패드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관통된 연통구이거나, 또는 상기 만입홈과 연통되고 상기 PCM 절연 패드의 외주에서 내부 방향으로 내입된 내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PCM 절연 패드의 일부가 내부에 매입된 매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입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주의 일부분이 내부 방향으로 파인 형태로 구성된 고정홈,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내입된 형태로 구성된 고정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M 절연 패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부가된 열 용융형 수지가 경화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M 절연 패드는, 적어도 일부분의 일면에서 타면까지 투명성 소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외부입출력단자와 접속 결합된 다른 인쇄회로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다른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접속 결합된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의 위치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14.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파우치 외장재의 내부에 밀봉되고, 일측에 전극 리드가 형성된 전지셀; 및
    보호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전지셀의 전극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리드 접속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수지로 주조된 PCM 절연 패드를 구비한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상기 리드 접속판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KR1020170126531A 2017-09-28 2017-09-28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KR102168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531A KR102168675B1 (ko) 2017-09-28 2017-09-28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EP18860026.6A EP3573167A4 (en) 2017-09-28 2018-09-21 RECHARGEABLE POCKET-TYPE BATTERY PACK HAVING A PROTECTIVE CIRCUIT MODULE
PCT/KR2018/011333 WO2019066441A1 (ko) 2017-09-28 2018-09-21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CN201880005809.XA CN110140254B (zh) 2017-09-28 2018-09-21 包括保护电路模块的袋型二次电池组
US16/473,506 US11355788B2 (en) 2017-09-28 2018-09-21 Pouch-type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protection circuit module
JP2019558324A JP6743312B2 (ja) 2017-09-28 2018-09-21 保護回路モジュールを備えたパウチ型二次電池パッ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531A KR102168675B1 (ko) 2017-09-28 2017-09-28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79A true KR20190036979A (ko) 2019-04-05
KR102168675B1 KR102168675B1 (ko) 2020-10-21

Family

ID=6590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531A KR102168675B1 (ko) 2017-09-28 2017-09-28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55788B2 (ko)
EP (1) EP3573167A4 (ko)
JP (1) JP6743312B2 (ko)
KR (1) KR102168675B1 (ko)
CN (1) CN110140254B (ko)
WO (1) WO20190664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14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02920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67618S (ko) * 2019-07-05 2020-09-07
JP1667617S (ko) * 2019-07-05 2020-09-07
JP1667632S (ko) * 2019-07-05 2020-09-07
JP1667633S (ko) * 2019-07-05 2020-09-07
KR102128868B1 (ko) * 2019-07-11 2020-07-01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 보호회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N113314806B (zh) * 2020-02-07 2023-05-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复合电池和电子设备
CN114747070B (zh) * 2020-06-30 2024-03-19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池、电池组件、电池组及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956A (ko) * 2012-01-03 2013-07-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배터리
KR20130135063A (ko) * 2012-05-31 2013-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20150037154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19B1 (ko) * 2004-06-2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624977B1 (ko) * 2004-09-22 2006-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686807B1 (ko) 2005-03-25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0846956B1 (ko) 2006-11-21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 모듈을 갖는 이차전지
KR100947963B1 (ko) * 2007-09-28 2010-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보호회로 기판과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959872B1 (ko) 2008-01-04 2010-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기판,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6086B1 (ko) * 2008-12-05 2011-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122790B1 (ko) 2009-12-28 2012-03-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10236727A1 (en) 2010-03-29 2011-09-29 Young-Cheol Jang Secondary battery pack
KR101211859B1 (ko) 2010-11-11 2012-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US9065085B2 (en) * 2011-04-19 2015-06-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130018477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101885908B1 (ko) * 2011-11-17 2018-08-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팩
KR101905080B1 (ko) * 2011-12-09 2018-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441524B1 (ko) 2012-02-07 2014-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101432224B1 (ko) * 2012-02-07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KR101365968B1 (ko) 2012-02-07 2014-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셀 제조방법
US20130280558A1 (en) 2012-04-19 2013-10-24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972601B1 (ko) * 2012-11-23 2019-04-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내장프레임 및 상기 내장프레임을 갖는 이차전지
US20140178715A1 (en) * 2012-12-21 2014-06-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671371B1 (ko) 2013-05-23 2016-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돌출 구조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팩
KR101490026B1 (ko) 2013-05-31 2015-02-06 박용미 배터리 팩 및 그 생산방법
KR20140145787A (ko) * 2013-06-14 2014-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102030111B1 (ko) * 2013-09-04 2019-10-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619925B1 (ko) 2013-09-27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고정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161628B1 (ko) 2014-03-14 2020-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팩
KR101778671B1 (ko) 2014-10-31 2017-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클래드가 제거된 이차전지 팩
KR101799563B1 (ko) 2015-02-27 2017-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용 레이저 용접 지그
KR102434771B1 (ko) * 2015-08-28 2022-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850294B1 (ko) 2016-05-09 2018-04-20 한상욱 푸시 앤 풀 올 타입 도어용 손잡이 장치
CN206322747U (zh) * 2016-11-23 2017-07-11 吉安市优特利科技有限公司 一种连体式低压注塑电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956A (ko) * 2012-01-03 2013-07-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배터리
KR20130135063A (ko) * 2012-05-31 2013-12-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20150037154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14A1 (ko) * 2020-09-01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02920A1 (ko)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441A1 (ko) 2019-04-04
CN110140254A (zh) 2019-08-16
EP3573167A4 (en) 2020-04-01
US20200144677A1 (en) 2020-05-07
EP3573167A1 (en) 2019-11-27
US11355788B2 (en) 2022-06-07
KR102168675B1 (ko) 2020-10-21
JP2020515022A (ja) 2020-05-21
JP6743312B2 (ja) 2020-08-19
CN110140254B (zh)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40254B (zh) 包括保护电路模块的袋型二次电池组
US9413039B2 (en) Battery pack
US8228033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groov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JP5059731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4795316B2 (ja) 二次電池
US20120070702A1 (en) Battery pack
EP2337120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ack
US8936860B2 (en)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EP2405507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438439B1 (ko)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KR100646528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20130135063A (ko) 이차 전지 팩
KR20160123788A (ko) 전지 팩
KR101134393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
KR101016849B1 (ko) 이차전지
KR102289963B1 (ko) 홀더를 구비한 이차전지 팩
KR20150040444A (ko) 보호회로모듈 보호 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26777B1 (ko) 커넥터의 위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 조립용 지그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지
KR20130005117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0719720B1 (ko) 팩 전지
KR20140014982A (ko) 두가지 금속이 결합된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0659857B1 (ko) 이차전지의 팩 케이스
US20240186612A1 (en) Battery pack
KR102422515B1 (ko) 배터리 팩
KR100686820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