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007A - 배기계의 행거 구조 - Google Patents

배기계의 행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007A
KR20050045007A KR1020030078933A KR20030078933A KR20050045007A KR 20050045007 A KR20050045007 A KR 20050045007A KR 1020030078933 A KR1020030078933 A KR 1020030078933A KR 20030078933 A KR20030078933 A KR 20030078933A KR 20050045007 A KR20050045007 A KR 2005004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ubber
exhaust system
vehicle body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5007A/ko
Publication of KR2005004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00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와 차체의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간의 진동전달이 감쇄되도록 하는 행거에 2중의 스프링 상수를 갖도록 하기 위한 배기계의 행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머플러,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와 차체 간의 진동전달이 감쇄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계와 차체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재의 행거에 있어서,
차체 측의 행거 서포트가 끼워지기 위한 상부 장착공과 배기계의 행거 로드가 끼워지기 위한 하부 장착공 사이로 충격 흡수공이 관통형성되는 내측 러버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한 내측 러버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ap)이 유지되는 채로 상기 내측 러버의 외주 둘레를 감싸는 외측 러버; 로 구성되어지되,
상기한 외측 러버의 상부와 상기 내측 러버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내/외측 러버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계의 행거 구조{Hanger of exhaust pipe and muffler}
본 발명은 배기계의 행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와 차체의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간의 진동전달이 감쇄되도록 하는 행거에 2중의 스프링 상수를 갖도록 하기 위한 배기계의 행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머플러는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소정용적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측으로 배관되는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기 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안내하며 소음을 감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는 차량의 언더 패널의 하측에 장착되는데, 진동의 전달을 줄이기 위해서 차량의 고정측과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행거를 매개로 장착된다.
도 3은 일반적인 종래의 머플러 마운팅 장착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10)의 도중에는 행거(20)와의 조립을 위한 행거 로드(11)가 일측으로 돌출된 채로 용접되고, 상기 행거 로드(11)와 대응되는 방향으로는 차체로부터 다른 일측이 고정되는 행거 서포트(12)가 형성된다. 상기 행거 서포트(12)와 행거 로드(11) 간에는 소정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한 행거 서포트(12)와 행거 로드(11)가 각각 고무재질의 형성되는 행거(20)의 장착공(21,22)에 끼워진다. 이를 위해, 상기한 행거(20)의 도중에는 행거 서포트(12) 및 행거 로드(11)의 일단이 각각 끼워지기 위한 상부 장착공(21)과 하부 장착공(22)이 형성되고, 상기한 상부 장착공(21)과 하부 장착공(22)의 사이에는 완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충격흡수공(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배기계를 차량의 차체 하부에 매달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행거(20)를 이용하여 상기한 배기계(10)와 차체(21) 간이 진동전달이 억제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행거의 설계과정에서 차체와 배기계 간의 진동 전달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스프링 상수를 작게 하면 행거의 내구력이 급격히 떨어지며, 스프링 상수를 크게 하면 내구력은 상승하나 진동 전달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스프링 상수가 작으면서 내구력이 충분히 확보되는 행거의 제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와 차체의 장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 간의 진동전달이 감쇄되도록 하는 행거에 2중의 스프링 상수를 갖도록 하기 위한 배기계의 행거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머플러,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와 차체 간의 진동전달이 감쇄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계와 차체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재의 행거에 있어서,
차체 측의 행거 서포트가 끼워지기 위한 상부 장착공과 배기계의 행거 로드가 끼워지기 위한 하부 장착공 사이로 충격 흡수공이 관통형성되는 내측 러버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한 내측 러버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ap)이 유지되는 채로 상기 내측 러버의 외주 둘레를 감싸는 외측 러버; 로 구성되어지되,
상기한 외측 러버의 상부와 상기 내측 러버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내/외측 러버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기계 행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행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행거의 장착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행거를 지시하는 것이고, 일부의 도면부호는 종래기술의 사용에서 사용된 부호가 그대로 인용된다.
상기한 행거(20)는 2중의 스프링 상수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내측 러버(21)와 외측 러버(30)로 구성된다.
상기한 내측 러버(21)의 상하측에는 각각 차체에 고정된 행거 서포트(12)가 끼워지기 위한 상부 장착공(22)과, 머플러 및 배기 파이프의 배기계(10)의 행거 로드(11)가 끼워지기 위한 하부 장착공(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부 장착공(22)과 하부 장착공(23) 사이의 중간부에는 충격 흡수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충격흡수공(24)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충격 흡수공(24)의 형상을 아령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 흡수공(24)의 양측에 위치되는 상부 장착공(22)와 하부 장착공(23) 간의 연결하는 브릿지(25)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내측 러버(21)의 외주연에는 외측 러버(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외측 러버(30)의 내주면은 상기 내측 러버(21)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ap)을 유지한 채로 전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한 외측 러버(30)의 상부는 내측 러버(21)의 상부와 연결되므로서 상기 상/하측 러버(2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내측 러버(21)와 외측 러버(30)의 양측면은 각각 외측을 향해서 배부른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행거(20)가 차체(21)와 배기계(10) 사이에 개재되었을 경우, 엔진 진동과 전달감소와 관련된 소변위시에는 내측 러버(21) 만이 진동전달을 흡수하는 데 작용되므로서 스프링 상수가 작게 되며, 내구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변위시에는 내측 러버(21) 및 외측 러버(30)가 함께 진동전달을 흡수하는 데 작용되므로서 스프링 상수가 커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행거의 경우에는 몸체가 하나로 형성되므로서 변위와는 관계없이 일정한 스프링 상수로서 진동전달을 흡수하게 되어 급격한 운동변화에 능동적이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행거의 경우에는 2중의 스프링 상수를 갖게 되므로서 급격한 운동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배기계의 행거는 내측 러버의 외주에 외측 러버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2중의 스프링 상수를 갖게 되므로서, 차량운행 중의 저변위 및 대변위의 진동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커다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행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행거의 장착상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계 11 : 행거 로드
12 : 행거 서포트 20 : 행거
21 : 내측 러버 22 : 상부 장착공
23 : 하부 장착공 24 : 충격 흡수공
25 : 브릿지 30 : 외측 러버

Claims (2)

  1. 머플러, 배기 파이프 등의 배기계와 차체 간의 진동전달이 감쇄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배기계와 차체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재의 행거에 있어서,
    차체 측의 행거 서포트(12)가 끼워지기 위한 상부 장착공(22)과 배기계(10)의 행거 로드(11)가 끼워지기 위한 하부 장착공(23) 사이로 충격 흡수공(24)이 관통형성되는 내측 러버(21)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한 내측 러버(21)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ap)이 유지되는 채로 상기 내측 러버(21)의 외주 둘레를 감싸는 외측 러버(30); 로 구성되어지되,
    상기한 외측 러버(30)의 상부와 상기 내측 러버(21)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내/외측 러버(21,30)가 일체로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계의 행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측 러버(21) 및 외측 러버(30)는 그 양측면이 그 측면방향을 향해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계의 행거 구조.
KR1020030078933A 2003-11-10 2003-11-10 배기계의 행거 구조 KR20050045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33A KR20050045007A (ko) 2003-11-10 2003-11-10 배기계의 행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933A KR20050045007A (ko) 2003-11-10 2003-11-10 배기계의 행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007A true KR20050045007A (ko) 2005-05-17

Family

ID=3724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933A KR20050045007A (ko) 2003-11-10 2003-11-10 배기계의 행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5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2447A (zh) * 2017-10-20 2018-02-09 威固技术(安徽)有限公司 一种高刚度吊耳
KR20180115061A (ko) * 2017-04-12 2018-10-22 주식회사 디엠씨 차량용 머플러 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061A (ko) * 2017-04-12 2018-10-22 주식회사 디엠씨 차량용 머플러 행거
CN107672447A (zh) * 2017-10-20 2018-02-09 威固技术(安徽)有限公司 一种高刚度吊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195A (ko)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US6910670B2 (en) Suspension rubber bushing of vertical mount type
KR101810997B1 (ko) 트레일링암 부시
US10295010B2 (en) Fluid-filled engine mounting apparatus
KR20050045007A (ko) 배기계의 행거 구조
WO2006077622A1 (ja) 防振装置
JP2000120757A (ja) 液圧緩衝器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JP200526510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0622500B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RU199973U1 (ru) Опора подвески силового агрегат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092236B2 (ja)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H0885318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JP2004205050A (ja) 防振装置
JP2006194266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445986B1 (ko) 쇽 업소버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JP4222483B2 (ja) コンプレッションロッドブッシュ
KR100384070B1 (ko) 차량용 엔진마운팅
JP2006182137A (ja) 車体構造
KR10020490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JP2001221273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取付構造
JP2009023371A (ja) キャブマウント用ラバーブッシュ
JP2002286080A (ja) 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