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729A - 드릴 및 스로어웨이 팁 - Google Patents

드릴 및 스로어웨이 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729A
KR20050044729A KR1020047008705A KR20047008705A KR20050044729A KR 20050044729 A KR20050044729 A KR 20050044729A KR 1020047008705 A KR1020047008705 A KR 1020047008705A KR 20047008705 A KR20047008705 A KR 20047008705A KR 20050044729 A KR20050044729 A KR 2005004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drill
groove
convex
dri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1421B1 (ko
Inventor
타키구치쇼지
카와데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23B2200/167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with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2Connections between shanks and removable cutt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0Drilling tools comprising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32Ser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S408/713Tool having detachable cutting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10T408/45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including Tool with duct
    • Y10T408/455Conducting channel extending to end of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8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means to retain Tool to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8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means to retain Tool to support
    • Y10T408/90993Screw drive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릴 본체와 팁의 위치 맞춤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드릴 본체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안정한 가공 동작을 할 수 있는 드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드릴은 축선 둘레를 회전할 수 있는드릴 본체(1), 및 드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팁(2)을 가지고 있으며, 드릴 본체에는 선단면에 개구하는 오목홈(6)가 형성되고, 오목홈의 내측면에는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7)이 형성되며, 팁의 외측면에는 가이드 홈에 맞물릴 수 있는 볼록부(13)가 형성되며, 오목홈는 팁을 배치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드릴 본체에 팁을 장착할 때는 볼록부를 가이드 홈에 맞물리게 하면서 팁을 선단면측으로부터 오목홈에 대하여 삽입한다.

Description

드릴 및 스로어웨이 팁{DRILL AND THROWAWAY TIP}
본 발명은 드릴 본체의 선단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스로어웨이 팁(throwaway tip)(이하, 「팁」이라 함)을 갖는 드릴 및 팁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단면에 오목홈를 갖는 드릴 본체에 대하여 이 오목홈에 착탈 가능한 팁을 장착하고, 사용후의 팁을 재연마함이 없이 사용함으로써 공구 재연마의 수고를 생략하여 공구 교환 시간을 적게 하는 드릴이 있었다. 이러한 드릴에 관한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 공개 평11-197923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드릴에 있어서 오목홈의 선단측을 향하는 저면에는 둥근 구멍형상의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팁의 안쪽 상기 저면에 대향하는 후단면에는 상기장착 구멍에 삽입가능한 원기둥 형상의 축부가 마련되어져 있다. 그리고, 축부를 장착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팁을 드릴 본체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축부에는 노치부가 마련되어지고 있고, 장착 구멍의 내주에는 출몰가능한 결합 부재가 마련되어져 있기 때문에 축부를 장착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노치부와 결합 부재라고가 결합하고, 이에 따라서 팁이 드릴 본체에 고정된다.
상술한 드릴은 장착 구멍에 축부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팁을 드릴 본체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팁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유효하지만, 팁과 드릴 본체의 접속은 축부를 개재해서 행하여 지므로, 축부가 가늘면 접혀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팁과 드릴 본체의 위치 맞춤(심내기)은 축부와 장착 구멍의 삽입만으로 행하여지는 구성이므로 위치 맞춤 정밀도가 불충분한 경우가 있어 워크(work)에 대한 드릴의 가공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칠경우가 있었다.
또한, 워크를 드릴로 가공할 경우 가공유을 공급하면서 가공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이 경우, 종래에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릴 본체(100) 내부에 드릴 본체(100)의 축선(O)을 따라 유로(102)를 형성하고, 이 유로(102)를 선단측에서 2방향으로 분기하여 분기부(103)라고 하고, 이들 분기부(103)와 드릴 본체(100)의 선단면(107)의 개구(104)를 접속하고, 유로(102)의 후단측에 접속한 가공유 공급부(105)로부터 가공유을 공급하고, 유로(102), 분기부(103) 및 개구(104)를 개재하고, 워크와 팁(101) 사이에 가공유을 공급하고 있었다. 그러나, 분기부(103)는 드릴 본체(10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오목홈(106)에 의해 박육화되어 강도가 저하된 선단부는 분기부(103)에 의해 더욱 강도가 저하하게 되고,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 본체(100)의 선단부가 오목홈(106)를 통해 넓어지도록 변형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분기부(103)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조 공정의 증가·복잡화를 초래하게 된다.
도 1a, lb는 본 발명의 드릴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a, lb의 드릴을 선단측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b의 A-A선 단면도,
도 4는 팁의 측면도,
도 5는 팁을 선단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팁의 측면도,
도 7은 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드릴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9b는 본 발명의 팁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10b,10c는 도 9a, 9b에 도시하는 팁을 드릴 본체의 오목홈에 삽입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종래의 드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종래의 드릴의 문제점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드릴 본체와 팁의 위치 맞춤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드릴 본체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안정한 가공 동작을 할 수 있는 드릴 및 이 드릴에 착탈가능한 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드릴은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한 드릴 본체와 상기 드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팁을 갖는 드릴에 있어서, 상기 드릴 본체에는 상기 드릴 본체의 선단면에 개구하는 오목홈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팁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릴 수 있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는 상기 팁을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볼록부와 상기 가이드 홈을 맞물리면서 상기 팁을 상기 선단면측으로부터 상기 오목홈에 대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팁이 상기 드릴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드릴에 의하면, 오목홈의 내측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팁의 외측면에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 홈 및 볼록부에 의해 톱니모양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홈에 볼록부를 맞물리면서 오목홈에 팁을 선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삽입하는 것 만으로 칩을 드릴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드릴 본체에 대한 팁의 위치 맞춤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톱니모양 구조로 함으로써 드릴 본체가 회전해서 팁에 의해 워크를 가공할 때에도 드릴 본체와 팁은 위치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드릴 본체의 회전력은 팁에 확실히 효율 좋게 전달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릴 본체 내부에 상기 오목홈중 선단측을 향하는 저면과 상기 드릴 본체 외부를 연통해 소정의 유체를 유통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상태 즉,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볼록부가 맞물린 상태의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팁중 선단측과 상기저면에 대향하는 후단측 사이에서 상기 유체를 유통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어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와 같이, 드릴 본체 선단부에 가공유(유체) 유통용 유로(분기부)를 형성하지 않고, 팁 선단에 대한 유체의 공급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드릴 본체에는 유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드릴 본체의 강도는 유지되고, 변형 등의 불량은 회피됨과 아울러 제조 공정의 용이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틈부를 형성하여도 톱니모양 구조에 의해 팁과 오목홈의 접촉 면적은 충분히 확보되어 있으므로 드릴 본체에 대한 팁의 장착은 안정하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면에 상기 틈부에 연속하는 공극부가 형성됨으로써 이 공극부를 가공유가 고이게 하여 사용할 수 있고, 틈부로의 가공유의 공급은 안정화된다. 또한, 상기 볼록부의 능선부분과 상기 가이드 홈의 홈부 들 간의 능선부분의 적어도 한 쪽을 평탄면에 의해 모따기 된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틈부의 단면적을 크게 확보하여 보다 많은 가공유등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록부는 그 능선이 상기 축선을 따르는 방향과 일치하고 상기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에 상기 삽입 방향 즉, 상기 오목홈로의 상기 팁의 삽입 방향의 전방측을 향해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드릴 본체에 대한 팁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삽입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팁은 드릴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삽입가능한 팁에 있어서, 외측면에 형성되어 그 능선이 상기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외측면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팁에 의하면, 팁의 외측면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드릴 본체의 오목홈 내측면에 삽입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을 형성하면 이들 가이드 홈 및 볼록부에 의해 톱니모양 구조가 구성되므로 가이드 홈에 볼록부를 맞물리면서 오목홈에 팁을 선단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여 삽입 하는 것 만으로 팁을 드릴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아울러 드릴 본체에 대한 팁의 위치 맞춤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팁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에 상기 삽입 방향 전방측을 향해서 경사진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채용됨으로써 오목홈에 대한 삽입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팁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 각각의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거리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 채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상기 형성 거리는 상기 드릴 본체의 상기 선단부의 형상에 따라서 설정되는 구성이 채용된다. 이에 따라, 팁을 드릴 본체의 오목홈에 삽입할 때 복수의 볼록부 각각을 오목홈의 가이드 홈에 동시에 맞물릴 수 있으므로 삽입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퍼부의 상기 형성 거리는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면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해서 서서히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구성이 채용된다. 즉, 드릴 본체의 오목홈의 삽입구의 형상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가 많지만, 테이퍼부의 형성 거리를 외측면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해서 서서히 짧아지도록 설정함으로써 볼록부 각각을 오목홈에 동시에 삽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드릴 및 팁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lb는 본 발명의 드릴 및 팁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도 1a는 Y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b는 X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를 선단측(Z방향측)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더욱이, 도 4는 팁을 Y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는 도 4를 선단측에서 본 도면, 도 6은 팁을 X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단, X 방향은 후술하는 오목홈(6)가 형성되는 드릴(D)의 축선(O)에 대한 지름방향, Y 방향은 이 X 방향과 축선(O)에 직교하는 방향、 Z 방향은 축선(0)에 평행한 방향으로서 드릴(D)의 선단측에서 후단측을 향하는 방향을 +라고 한다.
도 1a, lb에 있어서, 드릴(D)은 축선(O) 둘레로 회전가능한 드릴 본체(1)와, 이 드릴 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팁(2)을 구비하고 있다. 팁(2)은 절삭날(2a)을 갖고 있다. 드릴 본체(1)의 후단측은 대지름부인 생크(shank)부(1a)로 되어 있다. 한편, 드릴 본체(1)의 선단측에는 드릴 본체(1)의 선단면(3)에 개구하는 한쌍의 절삭가루 배출홈(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절삭가루 배출홈(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으로, 또한 후단측을 향함에 따른 축선(O) 둘레에 구멍 뚫기 가공시의 드릴 회전 방향(T)의 후방측으로 비틀리는 바와 같이 나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드릴 본체(1)의 선단부에는 오목홈(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홈(6)는 드릴 본체(1)의 선단면(3)에 개구하여 후단측에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상기 축선(O)에 대한 지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홈(6)는 절삭가루 배출홈(4)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드릴 회전 방향(T)측을 향하는 벽면들 사이를 축선(O)를 포함하는 가상 평면을 따라 상기가상 평면을 대략 중심으로 축선(O)에 대한 지름방향(X 방향)에 절결되도록 해서 형성된 것으로서, 선단측을 향해 축선(O)에 직교하는 저면(6a)과, 저면(6a)에 직교 함과 아울러 축선(O)에 평행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대향하는 한쌍의 내측면(6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6)는 측면에서 볼 때 선단면(3)을 향해서 구형상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서 바라볼 때 그 대칭중심을 축선(O)과 일치시키고 있어 팁(2)을 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a, lb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6)중 내측면(6b)에는 축선(O)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7)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7)은 축선(O)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홈부가 축선(O)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형성된 것이며, 한 쌍의 내측면(6b)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가이드 홈(7)은 내측면(6b)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내측면(6b)의 축선(O)근방으로부터 각각 드릴 회전 방향(T)측을 향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X 방향으로 상이한 측의 단부를 따라 형성되고 있고, 상기 축선(O) 근방의 내측면(6b)이 선단면(3)의 신닝부(thinning portion)에 나란히 있는 부분에서는 평탄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가이드 홈(7) 각각의 상기 홈부는 그 홈 아래 부분이 오목 원호형상을 이루는 개략 V 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홈부들이 이루는 능선부분은 상기 홈 아래 부분이 이루는 오목 원호보다도 반경이 큰 볼록 원호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a, l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 본체(1)의 내부에는 축선(O)을 따라 유로(5)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5)는 드릴 본체(1)의 내부 후단면(8)과 오목홈(6)의 저면(6a)을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로(5) 중 드릴 본체(1) 후단면(8) 측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 본체(1)의 외부에 형성되어 가공유(유체)을 유로(5)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는 가공유 공급부(9)가 접속되어 있다. 드릴 본체(1)외부에 마련되어진 가공유 공급부(9)로부터 유로(5)에 공급된 가공유은 유로(5)의 후단면(8) 측으로부터 오목홈(6)중 선단측을 향하는 저면(6a)에 대하여 유통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b나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6)의 저면(6a)에는 카운터보어링(counterboring)가공에 의해 상기 저면(6a)으로부터 우묵 들어가는 오목형상의 카운터보어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카운터보어부(15)는 그 내주단(內周端)이 유로(5)의 선단측으로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이 유로(5)의 선단측에서 오목홈(6)의 한쌍의 내측면(6b)중 상기 가이드 홈(7)이 형성된 부분을 향해서 각각 연장되고, 더욱이 이 내측면(6b)부분을 다라 외주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단 그 외주단은 저면(6a)의 외주가장자리 즉, 드릴 본체(1) 선단부의 외주면에까지 도달함이 없이 상기 저면(6a) 내에서 멈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카운터보어부(15)는 상기내측면(6b)의 가이드 홈(7)에 따라 연장되는 부분에서는, 도 2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면(6b)으로부터도 드릴 회전 방향(T)의 후방측으로 우묵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운터보어부(15)는 오목홈(6)에 팁(2)을 배치했을 때 드릴 본체(1)와 팁(2)의 후단면(2c) 사이에 공극부(16)를 형성한다. 공극부(16)는 유로(5)로부터 공급된 가공유를 고이게 하여 사용된다.
팁(2)은 오목홈(6)에 그 후단면(2c)을 저면(6a)에 대향시키면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팁(2)은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 4,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편오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드릴 본체(1)의 오목홈(6)에 삽입되도록 하여 장착할 수 있다. 팁(2)은 X 방향 중앙부에 두께 방향(Y 방향)으로 개구된 관통 구멍(10)을 갖고 있고, 이 관통 구멍(10)은, 도 1a, 1b 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2)이 오목홈(6)에 배치되었을 때 드릴 본체(1)의 선단부중 X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오목홈(6)의 내측면(6b)으로 개구하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개구된 장착 구멍(11)과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장착 구멍(11)은 상기 오목홈(6)에 의해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드릴 본체(1) 선단부의 한쪽 부분[도3에 있어서 오목홈(6)의 상측부분) 외주면으로부터 Y 방향을 따라 테이퍼 형상으로 지름이 축소하는 지름 축소부를 통해 상기 부분을 관통해서 이 한편의 부분측의 오목홈(6)의 내측면(6b)으로 개구하고, 또한 오목홈(6)을 넘어서 상기 드릴 본체(1) 선단부의 다른쪽 부분의 내측면(6b)으로부터 상기 한쪽 부분 측과 동축으로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다른 쪽 부분에 있어서 장착 구멍(11)은 드릴 본체(1)의 외주면으로 관통하지 않는 막힘 구멍 형상으로 됨과 아울러, 그 내주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있고, 오목홈(6)에 팁(2)을 배치해서 상기 한쪽 부분에서 장착 구멍(11) 및 관통 구멍(10)에 고정 부재(12)로서 볼트를 삽입통과해서 다른 쪽 부분의 장착 구멍(l1)의 상기 암나사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고정 부재(12)로서의 볼트의 접시머리 형상으로된 머리부가 상기 지름 축소부에 밀착해서 드릴 본체(1)와 팁(2)은 연결 고정된다. 여기에서, 관통 구멍(10) 및 장착 구멍(11) 각각은 X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며, 이 관통 구멍(10) 및 장착 구멍(11)에 삽입통과 및 나사결합되는 고정 부재(볼트)(12)과 함께 축선(O)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2)의 외측면(2b)에는 드릴 본체(1)의 가이드 홈(7)에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볼록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3)는 축선(O)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즉 그 능선이 축선(O)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축선(O)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3)는 팁(2)을 오목홈(6)에 배치했을 때, 오목홈(6)의 가이드 홈(7)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볼록부(13)는 팁(2)의 외측면(2b) 각각에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외측면(2b)의 축선(O) 근방으로부터 각각 드릴 회전 방향(T)의 후방측을 향하는 부분에 복수의 볼록부(13)가 나란하도록 X 방향으로 상이한 측의 단부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신닝부에 나란한 부분에서 상기 내측면(6b)이 평탄면 형상으로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팁(2)의 외측면(2b)도 이 평탄면에 밀착하는 평탄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볼록부(13)는 상기 능선부분이 볼록 원호형상을 이루는 개략 V자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볼록부(13) 들 사이의 골부는 상기 능선부분이 이루는 볼록 원호보다도 반경이 작은 오목 원호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13)가 이루는 V자의 끼인각은 가이드 홈(7)의 상기 홈부가 이루는 V자의 끼인각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볼록부(13)를 상기 가이드 홈(7)에 맞물리게 해서 팁(2)을 오목홈(6)에 배치했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2)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13)와 드릴 본체(1)의 오목홈(6)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홈(7) 사이에는 복수로 나란한 볼록부(13) 각각의 정상 및 골부 근방에 있어서 틈부(14)가 형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볼록부(13)의 능선부분이 이루는 볼록원호의 반경은 가이드 홈(7)의 홈부 홈 아래 부분이 이루는 오목 원호의 반경보다도 크게 됨과 아울러 인접하는 볼록부(13) 들 사이의 골부가 이루는 오목 원호의 반경은 가이드 홈(7)의 인접하는 홈부 들 사이의 능선부분은 이루는 볼록 원호의 반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서로 끼인각이 같은 V 자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7)의 홈부 벽면과 볼록부(13)의 측면을 밀착시켜서 상기 볼록부(13)와 가이드 홈(7)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이 맞물림 상태에서 볼록부(13)의 능선부분과 가이드 홈(7)의 홈부 홈아래 부분 사이, 및 인접하는 볼록부(13)의 골부와 가이드 홈(7)의 인접하는 홈부의 능선부분 사이에 각각 틈부(14)가 형성된다. 이 틈부(14)는 가공유를 유통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팁(2)의 선단측과 후단측에서 가공유를 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팁(2)을 오목홈(6)에 배치했을 때 유로(5)를 통해서 오목홈(6)의 저면(6a)에 공급된 가공유는 틈부(14)을 흐르게 되어 있다. 즉, 유로(5)을 통해서 오목홈(6)에 공급된 가공유는 틈부(14)를 통해서 팁(2)의 선단측으로부터 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극부(16)는 오목홈(6)의 저면(6a)중의 가이드 홈(7)과 볼록부(13)의 접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공극부(16)을 형성하는 상기 카운터보어부(15)가 오목홈(6)의 내측면(6b)중의 가이드 홈(7)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에서 상기 내측면(6b)으로부터도 드릴 회전 방향(T)의 후방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됨으로써 오목홈(6)에 팁(2)을 배치했을 때, 공극부(16)는 이 공극부(16)가 형성되는 범위내에서 볼록부(13)와의 사이에서 가이드 홈(7)의 홈부의 상기 홈아래 부분과 홈부 끼리의 상기 능선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틈부(14)에 각각 연속하게 되어 있다.
또한, 드릴 본체(1)에 팁(2)을 장착했을 때, 팁(2)의 선단면은 축선(O)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는 이등변 삼각형상(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이 선단면과 팁(2)의 양외측면(2b)내의 드릴 본체(1)에 대한 장착 상태에 있어서 드릴 회전 방향(T)측을 향하는 떠내는 면(20)의 교차 능선부에 상기 절삭날(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떠내는 면(20)은 팁(20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폭이 좁아지면서 반대측의 외측면(2b)측에 점차 후퇴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절삭가루 배출홈(4)의 드릴 회전 방향(T)을 향하는 상기 벽면에 줄지어 있다. 그리고, 양외측면(2b)의 떠내는 면(20)이외의 부분에 볼록부(13)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팁(2)의 상기 후단면(2c)은 드릴 본체(1)에 팁(2)을 장착했을 때에 축선(O)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오목홈(6) 저면(6a)의 상기 카운터보어부(15) 이외의 부분에 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드릴(D)에 있어서 드릴 본체(1)에 팁(2)을 장착하는 순서 및 구멍 뚫기 가공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드릴 본체(1)에 팁(2)을 장착할 때, 팁(2)의 관통 구멍(10)의 형성 방향과 드릴 본체(1)의 장착 구멍(11)의 형성 방향을 일치시키도록 하여 오목홈(6)에 대하여 드릴 본체(1)의 상기 선단면(3) 측(개구측)에서 팁(2)을 +Z방향, 즉 축선(O) 방향 후단측을 향한 삽입 방향(S)(도 1a참조)으로 삽입한다. 팁(2)을 오목홈(6)에 삽입할 때, 팁(2)의 양외측면(2b)의 볼록부(13)와 오목홈(6)의 양내측면(6b)의 가이드 홈(7)을 맞물리면서 슬라이딩시켜 삽입한다. 팁(2)을 삽입함으로써 드디어 팁(2)의 후단면(2c)과 오목홈(6)의 저면(6a)이 접촉해서 밀착한다. 오목홈(6)의 저면(6a)에 대하여 팁(2)의 후단면(2c)이 접촉하는 위치는 팁(2)의 관통 구멍(10)과 드릴 본체(1)의 장착 구멍(11)이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태로 관통 구멍(10) 및 장착 구멍(11)에 고정 부재(12)를 삽입하고, 볼트로서의 고정 부재(12)를 암나사를 갖는 장착 구멍(11)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팁(2)은 드릴 본체(1)에 대하여 연결 고정된다.
여기에서, 떠내는 면(20)이 형성되어져 있는 부분의 판두께 방향의 사이즈는 볼록부(13)가 형성되어져 있는 부분의 판두께 방향의 사이즈[볼록부(13)의 정상에 있어서의 사이즈]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오목홈(6)에 대하여 볼록부(13)와 가이드 홈(7)을 슬라이딩 시키면서 팁(2)을 삽입할 때의 삽입 동작은 방해할 수 없다.
또한, 팁(2)을 드릴 본체(1)로부터 분리시킬 때에는 고정 부재(12)와 장착 구멍(11)의 나사결합을 풀고, 고정 부재(12)을 분리한후, 팁(2)을 오목홈(6)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드릴 본체(1)와 팁(2)은 분리된다.
드릴 본체(1)에 대하여 팁(2)을 고정했다면 가공유 공급부(9)로부터 드릴 본체(1)의 유로(5)에 대하여 가공유을 공급하면서 워크에 대한 구멍 뚫기 가공을 한다. 유로(5)에 공급된 가공유은 유로(5)의 선단측 단부로부터 가공유를 고이게 하는 공극부(16)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극부(16)와 틈부(14)는 연속적이기 때문에 가공유은 틈부(14)를 통해서 팁(2)의 선단측으로부터 방출된다. 이렇게 해서, 워크에 대하여 가공유을 공급하면서 구멍 뚫기 가공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오목홈(6)의 내측면(6b)에 축선(O)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7)을 형성함과 아울러 팁(2)의 외측면(2b)에 가이드 홈(7)과 맞물리는 볼록부(13)를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 홈(7) 및 볼록부(13)에 의해 톱니모양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홈(7)에 볼록부(13)를 맞물리면서 팁(2)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팁(2)을 드릴 본체(1)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더욱이, 드릴 본체(1)에 대한 팁(2)의 위치 맞춤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팁(2)은 상기 고정 부재(12)(볼트)에 의해 오목홈(6)가 좁아지도록 해서 체결됨으로써 상기 Y 방향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7)이 형성된 오목홈(6)의 한쌍의 내측면(6b,6b)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다소 경사진 방향에 가압되므로, 가이드 홈(7)과 볼록부(13)를 한층 확실히 맞물리게 할 수 있어 위치 맞춤 정밀도가 더욱 향상시키도록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톱니모양 구조로 함으로써 드릴 본체(1)가 회전해서 팁(2)에 의해 워크를 가공할 때에도 드릴 본체(1)와 팁(2)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드릴 본체(1)의 회전력은 팁(2)에 확실히 효율 좋게 전달된다. 따라서, 안정한 가공을 할 수 있고, 높은 가공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드릴 본체(1)의 내부에 오목홈(6)의 선단측을 향하는 저면(6a)과 드릴 본체(1) 외부를 연통하는 유로(5)를 형성함과 아울러, 맞물림 상태에서의 가이드 홈(7)과 볼록부(13) 사이에 틈부(14)가 형성되도록 드릴 본체(1) 및 팁(2)의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유로(5)로부터 공급되는 가공유은 틈부(14)를 통해 팁(2)의 선단측으로부터 방출되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드릴 본체 선단부에 가공유 유통용 분기부를 형성함이 없이 팁(2)의 선단에 대한 가공유의 공급을 안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드릴 본체(1)의 선단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드릴 본체(1)의 강도는 유지되고, 변형등의 불량은 회피됨과 아울러, 드릴 본체(1)의 제조 공정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상태에 있어서의 틈부(14)는 볼록부(13)의 정상(능선부분)에 상당하는 위치[가이드 홈(7)의 골(홈 아래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와 인접하는 볼록부(13) 끼리의 골부[가이드 홈(7)의 인접하는 홈부의 능선부분]에 상당하는 위치에 만 형성되어 있고, 다른 부분에는 볼록부(13)의 측면과 가이드 홈(7)의 벽면이 밀착해서 팁(2)과 드릴 본체(1)는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팁(2)과 드릴 본체(1)의 접촉 면적은 충분히 확보되어, 드릴 본체(1)에 대한 팁(2)의 장착은 안정하다.
그리고, 오목홈(6)의 저면(6a)에 틈부(14)에 연속하는 가공유를 고이게 하는 공극부(16)를 형성했으므로 틈부(14)로의 가공유의 공급은 안정화되고, 가공시에 있어서 팁(2) 선단으로 가공유를 확실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팁(2)의 선단에 대하여 가공유를 공급할 때는 팁(2)과 드릴 본체(1) 사이에 형성한 틈부(14)를 통해서 공급하는 바와 같이 설명했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5)의 도중으로부터 분기되고, 드릴 본체(1)의 선단면(3)의 개구부(104)에 연속하는 분기부(103)를 형성해도 좋다. 즉, 도 11에서 설명한 분기부와 본 발명에 의한 틈부(14)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분기부(103)의 개구부(104)는 드릴 본체(1)의 선단측 외주면에 형성되어져 있어도 좋다. 단,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틈부(14)의 총단면적은 상기 분기부(103)의 총단면적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절삭날(2a)의 근방에 개구하는 틈부(14)로부터 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공유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한편, 분기부(103)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드릴 본체(1)의 선단부의 강도는 유지된다. 또한, 상기 틈부(14)는 볼록부(13)의 능선부분[가이드 홈(7)의 홈부의 홈아래부분)과 인접하는 볼록부(13) 끼리의 골부[가이드 홈(7)의 인접하는 홈부의 능선부분]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건식절삭에 의해 워크에 가공을 할 경우는 상기 가공유 공급부(9)로부터 가공유을 공급하는 대신에 유체로서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팁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도 9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팁의 측면도, 도 9b는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2)은 개략 편오각형의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드릴 본체(1)의 오목홈(6)에 삽입된다. 팁(2)의 외측면(2b)에는 드릴 본체(1)의 가이드 홈(7)에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볼록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3)는 오목홈(6)에 대한 삽입 방향[즉, 축선(O)방향 혹은 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요컨대 그 능선이 상기 삽입 방향에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있고,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X 방향)에 복수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3)는 팁(2)을 오목홈(6)에 배치했을 때 오목홈(6)의 가이드 홈(7)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볼록부(13) 각각에는 삽입 방향 전방측, 즉 팁(2)의 후단면(2c) 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테이퍼부(30)(30A∼30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팁(2)의 후단면(2c) 측을 향해서 팁(2)의 두께를 얇게 하도록[볼록부(13)의 돌출높이가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볼록부(13)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30A∼30D)의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거리, 즉, Z축방향에 있어서의 테이퍼부(30A∼30D) 각각의 형성 거리(La∼Ld)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이퍼부(30A∼30D) 각각의 형성 거리(La∼Ld)는,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면(2b)의 X 방향 중앙부에서 단부를 향해서 서서히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외측면(2b)중의 X 방향 중앙부의 테이퍼부(30D)의 형성 거리(Ld)가 가장 길게 설정되고 있고, X 방향단부측을 향해서 형성 거리(Lc、 Lb、 La)가 서서히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Z축[축선(O)]에 평행한 선과 테이퍼부(30A∼30D) 각각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θa∼θd)는 X 방향 중앙부의 테이퍼부(30D)에 관한 각도(θd)가 가장 작고, X 방향 단부측을 향하는 테이퍼부(30) 각각에 관한 각도(θc, θb, θa)가 서서히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퍼부(30A∼30D)의 선단측(-Z측) 각각은 직선상의 라인(M) 상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 라인(M)과 X 축이 이루는 각도는 θM(도 9a참조)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테이퍼부(30A∼30D)의 후단 위치는 축선(O)에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팁(2)의 후단면(2c)의 위치와 일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라인(M)은 X 방향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면(2c)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게 된다. 또한, 각 테이퍼부(30A∼30D)는 상기 라인(M)을 통과하는 동일면에 의해 볼록부(13)의 후단부가 모따기 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릴 본체(1)의 선단부는 Y 방향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이 선단면(3)과 X 축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라인(M)과 X 축이 이루는 각도(θM)와 거의 같다. 즉, 테이퍼부(30A∼30D) 각각에서 설정되는 라인(M)이 선단면(3)의 경사(형상)와 거의 일치하도록 테이퍼부(30A∼30D) 각각의 형성 거리(La∼Ld)가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팁(2)을 드릴 본체(1)의 오목홈(6)에 삽입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10a,10b,1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팁(2)의 후단면(2c)과 오목홈(6)가 대향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부(30A∼30D)의 각각에서 설정되는 라인(M)과 X 축이 이루는 각도와, 드릴 본체(1)의 선단면(3)의 X 축에 대한 경사각도는 거의 같은 값(θM)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팁(2)이 오목홈(6)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팁(2)을 오목홈(6)에 삽입하는 상태에 있어서, 테이퍼부(30A∼30D) 각각에서 설정되는 라인(M)과 X 축이 이루는 각도와, 드릴 본체(1)의 선단면(3)의 X축에 대한 경사각도가 거의 같은 값(θM)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팁(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볼록부(13) 각각과, 오목홈(6)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가이드 홈(7) 각각은 거의 동시에 맞물린다. 다시 말해, 삽입 동작시, 복수의 볼록부(13)와 가이드 홈(7)이 동시에 맞물려지므로, 팁(2)을 흔들리게 하지 않고 삽입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그리고, 팁(2)은 더욱 삽입됨으로써,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홈(6)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면(3)의 경사(형상)와 라인(M)을 일치시키도록 테이퍼부(30A∼30D) 각각의 형성 거리(La∼Ld)를 설정하는 구성이며, 이에 따라, 팁(2)을 오목홈(6)에 삽입할 때 복수의 볼록부(13) 각각은 오목홈(6)의 가이드 홈(7)에 동시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선단면(3)이 V 자 형상이 아니고, 예를 들면, W 자 형상이거나, X 방향 양단부의 쪽이 중앙부로부터 ―Z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을 경우에는 복수의 볼록부(13) 각각이 오목홈(6)의 가이드 홈(7)에 동시에 맞물리도록, 선단면(3)의 형상에 따라 테이퍼부(30A∼30D) 각각의 형성 거리(La∼Ld)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선단면(3)이 W 자 형성일 경우에는 테이퍼부(30A∼30D)의 선단측(-Z측) 각각을 연결하는 선[라인(M)]도 W 자 형상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팁(2)의 상기 관통 구멍(10) 대신에 후단면(2c)으로 개구하는 단면이 U자 형상인 관통 홈(31)이 양 외측면(2b) 사이를 관통하도록 X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팁(2)을 분리할 때에도 고정 부재(볼트)(12)를 드릴 본체(1)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팁(2)을 뽑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볼록부(13)의 능선부분이 외측면(2b)에 평행 즉, 상기 Y 축에 수직한 평탄면에 의해 모따기 된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팁(2)의 높은 장착 안정성은 유지한 채, 이 능선부분과 가이드 홈(7)의 홈부의 홈 아래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틈부(14)의 단면적을 크게 확보하여 가공유 등의 소정의 유체를 보다 많은 드릴 본체(1) 선단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7)에 있어서, 그 인접하는 홈부 들간의 능선부분에 마찬가지의 모따기를 하도록 해도 좋고, 이들 볼록부(13)의 능선부분과 가이드 홈(7)의 홈부 들간의 능선부분의 쌍방을 평탄면에 의해 모따기 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목홈의 내측면에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장착함과 아울러 팁의 외측면에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들 가이드 홈 및 볼록부에 의해 톱니모양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가이드 홈에 볼록부를 맞물리면서 팁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팁을 드릴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드릴 본체에 대한 팁의 위치 맞춤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톱니모양 구조로 함으로써 드릴 본체가 회전해서 팁에 의해 워크를 가공할 때에도 드릴 본체와 팁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고, 드릴 본체의 회전력은 팁에 확실히 효율 좋게 전달된다. 또한, 팁의 볼록부에 테이퍼부를 장착함으로써 드릴 본체의 오목홈에 대한 삽입 동작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가공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안정한 구멍 뚫기 가공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0)

  1.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한 드릴 본체와 상기 드릴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로어웨이 팁을 갖는 드릴에 있어서,
    상기 드릴 본체에는 상기 드릴 본체의 선단면으로 개구하는 오목홈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로어웨이 팁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릴 수 있는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는 상기 스로어웨이 팁을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볼록부와 상기 가이드 홈을 맞물리면서 상기 스로어웨이 팁을 상기 선단면측으로부터 상기 오목홈에 대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스로어웨이 팁이 상기 드릴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본체 내부에는 상기 오목홈중 선단측을 향하는 저면과 상기 드릴 본체 외부를 연통해 소정의 유체를 유통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맞물림상태의 상기 가이드 홈과 상기 볼록부 사이에는 상기 스로어웨이 팁중 선단측과 상기 저면에 대향하는 후단측 사이에서 상기 유체를 유통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에는 상기 틈부에 연속하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능선부분과 상기 가이드 홈의 홈부 들 간의 능선부분중 적어도 한 쪽은 평탄면에 의해 모따기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그 능선이 상기 축선을 따르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또한 상기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에 상기 삽입 방향 전방측을 향해서 경사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6. 드릴 본체의 선단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삽입가능한 스로어웨이 팁에 있어서,
    외측면에 형성되어 그 능선이 상기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외측면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각각에 상기 삽입 방향 전방측을 향해서 경사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 각각의 상기 삽입 방향에 있어서의 형성 거리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상기 형성 거리는 상기 드릴 본체의 상기 선단부의 형상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의 상기 형성 거리는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외측면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해서 서서히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어웨이 팁.
KR1020047008705A 2001-12-07 2002-12-04 드릴 및 스로어웨이 팁 KR101041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4324 2001-12-07
JPJP-P-2001-00374324 2001-12-07
JPJP-P-2002-00227704 2002-08-05
JP2002227704 2002-08-05
JP2002330575A JP4232438B2 (ja) 2001-12-07 2002-11-14 ドリル
JPJP-P-2002-00330575 2002-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729A true KR20050044729A (ko) 2005-05-12
KR101041421B1 KR101041421B1 (ko) 2011-06-15

Family

ID=2734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8705A KR101041421B1 (ko) 2001-12-07 2002-12-04 드릴 및 스로어웨이 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82556B2 (ko)
EP (1) EP1462197B1 (ko)
JP (1) JP4232438B2 (ko)
KR (1) KR101041421B1 (ko)
CN (1) CN100548546C (ko)
AT (1) ATE526101T1 (ko)
WO (1) WO2003047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06195B1 (en) * 2003-03-05 2012-02-22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Throw-away tipped drill, throw-away tip, and drill main body
DE10314889A1 (de) * 2003-04-01 2004-10-14 Komet Group Holding Gmbh Werkzeug für Werkzeugmaschinen
US7725176B2 (en) * 2003-07-10 2010-05-25 Schuler Eleanor L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on of endocrine and exocrine glands by means of neuro-electrical coded signals
DE10333340A1 (de) * 2003-07-23 2005-02-17 Kennametal Inc. Bohrer
DE10353514A1 (de) * 2003-11-14 2005-06-23 Heule, Ulf Bohrplatte mit klemmender Befestigung in einem Grundkörper
EP1747831A1 (en) * 2005-07-27 2007-01-31 Yih Troun Enterprise Co., Ltd. Drill bit with multiple stepped cutting edges
KR100737292B1 (ko) 2005-09-16 2007-07-10 김춘자 맞춤고정식 인덱서블형 절삭공구 및 이에 사용되는 인서트팁
JP4816041B2 (ja) * 2005-12-07 2011-11-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インサート式ドリル及びインサート
WO2007100907A2 (en) 2006-02-28 2007-09-07 Kennametal Inc. Tool holder assembly
KR200447595Y1 (ko) * 2008-12-31 2010-02-11 메탈릭스 주식회사 인서트 드릴
US20120308319A1 (en) * 2011-06-03 2012-12-06 Karthik Sampath Rotary cutting tool having coated cutting tip and coolant holes and method of fabricating
US8662800B2 (en) 2012-04-11 2014-03-0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utting head with coolant channel
EP2669033B1 (en) 2012-05-29 2015-11-04 Black & Decker Inc. Cutting head for a drill bit.
US8839571B1 (en) 2013-03-14 2014-09-23 Hubbell Incorporated Break-away screw ground anchor
USD734790S1 (en) 2013-06-12 2015-07-21 Element Six (Production) (Pty) Ltd Drill bit tip
DE102013114792A1 (de) * 2013-09-13 2015-03-19 Jakob Lach Gmbh & Co. Kg Zerspanungswerkzeug, insbesondere Bohr- und Fräswerkzeug
DE102014119094A1 (de) * 2014-12-18 2016-06-23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panabhebendes Werkzeug
CN112077370A (zh) 2019-06-13 2020-12-15 肯纳金属印度有限公司 可转位钻头刀片
US11524344B2 (en) * 2020-04-22 2022-12-13 Iscar, Ltd. Rotationally asymmetric cutting insert having a single radially extending cutting-edge portion and rotary cutt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4813A (en) * 1949-07-08 1952-10-21 Ingersoll Rand Co Rock drilling tool
DE2515893A1 (de) * 1975-04-11 1976-10-21 Krupp Gmbh Verfahren zur fixierung von hartmetall-formkoerpern
JPS5221489U (ko) * 1975-08-04 1977-02-15
JPS52143590A (en) * 1976-05-25 1977-11-30 Kobe Steel Ltd Drill
US4355932A (en) * 1980-01-09 1982-10-26 Santrade Ltd. Indexable spade drill blade
JPS60221211A (ja) * 1985-01-13 1985-11-05 Daijietsuto Kogyo Kk 転削工具
JPS63260711A (ja) * 1987-04-17 1988-10-27 Mitsubishi Metal Corp ドリル
JPS63306813A (ja) * 1987-06-03 1988-12-14 G N Tool Kk 超硬ドリル
US4854789A (en) * 1987-10-27 1989-08-08 Nytd Industries Inc. Cutting tool assembly
US5228812A (en) * 1989-12-25 1993-07-2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Throw-away tipped drill
JPH03202214A (ja) 1989-12-29 1991-09-04 Sumitomo Electric Ind Ltd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US5287937A (en) * 1992-06-30 1994-02-22 The Sollami Company Drill bits and the blades therefor
US5924826A (en) * 1994-04-27 1999-07-20 Sandvik Ab Cutting insert mounted on holder by rib-and-groove coupling
US5630478A (en) * 1995-06-07 1997-05-20 Credo Tool Company Masonry drill bit and method of making a masonry drill bit
SE509363C2 (sv) * 1995-09-25 1999-01-18 Sandvik Ab Fastspänningsanordning fjör skärplattor samt skärplatta avsedd för dylik anordning
JP3436110B2 (ja) 1998-01-19 2003-08-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2001277029A (ja) 2000-03-31 2001-10-09 Kyocera Corp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用ホルダ
JP2001315012A (ja) * 2000-05-10 2001-11-13 Dijet Ind Co Ltd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3812430B2 (ja) * 2001-12-07 2006-08-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ドリル
EP1375037A1 (en) * 2002-06-25 2004-01-02 Ngk Spark Plug Co., Ltd Insert, holder and cutting tool
JP2004261931A (ja) * 2003-03-03 2004-09-24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EP1806195B1 (en) * 2003-03-05 2012-02-22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Throw-away tipped drill, throw-away tip, and drill main body
JP2004283933A (ja) * 2003-03-20 2004-10-14 Mitsubishi Materials Corp ビルトイン式ドリル用チップ及びドリル
JP4400178B2 (ja) * 2003-11-05 2010-01-2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ドリル
JP2005169528A (ja) * 2003-12-09 2005-06-30 Mitsubishi Materials Corp ドリル
US7131799B2 (en) * 2003-12-19 2006-11-07 Allied Machine & Engineering Corp. Cutting insert with helical geometry and holde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26101T1 (de) 2011-10-15
EP1462197A1 (en) 2004-09-29
JP2004122350A (ja) 2004-04-22
JP4232438B2 (ja) 2009-03-04
EP1462197A4 (en) 2007-03-28
US7182556B2 (en) 2007-02-27
CN100548546C (zh) 2009-10-14
KR101041421B1 (ko) 2011-06-15
CN1617780A (zh) 2005-05-18
WO2003047797A1 (fr) 2003-06-12
US20050196244A1 (en) 2005-09-08
EP1462197B1 (en)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421B1 (ko) 드릴 및 스로어웨이 팁
US4744704A (en) Drill
JP4639862B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KR101291024B1 (ko) 인서트식 절삭 공구, 인서트 및 인서트의 공구 본체로의고정 방법
KR100509132B1 (ko) 절삭 공구 조립체와 이를 위한 절삭 삽입체
EP2272611B1 (en) Deep-hole boring drill head
CZ287496A3 (en) Tool system
KR20090088840A (ko) 관통구멍의 형성 방법
KR20110005238A (ko) 심혈 절삭용 드릴 헤드
JP4230878B2 (ja) 深穴切削具
US20200030894A1 (en) Drilling Tool Comprising A Replaceable Cutting Disk
JP200624779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3812430B2 (ja) ドリル
JP4141297B2 (ja) 深孔切削具
JP2815368B2 (ja) 回転式孔あけ工具の面取り刃
JP3829728B2 (ja) 刃部交換式切削工具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刃部
US11524344B2 (en) Rotationally asymmetric cutting insert having a single radially extending cutting-edge portion and rotary cutting tool
CN114074190B (zh) 切削工具
JP2003291014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4179171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4283971A (ja) 深孔切削具
JP2006082194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
JP2005014153A (ja) ドリル
KR100538268B1 (ko) 절삭부의 교환이 가능한 회전 공구
JP2004082306A (ja) ドリル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730

Effective date: 201102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