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806A - 음순간 패드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2806A KR20050042806A KR1020057004132A KR20057004132A KR20050042806A KR 20050042806 A KR20050042806 A KR 20050042806A KR 1020057004132 A KR1020057004132 A KR 1020057004132A KR 20057004132 A KR20057004132 A KR 20057004132A KR 20050042806 A KR20050042806 A KR 20050042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bia
- layer
- fluid storage
- storage layer
- follow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22—Dens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4/00—Surgery
- Y10S604/904—Tamp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체액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를 피복하는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착용자의 음순으로 향하고 있는 신체 측면, 및 상기 흡수체로 향하고 있는 흡수체 측면을 지니고, 상기 흡수체는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순 추종층은 상기 피복재와 함께 착용자의 음순 형상에 맞춰 변형되는 것이고, 상기 체액 보관층은 상기 음순 추종층으로부터 체액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음순 추종층에 접하는 것이다. 착용자의 배뇨구나 음부 등의 미묘한 형상에도 확실하게 딱들어 맞춤으로써, 착용시의 외관도 우수하고, 장착감을 해치는 일없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순 사이에의 적확한 장착이 가능한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으로,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여 습윤 상태가 되더라도 탈락되지 않고, 적확한 장착을 유지하는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성용 생리용품으로서는 생리대, 탐폰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생리대는 질구 부근에의 밀착성이 부족하여 생기는 간극으로부터의 경혈의 누출을 막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탐폰에 있어서도, 그 물품의 속성에 기인하여, 착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 질 안으로의 장착 곤란성이 발생하므로,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생리대나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라는 생리용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끼워 장착하는 것으로, 생리대보다도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경혈의 누출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질 속에 삽입하는 탐폰에 비해서 착용시의 심리적 저항도 낮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표 2002-505606호 공보에서는, 이러한 음순간 장치 또는 패드의 흡수체에 특징을 갖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체는, 제1 공극 용적 분포를 갖춘 제1 공극을 갖는 포착 부재와, 상기 포착 부재와 유체 연통되는 보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포착 부재는, 상기 제1 공극 용적 분포는 상기 제1 공극의 적어도 75%가 약 20 마이크론 이상의 모세관 반경을 갖는 것으로, 보관 부재의 평균 모세관 반경은 제1 공극의 평균 모세관 반경보다도 작게 설정한 제2 공극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착 부재와 착용자의 전정상이 대면하도록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을 직접 포착할 수 있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평균 모세관 반경을 작게 설정한 보관 부재에 포착된 경혈을 유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착 부재에서 경혈을 남겨두는 일이 없어 재차 경혈이 배설되었다고 해도 순간적으로 경혈을 포착 부재로 직접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서히 배설되는 경혈에 대해서는 충분히 포착할 수 있어, 경혈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종래예에서는, 평균 모세관 반경이 작은, 즉 밀도가 높은 보관 부재가 세로 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포착 부재를 가로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는 식으로 하여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흡수체의 본체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포착 부재는 보관 부재보다 밀도가 낮게 설계되어 있었다. 따라서, 착용자의 행동 변화나 의복 등의 외압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되는 음순의 형상 변화는 따르기 어려운 것이다.
예컨대, 속옷에 의한 압박이나,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의 행동에 의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에서 위쪽의 방향(음순 선단에서 전정상으로의 방향)으로 외압이 음순에 가해질 때는 음순이 찌부러지는 식으로 좌우 방향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음순 내벽의 요철이 변형된다. 또한, 이러한 외압이 해방되는 행동 변화, 예컨대 직립 상태가 되면 음순 내벽은 대략 평탄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행동 변화 등에 의한 외압에 의해서, 음순 내벽의 형상은 용이하게 변형되어 버리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음순 내벽과 가까운 위치에 밀도가 높게 설정된 보관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보관 부재가 추종하여 변형되기 어려워, 음순 내벽과의 공간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음순간 장치 또는 패드의 음순과의 접촉 면적의 저하에 의한 음순간 패드의 탈락이나, 착용자에게 주는 보관 부재의 강직감, 결국은 이물감을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경혈의 배설 경로는 ① 질구 부근에 체류하는 경로, ② 전정상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흐르는 경로, ③ 음순 내벽을 타고 아래 방향으로 흐르는 경로로 대별된다. ① 및 ②는 비교적 배설 유속이 느리며 또한 소량인 서서히 배설되는 배설 경로이지만, ③에서는 착용자의 순간적인 동작 변화시에 있어서 자궁 등에 다량으로 체류하고 있었던 경혈의 배설이기 때문에, 배설 유속이 빠르며 또한, 다량의 배설 경로라고 생각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은, ① 및 ②에 대한 배설 경로에서는 포착 부재에 의해 질구 부근에서부터 직접 포착하여, 보관 부재로 유통시킴으로써, 다시 배설된 경혈도 포착 가능하지만, ③의 배설 경로에 대해서는, 음순 내벽과 가까운 위치에서 경혈을 축적함으로써,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 표면과의 계면에 있어서 경혈이 체류하기 쉽게 되어, 경혈의 유동성에 의해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와의 접촉력이 저하되어, 음순간 패드가 탈락되어 버릴 우려가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착용 상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인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비교예의 장착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전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의 전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어셈블리를 절곡하여, 미니 시트 조각을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따라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게 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주는 이물감을 저감시키고, 고속, 다량으로 음순 내벽을 타고 아래쪽으로 배설되는 경혈의 배설 경로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경혈을 포획하여 보관함으로써 경혈의 누설을 방지하고, 또한 경혈은 흡수체의 의복측에서부터 누적시킴으로써 음순간 패드의 표면에 경혈을 체류시키기 어렵게 하여 음순간 패드의 탈락도 저감시키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울 수 있는 형상으로,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와 흡수체를 피복하는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로서, 이 흡수체는 음순에 가깝게 배치된 음순 추종층과, 그 음순 추종층으로부터 경혈을 통과시키도록 접하게 배치된 체액 보관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또, 이 음순간 패드는 음순 추종층이 체액 보관층보다도 압축되기 쉽기 때문에 장착되었을 때에 변형이 용이하고, 겉보기 밀도가 체액 보관층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음순 내벽과 가까운 위치에 체액 보관층보다도 용이하게 압축 변형이 가능한 음순 추종층을 배치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음순이 상하 방향을 축으로 좌우로 굴곡되어, 음순 내벽이 요철을 만들어 변형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은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대하여 용이하게 압축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체액 보관층의 음순 내벽으로 향하고 있는 적어도 일부는 음순 추종층에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음순 추종층에 의해 완화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주는 이물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순 내벽과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밀도를 낮게 설정한 음순 추종층과, 그 반대측에 밀도를 높인 체액 보관층이 설치되어 있다. 음순 추종층은 전정상 및 음순 내벽의 형태 변화에 대하여 용이하게 변형 대면하기 때문에, 음순 내벽을 아래쪽으로 타고 흐르는 고속 다량의 배설 경로에 대하여도 경혈을 포획할 수 있다. 음순 추종층에서 포획된 경혈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체액 보관층에서 경혈을 축적해 나갈 수 있다. 이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표면에 경혈을 체류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경혈의 유동에 의한 음순간 패드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리대의 흡수체는, 적어도 2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하층부를 상층부의 밀도보다도 높게 설정함으로써, 상층부에서 포착한 경혈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층부로 이행하여 하층부에서 경혈을 보관함으로써, 재차 경혈이 배설되었다고 해도 상층부에서 재차 경혈을 포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체압 변화에 의해 경혈이 반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혈 누설의 우려를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생리대에 있어서는, 여성의 오목형인 음순에 대하여 밀착시키기 위해서 상층부를 볼록형으로 하고, 하층부로 상층부를 피복함으로써 외음부와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었다. 그 때문에, 하층부는 상층부보다 큰 사이즈일 필요가 있고, 짧은 길이 치수는 상층부보다도 하층부가 클 것이 필요 조건이 된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체액 보관층(예컨대 하층부)의 음순 내벽에 가까운 면은 음순 추종층(예컨대 상층부)에 의해서 피복되어, 착용자에 대한 이물감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음순 내벽 나아가서는 외음부와 음순 추종층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어, 경혈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성의 음순의 깊이는 개인차나 자세 변화에 의해서 변화되는 것이지만, 음순간 깊이 변화가 일어났을 때라도, 흡수체에 있어서의 짧은 길이 치수를 체액 보관층보다도 음순 추종층을 크게 함으로써 체액 보관층의 두께에 의한 간극의 발생을 일으키게 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음순 추종층은 음순 내벽 나아가서는 외음부와도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어, 경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체액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를 피복하는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착용자의 음순으로 향하고 있는 신체 측면, 및 상기 흡수체로 향하고 있는 흡수체 측면을 지니고, 상기 흡수체는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을 포함하며, 상기 음순 추종층은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피복재와 상기 체액 보관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복재와 함께 착용자의 음순의 형상에 맞춰 변형하는 것이며, 상기 체액 보관층은, 상기 음순 추종층으로부터 체액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음순 추종층에 접하는 것이고, 상기 음순 추종층은, 상기 체액 보관층보다도 유연한 것인 음순간 패드.
여기서, 「피복재」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일부의 외장을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따라서, 착용자의 음순의 내벽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도 좋다. 「착용자의 음순을 향하고 있는 신체 측면」이란, 피복재가 착용자의 음순의 내벽 등에 접촉할 수 있는 면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 「흡수체로 향하고 있는 흡수체 측면」은 피복재의 신체 측면의 소위 이면쪽의 면을 포함하여도 좋다. 이 피복재는 2차원적으로 펼쳐지는 시트형의 부재를 포함하여도 좋다.
「음순 추종층」은 적어도 그 일부가 피복재와 체액 보관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지만, 음순 추종층의 외장이 피복재를 겸하고 있더라도 좋다. 따라서, 외관상 음순 추종층이 직접, 음순의 내벽 등에 접촉하는 상태를 포함하여도 좋다.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의 개재 없이, 음순의 내벽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내벽 등의 형상에 따라서 자신의 형상을 추종시켜 갈 수 있다. 이 때 피복재와 함께 추종하게 되는데, 이 피복재는 음순 추종층 자신의 외장을 포함하여도 좋다. 음순 추종층은 건조 상태에 있어서 및/또는 체액(또는 경혈)을 흡수한 습윤 상태에 있어서, 체액 보관층보다도 변형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압축 변형 등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는 압축이 용이한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컨대, 압축 강도(LC)(카토테크사, 「KES 압축 특성」)가, 건조시, 습윤시를 막론하고 체액 보관층보다도 음순 추종층 쪽이 낮은 값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액」은 경혈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또한, 흡수체에 있어서, 음순 추종층의 짧은 길이 치수를 체액 보관층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음순의 내벽과 음순간 패드 사이에 간극 발생을 억제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크게 하면, 음순의 협지력에 대한 반발력과의 밸런스에 도리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체액 보관층」은 음순 추종층보다도 겉보기 밀도가 높아, 보다 강직감을 주기 쉽기 때문에, 음순 추종층을 중간에 배치함으로써 음순의 내벽에 강직감을 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액 보관층은 다공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섬유 집합체 등으로 구성되는 층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연속되는 매트릭스에 구멍이 다수 뚫려 있는 것도 포함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멍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세관의 반경(예컨대, 평균 반경)이, 음순 추종층의 상당하는 반경보다 작아도 좋다. 이에 따라, 중력과 같은 추진력 없더라도 경혈을 포함하는 체액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체액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어떠한 추진력이 있었던 경우는, 그것을 더욱 가속할 수 있다.
또한, 모세관 현상은 액체와 접촉하는 고체의 습윤성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표면 처리에 의해, 이러한 현상을 가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밀도로 설정된 음순 추종층은 여성의 전정상 및 음순 내벽의 형상에 맞춰 용이하게 변형되며,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음순 내벽 등의 표면과 음순 추종층 사이에서 경혈을 내벽 등으로부터 음순 추종층으로 체액을 이동시키고, 또한, 체액 보관층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계속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흡수체의 구조로서는, 체액 보관층의 신체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음순 추종층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체액 보관층의 의복측은 음순 추종층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따라서, 음순 추종층과 음순의 내벽 등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피복재의 적어도 일부가 투수성이면 된다. 또한, 체액 보관층과 접하는 피복재는 불투수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음순 추종층이나 체액 보관층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는 예컨대 신체측(상면)에서 의복측(하면)으로 향해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퇴적 등을 하여, 제삼자가 보아 분명히 적어도 2층 구조라고 판단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1층 구조라고 간주되는 흡수체 구조는 흡수체의 신체측(상면)과 의복측(하면)의 각각의 거동 변화에 대한 자유도가 규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흡수체는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층 구조이기 때문에, 흡수체가 3층 이상의 구조를 갖더라도 좋다. 흡수체의 신체측(상면)에서의 음순의 추종성과 의복측(하면)에서의 경혈의 보관과의 역할 분담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제3층을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 사이에 제3층을 개재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란, 설계자가 질구와 접촉하도록 의도한 위치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값이다. 측정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2) 상기 피복재의 상기 신체 측면이 상기 착용자의 음순에 접하고 있을 때는, 상기 흡수체 측면이 상기 음순 추종층에 접하고 있는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3) 상기 흡수체는,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 무게 및 부드러움을 지니고, 또한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는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4) 상기 흡수체가 확산층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확산층이 상기 음순 추종층 및 상기 체액 보관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1)에서 (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확산층」이란, 흡수되는 체액을 적당히 분산할 수 있는 층이라도 좋다. 또한, 확산층은 음순 추종층의 변형에 의한 영향을 체액 보관층에 주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확산층에는 티슈 등, 얇은 시트형 혹은 시트와 같은 것을 포함하여도 좋다. 확산층은 투수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물, 편물, 초지 등의 여러 가지 구조나 형태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 사이에 배치된다」란, 확산층의 일부가, 적어도 2개의 면을 지니고, 그 중의 일면이 음순 추종층에, 또 하나의 일면이 체액 보관층에 접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확산층이 2차원적으로 넓어지는 시트와 같은 것인 경우에 그 일면(가령 겉면)이 음순 추종층에 접하고, 그 이면측의 면이 체액 보관층에 접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확산층은 상기 음순 추종층의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보다 높은 크렘 흡수도를 갖는 것인 상기 (1)에서 (4)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확산층은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가 음순 추종층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5∼51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 100%의 섬유를 수류에 의해 교락(交絡)시키는 동시에 메쉬패터닝시켜, 단위중량 20∼50 g/m2, 두께 0.2∼1.0 mm의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은 경혈의 확산 영역을 긴 길이 방향으로 방향 짓기 위해서,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경혈 확산을 분단하고, 섬유를 긴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킴으로써 섬유의 배향 방향으로 경혈을 유도시키고, 또한 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밀도 영역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긴 길이 방향으로 경혈을 유도하는,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섬유를 긴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키거나, 또는, 과도하게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면 확산층의 강직감이 높아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수류에 의해 메쉬패터닝된 스펀레이스 부직포나,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가공을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메쉬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하면, 모세관력이 높아지고, 또한 슬릿 가공에 의해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가 보다 높아지고, 확산층으로서의 유연성도 높아져, 음순 추종층의 변형을 쉽게 한다. 확산층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후 영역의 체액 보관층의 최대 흡수량을 더욱 활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층의 치수는 체액 보관층의 치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음순 추종층은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적층하고, 체액 보관층에는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80∼99%, 입자형 고분자 흡수체를 20∼1%의 혼합비로 적층시키고, 얻어진 섬유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켜, 합계 단위중량 50∼450 g/m2, 합계의 외관 두께를 2∼20 mm 갖는 흡수체를 예로 든다. 체액 보관층의 의복측에 있어서의 흡수체 전역을 피복재로 덮어 두면,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있다. 피복재로서는 단위중량 15 g/m2에서 설정된 티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 나아가서는 확산층의 보다 적합한 구체예로서는, 체액 보관층의 의복측은 단위중량 10∼20 g/m2의 티슈로 피복되고, 그 상면의 체액 보관층에는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단위중량 60∼120 g/m2 적층하고, 체액 보관층의 신체측에 있어서의 확산층에는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5∼51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의 메쉬 스펀레이스를 부설하고, 또한 그 상면의 음순 추종층에는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단위중량 150∼250 g/m2 적층하여, 도트형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킬 수 있다. 음순 추종층의 외관 두께는 1.0∼14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체액 보관층의 외관 두께는 0.6∼6.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6) 상기 기재한 음순간 패드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상기 긴 길이 방향에 대략 평행한 절곡축을 지니고, 상기 절곡축에 의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음순 사이에 끼워 유지되는 것인 (3)에서 (5)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절곡된 상태는 둘로 완전히 절곡된 것에서부터, 약간 벌어진 상태의 것까지를 포함하여도 좋다. 예컨대, 둘로 접는 것이 이면측 시트를 서로 겹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면측 시트끼리가 접촉하는 상태나, 얼마쯤 사이가 떨어진 상태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일부에 접어 꺾는 부분이 있더라도 좋다.
(7) 상기 피복재는, 표면측 시트 및 이면측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측 시트는 투수성이며, 상기 이면측 시트는 투수성 혹은 불투수성이고, 상기 피복재는, 상기 표면측 시트 및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인 (1)에서 (6)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피복재는 1종류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2종 이상 종류의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피복재의 위치에 따라 그 기능, 예컨대 투수성 등을 변화시키더라도 좋다. 이 변화는 재료를 변경하여, 그것을 접합시킴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동일재료라도 다른 장소에 다른 처리를 실시하여 장소에 따라 기능을 변화시키더라도 좋다.
(8) 상기 음순 추종층 및 상기 체액 보관층은, 상기 긴 길이 방향 및 상기 짧은 길이 방향으로 넓어지고, 또한, 상기 음순 추종층 및 상기 체액 보관층은, 서로 겹치며, 상기 흡수체는, 상기 피복재의 상기 흡수체 측면에 상기 음순 추종층을 접하도록 하여 배치되는 (3)에서 (7)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9) 상기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는, 상기 음순 추종층의 겉보기 밀도보다도 높은 (1)에서 (8)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흡수체를 구성하는 외관 두께의 구성비가, 음순 추종층/체액 보관층은 바람직하게는 60/40∼95/5의 범위에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음순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음순간 패드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20 m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10 mm의 범위이다. 특히, 두께가 2 mm보다 작으면 경혈을 흡수했을 때 그 두께가 더욱 작게(얇게) 되어, 음순에 의한 협지력에 대하여 생기는 반발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음순 사이에서 음순간 패드가 탈락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20 mm보다 크면 음순에 의한 협지력에 대하여 생기는 반발력이 지나치게 커져, 도리어 좌우의 음순을 지나치게 넓혀 음순간 패드가 탈락될 우려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외관 두께의 구성비를 바람직하게는 음순 추종층/체액 보관층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95/5의 범위에서 설정하면 좋다. 외관 두께의 구성비를 60/40보다 작게 설정하면,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대한 추종성의 저하나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완충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우려가 있다. 한편, 95/5보다 크게 설정하면 음순 추종층에서 포획한 경혈을 체액 보관층으로 이행하기 어렵게 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 흡수체의 외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20 mm의 범위이다. 그러나, 긴 길이 방향 중심선을 대체로 따라 의복측의 피복재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접어 겹쳐져(대략 둘로 접기) 장착되는 식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접히기 전의 흡수체의 외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10 mm의 범위이다.
흡수체를 구성하는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가, 음순 추종층의 겉보기 밀도보다도 0.02 g/cm3 이상 높고,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는 0.07 g/cm3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의 차가 0.02 g/cm3 미만인 경우는, 소위 모세관 현상에 의한 경혈의 흐름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02∼0.2 g/cm3의 범위이다. 또한,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는 0.07 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07∼0.3 g/cm3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가 0.07 g/cm3 미만이면 체액 보관층을 구성하는 공극율이 높기 때문에 압축되기 쉬워, 한번 흡수 보관한 경혈이 압축 등의 변형에 의해 방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가 0.3 g/cm3보다 크면, 체액 보관층을 구성하는 공극율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경혈을 흡수하기 어렵게 되어, 더욱 강직감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층간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제나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화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화 성형의 구체예로서, 예컨대, 엠보스 가공이 있지만, 사용중의 형태 붕괴 방지나 습윤 상태라도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층간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흡수체 면적에 대한 엠보스율은 0.6∼30%의 범위이다. 음순 추종층에서 흡수한 경혈을 체액 보관층으로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장착 중에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이 층간 박리하지 않고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엠보스 가공은 흡수체에 대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상기 음순 추종층은, 제1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며, 상기 체액 보관층은 제2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섬유 집합체는 제1 섬유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섬유 집합체는 제2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섬유는 상기 제2 섬유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9)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음순 추종층 및/또는 체액 보관층은 섬유 집합체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컨대, 음순 추종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는 체액 보관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보다도 긴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비교적 소량의 경혈을 흡수하면, 경혈의 표면장력에 의해 흡수체를 구성하는 재료끼리가 서로 끌어당겨져, 재료 사이의 거리가 좁아짐으로써 외관의 흡수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음순 추종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를, 체액 보관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보다도 긴 것으로 하면, 음순 추종층이 경혈을 흡수했다고 해도, 섬유 사이의 교락점이 증가하여, 섬유 사이 거리가 섬도 이하가 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그 두께가 얇아지기 어렵다. 따라서, 음순 추종층은 용이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흡수체의 하나의 구체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음순 추종층은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체액 보관층은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80∼99%, 입자형 고분자 흡수체를 20∼1%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킨 것으로 구성된다. 이들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은 합계 단위중량 50∼450 g/m2, 합계의 외관 두께를 2∼20 mm 갖는 흡수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상대적인 외관 두께의 구성비는 60/40∼95/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음순간 추종층의 외관 두께는 1.0∼14 mm이며, 체액 보관층의 외관 두께는 0.6∼6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한편, 「주체적」이란 각 층의 중량에 대하여 60% 이상의 중량을 동일 물질이 나타냈을 때, 그 물질을 주체적인 물질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보다도 압축 변형이 용이한 지표로서, 압축 강도(LC)를 들 수 있다. 이하에 구체예를 든다. 음순 추종층은 섬도 3.3 dtx, 섬유 길이 51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을 85%, 천연 코튼을 15%의 혼합비로 구성하고, 단위중량 180 g/m2로 적층하여, 외관 두께를 2.5 mm로 설정했다. 체액 보관층은, 섬유 길이 2∼5 mm으로 이루어지는 펄프 100%로 구성되며, 단위중량 80 g/m2로 적층하여, 외관 두께를 1.0 mm로 설정했다. 각 층의 시험편(5 cm×5 cm)을 시험대에 놓고, 압축 면적 2 cm2의 원형 평면을 갖는 동판의 속도를 50 mm/sec로 하여, 최대 하중 4900 Pa까지 압축했다. 압축 강도(LC)는 압축 특성(시료의 왜곡과 시료에 걸린 응력과의 관계)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값이 높을수록 압축에 대한 강도가 높아진다. 상기 각 층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음순 추종층은 0.32 Pa이며,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는 0.41 Pa이었다. 이에 따라, 흡수체가 습윤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보다도 용이하게 압축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 내벽에의 추종성을 유지하고,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음순 추종층으로 완화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내는 습윤 상태란, 각 층의 최대 흡수량까지의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다.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는, 체압이 걸렸을 때는 적은 저항(저저항)으로 압축됨으로써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고, 체압이 해제되었을 때는 두께가 회복됨으로써 음순간 패드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는, 저저항으로 압축되며, 높은 두께의 회복율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순 내벽과 대면하고 있는 음순 추종층에서 상기 기능을 갖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피부에의 감촉을 고려하면, 밀도차에 의해 강성차를 얻는 엠보스 가공보다도, 섬유 교락을 분단함으로써 강성차를 얻는 슬릿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슬릿 가공으로서는, 짧은 길이 방향으로 파선형으로 연장되고, 긴 길이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것이라도 좋으며, 길이 10 mm의 슬릿 날에 의해서 행하는 슬릿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 등을 적층시킬 때에, 사용하는 섬유를 무배향으로 함으로써, 섬유 자체의 배향에 의한 강직감을 저하시켜, 흡수체의 유연성을 높이더라도 좋다. 예로서는, 섬유를 적층한 후의 흡수체에 장력이 걸리기 어렵게 하여 반송하는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의 배향성의 지표로서는, 섬유를 적층한 섬유 집합체에 서로가 평평한 면을 갖는 롤에 의해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흡수체의, 긴 길이 방향으로의 최대 인장 강도와의 비, 즉 긴 길이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최대 인장 강도로 나눈 값을 들 수 있으며, 이것이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1) 상기 피복재는, 표면측 시트 및 이면측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측 시트는 투수성이고, 상기 이면측 시트는 투수성 혹은 불투수성이며, 상기 피복재는, 상기 표면측 시트 및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축을 따라서 이면측 시트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표면측 시트를 겉으로 낸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향해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긴 볼록형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양측부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체액 보관층은, 상기 음순 추종층보다도 상기 이면측 시트쪽에 배치되며, 상기 체액 보관층의 일부가 상기 긴 볼록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체액 보관층을 연장 영역의 양측부에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경혈 등이 보관되어 있는 체액 보관층의 양측부는 병용하는 패드 혹은 의복 등에 접촉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좌우 방향에서 병용 패드 혹은 의복 등에 경혈이 새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음순 추종층이 연장 영역에까지 연장됨으로써, 음순 추종층과 음순 내벽뿐만 아니라 외음부와의 밀착 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더욱 경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체액 보관층은 적어도 그 일부가 긴 볼록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에 대체로 따르는 영역(꼭대기부)에 배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액 보관층의 밀도는 높아지도록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정상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의 동작에 의해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이 착용자에게 전해져, 이물감을 주기 쉽게 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12) 상기 이면측 시트에는 미니 시트 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또는 (1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긴 볼록형 영역을 형성하여, 그 밑으로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공간이 생길 때에, 그 삼각형의 저변에 상당하는 곳에 미니 시트 조각을 부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생긴 삼각형의 개구에는 착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순 사이에 장착할 때에는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의 긴 길이 방향중심선 부근에 손가락을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의 강성에 의해 음순을 밀어 열 수 있기 때문에 전정상에까지 확실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수 있고, 전정상 혹은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과의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의 긴 길이 방향 중심선 부근에 손가락을 접촉시키기 위해서, 이면측 시트의 의복측의 긴 길이 방향 양측부에 있어서 1곳 이상의 접합 부분과,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1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으로써 접합된 미니 시트 조각을 갖춤으로써, 이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으로 손가락을 확보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의복측에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갖는 미니 시트 조각을 갖춘 음순간 패드는 손가락의 지문면이 이면측 시트에 접하도록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감수성이 우수한 손끝으로 오목부인 질구 위치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한 위치에서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음순간 흡수층의 형상은 여성의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우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타원형, 호리병형, 물방울형 등, 여성의 음순 영역에 적합한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전체 형상]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한 형태에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우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와 흡수체를 피복하는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로서, 흡수체는, 신체측에 위치하는 음순 추종층과, 그 아래쪽(의복측)에 위치하고 신체측은 음순 추종층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는 체액 보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음순간 패드가 장착되었을 때에,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보다도 압축되기 쉽기 때문에 변형이 용이하고, 겉보기 밀도가 체액 보관층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흡수체에 있어서는, 음순 내벽과 가까운 위치에 체액 보관층보다도 용이하게 압축 변형 가능한 음순 추종층을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음순이 상하 방향을 축으로 좌우 방향으로 굴곡되어 음순 내벽의 요철형이 변형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은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대하여 용이하게 압축 변형 가능하고, 또한 체액 보관층의 신체 측면은 음순 추종층에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음순 추종층으로 완충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음순 추종층이 체액 보관층보다도 압축되기 쉬워 변형이 용이한 것은, 건조상태, 나아가서는 경혈을 흡수한 습윤 상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순 추종층은 상기 체액 보관층보다도 변형 등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압축 시험에 있어서, 압축 강도(LC)가 건조시, 습윤시를 막론하고 체액 보관층보다도 음순 추종층 쪽이 낮은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중에 흡수체가 습윤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이 체액 보관층보다도 먼저 음순 내벽의 형태변화에 용이하게 따르기 때문에,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완화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이 체액 보관층의 신체 측면(신체 특히 음순에 접하는 피복재로 향하는 면이라도 좋음)에는 음순 추종층이 배치됨으로써, 겉보기 밀도가 높은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직접 음순 내벽으로 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인차, 행동 변화에 의해서 음순 사이의 깊이 변화가 일어났을 때라도, 흡수체에 있어서의 짧은 길이 치수를 체액 보관층보다도 음순 추종층을 크게 함으로써 체액 보관층의 두께에 의한 공간의 발생을 일으키게 하지 않게 하기 때문에, 음순 추종층은 음순 내벽 나아가서는 외음부와도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어, 경혈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음순 내벽과 가까운 위치에 밀도를 낮게 설정한 음순 추종층과 그 하면(의복측)에 밀도를 높인 체액 보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 내벽을 아래쪽으로 따라서 흐르는 고속 다량의 배설 경로에 대하여도 음순 추종층으로 경혈을 포획하여,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 보관층으로 계속해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차 경혈이 배설되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으로 포획할 수 있다. 이로써,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을 포함하는 흡수체는 경혈 흡수에 의해, 음순 추종층에서 흡수의 포화 상태가 일시적으로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흡수 경혈은 체액 보관층으로 이송되기 때문에 흡수체의 최대 흡수량을 활용하게 되어, 다량의 경혈이라도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흡수체의 의복측면인 체액 보관층에서부터 경혈을 축적해 나가기 때문에, 음순 등의 신체에 접하는 음순간 패드의 표면에 경혈을 체류시키기 어렵게 하여, 경혈 체류에 의해 생기는 유동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의 탈락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체액 보관층의 압축 용이성이 음순 추종층과 동등하거나, 나아가서는 그보다 압축되기 쉬워 변형이 용이했던 경우에는, 전체 변형에 따른 섬유 사이의 공간이 용이하게 변형되어 버리면 한번 공간에 보관한 경혈이 다시 방출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재차 음순 추종층을 통과시켜 혹은 그 이외의 경로에서의 경혈 누설의 우려가 높아질 뿐만이 아니라, 음순간 패드의 표면으로 되돌아온 경혈이 체류하여, 음순간 패드가 탈락되어 버릴 가능성도 높아진다. 여기에 나타내는 흡수체로서의 최대 흡수량에 관한 평가 방법은 후술한다.
흡수체의 구조로서는, 체액 보관층의 신체측이 음순 추종층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즉 용이하게 압축 변형 가능한 음순 추종층이 음순 내벽과 대면하여 용이하게 변형함으로써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으면 되기 때문에, 체액 보관층의 의복측은 음순 추종층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제1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10)의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는, 체액 보관층(12)의 신체측을 음순 추종층(14)에 의해서 피복한 흡수체가 액체 투과성 재료인 피복재(1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음순간 패드(10)의 배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서, 도면에서 상측을 신체측(22a), 도면에서 하측을 의복측(22b), 피복재(16)는 도면에서 하부에 있어서 피복재 오버랩부(18)를 형성하여, 흡수체를 피복한다. 또한, 피복재 오버랩부(18)는 장착한 음순간 패드(10)를 꺼내기 위한 탭으로 하여도 좋다.
도면에서 상측에 교차된 선(52, 54)은 음순간 패드(10)의 평면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음순간 패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도 1에서 안쪽측을 52 b로 하고, 앞쪽측을 52f로 한다. 또한, 음순간 패드(1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도 1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54r로 하고,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54l로 한다. 이 음순간 패드(10)는 소정의 길이를 지니며, 길이 방향이 긴 길이 방향이며, 또한 폭 방향은 짧은 길이 방향이다.
상기 음순 추종층(14)은 용이하게 압축 변형 가능하며 음순 내벽의 형태 변화에 따라서 밀착되고, 동시에 체액 보관층(12)의 강직감을 완화한다. 또한, 음순 추종층(14)으로 체액을 포획하여, 체액 보관층(12)과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을 계속해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순에 가까운 음순 추종층(14)으로부터의 체액 누설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음순간 패드(10)를 장착한 경우에는, 긴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의복측의 피복재(16)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접어 포개어져 장착됨으로써, 좌우의 음순에 대면하고 있는 긴 길이 방향 중심선을 대상축으로 한 좌우의 음순간 패드의 신체 측면(17)은 착용자의 동작 변화에 따른 좌우 음순의 거동 변화에 대하여 따라가기 쉽게 되기 때문에, 전정상 혹은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10)의 신체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서는, 체액 보관층(12)의 신체측 및 의복측도 음순 추종층(14)에 의해서 피복한 흡수체라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신체측의 음순 추종층(14)과 의복측의 음순 추종층(14)이 역할 분담을 한다. 즉 신체측의 음순 추종층(14)은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따라 용이하게 압축 변형되고, 의복측의 음순 추종층(14)은 체액 보관층(12)의 강직감을 완화하는 말하자면 쿠션층 역할을 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더욱 주기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경혈을 보관한 체액 보관층(12)에 외압을 주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체액 보관층(12)으로부터의 경혈이 반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여기에 나타내는 음순 추종층(14)이나 체액 보관층(12)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란, 예컨대 신체측(22a)에서 의복측(22b)으로 향해서 서서히 밀도가 높아지도록 퇴적 등을 하여, 제삼자가 보아 분명히 적어도 2층 구조라고 판단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1층 구조라 간주되는 상기 흡수체의 구조는 흡수체의 신체측(22a)과 의복측(22b)의 각각의 거동 변화에 대한 자유도가 규제되어 버리기 때문에, 흡수체에 있어서의 신체측(22a)에서의 음순에의 추종성과 의복측(22b)에서의 경혈의 보관과의 역할 분담을 양립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적어도 2층 구조란, 흡수체가 3층 이상이라도 된다는 것인데, 흡수체의 신체측(22a)에서의 음순의 추종성과 의복측(22b)에서의 경혈의 보관의 역할 분담을 저해하지 않는 위치에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음순 추종층(14)과 체액 보관층(12)과의 사이에 제3층을 개재시키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란, 설계자가 질구와 접촉하도록 의도한 위치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값이며, 이하의 조건 하에서 측정된 흡수체의 체적과 중량으로부터 환산한 것이다. 설계자가 질구와 접촉하도록 의도한 위치란, 대부분의 설계자는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긴 길이 축 중심선 상에서 질구와 접촉하도록 의도하여 설계하지만,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짧은 길이 축 중심선 상에서 질구와 접촉하도록 의도하여 설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자세히 기재한 것이다.
[겉보기 밀도의 측정 방법]
전술한 겉보기 밀도의 측정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① 우선,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질구와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흡수체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하여, 긴 길이 축 중심선에서부터 좌우로 각 5 mm(합계 10 mm 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면적을 측정했다. 흡수체의 단면적의 측정 방향은 무하중으로 측정할 수 있으면 한정하지 않지만, 본 건에 있어서는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기엔스사 VH-6200)로 단면적을 측정했다. 흡수체가 절곡되고 있기 때문에, 엠보스 가공 등을 실시하여 전체적으로 파상이 되는 등, 흡수체가 평면 형상이 아닌 경우는 단면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평면형으로 펴서 측정했다. 흡수체가 2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대로의 상태에서 각 층에 있어서의 단면적을 측정했다. ② 이어서, 다른 흡수체 샘플에 있어서, 질구와 접촉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각 5 mm(합계 10 mm 폭)의 위치와 전후 방향으로 각 5 mm(합계 10 mm 폭)의 위치에서 컷트했다. ③ 그리고, 10 mm×10 mm 크기로 컷트한 ②의 공정에서 얻어지는 샘플의 중량을 측정했다. 이 때, 각 층이 접착제나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각 층의 중량 변화가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분리시켰다. ④ 또한, 무하중 하에서 측정한 단면적(① 공정)과 10 mm×10 mm의 면적을 곱셈하여, 체적을 구했다. ⑤ 이상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중량(③의 공정)을 체적(④의 공정)으로 나눈 값을 N=10으로 하여, 본 건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겉보기 밀도로 했다.
또한, 흡수체의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복수의 종류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컨대 섬유형의 레이온과 입자형 고분자 흡수체를 혼합하여 흡수체를 구성했을 때라도, 상기와 같은 측정 방법이라면 각 층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①의 공정에서 말하는 긴 길이 축 중심선에서부터 좌우로 각 5 mm(합계 10 mm 폭)의 크기가 없는 샘플에 있어서는, 가능한 긴 길이 축 중심선으로부터의 범위에 있어서 단면적을 측정하여, 그 범위에 맞춰 상기 ②의 공정에 나타내는 샘플 컷트를 하여 중량을 측정한다. 샘플 컷트의 크기에 따라 겉보기 밀도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샘플 컷트의 크기에 관해서는 적시에 샘플의 크기에 맞춰 변화시키더라도 좋다.
다시 도 1로 되돌아가,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음순간 패드(10)는 가장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체액 보관층(12)과,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음순 추종층(14)과, 이들을 둘러싸 피복하는 피복재(16)로 구성되어 있다. 음순간 패드(10)는 본 도면에 있어서 약간 둥근 단면 긴 사각의 각주형을 하고 있는데, 그 양단에 있어서는, 단면적이 작아져, 사각 방추형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10)의 피복재(16)에 있어서, 의복측(22b)에는 피복재 오버랩부(18)가 형성되어, 여기를 닫음으로써, 상기 체액 보관층(12)과 음순 추종층(14)을 피복할 수 있다. 상기 피복재 오버랩부(18)는 음순간 패드(10)를 꺼내기 위한 탭으로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피복재(16)의 양측면에는 음순에 끼워져 음순 내벽(도시하지 않음)과 접촉하는 신체 측면을 갖지만, 음순간 패드(10)의 꼭대기부도 또한, 신체에 접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피복재(16)의 표면을 주로 피복재(16)의 신체 측면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피복재(16)의 신체 측면의 이면의 면은 흡수체(체액 보관층(12)과 음순 추종층(14)을 포함하는 것)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체 측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체액 보관층(12)은 그 단면에 있어서 세로 길이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있는데, 그 양측면 및 꼭대기부가 음순 추종층(14)에 접하고 있다. 여기서, 접한다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근접하는 것을 의미하여도 좋고, 일반적으로는 기계적인 혹은 역학적인 영향을 주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경혈의 흐름이 화제가 될 때는, 이 흐름이 영향을 받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음순 추종층(14)은 음순의 내벽 등의 형태 변화에 유연하게 추종하여, 자신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경혈은 음순간 패드(10)의 피복재(16)를 지나, 음순 추종층(14)을 경유하여, 체액 보관층(12)에 도달할 수 있다. 음순의 내벽 등의 형태 변화에 유연하게 추종하여, 자신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순의 내벽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기기 어려워, 그 공간에 기인하는 경혈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을,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에서는, 도 1의 음순간 패드(10)가 음순(56)의 사이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내어져 있다. 음순의 내벽은 착용자의 자세 등에 따라 그 요철 상태가 변형된다. 예컨대, 음순 추종층(14)은 음순 내벽의 형상에 따라서 부분(15a)이나 부분(15b)과 같이 완만하게 만곡되고 있다. 또한, 음순 추종층(14)은 부분(15c)과 같이 도면으로 향하여 우측으로 돌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음순간 패드(10)는 그 음순 추종층(14)과 피복재(16)가 유연하게 이들의 변형에 대응하여, 음순의 내벽 등에 밀착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간극으로부터 생기기 쉬운 경혈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6에서는 비교예로서, 밀도가 높고 강성이 높은 부재(904)를 양측에 배치하고, 중앙에 밀도가 낮고 강성이 낮은 부재(902)를 배치한 음순간 패드(900)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와 마찬가지로 음순은 변형하고 있지만, 밀도가 높고 강성이 높은 부재(904)는 이 변형에 잘 따라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900)의 상측(신체측)에 간극(915a)이 생기고 있다. 또한, 음순간 패드(900)의 도면으로 향하여 좌측에도 간극(915b)이 생기고 있다. 더욱이, 음순간 패드(900)의 도면으로 향하여 우측에는 음순의 내벽의 밀도가 높고 강성이 높은 부재(904)에 좁은 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곳이 있어, 동 부재(904)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그 주변에서 간극(915c)을 만드는 원인으로 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의 종선은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음순간 패드(40)의 신체측(22a) 및 의복측(22b)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면에서 상측에 교차한 선(52, 54)은 음순간 패드(40)의 평면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음순간 패드(4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도 2에서 안쪽측을 52b로 하고, 앞쪽측을 52f로 한다. 또한, 음순간 패드(40)의 폭 방향을 따라서 도 2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54r로 하고,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54l로 한다. 이 음순간 패드(40)는 소정의 길이를 지니고, 길이 방향이 긴 길이 방향이며, 또 폭 방향은 짧은 길이 방향이다. 이 음순간 패드(40)는 체액 보관층(42)이 상기 크로스된 선(52, 54)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대체로 따르도록 2차원적으로 넓어지고 있으며, 그 위에 체액 보관층(42)이 그 의복측의 면에 있어서, 체액 보관층(42)의 신체측의 면과 접촉하여 마찬가지로 2차원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단, 음순 추종층(44)은 체액 보관층(42)보다 폭이 넓기 때문에, 체액 보관층(42)의 양 사이드에 공간(51)이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체액 보관층(42)과 음순 추종층(44)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는 피복재(46)의 의복측(22b)의 구성 요소인 이면측 시트(46b)(마찬가지로 2차원적으로 넓어짐)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이면측 시트(46b)의 우측 및 좌측의 측단부(49)는 피복재(46)의 신체측(22a)의 구성 요소인 표면측 시트(46a)의 측단부(49)에 있어서 접합되고, 표면측 시트(46a)는 흡수체(체액 보관층(42)과 음순 추종층(44)을 포함함)를 피복하고 있다. 표면측 시트(46a)는 그 신체 측면(47)에 있어서 음순의 내벽 등에 접촉한다. 이면측 시트(46b)는 그 하측(의복측(22b))에 의복측면을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도 2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액 보관층(42)은 그 신체측에 있는 면에서만 음순 추종층(44)과 접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제2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40)를 음순 사이에 끼워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음순간 패드(40)는 피복재(46)의 이면측 시트(46b)를 서로 겹치도록 긴 길이 방향(52)을 대체로 따른 절곡축을 따라서 둘로 절곡하도록 하여, 좌우의 음순(56) 사이에 끼워지고 있다. 따라서, 피복재(46)의 표면측 시트(46a)의 신체 측면은 음순의 내벽면 및 음순 속의 벽에 접하게 된다. 이러한 장착에 의해, 실질적으로 도 1과 같은 형상으로, 음순간 패드(40)는 음순 사이에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경혈은 대부분이 신체 측면을 경유하여 체액 보관층(42)에 흡수되기 때문에, 이면측 시트(46b)는 불투수성인 것이라도 좋다. 한편, 도 2의 공간(51)은 절곡으로 그 크기를 약간 작게 하지만, 절곡된 상태라도, 공간으로서 남아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음순간 패드(6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거의 중앙부에 좌우로 넓어지는 체액 보관층(62)과 상기 체액 보관층(62)을 둘러싸는 음순 추종층(64)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를, 피복재(46)의 표면측 시트(46a)와 피복재(46)의 이면측 시트(46b)가 감싸, 피복하고 있다. 표면측 시트(46)와 이면측 시트(46b)는 그 측단(49)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이 음순간 패드(60)에서는, 따라서, 그대로 도 1과 같이 음순 사이에 장착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혹은, 도 3과 같이 둘로 접기 하여 장착하더라도 좋다. 전자의 경우는 상기 음순간 패드(60)를 세워, 음순 추종층(64)의 좌우의 부분을 각각 신체측(22a) 및 의복측(22b)에 배치하게 된다. 이 때 음순 추종층(64)의 상부분(64a) 및 하부분(64b)은 각각 좌우의 음순의 내벽의 형상에 따라 변형된다. 후자의 경우는 신체 측면(47)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되고, 그 면이 음순의 내벽 등에 접촉하여 그 형태를 변화시키게 된다.
[제4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음순간 패드(7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거의 중앙부에 좌우로 넓어지는 체액 보관층(72) 상에는 마찬가지로 넓어지는 확산층(78)이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그 위에는, 마찬가지로 넓어지는 음순 추종층(74)이 배치되고 있다.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액 보관층의 폭이 좁기 때문에 간극(51)이 생기고 있다. 이들 체액 보관층(72), 확산층(78) 및 음순 추종층(74)으로 이루어지는 흡수체는 각각의 측단부(49)에서 접합되고 있는 피복재(46)의 표면측 시트(46a) 및 피복재(46)의 이면측 시트(46b)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 음순간 패드(70)에서는, 도 3과 같이 둘로 접어 음순 사이에 장착하여도 좋다. 이 때, 신체 측면(47)을 외측으로 하여 절곡되고, 그 면이 음순의 내벽 등에 접촉하여 그 형태를 변화시키게 된다. 신체 측면(47)으로부터 들어 온 경혈은 일단은 음순 추종층(74)에 흡수되지만, 확산층(78)에서 적절하게 확산되어 그 아래의 체액 보관층(72)에 넓은 면적으로 흡수되어 간다. 이와 같이 하면 체액 보관층(72)의 흡수가 균일하게 되어, 흡수 속도 등의 흡수 능력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제5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
도 6은 도 2의 음순간 패드(40)에 있어서, 더욱 절곡 등의 가공을 더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한 별도의 제5 실시예인 음순간 패드(40a)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음순간 패드(40a)에서는, 단면 형상에 있어서, 끝이 삼각으로 뾰족한 챙이 달린 모자와 같은 형태로 하고 있으며, 각각의 영역에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짧은 길이 방향 중앙부(혹은, 높이 방향 신첵측)에, 긴 볼록형 영역(84)이 있어, 주로 음순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또한, 이 긴 볼록형 영역의 양측부에서 짧은 길이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있는 연장 영역(82)이 있어, 음순 사이에는 끼우지 않도록 하는 것이 통상인데, 신체에 접하게 되는 영역이다. 한편, 구성 요소인 각 부재는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며, 이면측 시트(46b)의 신체측(22a)의 표면 상에 체액 보관층(42)이 배치되고, 그 위에 음순 추종층(44)이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그 위에는, 표면측 시트(46a)가 배치되어, 흡수체 전체를 이들 측단부(49)로 접합된 표면측 시트(46a) 및 이면측 시트(46b)로 이루어지는 피복재(46)에 의해서 피복한다. 이 때, 도 2에 있어서 보이는 간극(51)은 음순 추종층(44)의 저부(44c) 아래에 상당하며, 챙 형상으로 되접음으로써, 상기 간극(51)은 대부분 없어지고 있다. 흡수되는 경혈은 표면측 시트(46a)를 지나 흡수되기 때문에, 음순 사이에 끼워지는 표면측 시트(46a)의 긴 볼록형 영역(84)을 통과한 경혈은 표면측 시트(46a)의 의복측(22b)의 면에 접하는 음순 추종층(44)의 꼭대기부(44a) 및 측부(44b)에서 흡수된다. 연장 영역(82)에 위치하는 음순 추종층(44)의 저부(44c)는 음순의 내벽을 타고 음순 밖으로 나가고자 하는 경혈 또는 측부(44b)로부터 이동하는 경혈을 흡수하지만, 그 양은 그다지 많지 않다고 추측된다. 음순 추종층(44)의 꼭대기부(44a) 및 측부(44b)에 일단 흡수된 경혈은 또한, 모세관력 등에 의해 체액 보관층(42)으로 이송된다. 음순 추종층(44)의 저부(44c)의 의복측(22b)에는 체액 보관층(42)이 없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저부(44c)에는 그다지 많은 경혈이 흡수되지 않는다고 추측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체액 보관층(42)을 배치하면, 연장 영역(82)을 형성하기 위해서 음순간 패드를 되접어 꺽는 것이, 접은 자국이 두껍게 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된다.
[제6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
도 7은 도 6의 제5 실시예와 체액 보관층(42)이 둘로 나뉘어져 있는 점에서 다른 제6 실시예인 음순간 패드(40b)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6에 있어서 42a로 나타내어져 있는 위치에 간극(41)이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겹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체액 보관층(42)은 둘로 나뉘어 음순 추종층(44)의 의복측(22b)의 표면에 배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음순 추종층(44)의 꼭대기부(44a)의 의복측(22b)에는 배치되지 않고, 양측부(44b)의 의복측(22b)으로 분할된 체액 보관층(42)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음순 추종층(44)의 저부(44c)의 의복측(22b)에는 배치되지 않지 않는 것은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다. 이와 같이 꼭대기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간극(41)을 내면, 음순간 패드(40b)의 꼭대기부 근방의 절곡축을 따라서 음순간 패드(40b)를 절곡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제7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
도 8은 도 6의 제5 실시예에 미니 시트 조각(48)을 붙인 제7 실시예인 음순간 패드(40c)를 도시한 것이다. 미니 시트 조각(48)을 붙인 점을 제외하면,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미니 시트 조각(48)은 그 좌우의 측단부(49)에 있어서 피복재(46)의 이면측 시트(46b) 및/또는 피복재(46)의 표면측 시트(46a)의 측단부(49)와 함께 접합되어 있다. 이 때, 연장 영역(82)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46b)와 접합되어 있더라도 좋고, 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긴 볼록형 영역(84)의 아래에 생기는 삼각형의 간극(53)은 음순간 패드(40c)를 장착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 구멍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니 시트 조각(48)을 첨부하면, 긴 볼록형 영역(84)의 형상을 안정화시키기 쉽게 된다.
도 9에서부터 도 14는 여러 가지 치수의 체액 보관층(42)과 음순 추종층(44)을 갖는 긴 볼록형 영역(84)을 지닌 여러 가지 음순간 패드가 장착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피복재 등의 다른 부재는 나타내고 있지 않는다.
도 9에서는 평균적 깊이의 음순을 갖는 착용자가, 음순 추종층(44d)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체액 보관층(42d)보다도 긴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음순(56)의 내벽의 짧은 길이 방향의 늘어나는 길이보다도 음순 추종층(44d)은 길기 때문에, 그 짧은 길이 방향의 단부는 튀어나온 것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0은 얕은 음순을 갖는 착용자가, 도 6과 같이 체액 보관층(42e)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음순 추종층(44e)의 그것보다도 약간 짧은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약간 깊은 음순을 갖는 착용자가, 음순 추종층(44f)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체액 보관층(42f)보다 긴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음순(56)의 내벽의 짧은 길이 방향의 늘어나는 길이보다도 음순 추종층(44f)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음순의 내벽이 전부 음순 추종층(44f)과 접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2에서부터 도 14는 체액 보관층(42)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음순 추종층(44)의 그것보다도 긴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평균적인 깊이의 음순을 갖는 착용자가, 음순 추종층(44g)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특히 짧고, 또, 체액 보관층(42g)의 짧은 길이 방향 길이보다도 짧은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순 추종층(44g)이 특히 짧기 때문에, 음순 내벽에는 이 음순 추종층(44g)에 접하지 않는 부분이 있게 된다. 한편, 체액 보관층(42g)은 통상의 길이이기 때문에, 음순 사이를 약간 튀어나오고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음순 내벽이 음순 추종층(44g)에 접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간극(43g)이 생기고 있다.
도 13은 약간 얕은 음순을 갖는 착용자가, 체액 보관층(42h)의 짧은 길이 방향 길이가 특히 길고, 음순 추종층(44h)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나 음순의 내벽의 늘어나는 길이보다도 긴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음순의 내벽은 음순 추종층(44h)에 접하고 있지만, 그 바로 외측에서는 연장 영역의 체액 보관층(42h)과의 사이에 간극(43h)이 생기고 있다.
도 14는 약간 깊은 음순을 갖는 착용자가, 음순 추종층(44i)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체액 보관층(42i)보다 짧은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음순 추종층(44i)이 특히 짧기 때문에, 음순 내벽에는 이 음순 추종층(44i)에 접하지 않는 부분이 있게 되어, 체액 보관층(42i)과의 사이에 간극(43i)이 생기고 있다.
도 17에서부터 도 20은 그 완성품이 도 8과 같은 단면도를 갖는 음순간 패드(100)를 부품마다 나타내고, 단계적으로 만들어 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음순 추종층(74)과 체액 보관층(72)을 접합시켜 흡수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음순 추종층(74), 체액 보관층(72) 및 확산층(78)에는 선단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슬릿(77a), 세로 길이 중앙부로 연장되는 슬릿(77c), 연장 영역으로 이행하려는 곳에 세로 길이로 연장되는 슬릿(77s), 그리고, 좌우 방향 또는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77v)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엠보스 가공에 의한 딤플(71a)이 몇 개인가 형성되어 있다. 체액 보관층(72)에는 엠보스 가공에 의한 딤플(71b)이 몇 개인가 형성되어 있다. 확산층(78)은 옵션으로서, 음순 추종층(74)과 체액 보관층(72)과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음순간 패드에는 확산층(78)을 음순 추종층(74)과 체액 보관층(72)과의 사이에 끼운 것과, 사이에 끼우지 않은 것을 실시예로서 들 수 있다. 체액 보관층(72)에 있어서 경혈이 퍼져 흡수되기 쉽게 되므로, 확산층(78)이 있는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확산층(78)에는 딤플(71c)이 있는데, 그 기재는 메쉬형이며, 메쉬의 구멍(79)이 널리 분포하고 있다. 이들 부품을 조립한 것이 도 18에 도시하는 흡수체(80)이다.
도 19는 피복재(46)의 표면측 시트(46a) 및 피복재(46)의 이면측 시트(46b)를 포함하는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는 표면측 시트(46a)와, 음순 추종층(74)과, 체액 보관층(72)과, 이면측 시트(46b)를 이 순서로 적층한 것, 또는, 표면측 시트(46a)와, 음순 추종층(74)과, 확산층(78)과, 체액 보관층(72)과, 이면측 시트(46b)를 이 순서로 적층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음순 추종층(74), 체액 보관층(72) 및 확산층(78)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 피복재(46)의 구성 부품인 표면측 시트(46a)와 이면측 시트(46b) 및 그 밖의 부품의 재질 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들 구성 부품은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주연부를 핫멜트 등으로 접합하여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0A에서부터 도 20D는 형성된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를 절곡 등의 추가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완성된 음순간 패드(100)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A에는 도 19에 있어서 조립된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가, 세로 길이의 축을 대체로 따른 절곡축(52)(52f는 전방, 52b는 후방)과 아울러 나타내어져 있다. 이 축에 교차하는 축은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며,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54r,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54l라고 부를 수 있다. 상기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는 주연부에 상당하는 측단부(49)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다. 도면 중의 만곡된 화살표에 따라서, 상기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를 하측으로 절곡한다. 이 때, 상기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의 상측의 면이 신체측(22a)으로 된다. 도 20B는 상기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는 절곡축(52)을 따라서 산형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있는 곳을 나타내고 있다. 도 20C는 연장 영역(82)을 형성하도록, 접어 꺾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산형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꼭대기부 근방은 도 6에 있는 것과 같은 긴 볼록형 영역(84)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넓어진 상기 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의 연장 영역(82)의 바닥측의 면에 미니 시트 조각(48)을 더욱 부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긴 볼록형 영역(84)의 산형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0D의 완성품(100)에서는, 미니 시트 조각(48)의 비접합부(음순간 패드 또는 그 중간체(90)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곳)를 세로 길이 축을 따른 선으로 조립하여, 연장 영역(82)의 접어 꺾은 것을 원래로 되돌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음순간 패드(100)의 완성품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 개별 또는 집합적인 포장을 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측면을 재료나 수치를 바꾸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흡수체의 구성]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 「흡수체」는 외관 두께의 구성비는 음순 추종층/체액 보관층이 바람직하게는 60/40∼95/5에서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음순 추종층(44)과 체액 보관층(42)이 겹쳐지고 있고, 음순 사이에 끼워 장착된 상태에서의 음순간 패드(4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20 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10 mm의 범위이다. 특히, 두께가 2 mm보다 작으면 경혈을 흡수했을 때 그 두께가 더욱 작게(얇게) 되어, 음순에 의한 협지력에 대하여 생기는 반발력이 약해져, 음순 사이에서 음순간 패드가 탈락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20 mm보다 크면 음순에 의한 협지력에 대하여 생기는 반발력이 커져, 도리어 좌우의 음순을 지나치게 넓혀 음순간 패드가 탈락될 우려가 커질 뿐만 아니라,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흡수체를 구성하는 외관 두께를 바람직하게는, 음순 추종층/체액 보관층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60/40∼95/5에서 설정하면 좋다.
외관 두께의 구성비를 60/40보다 작게 설정하면,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대한 추종성의 저하나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완충하기 어렵게 됨으로써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줄 우려가 있을 수 있다. 한편, 95/5보다 크게 설정하면 음순 추종층에서 포획한 경혈을 체액 보관층으로 이행하기 어렵게 된다고 생각되며, 체액 보관층보다 먼저 음순 추종층이 포화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흡수체로서의 최대 흡수량을 다 활용할 수 없는 채로 경혈 누설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흡수체의 외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20 mm의 범위이다. 그러나, 긴 길이 방향 중심선을 대체로 따라서 의복측의 피복재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접어 포개어져(대략 둘로 접기)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접히기 전의 흡수체의 외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10 mm의 범위이다. 외관 두께는 앞서 나타낸 단면적을 측정하는 상태, 즉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질구와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흡수체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에 있어서, 무하중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 흡수체를 구성하는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가, 음순 추종층의 겉보기 밀도보다도 0.02 g/cm3 이상 높고, 겉보기 밀도는 0.07 g/cm3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밀도차가 0.02 g/cm3 미만인 경우는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조밀 경사가 완만하게 되기 때문에, 표면장력에 기인하는 상대적인 모세관력의 차가 감소하여, 소위 모세관 현상에 의한 경혈의 흐름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음순 추종층에서 포획한 경혈을 체액 보관층으로 이송하기 어렵게 되어, 체액 보관층이 포화 상태가 되기 이전에 음순 추종층이 포화 상태가 되어 버려, 가령 재차 음순 내벽을 아래쪽으로 따라서 흐르는 고속 다량의 경혈이 배설된 경우, 포화 상태인 음순 추종층의 음순 내벽으로부터 경혈을 흡수하는 힘이 꽤 저하하고 있어, 흡수에 의한 경혈의 유출 방지를 하기가 어렵게 된다고 생각된다.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밀도차는 바람직하게는 0.02∼0.2 g/cm3의 범위이다. 또한,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는 적어도 0.07 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07∼0.3 g/cm3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컨대,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가 0.07 g/cm3 미만이면 체액 보관층을 구성하는 공극율이 높기 때문에 압축되기 쉽게 되어, 한번 흡수 보관한 경혈을 압축 등의 변형에 의해 방출하게 된다고 하는 우려가 있다. 한편,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의 겉보기 밀도가 0.3 g/cm3보다 크면, 체액 보관층을 구성하는 공극율이 지나치게 작아, 경혈을 흡수하기 어렵게 되고, 또한, 강직감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피복재의 재료]
피복재에 피복되어 있는 흡수체에 이용되는 재료는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다.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보다도 용이하게 압축 변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용되는 재료는 이러한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취사선택된다. 예컨대, 음순 추종층 및/또는 체액 보관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구별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합성 섬유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트형 재료는 분말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하더라도 좋다. 분말 혹은 과립형으로 한 재료는 음순 추종층이 체액 보관층에 사용함으로써 분말형으로 된 개개의 재료가 연동되지 않고 자유도가 높아짐으로써 음순, 나아가서는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대하여도 추종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기 어렵게 된다. 또한, 흡수체로서 셀룰로오스 발포체, 합성 수지의 연속 발포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발포체를 음순 추종층에 사용함으로써, 공극율이 높아짐으로써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음순 추종층으로 완화할 수 있어, 음순 내벽의 형태 변화에 대하여도 적은 저항으로 변형되어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기 어렵게 된다. 나아가서는, 체액 보관층의 체액 보관력을 높이기 위해서 체액 보관층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입자형 고분자 흡수체,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가 혼합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체액 보관층의 부피를 유지함으로써 경혈(또는 체액) 보관력을 높이기 위해서, 가교제에 의해 가교시켜 권축된 화학 펄프, 아세테이트, 합성 섬유를 혼합시키고 있더라도 좋다.
이들 재료를 흡수체에 성형하는 방법은 흡수체를 구성하는 외관 두께가 음순 추종층/체액 보관층=60/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겉보기 밀도의 차가 0.02 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액 보관층의 밀도가 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에어레이드법, 멜트블로운법, 스펀레이스법, 초지법 등에 의해 시트화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더욱이, 사용중의 형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트형, 격자형 등에 의해 패터닝된 롤 사이로 지나게 함으로써 엠보스 가공을 실시해 두더라도 좋다. 또한,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층간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제나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화 성형해 두더라도 좋다. 일체화 성형의 구체예로서, 예컨대, 엠보스 가공이 있는데, 사용중의 형태 붕괴 방지나 습윤 상태라도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층간 박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흡수체 면적에 대한 엠보스율은 0.6∼30%의 범위이다. 음순 추종층에서 흡수한 경혈을 체액 보관층으로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장착 중에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이 층간 박리되지 않고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엠보스 가공은 흡수체에 대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은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며, 음순 추종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는 체액 보관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보다도 긴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경혈을 흡수하면, 경혈의 표면장력에 의해 흡수체를 구성하는 재료끼리가 서로 당겨져, 재료 사이의 거리가 좁아짐으로써 외관의 흡수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흡수체의 외관 두께, 나아가서는 음순간 패드의 외관 두께가 얇아지면, 음순에 의한 협지력에 대항하는 음순간 패드의 탄성에 기초한 반발력이 약해져 버려 음순 사이에서 음순간 패드가 탈락될 우려가 높아진다. 또한, 외관의 밀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강직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음순 추종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는 체액 보관층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음순 추종층이 경혈을 흡수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은 용이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체의 하나의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음순 추종층은,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체액 보관층은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80∼99%, 입자형 고분자 흡수체를 20∼1%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은 합계 단위중량 50∼450 g/m2, 합계 외관 두께를 2∼20 mm 갖는 흡수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상대적인 외관 두께는 60/40∼95/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음순간 추종층의 외관 두께는 1.0∼14 mm이며, 체액 보관층의 외관 두께는 0.6∼6 mm의 범위이다. 한편, 「주체적」이란 각 층의 중량에 대하여 약 60% 이상의 중량을 동일 물질이 나타냈을 때, 그 물질을 주체적인 물질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보다도 압축 변형이 용이한 지표로서, 「KES 압축특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예를 든다. 음순 추종층은 섬도 3.3 dtx, 섬유 길이 51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을 85%, 천연 코튼을 15%의 혼합비로 구성되어, 단위중량 180 g/m2로 적층하여 외관 두께를 2.5 mm로 설정하고, 체액 보관층은 섬유 길이 2∼5 mm으로 이루어지는 펄프 100%로 구성되어, 단위중량 80 g/m2에 적층하여 외관 두께를 1.0 mm로 설정했다. 각 층의 시험편(5 cm× 5 cm)을 시험대에 놓고서, 압축 면적 2 cm2의 원형 평면을 갖는 동판으로, 최대 하중 4900 Pa까지 압축하고, 동판의 속도는 50 mm/sec이다. 압축 강도(LC)는 압축 특성의 직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값이 높을수록 압축에 대한 강도가 높아진다. 상기 각 층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음순 추종층은 0.32이며,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는 0.41이었다. 이에 따라, 흡수체가 습윤 상태가 되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보다도 용이하게 압축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 내벽에의 추종성을 유지하여,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음순 추종층에서 완화할 수 있다. 여기서 나타내는 습윤 상태란, 각 층의 최대 흡수량 미만까지의 상태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에 의해 음순 사이에 지나치게 체압이 걸리고, 한편 선 자세 등으로 하여 음순 사이에 체압이 걸리기 어렵게 되는 등, 착용자의 자세 변화에 따라 음순간 내압의 고저가 반복해서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는, 체압이 걸렸을 때는 적은 저항(저저항)으로 압축됨으로써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고, 체압이 해방되었을 때는 두께가 회복됨으로써 음순간 패드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는, 저저항으로 압축되어, 높은 두께의 회복율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음순 내벽과 대면하고 있는 음순 추종층에서 상기 기능을 갖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압축 특성에 있어서의 회복성(RC)은 압축 특성의 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값이 높을수록 압축에 대한 회복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층의 시험편에 있어서의 음순 추종층은 46%이며, 체액 보관층에 있어서는 28%이었다.
압축 특성의 탄성에 의해,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완충하여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두께의 회복율이 높아, 음순간 패드의 탈락을 방지한다. 음순 거동과의 추종성을 더욱 높여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보다 주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흡수체의 굽힘 강성을 저하시켜 유연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액 보관층에 엠보스 가공이나 슬릿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강성차를 주어 굽힘 강성의 저하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피부에의 감촉을 고려하면, 밀도차에 의해 강성차를 얻는 엠보스 가공보다도, 섬유 교락을 분단함으로써 강성차를 얻는 슬릿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슬릿 가공으로서는, 짧은 길이 방향으로 파선형으로 연장되고, 긴 길이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것이라도 좋고, 길이 10 mm의 슬릿 날에 의해서 행하는 슬릿 가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 등을 적층시킬 때에, 사용하는 섬유의 배향성을 랜덤하게 함으로써, 섬유 자체의 배향성에 의한 강직감을 저하시켜, 흡수체의 유연성을 높이더라도 좋다. 예로서는, 섬유를 적층한 후의 흡수체에 텐션이 걸리기 어렵게 하여 반송하는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의 랜덤 배향의 지표로서는, 섬유를 적층한 섬유 집합체에 서로가 플래트면을 갖는 롤에 의해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흡수체의, 긴 길이 방향으로의 최대 인장 강도와의 비, 즉 긴 길이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최대 인장 강도로 나눈 값이 40 이하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흡수체에 있어서, 체액 보관층의 신체 측면에, 음순 추종층과 인접하는 위치에 확산층을 형성하여, 확산층의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보다도 높게 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질구로부터의 경혈의 배설 경로는 질구 부근에 체류하는 경로(① 경로), 전정상 혹은 음순 내벽에 있어서의 점막 및 점액에 의한 습윤성에 의해 전후(긴 길이 방향)로 따라서 흐르는 경로(② 경로)와, 음순 내벽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흐르는 경로(③ 경로)로 대별되는데, ③ 경로에서는 배설 유속은 빠르고 또한 다량이기 때문에, 좌우(짧은) 방향으로 배설되게 된다고 생각된다. 여성의 음순 형상은 거의 좌우 대칭으로 세로로 길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전체 형상은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③ 경로로 빈번하게 혹은 다량으로 배설된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의 좌우 영역에 있어서의 체액 보관층 및 음순 추종층의 최대 흡수량도 활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앞서 나타낸 경혈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확산층의 재료]
확산층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가 음순 추종층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다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섬유, 화학 섬유의 어느 것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천연 섬유의 예로서,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단섬유, 혹은 심부가 폴리프로필렌 내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초부가 폴리에틸렌인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재료를 시트화함에 있어서는 직포,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부직포의 경우에는, 웹 포밍은 건식(카드법, 스펀본드법, 멜트블로운법, 에어레이드법 등)이나 습식 등을 단독, 또는 복수 조합함으로써 제조하더라도 좋다. 본딩의 방법으로서는 서멀 본딩, 니들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레이스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확산층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5∼51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 100%의 섬유를 수류에 의해 교락시키는 동시에 메쉬패터닝시켜, 단위중량 20∼50 g/m2, 두께 0.2∼1.0 mm의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음순 추종층은 섬도 3.3 dtx, 섬유 길이 51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을 85%, 천연 코튼을 15%의 혼합비로 구성하여, 단위중량 180 g/m2로 적층하고, 부피 2.5 mm가 되도록 엠보스 시트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켰다. 확산층은 섬도 1.4 dtx, 섬유 길이 44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 100%로 구성되고, 단위중량 25 g/m2로 적층하여, 두께 0.28 mm가 되어 직경 1 mm의 메쉬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열시킨 메쉬 패턴에 의해 수교락법(水交絡法)에 의해 시트화시킨 스펀레이스이다. 유니참 주식회사에서 만든 인공 경혈에 음순 추종층과 확산층을 침지하여, 10분후의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를 측정했다. 음순 추종층에 있어서는 41 mm이며, 확산층에 있어서는 50 mm이었다. 여기서, 크렘 흡수도의 평가 방법 및 인공 경혈의 작성 방법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확산층에 사용하는 소재로서는, 경혈의 확산 영역을 긴 길이 방향으로 방향 짓기 위해서,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경혈 확산을 분단하고, 섬유의 배향성을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섬유의 배열 방향으로 경혈을 유도시키고, 또한 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밀도 영역을 부여하는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긴 길이 방향으로 경혈을 유도하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섬유의 배향을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또는,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면 확산층의 강직감이 높아져 버리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수류에 의해 메쉬패터닝된 스펀레이스 부직포에,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슬릿 가공을 실시한 것을 들 수 있다. 메쉬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함으로써 개공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의 섬유간 거리가 작아지기 때문에 모세관력이 높아지고, 또한 슬릿 가공에 의해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가 보다 높아질 뿐만 아니라, 개공부는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확산층으로서의 유연성도 높아져, 음순 추종층의 변형 용이함을 저해하기 어렵게 된다.
확산층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후 영역의 체액 보관층의 최대 흡수량을 더욱 활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확산층의 치수는 체액 보관층의 치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흡수체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음순 추종층은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 60∼90%, 천연 코튼 40∼10%의 혼합비로 적층하고, 체액 보관층에는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 80∼99%, 입자형 고분자 흡수체 20∼1%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켜, 합계 단위중량 50∼450 g/m2, 합계의 외관 두께를 2∼20 mm 갖는 흡수체를 예로 든다. 상기 흡수체 구성을 제조할 때, 펄프의 섬유 길이는 1∼5 mm에서 주체적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반송 중에 펄프가 탈락되어 버리거나, 또는 엠보스 가공에 있어서 펄프가 엠보스 롤에 부착되어 버리는 등 생산성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생산성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체액 보관층의 의복측에 있어서의 흡수체 전역을 피복재로 덮고 있더라도 좋다. 피복재로서는, 펄프가 반송 중에 탈락되지 않고, 롤에 부착하지 않기 위한 장벽성과 음순간 패드 전체의 유연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최대 흡수량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앞서 나타낸 흡수체에서 이용되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5 g/m2에서 설정된 티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 나아가서는 확산층의 보다 적합한 구체예로서는, 체액 보관층의 의복측은, 10∼20 g/m2의 티슈로 피복되고, 그 상면의 체액 보관층에는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60∼120 g/m2 적층하고, 체액 보관층의 신체측에 있어서의 확산층에는,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25∼51 mm으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의 스펀메쉬레이스를 부설하고, 또한 그 상면의 음순 추종층에는 섬도 1.1∼4.4 dt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150∼250 g/m2 적층하고, 도트형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킬 수 있다. 음순 추종층의 외관 두께는 10∼14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체액 보관층이 외관 두께는 0.6∼6.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재]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의 표면측 시트와 의복측에 면하는 투수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측 시트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피복시킨 형태로 접합된 흡수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층은, 긴 길이 방향 중심선을 대체로 따라서 이면측 시트가 서로 마주 향하도록 접어 포개어짐으로써 신체측으로 향하게 하여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긴 볼록형 영역과,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양측부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장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로서, 흡수체에 있어서의 체액 보관층은, 긴 볼록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체액 보관층은 음순 사이에서는 끼워 장착되는 긴 볼록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 추종층에서 포획한 경혈을 순식간에 체액 보관층으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 추종층에서만 포화 상태로 하는 일없이 경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액 보관층을 연장 영역의 양측부에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병용하는 패드 혹은 의복 등에 체액 보관층의 양측부가 접촉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좌우 방향에서 병용 패드, 혹은 의복 등으로의 경혈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음순 추종층이 연장 영역에까지 연장됨으로써, 음순 추종층과 음순 내벽뿐만 아니라 외음부와의 밀착 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더욱 경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체액 보관층은 그 일부가 긴 볼록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대체로 따르는 영역에 있어서는 배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액 보관층의 밀도는 높아지도록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전정상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배치시키면,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의 자세에 있어서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이 착용자에게 전해져, 이물감을 주기 쉽게 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음순 사이에 장착할 때에는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의 긴 길이 방향 중심선 부근에 손가락을 접촉시킴으로써, 손가락의 강성에 의해 음순을 밀어 열 수 있기 때문에 전정상에까지 확실하게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수 있고, 전정상 혹은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과의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음순간 패드의 의복측의 긴 길이 방향 중심선 부근에 손가락을 접촉시키기 위해서, 이면측 시트의 의복측의 긴 길이 방향 양측부에 있어서 1곳 이상의 접합 부분과,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1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으로써 접합된 미니 시트 조각을 구비함으로써, 이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으로 손가락을 확보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의복측에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갖는 미니 시트 조각을 갖춘 음순간 패드는 손가락의 지문면이 이면측 시트에 접하도록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감수성이 뛰어난 손끝으로 오목부인 질구 위치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한 위치에서 음순간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장착이 확실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경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음순간 흡수층의 형상은 여성의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우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으며, 타원형, 호리병형, 물방울형 등의 여성의 음순 영역에 적합한 형태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투수성 시트]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에 배치되는 투수성 시트에는, 액체 친수성이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포인트본드, 스루에어, 포인트본드, 니들펀치, 습식 스펀레이스, 폼필름 등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부직포를 단독 또는 이들이 복합된 재료를 들 수 있다.
섬유형 시트로서는, 레이온, 아세테이트, 코튼, 펄프 또는 합성 수지를 성분으로 한 것을 단독 또는 심초 구조를 이루도록 복합한 것을 단독 또는 혼합한 섬유를 시트화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 중, 음순 내면으로부터의 액체 이동성이나 활성제에 의한 화학적 자극을 고려하면, 천연 코튼 5∼30%,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 70∼95%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를, 20∼50 g/m2의 범위에서 조정한 후, 수류 교락에 의해 섬유끼리를 서로 얽히게 하여 건조시키고, 두께를 0.3∼1.0 mm 범위에서 조정한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때에 사용하는 사질(絲質)은 천연 코튼이라면 15∼60 mm의 범위,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라면 25∼51 mm의 범위, 2.2∼6.6 dtex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불투수성 시트]
음순간 패드에 사용되는 불투수성 시트의 재료는, 흡수체에 유지된 경혈이 음순간 패드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투습성 소재로 함으로써, 장착시의 후덥지근한 느낌을 저감시킬 수 있어, 장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컨대, 합성 수지를 필름화한 시트형 필름, 무기 필러를 충전시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 필름, 종이, 부직포와 필름을 복합한 라미네이트물, 10∼30%의 개공을 지니고 구멍 지름이 0.1∼0.6 mm인 범위에서 모세관을 흡수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성 액체 차단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장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예컨대, 밀도가 0.900∼0.925 g/cm3 밀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한 단위중량 15∼30 g/m2의 범위에서 얻어지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니 시트 조각]
미니 시트 조각에는 상술한 투수성 시트나 불투수성 시트와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신장성 혹은 신축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를 미니 시트 조각에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손끝의 사이즈가 설정된 손가락 삽입용 입구보다도 큰 경우라도, 손가락의 사이즈에 따라서 미니 시트 조각이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손끝 사이즈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원래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SIS), 우레탄 등의 합성 고무, 0.88∼0.900 g/cm3의 밀도에서 선택되는 비정질 올레핀계 수지를 원료로 한 필름, 개공 폼필름, 네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직포 또는 직포에 합성 고무를 원료로 한 방사필라멘트를 엮어 넣은 텍스쳐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합성 고무를 주체로 한 스펀본드 부직포나 멜트블로운 부직포, 발포 폼 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착용중의 유연한 감촉을 고려하여 적합한 것으로서는, 15∼40 마이크론의 두께로 조정되고, 구멍 면적이 0.28∼1.77 mm2, 개공율이 40∼70%의 범위에서 구성된, SBS를 원료로한 개공 폼필름을 들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심 성분이 고융점 초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수축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PE/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P/PP 등의 복합 합성 섬유를 원재료로 하여, 수류압에 의해 섬유를 교락시킨 스펀레이스 부직포, 재열풍 처리를 실시하여 섬유의 수축을 촉진시킨 수축 타입 부직포, 연속 장섬유를 히트시일에 의해 시트화한 후에 세로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텐터링을 실시한 소위 신장성 스펀본드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굵기가 2.2∼6.6 dtex의 범위이고, 길이가 38∼51 mm의 범위이며, 심 성분이 고융점 초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수축성을 갖는 상기 PE/PP, PE/PET, PP/PP 등의 복합 합성 섬유를 원재료로 하여고 단위중량이 20∼60 g/m2 범위로 조정된 수축 타입 부직포가, 유연하고 드레이프한 느낌이 풍부한 적합한 재료로서 들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재료의 라미네이트물도 사용할 수 있다.
비신장성의 재료에 신장성을 부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직포에서는 심 성분이 고융점 초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수축성을 갖는 상기 PE/PP, PE/PET, PP/PP 등의 복합 합성 섬유를 원재료로 하고, 열풍에 의해 처리된 부피감이 풍부한 스루에어 부직포, 수류압에 의해 섬유를 교락시킨 스펀레이스 부직포, 연속 섬유를 적층하여 시트화한 스펀본드 부직포, 니들에 의해 섬유끼리를 얽히게 한 니들펀치 부직포, 스펀본드와 멜트블로운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시트화한 SMS 부직포 외에, 개공 폼필름, PE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필름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을 복합하여 이루어지는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재료를 자웅의 금형 사이에 끼워 맞춰, 열과 온도와 압력에 의해 형상을 구체화하는 콜게이트 가공에 의해 신장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굵기가 2.2∼4.4 dtex의 범위, 단위중량이 20∼60 g/m2의 범위에서 조정된 복합 합성 섬유를 주체로 한 스루에어 부직포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콜게이트 가공을 실시한 것을 들 수 있다. 콜게이트 가공은 적어도 10% 이상의 신전성(伸展性)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의 범위에서 신장 가능하게 되도록 자웅 금형의 배열이 형성된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신장시의 하중이 0.01∼0.05 N/25 mm 범위의 거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시험 조건 : 텐실론 인장력 시험기로, 속도 100 mm/min, 척 간격 100 mm).
신장성을 부여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자름선, 원형으로 오려내는 등의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한 음순간 패드의 구성]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는 사용후 그대로 화장실에 탈락시켜 흘릴 수 있기 때문에, 패드의 파기를 간편하고 또한 청결하게 행할 수 있어, 화장실 내의 쓰레기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생분해성」이란, 방선균을 비롯한 세균, 그 밖의 미생물의 존재하에, 자연계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염기성 또는 호기성 조건하에서 물질이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 등의 가스, 물 및 생물 자원(biomass)으로 분해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물질의 생분해능(생분해 속도, 생분해도 등)이, 낙엽 등이 자연스럽게 생기는 재료, 혹은 동일 환경 하에서 생분해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합성 폴리머에 필적하는 것을 말한다. 「수분산성」이란, 수해성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속에서는 섬유끼리가, 일반 화장실 배관을 막히게 하는 일이 없을 정도의 작은 단편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수용성」이란,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중에 있어서는 용해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투수성 시트>
투수성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외에, 섬유 길이를 1∼15 mm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는 습식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재료로서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가수분해에 의한 생분해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젖산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단위중량이 20∼60 g/m2의 범위에서 조정된 멜트블로운 부직포나 단위중량이 15∼30 g/m2의 범위, 섬유 굵기가 1.1∼3.3 dtex의 범위에서 조정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한편, 각 부직포 재료에는 개공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하지 않더라도 좋다.
다른 재료로서는 아세테이트, 합성 섬유를 단독 또는 적층체의 연속 섬유인 토우를 단위중량 50∼300 g/m2의 범위로 조정하여, 섬유끼리를 해섬함으로써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
흡수체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니들링으로 얻어지는 부직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분자 흡수 재료의 생분해성 등을 고려하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수성 시트>
불투수성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폴리비닐알콜(PVA) 필름, PVA 필름의 한면 혹은 양면 혹은 부분적으로 실리콘 등에 의해 발수 처리를 실시한 필름 시트, 실리콘을 혼합한 PVA 필름, 전분 필름, 폴리젖산 또는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가수분해에 의한 생분해성 수지를 원료로 한 필름 및 티슈 등과의 라미네이트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무기 안료를 0.1∼5%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착색을 하더라도 좋다.
과습하에 있어서의 샘 방지성의 유지와 정화층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을 것 등도 고려한 경우에는, 폴리젖산을 원료로 한 필름을 10∼20 마이크론 두께의 범위로 단위중량 15∼20 g/m2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티슈와 라미네이트하고, 또한 라미네이트할 때의 접착 면적율을 5∼40%의 범위에서 형성된 라미네이트지가 적합하다.
<미니 시트 조각>
미니 시트 조각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재료를 원료로 한 필름,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등, 또는 PV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등의 수용성 재료를 원료로 한 필름, 부직포 등, 및 셀룰로오스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주체로 한 수분산성 티슈,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생분해성 재료를 주체로 한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로서, 굵기가 0.1∼3.3 dtex의 범위, 단위중량이 15∼40 g/m2의 범위로 조정된 시트로서, 전도한 기계적 콜게이트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진다.
<접합 방법>
접합 방법으로서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콜 등에 의한 접착, 히트시일, 혹은 수소 결합에 의한 접합 등의 접합 방법을 단독 혹은 적절하게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최대 흡수량의 측정]
흡수체의 최대 흡수량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측정 기구로서, 저울, 스톱워치, 플라스틱 용기, 그리고, 인공 경혈을 준비한다. 인공 경혈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와코쥰야쿠 주식회사 제조의 각 일급 시약 및 고요프로덕츠 주식회사 제조의 식용 색소를 이용했다.
인공 경혈용의 시약(이온교환수 1 리터에 대한 값)
(1)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 8 g
(와코 일급 39-01335)
(2) 글리세린: 80 g
(와코 일급 072-00621)
(3) 염화나트륨(NaCl) : 10 g
(와코 일급)
(4) 탄산수소나트륨(NaHCO3) : 4 g
(와코 일급 198-01335)
식용 색소(고요프로덕츠):
① 적색102호 : 8 g
② 적색2호 : 80 g
③ 황색5호 : 10 g
측정 기구로서는, 교반기(Yamato사 제조, LABO-STIRRER L-35), 스톱워치, 연도측정기(시바우라시스템사 제조, 비스메트론)를 이용했다. 인공 경혈은 우선, 소정의 용기 중에서, 글리세린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조금씩 뒤섞으면서 전부 넣었다. 다음에, 폴리 용기에 넣은 이온교환수를 교반기로 섞으면서, 글리세린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을 잘 섞은 상기 혼합물을 조금씩 더해 갔다. 또한 섞으면서 염화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을 조금씩 더했다. 그리고, 시약이 충분히 분산될 때까지 더욱 잘 섞어, 예컨대, 최대 교반 회전수로 3시간 섞었다. 섞인 혼합물에 시약이 단독으로 남아 있지 않은지를 확인하고 나서, 이온교환수 1 리터에 대하여 식용 색소 : 적색102호 8 g, 적색2호 2 g, 황색5호 2 g를 넣어, 최대 교반 회전수로 1시간 섞었다. 그 후, 이 혼합물의 점도가 22∼26 mPa·s 범위인 것을 점도측정기에 의해 확인하여, 인공 경혈로 했다.
이어서, 시험편을 준비했다. 흡수체의 긴 길이 및 짧은 길이 각 방향으로, 100 mm의 길이로 샘플을 랜덤하게 N수만큼 채취했다. 그리고, 샘플의 중량을 저울로 측정해 두었다(W1). 방금 전 준비한 인공 경혈을 플라스틱 용기에 인공 경혈의 깊이가 10 mm 이상이 될 때까지 넣었다. 이 속에, 채취한 시험편을 인공 경혈에 완전히 잠기도록 셋트했다. 그리고, 그대로의 상태에서 3분간 방치했다(이 때의 환경은 온도 20℃ 습도 60%였다). 3분후 샘플을 끌어 올려, 중량을 저울로 측정한다(W2). 이 W2에서 W1을 빼어(W2-W1), 흡수량(최대 흡수량)을 산출했다. 흡수 배율은 이 흡수량을 샘플의 무게(W1)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
[크렘 흡수도의 측정]
크렘 흡수도의 측정은 시험편의 액친화성(확산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측정 기구로서, 자, 스톱워치, 플라스틱 용기, 그리고, 전술한 방법으로 얻은 인공 경혈을 이용했다. 측정에는, 소정의 시료를 긴 길이 및 짧은 길이의 각 방향으로, 폭 25 mm 길이 100 mm로 랜덤하게 소정의 수(N개)만큼, 채취하여 시험편으로서 이용했다. 우선, 인공 경혈을 플라스틱 용기에 인공 경혈의 깊이가 10 mm 이상이 될 때까지 넣었다. 이어서, 채취한 시험편을 고정 척으로 고정하여, 시험편 선단에서부터 5 mm의 깊이로 인공 경혈에 잠기도록 셋트했다. 이것을 그대로의 상태로 10분간 방치했다(환경 : 온도 20℃/습도 60%). 인공 경혈이 시험편을 따라서 상승하여, 시험편 상에 있어서의 빨아올리는 거리를 인공 경혈 표면에서 측정했다. 빨아올리는 거리가 긴 쪽이, 흡수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여성의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우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와 흡수체를 피복하는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로서, 흡수체는, 신체측에 위치하는 음순 추종층과, 그 아래쪽(의복측)에 위치하여 신체측은 음순 추종층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는 체액 보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에, 음순 추종층은 체액 보관층보다도 압축되기 쉽기 때문에 변형이 용이하고, 겉보기 밀도가 체액 보관층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음순 내벽과 가까운 위치에 체액 보관층보다도 용이하게 압축 변형 가능한 음순 추종층을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음순이 상하 방향을 축으로 좌우 방향으로 굴곡되어 음순 내벽이 요철형으로 변형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은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대하여 용이하게 압축 변형 가능하며, 또한 체액 보관층의 신체 측면은 음순 추종층에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체액 보관층의 강직감을 음순 추종층에서 완충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기 어렵게 된다. 더욱이, 체액 보관층은 음순 추종층보다도 압축되기 어렵고, 음순 추종층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체액 보관층에는 외압이 걸리기 어렵게 되어, 체액 보관층에서 축적한 경혈이 역으로 되돌아가 버려 경혈 누설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한다.
음순 내벽과 가까운 위치에 밀도를 낮게 설정한 음순 추종층과 그 의복(하면)측에 밀도를 높인 체액 보관층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음순 내벽을 아래쪽으로 따라서 흐르는 고속 다량의 배설 경로에 대하여도, 저밀도로 설정되어 여성의 전정상 및 음순 내벽의 거동 변화에 대하여 용이하게 변형 대면하는 음순 추종층으로 경혈을 포획하여, 음순 추종층과 체액 보관층과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체액 보관층으로 계속해서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순 추종층만에서의 포화 상태로 되기 어려워, 재차 경혈이 배출되었다고 해도 음순 추종층에서 포획하여, 경혈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흡수체의 의복측인 체액 보관층으로부터 경혈을 축적해 나가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표면에 경혈을 체류시키기 어렵게 하여, 경혈의 유동성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탈락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 체액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를 피복하는 피복재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상기 피복재는 착용자의 음순으로 향하고 있는 신체 측면 및 상기 흡수체로 향하고 있는 흡수체 측면을 지니고,상기 흡수체는 음순 추종층 및 체액 보관층을 포함하고,상기 음순 추종층은,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피복재와 상기 체액 보관층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피복재와 함께 착용자의 음순 형상에 맞춰 변형하는 것이며,상기 체액 보관층은, 상기 음순 추종층으로부터 체액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음순 추종층에 접하는 것이고,상기 음순 추종층은, 상기 체액 보관층보다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의 상기 신체 측면이 상기 착용자의 음순에 접하고 있을 때는, 상기 흡수체 측면이 상기 음순 추종층에 접하고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는,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 무게 및 부드러움을 지니고, 또한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는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가 확산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산층이 상기 음순 추종층 및 상기 체액 보관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상기 음순 추종층의 긴 길이 방향으로의 크렘 흡수도보다 높은 크렘 흡수도를 갖는 것인 음순간 패드.
-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한 음순간 패드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 상기 긴 길이 방향에 대략 평행한 절곡축을 지니고, 상기 절곡축에 의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의 음순 사이에 끼워 유지되는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표면측 시트 및 이면측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표면측 시트는 투수성이고,상기 이면측 시트는 투수성 혹은 불투수성이며,상기 피복재는 상기 표면측 시트 및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는 것인 음순간 패드.
- 제3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 추종층 및 상기 체액 보관층은 상기 긴 길이 방향 및 상기 짧은 길이 방향으로 넓어지고, 또한, 상기 음순 추종층 및 상기 체액 보관층은 서로 겹치며,상기 흡수체는 상기 피복재의 상기 흡수체 측면에 상기 음순 추종층을 접하도록 하여 배치되는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액 보관층의 겉보기 밀도는 상기 음순 추종층의 겉보기 밀도보다 높은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 추종층은 제1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고, 상기 체액 보관층은 제2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섬유 집합체는 제1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섬유 집합체는 제2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섬유는 상기 제2 섬유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재는 표면측 시트 및 이면측 시트를 포함하고,상기 표면측 시트는 투수성이고,상기 이면측 시트는 투수성 혹은 불투수성이며,상기 피복재는 상기 표면측 시트 및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 상기 흡수체를 포함하고,상기 절곡축을 따라서 이면측 시트가 서로 마주 보도록 절곡됨으로써 상기 표면측 시트를 겉으로 낸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측으로 향하게 하여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긴 볼록형 영역을 포함하며,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양측부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연장 영역을 포함하고,상기 체액 보관층은 상기 음순 추종층보다도 상기 이면측 시트쪽에 배치되며, 상기 체액 보관층의 일부가 상기 긴 볼록형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시트에는 미니 시트 조각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267136 | 2002-09-12 | ||
JP2002267136A JP4311920B2 (ja) | 2002-09-12 | 2002-09-12 | 陰唇間パッド |
PCT/JP2003/010767 WO2004024050A1 (ja) | 2002-09-12 | 2003-08-26 | 陰唇間パッ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2806A true KR20050042806A (ko) | 2005-05-10 |
KR101100572B1 KR101100572B1 (ko) | 2011-12-29 |
Family
ID=3198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4132A KR101100572B1 (ko) | 2002-09-12 | 2003-08-26 | 음순간 패드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7307197B2 (ko) |
EP (1) | EP1543806B1 (ko) |
JP (1) | JP4311920B2 (ko) |
KR (1) | KR101100572B1 (ko) |
CN (2) | CN100493481C (ko) |
AT (1) | ATE527973T1 (ko) |
AU (1) | AU2003257540A1 (ko) |
CA (1) | CA2497652A1 (ko) |
MY (1) | MY138964A (ko) |
TW (1) | TWI236365B (ko) |
WO (1) | WO20040240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508925C (zh) * | 2003-12-09 | 2009-07-08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阴唇间垫 |
WO2005055902A1 (ja) * | 2003-12-09 | 2005-06-23 | Uni-Charm Corporation | 陰唇間パッド |
JP4671865B2 (ja) * | 2003-12-09 | 2011-04-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694149B2 (ja) | 2004-05-28 | 2011-06-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555616B2 (ja) | 2004-06-11 | 2010-10-0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583106B2 (ja) | 2004-08-12 | 2010-11-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705369B2 (ja) | 2004-12-28 | 2011-06-2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482466B2 (ja) | 2005-03-04 | 2010-06-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606287B2 (ja) * | 2005-09-20 | 2011-01-05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606286B2 (ja) * | 2005-09-20 | 2011-01-05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953611B2 (ja) * | 2005-10-04 | 2012-06-1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5498028B2 (ja) * | 2009-02-06 | 2014-05-2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
JP5039731B2 (ja) * | 2009-03-06 | 2012-10-0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6373216B2 (ja) * | 2015-03-31 | 2018-08-1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5978341B1 (ja) * | 2015-03-31 | 2016-08-2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6577802B2 (ja) * | 2015-09-25 | 2019-09-18 | 花王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GB201802453D0 (en) * | 2018-02-15 | 2018-04-04 | Blevins John | An absorbent member for a body cleft adapted producr and product with such absorbent member |
US20210378883A1 (en) * | 2020-06-08 | 2021-12-09 | Lynnea Lang | Feminine sanitary fold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31355A (en) * | 1941-09-18 | 1943-10-12 | Herman L Strongson | Catamenial pad |
US2787271A (en) * | 1953-12-07 | 1957-04-02 | Clark Myrna Catherine | Sanitary napkin |
US4631062A (en) * | 1984-09-27 | 1986-12-23 | Kimberly-Clark Corporation | Labial sanitary pad |
US4804380A (en) * | 1987-08-06 | 1989-02-14 | Kimberly-Clark Corporation | Anatomically shaped, self-aligning, sanitary protection device |
US5591150A (en) * | 1991-07-23 | 1997-01-07 |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 Sanitary napkin having a resilient body-conforming portion |
US5672165A (en) * | 1992-10-19 | 1997-09-30 | Belecky; June Marian | Menstrual hygiene product |
JP3816097B2 (ja) * | 1993-06-28 | 2006-08-30 |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 流動体分布方向付け手段を備えた生理ナプキン |
US5599335A (en) * | 1994-03-29 | 1997-02-0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members for body fluids having good wet integrity an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
US5693037A (en) * | 1995-04-21 | 1997-12-0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articles having improved surfactant-treated hydrophilic topsheets |
US6254584B1 (en) | 1997-01-03 | 2001-07-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hin comfort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
US5762644A (en) * | 1996-08-30 | 1998-06-0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oilet-disposable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US5964689A (en) * | 1996-08-30 | 1999-10-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a central groove |
US5968026A (en) * | 1996-08-30 | 1999-10-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US6270486B1 (en) * | 1997-06-16 | 2001-08-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US6183456B1 (en) * | 1997-06-16 | 2001-02-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eminine hygiene system and kit us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CA2294021C (en) | 1997-06-16 | 2004-01-2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Interlabial device adapted for menses component management |
CA2246903C (en) * | 1997-09-29 | 2003-06-17 | Uni-Charm Corporation | Absorbent article |
WO1999018905A1 (en) | 1997-10-10 | 1999-04-2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comprising a fluid acquisition/transfer complex |
JP3545704B2 (ja) * | 1998-02-13 | 2004-07-21 | キョン フン キム | 女性用小便排出器 |
US6168915B1 (en) * | 1998-04-24 | 2001-01-02 | Diagnostic Hybrids, Inc. | Mixed cell diagnostic systems |
US6316688B1 (en) | 1998-04-27 | 2001-11-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
JP3732339B2 (ja) * | 1998-07-15 | 2006-01-0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生理用ナプキン |
JP4198849B2 (ja) | 1998-12-01 | 2008-12-1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DE69934974T2 (de) * | 1998-12-30 | 2007-11-08 | Mcneil-Ppc, Inc. | Am körper zu befestigende interlabiale gegenstände und methode zu deren hersstellung |
US6319238B1 (en) * | 1999-05-12 | 2001-11-20 | Mcneil-Ppc, Inc. | Absorbent interlabial article |
JP3771432B2 (ja) * | 2000-08-28 | 2006-04-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
KR100785365B1 (ko) * | 2001-05-22 | 2007-12-18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손가락 확보를 위한 형태를 구비하는 음순간 제품 및 개별 포장체 |
SE0102152L (sv) | 2001-06-18 | 2002-12-19 | Sca Hygiene Prod Ab | Ny produkt |
JP4532075B2 (ja) * | 2003-02-18 | 2010-08-25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
2002
- 2002-09-12 JP JP2002267136A patent/JP431192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8-26 WO PCT/JP2003/010767 patent/WO200402405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8-26 CN CNB038214423A patent/CN100493481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26 CA CA002497652A patent/CA249765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8-26 CN CN2009101345836A patent/CN10153036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26 KR KR1020057004132A patent/KR1011005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26 AT AT03795236T patent/ATE527973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26 AU AU2003257540A patent/AU2003257540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8-26 EP EP03795236A patent/EP154380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3-09-10 TW TW092125196A patent/TWI23636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9-12 MY MYPI20033491A patent/MY138964A/en unknown
-
2005
- 2005-03-03 US US11/074,325 patent/US730719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493481C (zh) | 2009-06-03 |
JP4311920B2 (ja) | 2009-08-12 |
TWI236365B (en) | 2005-07-21 |
CN101530362B (zh) | 2011-08-24 |
ATE527973T1 (de) | 2011-10-15 |
EP1543806A1 (en) | 2005-06-22 |
EP1543806A4 (en) | 2007-12-19 |
US20050215969A1 (en) | 2005-09-29 |
CN1681461A (zh) | 2005-10-12 |
US7307197B2 (en) | 2007-12-11 |
CN101530362A (zh) | 2009-09-16 |
EP1543806B1 (en) | 2011-10-12 |
JP2004097693A (ja) | 2004-04-02 |
AU2003257540A1 (en) | 2004-04-30 |
KR101100572B1 (ko) | 2011-12-29 |
TW200418434A (en) | 2004-10-01 |
CA2497652A1 (en) | 2004-03-25 |
WO2004024050A1 (ja) | 2004-03-25 |
MY138964A (en) | 2009-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07197B2 (en) | Interlabial pad having a labial-following layer | |
KR100947303B1 (ko) | 흡수성 물품용 보조 시트 | |
US8192416B2 (en) | Interlabial pad | |
JP4719799B2 (ja) | 陰唇間パッド | |
US20060200108A1 (en) | Interlabial pad | |
KR101013921B1 (ko) | 표면측 시트 및 음순간 패드 | |
KR101143174B1 (ko) | 음순간 패드 | |
EP1946730A1 (en) | Absorbent article | |
JP5039731B2 (ja) | 陰唇間パッド | |
JP4797076B2 (ja) | 吸収性物品 | |
JP5080049B2 (ja) | シート部材、吸収性物品、陰唇間パッドおよ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 |
KR101143237B1 (ko) | 음순간 패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