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921B1 - 표면측 시트 및 음순간 패드 - Google Patents
표면측 시트 및 음순간 패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3921B1 KR101013921B1 KR1020057005197A KR20057005197A KR101013921B1 KR 101013921 B1 KR101013921 B1 KR 101013921B1 KR 1020057005197 A KR1020057005197 A KR 1020057005197A KR 20057005197 A KR20057005197 A KR 20057005197A KR 101013921 B1 KR101013921 B1 KR 101013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sheet
- labia
- interlabial pad
- surface side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순사이에 장착되어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음순간 패드, 및 이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에 관한 것이다. 표면측 시트는 음순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데, 물,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식용색소제제로 이루어진 조성액을 인공 경혈로 하고, 이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15 cN/25 mm 이상 60 cN/25 mm 이하인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에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음순의 형상이 변화되더라도 음순 내벽면과 음순간 패드와의 사이에 생기는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순사이에 장착되어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음순간 패드, 및 이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생리용품으로서는 생리대, 탐폰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생리대로서는 질구 부근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하여, 간극으로부터 경혈이 샐 우려가 있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탐폰이라도 착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생리대 및 탐폰의 장점을 도입한 생리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가 주목받고 있다.
즉, 음순간 패드는 음순에 끼워 유지하는 것으로, 생리대에 비교해서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경혈의 누설이 생기지 않고, 또한 질내에 삽입하는 탐폰에 비교해서 착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도 낮다.
그러나, 음순간 패드는 음순에 끼우는 것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경혈로 고습윤 상태가 되면 음순사이에서 탈락할 우려가 있었다. 이것은 음순 내벽과 이 음순 내벽에 대향하는 음순간 패드 표면과의 계면에 경혈이 지나치게 체류하여, 이 경혈이 유동함으로써 음순간 패드의 음순 내벽에 대한 전단 강도가 저하하 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2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제1의 방법은, 음순간 패드를 흡수 본체와, 이 흡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음순 내벽에 대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한 쌍의 흡수성 가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방법이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6033391호 명세서 참조). 여기서, 이 가요 연장부의 음순 내벽측에 생체 적합성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가요 연장부를 생체 적합성 접착제로 음순 내벽에 접착시킴으로써,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음순간 패드를 장착중에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여 고습윤 상태가 되더라도 생체 적합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서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의 표면과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의 방법은, 음순간 패드의 표면측 시트를 생체 적합성 접착제(예컨대, 왁스)와 섬유를 혼합하여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접착제는 함수율이 400% 이하라는 낮은 습윤 상태로 연화되는 것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를 음순 내면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표면측 시트의 생체 적합성 접착제가 착용자의 체액에 의해서 습윤 상태가 되어 연화되며, 음순 내벽에 밀착한다.
그러나, 전술한 제1의 방법에서는 생체 적합성 접착제의 성분이 착용중에 용출하여, 착용자의 체질에 의해서는 음부에 피부염이나 가려움을 기억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생체 적합 접착제의 도포량에 의해서 가요 연장부의 투과 성능이 저하하 여, 경혈이 흡수체 본체에 흡수되지 않고서 외부로 샐 우려가 있다.
또한 전술한 제2의 방법에서는 음순간 패드의 체액의 함유율이 600% 이상이라는 높은 습윤 상태가 되면, 생체 적합성 접착제가 지나치게 연화되어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어서 탈락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접착제가 지나치게 연화되어 있으면, 음순간 패드를 탈착했을 때에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음순 내벽에 잔류할 우려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는 표면측 시트 및 이 표면측 시트를 이용한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음순간 패드가 음순사이에서 탈락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음순 내벽과 이 음순 내벽면에 대향하는 음순간 패드와 표면측 시트의 밀착성, 즉 음순 내벽면과 표면측 시트의 전단 방향의 강도가 중요한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음순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로서, 물,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식용색소제제로 이루어진 조성액을 인공 경혈로 하여, 이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15 cN/25 mm 이상 60 cN/25 mm 이하인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전단 강도란 착용자가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에,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와의 밀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표면측 시트는 스펀 본드, 포인트 본드, 스루 에어, 니들 펀치, 습식지, 습식 스펀 레이스 등의 제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인공 경혈이란, 예컨대 이하의 시약 및 기구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정 방법으로 조정한다.
<시약>
(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와코쥰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조 화학용 039-01335
(B) 글리세린: 와코쥰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와코 일급 072-00621
(C) 염화나트륨(NaCl): 와코쥰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시약 특급 191-01665
(D)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와코쥰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와코 일급 198-01315
(E) 식용색소제제 적색: 코요 프로덕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No.102 적색 102호
(F) 식용색소제제 적색: 코요 프로덕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No.2 적색 2호
(G) 식용색소제제 황색: 코요 프로덕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No.5 황색 5호
<기구>
(A) 순수(純水) 제조 장치: 야마토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순수 제조 장치 형식 WG220
(B) 교반기: HSIANGTAIMACHINERY INDUSTRY CO. LTD. 제조 형식 DC-2 E
(C) 점도 측정기: 시바우라 시스템사 제조 비스메트론 형식 VGA-4
<조정 방법>
폴리용기 1에 글리세린 320 ± 2 g을 넣고, 더욱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32.0 ± 0.3 g을 첨가하여, 교반기로 회전수 약 600 rpm으로 10 분간 교반하여 용액 1을 생성한다. 다음에, 별도의 폴리용기 2에 넣은 이온 교환수 3 리터를 상기 교반기로 회전수 약 1100 rpm으로 교반하면서 먼저 조정한 용액 1을 소량씩 첨가한다. 또한 이온 교환수 1 리터로 폴리용기 1을 세정하면서 첨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액 2에 염화나트륨(NaCl) 40 g과 탄산수소나트륨(NaHCO3) 16 g을 교반하면서 소량씩 첨가하고, 첨가를 끝낸 후, 약 3 시간 교반한다. 계속해서, 상기 조정하여 얻어진 용액 3에 식용색소제제(코요 프로덕트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적색 102호를 32 g, 적색 2호를 8 g, 황색 5호를 8 g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그 후 약 1시간 교반하여, 점도 측정기로 측정한 점도가 22~26 mPaㆍs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공 경혈은 표면측 시트에 이하의 순서로 함유시킨다.
즉, 우선 표면측 시트에 소정의 함유율이 될 때까지 인공 경혈을 분무형으로 분사한다. 다음에, 이 표면측 시트를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전체 피복하고, 20℃, 습도 60%의 환경하에서 약 1분간 방치하여, 인공 경혈을 시트 전체에 널리 퍼지게 한다.
또한 함유율이란 표면측 시트에 흡수된 인공 경혈의 비율을 의미하고, 하기의 식으로 정의된다.
함유율 = [표면측 시트에 분무한 인공 경혈의 중량(g)/표면측 시트의 중량(g)] × 100
착용자의 체질이나 건강 상태에 의해서 음순 내벽의 환경은 크게 변화되고,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음순의 형상도 변화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표면측 시트의 경혈의 함유율은 크게 변화된다.
즉, 음순 내벽의 습윤도가 낮은 경우란 경혈이 배설되기 전의 상태로, 착용자의 음순 내벽의 점액에 의한 습윤 상태로서, 그 때의 체액의 함유율은 300% 정도이다.
한편, 음순 내벽의 습윤도가 높은 경우란 경혈의 배설량이 많고, 또한 음순간 패드를 장시간 장착한 상태로서, 그 때의 체액의 함유율은 800% 정도이다. 이 경우, 경혈이 꽤 다량으로 배설되더라도 표면측 시트 이외의 부분에 경혈이 침투하거나, 혹은 음순간 패드와 병용하여 착용하고 있는 다른 생리용품에 침투하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의 체액의 함유율은 800%을 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표면측 시트의 체액의 함유율은 300~800%가 되기 때문에,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와의 밀착성은 가장 높은 함유율 800%일 때에 가장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음순의 형상이 변화되더라도 음순 내벽면과 음순간 패드와의 사이에 생기는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의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15 cN/25 mm보다 작은 경우,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음순의 형상이 변화되면, 음순 내벽면과 음순간 패드와의 사이에 생기는 전단력에 의해서 음순간 패드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한편,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의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60 cN/25 mm보다 큰 경우, 음순간 패드를 제거할 때에 음순간 패드의 표면에서 음순 내벽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를 친수성 활성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친수성 섬유의 섬유 집합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경혈과의 친화성(습윤성)이 좋고, 음순 내벽과 표면측 시트의 계면에 경혈이 체류하여, 이 경혈이 유동함으로써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저하하는 일은 없다.
또한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에 관해서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느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각 섬유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섬유사이의 공극으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표면측 시트 전체의 습윤 전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의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느슨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이 고려된다. 예컨대, 표면측 시트를 형성한 후, 시트를 텐더링 가공하거나, 혹은 파형의 엠보스 가공을 함으로써 성형된 표면측 시트를 변형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 자체를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느슨한 섬유 집합체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 중, 제조 공정의 간이화 및 안정화를 고려하면, 표면측 시트 자체를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느슨한 섬유 집합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섬유 집합체로서는 각종 섬유를 단독 또는 필요로 하는 만큼 혼합한 후, 수류 교락(交絡)에 의해 섬유를 얽혀 얻어지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이유는 섬유 개섬시에 정전기에 의해서 단위 중량의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활성제를 섬유에 부착시키지만, 이 활성제는 수류에 의해 거의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활성제에 의한 화학적 자극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수류 교락이란 퇴적된 섬유 집적체에 고압의 분출수를 부딪혀 섬유를 얽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류 교락시, 수류에 의해 섬유를 교락시킬 때의 수압을 약하게 함으로써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느슨하게 한다. 즉, 수압이 50 kg/cm2(환산치; 4.90 MN/m2) 이하로 한다. 또한 합성 섬유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류 교락시킨 후의 건조 공정에서 건조 온도를 합성 섬유의 연화점보다도 낮은 온도로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측 시트를 밀도 0.040~0.400 g/cm3(환산치; 40~400 kg/m3), 바람직하게는 0.060~0.200 g/cm3(환산치; 60~200 kg/m3)의 범위로 조정한다.
또한 표면측 시트는 습윤성이 동일한 섬유를 혼합한 섬유 집합체를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를 설명한다.
예컨대, 펄프, 천연 코튼, 레이온,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의 친수성 섬유 70~95%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섬유 30~5%의 비율로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면,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율이 영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내에 체액의 함유율이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표면측 시트내의 영역마다 습윤 전단 강도가 다르게 되기 때문에 습윤 전단 강도가 낮은 영역에서 용이하게 음순 내벽으로부터 박리하고, 그 결과, 습윤 전단 강도가 높은 영역도 박리한다. 따라서, 표면측 시트 전체가 박리하여, 음순간 패드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2) 상기 섬유 집합체는 습윤 상태에 있어서의 부피가 건조 상태에 있어서의 부피의 80% 이상인 (1)에 기재한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건조 상태란 표면측 시트를 온도 25℃, 습도 60%에서 2시간 방치한 후, 0.5 g/cm2(환산치; 49 N/m2)의 가압하에 있어서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습윤 상태란 상기 조성액(인공 경혈)을 소정량 함유시켜 습윤한 표면측 시트를 0.5 g/cm2(환산치; 49 N/m2)의 가압하에 있어서의 상태를 의미한다.
(2)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의 경혈의 함유량이 높아지더라도 음순 내벽과 접하고 있는 표면이 경혈에 잠기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경혈의 유동성을 억제하여, 음순 내벽과의 접촉면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 내벽과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는 저감되지 않는다. 또한 부피가 저하함으로써 표면측 시트의 밀도가 실질적으로 상승하여, 경혈의 투과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경혈의 누설은 생기지 않는다.
(3) 상기 섬유 집합체는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표층, 친수성 섬유와 합성 수지 섬유로 이루어진 이면층으로 이루어진 (2)에 기재한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합성 수지 섬유는 습윤성이 없기 때문에, 습윤하더라도 건조 상태와 거의 동일한 부피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8)의 발명에 의하면, 친수성 섬유에 합성 수지 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습윤한 상태라도 부피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습윤한 상태에 있어서 표층의 부피를 80% 이상 유지할 수 없더라도, 표면측 시트 전체의 부피가 건조 상태의 부피의 80% 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순 내벽과의 계면에 경혈의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다.
여기서, 합성 수지 섬유의 혼입량은 바람직하게는 6% 이상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 6%보다 적으면 이면층의 섬유층이 습윤시의 부피를 유지할 수 없고, 표면측 시트 전체의 부피가 저감하여 버린다. 또한 30%보다 많으면 이면층의 섬유층의 습윤성이 나빠지기 때문에 경혈이 흡수체에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친수성 섬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펄프, 천연 코튼, 레이온, 아세테이트 레이온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 외, 코어 성분이 고융점이고 시스(sheath) 성분이 저융점으로 구성되는 열수축성을 갖는 PE/PP, PE/PET, PP/PP 등의 복합 섬유에 의한 권축 구조의 섬유, 중공 형상 구조를 갖는 것에 의해 부피 큰 구조의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4) 음순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로서, 물,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식용색소제제로 이루어진 조성액을 인공 경혈로 하여, 이 인공 경혈을 3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00 cN/25 mm 이하이며, 상기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100 cN/25 mm 이상의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파단한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아니라,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로 한 것은, 파단시의 인장 강도가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 강도에 기인하지만 5% 신장시의 인장 강도가 섬유사이의 구속력에 주로 기인하기 때문이다.
(4)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가 경혈을 흡수하여 고습윤 상태가 되더라도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느슨하고, 각 섬유사이의 자유도가 높다. 그 때문에, 장착중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가해진 충격이 표면측 시트와 음순 내벽과의 계면에 전단력으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인공 경혈을 3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00 cN/25 mm보다 크면,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지나치게 강하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에 가해진 충격력이 완충되지 않고서 음순 내벽과 표면측 시트의 계면까지 도달하여 음순간 패드가 탈락한다.
한편,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100 cN/25 mm보다 작으면,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충격에 대하여 표면측 시트가 파단하여 음순간 패드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음순간 패드를 제거할 때에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고 있었던 섬유가 음순 내벽에 잔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는 300 cN/25 mm 이하가 바람직하며, 200 cN/25 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300 cN/25 mm보다 크면 표면측 시트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지고, 음순 내벽에의 추종성이 약해져, 습윤 상태에 있어서의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의 강성은 카토테크사 제조의 「KES 굽힘 강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0~2.0 cm-1의 곡율 K로 측정한 B값(천 1 m 폭당의 굽힘 강도)가 바람직하게는 0.065 × 10-4 Nㆍm2/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10-4 Nㆍm2/m 이하이며, 또한 동일 회사 제조의 「KES 전단 시험기」를 이용하여, 0~5.0°의 전단 각도 D로 측정한 G값(천 1 m 폭당의 전단 강도)이 바람직하게는 2.50 N/mㆍ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N/mㆍ도 이하이다.
이와 같이 하면, 음순 내벽에의 추종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고습윤 상태에 있어서의 음순 내벽과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충격이 있더라도 이 충격으로 변형하는 일은 없고, 표면측 시트의 일부가 음순 내벽으로부터 박리하더라도 음순간 패드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인공 경혈에 의한 10분후의 클렘(Klemm) 흡수도가 10 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5)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의 습윤성을 JIS P8141 「종이 및 판지의 클렘법에 의한 흡수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한 10분후의 클렘 흡수도를 10 mm 이상으로 한다. 이 때문에, 경혈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예컨대 표면측 시트의 이면측에 설치된 흡수체에 경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클렘 흡수도는 10 mm 이상 50 mm 이하가 바람직하다. 10 mm보다 작으면 소량의 경혈이라도 흡입하기가 어려워진다. 한편, 50 mm보다 크면 표면측 시트 자체가 경혈을 유지하여 버리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와 음순 내벽의 계면에 경혈을 체류시켜 버리게 되고, 음순 내벽에 대한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가 저하하여, 음순간 패드가 탈락하기 쉬워진다.
(6) 음순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로서, 음순 내벽과의 접촉 상태가 기우는 일이 없는 치밀한 섬유 분포를 구비하는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표면측 시트의 섬유 밀도에 불균일함이 있으면 경혈을 흡수한 습윤 상태에 있어서 저밀도의 영역에 흡수된 체액은 조밀 구배에 의해 고밀도의 영역에 이동하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에 경혈의 함유율이 다른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도 기울어, 습윤 전단 강도가 낮은 영역에서 용이하게 박리한다. 그 결과, 습윤 전단 강도가 높은 영역에서도 박리하여, 표면측 시트 전체가 박리하여, 음순간 패드가 탈락하여 버린다.
그러나, (6)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에는 섬유 밀도가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경혈을 흡수하더라도 표면측 시트에 경혈의 함유율이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생기지 않고, 또한 음순 내벽에 대한 전단 강도도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라도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접촉하는 표면도 균일한 섬유 밀도이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의 표면은 평활하게 된다. 따라서, 음순 내벽에 대한 접촉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 내벽에 대한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보다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표면이 평활하다는 것은 섬유에 의한 표면의 보풀, 섬유 직경이 굵은 섬유의 혼입량, 권축형의 합성 섬유의 혼입량, 개공 등이 과잉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측 시트는 카토테크사가 제조한 「KES 표면 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50 g/cm2(49 N/m2), 표면 측정 이동 속도 1 mm/sec의 조건으로 측정한 표면 거칠기가 3.50 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측 시트의 섬유 분포는 노무라 쇼우지가 제조한 「포메이션 테스터 FMT-MIII」를 이용하여 측정한 히스토그램의 표준 편차가 바람직하게는 0.06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0.060이다.
또한, 섬유 분포를 치밀하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섬유에 정전기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섬유의 습도를 높이는 방법 또는 활성제를 섬유에 도포하여 섬유사이의 미끄러짐을 높여, 섬유의 개섬성을 양호하게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7) 상기 표면측 시트의 섬유 분포는 노무라 쇼우지가 제조한 「포메이션 테스터 FMT-MIII」로 측정한 히스토그램의 표준 편차가 0.010 이상 0.060 이하인 (6)에 기재한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7)의 발명에 의하면, (6)의 효과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표준 편차가 0.060보다 큰 섬유 분포에서는 섬유의 개섬성이 나쁘기 때문에 섬유가 분산되지 않고, 괴상으로 적층된 영역이 확인된다. 그 때문에, 습윤 전단 강도가 기우는 것뿐만 아니라, 괴상으로 적층된 영역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음순 내벽에 상처를 낼 우려가 있다. 한편, 0.010보다 작은 섬유 분포에서는 매우 치밀한 적층 상태이기 때문에 밀도차가 거의 없고, 표면측 시트의 유연성이 저하하여, 음순 내벽에의 추종성이 나빠진다.
(8) 음순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로서, 섬유 강성이 다른 섬유를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교락시킨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8)의 발명에 의하면, 섬유를 교락시킬 때의 수류를 섬유 강성이 낮은 쪽의 섬유가 서로 느슨히 교락하도록 수압하면, 섬유 강성이 높은 쪽의 섬유의 구속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측 시트를 단일 섬유로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에 있어서 장착중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각 섬유사이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가해진 충격이 표면측 시트와 음순 내벽의 계면에 전단력으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섬유 강성이 다른 섬유의 혼입 비율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9) 상기 섬유 강성이 다른 섬유는 섬유 강성이 낮은 친수성 섬유 및 섬유 강성이 높은 합성 섬유인 (8)에 기재한 표면측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8)에 진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10) 음순 내벽에 면하는 표면측 시트, 의복에 면하는 이면측 시트 및 이들 시트의 사이에 끼워져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로 이루어진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표면측 시트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표면측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10)의 발명에 의하면,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라도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11) 상기 표면측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접합 면적은 상기 흡수체의 면적의 30% 이하인 (10)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11)의 발명에 의하면,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느슨하게 한 표면측 시트에 대하여 흡수체로부터의 충격이 전해지지 않게 되기 때문에, 보다 더욱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체의 표면측 시트측에서는 표면적에 대한 접착제의 도포 면적, 혹은, 엠보스율은 0~30%가 바람직하다.
흡수체로부터의 충격을 표면측 시트에 의해 전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표면측 시트와 흡수체가 접합되어 있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표면측 시트 및 이면측 시트의 흡수체의 주연부의 부분을 접착제나 엠보스 가공으로 일체화함으로써 표면측 시트와 흡수체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의 용출에 의한 화학적 자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엠보스 가공도 실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엠보스 가공에 의한 섬유의 밀도가 높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고, 음순 내벽에 대한 물리적 자극도 저감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 패턴은 Ω형, 액형, 도트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접착제는 음순 내벽에의 자극을 저감하기 위해서 감압성 접착제보다도 감열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의 도포량은 1~20 g/m2가 바람직하다.
엠보스 패턴은 파형, 도트형, 격자형 등이 고려되지만, 유연성을 고려하여 도트형이 바람직하다.
(12) 상기 표면측 시트가 외측이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접는선으로 2개로 접어 포개면, 상기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lateral direction)의 신장 치수는 접어 포개기 전의 평판형의 상태보다도 긴 (10) 또는 (1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12)의 발명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를 표면측 시트가 외측이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접는선으로 2개로 접어 포개는 경우,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를 접어 포개기 전보다도 길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를 2개로 접어 포개더라도 표면측 시트가 음순간 패드내에 배치된 흡수체로 압박되는 일은 없고, 음순간 패드가 접어 포개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 즉 음순간 패드의 양끝 가장자리가 개방하고자 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장착하더라도 이 음순간 패드는 음순의 선단을 억지로 넓히지 않기 때문에 탈락하지 않는다.
여기서, 음순간 패드가 접어 포개기 전의 평판형의 상태란 음순사이 패드가 개방한 상태를 의미하고, 폭 방향의 신장 치수란 음순간 패드의 폭 방향을 따라 한편의 끝 가장자리로부터 다른쪽의 끝 가장자리까지의 치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음순간 패드가 2개로 접어 포개어진 상태에서의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는 접어 포개기 전에서의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라는 것의 의미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음순간 패드를 길이 방향으로 2개로 접어 포개어졌을 때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치수는 접어 포개기 전의 평판형의 상태에서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음순간 패드의 두께를 반경으로 하는 반원의 원주 길이 정도 길다.
이와 같이, 음순간 패드를 2개로 접어 포갠 상태에서의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를 평판형에서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길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를 이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보다도 크게 해두고, 표면측 시트를 폭 방향으로 느슨하게 한 상태로, 표면측 시트에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면측 시트 및 흡수체를 2개로 접어 포갠 상태로 이 이면측 시트에 표면측 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를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장 가능하게 해 두고, 평판형의 상태로 표면측 시트와 이면측 시트를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표면측 시트에는 폭 방향을 따라서 파형 가공을 하거나, 슬릿 가공 하는 것 뿐만아니라 표면측 시트 자체의 특성으로서 폭 방향의 최대 인장 신도를 100% 이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가공 프로세스의 간이성을 고려하면, 습식 스펀 레이스로 형성한 표면측 시트를 텐더링 가공하여, 폭 방향의 최대 신장도를 100% 이상으로 한 것을 이면측 시트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요실금용인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13)의 발명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를 요실금용의 흡수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혈을 배출하는 질구와 뇨를 배출하는 요도구는 모두 음순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끼워 사용한 경우에는 뇨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뇨를 음순사이, 특히 요도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뇨실금, 특히 가벼운 정도의 뇨실금에 대하여 유효하다.
(14) 질분비물 흡수용인 (10)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14)의 발명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를 질분비물 흡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끼워 사용함으로써 질구로부터의 경혈 이외의 분비물(질분비물)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질분비물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음순간 패드를 생리시 이외에 착용하는 것도 유효하다.
(15) 음순 내벽에 면하는 표면측 시트, 의복에 면하는 이면측 시트 및 이들 시트의 사이에 끼워져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로 이루어진 음순간 패드에 관해서, 상기 표면측 시트를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느슨한 섬유 집합체로 형성하여, 상기 음순간 패드의 음순 내벽에 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15)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사이의 자유도가 높아져, 장착중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가해진 충격이 표면측 시트와 음순 내벽의 계면에 전단력으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16) 음순 내벽에 면하는 표면측 시트, 의복에 면하는 이면측 시트 및 이들 시트의 사이에 끼워져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로 이루어진 음순간 패드에 관해서, 상기 표면측 시트를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느슨한 섬유 집합체로 형성하여, 상기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제의 도포 면적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16)의 발명에 의하면,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사이의 자유도가 높아져, 장착중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가해진 충격이 표면측 시트와 음순 내벽의 계면에 전단력으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의 용출에 의한 화학적 자극을 방지할 수 있는 데다가, 음순간 패드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의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의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2개로 접어 포갠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의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기본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X-X선 단면도이다.
[음순간 패드의 전체 구성]
본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1)는 길고 얇은 형상이며,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 내벽에 면하는 투수성(透水性)의 표면측 시트(2), 의복에 면하는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의 이면측 시트(3), 이들 시트(2, 3)에 내포되어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4)를 구비한다. 이면측 시트(3)의 의복측에는 음순간 패드(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부에 걸쳐 미니 시트편(5)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1)는 평면에서 보아 거의 타원형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직사각형, 표주박형, 물방울형 등, 음순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그 단면 형상은 본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1)가 반원형이지만,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것,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V자형으로 접혀 굽어진 것 등 음순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음순간 패드의 구성 재료]
<표면측 시트>
표면측 시트(2)는 펄프, 천연 코튼,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 등의 친수성 활성제가 부착하지 않은 친수성 섬유를 단독 또는 소요량 혼합한 것을 스펀 레이스법으로 성형한 섬유 집합체이다.
또한, 섬유 집합체의 제법으로서는 이 밖에 스펀 본드, 포인트 본드, 스루 에어, 니들 펀치, 습식지, 습식 스펀 레이스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측 시트(2)는 이하의 순서로 제조한다.
음순 내벽측에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로 이루어져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25~80%의 레이온을 적층한다. 한편, 흡수체측에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로 이루어지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45~14%의 레이온과,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로 이루어져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30~6%의 PET를 혼합하여 적층한다. 이들 2층의 합계 단위 중량이 20~60 g/m2가 되도록 속도 70 m/min에서 이송하는 컨베이어상에 적층하고, 그 후 3줄로 병렬하여 배치된 노즐(노즐 직경 92 μm, 노즐 피치 0.5 mm)로부터 합계 수압 120~140 kg/cm2(환산치; 11.76~13.72 MN/m2), 합계 수류량 1920~2000 cc/cmㆍmin(환산치; 1.92~2.001/cmㆍmin)이 되는 수류로 섬유끼리를 얽혀 시트화한다. 그 후, 이 시트를 110℃, 2 m/sec의 풍량으로 설정된 에어로 건조시키고, 두께 0.13~0.50 mm, 밀도 0.040~0.400 g/cm3(환산치; 40~400 kg/m3)의 범위로 조정한다.
이 때, 수류로 섬유끼리를 얽힌 경우의 노즐 1줄당의 수압은 50 kg/cm2(환산치; 4.90 MN/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류 교락시키는 조건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측 시트(2)를 2층의 적층체로 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단층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로 이루어지고 단위 중량 20~60 g/m2의 레이온을 수류 교락에 의해(이 때의 수압은 1줄당 50 kg/cm2(환산치; 4.90 MN/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끼리를 얽혀 시트화하고, 그 후 건조시켜, 두께를 0.13~0.50 mm의 범위로 조정하더라도 좋다.
이 표면측 시트(2)는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느슨하게 했기 때문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각 섬유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섬유사이의 공극으로 충격을 완충할 수 있고, 표면측 시트 전체의 습윤 전단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면측 시트>
이면측 시트(3)는 흡수체에 유지된 경혈이 음순간 패드(1)의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이면측 시트(3)를 투습윤성 소재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장착시의 습기가 차는 것에 의한 답답한 느낌을 저감시켜, 장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면측 시트(3)로서는, 예컨대, 합성 수지를 막화한 시트형 필름, 무기 필러에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지는 통기 필름, 종이, 부직포와 필름을 복합된 라미네이트물, 구멍 직경이 0.1~0.6 mm인 모세관을 10~30% 갖는 통기성 액체 차단성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측 시트(3)로서 밀도가 0.900~0.925 g/cm3(환산치; 900~925 kg/m3)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한 단위 중량 15~30 g/m2의 필름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이면측 시트(3)에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어, 장착감을 향상할 수 있다.
<흡수체>
흡수체(4)는 액체(체액)를 흡수하여 유지한다.
이 흡수체(4)로서는 부피가 크며, 형붕괴하지 않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4)로서는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고분자 흡수체, 섬유성 고분자 흡수체, 합성 섬유를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체(4)는 이하의 순서로 제조한다.
1.1~4.4 dtex의 범위에서 선택된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 60~90%,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 10~40%의 혼합비로 적층한다. 이 적층한 섬유를 니들링에 의해 얽혀, 시트화하여 단위 중량 150~500 g/m2, 2~5 mm의 부피를 갖는 부직포 시트로 한다.
전술한 흡수체(4)는 음순간 패드(1)에 내장할 때에 중첩하거나, 접어 포개는 것 등에 의해 적절하게 부피를 조정한다.
<미니 시트편>
미니 시트편(5)으로서는 전술한 표면측 시트(2)나 이면측 시트(3)와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폭 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 미니 시트편(5)을 형성함으로써 착용자의 손끝의 크기가 손가락 삽입구(미니 시트편(5)과 이면측 시트(3)와의 사이의 간극)보다 큰 경우라도 미니 시트편(5)이 신장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손끝을 손가락 삽입구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다.
신축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우레탄 등의 합성 고무, 0.88~0.900 g/cm3(환산치; 880~900 kg/m3)의 밀도로부터 선택되는 비정질 올레핀계 수지를 원료로 한 필름, 개공 폼 필름, 네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직포 또는 직포에 합성 고무를 원료로 한 방사 필라멘트를 짜 넣은 옷감이나, 합성 고무를 주체로 한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발포 폼 시트를 들 수 있다.
전술한 개공 폼 필름으로서는 착용중의 유연한 감촉을 고려하면, 15~40 마이크론의 두께로 조정되고, 개공부 면적이 0.28~1.77 mm2(환산치; 0.28~1.77×10-6 m2)이고, 개공율이 40~70%의 범위에서 구성된 SEBS를 원료로 한 것이 적합하다.
전술한 부직포로서는 코어 성분이 고융점이고 시스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수축성을 갖는 PE/PP, PE/PET, PP/PP 등의 복합 합성 섬유를 원재료로 하여, 수류압에 의해 섬유를 교락시킨 스펀 레이스 부직포, 재열풍 처리를 실시하여 섬유의 수축을 촉진시킨 수축 타입 부직포, 연속 길이 섬유를 열 밀봉에 의해 시트화한 후에 세로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텐터링을 한 소위 신장성 스펀 본드, 이들의 라미네이트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수축 타입 부직포 중 굵기가 2.2~6.6 dtex이고, 길이가 38~51 mm이며, 코어 성분이 고융점이고 시스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수축성을 갖는 PE/PP, PE/PET, PP/PP 등의 복합 합성 섬유를 원재료로 하며, 단위 중량이 20~60 g/m2의 범위로 조정된 것이 유연하고 드레이프감이 풍부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비신축성의 재료에 신축성을 부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직포로부터는 코어 성분이 고융점이고 시스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수축성을 갖는 PE/PP, PE/PET, PP/PP 등의 복합 합성 섬유를 원재료로 하여, 열풍에 의해 처리된 부피감이 풍부한 스루 에어 부직포, 수류압에 의해 섬유를 교락시킨 스펀 레이스 부직포, 연속 섬유를 적층하여 시트화한 스펀 본드 부직포, 니들에 의해 섬유끼리를 얽히게 한 니들 펀치 부직포, 스펀 본드와 멜트 블로운을 다층에 적층하여 시트화한 SMS 부직포 외에도 개공 폼 필름, PE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필름 등을 단독 또는 이들을 복합하여 이루어진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비신축 재료를 자웅의 금형의 사이에 끼워 맞추어, 열, 온도 및 압력에 의해 형상을 형틀 누르는 골판지 가공(corrugating process)에 의해 신장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굵기가 2.2~4.4 dtex, 단위 중량이 20~60 g/m2로 조정된 복합 합성 섬유를 주체로 한 스루 에어 부직포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골판지 가공을 한 것을 들 수 있다.
골판지 가공은 적어도 10% 이상의 신장성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의 신장성이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신장시의 하중이 0.01~0.05 N/25 mm이다(시험 조건: 텐실론 인장력 시험기로 속도 100 mm/min(환산치; 6 m/h), 척간격 100 mm).
신축성을 부여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미니 시트편(5)에 자름선(silt)을 넣거나, 또는 원형으로 미니 시트편(5)을 오려 내는 등의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ㆍ수분산성ㆍ수용성이 부여된 음순간 패드의 구성 재료]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1)는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경혈 등을 흡수한 후, 그대로 화장실에 탈락시켜 흘려보낼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폐기를 간편하고 또한 청결히 행할 수 있어, 화장실내의 쓰레기의 저감을 도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이란, 방선균을 비롯하는 세균, 그 밖의 미생물의 존재하에서, 또한 염기성 또는 호기성 조건하에서,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 등의 가스, 물 및 생물량(biomass)으로 분해되는 것을 말한다. 「수분산성」이란, 수해성과 동 일한 의미로서, 소정량의 수분(경혈)에서는 형상에 변화는 없지만, 다량의 물에서는 섬유가 화장실 배관을 막히게 하는 일이 없을 정도의 작은 단편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을 말한다. 「수용성」이란, 소정량의 수분(경혈)에서는 형상에 변화는 없지만, 다량의 물에서는 용해하는 성질을 말한다.
<표면측 시트>
표면측 시트(2)로서는 펄프, 코튼, 레이온, 아세테이트 외에도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
흡수체(4)로서는 니들링으로부터 얻어지는 부직포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흡수 재료의 생분해성 등을 고려하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섬유가 바람직하다.
<이면측 시트>
이면측 시트(3)로서는 PVA 필름, PVA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부분적으로 실리콘 등에 의해 발수 처리를 한 필름 시트, 실리콘을 혼합한 PVA 필름, 전분 필름, 폴리락트산 또는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가수분해에 의한 생분해성 수지를 원료로 한 필름 및 티슈 등과의 라미네이트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무기 안료를 0.1~5%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착색을 하더라도 좋다.
과습하에 있어서의 샘 방지성의 유지와 정화층에의 과도한 부하를 부여하지 않는 것 등도 고려하면, 폴리락트산을 원료로 한 필름을 10~20 μm의 두께로 단위 중량 15~20 g/m2의 티슈와 라미네이트하고, 또한 라미네이트시 서로의 부착 면적율을 5~40%로 한 라미네이트지가 적합하다.
<미니 시트편>
미니 시트편(5)으로서는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재료를 원료로 한 필름,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등 또는 PVA, CMC 등의 수용성 재료를 원료로 한 필름, 부직포 등 및 셀룰로오스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주체로 한 수분산성 티슈,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생분해성 재료를 주체로 한 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로서 굵기가 0.1~3.3 dtex의 범위이고, 단위 중량이 15~40 g/m2의 범위로 조정된 시트로서 전술한 기계적 골판지 가공을 한 것이 적합하다.
[음순간 패드의 구성]
음순간 패드(1)는, 예컨대 2개로 접어 포개어져 음순사이에 장착되지만, 이 때, 접어 포개어진 상태에서의 표면측 시트(2)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 L이 접어 포개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표면측 시트(2)의 폭 방향의 치수 L1과 동일하거나 또는 치수 L1보다 약간 길더라도 최외면인 신체측의 표면측 시트(2)가 흡수체(4)의 두께에 의해서 버티게 된다. 그 결과, 둘로 접은 상태로 음순사이에 장착시키더라도 접어 포개어진 음순간 패드(1)의 양측 가장자리가 개방하고자 하는 힘이 작동하기 때문에 음순의 선단이 개방하여 음순간 패드(1)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1)를 길이 방향의 중심선에 따라서 이면측 시트(3)가 서로 접촉하도록 2개로 접어 포갠다. 여기서, 2개로 접어 포개어진 상태에서의 표면측 시트(2)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 L은 적어도 접어 포개기 전의 평판형의 상태에서의 폭 방향의 겉보기 치수 L1(도 1b 참조)에, 평면형으로 열린 상태에서의 음순간 패드(1)의 두께를 반경으로 하는 반원의 원주길이에 해당하는 길이 L2(신장 길이)를 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표면측 시트(2)가 흡수체(4)로 압박되지 않도록 하여, 음순간 패드(1)의 접어 포개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 즉 양측 가장자리가 개방하고자 하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1)를 둘로 접어 장착하더라도 음순간 패드(1)가 탈락할 우려는 없다.
표면측 시트(2)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를 평판형에서의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길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예컨대,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를 이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보다도 크게 해 두고, 표면측 시트(2)를 폭 방향으로 느슨하게 한 상태로 이면측 시트(3)에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이면측 시트(3) 및 흡수체(4)를 2개로 접어 포갠 상태로 이 이면측 시트(3)에 표면측 시트(2)를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2)를 폭 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장 가능하게 해 두고, 평판형의 상태로 표면측 시트(2)와 이면측 시트(3)를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표면측 시트(2)에는 폭 방향을 따라서 파형 가공을 하거나, 슬릿 가공을 하거나 하는 것 이외에 표면측 시트(2) 자체의 특성으로서 폭 방향의 최대 인장 신도를 100% 이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음순간 패드(1)는 이면측 시트(3)의 의복측에 음순간 패드(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측부에 걸쳐 미니 시트편(5)이 부착되어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미니 시트편(5) 대신에 신체측과는 반대측(의복측)의 면에 돌기부를 설치하여, 이 돌기부를 2개의 손가락으로 잡아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미니 시트편이나 돌기부를 전혀 설치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1>
표면측 시트를 이하의 순서로 제조했다. 우선, 섬도 1.4 dtex, 섬유 길이 44 mm로 이루어진 레이온을 단위 중량이 33 g/m2가 되도록 속도 70 m/min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상에 적층했다. 이 적층한 레이온을 3줄로 병렬하여 배치된 노즐(노즐 직경 92 μm, 노즐 피치 0.5 mm)로부터 합계 수압 120 kg/cm2(환산치; 11.76 MN/m2), 합계 수류량 1920 cc/cmㆍmin(환산치; 1.92 l/cmㆍmin)이 되는 수류로 섬유끼리를 얽혀 시트화했다. 이 시트를 110℃, 2 m/sec의 풍량으로 설정된 에어로 건조시키고, 두께를 0.31 mm, 밀도를 0.110 g/cm3(환산치; 110 kg/m3)으로 조정하여, 단층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로 했다.
<실시예 2>
표면측 시트를 이하의 순서로 제조했다. 우선, 음순 내벽측에는 섬도 1.4 dtex, 섬유 길이 44 mm로 이루어진 레이온을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50%를 적층 한다. 한편, 흡수체측에는 섬도 1.4 dtex, 섬유 길이 44 mm로 이루어지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35%의 레이온과, 섬도 1.3 dtex, 섬유 길이 38 mm로 이루어지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15%의 PET를 혼합하여 적층했다. 이들 2층의 합계 단위 중량이 33 g/m2가 되도록 속도 70 m/min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상에 적층하고, 그 후 3줄로 병렬하여 배치된 노즐(노즐 직경 92 μm, 노즐 피치 0.5 mm)로부터 합계 수압 140 g/cm2(환산치; 13.72 MN/m2), 합계 수류량 2000 cc/cmㆍmin(환산치; 2.00 I/cmㆍmin)가 되는 수류로 섬유끼리를 얽혀 시트화했다. 이 시트를 110℃, 2 m/sec의 풍량으로 설정된 에어로 건조시키고, 두께를 0.350 mm, 밀도를 0.093 g/cm3(환산치; 93 kg/m3)의 범위로 조정하여, 2층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로 했다.
<비교예 1>
표면측 시트를 이하의 순서로 제조했다. 우선, 섬도 1.4 dtex, 섬유 길이 44 mm로 이루어진 레이온을 단위 중량이 33 g/m2가 되도록 속도 70 m/min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상에 적층했다. 이 적층한 레이온을 3줄로 병렬하여 배치된 노즐(노즐 직경 92 μm, 노즐 피치 0.5 mm)로부터 합계 수압 180 g/cm2(환산치; 17.64 MN/m2), 합계 수류량 2220 cc/cmㆍmin(환산치; 2.221/cmㆍmin)이 되는 수류로 섬유끼리를 얽혀 시트화했다. 이 시트를 110℃, 2 m/sec의 풍량으로 설정된 에어로 건조시키고, 두께를 0.27 mm, 밀도를 0.123 g/cm3(환산치; 123 kg/m3)로 조정하여, 단층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로 했다.
<비교예 2>
표면측 시트를 이하의 순서로 제조했다. 우선, 섬도 1.4 dtex, 섬유 길이 44 mm로 이루어진 레이온을 70%, 섬도 1.3 dtex, 섬유 길이 38 mm로 이루어지고 PET를 30%를 혼합한 섬유를 단위 중량이 33 g/m2가 되도록 속도 70 m/min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상에 적층했다. 그 후, 3줄로 병렬하여 배치된 노즐(노즐 직경 92 μm, 노즐 피치 0.5 mm)로부터 합계 수압 180 kg/cm2(환산치; 17.64 MN/m2), 합계 수류량 2220 cc/cm.min(환산치; 2.221/cmㆍmin)이 되는 수류로 섬유끼리를 얽혀 시트화했다. 이 시트를 110℃, 2 m/sec의 풍량으로 설정된 에어로 건조시키고, 두께를 0.29 mm, 밀도를 0.113 g/cm3(환산치; 113 kg/m3)으로 조정한 1층의 스펀 레이스 부직포로 했다.
<비교예 3>
P&G사의 음순간 패드(상품명 「Envive」)에 관해서 표면측 시트를 분리하고, 이 표면측 시트를 비교예 3으로 하여, 다른 샘플과 같이 평가했다.
이 표면측 시트는 현미 적외 분석 이외의 분석을 행한 바, 1층의 케미컬 바인더 부직포로서 섬유 부분은 섬도가 약 1.4 dtex, 섬유 길이가 약 44 mm로 이루어진 셀룰로오스계 재생 섬유였다. 이 바인더 부직포의 바인더 부분은 주성분이 파라핀계 왁스와 지방족 폴리에테르계 왁스와의 혼합물이며, 섬유 부분과 바인더 부분의 구성 비율은 60:40였다.
<비교예 4>
표면측 시트를 다음의 순서로 제조했다. 우선, 섬도 4.4 dtex, 섬유 길이 51 mm로 이루어진 코어 성분이 고융점이고, 시스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수축성을 갖는 PE/PP의 복합 합성 섬유에 친수성 유제를 0.4% 도포한 후에, 단위 중량이 20 g/m2가 되도록 속도 90 m/min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상에 적층했다. 그 후, 140℃, 2 m/sec의 풍량으로 설정된 에어에 의해서 섬유끼리 융착시키고, 두께를 0.71 mm, 밀도를 0.028 g/cm3(환산치; 28 kg/m3)로 조정하여, 1층의 스루 에어 부직포로 했다.
전술한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 따른 표면측 시트의 특성(밀도, 인장 강도, 흡수도, 표면 특성 등), 및 각 표면측 시트를 이용한 음순간 패드의 탈락율이나 음순 내벽과의 밀착성(전단 강도)에 관해서 표 1a 및 표 1b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
제법 구성 |
스펀 레이스 단층 |
스펀 레이스 2층 |
스펀 레이스 단층 |
|
WJ 노즐(직경 92 μm, 피치 0.5 mm) 각 노즐 압력 kg/cm2 각 노즐 수류량 cc/cm ㆍ분 합계 노즐 수류량 cc/cm ㆍ분 |
3줄 노즐 40+40+40 640+640+640 1920 |
3줄 노즐 40+50+50 640+680+680 2000 |
3줄 노즐 60+60+60 740+740+740 2220 |
|
조성 |
상층 | 레이온:100% (1.4 dt×44) |
레이온:50% (1.4 dt×44) |
레이온:100% (1.4 dt×44) |
하층 | 레이온:35%온 (1.4 dt×44) PET:15% (1.3 dt×38) |
|||
단위 중량 g/m2 | 33.0 | 33.0 | 33.1 | |
두께 | 건조시 (0.5 g/cm2 하중하) mm 습윤시 (함유율 800%시, 0.5 g/cm2 하중하) mm |
0.30 0.24 |
0.35 0.31 |
0.27 0.21 |
두께비(습윤 두께/건조 두께) % | 80 | 89 | 78 | |
습윤 전단강도(길이 방향) | 함유율 300%시 cN/25 mm 함유율 800%시 cN/25 mm |
35 22 |
37 29 |
33 14 |
장착 테스트에 있어서 보행시의 탈락률 % | 0 | 0 | 13 | |
표면 특성 | SMD μm | 2.79 | 2.82 | 2.56 |
건조시 인장강도(길이방향) | 신장도 5%시 cN/25 mm | 385 | 563 | 645 |
함유율 800%시 인장강도(길이방향) | 신장도 5%시 cN/25mm | 182 | 135 | 275 |
클렘 흡수도 | 길이 방향 mm 폭 방향 mm |
30 22 |
25 22 |
31 2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
제법 구성 |
스펀 레이스 단층(혼면) |
케미칼 바인더 단층(혼면) |
스루 에어 단층 |
|
WJ 노즐(직경 92 μm, 피치 0.5 mm) 각 노즐 압력 kg/cm2 각 노즐 수류량 cc/cm ㆍ분 합계 노즐 수류량 cc/cm ㆍ분 |
3줄 노즐 60+60+60 740+740+740 2220 |
- | - | |
조성 |
상층 | 레이온:70% (1.4 dt×44) PET:30%(1.3 dt×38) |
레이온:60% (1.4 dt×44) 파라핀 왁스:40% |
PE/PP :100% (1.4 dt×44) 친수성 유제 미량 |
하층 | ||||
단위 중량 g/m2 | 32.7 | 23.0 | 20.0 | |
두께 | 건조시 (0.5 g/cm2 하중하) mm 습윤시 (함유율 800%시, 0.5 g/cm2 하중하) mm |
0.29 0.26 |
0.11 0.10 |
0.71 0.40 |
두께비(습윤 두께/건조 두께) % | 90 | 91 | 56 | |
습윤 전단강도(길이 방향) | 함유율 300%시 cN/25 mm 함유율 800%시 cN/25 mm |
35 11 |
41 8 |
3 4 |
장착 테스트에 있어서 보행시의 탈락률 % | 20 | 40 | 40 | |
표면 특성 | SMD μm | 2.56 | 2.34 | 4.35 |
건조시 인장강도(길이 방향) | 신장도 5%시 cN/25 mm | 613 | 818 | 358 |
함유율 800%시 인장강도(길이 방향) | 신장도 5%시 cN/25mm | 291 | 10 | 220 |
클렘 흡수도 | 길이 방향 mm 폭 방향 mm |
19 17 |
12 12 |
1 1 |
환산식: (1) 압력 1 kg/cm2 = 9.8×104 N/m2, 1 g/cm2 = 98 N/m2
(2) 노즐 유량 1 cc/cm ㆍ분 = 10-3 l/cm ㆍ분
[시험 방법]
다음에 표 1에 기재한 각 특성을 평가한 시험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장착 테스트에 있어서의 보행시에서의 탈락성 확인>
발포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길이 80 mm, 폭 5 mm, 높이 20 mm인 직방체 견본의 표면에 표면측 시트를 접착한 것을 시험체로 했다. 이 시험체의 표면에 인공 경혈을 안개형으로 분무하여, 시험체의 함유율 800%인 습윤 상태가 되도록 조정했다. 계속해서, 이 습윤 상태의 시험체를 착용자의 음순사이에 장착하여, 워킹 머신(알린코사 제조 EX-W8000WALKER8000)으로 착용자에게 30초간, 5 km/h의 속도로 보행하게 하여, 이 30초간에 시험체가 음순사이에서 탈락했는가를 눈으로 확인했다.
각 착용자에 관해서 5회 장착하게 하고, 3명을 대상으로 시험을 하여, 탈락한 매수의 비율을 구했다.
<습윤 전단 강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측 시트의 부직포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폭 25 mm 길이 40 mm로 랜덤으로 10장 채취하여 시험편(11)으로 했다. 이 시험편(11)의 음순 내벽측에서 인공 경혈을 분무기형으로 분사하여 소정의 함유율이 되도록 조정했다. 다음에, 이 시험편(11)을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전체 피복하고, 20℃, 습도 60%의 환경하에서 약 1분간 방치하여, 인공 경혈이 시험편(11) 전체에 널리 퍼지도록 조정했다. 이 조정한 시험편(11)을 폭 50 mm, 길이 60 mm, 두께 2 mm의 스테인레스강판(12)에 인공 경혈을 분무한 측을 접합시키고(도 4 참조), 가압 10 kg/cm2(환산치; 0.98 MN/m2)하에서 30초 방치했다. 그 후, 정속 신장 인장 시험기(시마즈사 제조 AGS-1kNG)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인장하여, 최대 전단 하중치를 측정했다. 시험 조건은 접합 길이 30 mm, 인장 속도 100 mm/min(환산치; 6 m/h), 척간격 40 mm으로 했다. 또한, 스테인레스강판(12)은 JIS G 4305에 규정하는 SUS304 강판을 JIS G 4305에 규정하는 No.4로 표면 마무리를 한 후에, 더욱 #200 메쉬의 연마재로 HL(hair line) 마무리로 했다.
<클렘 흡수도>
표면측 시트의 부직포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폭 25 mm, 및 길이 100 mm로 랜덤으로 10매 채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이 시험편을 플라스틱 제조 용기에 10 mm 이상의 깊이로 넣은 인공 경혈에 대하여, 시험편 선단이 5 mm의 깊이까지 잠기도록 설치하여, 10분간 방치했다. 액체가 시험편을 따라 상승한 흡입 거리를 측정했다.
<표면측 시트의 부직포의 인장 강도>
표면측 시트의 부직포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폭 100 mm, 길이 100 mm로 랜덤으로 10매 채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이 시험편을 자동화 인장ㆍ전단 시험기(카토테크사 제조 KES-FB1-AUTO-A)에 설치하여, 신장도가 5%의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표면측 시트의 표면 특성>
표면측 시트의 부직포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폭 100 mm, 길이 100 mm로 랜덤으로 10매 채취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이 시험편을 자동화 표면 시험기(카토테크사 제조 KES-FB4-AUTO-A)에 설치하여, 부직포의 표면의 상하 두께 변동을 측정했다.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와 음순간 패드의 탈락과의 관련성>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와 음순간 패드의 탈락과의 관련성에 관해서 습윤 전단 강도가 다른 표면측 시트를 이용하여, 3명을 대상으로 한 「장착 테스트에 있어서의 보행시에서의 탈락율」로 확인했다.
[시험 결과]
실시예 1에서는 표면측 시트는 밀도가 0.110 g/cm3(환산치; 110 kg/m3)이고, 길이 방향으로 5%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385 cN/25 mm였다. 또한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는 22 cN/25 mm이며, 음순간 패드의 탈락은 생기지 않았다.
실시예 2에서는 표면측 시트는 밀도가 0.094 g/cm3(환산치; 94 kg/m3)이고, 길이 방향으로 5%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563 cN/25 mm였다.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는 29 cN/25 mm이며, 음순간 패드의 탈락은 생기지 않았다.
또한 습윤시의 부피와 건조시의 부피의 비가 89%이며, 단층인 것과 비교해서 높은 부피를 유지할 수 있었다. 이것은 흡수체측에 친수성 섬유와 합성 수지 섬유를 혼합하여 적층했기 때문에, 습윤시에 있어서도 부피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비교예 1에서, 표면측 시트는 밀도가 0.123 g/cm3(환산치; 123 kg/m3)이고, 길이 방향으로 5%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45 cN/25 mm로 높았다. 그러나,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는 14 cN/25 mm으로 낮고, 음순간 패드의 탈락이 생겼다. 이것은 밀도가 높고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높기 때문에, 섬유의 자유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2에서, 표면측 시트는 밀도가 0.113 g/cm3(환산치; 113 kg/m3)이지만, 길이 방향으로 5%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13 cN/25 mm로 높았다. 그러나,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는 11 cN/25 mm로 낮고, 음순간 패드의 탈락이 발생했다.
이것은 습윤성이 다른 섬유를 혼입하여 표면측 시트를 형성했기 때문에 흡수율이 다른 영역이 존재하고, 음순 내벽에 대한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가 기울어 버린다. 그 결과,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습윤 전단 강도가 낮은 영역이 용이하게 음순 내벽으로부터 박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3에서, 표면측 시트는 밀도가 0.209 g/cm3(환산치; 209 kg/m3)이고, 길이 방향으로 5% 신장한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818 cN/25 mm로 높았다. 또한 인공 경혈을 300% 함유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는 41 cN/25 mm로 높지만,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는 8 cN/25 mm로 낮았다. 또한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도 10 cN/25 mm로 낮고, 음순간 패드의 탈락율도 높았다.
이것은 경혈의 함유율이 낮은 상태에서는 케미컬 바인더인 파라핀 왁스가 연화되어, 고점도의 겔형이 되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가 음순 내벽과 밀착하고, 습윤 전단 강도는 높아진다. 그러나, 경혈의 함유율이 높은 상태에서는 파라핀 왁스가 지나치게 연화되어, 시트로서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4에서는 표면측 시트는 인공 경혈을 300% 함유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가 3 cN/25 mm,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습윤 전단 강도가 4 cN/25 mm로 낮고, 음순간 패드의 탈락율도 높았다.
이것은 섬유끼리의 융착에 의해 시트화시켜 제법했기 때문에, 밀도가 낮아져 버린다. 그 결과, 표면 상태가 거칠어지고(표면 특성 SMD가 4.35임), 음순 내벽과의 접촉 면적이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친수성 유제를 섬유의 표면에 도포시켰지만, 표면측 시트를 100% 합성 섬유로 형성했기 때문에, 클렘 흡수도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모두 1 mm로, 경혈와의 친화성이 낮고, 소량의 경혈이라도 흡입되어, 음순 내벽과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탈락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표면측 시트의 습윤 전단 강도와 음순간 패드의 탈락과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인공 경혈의 함유율 300~800%의 범위에서는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측의 길이 방향의 습윤 전단 강도가 15 cN/25 mm 이상인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가 탈락할 우려는 저하한다.
본 발명 표면측 시트 및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면측 시트를,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 있어서의 표면측 시트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15 cN/25 mm 이상 60 cN/25 mm 이하인 섬유 집합체로 형성했다. 이에 따라,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 음순의 형상이 변화되더라도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와의 사이에 생기는 전단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를, 인공 경혈을 3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600 cN/25 mm 이하이며, 상기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인장 강도가 100 cN/25 mm 이상인 섬유 집합체로 형성했다. 이에 따라, 표면측 시트가 경혈을 흡수하여 고습윤 상태가 되더라도 표면측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사이의 구속력이 느슨하고, 각 섬유사이의 자유도가 높다. 그 때문에, 장착중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이 충격을 완충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가해진 충격이 표면측 시트와 음순 내벽의 계면에 전단력으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를 음순 내벽과의 접촉 상태가 기우는 일이 없는 치밀한 섬유 분포를 구비하는 섬유 집합체로 형성했다. 이에 따라, 표면측 시트에는 섬유 밀도가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경혈을 흡수하더라도 표면측 시트에 경혈의 함유율이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생기지 않고, 또한 음순 내벽에 대한 전단 강도도 높은 영역과 낮은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라도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를 섬유 강성이 다른 섬유를 두 가지 이상 혼합하여, 교락시킨 섬유 집합체로 형성했다. 이에 따라, 섬유를 교락시킬 때의 수류를 섬유 강성이 낮은 쪽의 섬유가 느슨히 교락하는 것과 같은 수압으로 하면, 섬유 강성이 높은 쪽의 섬유의 구속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측 시트를 단일 섬유로 형성한 경우에 비교하여, 섬유사이의 구속력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경혈을 흡수한 후의 고습윤 상태에 있어서 장착중에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표면측 시트에 충격력이 가해지더라도 각 섬유사이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이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가해진 충격이 표면측 시트와 음순 내벽의 계면에 전단력으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음순간 패드를 음순사이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Claims (16)
- 음순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로서,물,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식용색소제제로 이루어진 조성액을 인공 경혈로 하고,이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에서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15 cN/25 mm 이상 60 cN/25 mm 이하인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측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습윤 상태의 부피가 건조 상태의 부피의 80% 이상인 것인 표면측 시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는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표층 및 친수성 섬유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이면층으로 이루어진 것인 표면측 시트.
- 음순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이용되는 표면측 시트로서,물,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식용색소제제로 이루어진 조성액을 인공 경혈로 하고,이 인공 경혈을 3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서 인장 강도가 600 cN/25 mm 이하이며, 상기 인공 경혈을 800% 함유시키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5% 신장시킨 상태에서 인장 강도가 100 cN/25 mm 이상인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측 시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경혈에 의한 10분후의 클렘(Klemm) 흡수도가 10 mm 이상인 표면측 시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음순 내벽에 면하는 표면측 시트, 의복에 면하는 이면측 시트 및 이들 시트의 사이에 끼워져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로 이루어진 음순간 패드로서,상기 표면측 시트는 물,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식용색소제제로 이루어지는 조성액을 인공 경혈로 하고,이 인공 경혈을 800% 함유한 상태의 음순 내벽에 대한 습윤 전단 강도가 15 cN/25 mm 이상 60 cN/25 mm 이하인 섬유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시트와 상기 흡수체의 접합 면적은 상기 흡수체의 면적의 30% 이하인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측 시트가 외측이 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접는선에서 2개로 접어 포개지면, 상기 표면측 시트의 폭 방향의 신장 치수는 접어 포개지기 전의 평판형의 상태보다도 긴 것인 음순간 패드.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요실금용인 음순간 패드.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질분비물 흡수용인 음순간 패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291556A JP4244128B2 (ja) | 2002-10-03 | 2002-10-03 | 陰唇間パッド構成用の表面側シートおよび陰唇間パッド |
JPJP-P-2002-00291556 | 2002-10-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9200A KR20050059200A (ko) | 2005-06-17 |
KR101013921B1 true KR101013921B1 (ko) | 2011-02-14 |
Family
ID=32063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5197A KR101013921B1 (ko) | 2002-10-03 | 2003-08-29 | 표면측 시트 및 음순간 패드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050177121A1 (ko) |
EP (1) | EP1547559A4 (ko) |
JP (1) | JP4244128B2 (ko) |
KR (1) | KR101013921B1 (ko) |
CN (1) | CN1688272A (ko) |
AU (1) | AU2003261837A1 (ko) |
TW (1) | TWI228037B (ko) |
WO (1) | WO20040305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94149B2 (ja) | 2004-05-28 | 2011-06-08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555616B2 (ja) | 2004-06-11 | 2010-10-0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705369B2 (ja) | 2004-12-28 | 2011-06-22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JP4482466B2 (ja) | 2005-03-04 | 2010-06-1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陰唇間パッド |
US7659372B2 (en) | 2006-04-19 | 2010-02-0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nstrual fluid simulant containing blood product, gelatin, polyacrylamide and buffer |
JP5069890B2 (ja) * | 2006-06-23 | 2012-11-0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不織布 |
JP5154048B2 (ja) * | 2006-06-23 | 2013-02-27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不織布 |
JP5123513B2 (ja) * | 2006-06-23 | 2013-01-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吸収体 |
JP5328088B2 (ja) * | 2006-06-23 | 2013-10-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不織布 |
JP5328089B2 (ja) * | 2006-06-23 | 2013-10-3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多層不織布及び多層不織布の製造方法 |
KR101395379B1 (ko) * | 2006-06-23 | 2014-05-14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흡수성 물품 |
JP5123512B2 (ja) * | 2006-06-23 | 2013-01-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不織布 |
JP5123505B2 (ja) * | 2006-06-23 | 2013-01-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不織布 |
JP6717675B2 (ja) * | 2016-06-13 | 2020-07-01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CN113029901A (zh) * | 2021-03-01 | 2021-06-25 | 杭州老爸评测互动科技有限公司 | 一种卫生巾透气性的测量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9037A (ja) | 1999-09-16 | 2001-03-27 | Uni Charm Corp | 水解性の吸収性物品 |
JP2001172850A (ja) | 1999-01-29 | 2001-06-26 | Uni Charm Corp | フィブリル化レーヨンを含有した水解性繊維シート |
WO2002013750A2 (en) * | 2000-08-11 | 2002-02-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
JP2002513638A (ja) | 1998-05-01 | 2002-05-14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一体成形タブを有する吸収性陰唇間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20235A (en) * | 1966-07-13 | 1969-01-07 | Johnson & Johnson | Interlabial pad |
US3983873A (en) * | 1974-07-03 | 1976-10-05 | Hirschman Shalom Z | Feminine hygienic pad |
US4095542A (en) * | 1976-10-15 | 1978-06-20 | Hirschman Shalom Z | Methods of making feminine hygienic pads |
JPS5855789B2 (ja) * | 1979-08-07 | 1983-12-12 | 花王株式会社 | 生理用ナプキンの外包材 |
DE3852732T2 (de) * | 1987-07-30 | 1995-05-24 | Kao Corp | Sanitärartikel. |
JPH0659039U (ja) * | 1993-01-08 | 1994-08-16 |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 積層体 |
US6436234B1 (en) * | 1994-09-21 | 2002-08-2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et-resilient webs and disposable articles made therewith |
US5885265A (en) * | 1995-11-22 | 1999-03-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
US20010023338A1 (en) * | 1996-06-07 | 2001-09-20 | Mario Guarracino | Absorbent article having an odour control system of zeolite and silica in close physical proximity |
US5916205A (en) * | 1996-08-30 | 1999-06-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US5762644A (en) * | 1996-08-30 | 1998-06-0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oilet-disposable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US5895381A (en) * | 1997-01-03 | 1999-04-2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flexible extensions |
US6254584B1 (en) * | 1997-01-03 | 2001-07-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hin comfort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
JP3737212B2 (ja) * | 1996-09-06 | 2006-01-18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US5990377A (en) * | 1997-03-21 | 1999-11-2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ual-zoned absorbent webs |
US6183456B1 (en) * | 1997-06-16 | 2001-02-0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eminine hygiene system and kit us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US6432096B1 (en) * | 1997-06-16 | 2002-08-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having an integrally formed tab |
US5928452A (en) * | 1997-11-26 | 1999-07-2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of making a shaped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
US6261679B1 (en) * | 1998-05-22 | 2001-07-1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ibrous absorbent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
JP3639450B2 (ja) * | 1999-01-20 | 2005-04-20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
TW446556B (en) * | 1999-05-19 | 2001-07-21 | Procter & Gamble | Absorbent article having body contacting surface with skin care composition disposed thereon |
JP4190681B2 (ja) * | 1999-11-12 | 2008-12-03 | ピジョン株式会社 | 体液吸収体 |
JP4430766B2 (ja) * | 1999-11-12 | 2010-03-10 | ピジョン株式会社 | 水解性不織布 |
JP2001309940A (ja) * | 2000-04-28 | 2001-11-06 | Daio Paper Corp | 薄型吸収体および薄型吸収性物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 |
JP3771432B2 (ja) * | 2000-08-28 | 2006-04-26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
JP3609361B2 (ja) * | 2000-10-12 | 2005-01-12 | 花王株式会社 | 立体シート材料 |
JP4338327B2 (ja) * | 2001-02-20 | 2009-10-07 | 花王株式会社 | 吸収性物品 |
JP4387066B2 (ja) * | 2001-03-15 | 2009-12-16 | 大王製紙株式会社 | 生理用ナプキン |
US20030093046A1 (en) * | 2001-11-14 | 2003-05-15 | Kim Hyungbyum | Cover sheet for personal care products |
ATE516002T1 (de) * | 2002-09-17 | 2011-07-15 | Uni Charm Corp | Interlabiales produkt und in wasser zerfallende oberflächenseitenplatte für das interlabiale produkt |
KR101206184B1 (ko) * | 2003-12-09 | 2012-11-28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음순간 패드 |
-
2002
- 2002-10-03 JP JP2002291556A patent/JP424412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8-29 KR KR1020057005197A patent/KR1010139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8-29 AU AU2003261837A patent/AU200326183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8-29 WO PCT/JP2003/011064 patent/WO200403059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08-29 CN CNA038235587A patent/CN1688272A/zh active Pending
- 2003-08-29 EP EP03799095A patent/EP154755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9-17 TW TW092125643A patent/TWI22803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12-30 US US11/029,621 patent/US2005017712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13638A (ja) | 1998-05-01 | 2002-05-14 |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 一体成形タブを有する吸収性陰唇間装置 |
JP2001172850A (ja) | 1999-01-29 | 2001-06-26 | Uni Charm Corp | フィブリル化レーヨンを含有した水解性繊維シート |
JP2001079037A (ja) | 1999-09-16 | 2001-03-27 | Uni Charm Corp | 水解性の吸収性物品 |
WO2002013750A2 (en) * | 2000-08-11 | 2002-02-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
WO2002013750A3 (en) | 2000-08-11 | 2002-10-17 | Procter & Gamble |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0414891A (en) | 2004-08-16 |
KR20050059200A (ko) | 2005-06-17 |
EP1547559A4 (en) | 2008-12-24 |
CN1688272A (zh) | 2005-10-26 |
JP4244128B2 (ja) | 2009-03-25 |
US20050177121A1 (en) | 2005-08-11 |
AU2003261837A1 (en) | 2004-04-23 |
WO2004030594A1 (ja) | 2004-04-15 |
TWI228037B (en) | 2005-02-21 |
JP2004121611A (ja) | 2004-04-22 |
EP1547559A1 (en) | 2005-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79156B2 (en) | Absorbent article | |
KR102003105B1 (ko) | 흡수성 물품 | |
JP2514294B2 (ja) |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 | |
US6916969B1 (en) | Material laminate for use as a covering sheet in an absorbent article | |
KR101013921B1 (ko) | 표면측 시트 및 음순간 패드 | |
JP4719799B2 (ja) | 陰唇間パッド | |
TW200803802A (en) | Absorbent product | |
KR20010109192A (ko) | 흡수성 물품 | |
US20170105888A1 (en) | Absorbent article | |
KR101100572B1 (ko) | 음순간 패드 | |
US7549980B2 (en) | Interlabial pad | |
TWI387447B (zh) | 陰唇間棉墊 | |
JP5080049B2 (ja) | シート部材、吸収性物品、陰唇間パッドおよ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 |
JP5039731B2 (ja) | 陰唇間パッド | |
JP4797076B2 (ja) | 吸収性物品 | |
JP2002238949A (ja) | 吸収性物品 | |
JP2022025534A (ja) | 吸収性物品 | |
JPH04314444A (ja) | 吸収性物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