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174B1 - 음순간 패드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174B1
KR101143174B1 KR1020067012642A KR20067012642A KR101143174B1 KR 101143174 B1 KR101143174 B1 KR 101143174B1 KR 1020067012642 A KR1020067012642 A KR 1020067012642A KR 20067012642 A KR20067012642 A KR 20067012642A KR 101143174 B1 KR101143174 B1 KR 101143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bial pad
pressure
fold line
area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388A (ko
Inventor
사토시 미즈타니
와타루 요시마사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2High modulus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6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s,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Abstract

본 발명은 둘로 접기 타입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순간 패드에 대해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가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정상에서 음순간 패드(10)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진 경우, 그 압력에 반발하여, 압력이 그대로 전정상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분산 수단(11)을 음순간 패드(10)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에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10)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INTER-LABIUM PAD}
본 발명은,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가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성용 생리용품으로서는, 생리대, 탐폰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생리대나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라는 생리용품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 이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끼워, 음순 내벽에 접촉시켜 장착하는 것으로, 생리대와 비교하여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경혈의 누설이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경혈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또한 청결한 것이다. 또한, 생리대보다도 소형이기 때문에 장착감이 우수하고, 질 내에 삽입하는 탐폰에 비해서 착용시의 심리 저항도 낮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음순간 패드로서, 여러 가지 구조를 갖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음순간 패드는,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른 접음선에 의해 이면측이 서로 마주 보도록 둘로 접기로 되어, 이면측끼리가 적어도 1점 이상의 접합부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 음순간 패드는, 이면측끼리가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음순 사이의 스페이스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둘로 접기로 되어 사용되는 타입의 음순간 패드는, 둘로 접기로 됨으로써 형성되는 절곡부가 전정상에 접촉하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음순 사이에 협지되기 쉬워, 음순 내에 딱 맞아 경혈 누설의 걱정이 적다고 하는 이점을 갖고 있어, 바람직한 구조라고 말할 수가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WO 02/100315호 팜플렛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음순간 패드는, 착용시에는, 절곡부와 접합부가 거의 연직선 상에 나란히 늘어서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의자에 앉는 등의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음순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음순간 패드에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압력이 그대로 절곡부에 전도되어, 절곡부에 접촉하고 있는 전정상을 누르기 때문에, 착용자가 사용감을 강하게 느끼게 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순간 패드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기 사용감을 느끼지 않는 둘로 접기 타입의 음순간 패드를 개발하는 것이 당업자에게 부과된 과제였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가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둘로 접기 타입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가 사용감을 강하게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를 어떻게 하여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정상으로부터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가해진 압력을 분산하는 압력 분산 수단을 음순간 패드에 구비함으로써, 착용자가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착용 상태에서 신체측에 면하는 신체 측면과 이 신체 측면의 반대측에 면하는 반신체 측면을 지니고,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의 음순간 패드로서, 착용시에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에서 상기 반신체 측면끼리가 서로 마주 보도록 둘로 접기가 되어 있고, 상기 둘로 접기의 접음축인 접음선을 따른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음순 내의 전정상에 접촉하도록 상기 음순 사이에 협지되는 것이며,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는,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생기는 압력에 반발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전정상에 그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분산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1)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둘로 접기 타입의 음순간 패드이며,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정상이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강하게 누른 경우에, 그 압력을 분산시키는 압력 분산 수단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설치된 것이다. 여기서, 「전정상」이란, 좌우의 음순의 밑동아리 부분, 즉, 음순 내부에 위치하는 음핵으로부터 질구를 연결하는 선을 따른 영역을 의미하며,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하여 매우 민감한 부분이다. 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란, 둘로 접기의 접음축인 접음선을 포함하고, 또한, 접음선을 따른 영역을 의미하며, 그 적어도 일부는, 음순간 패드 착용 중에 있어서는 전정상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압력 분산 수단」이란,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에 의해, 전정상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강하게 누른 경우에,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부풀어 변형되는 것이다(도 1, 도 2 및 도 3 참조).
종래의 둘로 접기 타입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전정상으로부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대하여 강한 압력이 가해진 경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변형되기 전에, 둘로 접기로 함으로써 접음선의 양측에 형성되는 양 절곡 부재가 비틀리는 등으로 인해 변형되어 버린다. 이것은, 둘로 접기로 함으로써 그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굴곡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둘로 접기 타입의 음순간 패드에서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줘 버리는 한편으로, 절곡 부재가 변형되기 때문에, 음순 내벽과의 밀착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경혈 누설의 위험성이 높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고 있었다.
이 점에 있어서, (1)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접음선을 걸쳐서 압력 분산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정상에서부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가해진 압력을 외측 방향으로 분산할 수 있게 되어, 전정상이 음순간 패드로부터 강한 반발력을 받는 일이 없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정상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강하게 누른 경우에는,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키도록,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팽창되어 변형되기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는 일이 없다. 따라서, (1)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정상에서 음순간 패드로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1)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압력 분산 수단은 접음선을 걸쳐서 설치되어 있지만, 압력 분산 수단과 접음선과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식의 경우도 포함되며(예컨대, 도 15 참조), 접음선을 걸쳐서 배치되어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 전체에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지만, 특히 자극에 대하여 민감한 음핵이나 질구와 접촉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음선은, 긴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둘로 접기로 하여 형성되는 접음선은 전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접음선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둘로 접기 타입의 음순간 패드에는, 처음부터 둘로 접기로 되어 있는 것과, 착용시에 둘로 접기로 되는 것의 쌍방이 포함된다.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둘로 접기의 접음축인 접음선을 포함하며, 또한, 접음선을 따른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상술한 것과 같지만, 그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40 mm 이하의 범위 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또한, 접음선은, 긴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이라도 좋지만, 지그재그형이나 물결형 등의 외관 폭을 갖는 형상 쪽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보다 한층 부풀어 변형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에 더하여, 경혈의 유출이나 음순간 패드의 낙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1)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외형 치수는, 음순의 외형 및 음순과 쇼츠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긴 길이 방향의 총 길이는 50 mm 이상 180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mm 이상 12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또한, 양 절곡 부재의 각각의 총 폭은 15 mm 이상 50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이상 4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한편, (1)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신체 측면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측 시트,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재, 및 반신체 측면에 배치되는 액체 난투과성의 이면측 시트를 갖추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표면측 시트로서는, 액체 투과성이며 피부에 자극을 주기 어려운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용되는 섬유의 예로서는, 섬유 길이가 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이상 51 mm의 범위 내이며, 영율은, 100 kg/mm2 이상 1500 kg/mm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kg/mm2 이상 1000 kg/mm2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섬유이다. 예컨대, 레이온, 아세테이트레이온, 천연 코튼, 펄프, 화학 펄프, 또는 합성 수지를 성분으로 한 것을 단독으로 또는 코어-심스 구조를 이루도록 복합된 것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섬유는 단면 형상이 Y형이나 C형 등의 이형이라도 좋고, 또한, 연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분자 배향이 높아진 것, 혹은 권축된 섬유라도 좋다.
이러한 섬유가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적층되고, 그 후 스펀 본드, 포인트 본드, 에어 스루, 니들 펀치, 건식?습식 스펀 레이스 등의 방법에 의해서 시트화되어, 표면측 시트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코튼 5% 이상 30% 이하,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레이온을 70% 이상 95% 이하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를, 평량이 20 g/m2 이상 50 g/m2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제한 후, 수류 체결에 의해 섬유끼리를 체결시키고 건조하여, 두께가 0.3 mm 이상 1.0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제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이용된다. 사용하는 사(絲)의 질은, 천연 코튼이라면 섬유 길이가 15 mm 이상 60 mm 이하의 범위 내,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레이온이라면 섬유 길이 2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섬도 1.1 dtex 이상 6.6 dtex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다.
또한, 음순간 패드를 둘로 접기로 했을 때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두께가 절곡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두께보다 얇아져 버리면, 전정상으로부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변형되기 어렵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짧은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장할 수 있는 표면측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유효하며, 이에 따라,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흡수재의 두께가 얇아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짧은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장할 수 있는 표면측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표면측 시트를 형성하는 섬유 사이의 연성을 높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표면측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섬유의 예로서는, 권축율이 높은 섬유, 고무 성분 등이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신장되기 쉽게 된 섬유, 분할 섬유, 분자 배향이 낮은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각 섬유 사이의 연성(延性)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제가 혼입되어 있는 섬유, 단면이 Y형인 섬유나 C형인 섬유 등이 혼합되어 인접하는 섬유와의 접촉 면적을 저하시킨 섬유를 사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신장성을 부여하는 방법의 다른 예로서는, 짧은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서로 맞물리는 물결형 엠보스 가공을 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물결형의 크기나 피치에 의해서 신장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신장성이란, 물결형을 형성함으로써 원래의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얼마만큼 신장했는지(예컨대, 원래의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를 100 mm로 하여, 물결형을 형성함으로써 그 길이가 200 mm이 되었을 때, 신장성은 2배임)를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높이 1.12 mm, 피치가 2.0 mm인 서로 맞물리는 패턴으로 함으로써 신장성은 1.5배가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는,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총 길이는,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총 길이보다도 크고, 표면측 시트의 굴곡은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둘로 접기로 된 경우에, 이 굴곡에 의해, 표면측 시트는 짧은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신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두께가 얇아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면측 시트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섬유가 집적된 섬유 집합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공 필름이라도 좋다. 개공 필름인 경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개공 직경은 0.2 mm 이상 5 mm 이하의 범위 내, 피치는 0.2 mm 이상 10 mm 이하의 범위 내, 개공 면적율은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이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 이외의 개공 직경은 0.05 mm 이상 3 mm 이하의 범위 내, 피치는 0.2 mm 이상 10 mm 이하의 범위 내, 개공 면적율은 3%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법으로서는, 미리 개공 조건을 변화시킨 패턴 드럼에 필름을 통지(通紙)하여, 석션 흡인함으로써 개공하는 소위 PFW법이나, 균일한 개공 조건을 갖는 PFW법으로 얻어진 표면측 시트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핀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개공을 더욱 부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개공의 배열은 지그재그형, 격자형, 물결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개공의 형상으로서는, 환형, 타원형, 사각형 등을 들 수 있다. 또, 개공부의 주연부에 밸브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개공이 밸브로 막히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특히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개공부의 밸브의 높이가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밸브의 높이보다도 낮게 한 것이다.
또한, 흡수재로서는, 섬유 집합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컨대, 섬유 길이가 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 내이며, 영율은 100 kg/mm2 이상 1500 kg/mm2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00 kg/mm2 이상 1000 kg/mm2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섬유이다. 예로서는, 레이온, 아세테이트레이온, 천연 코튼, 펄프, 화학 펄프, 고분자 흡수체,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 합성 섬유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부피가 크고, 형태 붕괴가 어려우며,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는 단면 형상이 Y형이나 C형 등의 이형인 것이 혼합된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분자 배향이 높아진 것, 권축된 섬유라도 좋다.
구체예로서는, 1.1 dtex 이상 6.6 dtex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레이온을 60% 이상 95% 이하, 천연 코튼을 5% 이상 40% 이하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평량이 50 g/m2 이상 500 g/m2 이하이고, 1 mm 이상 20 mm 이하의 부피를 갖는 부직포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섬유를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적층하여, 그 후 에어 레이드법, 멜트 블로운법, 스펀 레이스법, 초지법 등에 의해 시트화한 것을, 니들링이나 도트형, 격자형 등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한편, 엠보스 면적율은 0.3% 이상 6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접음선을 걸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의 일부에, 섬유 길이가 8 mm 이하인 펄프를 100 g/m2 적층하고,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에는, 섬유 길이가 51 mm이고 3.3 dtex의 레이온 85%와 천연 코튼 15%를 혼합한 것을, 접음선에 교차하는 식으로 섬유 배향시켜 흡수재 전면에 180 g/m2 적층한 것을 들 수 있다. 섬유 길이가 짧으면 섬유끼리의 체결점이 적고, 밀도가 높아져 강성이 높아지기 쉽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지 않는 영역에 섬유 길이가 짧은 펄프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영역의 강성은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강성보다도 높아진다. 따라서,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접촉했을 때에는, 접음선을 걸치지 않는 영역이 변형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보다 한층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기 쉽게 되어, 강한 반발력을 전정상에 주는 일이 없다.
(2)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섬유 집합체를 갖추는 것이며,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압력에 대한 반발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된 섬유를 갖는 것인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2)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는, 압력 분산 수단으로서,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는 섬유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2)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착용시에 둘로 접기로 되더라도,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마련된 각 섬유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반발 강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반발 강성을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어,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2)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의 섬유 중,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배치된 각각의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된 섬유를 갖는 섬유 집합체」란, 섬유의 배향이 접음선에 대하여 각도를 갖고 있고, 적어도 섬유의 배향이 접음선과 평행하지 않은 섬유 집합체를 의미한다. 또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배치된 각각의 부재를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의 섬유의 적어도 일부가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고 있더라도 좋다.
(2)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로서는, 예컨대,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액체 투과성의 표면측 시트나, 섬유 집합체로 주체적으로 구성되고 또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흡수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표면측 시트의 섬유만이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고 있더라도 좋고,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흡수재의 섬유만이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고 있더라도 좋다. 혹은, 이들 섬유 집합체의 섬유의 어느 것이나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고 있더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이들 표면측 시트 및 흡수재의 각각이 다층 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 등은, 그 중의 적어도 1층의 섬유 집합체의 섬유가,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고 있으면 된다.
섬유가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고 있는 지표로서는, 표면측 시트 및 흡수재 각각의 MD로의 인장 최대 강도와 CD로의 인장 최대 강도와의 비(인장 최대 강도 MD/CD)에 의해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MD는 섬유 집합체의 긴 길이 방향을 의미하고, CD는 섬유 집합체의 짧은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최대 강도 MD/CD는 0.1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5 이하의 범위 내이다. 여기서, 인장 최대 강도 MD/CD가 1인 상태란, 섬유의 MD로의 배향과 CD로의 배향이 거의 같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섬유가 접음선을 걸쳐서 배향하기 위해서는, 섬유 길이가 긴 쪽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섬유의 반발 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일반적으로 영율(=하중/왜곡량)로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00 kg/mm2 이상 1500 kg/mm2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kg/mm2 이상 1000 kg/mm2 이하의 범위 내이다. 반발 강성은 섬도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되며, 구체적으로는 섬도가 1.1 dtex 이상 6.6 dtex 이하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된다.
전술한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흡수재는,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한다고 하는 흡수재가 원래 갖는 기능에 더하여 탄성도 갖는 것으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이 압력에 반발하여,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흡수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는 예컨대, 탄성 소재와 흡수 소재를 혼합한 것을 들 수 있으며, 탄성 소재로서는 탄성을 갖는 섬유나 공기의 셀을 갖는 발포화 재료를 들 수 있다. 탄성을 갖는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각 수지를 단독으로 혹은 코어-시스 구조 혹은 사이드-바이-사이드 구조로 한 섬유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 혹은 열 등에 의해 2차 권축이 실시된 섬유이다. 한편, 착용감을 고려하면, 섬유의 굵기는 0.5 dtex 이상 8.8 dtex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섬유 길이는 3 mm 이상 64 mm 이하의 범위 내로 조정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발포화 재료로서는, 탄성을 갖는 PE, PP, 나아가서는 고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 등의 수지를 발포화한 재료가 사용된다. 또 나아가서는, 흡수성을 갖는 셀룰로오스 스펀지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 재료를 재단하여 필라멘트형으로 하거나 입자형으로 한 후, 흡수 소재와 혼합함으로써 흡수재가 형성된다. 한편, 흡수 소재로서는, 플랩 펄프, 레이온, 코튼 등의 일반적인 소재를 들 수 있는 것 외에, SAP(고흡수성 수지) 등의 고분자 흡수 폴리머의 입자형물이나 섬유형물이 이용된다. 한편, 탄성 소재와 흡수 소재 구성 비율은, 중량비로 탄성 소재:흡수 소재=1:4~4:1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재의 평량은 음순간 패드의 두께와 착용감의 관점에서, 20 g/m2 이상 500 g/m2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m2 이상 400 g/m2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흡수재는, 탄성에 더하여 강성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강성」이란, 물체에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여 변형하고자 할 때, 물체가 그 변형에 저항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만 가능하다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있어서도, 탄성 소재 이외에 강성 소재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양 절곡 부재에 있어서의 흡수재 중에 강성 소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전정상으로부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 강성 소재를 갖는 양 절곡 부재는 변형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보다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다.
한편, 강성은 흡수재의 평량을 높임으로써 및/또는 두께를 늘림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강성을 갖는 흡수재의 평량은 강성을 갖지 않는 흡수재와 비교하여 적어도 20% 이상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평량을 높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흡수 소재를 증량(增量)하는 방법 외에, 흡수재의 적층 공정에서 패턴플레이트의 깊이를 깊게 하거나, 흡입량을 강하게 함으로써 적층량을 늘리는 방법이나, 부분적으로 제2 흡수재를 겹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강성은 흡수재의 밀도를 높게 함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재의 밀도를 높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이 둘로 접기 된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두께가 얇아진 흡수재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음순간 패드가 탈락되어 버리거나, 강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착용감을 저해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엠보스 가공은 금속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된 기체(基體)에 엠보스 패턴을 실시한 롤과, 플래트 혹은 맞물림 패턴을 실시한 롤을 작성하여, 2개의 롤 사이에 흡수재를 통과시킴으로써 흡수재의 일부에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흡수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에, 적당한 온도나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강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엠보스의 패턴으로서는, 편평하게 찌부러뜨리는 타입이나, 사각이나 둥근 형상을 한 단속적인 패턴으로 찌부러뜨리는 타입 외에, 단속적인 엠보스로서 고압착에 의한 엠보스와 중압착에 의한 엠보스가 교대로 형성된 타입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흡수재에 접착제를 첨가함으로써, 흡수재에 강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접착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고무계, 올레핀계 등의 HM(핫멜트)가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되며, 이들 HM을 용융하여 흡수재의 표면이나 내부에 도포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비접촉 도공 가능한 스프레이, 스파이럴, 비트, CC, 커튼 코터, 듀라위브 등을 들 수 있으며, 접촉 도공에서는 코터, 롤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HM 이외에도 수용성 풀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흡수재, 표면측 시트 및 이면측 시트와는 다른 부재로서, 탄성을 갖는 시트편을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시트편의 배치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라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으며, 예컨대, 신체 측면에 액체 투과성의 표면측 시트, 반신체 측면에 액체 난투과성의 이면측 시트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된 흡수재를 갖는 음순간 패드인 경우에 있어서는, 이면측 시트와 흡수재 사이에 배치된 경우나, 표면측 시트와 흡수재 사이에 배치된 경우 외에, 흡수재 중에 샌드위치된 형태로 배치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 시트편은 상술한 탄성 소재를 이용한 부직포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섬유를 카드로 적층하여,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에 의해 본딩한 후, 스루에어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으며,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는, 반발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포인트 본드, 스펀 본드, 워터 제트(WJ)나, 연속 필라멘트를 방사하여 열 엠보스로 본딩하는 스펀 본드, 스펀 본드에 멜트블로우를 분무하여 본딩한 SMS 시트(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의 3층 구조 시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섬유 적층한 후에 표면에 바인더를 칠함으로써 본딩하는 케미컬 본드나 에어 레이드법도 이용할 수 있다.
(3)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형성된 슬릿을 갖는 것인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3)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압력 분산 수단으로서, 슬릿 가공이 실시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슬릿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반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3)의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반발 강성을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어,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으며,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한편, 슬릿 가공은, 슬릿의 치수는 1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 피치는 20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슬릿 패턴은 세로 방향, 가로 방향, 경사 방향, 혹은 이들이 조합되어 있거나, 혹은 교차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슬릿의 형상은 직선형, 곡선형, 물결형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슬릿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고, 관통되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슬릿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별도의 슬릿을 더욱 형성함으로써,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압력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도록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부풀어 변형되기 때문에, 착용감을 매우 주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4)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형성된 엠보스 패턴을 갖는 것인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4)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압력 분산 수단으로서,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반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4)의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반발 강성을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어,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한편, 엠보스 패턴은 도트형, 선형, 물결형, 격자형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트형의 엠보스가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피치가 5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복수 실시되는 경우나, 선형의 엠보스가 접음선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수가 5 mm 이상 20 mm 이하, 피치가 5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복수 형성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슬릿 가공이나 엠보스 가공은 흡수재에 실시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표면측 시트나 이면측 시트에 실시되고 있더라도 좋다.
(5)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반신체 측면에 액체 난투과성의 탄성 시트를 갖추는 것이며,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탄성 시트에 설치되는 것인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5)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압력 분산 수단이 설치된 액체 난투과성의 탄성 시트를 갖춘 것으로,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탄성 시트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이란, 물체에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면 변형되고, 그 힘을 제거하면 즉시 원래로 돌아가고자 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즉, (5)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설치된 탄성 시트는 변형, 복원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 것이다. 이 때문에, (5)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탄성 시트를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어,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탄성 시트에 탄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탄성 소재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탄성 시트에 탄성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전정상으로부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부풀어 변형되기 쉬워,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용이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탄성 소재로서는, 탄성을 갖는 섬유의 적층체나 필름, 공기의 셀을 갖는 발포화 재료를 들 수 있다. 탄성을 갖는 섬유로서는 PE, PP, PET 등의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며, 각 수지를 단독으로 혹은 코어-시스 구조 혹은 사이드-바이-사이드 구조로 한 섬유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계 혹은 열 등에 의해 2차 권축이 실시된 섬유이다. 한편, 착용감을 고려하면, 섬유의 굵기는 0.5 dtex 이상8.8 dtex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섬유 길이는 3 mm 이상 64mm 이하의 범위 내로 조정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섬유의 적층체는, 섬유를 카드로 적층하여,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에 의해 본딩한 후, 스루에어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는, 반발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포인트 본드, 스펀 본드, WJ나, 연속 필라멘트를 방사하여 열 엠보스로 본딩하는 스펀 본드, 스펀 본드에 멜트블로우를 분무하여 본딩한 SMS 시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섬유 적층한 후에 표면에 바인더를 칠함으로써 본딩하는 케미컬 본드나 에어 레이드법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탄성을 갖는 필름으로서는, 탄성을 갖는 PE, PP, 나아가서는 고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 등의 수지를 T 다이나 인플레이션으로 단일, 복합 또는 다층으로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 필름이 사용된다. 발포화 재료로서는, 탄성을 갖는 PE, PP, 나아가서는 고탄성을 갖는 우레탄, 고무 등의 수지를 발포화한 재료가 사용된다. 한편, 이상 설명한 소재를 단일로 이용하거나, 접착재나 엠보스로 고정하여 다층화하거나, 혹은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일정한 방향으로 탄성이나 강성을 부여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탄성 시트에 탄성을 부여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탄성 시트에 복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탄성 시트에 복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는, 대항하여 마주 보는 탄성 시트끼리가 접촉하지 못하고 완만하게 만곡되어, 탄성 시트끼리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전정상으로부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에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부풀어 변형되기 쉬워,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용이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총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0.5 mm 이상 40 mm 이하의 범위 내에 있어서, 탄성 시트끼리가 완전히 접촉하지 않고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시트끼리가 완전히 접촉하지 않는 부분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총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0.5 mm 이상 3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또한, 복수의 미소 볼록부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의 총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O.5 mm 이상 40 mm 이하의 범위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미소 볼록부의 높이는 0.05 mm 이상 2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미소 볼록부의 간격은 0.3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미소한 볼록 형상의 높이가 0.2 mm이고 간격이 1.5 mm,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미소한 볼록부를 복수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미소 볼록부가 구비되어 있다면, 탄성 시트에 이용하는 소재는 상술한 탄성 소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난투수성 시트의 재료인 두께 15~60 μm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젖산, 폴리부틸숙시네이트, 또는 부직포, 종이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무기 충전제를 충전시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성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여, 10~30%의 개공을 지니고, 구멍 직경이 0.1~0.6 mm, 평량 15~35 g/m2의 범위에서 조정한 개공 필름 등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6)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반신체 측면에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미니 시트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6)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압력 분산 수단이 설치된 미니 시트편을 반신체 측면에 구비하고 있으며,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이 부착되어 있다. 즉, (6)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변형, 복원되기 쉬운 성질을 갖는 미니 시트편을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갖고 있다. 따라서, (6)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미니 시트편을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어,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한편, 미니 시트편에 탄성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미니 시트편에 탄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탄성 시트에 이용되는 탄성 소재와 동등한 것이 이용된다.
(7) 상기 미니 시트편은, 그 미니 시트편의 한 쪽의 면이 전면에 걸쳐 상기 반신체 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 (6)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7)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형성된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은, 한 쪽의 면이 전면에 걸쳐 반신체 측면에 접합된 것이다. 따라서,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의 한 쪽의 면이 전면에 걸쳐,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충분한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을 갖춘 (7)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미니 시트편을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하여,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8) 상기 미니 시트편은, 상기 음순간 패드가 둘로 접기 상태에서 펴지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접음선을 걸쳐 마주 보는 상기 반신체 측면에 대하여, 상기 반신체 측면과 상기 미니 시트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인 (6)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8)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형성된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은, 마주 보는 반신체 측면을 가교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이 대항하여 마주 보는 반신체 측면끼리를 가교하고 있기 때문에, 양 절곡 부재는 변형되기 어려운 한편,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변형되기 쉬운 것으로 되고 있다. 이러한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을 갖춘 (8)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을 눌렀을 때에는, 미니 시트편을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어,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한편, (8)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서는, 미니 시트편과 반신체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공간을 손가락 삽입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손가락 삽입용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 둘레는 4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9)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은,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생기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측면의 방향으로 절곡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는, 상기 절곡의 축이 되는 가요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9)에 따른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는, 신체 측면의 방향으로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가요선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 둘로 접기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측단부는 착용시에 음순 안에 수용되지 않고서 노출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이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동작에 의해서 압력을 받기 쉽다. 이에 대하여, (9)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을 신체 측면의 방향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돌출 부분이 없어져, 받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에게 사용감을 느끼게 하는 일은 거의 없다. 나아가서는, 긴 길이 방향의 양측 단부가 신체 측면의 방향으로 접어 구부러지기 때문에, 음순에 의해 딱 들어맞기 쉬워, 경혈의 유출이나 음순간 패드의 낙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 가요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흡수재에 선형의 연속 또는 단속적인 패턴을 형성하도록 엠보스 등으로 엠보싱하는 방법 외에, 흡수재에 선형의 연속 또는 단속적인 패턴을 형성하도록 커터 등으로 절단하는 방법이나, 강성이 다른 재료를 흡수재에 조닝(zoning)하여 강성이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혈의 유출이나 음순간 패드의 낙하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접어 구부러지는 양측 단부의 크기는, 음순의 외형 및 다리 구멍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두께는 15 mm 이상 50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mm 이상 4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한편, 폭은 3 mm 이상 30 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이다.
(10)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0)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요실금용 흡수 패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혈을 배출하는 질구와 소변을 배출하는 요도구는 모두 음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10)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한 경우에는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0)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소변을 음순 사이, 특히 요도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실금, 특히 경도의 요실금에 대하여 유효한 흡수 패드를 얻을 수 있다.
(11)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 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1)~(10)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11)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를 질 분비물 흡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11)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므로, 질구로부터의 경혈 이외의 분비물(질 분비물)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를 위한 용도(질 분비물 흡수용)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1)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질 분비물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생리시 이외의 착용자에게 있어서도 유효하다.
(12) (1)~(11)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 용기에 봉입되어 밀봉된 음순간 패드 포장체.
(12)에 따른 음순간 패드 포장체는, 개개의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 용기 내에 봉입되어 실질적으로 밀봉되어, 공기가 충진된 것이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개별 포장 용기를 가방에 넣어 휴대한 경우 등에 있어서, 개별 포장 용기에 외압이 가해졌다고 해도, 공기에 의해서 그 외압을 완충할 수 있다. 특히,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부터 둘로 접기 방향으로 가해진 외압을 완충할 수 있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는 일이 없고,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12)에 따른 음순간 패드 포장체에 의하면, 휴대 중에 외압이 가해졌다고 해도 찌부러지는 일이 없고,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은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12)에 따른 음순간 패드 포장체에 이용되는 개별 포장 용기의 체적은, 적어도 음순간 패드의 체적보다 큰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개별 포장 용기의 길이는 음순간 패드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80 mm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큰 것이 바람직하고, 40 mm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개별 포장 용기의 폭은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80 mm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큰 것이 바람직하고, 40 mm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개별 포장 용기의 두께는, 음순간 패드의 두께보다도 80 mm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큰 것이 바람직하고, 40 mm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개별 포장 용기 내의 공기의 충진율은 5~6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0%의 범위 내이다. 이러한 크기를 갖는 개별 포장 용기는 1장의 비통기성 시트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둘로 접기로 된 음순간 패드를 비통기성 시트로 감싼 후, 감쌈으로써 형성되는 비통기성 시트가 서로 겹치는 영역에, 비통기성 시트끼리를 접합하는 시일부를 형성함으로써 개별 포장 용기가 형성된다. 한편, 비통기성 시트체끼리가 서로 겹치는 영역 중, 개봉부로 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개봉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점착력을 갖는 테이프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진 경우라도, 착용자가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착용중인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음순간 패드(10)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음순간 패드(10)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음순간 패드(10)를 개방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음순간 패드(10)를 둘로 접기로 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를 X1-X2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를 X3-X4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섬유 집합체의 개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를 개방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음순간 패드(10b)의 흡수재(12b)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음순간 패드(10b)를 둘로 접기로 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b)를 X5-X6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c)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d)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e)를 개방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f)를 개방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g)를 개방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h)의 흡수재(12h)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i)를 개방한 상태에서 반신체 측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1은 상기 음순간 패드(10i)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j)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음순간 패드(10j)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k)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 따른 음순간 패드(10m)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m)를 X7-X8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m)를 X9-X10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음순간 패드(1)를 개별 포장 용기에 봉입하여 밀봉한 음순간 패드 포장체(30)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10a, 10b, 10c, 10d, 10e, 10f, 10g, 10h, 10i, 10j, 10k, 10m : 음순간 패드
2 :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
11 : 압력 분산 수단
12, 12b, 12h : 흡수재
14 : 표면측 시트
15 : 이면측 시트
16 : 가요선
17 : 강성 소재
18 : 볼록부
25 : 접합부
30 : 음순간 패드 포장체
31 : 시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
[음순간 패드의 전체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를 개방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음순간 패드(10)는 표면측 시트(14)와 이면측 시트(15)를 갖고 있고, 이들 표면측 시트(14)와 이면측 시트(15) 사이에는 흡수재(12)가 배치되어 있다. 표면측 시트(14)는 착용자의 체액을 투과하는 액체 투과성의 것이며, 이면측 시트(15)는 착용자의 체액을 실질적으로 투과하지 않는 액체 난투과성인 것이다. 또한, 흡수재(12)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압력 분산 수단(11)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외형 크기는 음순의 외형 및 음순과 쇼츠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를 고려하여,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대략 100 mm이며, 양 절곡 부재의 폭은 대략 30 mm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는 착용시에는, 긴 길이 방향으로 뻗는 접음선에 의해, 이면측 시트(15)끼리가 마주 보도록 둘로 접어 구부러져 사용되는 타입의 것이다. 또한, 이 둘로 접기에 된 음순간 패드(10)에는 긴 길이 방향으로 뻗는 접음선을 따른 영역의 흡수재(12)에 압력 분산 수단(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접음선을 따른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전정상에 접촉하도록 음순 사이에 협지되는 것이다.
[표면측 시트]
표면측 시트(14)는 액체 투과성인 것이 이용되며, 구체적으로는, 천연 코튼 5% 이상 30% 이하,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레이온을 70% 이상 95% 이하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를, 평량이 20 g/m2 이상 50 g/m2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제한 후, 수류 체결에 의해 섬유끼리를 체결시켜 건조하여, 두께가 0.3 mm 이상 1.0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제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이용된다. 사용하는 사(絲)의 질은, 천연 코튼이라면 섬유 길이 15 mm 이상 60 mm 이하의 범위 내,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레이온이라면 25 mm 이상 51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섬도 1.1 dtex 이상 6.6 dtex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다.
[이면측 시트]
일반적으로 이면측 시트로서는, 흡수재(12)에 흡수, 유지된 경혈이 음순간 패드(10)의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투습성 소재로 함으로써, 착용시의 후끈한 열기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면측 시트(15)로서는, 무기 충전제를 충전시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 필름, 10% 이상 30% 이하의 개공을 지니고 구멍 직경이 0.1 mm 이상 0.6 mm 이하의 범위에서 모세관을 흡수재(12)로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성 액체 차단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장착감을 해치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예컨대, 밀도가 O.90 g/cm3 이상 0.925 g/cm3 이하의 범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한, 평량 15 g/m2 이상 30 g/m2 이하의 범위에서 얻어지는 필름을 사용한 형태를 변형예로서 들 수 있다.
[흡수재]
일반적으로 음순간 패드에 구비되는 흡수재로서는,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고분자 흡수체,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 합성 섬유를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시트형 혹은 분말형으로 가공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흡수재로서는,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문제는 없지만, 부피가 크고, 형태 붕괴가 어렵고, 신체에 대하여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재(12)로서는, 섬도 1.1 dtex 이상 4.4 dtex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를 60% 이상 90% 이하,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 10% 이상 40% 이하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니들링에 의해 얽히게 하여 시트화하여, 평령 50 g/m2 이상 250 g/m2 이하, 2 mm 이상 5 mm 이하의 부피를 갖는 부직포 시트가 사용된다. 한편, 흡수재(12)를 음순간 패드(10)에 집어넣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서 부피를 변경하거나, 겹치거나, 겹쳐 포개기도 하여, 적절하게 조정된다.
[압력 분산 수단]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를 X1-X2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를 X3-X4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분산 수단(11)은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흡수재(12)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재(12)의 전체 범위에 걸쳐 압력 분산 수단(11)을 설치할 필요성은 없으며, 대략 중앙부의 좁은 영역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 압력 분산 수단(11)은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된 섬유를 갖는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1 dtex 이상 6.6 dtex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레이온을 60% 이상 95% 이하, 천연 코튼을 5% 이상 40% 이하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평량이 50 g/m2 이상 500 g/m2 이하이고, 1 mm 이상 20 mm 이하의 부피를 갖는 부직포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섬유를 에어 레이드법, 멜트 블로운법, 스펀 레이스법, 초지법 등에 의해 시트화한 것이나, 이들 시트화된 것에 도트형, 격자형 등의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것을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이용한 것을 변형예로서 들 수 있다.
한편,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하는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섬유를 랜덤하게 배향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하, 섬유 길이가 긴 섬유 집합체의 섬유를 랜덤하게 배향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압력 분산 수단을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의 개섬 방법을 설명하는 제조 공정도로, 섬유 집합체 시트(102)를 감아 붙인 권취 롤(101)로부터 섬유 집합체 시트(102)를 1쌍의 롤(103)에 의해 개섬 장치(100A)로 반송한다. 이 개섬 장치(100A)는 물결형의 날이 여러 라인으로 배열된 가넷식의 개섬 롤(104)을 갖고 있고, 이 개섬 롤(104)에 통과시킴으로써 개섬된다. 이 때, 개섬성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 날로 배열되어 인접하는 물결형의 날끼리의 선단이 서로 어긋나게 되도록 지그재그형으로 설치한 복수의 롤(105, 105')을 개섬 롤(104)과 역회전 방향으로 돌도록 조합하여 통과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 개섬 방법은 가넷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햄머밀식 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개섬된 섬유(106)는, 메쉬형 반송용 벨트(108)의 내면에 설치된 석션 흡인 장치(107)로부터 석션 흡인함으로써, 반송용 벨트(108) 상에 섬유(106)가 집합체가 되어 적층된다. 이때, 개섬 롤(104)의 물결형 날로부터 섬유가 멀어지는 동시에 석션 흡인에 의해 개섬된 섬유(106)에 흡인 속도가 주어진다. 석션 흡인 압력이 1500 Pa 이상 15000 Pa 이하의 범위 내이면, 개섬된 섬유(106)에는 4 m/scc 이상 200 m/sec 이하(240 m/min 이상 1200 m/min 이하)의 포집 속도가 주어지기 때문에, 반송용 벨트(108)의 반송 속도 20 m/min 이상 200 m/min 이하보다도, 개섬된 섬유(106)에 주어진 포집 속도 쪽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섬유 배향이 MD 방향으로 향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MD 방향이란, 반송용 벨트(108)의 진행 방향, 즉 섬유 집합체(109)의 진행방향이다.
이와 같이, 섬유 길이가 긴 섬유 집합체(109)의 섬유 배향을 랜덤하게 배향시키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 개섬된 섬유(106)를 반송 벨트 위에 적층할 때에, 개섬한 직후부터 섬유(106)에 거는 포집 속도를, 반송용 벨트(108)의 반송 속도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임으로써 가능해진다. 개섬한 섬유(106)에 부여하는 포집 속도는 주로 메쉬형으로 한 반송용 벨트(108)의 내면에 설치된 석션 흡인 장치(107)의 석션 흡인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섬유에 거는 포집 속도를 반송 벨트의 반송 속도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반송 속도가 20 m/min 이상 200 m/min 이하의 범위 내일 때, 적층된 섬유 집합체(109)와 메쉬형의 반송 벨트를 통한 석션 흡인 압력을, 1500 Pa 이상 15000 Pa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석션 흡인 압력이 1500 Pa 미만이면, 반송 속도에 의해서 섬유가 MD로 향하기 쉽게 되어 버리고, 15000 Pa를 넘으면, 섬유(106)가 반송 벨트용 메쉬에 지나치게 얽혀 붙어, 나중 공정에서 섬유 집합체(109)를 주고받기 어렵게 되어 버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작용, 효과]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에서는, 접음선을 걸쳐서 흡수재(12)에 압력 분산 수단(1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의자에 앉는 등으로 인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음순간 패드(10)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을 위에서 눌렀을 때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발 강성을 갖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은 용이하게 좌우로 부풀어 변형되어, 그 압력의 방향과 교차하는 외측 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에 반발하여 음순간 패드(10)가 전정상을 압박하는 일은 거의 없어, 착용자는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보낼 수 있다.
[변형예 1]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접음선을 걸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12)의 일부에, 강성 소재(17)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음선을 걸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재(12)의 일부에, 강성 소재(17)로서 섬유 길이가 8 mm 이하인 펄프를 평량 10O g/m2로 적층한 것이 이용되며, 압력 분산 수단(11)에는 섬유 길이가 51 mm이고 섬도가 3.3 dtex인 레이온 85%와 천연 코튼 15%를 혼합한 것을 접음선에 교차하도록 섬유 배향시켜 180 g/m2 적층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 변형예 1에 있어서의 접음선은 긴 길이 방향 중심선상이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은 긴 길이 방향 중심선에서부터 짧은 길이 방향으로 5 mm 이내의 범위, 즉, 긴 길이 방향 중심선을 걸친 10 mm 이내의 범위이다. 또한, 흡수재(12)는 도트형의 엠보스 패턴에 의해 엠보스 면적율 1.8%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a)에 의하면, 전정상이 강한 압력으로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에 접촉했을 때에는, 강성 소재(17)를 갖는 접음선을 걸치지 않는 영역은 변형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이 보다 한층 용이하게 부풀어 변형되기 쉽게 되어, 강한 반발력을 전정상에 주는 일이 없어, 착용자는 거의 사용감을 느끼는 일이 없다. 한편, 강성 소재(17)를 이용하는 대신에, 흡수재(12)의 평량을 높이거나, 밀도를 높게 하거나, 혹은 접착제를 첨가함으로써 강성을 부여한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변형예 2]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에 설치된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슬릿 가공이 실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슬릿의 치수는 1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 피치는 20 mm 이하의 범위 내이며, 슬릿 패턴은 교차하고 있는 것이다. 슬릿의 형상은 직선형의 것으로, 이들의 슬릿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것이다. 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2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3]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에 설치된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트형의 엠보스가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피치가 5 mm 이상 20 mm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복수 실시된 것이다. 이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4]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에 있어서의 표면측 시트(14)에 압력 분산 수단(11)이 설치된 것이다. 이 변형예 4에 있어서의 압력 분산 수단(11)은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된 섬유를 갖는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표면측 시트(14)에 이용되는 섬유를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시킨 섬유 집합체가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 변형예 4와 같이, 표면측 시트에 압력 분산 수단(11)을 설치함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의 사시도이다. 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의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 가요선(16)이 형성된 것이다. 이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음순간 패드(10b)는 둘로 접기에 된 데에다,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이 가요선(16)을 절곡의 축으로 하여 신체 측면의 방향으로 접어 구부러진 상태에서 음순 사이에 협지되는 구조로 되고 있다.
[가요선]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의 흡수재(12b)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선(16)은 흡수재(12b)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재(12b)의 양측 가장자리에서부터 대략 10 mm 떨어진 위치에, 흡수재(12b)의 긴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가요선(16)은 흡수재(12b)의 양측단에 선형의 연속된 패턴의 엠보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작용, 효과]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b)를 X5-X6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10b)는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압력 분산 수단(1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은 신체 측면의 방향으로 접어 구부러져 있고, 음순간 패드의 측단이 반신체 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음순간 패드(10b)가 받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10b)는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전정상으로부터 받은 압력을 분산할 수 있는 데다, 애당초 전정상으로부터 압력을 받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사용감을 느끼는 일은 거의 없다. 나아가서는, 음순에 의해 딱 들어맞기 쉬운 형상으로, 경혈의 유출이나 음순간 패드(10b)의 낙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b)는 각각의 흡수재(12) 및 흡수재(12b)에 압력 분산 수단(11)이 설치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c)는 압력 분산 수단(11)이 흡수재(12)에가 아니라, 반신체 측면에 구비된 탄성 시트에 설치된 것이다. 도 14는 음순간 패드(10c)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10c)에서는, 반신체 측면의 전면에 걸쳐 탄성 시트가 마련되어 있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탄성 시트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형성되면 되기 때문에,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만 형성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탄성 시트로서는 PE, PP, PET 등의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어, 각 수지를 단독으로 혹은 코어-시스 구조 혹은 사이드-바이-사이드 구조로 한 섬유에 2차 권축을 실시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섬유의 굵기는 0.5 dtex 이상 8.8 dtex 이하의 범위 내이며, 섬유 길이는 3 mm 이상 64 mm 이하의 범위 내로 조정된 것이다. 이들 섬유를 적층하여,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에 의해 본딩한 후, 스루에어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탄성 시트가 형성된다.
[변형예 1]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d)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반신체 측면에,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복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형성한 탄성 시트를 갖춘 것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d)를 둘로 접기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 변형예 1에서는, 볼록부는 반신체 측면의 전면에 걸쳐 형성된 것이지만,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의 총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가 0.5 mm 이상 30 mm 이하의 범위 내에 형성되면 된다. 또한, 미소한 볼록 형상의 높이는 0.2 mm, 간격은 1.5 mm이며,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 미소한 볼록부를 복수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한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복수의 미소한 볼록부를 형성한 탄성 시트를 갖춘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e)를 개방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e)는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탄성을 갖는 시트편이 흡수재(12)와 표면측 시트(14)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또한, 압력 분산 수단(11)의 배치를 변경한 변형예로서, 이면측 시트(15)와 흡수재(12) 사이에 배치한 음순간 패드(10f)(변형예 1)나, 흡수재(12) 속에 샌드위치하는 형태로 배치한 음순간 패드(10g)(변형예 2)를 들 수 있다. 이들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f) 및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g)를, 개방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를 각각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다. 탄성을 갖는 시트편로서는, 탄성 소재를 이용한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을 갖는 PE 섬유를 적층하여,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에 의해 본딩한 후, 스루에어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을 갖는 시트편을 갖춘 타입의 것이라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19는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h)의 흡수재(12h)의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h)의 흡수재(12h)는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엠보스 가공이 실시된 것이다. 이 엠보스 가공은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흡수재(12h)의 짧은 길이 방향의 중심선과 대략 평행하며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엠보스 가공은, 플래트 패턴의 엠보스이며, 편평한 엠보스 패턴을 실시한 2개의 롤 사이에 흡수재를 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한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20은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i)를 개방한 상태에서 반신체 측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음순간 패드(10i)의 반신체 측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는, 압력 분산 수단(11)으로서 미니 시트편이 형성되어 있다. 이 미니 시트편은 그 한 쪽의 면이 전면에 걸쳐 이면측 시트(15)에 접합되어 있고, 둘로 접기로 되었을 때에 접음선을 걸치도록 하여 이면측 시트에 접합하고 있는 것이다. 도 21은 둘로 접기로 된 음순간 패드(10i)를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미니 시트편은 탄성을 갖는 것으로, 탄성 소재를 이용한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을 갖는 PE 섬유를 적층하여,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에 의해 본딩한 후, 스루에어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반신체 측면에 미니 시트편을 부착한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10i)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1, 변형예 2]
도 22는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j)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반신체 측면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변형예 1에서는, 미니 시트편은 미니 시트편과 반신체 측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음선을 걸쳐서 마주 보는 반신체 측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 음순간 패드(10j)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가 도 23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j)의 미니 시트편은 도 23에 있어서, 대략 역V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에 대하여, 대략 역W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k)이며, 도 24가 이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k)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짧은 길이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들 미니 시트편이 설치된 변형예 1에 따른 음순간 패드(10j) 및 변형예 2에 따른 음순간 패드(10k)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미니 시트편와 반신체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착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는 손가락 삽입용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 음순간 패드(10j 및 10k)는 둘로 접기로 한 후, 미니 시트편을 마주 보는 반신체 측면에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변형예 3]
도 25는 제6 실시형태의 변형예 3에 따른 음순간 패드(10m)를 둘로 접기로 한 상태에서 반신체 측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이 음순간 패드(10m)에서는, 미니 시트편이, 긴 길이 방향의 한 쪽의 측연부에서 다른 쪽의 측연부에 걸쳐서는 식으로, 또, 긴 길이 방향의 한 쪽 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이 미니 시트편은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서 반신체 측면과 접합되어 있는 것 외에,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는 긴 길이 방향의 한 쪽 측의 단부에 있어서, 반신체 측면과 접합되어 있다. 도 25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10m)를 X7-X8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가 도 26이며, X9-X10의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가 도 27이다. 이와 같이, 변형예 3에 따른 음순간 패드(10m)는 반신체 측면이 넓은 범위에 걸쳐 미니 시트편에 의해서 덮여 있고, 애당초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받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미니 시트편와 반신체 측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손가락 삽입용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한 쪽 측의 단부가 반신체 측면과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삽입이 일정한 범위 내에 규제되기 때문에, 착용할 때에 손가락으로 음순 안을 상처 입혀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 포장체(30)>
도 28은 음순간 패드(1)를 개별 포장 용기에 봉입하여 밀봉한 음순간 패드 포장체(30)의 평면도이다. 이 음순간 패드 포장체(30)는 음순간 패드(1)를 1장의 비통기성 시트로 감싼 후, 감쌈으로써 형성되는 비통기성 시트가 겹치는 영역에, 비통기성 시트끼리를 접합하는 시일(31)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순간 패드(1)는 음순간 패드 포장체(30) 내에서는 절곡선으로 둘로 접기의 상태로 수습되고 있고, 그 상태에서의 음순간 패드(1)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110 mm,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35 mm, 두께는 7 mm이며, 음순간 패드 포장체(30)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135 mm,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는 35 mm, 두께는 8 mm이다. 또한, 공기의 충진율은 30%이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 포장체(30)에 따르면, 휴대 중에 외압이 가해졌다고 해도 찌부러지는 일이 없어,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2)은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사용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 음순간 패드(1)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착용 상태에서 신체측에 면하는 신체 측면과 이 신체 측면의 반대측에 면하는 반신체 측면을 지니고,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세로로 긴 형상의 음순간 패드로서,
    착용시에는, 상기 짧은 길이 방향에서 상기 반신체 측면끼리가 서로 마주 보도록 둘로 접기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둘로 접기의 접음축인 접음선을 따른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음순 내의 전정상(前庭床, vestibular floor)에 접촉하도록 상기 음순 사이에 협지되는 것이며,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는,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생기는 압력에 반발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전정상에 그대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력 분산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섬유 집합체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압력에 대한 반발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접음선에 교차하여 배향된 섬유를 갖는 것인 음순간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형성된 슬릿을 갖는 것인 음순간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접음선을 걸치는 영역에 형성된 엠보스 가공 패턴을 갖는 것인 음순간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반신체 측면에 액체 난투과성의 탄성 시트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탄성 시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반신체 측면에 탄성을 갖는 미니 시트편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압력 분산 수단은, 상기 미니 시트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시트편은, 그 미니 시트편의 한 쪽의 면이 전면에 걸쳐 상기 반신체 측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시트편은, 상기 음순간 패드가 둘로 접기의 상태에서 펴지는 것을 규제하도록 상기 접음선을 걸쳐 마주 보는 상기 반신체 측면에 대하여, 상기 반신체 측면과 상기 미니 시트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은,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음순간 패드에 대하여 생기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신체 측면의 방향으로 절곡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며,
    상기 긴 길이 방향의 양측단에는, 상기 절곡의 축이 되는 가요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 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 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 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 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음순간 패드.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 용기에 봉입되어 밀봉된 음순간 패드 포장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67012642A 2003-12-09 2004-12-08 음순간 패드 KR101143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11085 2003-12-09
JPJP-P-2003-00411085 2003-12-09
PCT/JP2004/018278 WO2005055904A1 (ja) 2003-12-09 2004-12-08 陰唇間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388A KR20060123388A (ko) 2006-12-01
KR101143174B1 true KR101143174B1 (ko) 2012-05-08

Family

ID=3467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642A KR101143174B1 (ko) 2003-12-09 2004-12-08 음순간 패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95620B2 (ko)
EP (1) EP1693032B1 (ko)
JP (1) JP4689470B2 (ko)
KR (1) KR101143174B1 (ko)
CN (1) CN100508924C (ko)
TW (1) TWI350743B (ko)
WO (1) WO20050559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5664B2 (en) * 2004-12-29 2008-09-16 Maass Jr Thomas H Dental absorbent pad
JP4618797B2 (ja) * 2005-10-19 2011-01-26 花王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618798B2 (ja) * 2005-10-19 2011-01-26 花王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646230B2 (ja) * 2005-10-19 2011-03-09 花王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TW200913969A (en) * 2007-09-27 2009-04-01 Kang Na Hsiung Entpr Co Ltd Externally set sanitary pad
US20100310837A1 (en) * 2009-06-03 2010-12-09 Eric Bryan Bond Structured fibrous web
US20100312208A1 (en) * 2009-06-03 2010-12-09 Eric Bryan Bond Fluid Permeable Structured Fibrous Web
US20100312212A1 (en) * 2009-06-03 2010-12-09 Eric Bryan Bond Fluid Permeable Structured Fibrous Web
US20100310810A1 (en) * 2009-06-03 2010-12-09 Eric Bryan Bond Structured Fibrous Web
US20100310845A1 (en) * 2009-06-03 2010-12-09 Eric Bryan Bond Fluid permeable structured fibrous web
US8759606B2 (en) * 2009-06-03 201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uctured fibrous web
US20120238979A1 (en) * 2011-03-15 2012-09-20 Paul Thomas Weisman Structured Fibrous Web
US20120238982A1 (en) * 2011-03-15 2012-09-20 Paul Thomas Weisman Structured Fibrous Web
US10123912B2 (en) * 2014-06-21 2018-11-13 Steven Lepke Foldable absorben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0796A1 (en) * 1997-01-03 2001-05-03 Osborn Thomas Ward Thin Comfort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WO2002094153A1 (fr)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Tampon interlabial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6147A (en) * 1976-08-05 1977-09-06 Cecilia Berg Sanitary napkin
US4175561A (en) * 1977-02-10 1979-11-27 Hirschman Shalom Z Feminine hygienic pads with improved absorption
US4418524A (en) * 1980-06-19 1983-12-06 Kao Soap Co., Ltd. Twisted yarn and twisted bundle of yarns
US4595392A (en) * 1983-10-03 1986-06-17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labial pad
US4673403A (en) * 1985-10-30 1987-06-16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pad allowing improved placement of catamenial device
US4773903A (en) * 1987-06-02 1988-09-27 The Procter & Gamble Co. Composite absorbent structures
US4923454A (en) * 1988-01-20 1990-05-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iber-containing absorbent structures and absorbent articles
US5197959A (en) * 1988-03-31 1993-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5127911A (en) * 1988-05-03 1992-07-07 Eva Baharav Sanitary feminine napkin with a mechanism for optional contouring
US5019073A (en) * 1988-12-20 1991-05-28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mechanical fastening system
US5176952A (en) * 1991-09-30 1993-01-0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dulus nonwoven webs based on multi-layer blown microfibers
US5672165A (en) * 1992-10-19 1997-09-30 Belecky; June Marian Menstrual hygiene product
US5399423A (en) * 1993-07-28 1995-03-21 The Dow Chemical Company Ignition resistant meltblown or spunbonded insulation material
US5964689A (en) * 1996-08-30 1999-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a central groove
US5916205A (en) * 1996-08-30 1999-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EP0888764A1 (en) * 1997-07-01 1999-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299607B1 (en) * 1997-11-21 2001-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 packages for absorbent interlabial devices
ID28521A (id) * 1997-11-21 2001-05-31 Procter & Gamble Kemasan-kemasan individu untuk benda penyerap interlabial
US6503233B1 (en) * 1998-10-02 2003-0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good body fit under dynamic conditions
US6319238B1 (en) * 1999-05-12 2001-11-20 Mcneil-Ppc, Inc. Absorbent interlabial article
US6131736A (en) * 1999-06-28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ing device for an interlabial absorbent article
US7947069B2 (en) * 1999-11-24 2011-05-24 University Of Washington Medical devices comprising small fiber biomaterials, and methods of use
CN1279116A (zh) * 2000-06-19 2001-01-10 黄刚 数码化棋谱记录系统及其实用方法
US6811549B2 (en) * 2001-02-16 2004-11-02 William H. Fleming Administration of therapeutic or diagnostic agents using interlabial pad
WO2002094155A1 (fr)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EP1407741A4 (en) 2001-05-22 2004-11-17 Uni Charm Corp INTERLABIAL PAD
ATE522194T1 (de) * 2001-05-22 2011-09-15 Uni Charm Corp Interlabial-polster
WO2002094158A1 (fr)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KR100797492B1 (ko) 2001-05-22 2008-01-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BR0210045B1 (pt) * 2001-05-22 2013-06-25 absorvente interlabial;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elemento de acondicionamento individual e elemento de acondicionamento individual
US7115116B2 (en) * 2001-06-08 2006-10-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ad having various means
BR0210272A (pt) 2001-06-08 2005-04-19 Kimberly Clark Co Absorvente labial com dispositivo auxiliar para posicionamento e recepção de dedo
US6923795B1 (en) * 2001-11-09 2005-08-02 April Lu Cantley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excess menstrual flow
JP4261120B2 (ja) * 2002-04-05 2009-04-30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バイパスチャネル部材を具備する吸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JP4532075B2 (ja) * 2003-02-18 2010-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0796A1 (en) * 1997-01-03 2001-05-03 Osborn Thomas Ward Thin Comfort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JP2001507597A (ja) * 1997-01-03 2001-06-12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薄くて快適な陰唇間吸収構造
WO2002094153A1 (fr)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Tampon interlabial
EP1454604A1 (en) * 2001-05-22 2004-09-08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8924C (zh) 2009-07-08
TW200520737A (en) 2005-07-01
US7195620B2 (en) 2007-03-27
CN1889907A (zh) 2007-01-03
JP4689470B2 (ja) 2011-05-25
KR20060123388A (ko) 2006-12-01
WO2005055904A1 (ja) 2005-06-23
TWI350743B (en) 2011-10-21
EP1693032A1 (en) 2006-08-23
EP1693032B1 (en) 2013-02-20
JPWO2005055904A1 (ja) 2007-07-05
US20050137562A1 (en) 2005-06-23
EP1693032A4 (en)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5878B (zh) 吸收性物品
KR100801943B1 (ko) 음순간 패드
JP2514294B2 (ja) 吸収性物品用身体側カバ―
US8192416B2 (en) Interlabial pad
US7307197B2 (en) Interlabial pad having a labial-following layer
JP4719799B2 (ja) 陰唇間パッド
KR101143174B1 (ko) 음순간 패드
KR101164703B1 (ko) 음순간 패드
US7445615B2 (en) Interlabial pad
JP2002345887A (ja) 吸収性物品
US8211075B2 (en) Interlabial pad
JP4090703B2 (ja) 吸収性物品
JP2007097841A (ja) 陰唇間パッド
KR101164697B1 (ko) 음순간 패드
JP5039731B2 (ja) 陰唇間パッド
JP4797076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