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365A -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365A
KR20050041365A KR1020030076502A KR20030076502A KR20050041365A KR 20050041365 A KR20050041365 A KR 20050041365A KR 1020030076502 A KR1020030076502 A KR 1020030076502A KR 20030076502 A KR20030076502 A KR 20030076502A KR 20050041365 A KR20050041365 A KR 20050041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all
mobile communication
mode
cal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76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1365A/ko
Publication of KR20050041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3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자동차 운전 중이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일일이 전화 받기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 있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스피커폰 기능을 제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Digital cellular phone to connect voice call automatically and Method for connecting voice call}
본 발명은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고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외부로 송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단말기 제조업체는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타 업체와 차별된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이동통신단말기 제조기술을 꾸준히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액정패널이 폴더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듀얼폴더,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폰, 전화가 걸려올 경우 폴더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단말기 외측에 설치된 조작키를 누르면 착신응답이 되면서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송출되도록 하는 스피커폰 등 다양한 부가기능 기술이 탑재되고 있다.
이에 본원출원 발명자는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자동차 운전 중이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일일이 전화 받기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 있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스피커폰 기능을 제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폴더개방 또는 어떠한 조작키를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고 스피커폰 기능을 제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음성통화 요청신호 수신 시 자동으로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하고 음성 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자동차 운전 중이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일일이 전화 받기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 있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폴더개방 또는 어떠한 조작키를 누르지 않고도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한 후 단말기 내의 스피커폰 기능을 제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망과의 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원이 켜져 있는 동안에는 기지국(200)과 통신을 하여 교환기(300)에 자신의 위치정보를 알려준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기능상 이동통신망으로 전화연결을 위한 발호신호를 송신하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착신 이동통신단말기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스피커폰 모드 설정/해제 기능과 전화착신모드 설정 기능과 자동 음성 호 연결 설정 기능 및 자동 음성 호 연결 기능이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액정패널이 폴더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듀얼폴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마이크가 단말기 내/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스피커폰 모드에서 단말기를 닫은 상태에서도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200)은 교환기로부터 발신 이동통신단말기 또는 일반 유선전화의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발호신호를 수신하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호출한다 (①). 이후, 기지국(200)은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호출응답신호를 수신하면(②) 사용 가능한 통신채널을 할당하고(③)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교환기 (300)를 연결한다.
교환기(30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호출응답신호가 입력되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통화정보(AWIM : 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를 송신한다(④). 여기서, 상기 통화정보(AWIM)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 식별정보(calling party number)와 링백톤(ring back tone)을 위한 시그널(signal) 정보 등을 알려준다.
이후,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현재 전화착신모드를 확인하고(⑤), 전화를 건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음성 호 자동연결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⑥). 확인결과 음성 호 자동연결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자동으로 스피커폰 모드 설정을 하고(⑦) 기지국(200)과 교환기(300)로 음성채널이 연결되었음을 알린다(⑧). 이후 착신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음성채널연결에 대한 응답신호를 받으면 전화를 건 단말기와 음성 호가 연결되어 통화가 이루어진다(⑨).
여기서, 전화착신모드는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 제조업체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벨소리모드와 매너모드로 구분되며, 상기 매너모드는 진동, 진동+벨소리, 벨소리+진동, 무음+진동, 진동+램프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이 가능하도록 다양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화착신모드가 벨소리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만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매너모드는 도서관이나,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전화착신 시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착신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화를 건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기만 하면, 전화착신모드가 매너모드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공공장소가 아닌 곳에서 전화착신모드를 미처 벨소리모드로 설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90)와, 조작 상태 및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50)와,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와 음성메시지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30)와, 통화연결 및 음성메시지의 패킷 처리 및 음성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예를 들어 단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 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와,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두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들이 물리적으로 단일의 패키지로 집적된 칩일 수도 있다.
저장부(30)는 메인 프로그램을 포함한 프로그램 실행 파일과 관련 데이터들 및 전화번호데이터와 자동 음성 호 설정데이터 및 전화착신데이터가 저장되며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플래시 저장부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될 수 있다.
조작부(50)는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서 0부터 9까지의 숫자키와 특수 문자키와 다양한 기능키 예를 들어 통화버튼/문자버튼, 업/다운 키, 볼륨 업/다운 키, 다양한 부가 기능 선택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70)는 문자나 그래픽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표시 정보는 배터리 잔량, 날짜 및 시간, 초기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90)는 CDMA 또는 GSM 방식의 이동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알에프(RF) 회로와 변복조부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이동통신 회로이며, 예를 들면 몇 개의 알에프 회로와 퀄컴사에 의해 제공되는 MSM 계열의 칩 내부의 변복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블록들은 대체로 논리적인 블록이며, 물리적인 블록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코덱부(91)와 음성처리부(93)의 일부 그리고 통신부(90)의 일부와 제어부(10)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일의 칩으로 패키징되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제어부(10)는 통신부(90)를 통해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화 호 연결을 처리하는 통화제어부(12)와, 조작부(50)로부터 스피커폰 모드 설정/해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며 스피커폰 모드 설정 시 음성처리부(93)의 증폭기를 제어하는 스피커폰 모드 처리부(14)와, 조작부(50)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는 벨소리모드 또는 진동모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30)에 저장하는 전화착신모드 설정부(16)와, 조작부로부터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번호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저장부(30)에 저장하는 음성 호 자동연결 설정부(18)를 포함한다.
통화제어부(12)는 일반적인 호 처리프로세서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서, 조작부(50)로부터 전화연결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부(90)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발호신호를 전송하거나,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출신호가 입력되면 호출응답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통화제어부(12)는 통신부(90)로부터 다른 단말기의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30)를 조회하며, 그 결과 상기 다른 단말기가 착신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착신응답하여, 이동통신망으로 음성채널연결 신호를 전송한 후 연결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호를 연결하는 한편 스피커폰 모드 처리부(14)로 스피커폰 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호 자동연결부(12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호 자동연결부(121)는 현재 전화착신모드를 확인하여 그 결과 벨소리모드인 경우에만 자동 음성 호를 연결하고 스피커폰 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폰 모드 처리부(14)는 일반 전화기와 같이 단말기가 닫혀 있더라도 외부에서 오디오신호를 들을 수 있게금 증폭된 신호가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설정 가능하며 나아가 착신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으로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전화착신모드 설정부(16)는 전화가 걸려오면 이를 외부로 알려주는 것으로서, 현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벨소리모드와 매너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현재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별로 다른 벨소리를 지정 받아 저장하였다가 해당 전화번호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지정된 벨소리를 울린다.
음성 호 자동연결 설정부(18)는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할 전화번호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한 후 저장부(3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호 자동연결 설정부(18)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지정하여 음성 호 자동연결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성 호 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착신 이동통신단말기로 음성통화를 위한 전화를 걸은 경우를 가정하여 착신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자동 음성 호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1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면(S41) 이동통신망으로 호출응답신호를 출력한다 (S42). 이후 제어부(10)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통신정보를 수신하는(S43) 통상의 호 처리프로세서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10)는 현재 단말기 내에 설정된 전화착신모드가 벨소리모드인지를 확인한다(S44). 확인결과 벨소리모드이면 상기 발신 단말기 식별번호를 통해 저장부를 조회하여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45). 확인결과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 제어부(10)는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하고 (S46)이동통신망으로 채널연결신호를 전송한다(S47). 이후 제어부(10)는 연결이동통신망으로부터 채널연결 응답신호를 받으면 발신 이동통신단말기와 음성 호가 연결되어 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S48).
한편, 제어부(10)는 현재 단말기 내에 설정된 전화착신모드가 매너모드이면 단말기 사용자가 폴더를 개방하거나 조작키를 눌러 착신에 응답하기를 기다린다(S61). 이후 제어부(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착신응답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망으로 채널연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47 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착신응답이 입력되지 않으면 소정시간이 지난 후 종료된다.
또한, 제어부(10)는 발신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 호 자동 연결 설정이 안되어 있으면, 벨소리를 울리고 단말기 사용자가 폴더를 개방하거나 조작키를 눌러 착신에 응답하기를 기다리는 단계61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착신응답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망으로 채널연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47 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착신응답이 입력되지 않으면 소정시간이 지난 후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자동차 운전 중이거나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일일이 전화 받기가 용이하지 않은 상황에 있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스피커폰 기능을 제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원활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음성 호 연결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2 : 통화제어부
14 : 스피커폰 설정부 16 : 음성 호 자동 연결설정부
121: 음성 호 자동연결부
30 : 메모리 50 : 조작부
70 : 표시부 90 : 통신부
91 : 코덱부 93 : 음성처리부

Claims (8)

  1.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전화번호데이터와 자동 음성 호 설정데이터 및 전화착신모드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자동 음성 호 연결이 설정된 다른 단말기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는 한편 스피커폰 기능을 제어하여 상대방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 스피커폰 모드 설정/해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처리하며, 스피커폰 모드 설정 시 상기 증폭기를 제어하는 스피커폰 모드 처리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음을 알려주는 벨소리모드 또는 매너모드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전화착신모드 설정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기 위한 전화번호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음성 호 자동연결 설정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다른 단말기의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를 조회하고 그 결과 상기 다른 단말기가 자동 음성 호 연결 설정이 된 경우, 이동통신망으로 채널연결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폰 모드 처리부로 스피커폰 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호 자동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자동연결 설정부가:
    상기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따라 다수의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지정하여 음성 호 자동연결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 자동연결부가:
    저장부를 조회하여 그 결과 전화착신모드가 벨소리모드인 경우 이동통신망으로 채널연결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폰 모드 처리부로 스피커폰 모드 설정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스피커폰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발신 단말기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통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단말기 식별번호를 통해 저장부를 조회하여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결과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 스피커폰 모드를 설정하고 이동통신망으로 채널연결신호를 전송하여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연결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이:
    음성 호 자동 연결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착신응답신호를 기다리는 단계와;
    착신응답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이:
    전화착신모드가 벨소리모드인지 매너모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확인결과 벨소리모드이면 자동으로 음성 호를 연결할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이:
    전화착신모드가 벨소리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착신응답신호를 기다리는 단계와;
    착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착신응답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음성 호 연결방법.
KR1020030076502A 2003-10-30 2003-10-30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20050041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502A KR20050041365A (ko) 2003-10-30 2003-10-30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502A KR20050041365A (ko) 2003-10-30 2003-10-30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365A true KR20050041365A (ko) 2005-05-04

Family

ID=3724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502A KR20050041365A (ko) 2003-10-30 2003-10-30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1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10B1 (ko) * 2008-12-23 2011-05-03 주식회사 지닌 이동 단말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10B1 (ko) * 2008-12-23 2011-05-03 주식회사 지닌 이동 단말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6072A (ko) 자동응답을 제공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자동응답방법
JP2002209011A (ja) 携帯端末
KR20050041365A (ko) 자동 음성 호 연결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JPH0483447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JP2005176315A (ja) 音声メッセージをパケット通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そして、これを遂行する移動通信端末機
JP3348213B2 (ja) 電話機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JP3689808B2 (ja) 携帯電話装置報知代用装置
JP2007174441A (ja) ハンズフリーキットシステム
JP2001136260A (ja) 携帯無線端末
KR1008389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착신방법 및 장치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KR20030052585A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KR200500952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통화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방법
JP2000092203A (ja) 音声メッセージ通知システム
KR1005359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스엠에스 전송 방법
JP3286521B2 (ja) 電話装置
KR20020058177A (ko)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1007921A (ja) コードレス電話
KR20040093247A (ko) 자동응답메세지 선택 송출방법
JP2005094431A (ja) コードレス親子電話装置
KR20040037677A (ko) 피씨를 이용한 휴대폰의 호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1053862A (ja) 電話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電話装置
JP200126816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