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8177A -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8177A
KR20020058177A KR1020000086019A KR20000086019A KR20020058177A KR 20020058177 A KR20020058177 A KR 20020058177A KR 1020000086019 A KR1020000086019 A KR 1020000086019A KR 20000086019 A KR20000086019 A KR 20000086019A KR 20020058177 A KR20020058177 A KR 2002005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call
negative
positive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4663B1 (ko
Inventor
양수현
Original Assignee
양수현
가이아 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수현, 가이아 텔레콤(주) filed Critical 양수현
Priority to KR102000008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663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6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내지 않고 응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음성데이터를 각각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송수화기를 통화여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음성데이터를 각각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방과 통화시에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내용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 상대방에게 음성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장소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 또는 정숙을 요하는 도서관, 영화관 등에서 통화시에 소리내지 않고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주위사람들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ilent answering featur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소리내지 않고 응답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리 녹음된 음성을 사용하여 소리내지 않고도 응답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서비스 지역이 확대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도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그 사용자의 저변층도 확대되어 직장인, 청소년, 주부, 일반인 등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 보급이 확대되면서 사용자들에게 빠르게 의사전달을할 수 있는 편리함도 제공해 주지만 워낙 많은 사용자가 거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도 발생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공장소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 또는 정숙을 요하는 도서관, 영화관 등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사적인 내용의 통화소리가 주의사람들에게 들리게 되므로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신시의 벨소리나 다이얼링의 키톤발생음 등의 여러 가지 신호음을 무음처리하거나, 전화수신시의 벨소리를 진동 등의 무음 신호로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매너모드'라는 기능을 제공하여 주의사람들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제공되어 사용자들에게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매너모드'의 기능에서도 최초 발신이나 전화수신시에만 신호음을 내지 않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통화시에는 육성을 사용하지 않으면 의사전달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여전히 주의사람들에게 불편을 끼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미리 간단한 응답내용의 음성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녹음 해두고, 통화시에 해당 음성데이터를 발신하는 것으로 소리내지 않고 응답할 수 있는 정숙응답방식을 채용한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숙응답방식을 채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숙응답방식을 채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 1에서 무선회로부(11)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다.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신호는 기저대역부(12)에서 오디오 신호와 데이터신호로 분리되어 오디오신호는 오디오처리부(13)로, 데이터신호는 제어부(10)로 보내진다. 오디오처리부(13)에서는 상기 기저대역부(12)로부터 받은 오디오신호를 음성재생을 통하여 송수화기(14)로 전달하여 수신자에게 음성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기저대역부(12)에서 받은 데이터신호를 메모리(17)에 저장하거나, 또는 표시부(15)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17)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뿐만 아니라, 입력부(16)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 송수화기(14)를 통한 음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된 소정의 버튼을 사용하여 정숙응답모드에서 사용할 긍정내용의 응답내용과, 부정내용의 응답내용을 상기 메모리(17)에 미리 저장시켜 둔다.
예를 들어, 정숙응답모드에서의 음성내용 녹음시에, 긍정내용의 응답내용과 부정내용의 응답내용에 각각 번호를 할당하여 1번에는 긍정내용의 응답, 2번에는부정내용의 응답을 저장시켜둔다. 그래서, 추후 응답내용의 상대방에게로의 송출시, 1번을 누르면 긍정내용의 응답내용이, 2번을 누르면 부정내용의 응답내용이 송출될 수 있도록 한다.
긍정내용의 응답예로서는 "예"가, 부정내용의 응답예로서는 "아니오"를 들 수 있다. 물론, 상기의 긍정내용의 응답이나, 부정내용의 응답의 내용은 사용자가 임의로 녹음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력부(16)는 일반적인 다이얼링 기능을 갖는 숫자, '*', '#', 기타 메뉴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일반모드' 및 '정숙응답모드' 전환버튼이나 상기 메모리(17)에 저장된 긍정내용의 응답내용 및 부정내용의 응답내용을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버튼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일반모드 및 정숙응답모드의 모드변환을 제어한다. 상기 일반모드는 전화착신시 벨소리 및 키톤음 등의 여러 가지 신호음을 내는 모드를 말하며, 정숙응답모드는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공공장소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 또는 정숙을 요하는 도서관, 영화관 등에서 자신의 전화통화소리가 다른 사람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벨소리를 진동으로 하고, 키톤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등 신호음을 무음처리하고, 사용자가 소정의 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17)에 미리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17)에 미리 저장된 긍정 또는 부정의 응답내용에 각각 할당된 소정의 버튼을 눌러 해당되는 음성데이터를 송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는 기타 일반적인 통화 및 메뉴설정에 필요한 기능들을 제어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전에 정숙응답모드에서 사용할 응답내용 즉, 긍정 대답 및 부정대답을 미리 녹음해 두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마련된 소정의 버튼을 사용하여 메뉴설정기능에서 정숙응답모드에서의 긍정 대답은 '예', 부정 대답은 '아니오'로 각각 저장하게 된다.
먼저,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요청 신호가 수신되면(S10), 정숙응답모드인지 일반모드인지 체크한다(S20).
정숙응답모드라면 진동모터를 구동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요청이 왔음을 수신자에게 알린다(S30).
수신자가 통화를 하고자 하면, 적당한 버튼을 누르거나 폴더를 열어서 통화를 시작하게 된다(S40의 예). 전화응답을 하지 않으면(S40의 아니오) 진동모터는 진동을 멈추고 단말기는 수신대기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전화를 받은 수신자는 상대방으로 부터 통화내용을 듣게 되고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인지 판단하여(S60), 긍정의 대답을 할 경우엔 미리 녹음된 긍정응답내용을 송출하기 위한 버튼을 눌러 상대방에게 긍정음성내용을 송출한다(S61).
만약, 부정의 대답을 해야겠다고 판단되면(S70), 미리 녹음된 부정응답내용을 송출하기 위한 버튼을 눌러 상대방에게 부정음성내용을 송출한다(S71).
또한, 정숙응답모드에서 전화를 받으면, 현재 정숙응답모드라서 '예', '아니오'로만 응답할 것임을 알리는 음성메세지를 단말기에서 송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화 도중에 사용자가 통화종료버튼을 누르면 통화가 종료되고(S80), 그렇지않다면 상기 S60단계로 되돌아가서 계속해서 상대방의 통화내용을 듣게 된다.
만약, 상기 S20단계에서 모드설정이 정숙응답모드가 아니고 일반모드라면 미리 정해져있는 벨소리로 수신자에게 통화착신되었음을 알리게 되고(S25), 통화를 하게 된다(S26).
이상, 본 발명을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설명한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미리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를 정숙응답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실시되었지만, 일반모드로 설정한 경우라도 통화중에 정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정숙응답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S26단계 이후에 정숙응답모드 전환단계를 더 구비하여 정숙응답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S60단계로 진행하면 된다. 상기 S60단계 이후의 과정은 위의 일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방과의 통화중에 소리내지 않고 응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붐비는 공공장소나,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수단, 또는 정숙을 요하는 도서관, 영화관 등에서 자신의 전화통화소리가 다른 사람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음성데이터를 각각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송수화기를 통화여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음성데이터를 각각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방과 통화시에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내용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 상대방에게 음성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2.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음성데이터를 각각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송수화기를 통화여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음성데이터를 각각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방과 통화시에 긍정응답 및 부정응답의 내용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 상대방에게 음성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제1 단계와,
    정숙응답모드인지 일반모드인지 체크하는 제2 단계와,
    정숙응답모드라면 진동모터를 구동하여 상대방으로부터 통화요청이 왔음을 수신자에게 알리는 제3 단계와,
    수신자가 통화를 하고자 하면, 적당한 버튼을 눌러 통화를 하게 되는 제4 단계와,
    수신자가 상대방으로부터 통화내용을 듣고 긍정의 대답을 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5 단계와,
    긍정의 대답을 할 경우엔 미리 녹음된 긍정응답내용을 송출하기 위한 버튼을 눌러 상대방에게 긍정음성내용을 송출하는 제6 단계와,
    긍정의 대답을 하지 않고 부정의 대답을 해야 할지 판단하는 제7 단계와,
    부정의 대답을 할 경우엔 미리 녹음된 부정응답내용을 송출하기 위한 버튼을 눌러 상대방에게 부정음성내용을 송출하는 제8 단계와,
    부정의 대답을 하지 않고 통화를 종료하게 하던지, 통화를 계속한다면 상기 제5 단계로 되돌아 가는 통화종료를 결정하는 제9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무성응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정숙응답모드가 아니고 일반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에,
    미리 정해져 있는 벨소리로 수신자에게 통화착신되었음을 알리는 단계와,
    통화를 하게 되는 단계와,
    사용자가 정숙응답모드로 전환함에 따라 상기 제5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무성응답방법.
KR1020000086019A 2000-12-29 2000-12-29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364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019A KR100364663B1 (ko) 2000-12-29 2000-12-29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019A KR100364663B1 (ko) 2000-12-29 2000-12-29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782U Division KR200248741Y1 (ko) 2001-07-10 2001-07-10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177A true KR20020058177A (ko) 2002-07-12
KR100364663B1 KR100364663B1 (ko) 2002-12-18

Family

ID=2768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019A KR100364663B1 (ko) 2000-12-29 2000-12-29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6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794B1 (ko) * 2005-09-27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성 통화 시스템과, 무성통화 단말기 및 무성통화 방법
KR100700165B1 (ko) * 2004-12-3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톤음 편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165B1 (ko) * 2004-12-30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톤음 편집 방법
KR100692794B1 (ko) * 2005-09-27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성 통화 시스템과, 무성통화 단말기 및 무성통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4663B1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52827A (ja) 移動電子機器が着呼に応答して環境配慮警報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方法。
JPH08172468A (ja) 通信端末装置
US200302317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quietly answering an incoming communication
TW465198B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witching operation mode of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unit
JP2002118689A (ja) 携帯電話の発信時相手応答に対する自動音声再生機能
KR100364663B1 (ko)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10032370A (ko) 이동 전화 단말기와 그 작동 및 사용 방법
KR200248741Y1 (ko)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96783A (ko) 이동 통신 기기의 자동 응답 제어 방법
KR100293429B1 (ko) 이동전화기의자동착신응답안내방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100362526B1 (ko) 간접음성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기기용 단말기
KR1004696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매너모드 해제시 자동통화 방법
JP3490898B2 (ja) 携帯電話端末
JP2004187191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JP2000332677A (ja) 移動体通信端末
JP2001251672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の通話方式
KR100370767B1 (ko) 비통화모드에서의 음성신호 전송장치 및 방법
JP3311365B2 (ja) 携帯電話装置
JP3046998U (ja) 携帯電話
KR19990084617A (ko)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JPH0955793A (ja) 携帯電話装置
JP2005045658A (ja) 携帯電話装置およびその通話方法
KR2006002788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무성 응답 방법 및 그 단말기
JPH118689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