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617A -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617A
KR19990084617A KR1019980016515A KR19980016515A KR19990084617A KR 19990084617 A KR19990084617 A KR 19990084617A KR 1019980016515 A KR1019980016515 A KR 1019980016515A KR 19980016515 A KR19980016515 A KR 19980016515A KR 19990084617 A KR19990084617 A KR 19990084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hort message
state
pow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853B1 (ko
Inventor
김해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6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8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a)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메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과정; (b) 상기 변경된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기지국에 등록시키는 과정; (c)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등록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이동단말기로 단문메세지만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이동단말기로의 착호대신에 수신되는 단문메세지를 확인한 후, 자신이 꼭 응답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만 응답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선택기능의 폭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short message)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단문메세지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문메세지 수신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기에 제공되는 단문메세지 서비스는 기지국이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원다운상태를 등록하였다가 통화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들의 음성이나 문자를 메일로 남기도록 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가 등록되면 그 동안 수신된 메세지를 전송해 주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만 단문메세지 전송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사용자가 회의 또는 다른 업무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상대방의 전화요청을 확인하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착호되는 전화요청에 대해, 단문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를 기지국에 제공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에 착신되는 모든 착호에 대해 단문메세지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단문메세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고, 다른 목적은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단문메세지만을 수신하도록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모드 해제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모드 해제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은
(a)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메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과정; (b) 상기 변경된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기지국에 등록시키는 과정; (c)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등록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이동단말기로 단문메세지만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과정은 (a1) 상기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키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 및 (a2) 상기 이동단말기에 단문메세지 수신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과정은 상기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가 인가되면,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과정은 (c1) 소정의 착호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다운상태인가를 판단하는 과정; (c2) 상기 (c1)의 판단결과,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 해당 이동단말기가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c3) 상기 (c1) 및 상기 (c2)과정의 판단결과,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된 상태이면, 메세지 센터로 연결하여 해당 이동단말기로 단문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해당 이동단말기로 페이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제어장치는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단문메세지 수신요청 또는 해제신호를 전송하는 이동단말기; 해당 이동단말기에 대응되는 어드레스에 문자 또는 음성을 저장하는 메시지 센터; 상기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송모드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통화요청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송모드의 등록상태에 따라 단문메세지로의 전송을 결정한 후, 상기 메시지 센터에 저장된 단문메세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시킨 후,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단말기에서 도착된 착호신호를 단문메세지로 전송시키고,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해제신호가 인가되면,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단말기에서 도착된 착호신호를 페이징으로 변환시키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서 단문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먼저,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메세지을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변경시키고, 상기 변경된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기지국에 등록시킨 후,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등록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이동단말기로 단문메세지만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단문메세지만을 수신하도록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흐름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킨 상태(10 단계)에서,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를 발생시켜(12 단계), 기지국에 전송하고(14 단계), 이동단말기에 단문메세지 수신상태를 표시한다(16 단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흐름도이다.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가 전송되면(20 단계), 해당 이동단말기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시킨다(22 단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 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착호신호가 발생되면(30 단계), 해당 이동단말기가 전원온상태로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32 단계), 해당 이동단말기가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한다(34단계).
상기 32 단계 및 34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이동단말기가 전원오프상태로 등록되어 있거나, 또는 해당 이동단말기가 전원온상태로 등록되고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 메세지 센터를 연결하여 해당 이동단말기에 수신된 단문메세지를 전송한다(36 단계)
그러나, 상기 32단계 및 34단계의 판단결과, 해당 이동단말기가 전원온상태이면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이동단말기로 페이징을 전송한다(38 단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단말기가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호를 원치않고, 메세지로 수신하기를 원할 때, 이동단말기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단문메세지 수신요청키"를 눌러, 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이 때, 이 이동단말기의 표시창에는 단문메세지 수신모드임이 나타낸다. 여기서, 단문 메세지 수신요청키의 예로서, "* 51+send"를 연속하여 누르면, 이 신호는 기지국의 제어부에 전송되게 된다. 기지국의 제어부에서는 이동단말기에서 수신된 신호가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인가를 판단한 후, 해당 이동단말기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시킨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다른 사용자가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된 이동단말기에 착호하기를 원하는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이동단말기의 전원의 온/오프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원상태가 온일 경우 해당 이동단말기가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결과,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다운상태이거나, 또는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된 상태이면, 메세지 센터로 연결하여 해당 이동단말기에 해당되는 단문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해당 단말기로 페이징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모드 해제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동단말기의 "단문 메세지 수신해제신호"를 발생하여(40 단계), 단문 메세지 수신해제신호를 기지국에 전송하고(42 단계), 이동단말기에 단문메세지 수신해제모드 즉, 페이징모드임을 표시한다(44 단계). 여기서, 단문메세지 수신해제신호는 "* 98 + send "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의 버튼조합으로 발생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지국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모드 해제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동단말기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해제신호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하여(50 단계), 단문메세지 수신해제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이동단말기를 단문메세지 수신해제모드 즉, 페이징모드로 전환시킨다(52 단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참조부호 60은 이동단말기를, 참조부호 62는 기지국을 , 참조부호 64는 메시지 센터를 각각 나타낸다.
이동단말기(60)는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단문메세지 수신요청/해제신호를 발생시킨다.
메시지센터(64)는 해당 이동단말기에 대응되는 어드레스에 문자 또는 음성을 저장한다.
기지국의 제어부(62)는 이동단말기(60)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해제신호에 따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를 등록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단말기(60)로의 통화요청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등록상태에 따라 전송모드를 결정한다. 즉, 이동단말기(60)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이동단말기(60)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시킨 후,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단말기에서 도착된 착호신호를 단문메세지로 전송시키도록 메시지 센터(64)와 연결시키고, 상기 이동단말기(60)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해제신호가 인가되면,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단말기에서 도착된 착호신호를 페이징으로 변환시키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극장 또는 회의에 참석중일 때, 착호에 관한 서비스는 계속 받고 싶어서 이동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킨 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전환시켜 놓으면,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착호대신에 단문메세지로 대체하여 수신되므로 자신이 꼭 응답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만 응답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선택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단말기에서 단문메세지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메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과정;
    (b) 상기 변경된 이동단말기의 상태를 기지국에 등록시키는 과정;
    (c)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통화요청이 발생하면, 상기 이동단말기의 등록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이동단말기로 단문메세지만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과정은
    (a1) 상기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키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 및
    (a2) 상기 이동단말기에 단문메세지 수신모드임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과정은
    상기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가 인가되면, 기지국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과정은
    (c1) 소정의 착호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다운상태인가를 판단하는 과정;
    (c2) 상기 (c1)의 판단결과,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 해당 이동단말기가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c3) 상기 (c1) 및 상기 (c2)과정의 판단결과,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된 상태이면, 메세지 센터로 연결하여 해당 이동단말기로 단문메세지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이동단말기의 전원이 온상태이면서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해당 이동단말기로 페이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5.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 수신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단문메세지 수신요청 또는 해제신호를 전송하는 이동단말기;
    해당 이동단말기에 대응되는 어드레스에 문자 또는 음성을 저장하는 메시지 센터;
    상기 이동단말기의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 또는 해제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의 전송모드를 등록하고, 상기 이동단말기로의 통화요청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전송모드의 등록상태에 따라 단문메세지로의 전송을 결정한 후, 상기 메시지 센터에 저장된 단문메세지를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요청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를 단문메세지 수신모드로 등록시킨 후,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단말기에서 도착된 착호신호를 단문메세지로 전송시키고,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단문메세지 수신해제신호가 인가되면, 통화를 요청하는 이동단말기에서 도착된 착호신호를 페이징으로 변환시키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제어장치.
KR1019980016515A 1998-05-08 1998-05-08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KR100313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515A KR100313853B1 (ko) 1998-05-08 1998-05-08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515A KR100313853B1 (ko) 1998-05-08 1998-05-08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617A true KR19990084617A (ko) 1999-12-06
KR100313853B1 KR100313853B1 (ko) 2001-12-12

Family

ID=3753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515A KR100313853B1 (ko) 1998-05-08 1998-05-08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8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65B1 (ko) * 2000-05-2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설이동교환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100480044B1 (ko) * 2000-12-22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거부 방법
KR100836250B1 (ko) * 2007-01-30 2008-06-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65B1 (ko) * 2000-05-2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설이동교환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100480044B1 (ko) * 2000-12-22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거부 방법
KR100836250B1 (ko) * 2007-01-30 2008-06-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853B1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2421B1 (en) A method of remotely chang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communications device
JPH08172468A (ja) 通信端末装置
JP2001218269A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
EP1231798B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628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313853B1 (ko)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KR20030093038A (ko)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JP5092900B2 (ja) 電話端末
KR100710377B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0236578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200600003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드 원격 제어 방법
KR100705589B1 (ko) 단말 사용자 상태에 따른 ptt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9515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부재상황 알림 방법
KR100364663B1 (ko)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JP3541743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JP2000307718A (ja) 電話装置の呼び出し装置及び呼び出し方法
GB2366492A (en) Text message transmission at the end of a voice communication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20020021835A (ko)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248741Y1 (ko) 무성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JP2871541B2 (ja) 外づけ用電話機を収容するファクシミリ機能付き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