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250B1 -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250B1
KR100836250B1 KR1020070009286A KR20070009286A KR100836250B1 KR 100836250 B1 KR100836250 B1 KR 100836250B1 KR 1020070009286 A KR1020070009286 A KR 1020070009286A KR 20070009286 A KR20070009286 A KR 20070009286A KR 100836250 B1 KR100836250 B1 KR 100836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obile
data
communication network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진
정윤필
민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25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은 (a)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이동알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SMS 메시지에 상응하여 제2 이동단말기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제1 이동단말기와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제2 이동단말기는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이동단말기와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동알림 SMS 메시지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DETECTING POSSIBILITY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이동단말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을 위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에 대한 판단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이동단말기 120: 중계국
130: 문자메시지 제공서버 140: 데이터 교환국
150: CSCF 160: HSS
170: 서킷 데이터 교환국 180: HLR
200: 제2 이동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대 이동단말이 음성호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제2세대 이동통신망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알림 SMS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상대 이동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음을 표시하는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GPRS(Universal Mobile Telephony Service/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에서 제공하는 GPRS 망을 기반으로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이동통신망을 구성하여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 규격을 작성하고 있다. 이러한 3GPP에서 제안하는 IP 기반 이동통신망은 망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 IP 기반 전송방식을 사용하므 로 인터넷 망과의 연동이 용이하다.
IP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동단말기 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각 이동단말기의 서비스 처리 능력 문의(Capability Query) 과정이 선행된다. 하지만 제1 이동단말기 및 제2 이동단말기는 상대 이동단말기의 서비스능력 문의 과정만으로 상대 이동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이는 제1 이동단말기 및 제2 이동단말기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점에 상대 이동단말기가 어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으로 이동단말기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대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서비스 처리 능력 문의(Capability Query)과정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 상태이다. 하지만, 제1 이동단말기(100)가 제3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에서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하여, 시스템간 하드 핸드오버한 경우에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통화는 계속 가능하지만, 동시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이동을 알지 못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통화는 계속되지만, 제2 이동단말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유무선 자원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통신 장비에 부하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좀 더 정확한 상대방의 멀티미디서 서비스 처리 능력을 알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여부 판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유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여부 판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망 부하는 줄일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시설 비용을 절감하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여부 판단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은 (a)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이동알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SMS 메시지에 상응하여 제2 이동단말기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은 (a) 제2 이동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를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이동알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호 연결 중에 데이터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은 제1 이동단말기(100), 중계국(120), 문 자메시지 제공서버(130), 서킷 데이터 교환국(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Gateway MSC, 170),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 CSCF(Call Server Control Function, 150), HSS(Home Subscriber Server, 160) 및 HLR(Home Location Register, 180)을 포함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로 예를 들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노트북일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음성호 연결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3세대 이동통신망과 음성호 연결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제2세대 이동통신망에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WCDMA 방식 및 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있는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 & Dual Mode)의 이동단말기일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통화 도중 실시간으로 카메라로 촬영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단말기(100)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이동단말기 전원이 켜지는 순간 또는 음성호가 연결된 순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P 세션 설정 및 SIP 등록이 미리 수행될 수 있다.
중계국(120)은 제1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접속을 하여 서킷 데이터 및 데 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중계국(120)은 예를 들면, WCDMA 시스템의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CDMA 시스템의 BTS/BSC일 수 있다.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는 문자 서비스를 제1 이동단말기(100)에 제공한다.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는 예를 들면,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일 수 있다.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는 제1 이동단말기(100) 또는 제2 이동단말기(200)의 전송 요청에 따라 상대 이동단말기(200)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SMS 메시지의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인 PID(Protocol Identifier) 필드 또는 TID(Tele-service Identifier) 필드를 미리 설정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또는 제2 이동단말기(200)가 제3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제2세대 이동통신망으로 시스템간 핸드오버 했음을 상대 이동단말기에 알리기 위하여 이용된다. 여기서, SMS 메시지의 PID 필드에 관한 설명은 도 4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킷 데이터 교환국(170)은 제1 이동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서 음성호 연결을 위한 CS(Circuit Service)를 제공하며, 외부 서킷 데이터망간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은 제1 이동단말기(100)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 유지 및 해제 등의 세션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GPRS 망과 외부 데이터망간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CSCF(150)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호 및 세션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 는 기능으로 인입 호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Incoming Call Gateway)과 호 제어 기능(Call Control Function), SPD(Serving Profile Database) 기능, 주소 처리(Address Handling) 기능 등을 수행한다. CSCF(150)의 인입호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은 입구 점(Entry Point)으로 동작하고 입력 호에 대한 라우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호 스크리닝 및 포워딩과 같은 입력호에 대한 서비스 트리거링을 수행하며, HSS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CSCF(150)의 호 제어기능은 호의 설정과 종료 및 상태/이벤트 관리, 다자간 서비스를 위한 MRF와의 상호 작용, 과금을 위한 호 이벤트 보고, 응용 레벨 등록의 수신 및 처리 등을 담당한다.
CSCF(150)는 그 기능에 따라 P-CSCF(Proxy)(151), I-CSCF(Interrogating)(152), S-CSCF(Serving)(153)로 나눌 수 있다.
P-CSCF(151)는 이동단말기가 GPRS 액세스를 통해서 IMS(IP Multimedia Service)에 접속할 때 처음 만나는 지점이다. P-CSCF(151)는 제1 이동단말기(100)가 DHCP(The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미도시)를 이용하거나 PDP 컨텍스트(Context)를 통해서 해당 주소를 얻을 수 있다. P-CSCF(151)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SIP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의 홈 도메인의 I-CSCF(152)로 전달하고 이 등록 절차에서 S-CSCF(153)의 주소를 저장했다가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S-CSCF(153)로 향하는 SIP 메시지가 있을 경우 이를 S-CSCF(153)로 전달할 수 있다. P-CSCF(151)은 제1 이동단말기(100)가 IMS에 접속하는 첫 포인트 지점이고, GGSN과 같은 도메인에 존재한다. P-CSCF의 주소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context activation)에 의해 제1 이동단말기에게 전달된다.
P-CSCF(151)은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SI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의 홈 도메인을 참조하여 I-CSCF(152)로 전달하고, I-CSCF(152)의 SIP 등록 요구 처리과정에서 얻어지는 S-CSCF(153) 주소를 관리할 수 있다. P-CSCF(151)은 IMS 서비스에 대하여 I-CSCF(152) 또는 S-CSCF(153)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달한다.
I-CSCF(152)는 망 내의 가입자에게 연결하기 위해서 들어오는 모든 호에 대해서 접점 역할 및 망 내에 로밍한 타망 가입자와의 접점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I-CSCF는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며 사업자 망의 구성, 토폴로지 및 용량 등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은닉기능을 가질 수 있다.
I-CSCF(152)는 SIP 등록요구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SLF (Subscription Locator Function)를 이용해서 HSS(160)를 선정하고, HSS(160)로부터 S-CSCF(153)의 주소를 수신하고, 실제 등록을 담당할 S-CSCF(153)를 할당할 수 있다.
S-CSCF(153)는 IMS의 모든 세션상태 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HSS와 연동하여 가입자 Profile을 수신하여 호 처리를 위한 주요기능을 수행한다. S-CSCF(153)는제1 이동단말기(100)의 세션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템으로 HSS(Home Subscriber Server)(160)에 가입자를 등록하고, 가입자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 관리한다.
HSS(Home Subscriber Server) (160)는 CS 도메인, PS 도메인, IMS를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한다.
HLR(180)은 가입자의 보안 정보를 생성한다. HLR(180)은 사용자의 인증, 메 시지의 무결성 체크, 암호화 기능 지원을 위한 데이터 생성하며, 각각의 서비스 기능 요소 인증절차를 지원한다. HLR(180)은 이동 가입자의 방문 망에서 로밍의 가능여부를 체크하고 망 액세스 권한 검증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망에서 GPRS 세션 설정과정을 통해 제1 이동단말기(100)-중계국(120)-패킷 데이터 교환국(140)간에 PDP(Packet Data Protocol)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는 CSCF(150)를 통하여 S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등록하여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호를 연결한다(S310).
제1 이동단말기(100)는 우선 음성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를 중계국(120) 또는 서킷 데이터 교환국(170)을 통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 연결 메시지(CONNECT)를 전송하여 음성호 연결을 수행한다(S302). 네트워크는 음성호 연결을 위한 베어러(bearer)를 할당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음성호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 예를 들면, 비디오 공유와 같은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스트림(stream)을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IP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 단말 간에 음성호 연결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이동단말이기의 PDP(Packet Data Protocol) 세션 설정(활성화)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각각에 상응하는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과 PDP 세션을 설정한다(S320).
제1 이동단말기(100)는 GPRS PDP 세션 설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련 정보를 PDP 세션 정보(Context) 테이블에 저장한 후, UMTS에서 제공하는 신호 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으로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PDP Context Activation)를 전송한다.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은 PDP 세션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 후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PDP Accept)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중계국(120), 데이터 교환국(14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P 세션 정보(예를 들면, 라우팅 정보)가 각각의 PDP 세션정보 테이블에 저장된다. 제2 이동단말이기(200) 또한,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응하는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과 PD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는 PDP 세션 설정을 통하여 생성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의 SIP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록을 상응하는 CSCF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이동단말기에 상응하는 CSCF는 SIP 등록 수락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설정된 SIP를 HSS에 등록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이동단말기에 상응하는 HSS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여 외부 망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제1 이동단말기(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제2 이동단말이기(200) 또한,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응하는 CSCF를 통하여 SIP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 또는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상대 이동단말기(100, 200)의 서비스 처리 능력 문의 메시지(OPTIONS)을 교환한다(S330). 이는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 단말기의 서비스 처리 능력이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로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비디오 공유를 위해서 제2 이동단말기(200)가 비디오 스트림(stream)에 대한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인지 서비스 처리 능력을 문의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서비스 처리 능력 문의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OK)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만약 제2 이동단말기(200)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인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응답 메시지를 받고 제2 이동단말기(200)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가 가능함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제2 이동단말기(200)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와 같이,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제1 이동단말 기(100)의 서비스 처리 능력 문의 메시지(OPTIONS)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OK)를 수신하여 그 결과를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간 서비스 처리 능력 문의 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이동단말기(100)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는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가 가능하다고 표시된 UI와 다르게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하다.
제1 이동단말기(100)가 제3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서로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한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는 끊김없는 음성 통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3세대 이동통신망 및 제2세대 이동통신망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로 예를 들면, 주파수가 다른 이동통신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듀얼 밴드, 듀얼 모드의 이동단말기일 수 있다. 여기서, 하드 핸드오버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그 수행과정이 자명한바,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3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에서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중계국(120)으로부터 물리 채널 재구성(Physical Channel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세대 이동통신모드로 전환하여 제2세대 이동통신망의 채널로 음성 통화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세대 이동통신망은 W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일 수 있으며, 제2세대 이동통신망은 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세대 이동통신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로 전송한다(S350).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은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착신 단말인 제2 이동단말기(200)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S360). 여기서,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일 수 있다.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제1 이동단말기(100)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나타내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된다. 이동알림 SMS 메시지의 특정 필드는 SMS 메시지의 TPDU(Transport Protocol Data Unit) 중 PID(Protocol Identifier) 또는 TID(Tele-service Identifier)일 수 있다. 여기서, SMS 메시지의 PID는 WCDMA의 SMS 서비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 사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각 서비스를 구분하는 구분자이고, PID 필드를 다르게 설정함에 따라 제2 이동단말기(200)에서 수신된 SMS 메시지가 다르게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MS 메시지는 PID 필드를 다르게 설정함에 따라 일반 단문 메시지(PMT: PCS Message Teleservice), 호출메시지(PCS Paging Teleservice), URL 콜백 메시지, 플랫폼 콜백 메시지, 방송 텔리서비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SMS 메시지의 TID는 CDMA의 SMS 메시지 서비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 사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각 서비스를 구분하 는 구분자이다. 이동알림 SMS 메시지의 데이터 필드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과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를 통하여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가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S370). 여기서, UI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아이콘 또는 알림음일 수 있다.
제2 이동단말기(200)의 사용자는 UI를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데이터의 송신을 하지 않게 되어 유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통신 장비에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41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간 음성호가 연결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음성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성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에 상응하는 호 연결 메시지(CONNECT)를 전송하여 음성호 연결을 수행한다. 네트워크는 음성호 연결을 위한 베어러(bearer)를 할당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상응하는 패킷 서비스 교환국과 PDP 세션 설정(Activation)을 수행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GPRS PDP 세션 설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련 정보를 PDP 세션 정보(Context) 테이블에 저장한 후, UMTS에서 제공하는 신호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으로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PDP Context Activation)를 전송한다.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은 PDP 세션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 후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PDP Accept)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중계국(120), 데이터 교환국(140)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P 세션 정보(예를 들면, 라우팅 정보)가 각각의 PDP 세션정보 테이블에 저장된다. 제2 이동단말이기(200) 또한,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상응하는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과 PD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PDP 세션 설정을 통하여 생성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의 SIP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록을 상응하는 CSCF(150)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응하는 CSCF(150)를 통하여 상응하는 HSS(160)에 SIP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 또는 제2 이동단말기(200)는 상대 이동단말기(100, 200)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인지 서비스 처리 능력 문의 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44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3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서로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한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하는지 판단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3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에서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하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중계국(120)으로부터 물리 채널 재구성(Physical Channel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세대 이동통신모드로 전환함으로 제2세대 이동통신망으로 이동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판단 결과, 제1 이동단말기(100)가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를 통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단계 S460에서,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과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를 통하여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가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가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제3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에 계속 위치하는 경우, 음성호가 종료될 때까지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음성호 연결 상태에서 상호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을 위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 동단말기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의 판단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SMS TPDU(Transport Protocol Data Unit)에 따라서 복수의 헤더필드로 구성된다. SMS 메시지의 헤더필드 중 TP-PID(Protocol Identifier)(410)는 WCDMA의 SMS 메시지 서비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 사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각 서비스를 구분하는 구분자로서 그 크기는 1 바이트(byte)이다. SMS 메시지의 헤더필드 중 TID(Tele-service Identifier)는 CDMA의 SMS 서비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 사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각 서비스를 구분하는 구분자로서 그 크기는 2 바이트(byte)이다. SMS 메시지는 TP-PID(Protocol Identifier)를 어떻게 지정하느냐에 따라 단문메시지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SMS 메시지의 복수의 데이터필드 중 TP-PID를 0x00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일반 단문메시지(PMT:PCS Message Teleservice), 0x48는 호출메시지(PCS Paging Teleservice), 0x4e는 URL 콜백 메시지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3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에서 제2세대 이동통신망 지역으로 이동하여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는 SMS 메시지의 TP-PID 필드(510) 또는 TID 필드를 설정하여 제어 메시지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동단말기(100)는 SMS 메시지의 TP-PID 필드(410)를 0x49로 설정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가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UI를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와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 동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아이콘(610)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안내문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아이콘(610)과 함께, 알림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좀 더 정확한 상대방의 멀티미디서 서비스 처리 능력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유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망 부하는 줄일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시설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문자메시지 제공서버에서 제1 이동단말기와 제2 이동단말기간에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이동알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SMS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음성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음성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SMS 메시지의 TPDU(Transport Protocol Data Unit) 중 PID(Protocol Identifier) 필드 또는 TID(Tele-service Identifier)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은 W-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이고, 상기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은 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는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
  5. 이동통신망에서 제1 이동단말기와 제2 이동단말기간에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이동알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이동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데이터를 송수신을 위한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이동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단말기간에 각각에 대한 서비스 능력 문의(Capability Query)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
  7. 문자메시지 제공서버에서 제1 이동단말기와 제2 이동단말기간에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상기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이동알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SMS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이동단말기로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8. 이동통신망에서 제1 이동단말기와 제2 이동단말기간에 음성호 연결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이동알림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함을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알림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음성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망으로 이동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 판단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09286A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3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86A KR100836250B1 (ko)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86A KR100836250B1 (ko)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250B1 true KR100836250B1 (ko) 2008-06-10

Family

ID=3977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286A KR100836250B1 (ko) 2007-01-30 2007-01-30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0543A (zh) * 2022-03-28 2022-07-05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监控终端数据业务传输实现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617A (ko) * 1998-05-08 1999-12-06 윤종용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4617A (ko) * 1998-05-08 1999-12-06 윤종용 이동단말기의 전원온상태에서 단문메세지 수신방법 및 그에 따른 수신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0543A (zh) * 2022-03-28 2022-07-05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监控终端数据业务传输实现方法
CN114710543B (zh) * 2022-03-28 2023-05-26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监控终端数据业务传输实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9763B2 (en) Network node,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voice calls to a mobile terminal in a packet-switched-only network
US8249017B2 (e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96480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networks that are not commonly controlled
JP4555228B2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能力を自動的に検出する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946900B1 (ko) Ims 재등록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8848666B2 (en) Handover of emergency calls from a circuit switched to a packet switched access network
US200801251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o enable communication for a wireless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identifiers
WO2016107161A1 (zh) 通信方法、用户设备及通信装置
JP2009506590A (ja) Ipマルチメディアサブシステムを介するショートメッセージ機能を報告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1166364A (zh) 一种在紧急业务时实现语音呼叫连续性的方法和系统
WO20071146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service of idle user terminal located in common routing are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257103A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ervice providing
FI118501B (fi) Tietoliikennepalveluiden käytön parantaminen
CN105682058A (zh) 一种路由短消息的方法及装置
CN113453292A (zh) 一种建立连接的方法和通信装置以及系统
KR100862744B1 (ko)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36250B1 (ko)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30003361A (ko) Apn 변경 장치 및 방법과 apn 변경을 위한 무선 단말 장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9775125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continuity
US1118474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short message service over internet protocol
KR101574317B1 (ko) 효율적인 착신 호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0001734A1 (en) Restoration of a communication nod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150028624A (ko) 맞호 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134771B1 (ko) VoIP 단말과 통신 가능한 CSI 단말의 회선교환서비스 사용 가능 여부를 응용서버로 알리는 방법 및 장치
CN109327870B (zh) 与atcf通信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