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218A -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218A
KR20050040218A KR1020030075361A KR20030075361A KR20050040218A KR 20050040218 A KR20050040218 A KR 20050040218A KR 1020030075361 A KR1020030075361 A KR 1020030075361A KR 20030075361 A KR20030075361 A KR 20030075361A KR 20050040218 A KR20050040218 A KR 20050040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iro
lower shaft
automat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8673B1 (ko
Inventor
조택래
석대원
Original Assignee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테크 filed Critical 태남자동화기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5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6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673B1/ko

Links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로장표 자동인입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지로장표정보를 스캐닝하기 이전에 지로장표를 똑바로 정렬시킨후,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로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자동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Inserting Apparatus for Giro Paper with Automatic Arrange Function}
본 발명은, 지로장표 자동인입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지로장표 인입동작에 있어 편향 인입된 지로장표의 자동정렬후, 인입동작을 수행하는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자동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 등의 수납원에 의해 처리되었던 지로장표의 수납업무는, 근래에 들어 지로장표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수납 대행이 이루어지고 있은 주지된 사실이다.
전술한 지로장표 자동화 시스템은, 지로장표를 자동 인입함과 동시에 상기 지로장표정보를 스캐닝하는 지로장표 자동인입장치와, 상기 지로장표 자동인입장치를 통해 인입된 지로장표를 수납한후, 승인여부를 자체 판단하여 수납함에 자동수납을 실시하거나, 고객에게 피딩(Feeding) 시키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종래의 지로장표 자동인입장치(이하, 종래 기술이라 칭함.)는, 첨부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도시된 종래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중 도 1a는 종래의 지로장표 인입장치(2)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지로장표 인입장치(2)의 내부 단면도이다.
종래의 지로장표 인입장치(2)는, 상면의 전후방에 다수의 하부이송롤러(220)가 돌출되게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하부이송롤러(220)를 구동시키는 투입모터(224) 및 유성기어(226)가 설치된 몸체(22)와, 저면에 상기 하부이송롤러(220)와 대응되는 상부이송롤러(240)가 축설된 덮개부(24)가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이송롤러(220) 사이에는 지로장표(100)를 스캐너(242)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적정한 탄성을 갖는 일정 길이의 가압편(222)이 가로방향으로 탄설되며, 상기 가압편(222)과 대응되는 상기 덮개부(24)의 저면에는 일정 길이의 스캐너(242)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2) 및 덮개부(24)의 전단, 즉, 투입구(28)측에는 다수의 발광센서(261) 및 수광센서(262)로 이루어진 광감지부(26)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것이었다. 즉, 상기 가압판(222)이 삽입되어지는 삽입고(228)의 양끝단 하부에 일정 길이의 축봉(2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관통공(223)을 형성시킨후, 상기 가압편(222)을 상기 축봉(221)에 끼운 후 스프링(25)을 축설시킴으로써 가압편(222)이 상하로 탄동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가압편(222)은 지로장표(100)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면에 경사부(225)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이송롤러(220) 또는 상부이송롤러(240) 중 어느 하나에는 외면에 고무코팅처리를 하여 지로장표(100)와의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상기 상부이송롤러(240)의 축에는 판스프링(244)이 지지되도록 하여 상부이송롤러(240)가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탄동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이송롤러(220)와 밀착될 수 있어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지로장표 인입장치(2)의 몸체(22)를 철판으로 제작하고, 상기 덮개부(24)의 저면에 자성체(243)를 설치하여 자착에 의해 전술한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미도시) 및 덮개부(24)의 전후단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지로장표(100)의 투입 및 이송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과 작동원리를 갖는 종래 기술은, 고객이 특별히 주희하지 않으면, 지로장표가 전술한 지로장표 인입장치(2)의 내부 또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미도시)의 내부에서 용지걸림상태(JAM)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지로장표가 투입구에 위치되어 인입되되, 지로장표의 자동정렬을 수행한 이후에 실질적인 인입동작과 스캐닝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용지걸림(JAM)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동정렬기능을 갖는 지로장표 인입장치의 출현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로장표의 자동정렬동작을 실시한 이후에, 실질적인 인입동작과 스캐닝작업이 이루어져 지로장표의 용지걸림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절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간에 등간격 배치되는 다수의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와, 상기 제2감지센서로부터 소정거리 유격된 곳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하방 출몰되어 지로장표의 인입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이송롤러에 각각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및 승강모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감지센서에 지로장표가 검지되면, 상기 이송모터가 작동되어 지로장표의 인입동작이 개시되며, 이송중인 지로장표가 제2감지센서에 편향된 상태로 검지 될 시에 상기 승강모터가 작동 개시되어 상기 용지걸림부에 의해 편향된 지로장표의 인입을 간헐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지로장표의 자동정렬을 수행하는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으로서는,
지로장표 인입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상부 이송롤러 및 하부 이송롤러; 상기 하부 이송롤러간에 등간격 배치되는 다수의 제1감지센서; 상기 제1감지센서와 소정거리 유격되어 배치되는 제2감지센서; 상기 제2감지센서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하방 출몰되어 지로장표의 인입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하부 이송롤러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승강모터를 구비하는 자동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자동정렬유닛은, 상기 다수의 하부 이송롤러가 축설된 하부축; 상기 하부축의 양단을 고정하는 브래킷; 상기 하부축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축; 상기 캠축의 소정부위에 축설되는 제1캠 및 제2캠; 상기 제1캠에 의해 상방 지지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격자형상의 지지부; 상기 제2캠에 의해 상방 지지되며, 상기 하부축을 하방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캠축의 일단은, 상기 승강모터와 피니언 치차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캠 및 제2캠은,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사점 및 하사점은 각각 반대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부축이 축설된 부위에 일정한 높이로 천설된 유동공이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모터가 회동될 시에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하부축이 상기 유동공을 따라 상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할 기준면(B)은, 지로장표의 이송 및 자동정렬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물, 즉, 하부 이송롤러(22), 걸림부(12)를 구비하는 승강부재(11)가 상호 승강되는 정도를 식별하기 위한 개념이며, 이는 실질적으로 인입장치(1)의 인입 바닥면을 지칭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인입장치(1)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인입장치(1) 중 자동정렬유닛(10)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자동정렬유닛(10)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자동정렬유닛(10)의 자동정렬 동작시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자동정렬유닛(10)의 지로장표 이송 동작시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b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인입장치(1)는, 전방에 지로장표(미도시)가 인입 개시되는 투입구(15)와, 상기 투입구(15)측에 등간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1감지센서(62)와, 상기 제1감지센서(62)에 지로장표(미도시)가 감지되면 구동 개시되는 이송모터(미도시)와, 상기 이송모터와 피니언 결합되어 동력이 인가되는 상부축(54)과 상기 상부축(54)의 외경상에 동일간격 축설되는 상부 이송롤러(52)로 이루어진 상부 이송부재(50)와, 상기 상부 이송부재(50)의 상기 상부 이송롤러(52)와 동수로써 이들(52)과 상호 맞닿는 하부 이송롤러(22) 및 이들 상부 이송롤러(52) 및 하부 이송롤러(22)의 후단으로 상하방 출몰됨에 따라 지로장표의 인입동작을 간헐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걸림부(12)를 구비하는 승강부재(11) 및 상기 하부 이송롤러(24)와 상기 승강부재(11)를 상하방 승강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40)로 이루어진 자동정렬유닛(10) 및, 상기 자동정렬유닛(10)과 상기 제1감지센서(62)의 사이에 제2감지센서(64)가 복수개 배치되며, 그 후단으로 지로장표의 정보를 스캐닝하는 스캐너(70)가 장설된 개략적 구성을 갖는다.
첨부한 도 3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전술한 자동정렬유닛(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다수의 하부 이송롤러(22)가 축설되며, 양단부가 고정부재(26)에 의해 브래킷(18)상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축(24)을 구비하는 하부 이송부재(20)와, 상기 이송부재(20)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브래킷(18)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캠축(34)과, 상기 캠축(34)에 축설되는 제1캠(32) 및 제2캠(36)과, 상기 캠축(34)의 일단부에 축설되는 피니언(38)과 상기 피니언(38)과 치합되어 상기 캠축(34)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피니언(미도시)을 구비하는 승강모터(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캠(32)의 회동시에 전술한 승강부재(11)의 소정부위에 격자형상으로 전방 돌출된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12)가 기준면(B)상에 상방 또는 하방 출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래킷(18)상에는, 상하방으로 일정길이 천설된 유동공(17)에 상기 하부축(24)이 관통체결되는 바, 이 유동공(17)을 따라 상기 하부축(24)이 상방 또는 하방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된다. 이때, 상기 제2캠(36)은, 상기 고정부재(26)를 하방 지지하는 지지체(19)와 상호 맞닿는 상태로써, 상기 제2캠(36)의 회동에 의해9 상기 하부 이송부재(20)가 상기 기준면(B)상에 소정높이 상하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캠(32)과 제2캠(36)은, 상호 역동작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캠축(34)상에 축설된다. 즉, 제1캠(32)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11)가 상방 상승되면 제2캠(36)에 의해 상기 하부 이송부재(20)가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승강부재(11)의 걸림부(12)가 상기 기준면(B)상에 상방 돌출되면, 상기 하부 이송부재(20)가 소정높이 하강됨에 딸 하부 이송롤러(22)에 의해 지로장표에 인가된 가압력이 완화될 수 있도록 설정된 구성을 갖는다.
첨부한 도 5a 내지 도 6b는, 상기 승강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하부 이송부재(20)와 상기 승강부재(11)의 걸림부(12)가 기준면(B)을 기준으로 상하방 출몰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인입장치(1)의 작동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투입구(15)에 지로장표(미도시)가 위치되어 다수의 제1감지센서(62)에 지로장표가 감지된다. 이후, 이송모터(미도시)가 작동되어 상부축(54)에 축설된 피니언(58)에 의해 상부축(54)과 상기 상부축(54)에 축설된 상부 이송롤러(52)가 동일 회동된다. 이때, 자동정렬유닛(10)을 구성하는 하부 이송부재(20)의 하부 이송롤러(22)는 상기 상부 이송롤러(52)와 일정한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상호 맞닿은 상태이므로, 상기 이송롤러(52)의 회동력에 의해 동일 회동되며, 이들 이송롤러(22, 52)의 마찰 회동력에 의해 지로장표가 가압 이송된다.
한편, 이송 중에 있는 지로장표가 다수의 제2감지센서(64)에 편향된 상태로 감지될 시에, 즉, 상기 다수의 제2감지센서(64)에 동시에 감지되지 않고 다수의 제2감지센서(64)에 소정 단위시간간격으로 각각 감지될 시에는, 이송모터(미도시)의 동작이 일시 정지된 후,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제1캠(32)이 상사점에 이르도록 승강모터(40)의 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제1캠(3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지지부(14) 및 상기 지지부(14)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걸림부(12)가 구성된 승강부재(11)가 상승되어 상기 걸림부(12)가 기준면(??)상에 돌출 되도록 승강모터(40)가 작동된 후, 승강모터(40)가 오프되며, 상기 이송모터(미도시)가 보다 느린 속도로써 작동 개시된다.
첨부한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승강부재(11)에 구성된 걸림부(12)가 기준면(B)상에 상방 돌출 됨으로써, 편향된 지로장표가 더 이상 인입장치(1)의 내부로 진입되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제한한다. 이때, 하부 이송롤러(22)가 기준면(B)상에서 하방운동을 실시하여 지로장표에 인가되었던 가압력을 완화시킴은 물론, 상기 이송모터(미도시)가 보다 느린 속도로 회동됨에 따라 편향 인입된 지로장표의 자동정렬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정렬동작은, 소정개수의 제2감지센서(64)가 지로장표를 감지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진행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한 이후에는, 첨부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로장표의 이송작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된다. 즉, 걸림부(12)가 기준면(B)의 하방으로 하강함에 따라 지로장표의 인입을 제한하였던 상태를 해제함은 물론, 하부 이송롤러(22)가 동시에 상승됨으로써, 지로장표의 표면상에 일정한 가압력이 인가되어 지로장표를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는, 마찰력이 탁월한 고무재 또는 이와 비슷한 효능을 갖는 합성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지로장표의 이송에 있어 슬립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송 및 자동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특별한 주의를 요하지 않으며, 지로장표 인입장치의 내부 또는,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도는 용지걸림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용지걸림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장치에 인가되는 부하를 낮출 수 있어, 보다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이 탁월한 지로장표 인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지로장표 인입장치의 일부절개 사시도 및 내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인입장치의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로장표 인입장치 중 자동정렬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자동정렬유닛의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자동정렬유닛의 자동정렬 동작시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자동정렬유닛의 지로장표 이송 동작시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 : 지로장표 인입장치 10 : 자동정렬유닛
11 : 승강부재 12 : 걸림부
14 : 지지부 15 : 투입구
17 : 유동공 18 : 브래킷(Bracket)
19 : 지지체 20 : 하부 이송부재
22 : 하부 이송롤러 24 : 하부축
26 : 고정부재 32 : 제1캠(CAM)
34 : 캠축 36 : 제2캠
38, 58 : 피니언 40 : 승강모터
50 : 상부 이송부재 62 : 제1감지센서
64 : 제2감지센서 70 : 스캐너

Claims (4)

  1. 지로장표 인입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상부 이송롤러 및 하부 이송롤러;
    상기 하부 이송롤러간에 등간격 배치되는 다수의 제1감지센서;
    상기 제1감지센서와 소정거리 유격되어 배치되는 제2감지센서;
    상기 제2감지센서와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여 상기 제2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하방 출몰되어 지로장표의 인입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하부 이송롤러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하 출몰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승강모터를 구비하는 자동정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인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정렬유닛은,
    상기 다수의 하부 이송롤러가 축설된 하부축;
    상기 하부축의 양단을 고정하는 브래킷;
    상기 하부축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축;
    상기 캠축의 소정부위에 축설되는 제1캠 및 제2캠;
    상기 제1캠에 의해 상방 지지되며, 상기 승강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격자형상의 지지부;
    상기 제2캠에 의해 상방 지지되며, 상기 하부축을 하방 지지하는 지지체;
    상기 캠축의 일단은, 상기 승강모터와 피니언 치차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인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 및 제2캠은,
    상기 승강모터의 구동에 의한 상사점 및 하사점은 각각 반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인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하부축이 축설된 부위에 일정한 높이로 천설된 유동공이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모터가 회동될 시에 상기 제2캠에 의해 상기 하부축이 상기 유동공을 따라 상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로장표 인입장치.
KR1020030075361A 2003-10-28 2003-10-28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KR10055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361A KR100558673B1 (ko) 2003-10-28 2003-10-28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361A KR100558673B1 (ko) 2003-10-28 2003-10-28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694U Division KR200338970Y1 (ko) 2003-10-28 2003-10-28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218A true KR20050040218A (ko) 2005-05-03
KR100558673B1 KR100558673B1 (ko) 2006-03-13

Family

ID=3724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361A KR100558673B1 (ko) 2003-10-28 2003-10-28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075B1 (ko) * 2008-04-25 2010-09-06 (주)한메가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KR101135261B1 (ko) * 2005-10-12 2012-04-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20Y1 (ko) * 2002-06-05 2002-08-30 (주)스켄웍스 지로장표 자동처리장치
KR200302637Y1 (ko) * 2002-11-05 2003-02-05 (주)스켄웍스 지로장표 자동 접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61B1 (ko) * 2005-10-12 2012-04-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KR100980075B1 (ko) * 2008-04-25 2010-09-06 (주)한메가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8673B1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082B2 (en) Media stack stop
EP1923339A3 (en)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558673B1 (ko)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KR200338970Y1 (ko) 자동정렬기능을 부가한 지로장표 인입장치
JP2001063847A (ja) 給紙装置
JP5150844B2 (ja) 給紙装置
DE50004802D1 (de) Speichereinrichtung mit einer Karten aufnehmenden, vertikal stehenden Stapelspeicherkassette
JP3428754B2 (ja) 排紙収納装置
EP0145045A2 (en) Semi automatic document feeder
JPH0537965Y2 (ko)
JP4421411B2 (ja) 給紙装置
CN219525778U (zh) 一种插入式不停机收纸机构
JP3877321B2 (ja) 給紙装置
JPH05286596A (ja) 最上部シートの給送装置
KR200191275Y1 (ko) 화상형성기기의 중송급지 방지장치
JP2003171025A (ja) エア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29690B2 (ja) 給紙装置
JP3803593B2 (ja) 縦型給紙カセットおよび給紙装置
KR10059086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걸림 제거방법
KR200213867Y1 (ko) 급지카세트의 용지중송 방지를 위한 핑거홀더 장치
KR940003031Y1 (ko)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KR940002122B1 (ko) 복사지 분류장치
JPS6058139B2 (ja) シ−ト積載台制御装置
KR900009658Y1 (ko) 자동 급지장치
KR960004508Y1 (ko) 2중 급지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