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031Y1 -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031Y1
KR940003031Y1 KR2019910020749U KR910020749U KR940003031Y1 KR 940003031 Y1 KR940003031 Y1 KR 940003031Y1 KR 2019910020749 U KR2019910020749 U KR 2019910020749U KR 910020749 U KR910020749 U KR 910020749U KR 940003031 Y1 KR940003031 Y1 KR 940003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stepping motor
feeder
feeding
orig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0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402U (ko
Inventor
김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20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031Y1/ko
Publication of KR930012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0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687Presence or ab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송신원고 급지장치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송신원고 급지장치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송신원고 급지장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송신원고 급지장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송신원고 4 : 원고적치트레이
5 : 원고감지센서 6 : 스프링
7 : 회전 수테핑 모터 8a,8b,8c : 원고급지용 픽업롤러
9 : 연결바 10 : 스토퍼
본 고안은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특히 송신하여야 할 원고와 여러 매수인 경우 자유로이 원고를 급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팩시밀리의 송신 원고 자동급지 장치는 마찰패드 분리 급지 방식으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마찰패드(2)와 송신원고(3) 그리고 자동지급롤러(1) 사이의 마찰계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송신원고를 급지하는데 이때의 마찰패드(2)는 재질이 고무로서 약 150~200gf의 힘으로 자동급지롤러(1)는 마찰 패드(2)보다 마찰이 큰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되므로 이러한 원고급지장치에 송신원고를 장착시키년 원고를 자동급지롤러(1)와 마찰패드(2)에 인입되며 이때에 자동급지롤러(1)와 원고(3), 원고(3)와 마찰패드(2), 그리고 각 원고 사이의 마찰력의 차이에 의하여 원고가 분리되어 급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각각의 모델에 따라서 송신원고 매수가 정해져 있으므로 그 이상의 매수를 송신하게 될 경우 정상적으로 송신동작을 수행하기가 불가능하며 또한 마찰패드와 원고의 마찰력이 비율 및 원고와 자동급지롤러의 마찰력의 비율이일정하지 않으므로 정상적인 원고급지가 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것은 특히 송신원고가 여러개일 경우 그 송신 원고의 분리 및 급지가 순차적으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실시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면 제3도에 나타난 본 고안의 자동급지장치 사시도와 제4도에 나타난 본 고안의 자동급지장치 측면도에서와 같이 송신원고(3)의 적치를 위한 원고 적치트레이(4)의 상면에는 원고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감지 센서(5)를 부착 시키고 그 하부에는 원고적치 트레이를 상하로 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6)을 부착하여 구성하고 이 원고적치트레이(4)의 상부 공간에는 세개의 원고 급지용 픽업롤러(8a)(8b)(8c)를 연결바(9)에 의해 일정각도로 분리시켜 부착시킨 회전 스테핑모터(7)를 정착하여 구성하며, 이 회전 스테핑모터(7)와 원고적치 트레이(4)사이에는 상기 원고급지용 픽업 롤러 (8a)(8b)(8c)가 회전스테핑 모터(7)와 일체로 회전 되면서 송신원고를 급지할 때 급지동작 수행시 필요한 유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터퍼(1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은 우선 원고적치 트레이(4)에 송신하고자 하는 다매의 원고를 적치시키면 그 트레이(4)의 상면에 부착된 원고감지센서(5)에 의해 원고가 감지되고 그 송신원고(3)의 무게에 의해 스프링(6)이 압축을 받아 원고 적치 트레이(4)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고감지센서(5)에 의해 원고가 적치되어 있음을 중앙처리 장치(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확인하면 이어 회전스테핑모터(7)가 구동되어 회전동작을 수행하며 이 스테핑모터(7)에 연결바(9)로 연결되어진 원고 급지용 픽업롤러(8a)(8b)(8c)가 그 회전동작에 의해 돌아가면서 원고와의 마찰력에 의해 피드롤러(11)까지 원고를 급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에 송신원고의 급지속도는 회전스테핑모터(7)의 회전속도 및 자동급지용 픽업롤러(8a)(8b)(8c)의 배열에 따른 간격에 따라서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의 급지작용으로 원고가 순차적으로 급지됨에 따라 원고적치 트레이(4)에 적치되어 있는 원고의 양이 줄어들게 되면 송신원고의 무게가 가벼워져서 원고적치 트레이(4)의 하부에 부착된 스프링(6)이 복원력을 작용하여서 순차적으로 위쪽을 향하여 원고적치트레이(4)를 상승시켜 주므로 마지막 때에 송신원고(3)까지 급지가 완결되며 이후 원고적치트레이(4)에 부착되어진 원고감지센서(4)에서 의해서 원고가 없음을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른 감지 신호를 회전 스테핑모터(7)에 보내 동작을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승되어진 원고 적치 트레이(4)는 스토퍼(10)에 의하여 급지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최적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더이상의 상승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송신하여야 할 원고가 다매일 경우 그 원고급지를 회전스테핑모터와 픽업롤러의 회전작용 및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순차적으로 자유이 행할수 있으므로 원고의 매수에 관계없이 여러 모델에 사용가능케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 것이다.

Claims (2)

  1. 원고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원고 감지센서(5)가 상면에 부착되고 원고무게에 의해 압출력 및 복원력을 유기시키기 위한 스프링(6)이 하부에 부착된 원고 적치레이(4)와, 이 원고적치 트레이(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다수개의 원고급지용 원고급지용 픽업롤러(8a)(8b)(8c)를 일체로 회전가능케 부착시킨 회전스테핑 모터(7)와, 급지동작 수행시 상기 원고적치트레이(4)와 회전스테핑모터(7)의 필요한 유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토퍼(10)가 구비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급지용 픽업롤러(8a), (8b), (8c)는 연결바에 의해 일정각도로 다수개 분리시켜 스태핑 모터에 정착하여 일체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KR2019910020749U 1991-11-29 1991-11-29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KR940003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749U KR940003031Y1 (ko) 1991-11-29 1991-11-29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0749U KR940003031Y1 (ko) 1991-11-29 1991-11-29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402U KR930012402U (ko) 1993-06-25
KR940003031Y1 true KR940003031Y1 (ko) 1994-05-11

Family

ID=1932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0749U KR940003031Y1 (ko) 1991-11-29 1991-11-29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0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290A (ko) * 2001-12-11 2003-06-19 최진오 건설공사 현장용 도면걸이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290A (ko) * 2001-12-11 2003-06-19 최진오 건설공사 현장용 도면걸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402U (ko) 199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212E1 (en) Sheet feeding device
US4928951A (en) Automatic paper feed device
US5370379A (en) Sheet registration and feeding apparatus
KR100286262B1 (ko) 복합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JPH10258949A (ja) 用紙供給装置
KR940003031Y1 (ko) 팩시밀리의 송신원고 자동급지 장치
US4511135A (en) Enhanced envelope feeding
GB2228473A (en) Document feed
US6027111A (en) Sheet kickback control system for retard type sheet feeder-separator
US6244587B1 (en) Single sheet feeding device and a scanner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6024357A (en) Document sheet feeding mechanism
JPS5854056B2 (ja) 原稿供給装置に於ける原稿後縁通過検出装置
KR910006641Y1 (ko) 모사전송기의 원고 자동급지장치
KR930003555Y1 (ko) 모사전송기의 원고 자동 급지장치
JPS6218584Y2 (ko)
KR930001687Y1 (ko) 모사전송기의 원고보조 자동 급지장치
KR930000438Y1 (ko) 팩시밀리의 원고 자동 급지장치
JPH0324515Y2 (ko)
JP2576875Y2 (ja) 給紙装置
JP2607289B2 (ja) 自動給紙装置
JPS602822B2 (ja) 原稿給送装置
JPS63123725A (ja) 読取装置
KR920003466Y1 (ko) 복사기 급지부의 다매급지 방지장치
KR100318730B1 (ko)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KR200327091Y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