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499A -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의 가공공구 - Google Patents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의 가공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499A
KR20050039499A KR1020040005590A KR20040005590A KR20050039499A KR 20050039499 A KR20050039499 A KR 20050039499A KR 1020040005590 A KR1020040005590 A KR 1020040005590A KR 20040005590 A KR20040005590 A KR 20040005590A KR 20050039499 A KR20050039499 A KR 20050039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female screw
thread
male screw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387B1 (ko
Inventor
코미네츠요시
Original Assignee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2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out means for adjustment
    • B23G5/06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05B45/06Electric alarm 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2Shape of thread; Special thread-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안정된 가공정밀도가 얻어짐과 아울러, 나사의 결합 높이가 확보되고, 충분한 파괴강도나 인발력을 구비한 암나사부재 및 수나사부재를 제공한다. 안정된 가공정밀도로 암나사를 가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명이 향상된 가공공구를 제공한다. 수나사부재(2)에 형성된 수나사(20)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10)가 형성되고,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암나사부재(1)이다. 암나사부재(1)에 형성된 암나사(10)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20)가 형성되고,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수나사부재(2)이다. 암나사(10)의 골(11)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산(23)과, 암나사(10)의 프랭크(12A) 및 (12B)의 형상에 상보한 프랭크(22A) 및 (22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공공구이다.

Description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의 가공공구{INTERNAL THREAD MEMBER, EXTERNAL THREAD MEMBER AND WORKING TOOL FOR INTERNAL THREAD}
본 발명은,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를 가공하는 가공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나사의 기본적인 형상으로서, 미니어처나사, 관용나사, 미터나사, 유니파이나사, 사다리꼴나사, 자전거나사 등이 JIS규격에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JIS B 0201 「미니어처나사」, JIS B O202 「관용평행나사」, JIS B O205 「미터 보통나사」, JIS B O206 「유니파이 보통나사」, JIS B O216 「미터 사다리꼴 나사」, JIS B O225 「자전거나사」를 참조를 한다.
수나사는, 외경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공하기 쉽지만, JIS규격에서는 성능상의 이유로부터, 수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을 크게 하고,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를,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작게 하고 있다.
미터나사나 유니파이나사에서는,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에 대해서 특별히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나사산의 정점에서 나사 바닥까지의 높이가 H/8이므로(단, H=(√3/2)P; 단, P는 암나사의 피치), 피치가 1㎜일 때에는, 골의 둥글기의 반경은 약 0.072㎜가 되어, 상당히 작은 둥굴기가 된다. 또한,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이 가장 큰 것은 자전거나사이지만, 이 자전거나사의 경우,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는 피치의 1/6이다. 이 자전거나사는 인치 사이즈이지만, 만일 피치가 1㎜인 경우, 골의 둥글기는 약 0.16667㎜가 되어, 나사의 결합 높이가 작아져 버린다.
암나사의 연삭가공에는, 탭, 엔드밀탭(유성탭), 바이트 등의 가공공구가 사용되고 있지만, 골의 둥글기의 반경이 작은 암나사를 가공하는 경우, 가공공구의 선단도 작고 뾰족하고, 특히 암나사를 가공하고자 하는 재료가 단단할 때에는, 가공공구의 칼끝(산)의 선단의 마모가 빠르고, 결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안정된 가공 정밀도를 얻기 어려움과 아울러, 가공공구의 수명이 짧아질 우려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을 크게 하면, 나사의 결합 높이가 작아져, 파괴 강도나 인발력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안정된 가공 정밀도가 얻어짐과 아울러, 나사의 결합 높이가 확보되고, 충분한 파괴 강도나 인발력을 구비한 암나사부재 및 수나사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안정된 가공 정밀도로 암나사를 가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명이 향상된 가공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수나사부재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암나사부재로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암나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구비한 나사부재는 유효지름보다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즉,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내경측에 있는 프랭크의 길이)가, 유효지름보다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즉,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외경측에 있는 프랭크의 길이)보다 크기 때문에,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된 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을 크게 취함으로써, 암나사의 골의 지름(골의 위치의 내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암나사의 외경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 쪽이 높아지면, 수나사와의 접촉부가 외경측에서 내경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암나사와 수나사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고, 또한, 중심에서 힘의 발생 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암나사의 골은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나사부재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암나사부재로서, 피치가 1.5㎜이하임과 아울러, 상기 암나사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이며, 상기 암나사의 골은,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고, 상기 원호의 반경이 0.15㎜이상인 암나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구비한 암나사부재는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을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암나사의 골의 지름(골의 위치의 내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암나사의 외경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 이 구성을 구비한 암나사부재는,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커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나사와의 접촉부가 외경측에서 내경측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암나사와 수나사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고, 또한, 중심으로부터 힘의 발생 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암나사부재는 양 프랭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한 어떤 암나사부재라도, 나사산의 각도를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산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유효지름보다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작아져도, 유효지름보다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를 길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암나사 전체의 결합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파괴 강도나 인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나사부재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나사부재로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나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구비한 수나사부재는 암나사와의 접촉부가 외경측에서 내경측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수나사와 암나사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또, 중심으로부터 힘의 발생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나사부재는 양 프랭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나사부재는 나사산의 각도를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산의 각도를 설정함으로써, 유효지름보다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작아져도, 유효지름보다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를 길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수나사 전체의 결합 높이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파괴 강도나 인발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암나사부재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재로서, 상기 암나사부재의 프랭크에 결합하는 프랭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수나사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구비한 수나사부재는, 나사산이 암나사의 둥글기가 큰 골과 결합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나사산의 선단을 비교적 평탄하게 (정점이 예리하지 않은 형상으로)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산의 정점이 노출되어 있어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암나사부재의 암나사를 가공하는 가공공구로서, 상기 암나사의 골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산과, 상기 암나사의 프랭크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프랭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공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가공공구는, 나사산의 선단에 비교적 큰 원호(상기 암나사의 골형상에 상 보한 원호)를 구비하게 되기 때문에, 내결손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구의 경우, 전체의 결합 높이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나사 또는 수나사, 또는 양자가 강으로 이루어지고, 이 강에 열처리를 실시해서 경도를 올리는 경우, 열처리에 의한 나사의 변형을 피하기 위해서, 열처리 후에 소결재로 이루어지는 절삭날 등을 사용해서 나사를 가공하면, 나사의 형상 및 면조도 등의 정밀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체결너트의 암나사를, 경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담금질한 후에 가공하면, 나사가공 후에 열처리했을 때보다, 나사의 진동 정밀도 및 조면도가 더욱 좋아지고, 공구홀더 본체에 체결너트가 정밀도 좋게 부착되어, 파지하는 가공공구의 부착정밀도가 한층 좋아진다.
또, 상기 암나사 및 수나사의 형상은 기본형상이며, 가공 공차 또는 가공 형상 등에 있어서 기본형상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암나사부재는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을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된 가공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암나사의 골의 둥글기의 반경을 크게 취함으로써, 골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암나사의 외경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유효지름를 기준으로 하여,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쪽이 높아지면, 수나사와의 접촉부가 외경측에서 내경측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암나사와 수나사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고, 또, 중심으로부터 힘의 발생 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수나사부재는 암나사와의 접촉부가 외경측에서 내경측으로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수나사와 암나사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또, 중심으로부터 힘의 발생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나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로 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 산의 선단을 비교적 평탄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 산의 정점이 노출되어 있어도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암나사를 가공하는 가공공구는, 나사 산의 선단에 비교적 큰 원호(상기 암나사의 골형상에 상보한 원호)를 구비하게 되기 때문에, 내결손성,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수명을 길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한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를 가공하는 가공공구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을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관한 암나사부재와 수나사부재를 나사결합시킨 상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관한 암나사부재(1)는, 그 내경에 암나사(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10)는 피치(P)가 1㎜, 나사산의 각도(α)가 45도이며, 양 프랭크(12A) 및 (12B)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암나사(10)의 골(11)은 양 프랭크(12A) 및 (12B)와 매끄럽게 연속된 원호(반경(R)=0.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10)의 산(13)은 뒤에 상술하는 수나사(20)의 골(21)의 원호(반경(r)=0.125㎜)의 개시점 근방에 위치한 평탄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암나사(10)는 유효지름(D2)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h2)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H2)보다 큰(h2>H2 ;단, h2+H2=H1, H1은, 암나사(10) 전체의 결합 높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암나사(10)는, 골(11)의 둥글기의 반경(R)이 크기 때문에, 마모나 결손이 적게 되어, 안정된 가공이 행해진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관한 수나사부재(2)는 그 외경에, 수나사(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20)는 피치(P)가 1㎜, 나사산의 각도(α)가 45도이며, 양 프랭크(22A) 및 (22B)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프랭크(22A) 및 (22B)는 암나사(10)의 양 프랭크(12A) 및 (12B)에 각각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수나사(20)의 골(21)은 양 프랭크(22A) 및 (22B)와 매끄럽게 연속된 원호(반경(r)=0.125㎜)로 구성되어 있다.
또, 수나사(20)의 산(23)은 암나사(10)의 골(11)의 원호의 개시점 근방에 위치한 평탄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수나사(2O)는 유효지름(d2)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h2)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H2)보다 큰(h2 >H2;단, h2+H2=H1, H1은, 수나사(20) 전체의 결합 높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암나사부재로서 공구 홀더의 체결너트를, 수나사부재로서 공구 홀더 본체를 채용하고, 제1실시예에 관한 암나사를 체결너트에, 수나사를 공구 홀더 본체에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공구 홀더(10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공구 홀더(100)는 공구로서의 절삭날(110)의 생크부(111)를, 콜릿(120)과 함께 수용하여 파악하는 공구 홀더 본체(60)와, 공구 홀더 본체(60)에 대해서 절삭날(110)을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너트(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공구 홀더 본체(60)는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플랜지부(61)와, 플랜지부(61)의 기단측에 형성된 테이퍼생크부(62)와, 플랜지부(61)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절삭날(110)의 생크부(111)를 파악하는 절삭날 파악부(6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절삭날 파악부(63)에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해서 서서히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구멍(6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 구멍(64)에 콜릿(120)이 삽입된다. 절삭날 파악부(63)의 선단측의 외주면에는, 뒤에 상술하는 체결너트(4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0)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나사(10)의 둥굴기가 큰 골(11)과 결합하게 되기 때문에, 나사산의 선단을 비교적 평탄하게 할 수 있고, 나사산의 정점이 노출되어 있어도 안전하다.
체결너트(40)는 내주면의 기단측에, 공구 홀더 본체(6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20)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암나사(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산의 각도(α)가 45도이기 때문에, 유효지름(D2)보다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H2)가 작아져도, 유효지름(D2)보다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h2 )를 길게 취할 수 있어, 암나사 전체의 결합 높이(H1)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파괴 강도나 인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체결너트(40)의 내주면의 선단측에는, 콜릿(120)의 테이퍼면(123)과 상보하여, 선단측을 향해서 내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테이퍼면(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또, 이 테이퍼면(41)의 기단측에는 콜릿(120)의 환형홈(124)에 끼워넣어지는 결합볼록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공구 홀더 본체(60)는 체결너트(40)와 나사결합하여, 체결너트(40)에 의해 체결되고, 테이퍼구멍(64) 내에 삽입된 콜릿(120)의 지름을 줄여, 콜릿(120) 내에 장착한 절삭날(110)의 생크부(111)를 강고하게 고정한다. 여기서, 유효지름(D2, d2)을 기준으로 하여,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H2)보다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h2) 쪽이 높아지면, 암나사(10)와 수나사(20)의 접촉부가 외경측에서 내경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암나사(10)와 수나사(20)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또, 중심으로부터 힘의 발생위치까지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체결너트(4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필요해지는 힘을 작게 할 수 있고, 공구 홀더(100)에 절삭날(110)을 간단히 체결고정할 수 있다.
또, 실시예(1)에서는, 암나사(10) 및 수나사(20)의 피치를 1㎜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암나사(10) 및 수나사(20)의 피치는 1㎜ 이외로 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암나사(10) 및 수나사(20)의 나사산의 각도(α)를 45도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산의 각도(α)는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제1실시예에서는, 암나사(10)의 골(11)의 둥글기의 반경을 0.2㎜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암나사(10)의 골(11)의 둥글기의 반경은, 0.1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수나사(20)의 골(21)의 둥글기의 반경을, 0.125㎜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나사(20)의 골(21)의 둥글기의 반경을, 원하는 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경이 큰 원통형의 작업물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수나사부재의 경우는, 수나사(20)의 골(21)의 둥글기의 반경을 어느 정도 작게 해도, 전체의 지름이 크기 때문에,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골(21)의 둥글기의 반경을 작게하고, 결합 높이를 보다 크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암나사부재로서 체결너트를, 수나사부재로서 공구 홀더 본체를 채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관한 암나사부재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여러가지 부재에 응용가능하며, 본 발명에 관한 수나사부재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여러가지 부재에 응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제2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암나사부재의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구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암나사부재(1)의 암나사(10)를 가공하는 가공공구(탭)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탭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Ⅳ-Ⅳ선을 따른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관한 탭(3)은 생크부(31)와, 생크부(31)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32)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나사부(32)는 홈수가 4개이며, 생크부(31)측에 형성된 완전 나사산부(33)와 완전 나사산부(33)에 연속되어,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외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모따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완전 나사산부(33)는 피치(P)가 1㎜, 나사산의 각도(α)가 45도이며, 양 프랭크(22A) 및 (22B)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완전 나사산부(33)의 산(23)은 양 프랭크(22A) 및 (22B)와 매끄럽게 연속된 원호상(반경(R)=0.2㎜)의 산(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완전 나사산부(33)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나사(10)의 골(11)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산(23)과, 암나사(10)의 프랭크(12A) 및 (12B)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프랭크(22A) 및 (22B)를 구비하고 있다.
이 탭(3)은 가공물에 암나사를 가공할 때에, 완전 나사산부(33)의 형상을 상기 가공물에 그대로 전사하게 되기 때문에, 가공물에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암나사(10)가 형성된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암나사(10)를 가공하는 탭(3)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완전 나사산부(33)의 형상을 응용한 나사부(절삭날부)를 구비한 엔드밀탭(유성탭)을 사용해도, 가공물에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암나사(10)를 가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가공공구는 도 5에 나타내는 홀더(50)에 부착된 바이트(4)이어도 좋다. 이 바이트(4)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45)이 각도(α) 45도이며,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진 프랭크(22A) 및 (22B)를 구비하고 있고, 그 선단은 양 프랭크(22A) 및 (22B)와 매끄럽게 연속된 원호상(반경(R)=0.2㎜)의 산(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완전 나사산부(33)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암나사(10)의 골(11)의 형상으로 상보한 형상의 산(23)과, 암나사(10)의 프랭크(12A) 및 (12B)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프랭크(22A) 및 (2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또,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관한 암나사(10)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구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관한 가공공구는 본 발명에 관한 암나사부재의 암나사의 형상에 맞춰서, 나사산부(절삭날끝)의 형상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된 가공 정밀도가 얻어짐과 아울러, 나사의 결합 높이가 확보되어, 충분한 파괴 강도나 인발력을 구비한 암나사부재 및 수나사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안정된 가공 정밀도로 암나사를 가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명이 향상된 가공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암나사부재와 수나사부재를 나사결합시킨 상태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암나사 및 수나사를 공구 홀더에 응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가공공구(탭)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IV-IV선을 따른 단면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공공구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도.

Claims (21)

  1. 수나사부재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암나사부재로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나사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골이,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나사부재.
  3. 수나사부재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암나사부재로서,
    피치가 1.5㎜ 이하임과 아울러, 상기 암나사의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이며,
    상기 암나사의 골은,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고, 상기 원호의 반경이 0.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나사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나사부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양 프랭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나사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나사부재.
  7. 암나사부재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나사부재로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의 양 프랭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의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10. 암나사부재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나사부재로서,
    상기 암나사의 프랭크에 결합하는 프랭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암나사부재는,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골이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양 프랭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14. 암나사부재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나사부재로서,
    상기 암나사의 프랭크에 결합하는 프랭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암나사부재는, 피치가 1.5㎜ 이하임과 아울러, 상기 암나사의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에 있고, 상기 암나사의 골은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고, 상기 원호의 반경이 0.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15. 제 14항에 있어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나사부재.
  16.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암나사부재의 암나사를 가공하는 가공공구로서,
    상기 암나사의 골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산과, 상기 암나사의 프랭크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프랭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공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골이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공구.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양 프랭크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공구.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의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공구.
  20. 피치가 1.5㎜ 이하임과 아울러, 상기 암나사의 나사산의 각도가, 30도 이상, 55도 이하의 범위이며, 상기 암나사의 골은 양 프랭크로부터 매끄럽게 접속된 원호상을 갖고, 상기 원호의 반경이 0.15㎜ 이상인 암나사부재의 암나사를 가공하는 가공공구로서,
    상기 암나사의 골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산과, 상기 암나사의 프랭크의 형상에 상보한 형상의 프랭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공구.
  21. 제 20항에 있어서, 유효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수나사측의 결합 높이가, 암나사측의 결합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공구.
KR1020040005590A 2003-10-23 2004-01-29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의 가공공구 KR101214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2756A JP3871137B2 (ja) 2003-10-23 2003-10-23 めねじ部材及びおねじ部材並びにめねじの加工工具
JPJP-P-2003-00362756 2003-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99A true KR20050039499A (ko) 2005-04-29
KR101214387B1 KR101214387B1 (ko) 2012-12-21

Family

ID=3438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590A KR101214387B1 (ko) 2003-10-23 2004-01-29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의 가공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61946B2 (ko)
EP (1) EP1526293B1 (ko)
JP (1) JP3871137B2 (ko)
KR (1) KR101214387B1 (ko)
CN (1) CN1609465B (ko)
TW (1) TWI3274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80B1 (ko) * 2007-11-05 2009-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6163628A1 (ko) * 2015-04-07 2016-10-13 (주)대광금속 풀림방지용 나사산 구조 및 그 가공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7839A1 (de) * 2004-09-29 2006-03-3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Hb Gewindeschneidwerkzeug
ATE482341T1 (de) * 2004-11-03 2010-10-15 Wabco Gmbh Gewinde für eine schraubverbindung
KR100838962B1 (ko) * 2006-12-21 2008-06-16 (주)바로건설기술 강봉체결구조
JP2012518136A (ja) * 2009-02-16 2012-08-09 ユニスティール テクノロジ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セルフタッピング型のねじ山形成ねじ、および、対応のねじ転造ダイ
JP5559487B2 (ja) * 2009-03-25 2014-07-23 株式会社田野井製作所 切削タップ
DE102009029403A1 (de) * 2009-09-11 2011-03-24 Newfrey Llc, Newark Schraubverbindung mit Gewindebolzen und Mutter
JP2011148044A (ja) * 2010-01-22 2011-08-04 Miyagi Tanoi:Kk 薄肉材用盛上げタップ
CN101769289A (zh) * 2010-03-05 2010-07-07 连云港杰瑞模具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快速拆装的螺纹连接方法
JP5903762B2 (ja) * 2011-02-22 2016-04-13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装置
CN102434561B (zh) * 2011-09-14 2014-02-05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低应力特殊螺纹拉杆装置及液压机
CN103958907B (zh) * 2011-11-30 2016-01-20 日东精工株式会社 自攻螺丝
DE102013103538A1 (de) * 2013-04-09 2014-10-09 EMUGE-Werk Richard Glimpel GmbH & Co. KG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Werkzeug und Verfahren zur spanenden Gewindeerzeugung
CN103322007A (zh) * 2013-05-24 2013-09-25 新疆德坤建材有限责任公司 一种防松动螺纹结构
CN103452987A (zh) * 2013-09-05 2013-12-18 无锡双友石化机械有限公司 钢管管道扩径拉杆连接装置
US9907593B2 (en) 2014-08-05 2018-03-06 Woven Orthopedic Technologies, Llc Woven reten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4191049B (zh) * 2014-08-14 2016-04-27 梧州市旺捷机械制造有限公司 外螺纹轴件加工方法
US10767683B2 (en) * 2015-02-27 2020-09-08 Dreco Energy Services Ulc Thread profiles for rotary shouldered connections
US20180221059A1 (en) * 2015-08-05 2018-08-09 Woven Orthopedic Technologies, Llc Tapp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bone tissue
DE102016010341A1 (de) * 2015-08-28 2017-03-02 Lincoln Global, Inc. Plasmabrenner und komponenten des plasmabrenners
JP6103007B2 (ja) * 2015-09-04 2017-03-29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装置の製造方法
US10300637B2 (en) 2016-03-07 2019-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nal thread forming in composite materials
US10184597B2 (en) * 2016-10-13 2019-01-22 Forum Us, Inc Stress reducing thread form
WO2018107114A1 (en) 2016-12-09 2018-06-14 Woven Orthopedic Technologies, LLC. Retention devices, latt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9648022B (zh) * 2019-02-02 2024-01-23 张咏 一种无缝无毛刺挤压丝锥及其制作的内螺纹
CN109958698A (zh) * 2019-04-28 2019-07-02 中船重工海为郑州高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圆弧螺纹连接副
US11204057B2 (en) * 2019-07-16 2021-12-21 Dennis Sherlin Optimized thread profile for joining composite materials
CN116877555A (zh) * 2023-06-05 2023-10-13 中船海为高科技有限公司 风电机组叶片根部连接用双头螺柱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277A (en) * 1873-04-29 Improvement in screws and nuts
US658085A (en) * 1900-01-04 1900-09-18 Clinton A Higbee Screw-coupling.
US2336570A (en) * 1941-11-27 1943-12-14 Gen Motors Corp Shielded spark plug for aircraft engines
US2349651A (en) * 1942-06-17 1944-05-23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Screw thread for high strength bolting
US3394626A (en) * 1967-03-17 1968-07-30 Harold L. Oliver Machine screw threads
CH544236A (de) * 1970-01-26 1973-11-15 Bieri Hans Schraubverbindung
JPS5718043B2 (ko) 1972-10-07 1982-04-14
GB1574825A (en) * 1976-03-31 1980-09-10 Rubery Owen Fasteners Ltd Screw threaded members and their manufacture
DD141636A1 (de) 1979-03-26 1980-05-14 Karl Janata Verfahren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von gewindeprofilen
US4258768A (en) * 1979-12-26 1981-03-31 The Lamson & Sessions Co. Fastener assembly
JPS61157716A (ja) * 1984-12-29 1986-07-17 Mazda Motor Corp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4907926A (en) * 1985-02-15 1990-03-13 Wing George S Thread form and fastener system using the form
DE8718098U1 (de) * 1986-03-13 1994-03-03 Turchan Manuel C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Gewindebohrung
US4915559A (en) * 1987-05-29 1990-04-10 Vsi Corporation Lightweight fastener
NL8702549A (nl) * 1987-10-27 1989-05-16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GB2215429B (en) * 1988-03-04 1992-10-28 Nobuyuki Sugimura Stepped thread joint
JP2620101B2 (ja) * 1988-03-23 1997-06-11 宣行 杉村 アキユムレ−タ
DE4111463A1 (de) * 1991-04-09 1992-10-15 Festo Kg Aussengewinde und innengewinde, vorzugsweise zur herstellung fluidischer verbindungen in der pneumatik
US5413445A (en) * 1991-11-22 1995-05-09 Aceros Cartellone, S.A. End link and swivel assemblies for chaincables
JPH1125619A (ja) * 1997-06-27 1999-01-29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駆動装置のピックアップ送りねじ
US6726420B2 (en) * 2000-08-24 2004-04-27 Illinois Tool Works, Inc. Screw thread with clearance
EP1219255B1 (de) * 2000-12-27 2003-10-15 BIEDERMANN MOTECH GmbH Schraube zum Verbinden mit einem Stab
JP2002364620A (ja) 2001-06-07 2002-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ねじ締結構造、および、ねじの製造方法
JP2003097531A (ja) * 2001-09-27 2003-04-03 Toto Ltd 雌ねじおよび雄ねじ
JP2004084789A (ja) * 2002-08-27 2004-03-18 Pentel Corp 螺合構造
JP3959640B2 (ja) * 2003-04-30 2007-08-15 宣行 杉村 有効径変位ねじ
JP2005042848A (ja) 2003-07-24 2005-02-17 Honda Motor Co Ltd 締結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80B1 (ko) * 2007-11-05 2009-06-1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6163628A1 (ko) * 2015-04-07 2016-10-13 (주)대광금속 풀림방지용 나사산 구조 및 그 가공공구
US10871182B2 (en) 2015-04-07 2020-12-22 Dae Kwang Metal.Co.Ltd Screw thread structure for preventing being pulled out and tool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4640A (en) 2005-05-01
TWI327497B (en) 2010-07-21
KR101214387B1 (ko) 2012-12-21
US8061946B2 (en) 2011-11-22
CN1609465B (zh) 2011-04-13
US20060140739A1 (en) 2006-06-29
JP2005127398A (ja) 2005-05-19
CN1609465A (zh) 2005-04-27
EP1526293A1 (en) 2005-04-27
JP3871137B2 (ja) 2007-01-24
EP1526293B1 (en)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387B1 (ko) 암나사부재, 수나사부재 및 암나사의 가공공구
WO2013146882A1 (ja) 加工ヘッド、ホルダー及び先端交換式切削工具
US9616507B2 (en) Replaceable head cutting tool
CN101058122A (zh) 用于切屑去除加工的工具以及用于该工具的部件和螺纹接头
KR20180016342A (ko) 테이퍼 엔드 밀 및 절삭 헤드
JP2014213404A (ja) 切れ刃位置の調整機構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EP1611983B1 (en) High-speed processing tap
JP2009255211A (ja) めねじ加工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めねじの加工方法
JP6069731B2 (ja) ロケーションピンの取付構造
JP4610129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JP5241196B2 (ja) 太径雌ねじ加工用盛上げタップ
JP5780188B2 (ja) 切削部材のクランプ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刃部交換式切削工具
CN109311109B (zh) 挤压丝锥及挤压丝锥的制造方法
JP2007326170A (ja) 工具ホルダ
JP5241557B2 (ja) セルフタッピングインサート
KR20130067773A (ko) 절삭헤드와 공구홀더와 이들을 구비하는 절삭공구 조립체
JP5788581B1 (ja) 球体形状を先端が円錐溝の逆センターで保持する芯出し方法。
KR20140013295A (ko)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 상대물 체결용 태핑 스크류
JP6420515B1 (ja) タップ
JP2006281360A (ja) 工具ホルダ
CN105364199A (zh) 一种用于加工齿轮的夹具
CN107052478B (zh) 一种薄壁管件内螺纹加工刀具
JP2022041062A (ja) シャープペンシル用チャック
CN105364219A (zh) 一种用于剃齿的夹具
JP2009034819A (ja) 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