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471A -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471A
KR20050037471A KR1020057004279A KR20057004279A KR20050037471A KR 20050037471 A KR20050037471 A KR 20050037471A KR 1020057004279 A KR1020057004279 A KR 1020057004279A KR 20057004279 A KR20057004279 A KR 20057004279A KR 20050037471 A KR20050037471 A KR 20050037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data
medical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사 다께야마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4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의료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 장치(2∼8)와, 통합적으로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1a)와, 데이터베이스 장치(2∼8) 및 관리 장치(1a) 중 적어도 한쪽을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A∼E, 20∼80)를 구비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이 제공된다. 데이터베이스 장치(2∼8)는 기억된 의료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 장치(1a)에 송신하는 자동 송신 수단(21∼61)을 구비하고, 관리 장치(1a)는, 자동 송신 수단(21∼61)으로부터 송신된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15)과, 수신 수단(15)에 의해 수신된 의료 정보를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16)과, 조작 단말기(A∼E, 20∼80)의 조작자가 미리 등록된 개인인지를 대조하여 인증하는 개인 대조 수단(12)과, 조작 단말기(A∼E, 20∼80)에 의해 조작 지시된 의료 정보가 조작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별하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의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원내외의 네트워크화, 시스템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병원 정보 시스템(HIS),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RIS), 화상 보존 전송 시스템(PACS), 전자 카르테, 원격 의료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토탈 시스템으로서의 니즈도 크게 되고 있다. 또한, 지역 의료를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 의료 기관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공유화도 서서히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환자의 중복된 검사나 치료, 약의 투여 등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여러 가지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접속되게 되면, 환자의 개인 정보의 누설에 대한 시큐리티의 문제, 또한, 여러 가지의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로서 보관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인위적인 개찬 방지의 문제 등에 대해서도 과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전자 상거래 등에서 채용하고 있는 디지털 서명이나 전자 서명 등, 일본에서는 「전자 서명 및 인증 업무에 관한 법률」, 미국에서는 「글로벌 상거래와 국내 상거래에서의 전자 서명법」, 유럽에서는 「전자 서명을 위한 공동체의 체제에 관한 지령」 등의 법률 혹은 지령으로서 공포되어, 개인을 특정하는 것에 관한 대처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인터넷상 에서는, 예를 들면 Web 표준화 단체, World Wide Web Consortium(W3C)으로부터 XML 베이스의 전자 서명 기술의 추천 규격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도, 예를 들면, 환자에 대하여 지문 대조에 의한 확인 수단(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이나, 의료 기관으로의 내방자, 의료 기관에 출입하는 의료 기관 관계자 또는 의료 기관 내에서 출생한 신생아에 대하여 홍채 대조에 의한 확인 수단(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4 참조)이나, 환자에 대하여 성문 대조에 의한 확인 수단(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6 참조)을 도입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각 데이터로의 액세스 가능한 의료 스태프를 미리 제한하도록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7∼9 참조).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0-15578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01-31256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특허공개 2000-242788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특허공개 2001-76072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특허공개 평8-71148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특허공개 평10-201827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특허공개 2002-41656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특허공개 2002-82839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특허공개 2002-183319호 공보
그러나, 최근의 의료 정보의 네트워크화나 인터넷에 의한 광역 이용이 행해진 경우, 의료 사고의 문제, 나아가서는 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가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련되는 등의 문제 등이 생기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관점으로부터 시큐리티에 관한 요망이 보다 높게 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200)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축적 처리 1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1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b)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c)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축적 처리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3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4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d)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4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5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e)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5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제6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f)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6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제7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g)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7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관리 서버(1)의 데이터베이스(16)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가지의 의료 정보가 기억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시큐리티를 고려한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 대조 수단에 의해 식별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의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장치와, 통합적으로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장치 및 상기 관리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를 구비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의료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자동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의료 정보를 그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 단말기의 조작자가 미리 등록된 개인인지의 여부를 대조하여 인증하는 개인 대조 수단과, 상기 조작 단말기에 의해 조작 지시된 의료 정보가 조작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을 구비한다.
이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개인 대조 수단에 의해 인증된 조작자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 지시된 의료 정보가 조작 가능한 정보라고 판별된 경우에, 그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 중 적어도 1종의 조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의료 정보를 기록 매체에 전자 정보로서 기록 또는 인쇄 매체에 하드 카피로서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기에 의해 출력 지시된 의료 정보가 상기 출력 장치에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그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 경우에, 상기 출력 장치에 의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허가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의료 정보에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그 의료 정보가 조작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의료 정보에 부여하는 일시 부여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일시 부여 수단은 상기 자동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의료 정보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일시 또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그 의료 정보에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되는 의료 정보는 문자 데이터, 온 오프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의 기억 수단은 의료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도 되고, 이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조작 단말기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의료 정보를 판독하여,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자동 송신 수단은 송신하는 의료 정보와 과거에 송신한 의료 정보의 차분을 검출하여 상기 차분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의료 정보를 필요한 정보로서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동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의료 정보는, 그 의료 정보가 작성된 작성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작성 일시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작성 일시를 비교하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의료 정보 중 작성 일시가 상이한 의료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대조 수단은 패스워드, ID 카드, 지문, 장문, 성문, 얼굴, 서명 필적, 홍채 패턴, 안저 패턴 및 정맥 패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을 대조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정보는 지문, 장문, 성문, 얼굴, 홍채 패턴, 안저 패턴 및 정맥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개인 대조 수단은 패스워드 또는 ID 카드와 지문, 성문, 홍채 패턴 및 정맥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정보를 조합하여 개인을 대조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조작 단말기는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펜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음성 입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입력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료 정보는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의약품 문서 데이터, 간호 보험 시스템 데이터, 의료 관련 문헌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자동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의료 정보는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의약품 문서 데이터, 간호 보험 시스템 데이터, 의료 관련 문헌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와 상기 조작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관리 장치와 상기 조작 단말기를 접속하기 위한 전용 회선에 의해 구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기에 송신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암호화 송신 수단과, 상기 조작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신 수단을, 상기 조작 단말기는,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암호화 송신 수단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은, 의료 정보를 기억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구비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조작자의 각각에 고유한 생체 판별 패턴 및 상기 조작자의 각각에 설정한 ID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임의의 조작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임의의 조작자에 따른 생체 판별 패턴 및 ID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생체 판별 패턴 및 ID 정보와 미리 대응시켜 기억한 생체 판별 패턴 및 ID 정보를 비교하여, 액세스 승인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고유한 생체 판별 패턴은 지문, 성문, 장문, 얼굴, 홍채 패턴 및 정맥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과 본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대응 관계를 명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관리 장치는 본 실시예의 의료 정보 통괄 관리 서버(1a∼1g)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장치는 본 실시예의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8)에 대응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작 단말기는 본 실시예의 조작 단말기 A∼E, 조작 단말기(20, 30, 40, 50, 60, 70, 80)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출력 장치는 본 실시예의 출력 장치(X∼Z)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장치와 본 실시예의 의료 정보 통괄 관리 서버(1a∼1g)의 각 구성 요소의 대응 관계를 명시하면, 본 발명의 수신 수단은 본 실시예의 수신 수단(15)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기억 수단은 본 실시예의 데이터베이스(16)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 대조 수단은 본 실시예의 개인 대조 수단(12)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은 본 실시예의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수단, 기록 제어 수단은 본 실시예의 제어부(11)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출력 허가 수단은 본 실시예의 출력 허가 수단(14)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은 본 실시예의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에 대응하고, 본 발명의 일자 일시 부여 수단은 본 실시예의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 장치의 자동 송신 수단은 본 실시예의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6)의 자동 송신 수단(21, 31, 41, 51, 61)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예를 들면 하나의 의료 기관 내에서, 의료 정보 통괄 관리 서버(1a)에 의해 의료 정보를 일원 관리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료 정보 통괄 관리 서버(이하, 「관리 서버」라고 약칭함)(1a)와, 이 관리 서버(1)를 조작하는 단말기인 조작 단말기 A∼E와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8)의 7종의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고 약칭함)와, 각 의료 정보 DB(2∼8)를 조작하는 단말기인 조작 단말기(20, 30, 40, 50, 60, 70, 8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조작하는 단말기란,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을 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
관리 서버(1a)는 의료 정보를 일원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네트워크(L)를 통해 접속된 조작 단말기 A∼E에 의해 관리 서버(1a) 내의 데이터베이스(16)(도 3 참조)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을 할 수 있다. 의료 정보 DB(2∼8)는 관리 서버(1)에 네트워크(L)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조작 단말기(20, 30, 40, 50, 60, 70, 8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를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 DB(2∼8)에 접속된 조작 단말기(20, 30, 40, 50, 60, 70, 80)에 의해 관리 서버(1)에 액세스하여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L)는 서버와 복수의 조작 단말기를 접속하여 구성되고, 접속된 서버 및 복수의 조작 단말기 사이에서 정보나 자원(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출력 장치 등)을 공유하기 위한, 한정된 에어리어 내에서의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면, WWW(World Wide Web)나 TCP/IP 등의, 인터넷에 보급되어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L)를 구축함으로써, 신뢰성이 높은 네트워크를 스피디하게 구축할 수 있음과 함께, 인터넷과의 친화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네트워크(L)는 정보 관리의 신뢰성의 관점으로부터, 특정 유저만 액세스 가능한 시큐리티를 확보하고 있는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에서는 7개의 의료 정보 DB(2∼8)를 일례로서 나타내었지만, 의료 정보 DB는 2개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의료 정보 DB(2∼8)에 접속되어 있는 조작 단말기(20, 30, 40, 50, 60, 70, 80)에 대해서도, 도 1에서는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기재하였지만, 2개 이상 또는 복수개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관리 서버(1a)에 접속된 조작 단말기 A∼E를 5개로서 기재하였지만, 관리 서버(1a)를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각종 의료 정보 DB(2∼8)에 접속된 조작 단말기(20, 30, 40, 50, 60, 70, 80)로 대용하여도 되고, 직접 버스 등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를 1개 혹은 2개 이상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의료 정보를 일원 관리하고 있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200)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200)은 지역 의료 정보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각종 의료 기관 A∼G에서 운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네트워크(N)에 의해 접속되어 의료 정보 통괄 관리 서버(이하, 「관리 서버」라고 기재함)(1)에 의해 일원 관리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의료 기관 A∼G에 구비되는 7종의 데이터베이스가 있고, 이 의료 기관 DB(a∼g)를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a1, b1, c1, d1, e1, f1, g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조작하는 단말기란, 데이터베이스의 의료 정보를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의료 기관 DB(a)를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로서는 조작 단말기(a1), 조작 단말기(a2), 조작 단말기(a3), …, 조작 단말기(aN)와 같이 복수개 설치하여도 된다.
관리 서버(1)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200)의 의료 정보를 일원 관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관리 서버(1)에 접속된 조작 단말기 α∼ε의 조작에 의해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의료 기관 DB(a∼g)는 관리 서버(1)에 네트워크(N)를 통해 접속되며, 조작 단말기(a1, b1, c1, d1, e1, f1, g1)의 조작에 의해 관리 서버(1)에 액세스하여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N)는, 전화 회선망, ISDN 회선망, 전용선, 이동체 통신망, 통신 위성 회선, CATV 회선망 등의 각종 통신 회선과, 이들을 접속하는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 기지국 등을 포함한다. 또, 네트워크(N)는 임의의 때에 접속이 가능하면 되고, 상시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네트워크(N)는 정보 관리의 신뢰성의 관점으로부터, 특정 유저만 액세스 가능한 시큐리티를 확보하고 있는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관리 서버(1)와 관리 서버(1)를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 α∼ε의 접속은 전용 회선에 의해 구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단말기 α∼ε은 관리 서버(1)의 의료 정보를 직접 조작 가능한 단말기이기 때문이다.
또, 조작 단말기(a1, b1, c1, d1, e1, f1, g1)는 상기 관리 서버(1)에 액세스하여 의료 정보의 추가, 변경, 열람이 가능한 조작 단말기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의료 기관 DB(a∼g)를 7개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서 기재하였지만, 2개 이상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또한, 관리 서버(1)에 네트워크(N)가 접속된 조작 단말기 α∼ε을 5개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서 기재하였지만, 관리 서버(1)를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각종 의료 기관 A∼G의 각 DB에 접속된 조작 단말기(a1, b1, c1, d1, e1, f1, g1)를 대용하여도 되고, 직접 접속된 단말기가 1개 또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이상, 2 가지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상술한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 200)은 일례이고, 그 외 여러 가지의 형태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부와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20O)을 구성하는 각 부는 대략 동일한 구성 및 동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제1 실시예]
우선,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관리 서버(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에서의 관리 서버(1a)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도 3에서는 본 제1 실시예에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설명에 불필요한 그 외의 구성 및 장치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a)는 제어부(11), 개인 대조 수단(12),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 출력 허가 수단(14), 수신 수단(15), 데이터베이스(1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부는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관리 서버(1a)는, 네트워크(L)를 통해 접속되는, 관리 서버(1a)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단말기(A∼E) 및 관리 서버(1a) 내의 의료 정보를 하드 카피로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X∼Z)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1)는 데이터베이스(16) 내의 기억 장치(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시스템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여, 관리 서버(1a)의 각 부를 구동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는 후술하는 정보 축적 처리 1(도 4 참조), 정보 이용 처리 1(도 5 참조)을 실행한다. 이 정보 축적 처리 1을 실행할 때에, 제어부(11)는 의료 정보 DB(2∼6)로부터 송신되는 의료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의료 정보로부터 환자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16) 내에서 동일 환자에 관한 의료 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6) 내에 동일 환자에 관한 의료 정보가 있는 경우, 수신한 의료 정보를 환자 정보에 대응시켜, 이미 기억되어 있는 의료 정보와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시킨다.
또한, 정보 이용 처리 1을 실행할 때에, 제어부(11)는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액세스 요구가 송신되면,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조작 단말기(A∼E)의 조작자의 개인 정보를 추출하여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개인 인증을 행하게 한다.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지시된 의료 정보가 이용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확인시키고, 그 의료 정보가 이용 가능한 정보인 경우,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 등을 행하게 한다. 또한,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의료 정보를 출력하는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부(11)는,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확인시키고, 그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 경우, 출력 허가 수단(14)을 통해 출력 장치(X∼Z)에 출력시킨다.
개인 대조 수단(12)은 조작 단말기(A∼E)로부터 네트워크(L)를 통해 송신된 액세스 요구를 수신한다. 또한, 조작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정보를 액세스 요구로부터 취득하고, 이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 단말기(A∼E)의 조작자가 액세스 가능한 조작자인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개인 정보는 개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패스워드, ID 카드 정보, 지문, 장문, 성문, 얼굴(윤곽 등), 서명 필적, 홍채 패턴, 안저 패턴 혹은 정맥(혈관) 패턴(손바닥 형상, 손가락, 팔 등) 등을 포함하고 있고, 미리 데이터베이스(16)에 액세스 가능한 조작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개인 정보와 비교하여, 개인의 인증을 행한다.
패스워드, ID 카드, 지문, 장문, 성문, 얼굴(윤곽 등), 서명 필적, 홍채 패턴, 안저 패턴 및 정맥(혈관)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개인 정보(생체 판별 패턴)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중에서 지문, 장문, 성문, 얼굴, 홍채 패턴, 안저 패턴 혹은 정맥 패턴과 같이 개인 특유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시큐리티의 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한층 더 시큐리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 정보로서 패스워드 또는 ID 카드와, 지문, 장문, 성문, 얼굴, 홍채 패턴, 안저 패턴 및 정맥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조합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의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확실히 행할 수가 있어,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복수의 개인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제3자에 의한 부정한 시스템으로의 진입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여러 가지의 개인 정보를 적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범용성이 높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액세스 가능한 조작자로서는 각종 의료 기관에 있는 의사, 방사선 기사, 간호사, 약제사, 병원의 회계 등을 행하는 병원 관계자, 영양사, 방문 간호 등을 행하는 헬퍼 혹은 환자 등이며, 관리 서버(1a)에 축적된 의료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 중에서 임의로 등록할 수 있다. 또, 개인 대조 수단(12)은 개인 대조하기 위한 장치를 조작 단말기(A∼E)에 구비함으로써, 관리 서버(1a)에 접속되기 전에 조작 단말기(A∼E)의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개인 인증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에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조작 단말기(A∼E)의 개인 대조 수단(12)에서 인증 특정된 조작자의 지시에 의해,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직접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에 액세스 요구가 송신되어도 된다.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은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어 있는 의료 정보 중,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이 허가되어 있는 의료 정보를 식별한다. 여기서,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할 수 있는 의료 정보로서는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의약품 문서 데이터, 간호 보험 시스템 데이터 및 의료 관련 문헌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데이터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데이터이다.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은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취득된 조작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 가능한 의료 정보를 식별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의사, 방사선 기사, 간호사, 약제사 및, 병원의 회계 등을 행하는 병원 관계자만이 조작자인 경우에는, 액세스 가능한 의료 정보로서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및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데이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개인 인증된 조작자가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로서는, 문자 데이터, 온 오프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중에서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할 수 있는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 혹은 온 오프 데이터인 경우, 조작 단말기(A∼E)에 구비되는 입력 수단(도시 생략)은 펜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음성 입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입력 수단이며, 조작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 온 오프 데이터란, 정보를 온/오프에 의해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양자 택일의 정보인 성별이나 병력의 유무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출력 허가 수단(14)은 관리 서버(1a) 내의 의료 정보를 별도의 기록 매체에 전자 정보로서 기록 혹은 의료 정보를 인쇄 매체에 하드 카피로서 출력하는 것을 허가하는지의 여부를, 상기 개인 대조 수단(12)에서 얻어진 개인 정보나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판별한다.
수신 수단(15)은 복수의 의료 정보 DB(2∼6)의 자동 송신 수단(21, 31, 41, 51, 61)으로부터 송신되는 의료 정보를 수신한다. 또, 자동 송신 수단(21, 31, 41, 51, 61)으로부터 송신되는 의료 정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를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16)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록 매체(도시 생략)를 갖고 있고, 이 기록 매체는 자기적, 광학적 기록 매체, 혹은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기록 매체는 데이터베이스(16)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 혹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 기록 매체에는 시스템 프로그램, 해당 시스템에 대응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 및 각종 처리 프로그램에서 처리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되고, 제어부(11)는 그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을 축차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기록 매체에 기억하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은 그 일부 혹은 전부를 서버나 클라이언트 등의 다른 기기로부터 WAN, LAN 등의 네트워크 회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수신 수단(15)에서 수신하여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또한,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 상에 구축된 서버의 기록 매체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회선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서버나 클라이언트에 전송하여 이들 기기에 인스톨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6)는 의료 정보 DB(2∼6)로부터 송신된 의료 정보를 기억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의약품 문서 데이터, 간호 보험 시스템 데이터, 의료 관련 문헌 데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의료 정보는, 의료 정보 DB(2∼6)로부터 송신되는 의료 정보에 부대하는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마다 통합되어 관리, 축적되고 있다. 이 환자 정보는 환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성명, 연령, 주소 등의 보험증에 기재된 정보 외에, 지문, 성문, 얼굴(윤곽 등), 서명 필적, 홍채 패턴, 안저 패턴, 정맥(혈관) 패턴, 치과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혹은 가공이 행해진 경우에는 그 조작 결과를 기억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6)는 관리 서버(1a)에 액세스 가능한 조작자로서 등록되어 있는 개인의 개인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 개인 정보에는, 개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패스워드, ID 카드 정보, 지문, 성문, 얼굴(윤곽 등), 서명 필적, 홍채 패턴, 안저 패턴 혹은 정맥(혈관) 패턴 등이 포함되고,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관리 서버(1a)에 액세스 요구를 송신한 조작 단말기(A∼E)의 조작자의 인증을 행할 때에 이용된다.
조작 단말기(A∼E)는 네트워크(L)를 통해 관리 서버(1a)에 접속되어, 관리 서버(1a)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을 하기 위한 조작 지시를 포함하는 액세스 요구를 관리 서버(1a)에 송신한다. 이 액세스 요구에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하기 위한 개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이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조작자가 액세스 가능한 개인인지의 여부가 인증된다. 그리고,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조작 지시가 접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단말기(A∼E)는 의료 정보를 출력 장치(X∼Z)로부터 출력시키기 위한 출력 지시를 관리 서버(1a)로 송신한다.
출력 장치(X∼Z)는 네트워크(L)를 통해 관리 서버(1a), 조작 단말기(A∼E)와 접속되어 있다. 이 출력 장치(X∼Z)는, 예를 들면 CD-R, CD-RW, DVD-R, DVD-RW, 하드디스크, Blu-ray Disc, 일본특허공개 2002-8343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2-12394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2-12394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2-18397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에 이용되는 고용량의 홀로그램 미디어 등의 기록 매체로의 출력, 서멀 은염 기록 미디어, 포토 서멀 은염 기록 미디어, 열확산성 색소 전사 미디어, 잉크젯 미디어 혹은 전자 사진 방식에 이용되는 기록 미디어 등의 가시화 정보나 하드 카피로서의 출력 장치를 적시에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 정보 DB(2∼6)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료 정보 DB(2∼6)(이하, 통괄적으로 「의료 정보 DB(2)」라고 하여 기재함)는 조작 단말기(20∼60)(이하, 통괄적으로 「조작 단말기(2O)」라고 하여 기재함)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 단말기(20)의 입력부(도시 생략)를 통해 입력된 의료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관리 서버(1a)에 자동으로 송신하는 자동 송신 수단(21, 31, 41, 51, 61)(이하, 통괄적으로 「자동 송신 수단(21)」이라고 하여 기재함)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자동 송신 수단(21)에 의해 관리 서버(1a)로 송신되는 의료 정보는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의약품 문서 데이터, 간호 보험 시스템 데이터, 의료 관련 문헌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데이터 중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데이터이다. 또한, 의사, 방사선 기사, 간호사, 약제사 및 병원의 회계 등을 행하는 병원 관계자만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및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데이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자동 송신 수단(21)은 조작 단말기(20)를 통해 입력되어 의료 정보 DB(2)에 축적된 의료 정보를 자동적으로 관리 서버(1a)로 송신하여 축적시키지만, 이 때, 관리 서버(1a)에서의 데이터 처리를 간편하게 할 목적으로, 송신되는 의료 정보 중, 과거에 관리 서버(1a)에 송신된 의료 정보와의 차분을 검출하여, 추가 또는 변경되어 있는 의료 정보만을 관리 서버(1a)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료 정보 DB(2)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어 있는 의료 정보로서 a2+b2가 도시되어 있지만, 그 중 필요한 정보로서 a2만이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a)로 송신된다. 또한, 다른 의료 정보 DB(3∼6)에서의 의료 정보 a3∼a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로 송신되어 의료 정보가 축적된다.
또한, 자동 송신 수단(21)은, 관리 서버(1a)에 의료 정보를 송신하여 데이터베이스(16)에 축적시킬 때에, 송신하는 의료 정보에 정보를 작성한 작성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부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a)의 제어부(11)는 송신된 의료 정보의 작성 일시와 전회 송신되어 축적되고 있는 의료 정보의 작성 일시를 대조하여, 새롭게 추가 또는 변경되어 있는 의료 정보만을 데이터베이스(16)에 축적시킬 수 있어, 정보 처리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자동 송신 수단(21)에 의해, 의료 정보 DB(2)로부터 관리 서버(1a)에 의료 정보가 송신되는 시간은 개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서버나 백업 등의 시스템 구성에 따라 상이하지만, 의료 정보 DB(2)의 사용 빈도가 적은 시간대, 예를 들면 심야부터 이른 아침에 걸쳐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단말기(20)는 의료 정보 DB(2)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의료 정보 DB(2)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을 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단말기 장치(20)는 네트워크(L)를 통해 관리 서버(1a)에 접속되어 있어, 관리 서버(1a)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조작 단말기(20)는, 액세스 요구와 함께, 조작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 서버(1a)에 송신하고,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에, 액세스 요구가 접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제1 실시예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동작 설명의 전제로서, 이하의 플로우차트에 설명되어 있는 각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1)는 그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을 축차적으로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전송 매체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 특유의 동작을 축차적으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축적 처리 1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수신 수단(15)을 통해 의료 정보 DB(2)로부터 의료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1), 수신한 의료 정보로부터 환자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2), 데이터베이스(16) 내에서 동일 환자에 관한 의료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S3). 그리고, 동일 환자에 관한 의료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6)에 있는 경우, 이들 의료 정보를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시키고(단계 S4), 본 정보 축적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도 5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1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개인 대조 수단(12)을 통해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11),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개인 정보를 추출시키고, 액세스 요구를 송신해 온 조작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한다(단계 S12). 계속하여,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단계 S13 ; "예"), 제어부(11)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14 ; "예"), 제어부(11)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을 행하게 한다(단계 S15). 또한, 제어부(11)는 조작 단말기(A∼E)를 통해 의료 정보의 출력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단계 S16 ; "예"),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시킨다(단계 S17). 그리고,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 경우, 제어부(11)는 출력 허가 수단(14)을 통해 그 의료 정보를 출력 장치(X∼Z)에 출력시키고(단계 S18), 본 정보 이용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관리 서버(1a)는 의료 정보 DB(2)의 자동 송신 수단(21)으로부터 자동 송신되는 의료 정보를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마다 축적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 내의 의료 정보를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어, 관리 서버(1a)에 중복된 의료 정보가 축적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100)의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효율 좋은 의료 정보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관리 서버(1a)에 축적된 의료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조작 단말기(A∼E)의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하여, 이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인증 특정된 조작자가 액세스 가능한 의료 정보를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확인한 후에, 의료 정보로의 액세스를 허가한다. 이에 따라, 제3자는 관리 서버(1a)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에 허가없이 액세스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관리 서버(1a)의 의료 정보를 고의로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하는 등의 부정 행위를 방지할 수 있어, 관리 서버(1a)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에 전자 정보로서 기록 혹은 인쇄 매체에 하드 카피로서 출력하는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의료 정보의 출력이 허가되었을 경우에, 출력 장치(X∼Z)에 출력시킨다. 따라서, 환자의 개인 정보의 외부로의 유실이나 의료 정보의 별도의 기록 매체로의 카피를 방지할 수 있어,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막고 정보 관리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3에서는 관리 서버(1a)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적으로 데이터 송신하는 복수의 의료 정보 DB로서 5개의 의료 DB(2∼6)를 기재하였지만, 2종 이상이면 특히 제한은 없다. 또한, 도 3에서는 관리 서버(1a)를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A∼E)를 5개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들은 필요에 따라 복수 준비할 수 있으며, 조작 단말기(A∼E)는 네트워크(L)를 통해, 나아가서는 인터넷을 통해 용도에 따라 여러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 혹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의료 정보 DB(2∼8)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단말기(20, 30, 40, 50, 60, 70, 80), 의료 기관 DB(a∼g)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단말기(a1, b1, c1, d1, e1, f1, g1)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1a, 1)에 액세스하여 추가, 변경, 열람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출력 장치(X∼Z)에서도 도 3에서는 3개로 기재하였지만 1개 이상이면 특히 제한은 없고, 또한 출력 장치 자체도 네트워크(L)를 통해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조작 단말기(A∼E)에 접속하는 형태로 출력 장치(X∼Z)가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후술하는 제2 내지 제7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a)는 의료 정보 DB(2∼6)의 자동 송신 수단(21, 31, 41, 51, 61)으로부터 송신되는 의료 정보를 환자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마다 통합하고 관리하고, 이 관리 서버(1a)에 축적된 의료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조작 단말기(A∼E)의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하고, 이 개인 대조 수단(12)에 의해 인증 특정된 조작자가 액세스 가능한 의료 정보를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확인한 후에, 의료 정보로의 액세스를 허가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제2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b)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b)는 제어부(11), 개인 대조 수단(12),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 수신 수단(15), 데이터베이스(16),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관리 서버(1b)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비교하여, 출력 허가 수단(14) 대신에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을 새롭게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을 제외하는 각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제2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은,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하는 경우에, 원래의 정보는 유지한 채로 원래의 정보로의 변경을 이력으로서 기억함으로써, 의료 정보가 개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잘못하여 중요한 의료 정보를 고쳐 쓰는 일을 방지함과 함께, 데이터베이스(16)의 의료 정보를 고의로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하는 등의 부정 행위를 방지할 수 있어, 축적된 의료 정보의 시큐리티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제2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관리 서버(1b)의 제어부(11)는 본 제2 실시예의 특징적인 처리로서 정보 이용 처리 2를 실행한다. 도 7은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개인 인증 수단(12)을 통해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21), 개인 인증 수단(12)에 의해 개인 정보를 추출시키고, 액세스 요구를 송신해 온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한다(단계 S22). 계속하여,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단계 S23 ; "예"), 제어부(11)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의료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4).
계속하여,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24 ; "예"), 제어부(11)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이나 의료 정보에 대한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을 행하게 한다(단계 S25). 제어부(11)는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경우,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에 의해 이들의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시킨다(단계 S26). 그리고, 제어부(11)는 의료 정보에의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27), 의료 정보의 변경이 종료하였을 경우에는(단계 S27 ; "예") 본 정보 이용 처리 2를 종료한다. 또한, 의료 정보의 변경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단계 S27 ; "아니오"), 제어부(11)는 단계 S25로 이행하고, 상술한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b)는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에 의해 관리 서버(1b)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경우, 원래의 의료 정보를 유지한 채로, 이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가 고쳐 쓰여지거나 부정하게 개찬되는 것을 막아, 의료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래의 의료 정보가 유지된 채로, 변경 이력이 기억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의료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에, 불리한 기록이 소거되어, 정보가 은폐되는 일이 없다.
[제3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제3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c)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c)는 제어부(11), 개인 대조 수단(12),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 수신 수단(15), 데이터베이스(16),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관리 서버(1c)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비교하여, 출력 허가 수단(14) 대신에 일자 일시 입력 수단(18)을 새롭게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을 제외한 각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제3 실시예의 특징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은, 상기 복수의 의료 정보 DB(2∼6)로부터 의료 정보가 송신되고, 수신 수단(15)에 의해 수신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부여한다. 또한, 관리 서버(1c)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부여한다. 또,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은 수신 수단(15)에 의해 수신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부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c)에 신규의 의료 정보가 송신 또는 기억된 이력이나, 관리 서버(1c)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가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된 이력을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어, 축적된 의료 정보의 변천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의료 정보가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및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등인 경우, 환자의 상태의 변화를 시계열에 따라 관찰할 수가 있어, 의사에 의한 진단 정밀도 및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제3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1)는 본 제3 실시예의 특징적인 처리로서 후술하는 정보 축적 처리 2(도 9 참조) 및 정보 이용 처리 3(도 10 참조)을 실행한다.
도 9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축적 처리 2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수신 수단(15)을 통해 의료 정보 DB(2)로부터 의료 정보를 수신하면(단계 S31),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수신 일시를 취득하고, 수신한 의료 정보에 부대 정보로서 부여시킨다(단계 S32).
계속하여, 제어부(11)는 수신한 의료 정보로부터 환자 정보를 추출하고(단계 S33), 데이터베이스(16)에서 동일 환자에 관한 의료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S34). 그리고, 동일 환자에 관한 의료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6)에 있는 경우, 이들 의료 정보를 통합하여, 부대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시키고(단계 S35), 본 정보 축적 처리 2를 종료한다.
도 10은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3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개인 인증 수단(12)을 통해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41), 개인 인증 수단(12)에 의해, 개인 정보를 추출시키고(단계 S42), 액세스 요구를 송신해 온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한다. 계속하여,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단계 S43 ; "예"), 제어부(11)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4).
계속하여,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44 ; "예"), 제어부(11)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이나, 의료 정보에 대한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을 행하게 한다(단계 S45). 그리고, 제어부(11)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일시를 취득하여, 부대 정보로서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시키고(단계 S46), 본 정보 이용 처리 3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3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c)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6)에 신규 의료 정보가 기억된 일시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된 일시를 그 의료 정보에 부여한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의 변천을 시계열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의 변화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진단 정밀도 및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를 추가, 수정 또는 가공한 일시가 한정됨으로써, 부정하게 의료 정보를 조작하는 행위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제4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d)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d)는 제어부(11), 개인 대조 수단(12),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 출력 허가 수단(14), 수신 수단(15), 데이터베이스(16),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관리 서버(1d)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비교하여,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 또는 제2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b)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제4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는, 본 제4 실시예의 특징적인 처리로서, 후술하는 정보 이용 처리 4(도 12 참조)를 실행한다. 도 12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4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개인 인증 수단(12)을 통해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51), 개인 인증 수단(12)에 의해, 개인 정보를 추출시키고, 액세스 요구를 송신해 온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한다(단계 S52). 계속하여,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단계 S53 ; "예"), 제어부(11)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
계속하여,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54 ; "예"), 제어부(11)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이나, 의료 정보에 대한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을 행하게 한다(단계 S55). 제어부(11)는,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경우,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에 의해, 이들의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시킨다(단계 S26). 그리고, 제어부(11)는 의료 정보로의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57), 이들의 변경이 종료하였을 경우에는(단계 S57 ; "예"),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출력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8).
조작 단말기(A∼E)를 통해, 의료 정보의 출력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단계 S58 ; "예"), 제어부(11)는,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시킨다(단계 S59). 그리고,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 경우, 제어부(11)는 출력 허가 수단(14)을 통해 그 의료 정보를 출력 장치(X∼Z)에 출력시키고(단계 S60), 본 정보 이용 처리 4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4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d)는,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에 의해, 관리 서버(1d)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경우, 원래의 의료 정보를 유지한 채로 이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또한,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출력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하여, 의료 정보의 출력이 허가되었을 경우에, 의료 정보를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d)의 의료 정보를 고의로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하는 등의 부정 행위를 방지함과 함께, 환자의 개인 정보의 외부로의 유실이나 의료 정보의 별도의 기록 매체로의 카피를 방지할 수 있어, 정보 관리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제5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e)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e)는 제어부(11), 개인 대조 수단(12),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 출력 허가 수단(14), 수신 수단(15), 데이터베이스(16),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관리 서버(1e)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비교하여,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 또는 제3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c)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제5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는, 본 제5 실시예의 특징적인 처리로서, 정보 축적 처리 2(도 9 참조) 및 후술하는 정보 이용 처리 5(도 14 참조)를 실행한다. 또, 정보 축적 처리 2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의 정보 축적 처리 2와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5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개인 인증 수단(12)을 통해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61), 개인 인증 수단(12)에 의해, 개인 정보를 추출시키고(단계 S62), 액세스 요구를 송신해 온 조작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한다. 계속하여,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단계 S63 ; "예"), 제어부(11)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4).
계속하여,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64 ; "예"), 제어부(11)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이나, 의료 정보에 대한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을 행하게 한다(단계 S65). 그리고, 제어부(11)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일시를 취득하여, 부대 정보로서 그 의료 정보에 부여시킨다(단계 S66).
계속하여, 제어부(11)는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출력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67), 의료 정보의 출력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단계 S67 ; "예"),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시킨다(단계 S68). 그리고,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68 ; "예"), 제어부(11)는 출력 허가 수단(14)을 통해 그 의료 정보를 출력 장치(X∼Z)에 출력시키고(단계 S69), 본 정보 이용 처리 5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5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1e)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6)에 신규 의료 정보가 기억된 일시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된 일시를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시킨다. 또한,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출력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의료 정보의 출력이 허가되었을 경우에, 의료 정보를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의 변천을 시계열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의 변화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으므로, 의사의 진단 정밀도 및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를 추가, 수정 또는 가공한 일시가 한정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6)의 의료 정보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부정하게 조작하는 행위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환자의 개인 정보의 외부로의 유실이나 의료 정보의 별도의 기록 매체로의 카피를 방지할 수 있어, 정보 관리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6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본 제6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f)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f)는 제어부(11), 개인 대조 수단(12),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 수신 수단(15), 데이터베이스(16),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관리 서버(1f)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비교하여, 출력 허가 수단(14) 대신에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및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 제2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b), 제3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c)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제6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는, 본 제6 실시예의 특징적인 처리로서, 정보 축적 처리 2(도 9 참조) 및 후술하는 정보 이용 처리 6(도 16 참조)을 실행한다. 또, 정보 축적 처리 2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의 정보 축적 처리 2와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6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개인 인증 수단(12)을 통해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71), 개인 인증 수단(12)에 의해, 개인 정보를 추출시키고(단계 S72), 액세스 요구를 송신해 온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한다. 계속하여,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단계 S73 ; "예"), 제어부(11)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4).
계속하여,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74 ; "예"), 제어부(11)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이나, 의료 정보에 대한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을 행하게 한다(단계 S75). 제어부(11)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일시를 취득하여, 부대 정보로서 그 의료 정보에 부여시킨다(단계 S76). 또한,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에 의해, 이들의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시킨다(단계 S77).
그리고, 제어부(11)는 의료 정보로의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고(단계 S78), 의료 정보의 변경이 종료하였을 경우에는(단계 S78 ; "예"), 본 정보 이용 처리 6을 종료한다. 또한, 의료 정보의 변경이 종료하지 않은 경우(단계 S78 ; "아니오"), 제어부(11)는 단계 S75로 이행하고, 상술한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6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서버(1f)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6)에 신규한 의료 정보가 기억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그 의료 정보에 부여한다. 또한,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및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가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되었을 경우, 그 변경 이력 및 변경 일시를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이에 따라, 의료 정보의 변천을 시계열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상태의 변화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진단 정밀도 및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를 추가, 수정 또는 가공한 일시 및 변경 이력이 한정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6)의 의료 정보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부정하게 개찬되는 것을 막아, 의료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7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적용한 제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제7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g)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서버(1g)는 제어부(11), 개인 대조 수단(12),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 출력 허가 수단(14), 수신 수단(15), 데이터베이스(16),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관리 서버(1g)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와 비교하여,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및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각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a), 제2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b), 제3 실시예에서의 관리 서버(1c)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제7 실시예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1)는, 본 제7 실시예의 특징적인 처리로서, 정보 축적 처리 2(도 9 참조) 및 후술하는 정보 이용 처리 7(도 18 참조)을 실행한다. 또, 정보 축적 처리 2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에서의 정보 축적 처리 2와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제어부(11)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이용 처리 7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개인 인증 수단(12)을 통해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단계 S81), 개인 인증 수단(12)에 의해, 개인 정보를 추출시키고(단계 S82), 액세스 요구를 송신해 온 단말기(A∼E)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개인 인증을 행한다. 개인 인증이 성공하였을 경우(단계 S83 ; "예"), 제어부(11)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13)에 의해,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4).
액세스 요구된 의료 정보가 액세스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84 ; "예"), 제어부(11)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의 열람이나, 의료 정보에 대한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을 행하게 한다(단계 S85). 계속하여, 제어부(11)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행해진 일시를 취득하여, 부대 정보로서 그 의료 정보에 부여시킨다(단계 S86). 또한, 제어부(11)는,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에 의해, 이들의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시킨다(단계 S87).
또한, 제어부(11)는 의료 정보로의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단계 S88), 의료 정보의 변경이 종료하였을 경우(단계 S88 ; "예"),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출력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89).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출력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단계 S89 ; "예"), 제어부(11)는,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시킨다(단계 S90). 그리고,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 경우(단계 S90 ; "예"), 제어부(11)는, 출력 허가 수단(14)을 통해, 그 의료 정보를 출력 장치(X∼Z)에 출력시키고(단계 S91), 본 정보 이용 처리 7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7 실시예에서, 서버(1g)는,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6)에 신규한 의료 정보가 기억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그 의료 정보에 부여시킨다. 또한,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17) 및 일자 일시 부여 수단(18)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가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되었을 경우, 그 변경 이력 및 변경 일시를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또한, 서버(1g)는, 출력 허가 수단(14)에 의해, 출력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판단하고, 의료 정보의 출력이 허가되었을 경우에, 의료 정보를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g)의 데이터베이스(16)에 기억되는 의료 정보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열람, 추가, 수정 혹은 가공하는 등의 부정 행위를 방지함과 함께, 환자 개인 정보의 외부로의 유실이나 의료 정보의 별도의 기록 매체로의 카피를 방지할 수 있어, 정보 관리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가 신규로 송신 또는 기억된 일시나, 의료 정보의 갱신된 일시를 기억하기 때문에, 의료 정보의 변천이 명확하게 되어, 환자의 상태의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의 진단 효율, 진단 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의 일례이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관리 서버(1a∼1g)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16)는 단일의 하드디스크에 형성되거나, 단일의 하드디스크에 복수의 볼륨 혹은 파티션을 구분한 것이어도 되며, 또 복수의 하드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한 것, 복수로 연결한 개개의 하드디스크에 복수의 볼륨 혹은 파티션을 구분한 것이어도 된다. 또, 필요한 정보를 단시간에 송수신하거나, 하드디스크가 크래쉬하였을 때의 복구의 용이성 혹은 백업의 용이성의 문제로부터,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6)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A∼E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11)는, 조작 단말기(A∼E)로부터 송신되는 액세스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A∼E로부터 필요한 의료 정보를 선택하여 취득한다.
또한, 예를 들면,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200)에서, 관리 서버(1), 의료 기관 DB(a∼g), 조작 단말기(a1, b1, c1, d1, e1, f1, g1), 조작 단말기 α∼ε을 접속하는 네트워크는, 각각 전용 회선에 의해 구축되는 것이 시큐리티상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면, 지역의 중핵으로 되는 병원과 단골의 등의 소규모 병원 간의 접속과 같이, 전용 회선으로 접속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송수신하는 정보를 암호화하는 것이 정보의 누설을 막는 의미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리 서버(1), 의료 기관 DB(a∼g), 조작 단말기(a1, b1, c1, d1, e1, f1, g1), 조작 단말기 α∼ε에 암호화 수단(도시 생략) 및 복호화 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하여, 예를 들면, 비밀 키 암호, 공개 키 암호 등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정보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행한다. 또한, 암호화되는 정보는 의료 정보에 한정하지 않고, 상술한 액세스 요구에 포함되는 조작 지시나 조작자의 개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본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서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의 구성 부분의 세부 구성 및 세부 동작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적으로 의료 정보가 관리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의료 정보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인증을 행함과 함께, 인증된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의료 정보가 조작 가능한 정보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의료 정보가 부정하게 조작되는 것을 막아, 정보 관리의 시큐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를 출력할 때에는, 출력 지시된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를 확인한 후에 출력하기 때문에, 중요한 의료 정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혹은 가공 등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원래의 의료 정보를 유지한 채로,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변경 이력을 기억하기 때문에, 중요한 의료 정보가 잘못하여 고쳐 쓰여지거나 부정하게 의료 정보가 개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정보의 기억 일시나 변경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의료 정보에 부여하기 때문에, 이들의 일시가 한정됨으로써, 부정하게 정보를 조작하는 행위를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데이터베이스에 의료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장치와, 통합적으로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장치 및 상기 관리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베이스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의료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자동 송신 수단을 포함하고,
    관리 장치는,
    상기 자동 송신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의료 정보를, 해당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적으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조작 단말기의 조작자가 미리 등록된 개인인지의 여부를 대조하여 인증하는 개인 대조 수단과,
    상기 조작 단말기에 의해 조작 지시된 의료 정보가 조작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개인 대조 수단에 의해 인증된 조작자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액세스권 확인 수단에 의해 상기 조작 지시된 의료 정보가 조작 가능한 정보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해당 의료 정보의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 중 적어도 1종의 조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의료 정보를 기록 매체에 전자 정보로서 기록 또는 인쇄 매체에 하드 카피로서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기에 의해 출력 지시된 의료 정보가 상기 출력 장치로 출력 가능한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해당 의료 정보가 출력 가능한 정보인 경우에, 상기 출력 장치로 의료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허가 수단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의료 정보에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변경 이력을 그 의료 정보에 대응시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데이터 개찬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의료 정보에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해당 의료 정보가 조작된 일시(日時)를 부대 정보로서 의료 정보에 부여하는 일시 부여 수단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부여 수단은 상기 자동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의료 정보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일시 또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해당 의료 정보에 부여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송신 수단은, 송신하는 의료 정보와 과거에 송신한 의료 정보와의 차분을 검출하여, 상기 차분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의료 정보를 필요한 정보로서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의료 정보는, 해당 의료 정보가 작성된 작성 일시를 부대 정보로서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작성 일시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의료 정보에 포함되는 작성 일시를 비교하고,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의료 정보 중 작성 일시가 상이한 의료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기억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대조 수단은 패스워드, ID 카드, 지문, 장문, 성문, 얼굴, 서명 필적, 홍채 패턴, 안저 패턴 및 정맥 패턴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을 대조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는 지문, 장문, 성문, 얼굴, 홍채 패턴, 안저 패턴 및 정맥 패턴 중의 적어도 하나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대조 수단은 패스워드 또는 ID 카드와, 지문, 성문, 홍채 패턴 및 정맥 패턴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개인 정보를 조합하여 개인을 대조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열람, 추가, 수정 또는 가공되는 의료 정보는, 문자 데이터, 온 오프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기는 조작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수단은 펜 입력, 키보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음성 입력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입력 수단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8항,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정보는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의약품 문서 데이터, 간호 보험 시스템 데이터, 의료 관련 문헌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8항, 제12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의료 정보는 임상 검사 관리 시스템 데이터,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 데이터, 병원 정보 시스템 데이터, 전자 카르테 시스템 데이터, 증례 관리 시스템 데이터, 약력 관리 시스템 데이터, 의약품 문서 데이터, 간호 보험 시스템 데이터, 의료 관련 문헌 데이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와 상기 조작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관리 장치와 상기 조작 단말기를 접속하기 위한 전용 회선에 의해 구축되어 있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7.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조작 단말기로 송신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암호화 송신 수단과,
    상기 조작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신 수단을,
    상기 조작 단말기는,
    상기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암호화 송신 수단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복호화 수신 수단
    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의 기억 수단은 의료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정보를 기억하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조작 단말기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대응하는 의료 정보를 판독하여, 열람, 추가, 수정 및 가공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을 제어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19. 의료 정보를 기억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의 액세스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조작자의 각각에 고유한 생체 판별 패턴 및 상기 조작자의 각각에 설정한 ID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임의의 조작자로부터 데이터베이스로의 액세스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임의의 조작자에 따른 생체 판별 패턴 및 ID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생체 판별 패턴 및 ID 정보와, 미리 대응시켜 기억한 생체 판별 패턴 및 ID 정보를 비교하여, 액세스 승인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생체 판별 패턴은 지문, 성문, 장문, 얼굴, 홍채 패턴 및 정맥 패턴 중의 적어도 하나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057004279A 2002-09-13 2003-09-05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KR20050037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68710 2002-09-13
JPJP-P-2002-00268710 2002-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471A true KR20050037471A (ko) 2005-04-21

Family

ID=3198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279A KR20050037471A (ko) 2002-09-13 2003-09-05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54657A1 (ko)
EP (1) EP1544768A4 (ko)
JP (1) JPWO2004025530A1 (ko)
KR (1) KR20050037471A (ko)
CN (1) CN1682227A (ko)
AU (1) AU2003261961A1 (ko)
WO (1) WO20040255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65B1 (ko) * 2006-01-09 2007-05-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력을 이용한 의료 영상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9785B1 (ko) * 2018-02-09 2019-07-12 메디컬아이피 주식회사 3차원 모델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9435B1 (fr) * 2004-04-23 2006-08-04 Gred Sa Systeme de generation automatique d'un message d'informations medicales
JP2006192057A (ja) * 2005-01-13 2006-07-27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画像情報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方法及び医用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221566A (ja) * 2005-02-14 2006-08-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介護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
US8321283B2 (en) * 2005-05-27 2012-11-27 Per-Se Technologies Systems and methods for alerting pharmacies of formulary alternatives
JP4786295B2 (ja) * 2005-10-27 2011-10-05 みずほ情報総研株式会社 ファイル管理サーバ、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US20070162303A1 (en) * 2005-12-08 2007-07-12 Ndchealt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hifting Prescription Market Share by Presenting Pricing Differentials for Therapeutic Alternatives
JP2008119145A (ja) * 2006-11-09 2008-05-29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8635083B1 (en) 2008-04-02 2014-01-21 Mckesson Financial Holding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he establishment of pharmaceutical rebate agreements
US8626525B2 (en) 2008-06-23 2014-01-07 Mckesson Financial Holdings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monitoring and analysis of prescription claim rejections
US8538777B1 (en) 2008-06-30 2013-09-17 Mckesson Financial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tient medication history
US8489415B1 (en) 2009-09-30 2013-07-16 Mckesson Financial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ordination of benefits in healthcare claim transactions
US8537004B2 (en) * 2009-09-30 2013-09-17 Carefusion 303, Inc. Verification of dispensed items
US8788296B1 (en) 2010-01-29 2014-07-22 Mckesson Financial Holding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of availability of generic drugs or products
US8386276B1 (en) 2010-02-11 2013-02-26 Mckesson Financial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rescribing physician activity levels
US8321243B1 (en) 2010-02-15 2012-11-27 Mckesson Financial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the intelligent coordination of benefits in healthcare transactions
US8392209B1 (en) 2010-06-13 2013-03-05 Mckesson Specialty Arizona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arcoded service requests and responses associated with healthcare transactions
CN101908173A (zh) * 2010-07-29 2010-12-08 陕西瑞达沣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工程管理信息系统
US8392214B1 (en) 2010-11-30 2013-03-05 Mckesson Financial Holdings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laim rejection resolution by providing prior authorization assistance
JP5758615B2 (ja) * 2010-12-01 2015-08-05 株式会社ヴァイタス 常時表示型医療情報表示システム
JP5904782B2 (ja) * 2011-02-23 2016-04-20 株式会社東芝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管理方法
US8566117B1 (en) 2011-06-30 2013-10-22 Mckesson Financial Holdings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healthcare provider enrollment with one or more payers
WO2015115209A1 (ja) * 2014-01-29 2015-08-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システム
US10297344B1 (en) 2014-03-31 2019-05-21 Mckes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 individual's longitudinal medication history
JP6476601B2 (ja) * 2014-06-10 2019-03-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物体画像情報管理サーバ、物体関連情報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10635783B2 (en) 2014-06-23 2020-04-28 Mckes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atient adherence to a prescribed medication protocol
JP6505401B2 (ja) * 2014-09-10 2019-04-24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歯型の電子保管管理システムおよび歯型の電子保管管理方法
US10423759B1 (en) 2015-01-16 2019-09-24 Mckess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rior authorization assistance requests in healthcare transactions
US10606984B1 (en) 2016-03-29 2020-03-31 Mckesson Corporation Adherence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5945B1 (en) * 1992-12-15 1997-12-29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in a dis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windows
US5764229A (en) * 1996-05-09 1998-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and system for updating dynamic translucent windows with buffers
US6345268B1 (en) * 1997-06-09 2002-02-05 Carlos De La Huerga Method and system for resolving temporal descriptors of data records in a computer system
JPH1049608A (ja) * 1996-08-07 1998-02-20 Sony Corp 地域医療情報システム
US6753878B1 (en) * 1999-03-08 2004-06-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rallel pipelined merge engines
US6260370B1 (en) * 1999-08-27 2001-07-17 Refrigeration Research, Inc. Solar refrigeration and heating system usable with alternative heat sources
JP3416595B2 (ja) * 1999-11-10 2003-06-16 三洋電機株式会社 診療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診療情報記録方法
US20010041991A1 (en) * 2000-02-09 2001-11-15 Segal Elliot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tient medical records
JP2001325372A (ja) * 2000-03-08 2001-11-22 Fujitsu Ltd ヘルスケアデータ共有システム,ヘルスケア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ヘルスケアデータ共有プログラム
US20020016718A1 (en) * 2000-06-22 2002-02-07 Rothschild Peter A. Medical 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020004727A1 (en) * 2000-07-03 2002-01-10 Knaus William A. Broadband computer-based networked systems for control and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JP2002024386A (ja) * 2000-07-04 2002-01-25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
US7587368B2 (en) * 2000-07-06 2009-09-08 David Paul Felsher Information record infrastructure, system and method
JP2002032478A (ja) * 2000-07-19 2002-01-31 Olympus Optical Co Ltd 診療情報管理装置
US7523505B2 (en) * 2002-08-16 2009-04-21 Hx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istributed digital medical dat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65B1 (ko) * 2006-01-09 2007-05-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력을 이용한 의료 영상 조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9785B1 (ko) * 2018-02-09 2019-07-12 메디컬아이피 주식회사 3차원 모델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4768A1 (en) 2005-06-22
AU2003261961A1 (en) 2004-04-30
WO2004025530A1 (ja) 2004-03-25
US20040054657A1 (en) 2004-03-18
CN1682227A (zh) 2005-10-12
JPWO2004025530A1 (ja) 2006-01-12
EP1544768A4 (en)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7471A (ko)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US20060293925A1 (en) System for storing medical records accessed using patient biometrics
US20050187792A1 (en) Optical prescription card
US7797546B2 (en) Portable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d accessing personal data
US20130218599A1 (en) Dual-access security system for medical records
US89096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d health record account registration
US20090024417A1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20050043964A1 (en) Data processing system for patent data
US201200115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providing access to secured information
KR20060118380A (ko) 개인 정보 개시 시스템, 진료 카드 정보 개시 시스템, 개인정보 개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20209624A1 (en) Encrypted portabl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20090106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cess data security and integrity
US20190327311A1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US20060271482A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secure data exchange
US20090319789A1 (en) Encrypted portable medical history system
JP2003091456A (ja) データ破壊や不正閲覧防止策を施された個人的電子健康ファイルシステム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US200600260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sion of secure medical information to remote locations
JP2000331101A (ja) 医療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13764062B (zh) 一种患者数据信息处理方法、装置、系统和存储介质
JP2000293603A (ja) 地域医療情報システム及び電子患者カード
CN11677638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医疗行业数据安全监管系统
JP2001344345A (ja) 医療介護システムおよび医療介護方法
Bombera Privacy-Preserving eHealth: A Self-Sovereign Identity based Infrastructure for medical records
AU776068B2 (en) Patient medical data record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