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854A -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854A
KR20050036854A KR1020047005501A KR20047005501A KR20050036854A KR 20050036854 A KR20050036854 A KR 20050036854A KR 1020047005501 A KR1020047005501 A KR 1020047005501A KR 20047005501 A KR20047005501 A KR 20047005501A KR 20050036854 A KR20050036854 A KR 2005003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pda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525B1 (ko
Inventor
다까시 사사이
히로시 가꾸다
마사미쯔 히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고 신속하게 복수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통신 그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PDA(2)를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시켜, PDA(2)의 리더 라이터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가,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에서 수신되었을 때, 퍼스널 컴퓨터(1)는 기억하고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PDA(2)에 통지한다. PDA(2)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함과 함께,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동기를 확립하여, 통신을 확립한다.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나 PDA 등의 각종 정보 처리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로 대표되는 무선 통신에 있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복수개의 기기에 의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간의 무선 통신 수단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등록 상표))가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대응 기기가 개발, 판매되고 있다.
이 블루투스를 대표로 하는 전파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IrDA 와 같은 적외선 통신 방식과 비교하여, 지향성이 없고, 투과성이 높다는 등의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IrDA 등의 지향성이 강한 통신을 이용할 때에는, 통신을 행하게 하는 기기끼리 적절하게 마주 대하게 할 필요가 있었지만, 블루투스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그와 같은 위치의 제약은 불필요해진다.
블루투스의 규격에 대해서는, Bluetooth SIG Inc.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그 상세 내용에 대해서는, Bluetooth SIG Inc.로부터 누구나 입수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에서는, 통신을 제어하는 마스터의 기기로부터, 주위에 존재하는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 검출 메시지가 브로드 캐스트 송신된다.
그리고, 마스터는 이 기기 검출 메시지를 수신한 기기(슬레이브)로부터 송신되어 온 응답 메시지에 의해, 주위에 존재하는 기기, 즉 통신 가능한 기기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는 검출한 기기 중에서, 특정한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각각의 기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기기를 특정하여, 그 통신을 확립한다.
블루투스에서는, 그와 같은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블루투스 어드레스라고 하는 정보가 개개의 기기에 부여되어 있으며, 각각의 기기에 대하여 고유(일의적)하기 때문에, 기기의 관리 등, 다양한 처리에 이용된다.
그런데, 블루투스에서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피코넷이라고 하며, 동일한 피코넷에서는 하나의 마스터에 대하여, 최대 7개의 슬레이브가 속할 수 있다. 동일한 피코넷에 속하는 모든 기기는, 주파수축(주파수 호핑 패턴)과 시간축(타임 슬롯)이 동기하는 상태에 있다.
또한, 복수개의 피코넷이 접속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것을 스캐터 네트라고 하고 있다.
또한, 블루투스에서는, 무선 통신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나, 그 통신 절차에 관하여, 서비스마다 정해진 프로파일의 사양이 책정되어 있으며, 이 프로파일에 따라, 각 기기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의 1개로서 계속 책정되고 있는 PAN(Personal Area Network) 프로파일에서는, 피코넷에서의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 방법이 규정되어 있고, PAN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구성된 피코넷에 속하는 기기는, 그 피코넷을 1개의 네트워크로 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스캐터 네트에서도, 스캐터 네트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규정될 예정이다. 이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IP(인터넷 프로토콜)에 기초한 네트워크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때, 어떤 기기를 마스터로 하고, 어떤 기기를 슬레이브로 해야할 것인지, 혹은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할 것인지 하는 것에 대해서는, 마스터가 상술한 바와 같은 기기 검출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갖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에서는, 탐색 범위(예를 들면, 반경 10미터 내지 100미터의 범위)에 존재하는 모든 기기에 대하여, 기기 검출 메시지가 브로드캐스트 송신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그 기기 검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해 온 기기 중에서, 통신을 행하는 기기를 선택해야하며, 결과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었다.
즉, 통신을 행할 때마다 기기를 선택하는 조작이 필요해지므로, 매우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제는, 앞으로 블루투스 대응 기기가 보급됨에 따라, 점점더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제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때에, 대상 기기로부터 통지된 서비스 중에서, 원할 서비스를 선택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도, 통신을 개시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또한, 통신을 행하는 기기를 선택하고, 그 기기와의 사이에서 이용되는 서비스를 선택한 후에도, 사용자는, 또한 통신을 행하는 쌍방의 기기에 동일한 패스키라고 하는 소정의 자릿수의 숫자의 입력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입력은, 특히 시큐러티의 확보가 요구되는 기기와의 사이에서, 처음으로 접속할 때에 필요하게 되는 조작으로서, 통신을 행하는 데 있어서,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각종 요인에 의해, 복수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한 통신 그룹(네트워크)을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용이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면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복수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통신 그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는, 근접된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수단과,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수단과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수단과,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 수단과, 제공 수단에 의해 제공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행해지는 요구에 따라,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제1 동기 확립 수단과, 제1 동기 확립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제1 통신 확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단말기는, 근접된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3 무선 통신 수단과,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3 무선 통신 수단과 상이한 제4 무선 통신 수단과, 제3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4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제2 동기 확립 수단과, 제2 동기 확립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제2 통신 확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은, 근접된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단계와,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 단계와,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기억 단계의 처리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해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대하여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제공 단계의 처리에 의해 제공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행해지는 요구에 따라,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제1 동기 확립 단계와, 제1 동기 확립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제1 통신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은, 근접된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3 무선 통신 단계와,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4 무선 통신 단계와, 제3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4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제2 동기 확립 단계와, 제2 동기 확립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제2 통신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근접된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수단과,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수단과 상이한 제2 무선 통신 수단과, 제1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수단과, 동기 확립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정보 처리 단말기가 근접되었을 때,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대하여,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제공하는 제공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근접된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단계와,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 단계와, 제1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해,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단계와, 동기 확립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은, 근접된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전자파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무선 통신 제어 단계와,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무선 통신 제어 단계와, 제1 무선 통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무선 통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기 확립 제어 단계와, 동기 확립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것을 제어하는 통신 확립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전자파를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무선 통신체가 근접되었을 때,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수단과, 동기 확립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취득 수단은,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증에서 이용되는 키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하도록 할 수 있다.
취득 수단은, 정보 처리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동시에 통신 가능한 기기의 수를 나타내는 수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무선 통신체로부터 취득하고, 동기 확립 수단은 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했을 때, 동기를 확립하도록 할 수 있다.
갱신 수단은,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수 정보를 1만큼 감산하여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취득 수단은, 정보 처리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시간대를 나타내는 시간대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무선 통신체로부터 취득하고, 동기 확립 수단은 시간대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했을 때, 동기를 확립하도록 할 수 있다.
취득 수단은, 정보 처리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기기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무선 통신체로부터 취득하고, 동기 확립 수단은,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했을 때, 동기를 확립하도록 할 수 있다.
취득 수단에 의해, 무선 통신체로부터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취득되었을 때, 무선 통신의 기능을 기동시키는 기동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전자파를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무선 통신체가 근접되었을 때,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갱신하는 갱신 단계와,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단계와,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단계와, 동기 확립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전자파를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무선 통신체가 근접되었을 때,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취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갱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갱신 제어 단계와,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단계와,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한 무선 통신에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기 확립 제어 단계와, 동기 확립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을,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기억되고,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대하여 제공된다. 또한, 제공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행해지는 요구에 따라,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가 확립되고,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이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는 통신 방식이 이용되어 확립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의해,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되고,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에서 이용되는 통신 방식이 선택되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가 확립된다. 그리고,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이 선택된 통신 방식이 이용되어 확립된다.
본 발명의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취득되고,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에서 이용되는 통신 방식이 선택되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가 확립된다. 그리고,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이, 선택된 통신 방식이 이용되어 확립된다.
본 발명의 제2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프로그램에서는, 전자파를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무선 통신체가 근접되었을 때,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전자파를 통하여 취득되고,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전자파를 통하여 갱신된다. 또한, 취득된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에서 이용되는 통신 방식이 선택되고,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동기가 확립된다. 그리고, 동기가 확립된 무선 통신이, 선택된 통신 방식이 이용되어 확립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IC 카드 리더 라이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2의 블루투스 모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1의 PDA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도 1의 비접촉 IC 카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도 1의 PDA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PDA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의 PDA의 또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은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의 또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 14에 이은 흐름도.
도 16은 도 1의 퍼스널 컴퓨터와 비접촉 IC 카드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8은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다른 처리를 설명하는 도 17에 이은 흐름도.
도 19는 블루투스 통신에서의 피코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블루투스 통신에서의 스캐터 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3은 도 21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 22에 이은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도 24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6은 도 24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 25에 이은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도 27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9는 도 27의 통신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 28에 이은 흐름도.
도 30은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도 30의 통신 모듈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2는 도 30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3은 도 30의 통신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퍼스널 컴퓨터(1),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 2)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하고 있으며, 도 1에서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블루투스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 및 PDA(2)에는 비접촉 IC 카드(3)에 대하여 각종 정보의 판독하거나, 또는 기입이 가능한 리더 라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더 라이터는 다른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리더 라이터와의 사이에서도 각종 정보의 판독, 또는 기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사이에서는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뿐만 아니라, 도 1에서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더 라이터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를 통해서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세한 처리에 대해서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9)(도 2 참조))는, 사용자가 PDA(2)를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시키고, PDA(2)의 리더 라이터(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도 5 참조))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설정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PDA(2)(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에 제공한다.
이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행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블루투스 모듈(20)(도 2 참조))을 식별하는 정보로서,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퍼스널 컴퓨터(1), 및 PDA(2) 등의 각각의 블루투스 모듈에 대하여 고유한 것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정보이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PDA(2)는 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주위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중에서 퍼스널 컴퓨터(1)만을 식별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확립시킨다.
이상과 같은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PDA(2)의 사용자는 블루투스에서 일반적인, 후술하는 「조회」를 PDA(2)에 실행시키지 않고 또는 PDA(2)에 의해 검출된 기기 중에서, 통신하는 기기로서 퍼스널 컴퓨터(1)를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지 않고, PDA(2)를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PDA(2)를 비접촉 IC 카드(3)에 근접시키고, PDA(2)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비접촉 IC 카드(3)는 설정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PDA(2)에 제공한다.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3)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1)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는 PDA(2)를 비접촉 IC 카드(3)에 근접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직접 PDA(2)를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접촉 IC 카드(3)를 매개로 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도록 했으므로, 퍼스널 컴퓨터(1)가 자신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장소에 있는 경우라도, 가지고 있는 PDA(2)와 비접촉 IC 카드(3)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퍼스널 컴퓨터(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 : 11)는, ROM(Read Only Memory : 12), 또는 기억부(1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13)에는, CPU(1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4)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5)가 접속되어 있고, 이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시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 16),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보드(17),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1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PDA(2)에 내장되어 있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 또는 비접촉 IC 카드(3)와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하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9), PDA(2)나 액세스 포인트의 블루투스 모듈과 블루투스에 의해 통신하는 블루투스 모듈(2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드라이브(21)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드라이브(21)에는 자기 디스크(22), 광 디스크(23), 광자기 디스크(24), 또는 반도체 메모리(25) 등을 적절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자기 디스크(22) 내지 반도체 메모리(25)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드라이브(21)로부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5)를 통하여, 예를 들면 기억부(18)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도 3은, 도 2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9)(이하, 적절하게 리더 라이터(19)라고 칭함)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IC(41)는, CPU(61), ROM(62), RAM(63), SCC(Serial Communication Controller : 64), SPU(Signal Processing Unit : 66), 및 이들 CPU(61) 내지 SPU(66)를 서로 접속하는 버스(65)로 구성되어 있다.
CPU(61)는 ROM(6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63)에 전개하고,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송신되어 온 응답 데이터나, 도 2의 CPU(11)로부터 공급되어 온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CPU(61)는 비접촉 IC 카드(3)에 송신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그것을, 버스(65)를 통하여 SPU(66)에 출력하거나,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인증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CPU(61)는 비접촉 IC 카드(3)가 근접되어, 후술하는 각 부의 처리에 의해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통지되어 왔을 때, CPU(11)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것을 블루투스 모듈(20)에 통지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SCC(64)는, 도 2의 CPU(11)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버스(65)를 통하여 CPU(61)에 공급하거나, CPU(61)로부터 버스(65)를 통하여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CPU(11)에 출력한다.
SPU(66)는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의 응답 데이터가 복조부(44)로부터 공급되어 왔을 때, 그 데이터에 대하여, 예를 들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복조(맨체스터 코드의 디코드) 등을 실시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CPU(61)에 공급한다. 또한, SPU(66)는, 비접촉 IC 카드(3)에 송신하는 커맨드가 버스(65)를 통하여 공급되어 왔다. 이 때, 그 커맨드에 BPSK 변조(맨체스터 코드에의 코딩)를 실시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변조부(42)에 출력한다.
변조부(42)는, 발진 회로(OSC : 43)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주파수(예를 들면, 13.56㎒)의 반송파를, SPU(6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하고, 생성된 변조파를 전자파로서 안테나(45)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복조부(44)는, 안테나(45)를 통하여 취득한 변조파(ASK 변조파)를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터를 SPU(66)에 출력한다.
안테나(45)는, 소정의 전자파를 복사하고, 그것에 대한 부하의 변화에 기초하여, 비접촉 IC 카드(3)나, PDA(2)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가 근접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3)가 근접되었을 때, 안테나(45)는 비접촉 IC 카드(3)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 PDA(2)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도, 도 3에 도시한 리더 라이터(19)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 적절하게,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9)와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의 CPU를 CPU(61A) 및 CPU(61B)라고 각각 칭한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4는 도 2의 블루투스 모듈(20)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81)는, ROM(8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83)에 전개하고, 블루투스 모듈(2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들 CPU(81) 내지 RAM(83)은, 버스(85)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고, 이 버스(85)에는 또한 플래시 메모리(84)가 접속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84)에는, 예를 들면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설정되어 있는 블루투스 디바이스명, 및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한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이 기억되어 있다.
이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48 비트의 식별자로서,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대하여 고유(일의적)하기 때문에, 블루투스 디바이스의 관리에 관한 다양한 처리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피코넷 내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모든 슬레이브가 마스터의 주파수 호핑 패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있고, 이 주파수 호핑 패턴은 마스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슬레이브에 의해 산출되도록 되어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그 하위 24 비트가 LAR(Low Address Part)로, 다음 8 비트가 UAP(Upper Address Part)로, 그리고 남은 16비트가 NAP(Non-significant Address Part)로 각각 구분되어 있고, 주파수 호핑 패턴의 산출에는 LAP 전체의 24비트와 UAP의 하위 4비트로 이루어지는 28비트가 이용된다.
각각의 슬레이브는, 피코넷 내의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호출(Page)」에 의해 취득한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리더 라이터(19) 등으로부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취득한 마스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상술한 28비트의 부분과, 마찬가지로 마스터로부터 통지된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도 4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플래시 메모리(84)에는, 또한 피코넷 내의 동기 확립 후에, 통신 상대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인증하거나, 송신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하기 위한 링크 키 등이 기억되어, 필요에 따라 CPU(81)에 제공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6)는, CPU(8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도 1의 CPU(11)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 및 기저 대역 제어부(87)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의 입출력을 관리한다.
기저 대역 제어부(87)는 트랜시버(88)의 제어, 링크의 제어, 패킷의 제어, 논리 채널의 제어, 시큐러티의 제어 등의 각종 제어, 및 오류 정정 부호화, 복호화, 혹은 데이터의 랜덤화 등의 처리를 행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86)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환하여 트랜시버(88)에 출력함과 함께, 트랜시버(88)로부터 공급되어 온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86)에 출력한다.
트랜시버(88)는,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부, GFSK 복조부, 스펙트럼 확산부, 역스펙트럼 확산부, 혹은 호핑 신시사이저부 등으로 구성되고, 기저 대역 제어부(87)로부터 공급되어 온 신호에 각종 처리를 실시하고, 안테나(89)에 출력함과 함께, 안테나(89)로부터 공급되어 온 신호에 각종 처리를 실시하여, 얻어진 신호를 기저 대역 제어부(87)에 출력한다.
트랜시버(88)를 구성하는 GFSK 변조부는, 기저 대역 제어부(87)로부터 공급되어 온 데이터의 고역 성분을 필터에 의해 제한하고, 1차 변조로서 주파수 변조를 행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스펙트럼 확산부에 출력한다. 스펙트럼 확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산출되며, 호핑 신시사이저부로부터 통지되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반송 주파수를 전환하고,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대하여 스펙트럼 확산을 실시한 후에 얻어진 신호를 안테나(89)에 출력한다. 블루투스에서는, 스펙트럼 확산부는 625㎲마다 주파수를 호핑시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트랜시버(88)를 구성하는 역스펙트럼 확산부는, 호핑 신시사이저부로부터 통지되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기초하여 수신 주파수를 호핑시키고, 예를 들면 PDA(2)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취득한다. 또한, 역스펙트럼 확산부는, 취득한 신호를 역 스펙트럼 확산하고, PDA(2)로부터의 신호를 재생한 후에 얻어진 신호를 GFSK 복조부에 출력한다. GFSK 복조부는 역스펙트럼 확산부로부터 공급되어 온 신호를 GFSK 복조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기저 대역 제어부(87)에 출력한다.
트랜시버(88)는, 2.4GHz대를 사용하여, 스펙트럼 확산이 실시된 신호를 안테나(89)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트랜시버(88)는 안테나(89)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역스펙트럼 확산부에 출력한다.
또, PDA(2)의 블루투스 모듈(109)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모듈(2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 적절하게 블루투스 모듈(20)과 블루투스 모듈(109)의 CPU를 CPU(81A), 및 CPU(81B)라고 각각 칭한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5는, 도 1의 PDA(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101) 내지 블루투스 모듈(109)은, 도 2의 퍼스널 컴퓨터(1)의 CPU(11) 내지 블루투스 모듈(20)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이하, 적절하게, 리더 라이터(108)라고 칭함)는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비접촉 IC 카드(3)나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를 검출하기 위한 전자파를 복사하고 PDA(2)가 이들 기기에 근접되어, 비접촉 IC 카드(3) 등을 검출했을 때, 이들 기기와 전자파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리더 라이터(108)에 의해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 등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109)에 출력된다.
도 6은, 도 1의 비접촉 IC 카드(3)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비접촉 IC 카드(3)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안테나(루프 안테나 : 122)와, 그 외의 구성이 1 칩에 저장된 IC(121)로 구성되며, 전자 유도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와 각종 데이터를 반이중 통신한다.
또, 비접촉 IC 카드(3)란, 설명의 편의상 이용한 명칭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또는 후술하는 기능을 갖는 모듈을 의도하는 것이다. 또한, 비접촉 IC 카드(3)는 반드시 카드 형상의 것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배면에 점착성이 있는 시트형의 것이어도 되며, 종이의 배면이나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비접촉 IC 카드(3)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Felica(등록 상표) 등이 있다.
CPU(131)는, ROM(132)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133)에 전개하고, 비접촉 IC 카드(3)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131)는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가 안테나(122)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그것에 대응하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134)에 설정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9)에 통지한다.
이 EEPROM(134)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리더 라이터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외부로부터의 설정 변경시에는, 소정의 인증이 필요하게 되도록 해도 된다.
SPU(136)는 ASK 복조부(139)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가 BPSK 변조되어 있는 경우, 도시하지 않은 PLL부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그 데이터의 복조(맨체스터 코드의 디코드)를 행하고, 복조한 데이터를, 버스(135)를 통하여 CPU(131) 등에 적절하게 출력한다.
또한, SPU(136)는 버스(135)를 통하여 공급되어 온 데이터에 BPSK 변조(맨체스터 코드에의 코딩)를 행하며, 그것을 ASK 변조부(137)에 출력한다.
ASK 변조부(137)는, 예를 들면 통신 그룹 형성 정보 등의 데이터를 리더 라이터(19)에 송신하는 경우, SPU(136)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소정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시키고,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 때만, 소정의 부하를 안테나(122)에 병렬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안테나(122)의 부하를 변동시킨다.
ASK 변조부(137)는 안테나(122)의 부하의 변동에 의해, 안테나(122)에 의해 수신되고 있는, 예를 들면 리더 라이터(19)로부터의 변조파를 ASK 변조하고, 그 변조 성분을 안테나(122)를 통하여 리더 라이터(19)에 송신한다(리더 라이터(19)의 안테나(45)의 단자 전압을 변동시킴)(로드 스위칭 방식).
ASK 복조부(139)는 안테나(122)를 통하여 수신한 변조파(ASK 변조파)를 포락선 검파하여 복조하고, 복조 후의 데이터를 SPU(136)에 출력한다. 안테나(122)에서는, 예를 들면 리더 라이터(19)로부터 복사되는 소정의 주파수의 전자파에 의해 공진이 발생하고 있다.
전원 생성부(140)는 안테나(122)에 의해 여기된 교류 자계를 정류하고, 안정화한 후, 각 부에 직류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 등으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의 전력은, 비접촉 IC 카드(3)에 필요한 전력을 조달하는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조정되고 있다.
이어서, 도 1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하고,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PDA(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에서, PDA(2)의 CPU(101)는 버튼(107)이 조작되고, 사용자에 의해 전자파의 복사를 개시하는 것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지시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101)는 전자파를 복사하는 것이 지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로 진행하여, 리더 라이터(108)를 제어하고, 전자파의 복사를 개시한다. 물론, 전자파의 복사가 항상 행해지도록 해도 되며, 소정의 주기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CPU(101)는 단계 S3에서, 리더 라이터나 비접촉 IC 카드(3)를 갖는 기기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리더 라이터(108)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판정하고, 그와 같은 기기를 검출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예를 들면, PDA(2)가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되고,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에 의해, 이 전자파가 수신된 경우,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정보가 송신되어 오기 때문에, CPU(101)는, 이 응답에 기초하여 기기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에서, 응답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 예를 들면, 소정의 기간, 혹은 소정의 횟수만큼, 전자파의 복사를 실행한 후, 도 7의 처리를 종료시키도록 해도 된다.
CPU(101)는 단계 S3에서, 기기를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 CPU(101)는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에 대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할 때에, 퍼스널 컴퓨터(1)를 식별하거나,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된다.
단계 S5에서, CPU(101)는 리더 라이터(108)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송신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101)는, 단계 S5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으로 진행하여,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예를 들면, RAM(103)에 보존시킨다.
도 8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도시된 통신 그룹 식별 ID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를 식별하기 위해서나, 혹은 주파수 호핑 패턴 등을 관리하기 위해 PDA(2)에 의해 이용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로 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통신 그룹 식별 ID)는 「08:00:46:21:39:4D」로 되어 있다.
디바이스 클래스는, 퍼스널 컴퓨터(1)의 기기의 종별(디바이스 클래스)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도 8에서는 「퍼스널 컴퓨터」로 되어 있다. 디바이스 클래스로서는, 「퍼스널 컴퓨터」 외에, 「휴대 전화기」나 「PDA」 등의 일반적인 기기가 미리 규정되어 있다.
디바이스명(블루투스 디바이스명)은, 사용자가 개개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정보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의 디바이스명은 「VAIE」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8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는, 패스키가 미리 준비되어 있다. 통상, 블루투스에 의해 처음으로 통신하는 기기와의 사이에서는, 동일한 패스키를 쌍방의 기기에 입력하고, 인증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이 예에서는, 패스키가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어, 통신 상대의 기기에 통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어 통신 상대의 기기에 통지되고, 그것에 기초하여 인증이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신 대상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처음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도, 패스키를 입력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이 예에서는, 「0123456」의 패스키가 퍼스널 컴퓨터(1)에 미리 준비되어 있다.
링크 키는, 블루투스에 의해 이미 통신을 행한 적이 있는 기기와의 사이에서 생성되며, 그 기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대응시켜 퍼스널 컴퓨터(1)에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KA」로 되어 있다.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서비스 레코드)는, 현재 퍼스널 컴퓨터(1)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레코드는 복수개의 서비스 속성에 의해 구성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그 서비스 속성은, 속성 ID와, 그 속성값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속성 ID는 속성명마다 설정되어 있고, 그 속성값에 의해 나타나는 내용, 및 데이터형 등이 대응되어 있다. 이들 속성 ID, 및 속성명은 블루투스로 규정되는 모든 프로파일에서 공통으로 이용되는 것과, 프로파일마다 이용되는 것이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가 필요에 따라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9의 예에서는, 서비스 속성1 내지 속성3이 서비스 레코드로서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속성 ID와, 그 속성값, 및 그 속성값에 의해 나타나는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속성 ID 「0x0001」로 지정되는 「Service Class ID List」(속성명)는, 그 서비스 레코드가 속해 있는 서비스 클래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서비스클래스는, 특정한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규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직렬 통신, PPP(Point-to-Point Protocol)에 의한 LAN 액세스, 혹은 다이얼업 통신 등이 규정되어 있다.
속성 ID「0x0004」로 지정되는 「Protocol Descriptor List」(속성명)는, 그 서비스 레코드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서비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스택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속성 ID「0x0006」로 지정되는 「Language Base Attribute ID List」(속성명)는 복수개의 언어에 대응하는 속성을 서포트하기 위한 정보이다.
속성 ID「0x000A」로 지정되는 「Documentation URL」(속성명)은, 그 서비스레코드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서비스에 대한 문서의 URL을 나타내고 있다.
속성 ID「0x0000+속성 ID 베이스」로 지정되는 「Service Name」(속성명)은, 그 서비스 레코드에 의해 표현되어 있는 서비스의 이름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속성 ID 베이스는 상술한 「Language Base Attribute ID List」에 포함되는 정보로서, 복수개의 언어에 대응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속성 ID「0x0001+속성 ID 베이스」로 지정되는 「Service Description」(속성명)은, 서비스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포함된 문자열이다.
그리고, 이들 정보 중, 예를 들면 속성 ID 「0x0001」로 지정되는 「Service Class ID List」, 속성 ID 「0x0006」로 지정되는 「Language Base Attribute ID List」, 및 속성 ID「0x0000+속성 ID 베이스」로 지정되는 「Service Name」이 통신 방식 정보로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통지되어 온다.
또, 블루투스에 의해 접속하는 서비스에 의해서는, 채널 번호 등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의 선택이 필요하게 되는 것도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에 관해서는, 통신 링크를 확립한 후, 블루투스에서 규정되고 있는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에 의해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접속 가능 수는,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동시에 접속(통신) 가능한 기기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PDA(2)는 이 수치를 확인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에 현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와 이미 통신을 행하고 있는 기기 이외에, 6개의 기기가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수치는, 퍼스널 컴퓨터(1)에 기기가 접속될 때마다 1씩 감산되어 갱신된다.
접속 유효 시간은, 퍼스널 컴퓨터(1)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시간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예에서는, 일본 표준시(JST)의 0시 0분부터 12시 0분까지의 기간에만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 가능 디바이스는, 퍼스널 컴퓨터(1)에 접속 가능한 디바이스 클래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 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가 제1 디바이스 클래스로 되고, 「PDA」가 제2 디바이스 클래스되고, 「휴대 전화기」가 제3 디바이스 클래스로 되어 있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퍼스널 컴퓨터(1)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는 WWW(World Wide Web) 페이지를 지정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PDA(2)의 사용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 URL에 의해 지정되는 WWW 페이지를 확인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의 상세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URL에 의해 지정되는 WWW 페이지는,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각종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페이지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 페이지를 확인함으로써, PDA(2)의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1)의 현재 상태나, 사용 상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PDA(2)는, 이상과 같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모두를 일괄하여 송신하는 것을 요구하도록 해도 되며, 각각의 정보를 개별로 송신하는 것을 요구하도록 해도 된다.
도 7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제공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RAM(103)에 보존한 CPU(101)는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확인하고, 단계 S7에서, 블루투스 모듈(109)에 의해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CPU(10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서비스 레코드와, 자기 자신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매칭하여, 접속 가능한 서비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7에서, CPU(101)는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는, 접속 가능한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통지되어 온 경우, 접속 가능 수가 O일 때나, 혹은 현재 시각이 접속 유효 시간 내가 아닐 때에는, 그 이후의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PDA(2)에서는,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기기가 제한된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이 확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고품질의 무선 통신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CPU(101)는 단계 S7에서, 접속 가능한 서비스가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PDA(2)가 「Feel」이라는 서비스명의 직렬 통신 서비스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것을 소망하고 있으며,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통지되어 온 서비스 레코드에 의해, 「Service Class ID List : 0x1101(직렬 통신 서비스)」, 및「Service Name : Feel」이 나타나는 경우, CPU(101)는 접속 가능한 서비스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
단계 S8에서, CPU(101)는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접속 가능한 서비스가 복수개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1)는 단계 S8에서, 접속 가능한 서비스가 복수개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9로 진행하여, 접속할 서비스를 선택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레코드가 통지되어 온 경우, CPU(101)는 「Service Name : Feel」의 직렬 통신 서비스를 접속할 서비스로서 선택한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109)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각각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CPU(101)는 통지되어 온 서비스 레코드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제공되어 있는 복수개의 서비스 중에서 가장 높은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직렬 통신 서비스와 파일 전송 서비스가 제공되어 있고, 블루투스 모듈(109)이 제공 가능한 복수개의 서비스 중 직렬 통신 서비스에 대하여, 최상위의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CPU(101)는 직렬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서비스로서 선택한다.
또한, CPU(101)는 블루투스 모듈(109)에서 이용된 서비스의 이력을 참조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 과거에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행한 적이 있는 경우,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가장 사용 횟수가 많은 서비스, 또는 최근 사용한 서비스를,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중에서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당연히,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선택시키도록 해도 된다.
한편, 단계 S8에서, 접속 가능한 서비스가 복수개 존재하지 않는다고(1개만 존재한다고) 판정한 경우, CPU(101)는 그 서비스를, 이용할 서비스로 하여 단계 S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에서, CPU(101)는 리더 라이터(108)를 제어하고,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의 기동을 요구한다.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리더 라이터(19)를 통하여, 이 요구가 통지되어 오기 때문에, 이것에 대응하여 블루투스 모듈(20), 및 그것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동된다.
단계 S11에서, CPU(101)는 PDA(2)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 즉 블루투스 모듈(109)과, 그것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기동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키는 한편, 기동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2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서, CPU(101)는 블루투스 모듈(109)에 전원을 공급하여, 기동시킴과 함께, 예를 들면 ROM(10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RAM(103)에 전개한다. 그 후,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취득 처리는 종료되며, 후술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송수신한 타이밍에서, 각각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기동시키도록 했으므로,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7에 도시한 PDA(2)의 처리에 대응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공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1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CPU(11)는 리더 라이터(19)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PDA(2)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전자파를 수신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CPU(11)는 전자파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2로 진행하여, 리더 라이터(19)를 제어하고, 전자파를 수신한 것을 확인시키는 수신 확인을 PDA(2)에 송신한다.
단계 S23에서, CPU(11)는 리더 라이터(19)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PDA(2)로부터,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요구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11)는 단계 S23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송신이 요구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4로 진행하여, 예를 들면 기억부(18)에 기억되어 있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판독하고, 리더 라이터(19)에 공급한다. 또, 이들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리더 라이터(19)의 RAM(63) 등에 보존시켜 두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서비스 데이터베이스나 접속 가능 수 등의, 동적으로 변화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이 타이밍에서 갱신되도록 해도 된다. 또, 패스키가 랜덤하게 설정되어, PDA(2)에 통지되도록 해도 된다.
CPU(11)는 단계 S25에서, 리더 라이터(19)를 제어하여, PDA(2)에 대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26에서, CPU(11)는 리더 라이터(19)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의 기동이 요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요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한 PDA(2)로부터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의 기동이 요구되어진다.
CPU(11)는 단계 S26에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의 기동이 요구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7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블루투스 모듈(20), 및 그것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101)는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이미 기동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처리를 종료시키고,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8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함과 함께,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RAM(13)에 전개시킨다.
이어서,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후에, 그것에 기초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PDA(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7에 도시한 처리에 이은 것이다.
단계 S41에서, 블루투스 모듈(109)의 CPU(CPU(81B))는 CPU(1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취득한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갖는 기기에 대하여 「호출」의 실행을 요구한다. 즉, 도 7의 처리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취득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블루투스 모듈(109)이 기동되었을 때, 블루투스 모듈(109)에 이미 공급되고 있다. 또, 이「호출」이란, 특정한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지정하여, 블루투스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요구, 및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처리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사이에서, 자기 자신의 속성 정보(FHS 패킷)가 교환되고, 교환된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축의 동기, 및 시간 축의 동기가 확립된다. 예를 들면, PDA(2)의 속성 정보에는, 블루투스 모듈(109)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블루투스 클럭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있다.
따라서, 단계 S41에서 송신되는 호출 요구에, PDA(2)의 속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그 요구를 수신한 퍼스널 컴퓨터(1)가 PDA(2)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동기를 확립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42에서, CPU(81B)는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20)로부터 송신되어 온 「호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응답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에러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CPU(81B)는 단계 S42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20)로부터, 「호출」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4로 진행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접속을 요구한다.
그리고, CPU(81B)는 단계 S45에서, 「호출」에 의해 동기를 확립한 기기, 즉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는 패스키에 의한 인증 처리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필요하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6에서, CPU(81B)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패스키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이 패스키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통지되어 온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1)에서도 동일한 패스키에 의해 인증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인증이 성립된 경우, 그것이 통지되어 오기 때문에, 단계 S47에서, CPU(81B)는 인증의 성립이 통지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CPU(81B)는 인증의 성립이 통지되어 오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에러 처리를 실행한 후에 처리를 종료시키고, 한편 인증의 성립이 통지되어 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8로 진행한다.
또, 단계 S45에서, 패스키에 의한 인증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6 및 단계 S47의 처리는 스킵되어, 단계 S48의 처리가 실행된다. 기기의 설정 등에 의해서는, 패스키에 의한 인증이 필요하게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단계 S48에서, CPU(81B)는 선택한 서비스에 의한 접속을 퍼스널 컴퓨터(1)에 요구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의 단계 S9에서 접속하는 서비스로서 직렬 통신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CPU(81B)는 SDP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RFCOMM층에서의 서버 채널 번호(예를 들면, Server Channel Number : 1)를 취득하고, 취득한 서버 채널 번호에 의한 접속을 요구한다. 또한, 선택된 서비스가, 서버 채널 번호와 같이 동적으로 변경되는 속성을 포함하지 않는, 예를 들면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의 서비스인 경우, CPU(81B)는 SDP를 이용하지 않고,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을 요구해도 된다.
그리고, 단계 S49에서, 블루투스 통신이 확립된다.
이어서,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공한 후에,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처리에 이은 것이다.
단계 S61에서, 블루투스 모듈(20)의 CPU(81A)는 PDA(2)로부터 「호출」이 요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요구되었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81A)는, 단계 S61에서, 「호출」이 요구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2로 진행하고, PDA(2)에 대하여 자기 자신의 속성 정보를 송신하여 「호출」의 요구에 응답하여, PDA(2)와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CPU(81A)는 PDA(2)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산출하여 주파수축의 동기를 확립함과 함께, PDA(2)의 블루투스 클럭에 기초하여, 자기 자신이 관리하는 블루투스 클럭에 오프셋을 가하여, 시간 축의 동기를 확립한다.
그리고, CPU(81A)는 단계 S63에서, 접속 요구가 PDA(2)로부터 송신되어 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할 때까지 대기한다. CPU(81A)는 단계 S63에서, PDA(2)로부터 접속 요구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4로 진행하며, 예를 들면, 호출의 요구와 함께 송신되어 온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확인한다.
CPU(81A)는 단계 S65에서, 확인한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링크 키의 유무를 확인하고, 속성 정보를 송신하여 온 기기, 즉 PDA(2)와의 사이에서는, 패스키에 의한 인증을 이미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패스키에 의한 인증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패스키에 기초하여 생성된 링크 키가, 그 인증을 행한 상대 기기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대응시켜, 인증 처리에 의해 보존되고 있다.
CPU(81A)는 단계 S65에서, PDA(2)와의 사이에서 인증을 행하고 있지 않다고(처음으로 통신을 행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6으로 진행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PDA(2)에 통지한 패스키와 동일한 패스키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CPU(81A)는 단계 S68로 진행하여, 인증을 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인증을 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9에서 에러 처리를 실행한 후, 처리를 종료시킨다.
또한, CPU(81A)는 단계 S68에서, 인증을 할 수 있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70으로 진행하여, 그것을 PDA(2)에 통지한다.
또, CPU(81A)는 단계 S65에서, PDA(2)와의 사이에서 패스키에 의한 인증을 이미 행한 적이 있고, 링크 키를 공유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67로 진행하여, 플래시 메모리(84A)(블루투스 모듈(20)의 플래시 메모리)로부터 링크 키를 판독하여, 그것을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고, 그 이후의 판정 처리 등을 실행한다.
단계 S71에서, CPU(81A)는 PDA(2)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에 의한 블루투스 통신의 요구를 수신했을 때, 단계 S72로 진행하여, 그 서비스를 기동하고, 통신을 확립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PDA(2)는 도 7의 처리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미리 취득하고 있기 때문에, 소위 「조회(Inquiry)」를 행하지 않고, 직접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호출」을 행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즉,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 PDA(2)는 주위에 존재하는 기기를 검출하여, 그 기기로부터 블루투스 어드레스 등의 통지를 받기 때문에 「조회」를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위에 복수개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PDA(2)는 퍼스널 컴퓨터(1) 이외의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의 통지를 받지 않고, 「호출」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동기를 확립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처음으로 통신을 행하는 기기 사이에서 필요하게 되는 패스키도,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PDA(2)에 통지되어 있고,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에 의해 동일한 패스키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PDA(2)의 사용자는 처음으로 PDA(2)와 퍼스널 컴퓨터를 통신시키는 경우에도, 쌍방의 기기에 패스키를 입력하는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도,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어 PDA(2)에 통지되고, 우선도 등에 기초하여 선택되기 때문에, PDA(2)의 사용자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조작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PDA(2)의 사용자는 PDA(2)를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PDA(2)의 리더 라이터(108)로부터 전자파가 복사되어, 그것을 수신한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로부터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제공된다고 했지만, 반대로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로부터 전자파가 복사되고 있으며, 그것을 수신한 PDA(2)의 리더 라이터(108)가 PDA(2)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1)에 제공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PDA(2)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퍼스널 컴퓨터(1)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는 PDA(2)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호출」 등을 행하며, PDA(2)와의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확립시킨다.
이어서,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후에, 그것에 기초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PDA(2)의 다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로서, 인증 처리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통지된 패스키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며, 링크 키를 이용하는 점이 상위하다.
즉, 블루투스 모듈(109)의 CPU(81B)는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호출」을 행하여, 동기를 확립한 후, 단계 S85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통지되어 온 링크 키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해 인증이 성립되며, 그것이 통지되었을 때, 단계 S86에서 CPU(81B)는 이용할 서비스를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킨다.
도 13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제공한 후에,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퍼스널 컴퓨터(1) 외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1에 도시한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로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PDA(2)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인증 처리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통지한 패스키를 이용하지 않고, 링크 키를 이용하는 점이 상위하다.
즉, 블루투스 모듈(20)의 CPU(81A)는 단계 S102에서 PDA(2)와의 사이에서 「호출」을 행하고, 동기를 확립한 후, 단계 S104로 진행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통지한 링크 키와 동일한 링크 키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인증이 되었을 때, 단계 S107에서 PDA(2)에 인증이 성립한 것을 통지하고, 단계 S108에서 이용할 서비스의 통지를 수신했을 때,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킨다.
이상과 같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통지되어 온 링크 키를 이용함으로써도, 인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 또는 PDA(2)의 사용자는, 쌍방의 기기를 근접시키는 것 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단계 S141에서, PDA(2)의 리더 라이터(108)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하, 적절하게,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이라고 칭함)은,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를 검출하기 위한 전자파의 복사를 개시한다.
그리고, 단계 S161에서, 그 전자파를 수신한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이라고 칭함)은, 단계 S162에서, 전자파를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수신 확인을 송신한다.
그 수신 확인을 단계 S142에서 수신한 PDA(2)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은 단계 S143으로 진행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송신 요구를 리더 라이터(19)에 송신한다.
단계 S163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은 단계 S164로 진행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144에서, PDA(2)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S145에 진행하여, 블루투스 통신 기능의 기동을 퍼스널 컴퓨터(1)에 요구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에서는 이 기동 요구가 단계 S165에서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166에 진행하여, 블루투스 모듈(20)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하, 적절하게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이라고 칭함)이 기동된다.
한편, PDA(2)에서도, 단계 S146에서, 블루투스 모듈(109)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하, 적절하게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이라고 칭함)에 대한 기동 요구가 송신된다. 이것에 대응하여, 단계 S121에서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이 기동된다.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은 단계 S147에서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에 통지한다.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은 단계 S122에서,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으로부터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하고,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123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에 대하여, 「호출」의 실행을 요구한다.
단계 S182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은 PDA(2)로부터 「조회」의 요구를 받았을 때, 단계 S183으로 진행하여, 그것에 대하여 응답한다.
그리고, 단계 S124에서, 그 응답이 PDA(2)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에 의해 수신되며,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사이에서 동기가 확립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계 S123, 및 단계 S124, 및 단계 S182, 및 단계 S183에서 속성 정보 등의 교환이 행해져, 주파수축, 및 시간축의 동기가 확립된다.
단계 S125에서, PDA(2)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으로부터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에 대하여, 접속 요구가 송신된다. 이 접속 요구에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서비스에 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은, 단계 S184에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수신하고, 단계 S185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로서 PDA(2)에 통지한 것과 동일한 패스키를 이용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단계 S126에서, PDA(2)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에 의해 인증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은 패스키에 의한 인증이 성립했을 때, 단계 S186에서 인증이 성립한 것을 PDA(2)에 통지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
한편, PDA(2)의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109A)은 단계 S127에서, 인증이 성립했다는 통지를 수신했을 때, 단계 S128로 진행하여, 퍼스널 컴퓨터(1)와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
이상에서는, PDA(2)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이 블루투스 통신에서의 마스터로 되고,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이 슬레이브로 되어 있지만, 동기를 확립한 후에는 적절하게, 쌍방의 역할을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도 16 내지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통지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기기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비접촉 IC 카드(3)를 PDA(2)에 근접시키고,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통지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PDA(2)가 퍼스널 컴퓨터(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도 1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비접촉 IC 카드(3)에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입하는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판독한 정보에 기초하여 PDA(2)와 퍼스널 컴퓨터(1)의 사이에서 통신을 개시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 등을 조작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시켜 둘 필요가 있다.
단계 S201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은 비접촉 IC 카드(3)를 검출하기 위한 전자파의 복사를 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3)가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되었을 때, 비접촉 IC 카드(3)를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하, 적절하게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이라고 칭함)은, 단계 S221에서 그 전자파를 수신하고, 단계 S222로 진행하여,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수신 확인을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비접촉 IC 카드(3)는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19) 등으로부터 수신한 전자파에 의해 발생된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이러한 수신 확인 등을 송신한다.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은 단계 S202에서,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송신되어 온 수신 확인을 수신했을 때, 단계 S203으로 진행하여, 비접촉 IC 카드(3)에 대하여,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기입을 요구한다. 기입이 요구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는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7)가 조작되어 입력된다.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기입 요구를, 단계 S223에서 수신한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은 단계 S224로 진행하여, 그것을 EEPROM(134)에 기입하여, 저장시킨다. 그리고, 통지되어 온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기입이 완료했을 때,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은 단계 S225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기입이 완료한 것을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한다.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은 단계 S204에서, 블루투스 어드레스의 기입이 완료한 것이 통지되어 왔을 때, 단계 S205로 진행하여, 이어서 패스키의 기입을 비접촉 IC 카드(3)에 요구한다. 여기서 기입이 요구되는 패스키도,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7)가 조작되어 입력된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1)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패스키와 동일한 것이다.
비접촉 IC 카드(3)의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은 단계 S226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으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했을 때, 단계 S227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마찬가지로, 통지되어 온 패스키를 EEPROM(134)에 기입하여, 저장시킨다.
그리고, 패스키의 기입이 완료했을 때,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은 단계 S228로 진행하여, 그것을 퍼스널 컴퓨터(1)에 통지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1)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은 단계 S206에서,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으로부터 패스키의 기입이 완료된 것에 대한 통지를 수신했을 때, 처리를 종료시킨다.
이상과 같은 기입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3)의 EEPROM(134)에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퍼스널 컴퓨터(1)에 관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기억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비접촉 IC 카드(3)를 PDA(2)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PDA(2)와 퍼스널 컴퓨터(1)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를 조작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비접촉 IC 카드(3)에 기입하게 했지만, 리더 라이터(19)에 비접촉 IC 카드(3)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비접촉 IC 카드(3)에 기입되도록 해도 된다. 당연히 PDA(2)의 리더 라이터(108)를 이용하여, 비접촉 IC 카드(3)에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도 17, 및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비접촉 IC 카드(3)를 PDA(2)에 근접시키고, PDA(2)와 퍼스널 컴퓨터(1)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는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61 내지 단계 S265의 PDA(2)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의 처리, 및 단계 S281 내지 단계 S284의 비접촉 IC 카드(3)의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의 처리는, 각각 도 14의 단계 S141 내지 단계 S146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의 처리, 및 단계 S161 내지 단계 S165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9A)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PDA(2)의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은 복사하는 전자파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3)를 검출했을 때, 단계 S263에서 비접촉 IC 카드(3)에 대하여,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그리고, 리더 라이터 제어 프로그램(108A)은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했을 때, 단계 S265에서 블루투스 제어 프로그램(109A)을 기동시키고, 단계 S266에서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에 대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통지한다.
한편, 비접촉 IC 카드(3)의 비접촉 IC 카드 제어 프로그램(3A)은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도 16의 처리에 의해 기입된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단계 S284에서 PDA(2)로 송신하여, 처리를 종료시킨다.
그리고, PDA(2)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은, 단계 S242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했을 때, 단계 S243으로 진행하여,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호출」을 요구한다.
그리고, 그 이후,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사이에서 실행되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된다.
즉,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은 단계 S301에서 「호출」의 요구를 수신했을 때, 단계 S302로 진행하여, 그 요구에 대하여 응답하여, PDA(2)와의 사이에서 동기를 확립한다.
단계 S245에서, PDA(2)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은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서비스 레코드에 기초하여 선택한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퍼스널 컴퓨터(1)에 송신한다.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은 단계 S303에서 PDA(2)로부터 송신되어 온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때, 단계 S304로 진행하여,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패스키와 동일한 패스키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의 기억부(18)에 보존되어 있는 패스키와,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패스키는 사용자에 의해 동일한 것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인증이 성립했을 때,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20A)은 단계 S305로 진행하여, 인증이 성립한 것을 PDA(2)에 통지하고, 단계 S306에 진행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킨다.
PDA(2)의 블루투스 모듈 제어 프로그램(109A)은, 단계 S247에서 그 통지를 수신하고, 단계 S248로 진행하여,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비접촉 IC 카드(3)를 PDA(2)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PDA(2)와 퍼스널 컴퓨터(1) 사이에서의 통신을 확립시킬 수 있다.
또한, PDA(2) 등을 근접시키기 어려운, 떨어진 장소에 퍼스널 컴퓨터(1)가 있는 경우에도 비접촉 IC 카드(3)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통신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일대일의 기기 사이에서의 통신을 확립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복수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9는 블루투스 통신에서의 피코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코넷에는, 통신을 제어하는 마스터가 1개 존재하고, 그 기기에 대하여, 최대 7개의 슬레이브로 되는 기기를 접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슬레이브는 마스터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도 19의 예에서는, 마스터 A에 대하여, 슬레이브 B, 슬레이브 C, 및 슬레이브 D가 접속되고, 이들 4개의 기기로부터 피코넷(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은 복수개의 피코넷이 서로 접속된 스캐터 네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블루투스 통신에서는, 복수개의 피코넷이 서로 접속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피코넷이 서로 접속된 네트워크의 형태가 스캐터 네트로 불리고 있다.
도 20의 예에서는, 도 19에 도시한 피코넷(1)과, 마스터 E와 슬레이브 D로 이루어지는 피코넷(2)이 서로 접속되고, 스캐터 네트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의 슬레이브 D는 피코넷(1)과 피코넷(2)의 양방에 속해 있지만, 시분할 처리에 의해, 어느 기간에는 피코넷(1)의 슬레이브로서 동작하고, 어느 기간에는 피코넷(2)의 슬레이브로서 동작한다.
또, 다수의 피코넷을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더 대규모의 스캐터 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복수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피코넷, 혹은 복수개의 피코넷으로 이루어지는 스캐터 네트를,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복수개의 기기에 의해 통신 그룹(네트워크)을 형성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PDA(2-1 내지 2-4)는 도 1에 도시한 PDA(2)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리더 라이터와 블루투스 모듈을 갖고 있다. 이하, PDA(2-1 내지 2-4)의 리더 라이터를, 각각 적절하게, 리더 라이터(108-1 내지 108-4)로서 설명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각각 블루투스 모듈(109-1 내지 109-4)로서 설명한다. PDA(2-1 내지 2-4)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PDA(2-1)는 상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보존하고 있으며, PDA(2-2)가 근접되어, 리더 라이터(108-2)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1)로부터 PDA(2-2)에 제공한다.
PDA(2-2)는 취득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2)의 RAM(63) 등에 보존함과 함께,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
이어서, PDA(2-2)는 PDA(2-3)가 근접되어, 그 리더 라이터(108-3)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리더 라이터(108-2)에 보존하고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PDA(2-3)에 제공한다.
PDA(2-3)는 취득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3)에 보존함과 함께,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
또한, PDA(2-2)는 PDA(2-4)와의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며, PDA(2-4)가 근접되었을 때,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2)로부터 제공한다. 그리고, PDA(2-4)도 마찬가지로, 취득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4)에 보존함과 함께,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한다.
이상과 같은 처리가 순차적으로 실행됨으로써, PDA(2-1)를 중심(마스터)으로 한 통신 그룹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22 및 도 2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1에서는 슬레이브(2-4)는, 슬레이브(2-2)로부터 취득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PDA(2-1)와 통신을 확립시킨다고 했지만, 설명의 편의상, 슬레이브(2-3)로부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하고, PDA(2-1)와 통신을 확립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341에서, PDA(2-2)는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리더 라이터(108-2)로부터 전자파를 복사한다.
한편, PDA(2-1)는 PDA(2-2)가 근접되었을 때, 단계 S321에서 PDA(2-2)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를 수신하고, 단계 S322로 진행하여, 리더 라이터(108-1)에 보존하고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1)로부터 송신한다.
PDA(2-1)로부터 송신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PDA(2-2)의 리더 라이터(108-2)에 의해 단계 S342에서 수신된다. 그리고, PDA(2-2)는 단계 S343에서, 수신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2)에 보존한다. 또한, PDA(2-2)는 단계 S344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모듈(109-2)(PDA(2-2)의 블루투스 모듈)을 기동하여, PDA(2-1)로부터 취득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 통신에 의한 통신 그룹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DA(2-2)에 의한 단계 S344의 처리, 및 PDA(2-1)에 의한 단계 S323, 단계 S324의 처리에서, 도 14, 및 도 15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PDA(2-1)로부터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가 이용되어, PDA(2-1)와의 사이에서 「호출」이 실행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포함되는 패스키, 혹은 서비스 레코드 등이 이용되어, PDA(2-1)와 PDA(2-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또, 상술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기 때문에, 도 22 등에서는 「호출」의 처리, 및 패스키에 의한 인증 등의 처리의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한편, PDA(2-3)에서는, 단계 S361에서 전자파가 복사되어 있고, 그것을 단계 S345에서 수신한 PDA(2-2)는 단계 S346으로 진행하여, 리더 라이터(108-2)에 보존하고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PDA(2-3)에 송신한다.
송신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단계 S362에서 PDA(2-3)의 리더 라이터(108-3)에 의해 수신되며, 단계 S363에서 PDA(2-3)의 리더 라이터(108-3)에 보존된다.
그리고, PDA(2-3)는 단계 S364에서, PDA(2-2)로부터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킨다.
즉, PDA(2-1)에 의한 단계 S325, 및 단계 S326의 처리, 및 PDA(2-3)에 의한 단계 S364의 처리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한 「호출」, 및 패스키에 의한 인증 등이 행해져, PDA(2-1)와 PDA(2-3)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이에 의해, PDA(2-1 내지 2-3)의 사이에서, PDA(2-1)을 중심으로 한 통신 그룹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PDA(2-4)에서도, 단계 S381에서 전자파가 복사되고 있고, 그것을 단계 S365에서 수신한 PDA(2-3)는 단계 S366으로 진행하여, 리더 라이터(108-3)에 보존하고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PDA(2-4)에 송신한다.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단계 S382에서 PDA(2-4)의 리더 라이터(108-4)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383에서 PDA(2-4)의 리더 라이터(108-4)에 보존된다.
그리고, PDA(2-4)는 단계 S384로 진행하여, PDA(2-3)로부터 통지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킨다.
즉, PDA(2-1)에 의한 단계 S327, 및 단계 S328의 처리, 및 PDA(2-4)에 의한 단계 S384의 처리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한 「호출」 및 패스키에 의한 인증 등이 행해지며, PDA(2-1)와 PDA(2-4)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이에 의해, PDA(2-1 내지 2-4)에 의해, PDA(2-1)(마스터)를 중심으로 한 통신 그룹이 형성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PDA(2-2)가 PDA(2-3)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출력한 데이터는 PDA(2-1)에 의해 한번 수신되고, PDA(2-1)의 제어에 기초하여, PDA(2-3)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PDA(2-1)에 접속되어 있는 슬레이브 사이에서도,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취한 기기는, 그것을 자기 자신의 기억부에 보존하고, 근접된 기기에 대하여 제공하도록 했으므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복수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면, PDA(2-1 내지 2-4)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신규로 참가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이미 속해 있는 어느 하나의 기기에, 자기의 기기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그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재기입되지 않고 PDA(2-2) 등에 통지된다고 했지만, 새롭게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기기에 의해, 그 내용이 재기입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초기의 상태에서 PDA(2-1)에 보존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접속 가능 수가「6」으로 되는 경우,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PDA(2-2)는, 접속 가능 수를「5」로 갱신하여, 리더 라이터(108-2)에 보존한다. 그리고, 이어서 PDA(2-2)로부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한, 예를 들면 PDA(2-3)는 접속 가능 수를 「4」에 1만큼 감산하여 갱신하고, 리더 라이터(108-3)에 보존한다. 이상과 같이,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갱신하여 다음의 기기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한 기기는, 현재의 통신 그룹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4는 복수개의 기기에 의해 통신 그룹(네트워크)을 형성하는 다른 통신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의 PDA(2-1 내지 2-4)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경우, 처음에 PDA(2-1)의 사용자는 PDA(2-1)에 비접촉 IC 카드(3)를 근접시키고, 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PDA(2-2)의 사용자는 PDA(2-2)와 PDA(2-1)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키고자 하는 경우, 그 비접촉 IC 카드(3)를 PDA(2-2)에 근접시킨다.
이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PDA(2-2)에 제공되고, PDA(2-2)는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킬 수 있다. 즉, PDA(2-1)와 PDA(2-2), 및 비접촉 IC 카드(3)의 사이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이어서, PDA(2-3)의 사용자는 PDA(2-1)와 PDA(2-2)로 이루어지는 통신 그룹에 참가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비접촉 IC 카드(3)를 PDA(2-3)에 근접시키고,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판독하게 한다.
이에 의해, 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PDA(2-3)와 PDA(2-1)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고, PDA(2-1 내지 2-3)에 의해, PDA(2-1)를 중심으로 한 통신 그룹이 형성된다.
PDA(2-4)에서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PDA(2-4)에 비접촉 IC 카드(3)를 근접시켰을 때, 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PDA(2-4)에 의해 판독되고, 그것에 기초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PDA(2-1 내지 2-4)로 이루어지는 통신 그룹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25, 및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4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91에서, PDA(2-1)는 근접되어 있는 비접촉 IC 카드(3)에 대하여, 자기 자신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1)로부터 송신한다.
PDA(2-1)로부터 송신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단계 S411에서, 비접촉 IC 카드(3)에 의해 수신되고, 단계 S412에서, 예를 들면, EEPROM(134)에 보존된다. 즉,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가 행해져, PDA(2-1)의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비접촉 IC 카드(3)에 기입된다.
그리고, 비접촉 IC 카드(3)는, PDA(2-2)이 근접되며, 단계 S413에서, 리더 라이터(108-2)로부터 복사되고 있는 전자파를 수신했을 때, 단계 S414로 진행하여, PDA(2-1)에 의해 기입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판독하여, PDA(2-2)에 송신한다.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송신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는, PDA(2-2)의 리더 라이터(108-2)에 의해, 단계 S432에서 수신된다. 그리고, PDA(2-2)는, 단계 S433에서, 수신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2)에 보존한다. 또한, PDA(2-2)는, 단계 S434에서, 블루투스 모듈(109-2)을 기동하며, PDA(2-1)로부터 취득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이용하여, PDA(2-1)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켜, 통신 그룹을 형성한다.
즉, PDA(2-1)에 의한 단계 S392, 및 단계 S393의 처리, 및 PDA(2-2)에 의한 단계 S434의 처리에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 처리, 및 패스키에 의한 인증 등이 행해져, PDA(2-1)와 PDA(2-2)와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또한, 단계 S451 이후의 처리에서, 비접촉 IC 카드(3)에 PDA(2-3)가 근접되었을 때, PDA(2-2)와 비접촉 IC 카드(3) 사이에서 행해진 처리가 PDA(2-3)와 비접촉 IC 카드(3) 사이에서도 실행되며, PDA(2-1)와 PDA(2-3)에 의해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또한, 단계 S461 이후의 처리에서, 비접촉 IC 카드(3)에 PDA(2-4)가 근접되었을 때, PDA(2-2)와 비접촉 IC 카드(3)의 사이에서 행해진 처리가 PDA(2-4)와 비접촉 IC 카드(3) 사이에서도 실행되고, PDA(2-1)와 PDA(2-4)에 의해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확립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PDA(2-1)를 중심으로 한 PDA(2-1 내지 2-4)로 이루어지는 통신 그룹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PDA(2-1)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는 통신 그룹에 신규로 참가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자기 자신의 기기에 비접촉 IC 카드(3)를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그 통신 그룹에 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PDA(2-2)의 사용자로부터, 비접촉 IC 카드(3)를 자신의 기기에 근접시키고, 그것이 끝났을 때, 다음 사용자에게 비접촉 IC 카드(3)를 건네주는 순서로 행하는 것만으로, 도 24의 PDA(2-1 내지 2-4)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은, 도 24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비접촉 IC 카드(3)를 매개로 하여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인데, 비접촉 IC 카드(3)에 근접되고,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판독한 기기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그 때마다 갱신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접속 가능 수의 정보가,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판독한 기기에 의해 1씩 감산되어, 갱신된다.
다음에, 도 28, 및 도 2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7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의 일련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지만,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처리에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판독한 기기에 의해,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재기입되는 처리가 더 부가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다.
즉, PDA(2-2)는 단계 S512에서, 비접촉 IC 카드(3)로부터 송신되어 온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108-2)에 의해 수신했을 때, 단계 S513으로 진행하여,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재기입한다. 예를 들면,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접속 가능 수가 「5」로서 보존되어 있고, 그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단계 S512에서 수신한 경우, PDA(2-2)는 접속 가능 수를 「4」로서 갱신시킨다.
비접촉 IC 카드(3)에서는, 단계 S495에서, 갱신할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수신되어, 단계 S496에서 갱신된다.
그리고, PDA(2-2)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재기입한 후, 단계 S514로 진행하여, 취득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PDA(2-1)와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킨다.
마찬가지로, PDA(2-3)는 단계 S522에서,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했을 때, 단계 S523에 진행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갱신시키고, 그 후 PDA(2-1)와 통신을 확립시킨다. 또한, PDA(2-4)는 단계 S542에서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했을 때, 단계 S543으로 진행하여,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갱신시키고, 그 후 PDA(2-1)와 통신을 확립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서도, PDA(2-1)를 중심으로 한 통신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비접촉 IC 카드(3)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설정에 의해, 통신 그룹에 참가하는 기기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술되어 있는 디바이스 클래스나 접속 가능 시간에 의해, 통신 그룹에 참가하는 기기를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히 퍼스널 컴퓨터와 PDA, 혹은 PDA 사이에서의 통신을 확립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기기 사이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DA 등의 휴대 단말기와, 텔레비전 수상기, 카 내비게이션, 자동 판매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의 기기 사이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기에 리더 라이터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기기에,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리더 라이터에 제공할 수 있는 비접촉 IC 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킬 수 있다.
또한, 어느 한쪽이 리더 라이터를 갖고 있으면, 휴대 전화기끼리, 또는 PDA끼리, PDA와 디지털 카메라, 혹은 PDA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의한 피코넷 내 동기의 확립 처리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기기와 기기와의 접속에만 한하지 않고, 리더 라이터나 비접촉 IC 카드와, 블루투스 모듈이, 예를 들면 자동차, 전철, 배, 비행기 등의 이동체나, 건물 내, 혹은 거리의 도처에 설치되고, 그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 혹은 WAN(Wide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소위 유비키터스 사회(Ubiquitous Network 사회, 또는 Ubiquitous Computing 사회)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무선 LAN(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802.11b) 등의, 블루투스 이외의 통신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이외의 통신으로는, 예를 들면 IrDA, HomeRF(SWAP), Wireless1394 등이 있으며, 이들 통신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비접촉 IC 카드와 같이 루프 안테나를 이용하여 전력 전송 및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방식을 대신하여, 출력을 억제하고,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보다 통신 가능한 거리가 짧아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신 방식이면, 어느 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IrDA나, 바코드와 바코드 리더 등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접속 대상의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블루투스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기기를 식별하기로 했지만, 고유의 식별 정보이면, 어느 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28비트로 이루어지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이 각각의 기기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 마스터인 기기는, 비접촉 IC 카드나, 리더 라이터로부터 통지된 그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하는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예를 들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 상대의 단말기의 특정은, 퍼스널 컴퓨터(1)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9)와, PDA(2)의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108)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된 통신 그룹 형성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고 했지만, 퍼스널 컴퓨터(1) 및 PDA(2)에, 이와 같이 전자 유도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모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통신 모듈의 전파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통신 상대의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다.
이하, 통신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통신 상대의 단말기를 특정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전파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통신 상대의 단말기를 특정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 상대를 특정하고, 그 상대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 PDA(2)는 처음에 통신 모듈(501)(블루투스 모듈)의 출력 전력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복사되는 전파가, 예를 들면 수㎝의 범위 내에만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전파의 출력 전력이 억제되는 미약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신 모듈(501)은 「Inquiry(조회)」를 반복하여 행하고, 그 전파가 닿는 범위(예를 들면, 수㎝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탐색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PDA(2)가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하거나 또는 장착되어, 통신 모듈(501)에 의해 복사되는 전파가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모듈(502)(통신 모듈(501)과 동일 규격에 따라 통신을 행하는 모듈)에 의해 수신된 경우, 통신 모듈(502)로부터는, Inquiry에 대한 응답이 행해지기 때문에, 통신 모듈(501)은, 통신 모듈(502)과의 사이에서, Inquiry, Page(호출)를 행하고, 통신 링크를 확립한다. 여기서 확립되는 통신 링크는 미약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통신 모듈(501)로부터의 전파가 닿는, 매우 좁은 범위 내에서 유효한 것이다.
따라서, 통신 모듈(501)은,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통신 모듈(502)과의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일단 통신 링크를 절단하고, 통신 모듈(501) 자신의 전력 모드의 설정을, 미약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변경한 후, 이미 취득하고 있는 정보(근거리에서의 Inquiry, Page에 의해 취득하고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재차 통신 모듈(502)과의 사이에서 통신 링크를 확립한다.
재차 확립된 통신 링크는, 통상의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수십m 등의 전파가 닿는 범위 내에서 유효하게 되어,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거리가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PDA(2)에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리더 라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도, 통신 모듈의 출력 전력을 제어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PDA(2)를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이들 단말기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확립시킬 수 있다.
즉,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PDA(2) 주위에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에도 퍼스널 컴퓨터(1)를 통신 상대의 단말기로서 특정하여, 통신을 확립시킬 수 있다.
또, 통신 모듈(501)의 전력 모드를 자연스럽게 전환할 수 있는 경우, 미약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확립된 통신 링크를 일단 절단하지 않고, 전력 모드의 설정을 미약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도 31은, 도 30의 통신 모듈(501)의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통신 모듈(501)은,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 LAN 모듈 등으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로서 구성되는 경우, 그 구성은 도 4에 도시되는 블루투스 모듈(20)(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모듈)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것으로 된다.
무선 제어부(541)는, 전환 스위치(544)를 제어하고, 통신 모듈(501)로부터 외부의 단말기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스위치(544A)를 접점 a 측에 접속하고, 한편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스위치(544A)를 접점 b 측에 접속한다.
또한, 무선 제어부(54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5)(도 5)를 통하여 행해지는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파워 증폭기(545)의 이득을 제어하고, 안테나(547)로부터 복사되는 전파의 도달 범위(출력 전력)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 제어부(541)는 미약 전력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 CPU(101)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경우, 안테나(547)로부터 복사되는 전파의 도달 범위가 필요 최소한의 것이 되도록 파워 증폭기(545)의 이득을 제어하고, 한편 통신 상대의 단말기를 특정할 수 있고, 미약 전력 모드로부터 통상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지시된 경우, 출력되는 전파의 도달 범위가 더 광범위한 것이 되도록 파워 증폭기(545)의 이득을 제어한다.
기저 대역 제어부(542)는, 도 4의 베이스 대역 제어부(87)와 마찬가지로, 송수신 신호의 베이스 대역 신호를 제어한다. 변복조 처리부(543)는, 기저 대역 제어부(542)로부터의 출력에 대하여, GFSK 변조 처리나 호핑 주파수에 기초하는 스펙트럼 확산 처리 등을 행하여, 얻어진 신호를, 파워 증폭기(545)를 통하여 안테나(547)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변복조 처리부(543)는 LNA(Low Noise Amplifier)로부터의 출력에 대하여, 스펙트럼 역확산 처리나 GFSK 복조 처리를 행하고, 얻어진 신호를 기저 대역 제어부(542)에 출력한다.
퍼스널 컴퓨터(1)에 설치되는 통신 모듈(502)의 구성은, 도 31에 도시되는 통신 모듈(501)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0에 도시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퍼스널 컴퓨터(1) 및 PDA(2)에는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어서, 도 3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30의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에서는,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 상대를 특정하여,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개시하도록 지시되었을 때, PDA(2)의 통신 모듈(501)은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기동하고, 단계 S601에서, 자기 자신의 전력 모드로서 미약 전력 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통신 모듈(501)은 단계 S602으로 진행하여, Inquiry를 반복하여 실행하며, 근접되어 있는 단말기를 탐색한다.
단계 S602에서 실행되는 Inquiry에서는 미약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전파의 도달 범위가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안테나(547)로부터 수㎝의 범위 내에 IQ 패킷(Inquhy 패킷)이 반복되어 브로드캐스트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모듈(502)은, 단계 S621에서 Inquiry 스캔, Page 스캔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상태로 하고, 다른 단말기로부터, Inquiry, Page의 요구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사용자에 의해, PDA(2)가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되고,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모듈(502)이 PDA(2)의 통신 모듈(501)로부터의 전파의 도달 범위 내에 있을 때, 통신 모듈(50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고 있는 IQ 패킷이 단계 S622에서 통신 모듈(502)에 의해 수신된다.
통신 모듈(502)은, 통신 모듈(501)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어 있는 IQ 패킷을 수신했을 때, 그것에 응답하도록, 단계 S623으로 진행하여, FHS 패킷을 통신 모듈(501)에 송신한다. 이 FHS 패킷에는 퍼스널 컴퓨터(1)(블루투스의 슬레이브)의 속성 정보로서, 퍼스널 컴퓨터(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블루투스 클럭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통신 모듈(502)로부터 송신되어 온 FHS 패킷을 단계 S603에서 수신했을 때, 단계 S604로 진행하여, 통신 모듈(501)은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접속을 요구한다.
즉, 통신 모듈(501)로부터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ID 패킷이 송신되고, 그 ID 패킷과 동일한 ID 패킷이 통신 모듈(502)로부터 통신 모듈(501)에 대하여 반송되어 왔을 때, 통신 모듈(50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및 블루투스 클럭을 포함하는, FHS 패킷이 통신 모듈(501)로부터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송신된다.
통신 모듈(501)로부터 송신된 FHS 패킷이 통신 모듈(502)에 의해 단계 S624에서 수신되었을 때, 통신 모듈(501)과 통신 모듈(502) 사이에서 주파수축(주파수 호핑 패턴) 및 시간 축(타임 슬롯)의 동기가 확립되어, 데이터 링크(통신 링크)가 확립된 상태로 된다(State 1).
예를 들면, 통신 모듈(502)과 통신 모듈(501)과의 사이에서, 처음으로 블루투스에 의한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경우, 단계 S605에서 통신 모듈(501)은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를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송신하여, 서로 인증을 행한다.
통신 모듈(501)로부터 송신되어 온 PIN 코드는, 단계 S625에서 통신 모듈(502)에 의해 수신되고, 그 후 PIN 코드와 난수 등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과 통신 모듈(502)과의 사이에서 각종 링크 키가 설정된다.
또, PIN 코드의 송수신은, 통신 모듈(502)로부터 통신 모듈(501)에 대하여 제공된 공개 키에 의해 암호화되고나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즉, 이 경우, 통신 모듈(502)은 통신 모듈(501)에 제공하는 공개 키에 대응하는 비밀 키를 스스로 관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시큐러티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하게, 퍼스널 컴퓨터(1)와 PDA(2)의 사이에서만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확립된 통신 링크는, 미약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통신 모듈(501)로부터의 전파가 닿는, 수㎝의 범위 내에서 유효한 것이기 때문에, 통신 모듈(501)은,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통신 모듈(502)과의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단계 S606에서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데이터 링크의 일시적인 절단을 요구한다. 이 때, 통신 모듈(502)의 블루투스 어드레스나 PIN 코드 등의, 그 때까지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정보는 통신 모듈(501)에 보존된다.
그 요구를 단계 S626에서 수신한 통신 모듈(502)은, 통신 모듈(501)과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취득된 통신 모듈(50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와 PIN 코드 등의 정보를 보존하여, 데이터 링크를 절단한다(State 2).
통신 모듈(501)은, 단계 S607에서, 재차 통신 모듈(502)과 데이터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CPU(101)로부터의 제어에 기초하여, 출력 전력의 전력 모드를 통상 전력 모드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수십m의 범위까지, 통신 모듈(501)로부터의 블루투스의 전파가 도달하게 된다.
또한, 통신 모듈(501)은 단계 S608로 진행하여, 데이터 링크를 절단하기 직전에 보존하고 있었던 정보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1)를 통신 상대의 단말기로서 특정하고,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접속을 요구한다.
이 요구가 단계 S627에서 통신 모듈(502)에 의해 수신되고, 서로의 단말기에서 설정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통신 모듈(501)과 통신 모듈(502)의 사이에서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상태, 즉 통상 전력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통신 모듈(501)로부터의 전파가 닿는, 예를 들면 수십m의 범위 내에서 블루투스에 의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State 3).
이상과 같이 하여 근접된 단말기를 통신 상대의 단말기로서 특정하는 도 30의 통신 시스템이 도 1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됨으로써, 만약 비접촉 IC 카드 리더 라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순히 PDA(2)를 퍼스널 컴퓨터(1)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이들 단말기의 사이에서 통신을 개시시켜, 상술한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근접된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사용자는, PDA(2)를 액세스 포인트(4)에 근접시키는 것만으로, 이들 기기의 사이에 데이터 링크를 확립시켜, 액세스 포인트(4)를 통하여 네트워크(5)에 접속할 수 있다.
도 33은 도 30의 통신 시스템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로서, 이 처리에서는, 통상 전력 모드에 의한 데이터 링크를 확립하기 전에, 통신 상대의 단말기(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를 사용자에게 확인시키도록 통신 상대의 기기의 외관 화상이 PDA(2)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PDA(2)에 의한 단계 S641 내지 S645의 처리, 및 퍼스널 컴퓨터(1)에 의한 단계 S661 내지 S665의 처리는, 도 32의 단계 S601 내지 S605의 처리, 및 단계 S621 내지 S625의 처리와 각각 마찬가지다.
즉, 미약 전력 모드에 의해, 예를 들면, 수㎝의 범위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어, PDA(2)의 통신 모듈(501)로부터 송신된 PIN 코드가 퍼스널 컴퓨터(1)의 통신 모듈(502)에 의해 수신된다.
통신 모듈(502)은, PIN 코드를 수신했을 때, 단계 S666에서 미리 준비되어 있는 퍼스널 컴퓨터(1)의 외관 화상을 통신 모듈(501)로 송신한다.
통신 모듈(502)로부터 송신된 외관 화상은, 단계 S646에서 통신 모듈(501)에 의해 수신되어, PDA(2)의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 메모리 등에 보존된다.
통신 모듈(501)은, 단계 S647에서, 미약 전력 모드에 의한 데이터 링크의 절단을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요구하고, 일시적으로 데이터 링크를 절단한 후, 단계 S648로 진행하여, 통상 전력 모드를 설정한다.
PDA(2)의 CPU(101)는, 단계 S649에서, 보존해 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1)의 외관 화상을 LCD(106)에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통상 전력 모드에 의해 데이터 링크를 확립하는 통신 상대의 단말기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계 S650에서, LCD(106)에 표시된 외관의 퍼스널 컴퓨터(1)에 접속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해 지시되었을 때, 단계 S651로 진행하여, 통신 모듈(501)은, 통상 전력 모드에 의한 접속을 통신 모듈(502)에 대하여 요구한다.
그 요구가 통신 모듈(502)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통상 전력 모드에 의한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다(State 3).
이상과 같이, 미약 전력 모드에 의한 데이터 링크가 확립되었을 때에 송신되어 온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말기의 외관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 상대의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시킬 수 있다.
또, 이상에서는 미약 전력 모드에 의한 통신이 확립되었을 때에, 통신 상대의 기기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외관 화상이 송신되는 것으로 했지만, 그 외에도, 통신 상대의 기기의 명칭 등의 각종 특징 정보가 송신되어, 사용자에게 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신 상대의 기기에 관한 음성 정보가 송신되고, 그것에 기초하는 음성 안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음성 정보가 수신된 기기에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접속하는 기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미리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가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22)(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23)(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24)(MD(등록 상표)(Mini-Disk)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25)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12)과 기억부(18)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은, 복수개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하고, 신속하게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Claims (14)

  1. 통신 그룹에 속하는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제1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상기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상기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수단과,
    상기 동기 확립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무선 통신을,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정보 처리 단말기가 근접되었을 때, 상기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제공하는 제공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통신 그룹에 속하는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 무선 통신 단계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상기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상기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단계와,
    상기 동기 확립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무선 통신을, 상기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통신 그룹에 속하는 제1 정보 처리 단말기와,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무선 통신 제어 단계와,
    상기 제1 무선 통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상기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상기 제1 정보 처리 단말기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상기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제2 무선 통신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통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상기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상기 제2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기 확립 제어 단계와,
    상기 동기 확립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무선 통신을, 상기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것을 제어하는 통신 확립 제어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5. 전자파를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무선 통신체가 근접되었을 때, 상기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상기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수단과,
    상기 동기 확립 수단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무선 통신을,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증에 있어서 이용되는 키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동시에 통신 가능한 기기의 수를 나타내는 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체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동기 확립 수단은, 상기 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했을 때, 상기 동기를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의 상기 수 정보를 1만큼 감산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시간대를 나타내는 시간대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체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동기 확립 수단은, 상기 시간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했을 때, 상기 동기를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가 상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기기의 종별을 나타내는 종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체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동기 확립 수단은, 상기 종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했을 때, 상기 동기를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통신체로부터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가 취득되었을 때, 상기 무선 통신의 기능을 기동시키는 기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전자파를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무선 통신체가 근접되었을 때, 상기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상기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갱신하는 갱신 단계와,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단계와,
    상기 취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계의 처리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상기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동기 확립 단계와,
    상기 동기 확립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무선 통신을, 상기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3. 전자파를 수신함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무선 통신체가 근접되었을 때, 상기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정보 처리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통신 그룹이 제공 가능한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에 관한 통신 방식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취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상기 무선 통신체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전자파를 통하여 갱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갱신 제어 단계와,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된 상기 통신 방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한 상기 무선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상기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단계와,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그룹을 관리하는 상기 정보 처리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의 동기를 확립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기 확립 제어 단계와,
    상기 동기 확립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동기가 확립된 상기 무선 통신을, 상기 선택 단계의 처리에 의해 선택된 상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확립하는 통신 확립 제어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전자파를 통하여 행해지는 통신, 적외선 통신, 또는 미약 전력 모드에서의 기기 탐색에 의해 통신 상대를 특정하는 블루투스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통신 그룹 형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20047005501A 2001-10-16 2004-04-14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17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7957 2001-10-16
JP2001317957 2001-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854A true KR20050036854A (ko) 2005-04-20
KR100917525B1 KR100917525B1 (ko) 2009-09-16

Family

ID=1913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05501A KR100917525B1 (ko) 2001-10-16 2004-04-14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7218B2 (ko)
EP (1) EP1437864A1 (ko)
JP (1) JP4182883B2 (ko)
KR (1) KR100917525B1 (ko)
CN (1) CN100592695C (ko)
WO (1) WO2003034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5847B1 (en) * 2000-10-10 2005-04-26 Symantec Corp. Extension mechanism and technique for enabling low-power end devices to access remote network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means
JP3870882B2 (ja) * 2002-09-12 2007-01-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596602B2 (en) * 2002-12-10 2009-09-29 Louis Ellma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by means of active advertisements in portable information transceivers
US8443067B2 (en) * 2003-04-25 2013-05-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order in a network
JP3892426B2 (ja) * 2003-08-05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機器、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US8024487B2 (en) * 2003-12-01 2011-09-20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can for wireless devices
JP4058557B2 (ja) * 2004-02-27 2008-03-12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中継装置
EP1717963B1 (en) 2005-04-25 2010-04-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equip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onic equip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5341027A (ja) * 2004-05-25 2005-12-08 Nec Saitama Ltd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形成方法
JP4539264B2 (ja) * 2004-09-27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643818B2 (en) 2004-11-22 2010-01-05 Seven Networks, Inc. E-mail messaging to/from a mobile terminal
US20080166966A1 (en) * 2004-12-20 2008-07-10 Shogo Hamasaki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7778675B1 (en) 2005-01-14 2010-08-17 American Megatrends, Inc. Remotely accessing a computing device in a low-power state
DE602005001315T2 (de) * 2005-01-28 2008-02-14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Automatische Integration von Inhalt aus mehreren Datenspeichern mittels eines Mobilkommunikationsgeräts
CN1838591B (zh) * 2005-03-21 2010-05-0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无线网络的自动安全认证系统及方法
JP2006295838A (ja) * 2005-04-14 2006-10-26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4774823B2 (ja) * 2005-06-16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設定方法、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設定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設定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657255B2 (en) * 2005-06-23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Provisioning of wireless connectivity for devices using NFC
JP2007004488A (ja) * 2005-06-23 2007-01-11 Sony Corp 電子広告システム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7036734A (ja) * 2005-07-27 2007-02-08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制御方法、通信制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KR100754207B1 (ko) * 2006-02-15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의 접근에 따라 자동으로 응용을 실행하는방법 및 장치
JP4816171B2 (ja) * 2006-03-15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8644396B2 (en) 2006-04-18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Waveform encoding for wireless applications
EP2025124B1 (en) 2006-04-26 2015-10-28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distribution of device functionality and resource management
US8289159B2 (en) 2006-04-26 2012-10-1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oc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406794B2 (en) 2006-04-26 2013-03-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of initiat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JP4242398B2 (ja) * 2006-06-02 2009-03-25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icカード、読み書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795859B2 (ja) * 2006-06-14 2011-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JP4902857B2 (ja) * 2006-12-18 2012-03-21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US8503968B2 (en) * 2007-01-19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509159B2 (en) * 2007-01-19 2013-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out-of-band channels
US8699421B2 (en) * 2007-01-19 201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channel selection and bandwidth reservation
US20090176481A1 (en) * 2008-01-04 2009-07-09 Palm, Inc.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LBS) Through Remote Display
JP5500779B2 (ja) * 2008-04-01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553034B2 (ja) * 2008-05-22 2010-09-2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プログラ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9294821A (ja) * 2008-06-04 2009-12-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5045596B2 (ja) * 2008-07-31 2012-10-10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5293426B2 (ja) * 2009-06-09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43870B2 (ja) * 2010-01-15 2013-11-13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20110177780A1 (en) * 2010-01-15 2011-07-21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5515879B2 (ja) * 2010-03-09 2014-06-1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CN102201840B (zh) * 2010-03-26 2014-03-12 宏碁股份有限公司 设备间建立联机的方法
CN102594554B (zh) * 2011-01-04 2014-12-24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蓝牙从设备及其相关认证方法
US9131370B2 (en) 2011-12-29 2015-09-08 Mcafee, Inc. Simplifi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3162307A (ja) * 2012-02-03 2013-08-19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10064221B2 (en) * 2012-03-14 2018-08-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rmining a transition of a terminal between its idle state and its connected state
US9485795B2 (en) * 2012-03-31 2016-11-01 Intel Corporation Proximity-based coupling service
US20130268687A1 (en) 2012-04-09 2013-10-10 Mcafee, Inc. Wireless token device
US9547761B2 (en) 2012-04-09 2017-01-17 Mcafee, Inc. Wireless token device
US8819445B2 (en) 2012-04-09 2014-08-26 Mcafee, Inc. Wireless token authentication
US9262592B2 (en) * 2012-04-09 2016-02-16 Mcafee, Inc. Wireless storage device
US20140073255A1 (en) * 2012-09-07 2014-03-1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of an electronic device
US9154945B2 (en) * 2012-09-12 2015-10-0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privacy protection in ad hoc networks
WO2014089446A1 (en) * 2012-12-07 2014-06-12 Tk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network pairing using electric field coupling
US9451642B2 (en) * 2013-08-01 2016-09-2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in-vehicle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device using NFC
JP6330279B2 (ja) * 2013-09-18 2018-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684938B (zh) * 2014-01-26 2017-03-08 华中科技大学 一种工业蓝牙网络系统及组网方法
WO2015183168A1 (en) * 2014-05-27 2015-12-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for improving transmission reliability of digital modulations with memory effects
US9591684B2 (en) 2014-06-06 2017-03-07 BBPOS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bluetooth pairing with a group of bluetooth devices
KR101565347B1 (ko) * 2014-11-20 2015-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효율적인 블루투스 연결을 지원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6485076B2 (ja) * 2015-01-30 2019-03-20 富士通株式会社 親ノード,子ノード,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TWI620158B (zh) * 2016-01-28 2018-04-01 中興保全股份有限公司 智慧型電子鎖系統
US11343752B2 (en) * 2017-08-30 2022-05-24 Rakuten Group, Inc.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cessing program
CA3153998A1 (en) * 2019-10-18 2021-04-22 Umano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patient support apparatus to a hospita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369B2 (ja) * 1989-04-21 1996-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非接触式icカ―ド
US5740533A (en) * 1996-06-03 1998-04-14 Motorola, Inc. Conges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multi-frequency messaging
JP3704533B2 (ja) * 1998-11-10 2005-10-12 株式会社東芝 通信方法、携帯端末装置及び計算機装置
US7346374B2 (en) * 1999-05-26 2008-03-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7257426B1 (en) * 1999-05-26 2007-08-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
JP4167367B2 (ja) 1999-11-18 2008-10-15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3670541B2 (ja) * 1999-11-26 2005-07-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DE69942507D1 (de) * 1999-12-06 2010-07-29 Ericsson Telefon Ab L M Intelligente Herstellung von Piconets
EP1107520A1 (en) * 1999-12-06 2001-06-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SE9904683L (sv) 1999-12-17 2001-06-18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system för att etablera en radioförbindelse med kort räckvidd
JP2001189722A (ja) * 2000-01-04 2001-07-10 Toshib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無線基地局、認証カード、および認証方法
EP1290830B1 (en) * 2000-06-13 2004-09-08 Red-M (Communications) Limited Call handling device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s with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FR2810486B1 (fr) * 2000-06-16 2005-04-15 Schneider Automation S A Systeme d'acces a un equipement d'automatisme via un reseau de proximite sans fil
JP2002150142A (ja) 2000-11-15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商品の販売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広告媒体
JP2002149948A (ja) 2000-11-15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広告媒体
US20020068604A1 (en) * 2000-12-04 2002-06-06 Prabhakar Samuel Muthiah Wearable data device for use in a wearable data network
US7164885B2 (en) * 2000-12-18 2007-01-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ervice access
KR100395332B1 (ko) * 2001-02-09 200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무선장치를 구비한 통신 단말간의 링크 연결 방법
US6754562B2 (en) * 2001-06-13 2004-06-22 Hunter Enginee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information transfer in vehicle service systems
US6842460B1 (en) * 2001-06-27 2005-01-11 Nokia Corporation Ad hoc network discovery menu
JP2003023424A (ja) * 2001-07-06 2003-01-24 Allied Tereshisu Kk Icカードを利用したネットワーク機器の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及びシステム
JP3671880B2 (ja) * 2001-07-18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通信端末および方法、拡張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7215923B2 (en) * 2001-08-06 2007-05-0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US20030036408A1 (en) * 2001-08-17 2003-02-20 Johansson Lars Olof High-density radio access system
JP3761505B2 (ja) * 2002-03-04 2006-03-29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装置
US7110784B2 (en) * 2002-08-23 2006-09-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7864A1 (en) 2004-07-14
JPWO2003034661A1 (ja) 2005-02-10
CN100592695C (zh) 2010-02-24
WO2003034661A1 (fr) 2003-04-24
US7747218B2 (en) 2010-06-29
CN1631004A (zh) 2005-06-22
KR100917525B1 (ko) 2009-09-16
US20040247023A1 (en) 2004-12-09
JP4182883B2 (ja)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25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71814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정보 처리단말기 및 방법
JPWO2003034660A6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
EP1408649B1 (en) System,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dentify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671881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通信端末および方法、拡張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16475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918886B1 (ko)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통신단말 및 방법
US20120100803A1 (en) Delayed and conditional transport switch
JP4655427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通信端末および方法、拡張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224677A (ja) 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040114538A1 (en) Device roles and piconet connections
KR100975174B1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단말기 및 방법, 정보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7324765A (ja) 無線接続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