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743A - 조절 가능한 침대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743A
KR20050034743A KR1020057003213A KR20057003213A KR20050034743A KR 20050034743 A KR20050034743 A KR 20050034743A KR 1020057003213 A KR1020057003213 A KR 1020057003213A KR 20057003213 A KR20057003213 A KR 20057003213A KR 20050034743 A KR20050034743 A KR 2005003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over
movable
safety switch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가와까미
겐지 다구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7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8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longitudinal axis, e.g. for rol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ollision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바닥부를 경사 또는 승강시켜 가동시키는 가동 기구와, 상기 바닥부의 동작과 연동하여 온/오프하는 안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고, 그 온/오프 상태가 절환됨으로써 상기 가동 기구가 정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 기구를 외부로부터 덮도록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커버의 설치 위치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고, 커버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면 상기 안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가 절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침대{MOVABLE BED}
본 발명은, 간호 지원 침대 등에 이용되는 조절 가능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절 가능한 침대의 안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 뒤집음 지원 침대 등에 이용되는 조절 가능한 침대는 그 사용자인 환자의 와위 상처, 소위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가 누운 침대의 매트면의 일부 또는 전면을 경사시키고, 경사 방향으로 환자를 몸을 뒤집어 체위 변환을 지원한다(일본 특허 공개 평6-14824호 공보를 참조). 이와 같은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대부분은 체위 변환 지원시에 그 매트면을 평탄한 상태로부터 매트 폭 방향을 향해 경사시키는 기구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조절 가능한 침대를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동 기구)는 일반적으로 마루부 하면측에 설치되지만, 상기 가동 기구는 외부에 대해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침대 구동시에 간호자 및 환자 또는 그 가족들 등이 잘못하여 기구 내에 손이 협입될 위험성이 있었다. 이로 인해, 조절 가능한 침대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데 있어서 해결해야 할 여지가 있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2는 가동 프레임 및 가동 스테이지 부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개략적인 침대 상면도이다.
도4는 고정 스테이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는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사시도(좌측 부재가 일어난 상태)이다.
도6은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사시도(굴곡 자세)이다.
도7은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사시도(좌측 방향에의 경사 상태)이다.
도8은 조절 가능한 침대 및 침대 프레임의 길이 방향 개략도이다.
도9는 메카니즘 커버를 구비한 고정 스테이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0은 제어부의 블럭도와 메카니즘 커버 주변의 구성도이다.
도11은 몸 뒤집음 지원 침대(개조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간호자 및 환자 또는 그 가족들 등에게 있어서 안전하게 조절 가능한 침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안전 기구를 구비한 조절 가능한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루부를 경사 또는 승강시켜 가동시키는 가동 기구와, 상기 마루부의 동작과 연동하여 온/오프(ON/OFF)하는 안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 스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그 온/오프 상태가 절환됨으로써 상기 가동 기구가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루부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동시에 상기 안전 스위치를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하여 온/오프 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 가능한 침대에 따르면, 첫째로 안전 스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남으로써 가동 기구가 정지하므로, 가동 기구 내에 협입된 이물질이나 인체가 있던 경우에 있어서도 이것들에 과잉의 힘을 부여하여 손상시키는 일 없이 조절 가능한 침대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 가동 기구에의 불필요한 액세스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가동 기구에의 협입(이물질이나 인체 등)이 있던 경우에 즉시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비약적으로 조절 가능한 침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둘째로, 이와 같이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가동 기구에의 과잉의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사전에 회피하는 등의 효과도 발휘된다.
이와 같은 조절 가능한 침대는, 구체적으로는 가동 기구를 외부로부터 덮도록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커버의 배치 위치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고, 커버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면 상기 안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가 절환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절 가능한 침대는, 구체적으로는 바닥면이 굴곡 가능한 마루부와, 마루부를 굴곡시켜 상체 일으키기, 무릎 올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굴곡 자세를 형성하는 굴곡 기구와, 마루부의 바닥면을 측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경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굴곡 기구 및 경사 기구 중 한 쪽의 기구는 다른 쪽의 기구의 작동 상태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경사 기구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조절 가능한 침대는 상기 마루부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재와, 상기 마루부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측부재를 일으키는 측부재 일으키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 기구는 상기 측부재 일으키기 기구에 의해 일으켜지는 상기 측부재의 방향을 향해 마루부의 바닥면을 경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1. 제1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먼저 본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것에 계속해서 상기 침대의 안전 기구(메카니즘 커버를 이용한 안전 기구)에 대해 상세를 설명한다.
1-1.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구성
도1은 조절 가능한 침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하는 몸 뒤집음 지원 침대(1)는 고정 스테이지(30) 상에 가동 스테이지(20)를 적재하고, 또한 이 위에 침대 프레임(10)을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침대 프레임(10)은 그 침대의 표면이 되는 면부분을 환자가 위에 잤을 때의 신체의 위치에 맞추어 등, 허리, 대퇴부, 종아리의 총 4개의 관절 부분을 갖도록 나누고, 이를 가동식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에서는 각각 상체판(11a), 허리판(11b), 대퇴부판(11c), 종아리(11d)를 같은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허리판(11b)은 가동 스테이지(20)와 용접 등에 의해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침대 프레임(10)이 가동 스테이지(20)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일은 없다. 그리고, 각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의 좌우 양측에는 체위 변환시에 환자의 신체 측면을 서포트하기 위한 측부재(12Ra 내지 12Rd, 12La 내지 12Ld)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 침대 프레임(10)의 상체판(1h) 및 대퇴부판(11c)은 가동 스테이지(20)의 센터 빔(21A)에 배치된 직접 이동 작동기(M1, M2)(도3의 침대 상면도를 참조)의 축과 L자형 연결 부재(211, 212)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 작동기(M1, M2)의 작동에 의해 환자가 굴곡 자세가 되도록 변형된다[도6의 침대 상태도, 도8의 (b)의 침대 측면도를 참조].
또한, 이 중 침대 프레임(10)에 있어서,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 측부재(12Ra 내지 12Rd, 12La 내지 12Ld)의 표면에는 와이어 메쉬가 뻗어져 있지만, 이하의 각 도면에서는 침대의 구성 및 동작을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 이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생략하고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 측부재(12Ra 내지 12Rd, 12La 내지 12Ld)의 프레임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고정 스테이지(30)에는 안전 기구로서의 메카니즘 커버(370k, 370L)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도9 이후에 도시한다. 또한 동작도로서 도시하는 도6 내지 8에서는 침대의 동작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측부재 지지 프레임(24R, 24L) 등 구성의 일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측부재(12Ra 내지 12Rd, 12La 내지 12Ld) 중 환자의 대퇴부 부근에 대응하는 12Rc 및 12Lc의 표면에는 상기 12Rc 및 12Lc와 대략 동일 사이즈의 봉투형 포켓이 배치되어 있다[도8의 (d)의 침대 측면도를 참조]. 또한 환자의 종아리에 접촉하는 12Rd 및 12Ld에는 단부에 부채형판(13R, 13L)(13R은 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고, 통상 이들은 상기 12Rc 및 12Lc의 포켓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침대 프레임(10)의 굴곡 자세에의 변형시에는 부채형판(13R, 13L)이 포켓으로부터 노출되어 환자의 무릎 부분을 서포트한다.
가동 스테이지(20)는 센터 빔(21A), 사이드 빔(21R, 21L) 및 이들 3개의 프레임의 각 양단부를 평행하게 접속하는 2개 프레임에 의해 직사각형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사이드 빔(21R, 21L)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스테이지(30)의 롤러 슬라이드 프레임(300) 상을 도면 중 y방향에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롤러(200, 201, 202, 203)[203은 침대 프레임(10)의 아래에 숨어 있음]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스테이지(20)의 사이드 빔(21R, 21L)에는 이들 프레임(21R, 21L)의 각각에 따른 각 2개의 바(22R, 23R, 22L, 23L) 및 접속부(231R, 232R, 231L, 232L)로 이루어지는 사다리형의 측부재 지지 프레임(24R, 24L)이 배치되어 있다. 측부재(12Rb, 12Lb)와 측부재 지지 프레임(24R, 24L)이 서로 대응하는 바(22R, 23R, 22L, 23L)의 영역은 부분적으로 오목부로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측부재(12Rb)가 협입되도록 되어 있고(도3의 침대 상면도를 참조), 침대 프레임(10)의 굴곡 자세에의 변형시에 측부재(12Ra, 12La 및 12Rc, 12Lc와, 12Rb, 12Lb)가 서로 판두께 방향에서 간섭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한 바(22R, 22L)와 프레임(21R, 21L)은 연결 부재(236Ra, 236La, 236Rb, 236Lb)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에 의해 바(22R, 22L)는 프레임(21R, 21L)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 바로서 움직인다. 그리고, 측부재 지지 프레임(24R, 24L)이 회전 바(22R, 22L)를 축 중심으로 하여 침대 평면을 수직 방향(z방향)까지 회전하면, 침대 프레임(10)의 측부재(12Ra 내지 12Rd, 12La 내지 12Ld)가 밀어 올려지므로, 이를 일으킬 수 있다.
여기서 도2의 (a) 내지 (c)는 가동 스테이지(20) 및 침대 프레임(10)의 허리판(11c) 부근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침대 단면의 작동기 동작도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 가능한 침대(20)에는 상기한 침대 프레임(10)의 변형을 위한 작동기(M1, M2) 외에, 센터 빔(21A)의 좌우 방향, 즉 y방향 양측으로부터 연결 부재(236Ra, 236La)로, 대칭적으로 직접 이동 작동기(M3R, M3L)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작동기(M3R, M3L)의 각 축선단부가 회전 바(22R, 22L)로부터 수직 하강하여 고정된 L자 부재(235R, 235L)와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작동기(M3R, M3L)가 축을 신장시킴으로써 L자 부재(235R, 235L) 및 바(23R, 23L)가 회전 바(22R, 22L)를 축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측부재 지지 프레임(24R, 24L)이 침대 수평면으로부터 일어나고, 침대 수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어난다[동작 도2의 (a) → (b) → (c)].
또한, 사이드 빔(21R, 21L)의 하면에는 스테이지 바(27R, 27L)가 구비되어 있고, 고정 스테이지(30)측의 U자형 단면을 갖는 스테이지 바 받침(36R, 36L)과 끼워 맞춘다. 이 스테이지 바 받침(36R, 36L)에는 폭 방향에 따라서 내부에 역L자형의 갈고리가 있고, 스테이지 바(27R, 27L) 주위에 상기 갈고리가 걸림으로써 수직 방향에 가동 스테이지(20)를 고정하고 있지만, 가동 스테이지(20)의 경사시에 경사진 스테이지측의 스테이지 바(27R, 27L) 중 어느 하나가 스테이지 바 받침(36R, 36L)으로부터 이격된다.
여기서, 도4는 고정 스테이지(30)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고정 스테이지(30)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3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의 한 쌍의 짧은 변이 롤러 슬라이드 프레임(300)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가동 스테이지(20)의 롤러(200, ……)가 상기 프레임(300) 상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스테이지(30)의 양 사이드 빔(32R, 32L)은 역ㄷ자형 단면을 갖는 슬라이드 홈 부재이고, 이 슬라이드 홈을 마주 대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빔(32R, 32L)에는 각각 스테이지 바 받침(36R, 36L)과 연결된 지지 아암(354R, 356R, 354L, 356L)의 단부가 왕복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지지 아암(354R, 356R, 354L, 356L)에는 사이드 빔(32R, 32L)에 일단부가 연결된 역L자형 회전 아암(351R, 352R, 351L, 352L)이 링크되고, 상기 회전 아암(351R, 352R, 351L, 352L)에는 수평 링크(353R, 353L)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지 바 받침(36R, 36L)과 수평 링크(353R, 353L) 사이에는 비스듬하게 작동기(M4R, M4L)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정 스테이지(30)의 좌우 양 사이드에는 수평 슬라이드 기구를 응용한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가 형성된다. 이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에서는 회전 아암(351R, 352R, 351L, 352L)이 사이드 빔(32R, 32L)측의 연결 부분을 중심으로 원운동하면서 상기 회전 아암(351R, 352R, 351L, 352L)에 규제되면서 지지 아암(354R, 356R, 354L, 356L)의 각 한 쪽단부가 사이드 빔(32R, 32L) 내를 각각 왕복 운동하고, 상기 지지 아암(354R, 356R, 354L, 356L)이 수직 방향으로 요동하면, 스테이지 바 받침(36R, 36L)에 의해 지지된 가동 스테이지(20) 및 침대 프레임(10)은 고정 스테이지(30)의 좌우 양 사이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몸 뒤집음 지원 침대(1)에서는 공간이 절약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승강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롤러(200 ……)와,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와의 채용에 의해 체위 변환시에도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이드 빔(32R, 32L)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 중 어느 한 쪽을 구동하면 앙와위로부터 측와위에의 체위 변환이 이루어지지만,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침대의 하이 로우(High/Low) 기구가 실현된다.
또한, 각 작동기(M1, M2, M3R, M3L) 등의 동작은 각각 도10에 도시하는 제어부(400) 중에 포함되는 모터 드라이버(403)와 CPU(401)에 의해 제어되어 있고, 예를 들어 바로 옆 제어기에 의해 간호자에 의해 수동/자동 설정, 프로그램 설정 등의 구동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식이나 코드가 달린 유선 혹은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를 설치함으로써 환자 자신에 의한 설정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도시하는 몸 뒤집음 지원 침대(1)의 구성은 일예이며, 본 제1 실시 형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메카니즘 커버(370R, 370L)는 이 이외의 구성을 갖는 몸 뒤집음 지원 침대에 적용해도 좋다.
1-2.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동작예(앙와위로부터 좌측와위에의 변환)
이상의 구성의 몸 뒤집음 지원 침대는 침대 프레임(10) 상에 상세를 후술하는 조절 가능한 침대용 매트를 부설하여 이용된다. 그리고 통상의 형태는, 상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 측부재(12Ra 내지 12Rd, 12La 내지 12Ld)가 대략 수평면으로 설정되어 침대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여기서는 일예로서 간호자)가 제어기를 거쳐서, 예를 들어 메뉴 중에 있는 <굴곡 자세에서 앙와위 → 좌측와위 변환>에 관한 항목을 선택하여 이를 실행시키면, 우선 가동 스테이지(20)에 부착된 작동기(M3L)가 작동하여 축이 연신된다. 그리고, 상기 축의 선단부에 연결된 L자 부재(235L)와 바(23L)가 회전 바(22L)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측부재 지지 프레임(24L)이 침대 평면으로부터 일어나고, 침대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일어난다[작동기의 작동도 ; 도2의 (a) → (b) → (c), 수직으로 일어난 측부재(12La 내지 12Ld)의 상태도 ; 도5 및 이 때의 침대 측면도 ; 도8의 (c)].
계속해서, 가동 스테이지(20)의 센터 빔(21A)에 부착된 직접 이동 작동기(M1, M2)의 축 선단부가 연신되고, L자형 연결 부재(211, 212)를 거쳐서 침대 프레임(10)의 상체판(11a) 및 대퇴부판(11c)이 배면측으로부터 밀어 올려져 상체 일으키기 및 무릎 올리기의 굴곡 자세가 형성된다[굴곡 자세에 있는 침대 사시도 ; 도6, 이 때의 침대 단면도 ; 도8의 (a) → (b)]. 이와 함께, 측부재(12La 내지 12Ld)도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에 맞추어 변형된다. 이 때, 측부재(12Lc)에 설치된 포켓으로부터 부채형판(13L)이 노출되어 환자의 무릎 부분에 위치하는 매트 부분 및 이불 부분을 서포트한다[이 때의 침대 측면도 ; 도8의 (c) → (d)].
그리고, 이상의 동작에 의해 측부재 일으키기 및 굴곡 자세가 정돈되면, 고정 스테이지(30)의 사이드 빔(32R)측에 있어서의 작동기(M4R)가 작동하여 축이 연신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지 바 받침(36R)과 수평 링크(353R)의 기울기 거리가 이격되고, 지지 아암(354R, 356R)이 사이드 빔(32R)의 슬라이드 홈 상을 슬라이드하여 들어 올려져 평행 사변형 기구(35R)가 동작한다. 이 때, 지지 아암(354R, 356R, 또는 354L, 356L)은 회전 아암(351R, 352R, 또는 351L, 352L)의 상기 원운동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20)의 우측부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다. 이와 함께, 가동 스테이지(20)의 우측 사이드가 고정 스테이지(30)보다 높은 위치로 올려지고, 가동 스테이지(20)의 롤러(200, ……)가 롤러 슬라이드 프레임(300) 상을 구르고, 침대 프레임(10)은 고정 스테이지(30)의 사이드 빔(32L), 즉 침대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다(침대 경사시의 침대 상태도 ; 도7). 이 때의 바람직한 경사각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평면에 대해 약 30도 내지 70도의 범위, 일예로서 약 5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침대 프레임(10)의 변형에 따르면, 환자는 앙와위로부터 측와위에의 체위 변환에 있어서, 미리 앙와위에서 상체 일으키기/무릎 올리기의 굴곡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연결 마루부(11a 내지 11d)와 측부재(12La 내지 12Ld)에 서포트되면서 간호자가 손을 대고, 그 손에 따라서 회전하는 미끄러움으로 양호하게 체위 변환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된 특징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1-3. 몸 뒤집음 지원 침대에 있어서의 안전 기구
도9는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 부근에 안전 기구를 장비한 몸 뒤집음 지원 침대의 고정 프레임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구성에서는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의 부분을 외부로부터 커버하는 판형의 메카니즘 커버(370R, 370L)를 장착하고 있다.
이 메카니즘 커버(370R, 370L)는, 구체적으로는 그 본체 부분을 이루는 커버부가 일예로서 스틸렌 보드로 제작되어 있지만, 이 커버부가 서로 끼워 맞추는 2개의 U자형 부재(372R, 373R, 372L, 373L)(372R, 373R은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스테이지 바 받침(36R, 36L)의 측부에 현가 및 장착되어 있다. 도10의 (b)는 이 때의 현가 및 장착의 모습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조립도이다. 서로 끼워 맞추는 2개의 U자형 부재(372R, ……) 사이에는 안전 스위치의 일예로서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MSR은 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의 상태(SWR, SWL)는 도10의 (a)의 제어부 블럭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0) 중의 I/O(402)를 거쳐서 CPU(401)에 관리되어 있다. 그리고, 통상은 메카니즘 커버(370R, 370L)의 자중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가 온 상태로 되어 있지만, 메카니즘 커버(370R, 370L)의 하부로부터 이물질(예를 들어 간호자의 팔 등)이 협입되면, 메카니즘 커버(370R, 370L)가 부상하여 U자형 부재(372R, ……)가 어긋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의 검출 신호가 오프 상태가 된다. 이를 상기 제어부(400)의 CPU(401)가 검지하고,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 중의 작동기(M4R, M4L)의 구동을 정지하여 안전 기구를 이룬다. 이와 같이, 메카니즘 커버(370R, 370L)는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의 온/오프 상태의 절환 부재로서 동작한다.
또한, 도10의 (a)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굴곡 자세를 형성하기 위한 작동기(M1, M2)도 맞추어 정지시킨다. 또한, 여기서는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를 이용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마이크로 스위치 대신에, 푸쉬 스위치, 레버 스위치, 사이드 스위치 등 다른 종류의 스위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간호자 및 환자 및 그 가족들이 잘못하여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 부근에 손을 넣은 상태에서 침대가 가동해도 메카니즘 커버(370R, 370L)의 하부가 팔 등에 접촉하고 서로 끼워 맞추고 있던 2개의 U자형 부재(372R, ……)가 어긋남으로써 순간적으로 침대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종래에 비해 비약적으로 높은 안전 기구를 갖는 몸 뒤집음 지원 침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메카니즘 커버(370R, 370L)를 설치함으로써 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침대 내부의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를 포함하는 가동 기구의 내부에 간호자 및 환자 및 그 가족들의 신체의 일부(손 발 등)가 잘못하여 들어가지 않도록 안전 대책이 이루어지는 것 외에, 상기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를 포함하는 가동 기구를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U자형 부재(372R, ……)가 어긋남으로써 침대의 구동이 정지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2개의 U자형 부재(372R, ……)가 서로 부상한 시점에서 마이크로 스위치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의 구동을 오프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U자형 부재(372R, ……)를 이용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카니즘 커버가 소정 위치(통상에 있어서 현가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어긋난 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의 구동을 오프로 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한 메카니즘 커버(370R, 370L)의 사이즈로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를 덮을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예를 들어 더욱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가동 스테이지(20)의 x방향 길이까지 연장한 긴 사이즈의 것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여기서는 구체적인 일예로서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를 포함하는 가능 기구를 외부로부터 덮는 판형의 스틸렌 보드를 구비한 메카니즘 커버(370R, 370L)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상기 가동 기구를 그만큼 덮어 숨길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즉 예를 들어 메카니즘 커버(370R, 370L)를 단순히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의 작동을 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도 좋은 경우에는], 이것 외에 금속제 혹은 수지제 프레임[프레임의 전체 사이즈는 현상의 메카니즘 커버(370R, 370L)와 동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함]이나, 격자형 커버, 또는 투광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판형 커버 등 적절하게 커버의 재료나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평행 사변형 기구(35R, 35L) 상부인 U자형 부재(372R, ……) 사이에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를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 이외에도 예를 들어 353(R, L), 354(R, L), 356(R, L) 중 어느 하나의 부재 위치에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를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마이크로 스위치(MSR, MSL)에 대해 상기 U자형 부재 등을 이용하여 상기 메카니즘 커버(370R, 370L) 대신에 막대재 혹은 선재로 이루어지는 절환 부재를 설치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1-4. 그 밖의 사항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평행 사변형 기구를 이용한 침대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침대는 평행 사변형 기구를 이용하는 침대 구성에 적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하와 같은 다른 구성의 조절 가능한 침대에 적용해도 좋다.
도11의 (a)에 도시하는 몸 뒤집음 지원 침대는 직접 이동 작동기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수직 방향에의 승강 기구를 이용하여 좌우 어느 하나의 측부재를 승강하고, 이에 의해 가동 스테이지 상의 마루부를 경사시키는 것이다. 상기 몸 뒤집음 지원 침대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고정 스테이지 중에 한 쌍의 기둥형 직접 이동 작동기를 배치하고, 이 위에 가동 프레임에 지지된 침대 프레임을 배치하고 있다. 마루부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결 마루부로 구성되어 환자의 상체, 허리, 대퇴부, 종아리의 각각에 상당하는 복수의 관절로 연결되어 있고, 이 중 허리판에 상당하는 부분이 마루부 프레임 형상의 가동 프레임과 고정되어 있다. 마루부의 배면에는 굴곡 자세를 위한 작동기 기구를 구비한 구동부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안전 기구를 이루는 메카니즘 커버는 상기 기둥형 직접 이동 작동기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기둥형 직접 이동 작동기 상에는 측부재가 배치된다. 상기 측부재에는 그 내부에 수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침대 길이 방향으로 분할되어 서로 연결된 인출식 측부재를 수납하고 있다. 측부재는 상기 인출식 측부재를 거쳐서 마루부를 지지하는 가동 스테이지와 연결되어 있다. 인출식 측부재는 인장 스프링 등에 의해 수납 홈 방향을 향해 압박되어 있고, 인출력이 약해지면 자동적으로 수납 홈으로 수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간호 지원 침대에 따르면, 구동시에는 도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연결 마루부에서 굴곡 자세를 형성한다. 그 중, 한 쪽의 기둥형 직접 이동 작동기가 작동하여 그 위의 측부재를 강하한다. 이에 수반하여 가동 스테이지의 한 쪽 사이드가 경사지고, 연결 마루부도 경사진다. 그리고 경사진 가동 스테이지의 사이드 하방에서는 연결 마루부에 대해 인출식 측부재가 수납 홈으로부터 인출되고, 연결 마루부에 대해 인출식 측벽이 상대적으로 일어난 상태, 즉 연결 마루부에 인출식 측부재가 현수되어 상기 양자의 각도가 좁아진 상태가 된다. 또한, 동시에 측부재가 마루부의 바닥면에 대해 일어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환자는 굴곡 자세에서 신체 측부가 인출식 측부재에 서포트되는 효과가 발휘되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양호하게 체위 변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침대 구성에 있어서, 메카니즘 커버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작동하여 양호한 안전 기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상태가 통상은 온, 협입시에 오프가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마이크로 스위치의 상태(2)가 통상은 오프, 협입시에 온 상태가 되도록 해도 좋다. 이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의 검출은 회로계의 고안에 의해 상기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CPU(401)가 각종 작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CPU를 이용하지 않고 하드적으로 이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예를 들어 마이크로 스위치가 오프가 되면 작동기 등의 구동계에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등의 구성).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적용해도 좋다.
이상의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침대는 간호 지원 침대로서, 또한 리크라이닝 침대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마루부를 경사 또는 승강시키는 가동 기구와,
    상기 가동 기구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안전 스위치를 구비하고,
    통상은 상기 안전 스위치가 압박 상태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압박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안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가 절환되어 상기 가동 기구가 정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동시에 상기 안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가동 기구를 외부로부터 덮도록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 스위치는 상기 커버의 배치 위치에 맞추어 설치되어 있고,
    커버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어긋나면 상기 안전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가 절환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기구는,
    마루부를 굴곡시켜 상체 일으키기, 무릎 올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굴곡 자세를 형성하는 굴곡 기구와,
    마루부의 바닥면을 측방으로 경사시키는 경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굴곡 기구 및 경사 기구 중 한 쪽의 기구는 다른 쪽의 기구의 작동 상태에서 동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경사 기구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부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재와,
    상기 마루부의 바닥면에 대해 상기 측부재를 일으키는 측부재 일으키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 기구는 상기 측부재 일으키기 기구에 의해 일으켜지는 상기 측부재의 방향을 향해 마루부의 바닥면을 경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침대.
KR1020057003213A 2002-08-29 2003-08-26 조절 가능한 침대 KR200500347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51233 2002-08-29
JPJP-P-2002-00251233 2002-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743A true KR20050034743A (ko) 2005-04-14

Family

ID=3202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213A KR20050034743A (ko) 2002-08-29 2003-08-26 조절 가능한 침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85913A1 (ko)
EP (1) EP1541108A4 (ko)
JP (1) JPWO2004026211A1 (ko)
KR (1) KR20050034743A (ko)
TW (1) TWI235056B (ko)
WO (1) WO2004026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0668A (ja) * 2002-02-22 2003-11-05 Sanyo Electric Co Ltd 可動ベッド
US7469306B2 (en) * 2002-06-28 2008-12-23 Nxp B.V.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first and second device that includes reference to metadata wherein third device modifies the metadata based on specific operations by first device
JP3960885B2 (ja) * 2002-08-21 2007-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可動ベッド用マット
CN100579497C (zh) * 2004-12-28 2010-01-13 奥林巴斯株式会社 胶囊型医疗装置用导入辅助装置
KR100661870B1 (ko) 2006-05-12 2006-12-27 주식회사 해피베드 밀림방지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식 환자용 침대
KR100621350B1 (ko) * 2006-05-12 2006-09-07 주식회사 해피베드 하지 관절 운동이 가능한 작동구조를 갖는 환자용 침대
KR100621349B1 (ko) 2006-05-12 2006-09-07 주식회사 해피베드 분할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환자용 침대
DE202007017534U1 (de) * 2007-12-13 2009-04-23 Dewert Antriebs- Und Systemtechnik Gmbh Elektromotorischer Möbel-Doppelantrieb
EP2095744B1 (en) * 2008-02-28 2010-03-17 SHL Group AB Bed
IT1393754B1 (it) * 2009-04-22 2012-05-08 Costantini Rete a ribalta per letto sospeso
JP5566079B2 (ja) * 2009-11-02 2014-08-06 株式会社モルテン 昇降式ベッド
WO2011155769A2 (ko) * 2010-06-09 2011-1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용자 체형에 따라 회전축을 가변시킬 수 있는 욕창방지용 전동침대 플랫폼 및 이의 자세변환주기 제어방법
WO2012092513A1 (en) * 2010-12-29 2012-07-05 Malakhov Mikhail Devices and systems for supporting a user
CN104000701B (zh) * 2013-02-25 2016-12-28 温绣蔺 烧伤综合治疗床
US9572735B2 (en) 2013-03-15 2017-02-21 Kap Medical, Inc. Bed systems and method
CN104207900B (zh) * 2013-05-31 2016-08-31 姚聪 医用创面治疗床
US10188569B2 (en) 2013-09-06 2019-01-29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usable with bariatric patients
WO2015032003A1 (en) 2013-09-06 2015-03-12 Chg Hospital Beds Inc. Patient support usable with bariatric patients
US9049942B2 (en) * 2013-11-05 2015-06-09 Apex Health Care Mfg. Inc. Movable bed
JP6734012B2 (ja) * 2014-06-25 2020-08-0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介護用ベッド
US10507148B2 (en) 2014-11-13 2019-12-17 Kap Medical, Inc. Powered drive bed systems and methods
US9648961B1 (en) * 2015-02-16 2017-05-16 Angela Laverne Lovely Translocatable child care changing station
JP5982662B1 (ja) * 2015-10-06 2016-08-31 林金属工業株式会社 介護用ベッド
DK178773B1 (en) * 2016-04-06 2017-01-16 Gdv Tech Aps Bed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hospital bed
FR3051112B1 (fr) * 2016-05-12 2022-06-03 Telecom Sante Procede et dispositif de pilotage d'un lit motorise
US11241346B1 (en) 2016-06-07 2022-02-08 Albert F. Haas Portable body positioning bed frame assembly
US10842701B2 (en) 2016-10-14 2020-11-24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stabilization
US10881567B2 (en) * 2016-10-28 2021-01-05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apparatus
US10441084B2 (en) * 2017-02-18 2019-10-15 Ulife Healthcare Inc. Lightweight modular bed
TWM540570U (zh) * 2017-02-18 2017-05-01 Ulife Healthcare Inc 輕量化床架裝置
US11039964B2 (en) 2017-03-06 2021-06-22 Stryke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a patient transport apparatus
TWM559120U (zh) * 2018-02-01 2018-05-01 Ulife Healthcare Inc 電動傢俱床
CN109745190A (zh) * 2019-01-31 2019-05-14 青岛阿玛苏康养医疗有限公司 一种医用移动装置及其使用方法
US11622633B2 (en) * 2019-10-08 2023-04-11 Jiahuan Liu Multifunctional motion simulation bed
CN115105344B (zh) * 2022-06-28 2023-06-16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多功能检查床
TWI803397B (zh) * 2022-07-21 2023-05-21 施權航 電動床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1808C3 (de) * 1972-10-21 1984-09-0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Zahnärztlicher Patientenstuhl mit Parallelogrammtragarm
US4463463A (en) * 1980-03-28 1984-08-0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djustable bed
US4470030A (en) * 1983-05-18 1984-09-04 Ledex, Inc. Trip solenoid
US4534077A (en) * 1983-10-03 1985-08-13 Simmons Universal Corporation Hospital bed having safety mechanism
JPS6134949U (ja) * 1984-08-06 1986-03-04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起床式ベツド装置
US4724554A (en) * 1986-09-12 1988-02-16 Standex International Tilting patient treatment table having safety switch mat mechanism
GB9121217D0 (en) * 1991-10-05 1991-11-20 Smiths Industries Plc Patient support tables
US5625913A (en) * 1994-02-14 1997-05-06 Singleton; William H. Oscillatory bed
JPH0994271A (ja) * 1995-10-02 1997-04-08 Dream Sogo Kenkyusho:Kk 起伏式ベッドの安全装置
FR2770396B1 (fr) * 1997-11-06 2000-03-10 Sunrise Medical Sa Lit comprenant un cadre reglable en hauteur et un dispositif de securite de descente dudit cadre
DE19814269C2 (de) * 1998-03-31 2001-09-27 Okin Ges Fuer Antriebstechnik Sicherheitseinrichtung bei einem Möbel
US6516478B2 (en) * 2001-05-31 2003-02-11 Health & Technology, Inc. Adjustable height bed
US7239906B1 (en) * 2002-04-18 2007-07-03 Fonar Corporat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 including a transpolar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26211B1 (ja) 2004-05-13
TW200404529A (en) 2004-04-01
JPWO2004026211A1 (ja) 2006-01-12
WO2004026211A1 (ja) 2004-04-01
TWI235056B (en) 2005-07-01
EP1541108A1 (en) 2005-06-15
EP1541108A4 (en) 2008-03-05
US20060085913A1 (en)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4743A (ko) 조절 가능한 침대
JP3960885B2 (ja) 可動ベッド用マット
US7165277B2 (en) Adjustable bed
CN102481223B (zh) 床以及床的合体方法和分离方法
JP3362097B2 (ja) ベッド装置
KR101227967B1 (ko)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WO2017061471A1 (ja) 寝台装置
US7451505B2 (en) Bed tilting apparatus
JP7171868B2 (ja) ベッド装置
US4324010A (en) Drive unit for adjustable beds
JP6668179B2 (ja) 足ボトム支持構造および寝台装置
JP4024065B2 (ja) ベッド
JP2020114487A (ja) 寝台装置
CN210330952U (zh) 一种升降床
JP3610451B2 (ja) ベッド
JP2007252469A (ja) 支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介護ロボット装置
JP6691249B2 (ja) 寝台装置
JP3740743B2 (ja) 電動昇降式寝台の昇降制御装置
JP3989481B2 (ja) 可動ベッド
JP7125452B2 (ja) 寝台装置
JP2019110976A (ja) ベッド装置
JP3543293B2 (ja) ストレッチャー
JPH0224144B2 (ko)
JP2001029175A (ja) 電動低床式昇降ベッド
JPH06304209A (ja) 医療用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