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366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366A
KR20050031366A KR1020040067850A KR20040067850A KR20050031366A KR 20050031366 A KR20050031366 A KR 20050031366A KR 1020040067850 A KR1020040067850 A KR 1020040067850A KR 20040067850 A KR20040067850 A KR 20040067850A KR 20050031366 A KR20050031366 A KR 20050031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posure apparatus
developing
bearing member
develo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236B1 (ko
Inventor
야마모토요시히로
세키카와요시히토
요시노가즈히로
소네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1Details of unit for expo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4La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담지체(image carrier);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담지체에 이르는 광 경로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한 상기 현상 롤의 외접원 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상 담지체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현상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수평선 아래쪽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및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옐로(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4개 컬러의 현상 장치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각 컬러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하여 회전식 현상기 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사 장치와 같은 다른 구성 부품들은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주위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JP-A-8-328348, JP-A-2001-175077, 및 JP-A-2002-341706).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하여 잠상(latent image)을 화상 담지체(image carrier) 상에 기록하기 위한 빔(beam)의 출사 위치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에 근접하는 경우에, 광학 경로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화상 담지체로의 빔의 입사각을 상기 화상 담지체의 법선(normal line)에 대하여 더 크게 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빔의 화상 담지체에 대한 입사각이 상기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더 커지면, 제조 편차에 기인한 광학 경로 시프트가 생기기 더 쉬워지고, 그 결과 화상 결함이 생긴다. 또한, 빔의 에너지 손실이 더 증대하는 문제가 때때로 발생한다.
또한, 노광 장치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 아래에 배치되고 빔이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위쪽으로 출사되는 경우에, 토너가 빔의 출사 부분에 달라붙어서 화상이 교란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제조 편차 등으로 인한 화상 결함을 억제함으로써 잠상을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빔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잠상을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빔의 출사 부분에 토너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의 교란을 저감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rotary developer unit);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담지체에 이르는 광 경로가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한 상기 현상 롤의 외접원 내를 통과한다. 따라서, 잠상을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빔의 출사 위치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에 근접하는 경우에도 화상 담지체에 대한 빔의 입사각이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더 작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가능한 한 화상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소형화될 수 있다.
또,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한 빔의 입사각이 상기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30도 이하가 되도록 빔을 출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빔의 입사각이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30도 이하가 되므로, 빔의 반사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상기 화상 담지체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상기 현상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수평선 아래쪽이면서 상기 화상 담지체를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 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외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화상 담지체의 모두 또는 하나의 아래쪽에 노광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화상 담지체로부터 떨어진 토너가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면적을 넓히지 않고서도 노광 장치의 빔 출사 위치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 및 소위 "흐려짐(cloud)"이라 불리는 토너에 의한 빔의 방해에 기인한 화상의 교란의 방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상기 화상 담지체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상기 현상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수평선 아래쪽이면서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화상 담지체의 전부 또는 하나의 아래쪽에 노광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영역을 넓히지 않고서도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은 토너가 화상 담지체로부터 떨어져서 노광 장치의 빔 출사 위치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 및 소위 "흐려짐(cloud)"의 방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은 하부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에 상기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광 장치가 화상 담지체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토너가 화상 담지체로부터 떨어져서 노광 장치의 빔 출사 위치에 부착되는 것을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하부 플레이트가 방지하기 때문에, 소위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빔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상기 빔 투과부를 통하여 상기 화상 담지체에 이르는 광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빔을 출사한다. 따라서, 노광 장치가 화상 담지체 아래쪽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노광 장치를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영역을 넓히지 않고서도 회전식 현상기 유닛이 화상 담지체로부터 분리될 때 비산하고 노광 장치의 빔 출사 위치로 떨어지는 토너를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소형화 및 소위 "흐려짐(cloud)"의 방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광 장치는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외측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노광 장치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노광 장치를 착탈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어 장착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식 현상기 유닛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노광 장치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따르면, 화상 담지체; 복수의 현상부를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현상부 각각이 소정의 회전 중심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이동하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노광 장치로서,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복수의 현상부가 회전하는 외접원의 내측을 통과하게 하는 노광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조 편차 등에 기인한 화상 결함을 억제함으로써 잠상을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빔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토너가 잠상을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빔의 출사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의 교란을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 설치되며 나중에 설명되는 배출부(14),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 설치된, 예컨대, 단일 스테이지의 용지 공급 장치(16)를 구비한다.
용지 공급 장치(16)는 용지 공급 장치 본체(18)와 용지가 수용되는 용지 공급 카세트(20)를 구비한다. 용지 공급 카세트(20)의 후단 상부 근처에는 용지 공급 카세트(20)로부터 용지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롤(22)과 공급 용지를 한 장씩 분리하기 위한 지연 롤(24)이 배치되어 있다.
반송 경로(26)는 공급 롤(22)로부터 배출 개구(28)까지의 용지 경로이며, 이 반송 경로(26)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후면측(도 1의 우측면) 근처에 위치되어 있고, 용지 공급 장치(16)로부터 나중에 설명되는 정착 장치(92)까지 거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 경로(26)를 따른 정착 장치(92)의 상류측에는, 나중에 설명될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backup) 롤(76)이 배치되어 있고,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의 상류측에는, 레지스트(resist) 롤(30)이 배치되어 있다. 레지스트 롤(30), 공급 롤(22), 및 지연 롤(24)의 사이에는 이송 롤(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 경로(26)의 배출 개구(28) 근처에는 배출 롤(34)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공급 롤(22)에 의해 용지 공급 장치(16)의 용지 공급 카세트(20)로부터 공급된 용지는 지연 롤(24)에 의해 분리되고, 최상측 용지만이 반송 경로(26)로 안내되고 레지스트 롤(30)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다음에, 주어진 타이밍에서, 상기 용지는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 사이를 통과하고, 토너 화상이 상기 용지 위로 전사되고, 전사된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92)에 의해 정착되고, 상기 용지는 배출 롤(34)에 의해 배출 개구(28)로부터 배출부(14)로 배출된다.
한편,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옵션으로서 양면 인쇄를 행하도록 반전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배출 롤(34)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용지가 반전 장치로 공급되어 레지스트 롤(30)로 복귀된다.
배출부(14)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경사부(36)를 갖는다. 경사부(36)는 배출 개구 부분에서 낮고 전방을 향하여(도 1의 좌측 방향으로) 점점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이, 예컨대 거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은 현상기 유닛 본체(40), 상부 플레이트(42), 및 하부 플레이트(44)를 포함하고 있다. 현상기 유닛 본체(40)는 옐로(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black)의 4개의 컬러의 토너 화상을 각각 형성하는 현상부들(46a 내지 46d)을 갖고 있으며, 회전식 현상기 유닛(48)의 중심을 그 중심으로 하여 좌측 방향(도 1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부들(46a 내지 46d)은 현상 롤(50a 내지 50d)을 가지며, 예컨대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2a 내지 52d)에 의해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법선 방향으로 각각 압압되어 있다. 즉, 현상부(46a 내지 46d)의 현상 롤들(50a 내지 50d)이 회전식 현상기 유닛(48)의 중심을 그 중심으로 하여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주위에 90°간격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고, 각 컬러의 토너로 화상 담지체(54)상의 잠상을 시각화하도록 광전도체(photoconductor)를 포함하는 화상 담지체(54)에 접하고 있다.
화상 담지체(54)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예컨대 화상 담지체(54)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을 구비하는 대전 장치(56)가 화상 담지체(54) 아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세정 장치(58)가 화상 담지체(54)의 회전 방향으로 대전 장치(56)의 상류측에서 화상 담지체(54)에 접하고 있다. 제1 세정 장치(58)는, 예컨대 일차 전사 후에 화상 담지체(54) 상의 잔류 토너를 긁어내는 세정 블레이드(60) 및 상기 세정 블레이드(60)에 의해 긁어내어진 토너를 수집하는 제1토너 수집 병(62)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하측에는, 잠상을 레이저빔과 같은 빔(beam)으로 대전 장치(56)에 의해 대전된 화상 담지체(54)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6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상측에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에 의해 시각화된 토너 화상을 일차 전사하는 중간 전사 장치(66)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장치(66)는 예컨대 중간 전사 벨트와 같은 중간 전사체(68), 일차 전사 롤(70), 권취 롤(72), 권출 롤(74), 이차 전사 백업 롤(76), 스크레이퍼 백업(scraper backup) 롤(78), 브러시 백업(brush backup) 롤(80)을 포함하고 있다. 중간 전사체(68)는 예컨대 탄성을 가지며, 소정의 범위만큼 화상 담지체(54)의 주위에 감겨 있고 화상 담지체(5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즉, 중간 전사체(68)는 일차 전사 롤(70)의 상류측에 배치된 권취 롤(72)과 일차 전사 롤(70)의 하류측에 배치된 권출 롤(74) 사이에 감겨 있는 방식으로 화상 담지체(54)에 접하고, 예컨대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순서로 토너 화상들을 중첩함으로써 화상 담지체(54) 상의 토너 화상들이 일차 전사 롤(70)에 의해 일차 전사되며,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은 나중에 설명될 이차 전사 롤(82) 쪽으로 반송된다.
권취 롤(72)과 권출 롤(74)은 화상 담지체(54)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스크레이퍼 백업 롤(78)은 나중에 설명되는 스크레이퍼(86)가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8) 상의 잔류 토너를 긁어내는 것을 도와주고, 브러시 백업 롤(80)은 나중에 설명되는 브러시 롤(88)이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8) 상의 잔류 토너를 긁어내는 것을 도와준다.
이차 전사 롤(82)은 반송 경로(26)를 사이에 두고 상기 중간 전사 장치(66)의 이차 전사 백업 롤(76)과 대향하고 있다. 즉,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 사이의 위치가 이차 전사 위치이며, 상기 이차 전사 롤(82)은 중간 전사체(68) 상으로 일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상기 이차 전사 백업 롤(76)의 도움으로 상기 이차 전사 위치의 용지 상으로 이차 전사한다. 여기에서, 이차 전사 롤(82)은, 중간 전사체(68)가 세번 회전할 때, 즉 옐로, 마젠타, 및 시안의 3개 컬러의 토너 화상을 유지할 때 상기 중간 전사체(68)로부터 이격되고 블랙의 토너 화상이 위에 전사된 후에 상기 중간 전사체(68)와 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차 전사 롤(82)에 고전압이 인가될 때 이차 전사 백업 롤(76)이 접지(GND)에 접속되어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 사이에 소정의 전위차가 생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중간 전사 장치(66) 내의 중간 전사 위치의 하류측에, 제2 세정 장치(84)가 접하고 있다. 제2 세정 장치(84)는 예컨대 이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체(68) 상의 잔류 토너를 긁어냄으로써 세정을 행하는 스크레이퍼(scraper)(86), 상기 스크레이퍼(86)에 의한 세정 후에 잔류하는 토너를 더 긁어내는 브러시 롤(88), 및 상기 스크레이퍼(86) 및 브러시 롤(88)에 의해 긁어내어진 토너를 수집하는 제2토너 수집 병(90)을 포함하고 있다. 스크레이퍼(86)는 예컨대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스테인레스 박판을 포함하고 있다. 브러시 롤(88)은 예컨대 도전성 처리된 아크릴 등의 브러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체(68) 상에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스크레이퍼(86) 및 상기 브러시 롤(88)은 상기 중간 전사체(68)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중간 전사체(68)에 일체로 접하게 된다.
이차 전사 위치 위쪽에는 정착 장치(92)가 배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92)는 가열 롤(94)과 가압 롤(96)을 구비하며,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에 의해 용지 상에 이차 전사된 토너 화상을 용지 상에 정착시키고, 상기 용지를 배출 롤(34)을 향하여 반송한다.
화상 담지체(54), 대전 장치(56), 중간 전사 장치(66), 제1 세정 장치(58), 및 제2 세정 장치(84)를 일체로 하여 화상 형성부(98)가 형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98)는 배출부(14)의 경사부(36) 바로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경사부(36)를 개방함으로써 착탈될 수 있다.
반송 경로(26)를 통과하는 용지의 타이밍, 노광 장치(64)에 의해 노광되는 화상 담지체(54)의 타이밍, 중간 전사체(68) 상에 전사되는 토너의 타이밍, 용지 상에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68) 상의 토너 화상의 타이밍 등이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에, 화상 담지체(54), 회전식 현상기 유닛(38), 및 노광 장치(64)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3에 화상 담지체(54), 노광 장치(64)의 빔 출사 위치, 및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구성 및 위치 관계가 나타나 있다. 화상 담지체(54)는 예컨대 10 내지 20mm의 직경을 갖는 관형상 알루미늄 파이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표면에 감광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화상 담지체(54), 화상 담지체가 현상 롤(50a 내지 50d)에 접하는 현상 위치(D)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중심(48)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설치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화상 담지체(54)의 원주가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화상 담지체 중심(102)을 축으로 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도 1 내지 3에서 시계 방향으로) 현상 위치(D)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부(46a 내지 46d)를 포함하고 있고, 현상부(46a 내지 46d)는 현상 롤(50a 내지 50d), 토너를 교반하는 공급 오거(supply auger)(104a 내지 104d), 혼합 오거(admixing auger)(106a 내지 106d) 등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현상 롤(50a 내지 50d)은 화상 담지체(54)와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가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원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2mm만큼 돌출하는 원주를 갖는다. 또한, 현상 롤(50a 내지 50d)의 양단에는, 현상 롤(50a 내지 50d)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트래킹 롤(tracking roll)(도시되지 않음)이 현상 롤(50a 내지 50d)과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은 화상 담지체(54) 상의 잠상을 시각화하고, 현상 롤(50a 내지 50d)의 트래킹 롤은 각각 화상 담지체(54)와 접하며, 이에 의해 현상 롤(50a 내지 50d)이 소정의 압력으로 화상 담지체(54)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현상부(46a 내지 46d)는 탄성체(52a 내지 52d)에 의해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이 잠상을 시각화하는 경우에, 현상 위치(D)는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주위에 배치된 4개의 현상 롤(50a 내지 50d)에 외접하는 외접원(108) 내에 놓인다.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하부 플레이트(44)에는,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을 통과시키는 노치나 구멍과 같은 빔 투과부(110)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노광 장치(64)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을 출사하는 출사 창(exit window)(112), 2개의 전방 장착부(116a, 116b), 및 2개의 후방 장착부(118a, 118b)를 포함하는 노광 장치 본체(114)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 장착부(116a, 116b) 및 후방 장착부(118a, 118b)에는 나사 구멍과 같은 구멍부(1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 본체(138)(도 1 및 도 3 참조)에는 나사 구멍을 포함하는 장착부들(140)(도 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즉, 구멍부(120) 및 장착부(140)는 예컨대 나사를 포함하는 체결 부재(122)에 의해 위쪽으로부터 체결되고, 이에 의해 노광 장치(64)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38)에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결합된다. 또한, 예컨대, 후방 장착부(118a, 118b)에는 위치결정 핀(124)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회전식 현상기 유닛(38) 및 화상 담지체(54)에 대한 노광 장치(64)의 위치가 고 정밀도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14)가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와 장착부(140)(도 3 참조)가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38)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노광 장치 본체(114)는 주사 모터, 상기 주사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각형 미러, 레이저빔을 출사하는 레이저원, 원통 렌즈, 반사경 등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출사 창(112)(출사부)은 노광 장치 본체(114)의 상부이면서 도 4a의 우단 근처에 설치되어 있고, 노광 장치(64)는, 출사 창(112) 내의 빔 출사 위치(126)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회전식 현상기 유닛 중심(48)을 통과하는 수평선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빔 출사 위치(126)는, 화상 담지체(54)를 회전식 현상기 유닛(38) 쪽으로 수직 아래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을 벗어나서 하부 플레이트(44)를 수직 아래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이면서 현상기 유닛 본체(40)를 수직 아래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노광 장치(64)는 예컨대 화상 형성 장치 본체(138)에 대하여 가로로 슬라이딩 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의 장착 위치에 배치된다. 즉, 노광 장치(64)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아래쪽에서 착탈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노광 장치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노광 장치(64)의 빔 출사 위치(126)로부터 출사된 빔은 빔 투과부(110)를 통과하고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원주와 외접원(108) 사이를 통과하며, 화상 담지체(54)의 표면이 화상 담지체(54) 상의 노광 위치(P)에서 화상 담지체(54)의 법선에 대한 입사각 θ의 빔에 의해 노광된다. 즉, 노광 장치(64)의 빔 출사 위치(126)로부터 화상 담지체(54) 상의 노광 위치(P)에 이르는 빔의 광 경로(128)가 형성된다. 광 경로(128)는 예컨대 외접원(108)의 1.5mm만큼 내측을 통과하고,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원주까지의 거리는 예컨대 0.5mm이다.
한편, 빔이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원주 내측을 통과하도록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형태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광 장치(64)는 체결 부재(122)에 의해 체결되므로, 주사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은 교란되지 않는다. 또한, 구멍부(120)가 전방 장착부(116a, 116b) 및 후방 장착부(118a, 118b)의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을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된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노광 장치 본체(114)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 부재(122)를 착탈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광 장치(64)의 전방 장착부(116a, 116b)가 노광 장치(64)의 상부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지 공급 카세트(20)를 용지 공급 장치(16)로부터 전방으로(도 1에서는 좌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 신호가 제어부(100)로부터 전송되면, 대전 장치(56)에 의해 화상 담지체(54)가 균일하게 대전되고, 상기 화상 형성 신호에 기초하여 빔이 노광 장치(64)로부터 대전된 화상 담지체(54)로 출사된다. 노광 장치(64)로부터의 빔은 빔 투과부(110)를 통과하고 현상기 유닛 본체(40)의 원주와 외접원(108) 사이를 통과하며, 화상 담지체(54)의 표면이 화상 담지체(54)의 법선에 대하여 입사각 θ를 갖는 빔에 의해 화상 담지체(54)의 노광 위치(P)에서 노광되고, 이에 의해 잠상이 형성된다. 노광 장치(64)에 의해 형성된 화상 담지체(54) 상의 잠상은 회전식 현상기 유닛(38)에 의해 시각화되고 중첩되어 중간 전사체(68) 상에 전사되는 옐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토너 화상을 갖는다.
한편, 용지 공급 카세트(20)에 수용된 용지는 용지 공급 신호 등에 따라서 공급 롤(22)을 통해 공급되고, 지연 롤(24)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 경로(26)로 안내되고, 레지스트 롤(30)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고나서, 주어진 타이밍에서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 사이를 통과한다. 용지가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을 통과하면, 중간 전사체(68) 상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이차 전사 롤(82) 및 이차 전사 백업 롤(76)에 의해 용지 상으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정착 장치(92)로 안내되고, 이 토너 화상은 가열 롤(94) 및 가압 롤(96)의 가열 가압에 의해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출 롤(34)에 의해 배출 개구(28)로부터 배출부(14)로 배출된다. 옵션 장치를 장착하여 양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는, 배출 롤(34)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용지가 반전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되어 레지스트 롤(30)로 복귀하고, 다음에 이차 전사 롤(82)과 이차 전사 백업 롤(76) 사이로 다시 안내되고, 정착 장치(92)를 통과하여 배출 개구(28)로부터 배출부(14)로 배출된다.
다음에,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의 화상 담지체(54)에 대한 입사각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 담지체(54)가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에 의해 노광되는 위치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제조시의 소정의 편차량(광축의 평행 시프트)을 나타낸다. 따라서,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의 화상 담지체(54)에 대한 입사각을 한정함으로써, 상기 빔에 의해 노광이 수행되는 위치의 변화에 기인한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해 형성된 화상의 결함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의 화상 담지체(54)에 대한 입사각 및 상기 빔이 화상 담지체(54)의 원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시프트된 경우에 화상 담지체(54) 상에서 시프트된 시프트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 화상 담지체(54)가 반경(r),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의 입사각(θ),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소정의 빔이 화상 담지체(54)의 원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시프트된 경우의 시프트 폭(상기 소정의 빔과 시프트된 빔간의 거리: 광축 시프트량)(δ), 화상 담지체(54) 상의 소정의 빔의 노광 위치(A)에 대한 시프트된 빔의 노광 위치(B)의 시프트각(Φ), 및 상기 소정의 빔의 노광 위치(A)와 화상 담지체(54) 상의 시프트된 빔의 노광 위치(B) 사이의 거리(시프트량)(S)가 나타나 있다. 따라서, 다음의 관계식 (1)이 얻어진다.
광축 시프트량(δ) = r·[sin(Φ+θ)-sinθ] ............... ...(1)
또한, 입사각(θ)과 시프트각(Φ)의 단위가 라디안(radian)이라면, 다음의 관계식 (2)가 얻어진다.
시프트량(S) = r·Φ = r·[sin-1(δ/r+sinθ) - θ] ........... .(2)
또한, 도 5는 레지스트 롤(30)의 타이밍의 시프트에 기인한 용지 공급 방향과 빔의 직경에 대한 화상 위치의 편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여기서 상기 빔은 노광 장치(64) 등으로부터 출사된 것이다. 예컨대, 레지스트 롤(30)의 타이밍 조절 및 빔의 직경의 변화에 기인한 화질 등의 변화를 고려함으로써, 광축 시프트량(δ)에 대한 시프트량(S)의 비가 1.2 이하로 되는 조건이 입사각(θ)을 한정하는 조건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다음의 관계식 (3)에 의해 표현되는 조건에 의해 입사각(θ)이 한정된다.
δ≤ r·[sin-1(δ/r+sinθ) - θ] ≤ 1.2δ .................... ...(3)
도 6 내지 8에, 광축 시프트량(δ)이 2mm인 경우의 시프트량(S)(밀리미터 단위)이 화상 담지체(54)의 반경(r)마다(밀리미터 단위) 예시되어 있다. 예컨대, 화상 담지체(54)의 반경이 10 내지 20mm라면, 관계식 (3)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입사각(θ)는 30°(약 0.524 라디안)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에 의해 화상 담지체(54)의 주사 방향으로 화상이 연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에, 화상 담지체(54)의 반경(r), 화상 담지체(54)의 주사 방향에 수직인,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소정의 빔에 의해 노광이 수행되는 화상 담지체(54) 상의 노광 위치(E)로의 노광 방향에 대하여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상기 소정의 빔이 주사 단부(F)를 향하여 출사되는 출사각(화상각)(α),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소정의 빔이 주사 단부(F)에 대하여 시프트된 경우의 시프트 폭(상기 소정의 빔과 시프트된 빔간의 거리: 광축 시프트량)(δ), 및 광축 시프트량(δ)의 거리만큼 시프트된 주사 단부(G)와 주사 방향을 따른 주사 단부(F)간의 거리(연장량(L))가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입사각(θ) 및 시프트각(Φ)과 같은 도 5에 나타낸 변수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변수들이 동일하게 이용된다. 따라서, 다음의 관계식 (4)가 얻어진다.
연장량(L) = r·[cosθ - cos(θ+Φ)]·tanα ....................(4)
또한, 관계식 (4)를 관계식 (1)에 대입하면, 다음의 관계식 (5)가 얻어진다.
L = r·[cosθ - cos(sin-1(δ/r+sinθ) )]·tanα ................(5)
예컨대, 주사 방향으로의 화상의 변화(화상의 가로 확대)를 고려하여 광축 시프트량(δ)에 대한 연장량(L)이 0.5mm 이하인 조건이 입사각(θ)를 한정하는 조건으로서 설정되는 경우에, 입사각(θ)은 다음의 관계식 (6)에 의해 표현된 조건에 의해 한정된다.
|r·[cosθ - cos(sin-1(δ/r+sinθ) )]·tanα| ≤ 0.5 .........(6)
도 10 내지 12에, 빔의 출사각(화상각)(α)이 약 30°(약 0.524 라디안)이고 광축 시프트량(δ)이 2mm라고 가정한 경우의 연장량(L)(밀리미터 단위)이 화상 담지체(54)의 반경(r)마다(밀리미터 단위) 예시되어 있다. 예컨대, 화상 담지체(54)의 반경이 10 내지 20mm라면, 관계식 (6)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입사각(θ)은 약 20°(약 0.349 라디안)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상을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빔의 출사 위치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에 근접하는 경우에도 화상 담지체에 대한 빔의 입사각이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노광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빔의 입사각이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30°이하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빔의 반사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빔의 입사각은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20°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빔의 입사각이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0°로 설정된 경우에는, 빔은 빔 출사 위치(126)로 반사되므로 빔의 입사각이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0°보다 크고 30°이하이거나 20°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노광 장치(64)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3-1 및 13-2는 노광 장치(64)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에서는, 노광 장치(64)가 빔을 출사하는 출사 창(112), 예컨대 2개의 전방 장착부(116a, 116b), 및 2개의 후방 장착부(118a, 118b)를 포함하는 노광 장치 본체(114)를 갖지만 2개의 전방 장착부( 116a, 116b)가 노광 장치 본체(114)의 저면측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노광 장치(64)는 상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노광 장치(64)와 다르다. 따라서, 제1 변형예의 노광 장치(64)에서 구멍부(120)가 체결 부재(122)에 의해 체결되는 방향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노광 장치(64)와 동일한 경우에도, 2개의 전방 장착부(116a, 116b)가 설치된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내의 공간을 다른 응용예들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노광 장치(64)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노광 장치(64)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서는, 노광 장치(64)가 빔을 출사하는 출사 창(112), 전방 위치결정부(130), 2개의 수직 장착부(132a, 132b), 및 2개의 후방 장착부(134a, 134b)를 갖는 노광 장치 본체(114)를 포함한다. 수직 장착부( 132a, 132b)와 후방 장착부(134a, 134b)에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 부재(13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변형예에서 노광 장치(64)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으므로, 노광 장치(64)가 다른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에도, 노광 장치(64)로부터 출사된 빔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의 노광 장치(64)에서는, 길이 방향(도 1에서는 좌우측 방향)을 따른 길이를 상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노광 장치(64)의 길이보다 더 짧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의 공간을 더 넓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잠상을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빔의 출사 위치가 회전식 현상기 유닛에 근접하는 경우에도 화상 담지체에 대한 빔의 입사각이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더 작아질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화상의 손상을 억제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빔의 반사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화상 담지체(image carrier), 노광 장치의 빔(beam) 출사 위치, 및 회전식 현상기 유닛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화상 담지체, 노광 장치, 및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구성 및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 장치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 장치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화상 담지체에 대하여 노광 장치에 의해 출사된 빔의 입사각 및 상기 빔이 화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시프트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서 시프트된 시프트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광축 시프트량(δ)이 2mm라고 가정한 경우에 화상 담지체의 각 반경(r)에 대한 시프트량(S)을 예시하는 도표.
도 7은 각 입사각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낸 시프트량(S)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화상 담지체의 각 반경(r)에 대한 도 6에 나타낸 시프트량(S)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화상이 노광 장치로부터 출사된 빔에 의해 화상 담지체의 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화상 담지체의 각 반경(r)에 대하여 화상이 노광 장치로부터 출사된 빔에 의해 화상 담지체의 주사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각 입사각에 대한 도 10에 나타낸 연장량(L)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화상 담지체의 각 반경(r)에 대한 도 10에 나타낸 연장량(L)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 장치의 제1변형예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 장치의 제1변형예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 장치의 제2변형예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는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광 장치의 제1변형예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화상 형성 장치 본체
14 : 배출부
16 : 용지 공급 장치
18 : 용지 공급 장치 본체
20 : 용지 공급 카세트
22 : 공급 롤
24 : 지연 롤
26 : 반송 경로
28 : 배출 개구
30 : 레지스트 롤
32 : 이송 롤
34 : 배출 롤
82 : 이차 전사 롤
76 : 이차 전사 백업 롤
92 : 정착 장치

Claims (15)

  1. 화상 담지체(image carrier);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rotary developer unit);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
    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상기 화상 담지체에 이르는 광 경로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 한 상기 현상 롤의 외접원 내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한 빔의 입사각이 상기 화상 담지체의 법선에 대하여 30도 이하가 되도록 빔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화상 담지체;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
    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담지체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상기 현상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수평선 아래쪽이면서 상기 화상 담지체를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 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외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화상 담지체;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
    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담지체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상기 현상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수평선 아래쪽이면서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은 하부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에 상기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빔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상기 빔 투과부를 통하여 상기 화상 담지체에 이르는 광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화상 담지체;
    현상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화상 담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롤을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잠상을 상기 화상 담지체 상에 기록하는 노광 장치
    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빔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장치는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외측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장착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화상 담지체;
    복수의 현상부를 갖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으로서, 상기 복수의 현상부 각각이 소정의 회전 중심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로 이동하는 회전식 현상기 유닛; 및
    노광 장치로서,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이 상기 복수의 현상부가 회전하는 외접원의 내측을 통과하게 하는 노광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출사된 상기 빛의 입사각은 상기 화상 담지체에 대하여 3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은 하부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빔 투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광 장치로부터 상기 빔 투과부를 통하여 상기 화상 담지체에 이르는 광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상기 현상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수평선의 아래쪽이면서 상기 화상 담지체를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 쪽으로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외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는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위쪽에 상기 현상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노광 장치는, 상기 수평선 아래쪽이면서 상기 회전식 현상기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투영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 내에, 빔 출사 위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67850A 2003-09-29 2004-08-27 화상 형성 장치 KR100642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7794 2003-09-29
JP2003337794A JP2005106971A (ja) 2003-09-29 2003-09-29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366A true KR20050031366A (ko) 2005-04-06
KR100642236B1 KR100642236B1 (ko) 2006-11-02

Family

ID=3437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50A KR100642236B1 (ko) 2003-09-29 2004-08-2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33628B2 (ko)
JP (1) JP2005106971A (ko)
KR (1) KR100642236B1 (ko)
CN (1) CN1004373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8562A (ja) * 2008-04-21 2009-11-05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1175068A (ja) * 2010-02-24 2011-09-08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7387305B2 (ja) * 2019-06-25 2023-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020B2 (ja) * 1995-05-29 2004-04-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9269626A (ja) * 1996-04-01 1997-10-14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5887228A (en) * 1995-10-16 1999-03-23 Ricoh Company, Lt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JPH10293436A (ja) * 1997-04-17 1998-11-04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122470A (en) * 1998-03-03 2000-09-1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01006324A1 (en) * 1999-07-16 2001-0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lor image forming device
JP3861540B2 (ja) 1999-12-20 2006-12-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該現像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6393239B1 (en) * 2000-10-24 2002-05-21 Hewlett-Packard Company High capacity toner carousel type shuttle color printer with an all in one EP cartridge having reservoir
JP2002341706A (ja) 2001-05-21 2002-11-29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6766124B2 (en) * 2002-02-19 2004-07-20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having speed control to improve throughput
JP2003107972A (ja) * 2002-09-24 2003-04-11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882815B2 (en) * 2002-11-22 2005-04-19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236B1 (ko) 2006-11-02
US20050069346A1 (en) 2005-03-31
JP2005106971A (ja) 2005-04-21
CN100437364C (zh) 2008-11-26
US7133628B2 (en) 2006-11-07
CN1603969A (zh)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6034B2 (ja) 画像形成装置
US9128454B2 (en) Power transmission body mounting structure and toner transportation device
US85268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0175611B2 (en) Toner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585183B2 (ja) 作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34747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組み立て方法
KR100642236B1 (ko) 화상 형성 장치
US85541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139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4801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218888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9258164A (ja) 回転駆動力伝達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11223974A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器固定構造、画像形成装置の運搬方法及び現像器固定部材
JP5483017B2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041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0743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5290A (ja) 画像形成装置
JPH10282752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97802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54878A (ja) 画像形成装置
JP4862268B2 (ja) 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01999A (ja) 像担持体駆動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299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3418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00846A (ja) 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