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253A -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253A
KR20050029253A KR1020030065386A KR20030065386A KR20050029253A KR 20050029253 A KR20050029253 A KR 20050029253A KR 1020030065386 A KR1020030065386 A KR 1020030065386A KR 20030065386 A KR20030065386 A KR 20030065386A KR 20050029253 A KR20050029253 A KR 2005002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elasticity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873B1 (ko
Inventor
김도훈
이병곤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3006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8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2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년초 추출물(Opunntia ficus indica extract), 홍삼 추출물(red ginseng Extract), 목백일홍 추출물(Lagerstroemia indica linne extract), 라스베리 추출물[Rubus Idaeus (Rapsberry) Fruit extract] 및 산사자 추출물(Crataegus cuneata fruit extract)을 함유함으로써[이를 "레드 복합체"('Red complex"; Red Energy Delivery of medicinal plants complex)라고 명명한다.]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A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enhancing skin elasticity}
본 발명은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년초 추출물(Opunntia ficus indica extract), 홍삼 추출물(red ginseng Extract), 목백일홍 추출물(Lagerstroemia indica linne extract), 라스베리 추출물[Rubus Idaeus(Rapsberry) Fruit extract] 및 산사자 추출물(Crataegus cuneata fruit extract)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며 피부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서 발생하는 주름 생성 증가 및 피부 탄력 저하와 같은 노화 현상의 원인으로는, 나이의 증가 또는 폐경 등과 같은 내인성 요인, 골격과 근육의 모양, 근육의 지속적인 이완과 수축 등과 같은 유전적인 요인, 환경오염물질, 스트레스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의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피부 노화 현상이 진행되게 되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분열 감소, 콜라겐 합성의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멜라닌 생성의 신호 전달 증가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름은 증가하게 되고 피부의 탄력은 감소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등은 증가하게 된다. 특히, 40대 전후로 호르몬의 균형이 깨져 세포 재생 능력, 콜라겐의 합성 능력,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부 지질의 생성 능력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폐경 후 첫 5년 동안 콜라겐은 약 30% 감소하며, 이들 콜라겐 섬유들의 비정상적인 엉킴 현상이 증가하여 피부 탄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피부 속의 수분을 담당하는 히아루론산과 당단백질의 일종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생성량이 현저히 저하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여성의 피부 노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응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방법으로 피부에 직접 AHA, 레티노익애씨드(retinoic acid), 레티놀(retinol), 비타민류 등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피부 자극과 임상적인 효능에 대해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항노화 효능이 뛰어나면서도 피부에 대한 자극 및 부작용이 적은 천연 원료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화장품 제품 개발에 많이 이용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고객의 선호가 높은 식물성 원료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항노화 효능이 뛰어난 물질, 특히 소비자들에게 치료의 이미지가 강한 약용식물로부터 추출되는 항노화 효능이 뛰어난 물질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있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고 식물성 원료로부터 항노화 효능이 뛰어난 물질을 검색함으로써 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증가와 피부 탄력 저하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화장품의 유효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 중에서 백년초, 홍삼, 목백일홍, 라스베리 및 산사자로부터 추출한 각각의 추출물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및 피부 보습 증진 효과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5종류의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일명 "레드 복합체")이 무모생쥐 및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효능이 매우 우수하며, 상기 추출물들을 단순 혼합했을 때 기대되는 효과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더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폭넓은 연구의 결과로써,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특히, 백년초 추출물 0.001∼20중량%, 홍삼 추출물 0.001∼20중량%, 목백일홍 추출물 0.001∼20중량%, 라스베리 추출물 0.001∼20중량%, 산사자 추출물 0.001∼20중량%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백년초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보습 증진 효과가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백년초 추출물 0.001∼20중량%, 홍삼 추출물 0.001∼20중량%, 목백일홍 추출물 0.001∼20중량%, 라스베리 추출물 0.001∼20중량%, 산사자 추출물 0.001∼ 20중량%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백년초 추출물:홍삼 추출물:목백일홍 추출물:라스베리 추출물:산사자 추출물의 조성비는 1:0.01:1:1:0.5의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또는 적용 범위에 따라 상기 비율을 아무런 어려움 없이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레드 복합체(Red Complex)는 "Red energy Delivery of medicinal plants Complex"의 약자로, 약용식물인 백년초, 홍삼, 목백일홍, 라스베리 및 산사자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5종류의 추출물을 혼합한 레드 복합체는 피부에 대한 각종 효능,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및 피부 보습 증진 효과의 상승작용이 있으며, 따라서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주름 방지용, 피부 탄력 강화용,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써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각각의 식물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구입하거나 통상 사용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조방법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지만, 하기와 같은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화장료 등 외용제에 함유될 각각의 식물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든 후, 추출용매를 가하여 실온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저급알코올, 물과 저급알코올의 혼합용매,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헥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식물 미세분말 1㎏에 대하여 1∼15ℓ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추출한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각각의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백년초추출물, 홍삼추출물, 목백일홍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추출물을 함유하는 레드 복합체의 제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을 구입하여, 별도의 과정이나 조건없이 이들을 혼합하여 레드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추출물의 혼합 조성비는 1:0.01:1:1:0.5의 중량비로 하였다.
[시험예 1]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및 레드 복합체의 피부세포에 대한 독성 측정
상업적으로 구입한 인간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과 상기 제조예를 통하여 제조한 레드 복합체를 증류수를 희석액으로 사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농도의 조성물로 각각 준비한 다음 처리하고, 섬유아세포의 증식 효과를 측정하여 상기 물질들의 피부세포에 대한 독성을 측정하였다.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5,000세포/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다음, 하기 표 1의 농도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각각 처리한 다음 3일 후 살아있는 세포수를 측정하여 상기 물질들이 피부세포에 미치는 독성을 관찰하였다. 이때 아무런 물질도 처리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구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농도 (ppm) 세포수 (%)
홍삼추출물 100 101
10 99
1 101
대조군 100
목백일홍추출물 100 100
10 100
1 99
대조군 100
백년초추출물 100 100
10 99
1 99
대조군 100
라스베리추출물 100 100
10 101
1 100
대조군 100
산사자추출물 100 102
10 100
1 101
대조군 100
레드 복합체 100 100
10 99
1 101
대조군 100
상기 표 1의 결과를 통하여,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및 레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세포에 독성을 주지 않는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및 레드 복합체의 인간 피부세포에 대한 콜라겐 생합성 효능 측정
인간 섬유아세포를 24공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를 갖는 각각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배지로 교체하여 3일간 배양하고 10%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를 각 웰당 0.5㎖씩 첨가한 후 L[2, 3, 4, 5-3H]-프롤린 10μCi를 첨가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각 웰에 들어있는 배지와 세포들을 긁어모아 5%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TCA; Trichloroacetic acid) 용액에 넣어 수세한 후, 각각 2개의 시험관에 분주하고 1개의 시험관에는 타입 I 콜라게나제(type I collagenase) 1unit/㎕를 넣고 37℃에서 90분간 배양하였으며 다른 시험관은 4℃에서 보관하였다. 그 후, 모든 시험관에 50% 트리클로로아세틱애씨드를 0.05㎖씩 첨가하고 4℃에서 20분간 방치한 다음 각각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각각의 상등액과 침전물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LSC; Liquid Scintillation Counter)로 씨피엠(CPM; counts per minute) 값을 얻어, 하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에 대해 콜라겐 생합성 값(RCB; Relative Collagen Biosynthesis)을 구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비교치를 구한 다음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농도 (ppm) 콜라겐 생합성 비율 (RCB)(%)
홍삼추출물 10 128
1 118
목백일홍추출물 10 125
1 115
백년초추출물 10 121
1 114
라스베리추출물 10 115
1 106
산사자추출물 10 112
1 105
레드 복합체 10 136
1 121
대조군 - 100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및 레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콜라겐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조성 중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이 다른 물질의 그것에 비하여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단순 혼합에서 기대할 수 있는 평균값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6]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을 유액 타입의 크림 제형으로 제조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이용하였다.
배합성분 실시예1 (중량%) 비교예1 (중량%) 비교예2 (중량%) 비교예3 (중량%) 비교예4 (중량%) 비교예5 (중량%) 비교예6 (중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홍삼 추출물 - - 0.01 - - - -
목백일홍 추출물 - - - 1.0 - - -
백년초 추출물 - - - - 1.0 - -
라스베리 추출물 - - - - - 1.0 -
산사자 추출물 - - - - - - 0.5
레드 복합체 3.50 - - - - -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1.50 1.5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0.60 0.60 0.60 0.60 0.60 0.60 0.60
세테아닐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베헤닐 알코올&소디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올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메탄올 아민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시험예 3] 동물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의 피부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무모생쥐의 등 부위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조성을 갖는 크림 제형을 일주일 동안 도포한 후 생검하여 콜라겐 면역 조직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비처리군인 비교예 1을 100으로 한 비교치로 구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2∼6을 도포한 군이 비교예 1을 도포한 군보다 각각 28%, 25%, 21%, 15%, 12% 정도 콜라겐 생합성이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더욱이, 레드 복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콜라겐 생합성이 36% 정도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 레드 복합체는 이를 구성하는 물질을 각각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피부의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의 5종류의 물질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훨씬 그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동물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 측정
본 발명 레드 복합체의 실질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을 대상으로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모생쥐 60마리를 항온 항습실에서 키운 다음 각 군당 20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조성물을 각각 8주 동안 매일 100㎕씩 등 부위에 도포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등 부위의 레플리카(replica)를 뜬 후 화상분석기(visiometer; SV60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 및 면적을 측정하고 주름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처리군의 경우 세로로 깊은 주름이 관찰된 반면, 실시예 1 처리군의 경우는 주름이 아주 우수하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사람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 측정
상기 표 3의 비교예 1과 실시예 1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평가하였다.
30대 여성 40명을 각각 비교예 1 및 실시예 1군으로 20명씩 2조로 나누어 매일 1회 8주간 도포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상기 시험예 4에서와 같이 visiometer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의 결과는 도포 8주 후의 각각의 parameter 값에서 도포 전 parameter 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 8주 후 임상결과 R1 R2 R3 R4 R5
비교예1 0.28 0.27 0.22 0.04 0.04
실시예1 -0.22 -0.20 -0.13 -0.04 -0.03
[주]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 치R4 :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R5 : 주름 등고선의 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4를 통하여, 실시예 1의 레드 복합체를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아주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 생성 측정
레드 복합체와 그 구성 성분들이 사람 피부의 탄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트로포엘라스틴과 피브릴린의 생성을 증가시키는지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사람 피부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24웰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부착시킨 세포에 시험물질을 하기 표 5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2일간 배양하고 그 배지를 수확하였다. 수확한 배지 중의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을 정량하는 방법은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농도 (ppm) 트로포엘라스틴 생성량 (%) 피브릴린 생성량 (%)
홍삼추출물 10 135 133
1 127 125
목백일홍추출물 10 131 128
1 120 113
백년초추출물 10 133 130
1 124 120
라스베리추출물 10 127 128
1 121 123
산사자추출물 10 120 124
1 112 118
레드 복합체 10 140 141
1 129 129
대조군 - 100 100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시험물질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트로포엘라스틴 및 피브릴린이 많이 합성되었다. 특히, 레드 복합체의 경우 상기 물질들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큰 상승효과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인체에서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측정
상기 표 3에서 제조한 유액 타입 크림의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온도 24∼26℃, 습도 75% 조건에서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20명을 2개 군으로 나누고, 각 군 여성의 안면에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화장수를 매일 2회씩 12주간 도포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Cutometer SEM 575의 ΔR8[R8(왼쪽)-R8(오른쪽)] 값으로 구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상기 R8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 제품 피부탄력 효과
비교예1 0.11
실시예1 0.44
도포군 응답자 수 (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1 1 3 3 3
실시예1 3 6 1 0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가 함유된 실시예 1의 물질을 도포한 군은 비교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해 피부 탄력성이 더 증가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가 함유된 실시예 1을 도포한 경우 피부탄력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8] 사람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 측정
사람 피부에서 분리한 각질형성세포를 96웰형 세포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5×103개를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부착시킨 세포에 시험물질을 하기 표 8의 농도대로 처리한 후 3일동안 배양하여 배지를 수확하였다. 변형된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사용하여 수확한 배지 중의 히알루론산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의 합성량을 100으로 보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농도 (ppm) 히알루론산 생성량 (%)
홍삼추출물 10 130
1 121
목백일홍추출물 10 136
1 123
백년초추출물 10 132
1 118
라스베리추출물 10 115
1 112
산사자추출물 10 110
1 104
레드 복합체 10 158
10 141
대조군 - 100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와 그 구성물질들에 의해 피부의 함수인자인 히알루론산이 많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9] 무모생쥐 피부에서의 히알루론산 생성 측정
체중이 25∼39g 정도 되는 30주령의 암컷 무모생쥐(Skh: HR-1)의 등 부위에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조성물을 8주 동안 1일 2회 등에 도포하였다. 8주 후 등쪽 피부를 떼어내어 면역조직염색하고 면역염색된 히알루론산을 Image Pro(Media Cybernetics)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는 대조군을 100으로 보고 이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로 계산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히알루론산 생성량 (%)
비교예1 100
실시예1 155
상기 표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에 의해 무모생쥐에서 피부의 함수인자인 히알루론산이 많이 합성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10] 인체에서 레드 복합체에 의한 피부 보습력 증가 측정
상기 표 3에서 제조한 유액 타입 크림의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부건조증세를 나타내는 50∼60대의 성인 남녀 20명을 2개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화장수를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및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0의 결과는 시험 개시 직전에 측정한 코니오미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또한 이와 별도로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기기적인 평가와 동시에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비교예1 32 35 33 13
실시예1 44 49 56 47
도포군 응답자 수 (인)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1 1 4 3 2
실시예1 3 6 1 0
코니오미터는 표피의 전기전도도 값을 측정하여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량을 측정하는 피부수분측정기이다. 상기 표 10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가 함유된 실시예 1을 도포한 군에서는 비교예 1을 도포한 군에 비해서 피부수분량이 더 증가되었으며, 또한, 시험물질의 도포를 중지한 2주 후에 피부수분을 측정한 6주 경과 후의 수치가 1∼2주 경과 후의 수치와 유사하게 나타나, 시험물질을 도포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는 레드 복합체에 의해 피부수분이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서도 레드 복합체가 함유된 실시예 1을 도포한 경우 피부건조증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포 독성이 없고 피부 콜라겐 생합성 효능이 뛰어난 백년초 추출물, 홍삼추 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의 혼합물인 레드 복합체는 상기 각각의 구성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훨씬 우수한 콜라겐 생합성 효능, 피부 주름 개선 효능, 피부 탄력 증진 효능 및 피부 보습 효능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피부 외용제 제조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 및 상기 레드 복합체를 구성하는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 각각의 동물에서의 콜라겐 생합성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드 복합체 및 상기 레드 복합체를 구성하는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백년초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 각각의 동물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5)

  1.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백년초 추출물 0.001∼20중량%, 홍삼 추출물 0.001∼20중량%, 목백일홍 추출물 0.001∼20중량%, 라스베리 추출물 0.001∼20중량%, 산사자 추출물 0.001∼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년초 추출물, 홍삼 추출물, 목백일홍 추출물, 라스베리 추출물 및 산사자 추출물의 조성비는 1:0.01:1:1:0.5의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히알루론산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30065386A 2003-09-20 2003-09-20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0930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386A KR100930873B1 (ko) 2003-09-20 2003-09-20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386A KR100930873B1 (ko) 2003-09-20 2003-09-20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253A true KR20050029253A (ko) 2005-03-24
KR100930873B1 KR100930873B1 (ko) 2009-12-10

Family

ID=3738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386A KR100930873B1 (ko) 2003-09-20 2003-09-20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8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87B1 (ko) * 2009-08-31 2012-01-12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7922B1 (ko) * 2011-11-10 2012-05-24 주식회사 더마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미용 식품
KR101503420B1 (ko) * 2008-08-18 2015-03-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526269B1 (ko) * 2009-09-01 2015-06-09 (주)아모레퍼시픽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KR20150109031A (ko) * 2014-03-19 2015-10-01 김형길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001025A (ko) 2015-06-25 2017-01-0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2017024996A (ja) * 2015-07-16 2017-02-02 株式会社アンチエイジングコミュニケーション コラーゲン架橋分解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047A (ko) 2015-07-27 2017-02-06 유상기 생약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탄력 증진, 피부보습, 피부미백 및 아토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7476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씨엔씨팩토리 초전수를 함유한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120B1 (ko) * 1998-12-30 2006-07-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산사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420B1 (ko) * 2008-08-18 2015-03-1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104587B1 (ko) * 2009-08-31 2012-01-12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6269B1 (ko) * 2009-09-01 2015-06-09 (주)아모레퍼시픽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KR101147922B1 (ko) * 2011-11-10 2012-05-24 주식회사 더마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미용 식품
KR20150109031A (ko) * 2014-03-19 2015-10-01 김형길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70001025A (ko) 2015-06-25 2017-01-0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JP2017024996A (ja) * 2015-07-16 2017-02-02 株式会社アンチエイジングコミュニケーション コラーゲン架橋分解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873B1 (ko)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002B1 (ko)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34716B1 (ko) Egcg와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90762B1 (ko) 오크라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KR102341002B1 (ko) 더블 리포좀 내부에 포집된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3010168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JP5344779B2 (ja) 毛髪化粧料
KR101125878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131387A (ko)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KR100930873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29290A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JP3991164B2 (ja) ナツメ抽出物および胡桃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922637B1 (ko) 마유 및 애기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2058B1 (ko) 피부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30140853A (ko)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KR20100048592A (ko) 지베렐린 및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52553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68904B1 (ko) 대두배아 이소플라본 어글리콘, 석류추출물 및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로 이루어진 IB complex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외용제 조성물
KR20100067700A (ko)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51049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