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269B1 -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269B1
KR101526269B1 KR1020090082149A KR20090082149A KR101526269B1 KR 101526269 B1 KR101526269 B1 KR 101526269B1 KR 1020090082149 A KR1020090082149 A KR 1020090082149A KR 20090082149 A KR20090082149 A KR 20090082149A KR 101526269 B1 KR101526269 B1 KR 10152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ity
rice cake
skin elasticity
tensile strength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241A (ko
Inventor
문은정
박준성
김은주
김동현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82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2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 경과에 따른 떡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기존의 기기적 측정에 의해 수치로만 표현 가능한 피부 탄력을, 화장품 도포 후 시간에 따른 떡의 인장 강도를 늘어난 길이, 가해진 힘을 측정함으로 수치화하고 육안판정을 실시하며 이미지로 가시화하여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통해 일반인들도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 평가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피부 탄력 * 떡 * 인장 * 이미지 * 가시화

Description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Method for estimating the effect on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skin elasticity of cosmetics using rice cake}
본 발명은 시간 경과에 따른 떡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존의 기기적 측정에 의해 수치로만 표현 가능했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화장품을 도포하여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떡의 굳기 정도에 따른 인장시 끊어질 때까지의 길이와 가한 힘의 변화(시간당 일정한 길이로 당겼을 때)를 측정함으로 수치화하고 이미지로 가시화하여 평가함으로써, 일반인들도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 평가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진피(dermis)의 콜라겐(collagen)은 교원 섬유, 엘라스틴(elastin)은 탄력섬유라고 부르는 단백질로 진피를 구성하는 결합조직의 주성분이다. 진피층의 콜라겐이 입체구조를 이루고 그사이에 신축성이 강한 엘라스틴이 스프링처럼 작용 하여 피부의 탱탱함과 탄력을 유지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이 콜라겐이 뒤틀려 피부의 신축성이 떨어지고 엘라스틴은 탄력을 잃어 주름살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피부 탄력 평가 방법으로는 음압을 주어 피부가 회복되는 정도를 빛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Cutometer®(C+K, Germany), 음파 충격을 주어 변형된 피부가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Reviscometer®(C+K, Germany), 접착 테이프로 피부를 비틀어 측정하는 Dermal Torque Meter® 측정법들이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 탄력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법들은 수치적인 결과만을 제시할 뿐으로서, 실제로 피부 탄력도를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떡은 쌀을 주재료로 하고, 그 밖의 곡류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곡식 가루를 찌거나 그 찐 것을 치거나 빚어서 만든 음식이다. 떡은 보통 탄력성이 좋아서 잘 휘어졌다 복원되며, 실온에 그냥 보관할 경우 굳어짐에 따라 휘어졌다 복원되는 탄력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 사용에 따라 떡이 유지하는 탄력도를 비교하여 피부에서 탄력을 유지 및 개선하는 정도를 가시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떡에 화장품을 도포한 후 가혹 조건(60℃)에서 일정시간(2시간)이 흐른 후 떡의 인장 강도를 일정한 속도(70m/min)로 당겼을 때 당긴 시간, 당기는 힘의 변화를 측정함으로 수치화하고 이미지로 가시화하여 평가하면 일반인들도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 평가결과를 쉽게 이해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떡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떡을 일정한 속도로 당겨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ⅱ) 떡에 화장품을 도포한 후 일정한 속도로 당겨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ⅲ) 상기 단계 ⅰ) 및 ⅱ)의 인장강도로부터, 각각의 떡의 늘 어난 길이 및 떡에 가해진 힘의 변화를 수치로 환산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단계 ⅲ)의 수치들로부터 도포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및 개선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기존의 수치로만 표현 가능한 피부 탄력을 떡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여 가시화함으로써 일반인들도 화장품의 피부 탄력 평가결과를 쉽게 이해하여 화장품의 효능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떡의 인장 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ⅰ) 떡을 일정한 속도로 당겨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ⅱ) 떡에 화장품을 도포한 후 일정한 속도로 당겨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ⅲ) 상기 단계 ⅰ) 및 ⅱ)의 인장강도로부터, 각각의 떡의 늘어난 길이 및 가래떡에 가해진 힘의 변화를 수치로 환산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단계 ⅲ)의 수치들로부터 도포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또한, 상기 단계 ⅲ)의 환산은 경도분석을 통해 떡의 인장강도로부터 떡의 늘어진 길이 및 떡에 가해진 힘의 변화를 수치화할 수 있다.
화장품을 도포하였을 때 피부 탄력도와 화장품을 도포한 떡의 인장길이는 서로 비례관계가 있으므로 떡의 인장길이 측정을 통한 탄력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가시화할 수 있다. 이러한 떡의 탄력도와 피부 탄력과의 상관성은 화장품 도포에 따른 피부의 탄력도와, 같은 화장품의 도포 이후 떡의 인장길이를 각각 측정하여 높은 상관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에서 사용한 떡은 시중에 밀폐하여 식용으로 판매중인 제품이며, 떡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가래떡을 사용할 수 있다. 시료로는 피부의 탄력을 개선시키는 탄력크림을 사용하여 탄력 측정 시험을 실시한다.
시중에 판매중인 떡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탄력크림을 도포한 후, 이를 인장강도 측정기기인 레오미터(Rheo meter®, Sun scientific co.,LTD)를 이용하여 시간당 일정한 속도로 당겼을 때, 끊어질 때까지 늘어난 길이와 당긴 힘의 변화를 측정하여 탄력도를 가시화한다.
구체적으로, 떡을 일정한 속도로 당겼을 때, 인장강도를 레오미터로 측정하여 떡의 탄력도를 가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 탄력도를 간접적으로 나타 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측정한 인장강도를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도분석을 하고 이를 이미지화한다. 이렇게 이미지화한 후 이로부터 떡이 끊어질 때까지 늘어난 길이를 측정한다. 이 때 탄력도가 우수할수록 끊어질 때가지의 길이가 더 길게되므로 이를 통해 탄력크림 사용에 따른 탄력의 유지/개선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탄력도가 좋을수록 일정한 속도로 떡을 당기는데 힘이 적게 들어간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측정한 인장강도를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도분석을 하고 이를 이미지화한 후 이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당기기 위해 들어간 힘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떡의 탄력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로부터 피부 탄력의 유지/개선도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력도가 더 높을수록 당기기 위해 들어가는 힘이 더 작아지므로, 동일한 힘으로 떡을 당길 때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여 떡의 탄력도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화장품을 적용하였을 때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떡을 이용하여 탄력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이미지로 가시화하면,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도에 대한 효과를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구체적인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시험예 1] 인장강도 측정으로 화장품에 의한 떡의 탄력도 가시화 방법
시료 도포에 따라 떡의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중에 판매중인 가래떡을 5㎝ 길이로 잘라서 시험에 사용하였다. 이를 시료 무처리군과 처리군으로 나누었고 시료로는 피부탄력 개선용 크림을 사용하였다. 시료 처리군에 시료 60㎕를 도포한 후 단기간에 변화를 보기 위해 가혹조건(60℃)에 보관하였다. 2시간이 지난 후 떡의 탄력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떡을 일정한 속도(70mm/min)로 당겼을 때, 대조군(탄력크림 무처리군)과 실험군(탄력크림 처리군)의 가래떡의 인장강도를 레오미터(Rheo meter®, Sun scientific co.,LTD)로 측정하여 탄력도를 가시화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래떡을 일정한 속도로 73mm까지 당겼을 때 대조군은 탄력도가 떨어져 갈라졌으나, 실험군은 무리없이 잘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험군은 동일한 속도로 100mm까지 당겼을 때도 잘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인장강도 측정으로 화장품에 의한 떡의 탄력도 측정 방법
상기 시험예 1에서 측정한 인장강도를 경도측정RDS 2.01(Rheology Data System)이라는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래떡이 끊어질 때까지의 늘어난 길이(도 2 참조)와 당긴 힘의 변화(도 3 참조)를 계산함으로써 탄력크림의 사용으로 인한 가래떡의 탄력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RDS 2.01이라는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은 결 과를 통해 화장품의 도포 유무에 따라 가래떡의 인장강도 측정시 가래떡이 끊어질 때가지 늘어난 길이를 수치화하였다. 이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가래떡이 끊어질 때까지 늘어난 길이
대조군
(무처리)
실험군
(탄력크림)
길이(mm) 29.16 100.33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력크림을 처리하지 않고 가혹조건(60℃)에 둔 대조군은 탄력도가 현저히 떨어져 초기값(45mm)에서 29.16mm를 당겼을 때 끊어졌고, 탄력크림을 처리하고 가혹조건(60℃)에 둔 실험군은 탄력이 유지/개선되어 초기값(45mm)에서 100.33mm 당겼을 때 끊어졌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RDS 2.01이라는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를 통해 화장품의 도포 유무에 따라 가래떡의 인장강도 측정시 가래떡에 가해진 힘의 변화를 수치화하였다. 이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간에 따른 당긴 힘의 변화
시간(초) 2 5 10 15 20 25 40 55 70 86
대조군
(무처리)
1020
(최대힘)
880 700 440 260 0 - - - -
실험군
(탄력크림)
50 116 200 290 330 397 570
(최대힘)
530 500 0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력크림을 처리하지 않고 가혹조건(60℃)에 둔 대조군은 탄력도가 현저히 떨어져 일정한 속도로 당기기 위해 들어가는 힘과 가해진 최대힘이 컸다. 반면, 탄력크림을 처리한 실험군은 탄력이 유지/개선되어 대조군에 비해 절반 이상의 적은 힘을 가하였을 때도 대조군과 같이 일정한 속도로 당겨짐을 확인하였다. 또, 실험군은 같은 속도로 당겼을 때 일정정도 이상 늘어날 때까지는 힘이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가한 최대힘도 대조군에 비해 절반 정도 적었다.
또한 탄력도가 더 높을수록 당기기 위해 들어가는 힘이 더 작아지므로, 동일한 힘으로 당길 경우 탄력도가 더 높은 경우에 더 많이 늘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과로, 떡에 화장품을 도포한 군과 도포하지 않은 군을 비교하여 신축성 정도를 인장강도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이미지화하고, 늘어난 길이 및 당긴 힘의 변화를 수치로 제공함으로써 화장품의 탄력 유지 및 개선도를 대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피부 탄력 측정 방법
피험자 7명을 대상으로 얼굴을 비누로 씻은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2℃, 상대습도 40±2%)에서 피부를 적응시켰다. 좌측 상악 측면으로 시험부위를 정하였고, 피부 표면에 음압을 주어 회복되는 정도를 큐토미터(Cutometer, C+K)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 후, 시험부위에 탄력크림을 하루 2회 도포하였으며, 7명이 각각 1종씩 사용하여 총 7종의 탄력크림으로 시험하였다. 도포 4주 후, 큐토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 탄력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이때도, 상기와 동일한 항온항습 조건에서 피부의 적응 기간을 거쳤다.
또한, 상기와 같은 7종의 탄력크림을 가래떡에 60㎕씩 도포한 후 가혹조건(60℃)에 보관하였다. 2시간이 지난 후 가래떡의 탄력성을 평가하기 위해 레오미터(Rheo meter®, Sun scientific co.,LTD)를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고, 이로부터 얻은 피부 탄력과 가래떡 인장길이의 상관성을 도 4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종류별 탄력크림 도포에 따른 피부탄력과 가래떡 인장강도
도포 제품 탄력
크림1
탄력
크림2
탄력
크림3
탄력
크림4
탄력
크림5
탄력
크림6
탄력
크림7
피부 탄력(AU) 0.053 0.064 0.023 0.065 0.036 0.024 0.058
가래떡 인장길이(mm) 73 107 60 99 68 64 103
표 3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 4를 보면, 피부 탄력은 높은 상관성(R2=0.8267)을 가지고 가래떡의 인장길이(mm)에 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피부탄력과 떡의 인장길이는 비례하므로 떡에 화장품을 도포한 후 인장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신축성 정도를 이미지로 제공하여 화장품의 사용에 따른 피부 탄력 정도를 이미지로 가시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탄력크림 도포 유무에 따른 탄력도를 가시화한 것으로서 인장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험예 1에서 측정한 인장강도를 경도측정RDS 2.01(Rheology Data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래떡이 끊어질 때까지의 늘어난 길이를 이미지화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시험예 1에서 측정한 인장강도를 경도측정RDS 2.01(Rheology Data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래떡을 당긴 힘의 변화를 이미지화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피부탄력과 가래떡 인장길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2)

  1. ⅰ) 떡을 일정한 속도로 당겨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ⅱ) 떡에 화장품을 도포한 후 일정한 속도로 당겨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ⅲ) 상기 단계 ⅰ) 및 ⅱ)의 인장강도로부터, 각각의 떡의 늘어난 길이 및 떡에 가해진 힘의 변화를 수치로 환산하는 단계; 및
    ⅳ) 상기 단계 ⅲ)의 수치들로부터 도포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의 환산은 경도분석을 통해 떡의 인장강도로부터 가래떡의 늘어진 길이 및 떡에 가해진 힘의 변화를 수치화 하는 것인 방법.
KR1020090082149A 2009-09-01 2009-09-01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KR10152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49A KR101526269B1 (ko) 2009-09-01 2009-09-01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149A KR101526269B1 (ko) 2009-09-01 2009-09-01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41A KR20110024241A (ko) 2011-03-09
KR101526269B1 true KR101526269B1 (ko) 2015-06-09

Family

ID=4393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149A KR101526269B1 (ko) 2009-09-01 2009-09-01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2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253A (ko) * 2003-09-20 2005-03-24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050110120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콘프로덕츠코리아 노화억제로 품질이 향상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253A (ko) * 2003-09-20 2005-03-24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 주름 개선용 또는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050110120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콘프로덕츠코리아 노화억제로 품질이 향상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241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ires et al. Effect of sucrose concentration on dental biofilm formed in situ and on enamel demineralization
Franzò et al. The effect of toothpaste concentration on enamel and dentine wear in vitro
Joiner et al. In vitro cleaning, abrasion and fluoride efficacy of a new silica based whitening toothpaste containing blue covarine
JP6568796B2 (ja) 角層の保湿状態の評価方法
FR2906994A1 (fr) Procede de determination de proprietes elastiques et viscoelastiques de la peau d'une personne
Pickles et al. In vitro efficacy of a whitening toothpastecontaining calcium carbonate and perlite
WO2019230528A1 (ja) 咀嚼側を判定するための学習モデル生成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咀嚼側判定装置、そ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66053B1 (ja) 皮膚粘弾性のマーカー及びその利用
EP3673270A1 (en) Diagnostic method of a skin showing signs of aging
KR101526269B1 (ko) 떡을 이용한 화장품의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 측정 방법
Eldarrat et al. In vitro analysis of ‘smear layer’on human dentine using ac-impedance spectroscopy
Li et al. Influence of exfoliating facial cleanser on the bio-tribological properties of human skin
KR101758203B1 (ko) 피부의 유연성 및 화장료의 유연성 개선도 평가방법
Macpherson et al. Assessment of the cariogenic potential of Streptococcus mutans strains and its relationship to in vivo caries experience
TW202103682A (zh) 野櫻莓汁液用於抑止肌膚老化的用途
KR101790163B1 (ko) 피부 탄력 유지 및 개선 효과의 측정 방법
US20020058076A1 (en) Process for obtaining an active principle with firming effect to counter aging of the skin, the obtained firming agent and composition using such an agent
EP1948129B1 (fr) Procede d'obtention d'un principe actif exhausteur de la resistance mecanique cutanee, principe actif et compositions
KR20120050060A (ko) 메이크업 제품의 피부 밀착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
JP2003024282A (ja) 皮膚の状態の評価方法
KR101481172B1 (ko) 화장품의 항산화능 측정방법 및 장치
KR20120050056A (ko) 메이크업 제품의 피부 밀착력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 방법
TWI797367B (zh) 絲蓴萃取組合物作為皮膚保養之用途及其製備方法
Yilmaz et al. Comparison of the abrasive effects of children's toothpaste on glass ionomer cement
Rafighi et al. Effect of orthodontic fixed appliances on epithelial cells of lower lip oral mucosa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