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971A - 접속 보증형상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속 보증형상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971A
KR20050026971A KR1020057001630A KR20057001630A KR20050026971A KR 20050026971 A KR20050026971 A KR 20050026971A KR 1020057001630 A KR1020057001630 A KR 1020057001630A KR 20057001630 A KR20057001630 A KR 20057001630A KR 20050026971 A KR20050026971 A KR 2005002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ember
housing
rotated
connecting position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013B1 (ko
Inventor
제임스 에드워드 건데르먼
디모데 제이. 밀러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2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44Pivoting lever comprising gear tee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Pivoting lever comprising means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of matin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기접점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14) 및 제2하우징(22)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10)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호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진다.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캠 암을 가지며 레버부재가 인입위치에서 연결위치까지의 동작영역을 통하여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되는 레버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위치로 회전되어질 시에 대응하는 전기접점을 연결하도록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접속시킨다. 상기 레버부재는 걸쇠(42)에 의하여 상기 제1하우징 내 수용되는 위치 확보 탭(94)을 가진다.

Description

접속 보증형상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접속 보증형상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레버가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접속하도록 회전되어질 시에 상기 레버와 제1하우징을 결합시키는 접속 보증형상에 관한 것이다.
어떠한 응용 상에 있어서, 전자부품은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연결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가 요구된다. 하나의 하우징은 수형 전기접점을 포함하는 반면, 다른 하우징은 암형 전기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은 제2하우징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져 상기 수형 및 암형 전기접점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반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수작업으로 상기 제2하우징에 접속된다.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접점과 적절하게 접속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는 소위 위치보증형상으로서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래치 조립체(latch assembly)가 장착된다. 상기 래치 조립체는 현수된 갈퀴 아래에서 상기 제1하우징 상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보유된 기저판과 상기 제2하우징 상의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하여 인입되어질 시에, 상기 갈퀴는 상기 경사부 위를 슬라이드하고 상기 기저판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갈퀴를 지나 최종 위치로 슬라이드한다. 상기 기저판이 상기 최종 위치에 있을 때, 작업자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이 완전히 접속되는 것을 확신하게 된다.
그러나, 결합되려는 전기접점의 수가 증가하부면, 상기 결합하는 전기접점간의 마찰때문에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완전히 결합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다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결합시킬 때 수반되는 마찰저항을 극복하는 결합 보조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결합 보조 조립체는 레버부재가 동작영역을 통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랙과 결합하는 캠 암을 가지는 하나의 하우징에 접속되는 레버부재이다. 상기 캠 암과 상기 랙의 상호작용은 상기 전기접점간의 상기 마찰력을 극복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용이하게 접속하는 힘을 제공한다.
전형적인 결합 보조 조립체는 다수의 약점을 가진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하우징에 접속되는 래치 조립체는 결합 보조 조립체의 상기 래치부재와 간섭할 수 있다. 작동상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최종 위치로 완전히 회전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사실상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최종 위치로 완전히 회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랙을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정확히 연결하지 않을 때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이 완전히 연결되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의 주위에서 단지 느슨하게 유지되어질 수 있어서 상기 전기접점은 접속되지 않거나 비접속되어지는 상황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 극복 및 종래기술에서 한계가 된 다른 고려사항을 제시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요구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등배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재의 등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단계 위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종 위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등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등배도이다.
일정 실시예는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호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어진다. 상기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캠 암을 가지며 레버부재가 인입위치에서 연결위치까지의 동작영역을 통하여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되는 상기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위치로 회전되어질 시에 대응하는 전기접점을 연결하도록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접속시킨다.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하여 수용되는 위치 확보 탭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에 의하여 설명될 것이다.
차후 서술할 본 발명의 일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전술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해석할 때 더 상세히 인지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서술할 목적으로, 도면, 일정 실시예가 개시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배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10)의 등배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는 레버부재(18)와 연결되고 헤더 커넥터(22; header connector)를 수용하도록 위치되는 하니스 커넥터(14; harness connector)를 포함한다. 하니스 커넥터(14) 및 헤더 커넥터(22)는 전기접점의 그룹(미도시)을 갖추고 있다. 하니스 커넥터(14)가 초기 단계 위치(도 3)에서 헤더 커넥터(22)에 장착되어질 시, 레버부재(18)는 회전축(86) 주위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단계 위치로부터 하니스 커넥터(14)가 헤더 커넥터(22)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 전기접점이 상호 접속되는 최종 위치(도 4)까지 하니스 커넥터(14)를 이동시킨다.
하니스 커넥터(14)는 양 측벽(34)이 형성된 마주하는 상부벽(26)과 하부벽(30)을 포함한다. 걸쇠(42)를 가지는 방사형 상부면(38)은 측벽(34)중 하나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레버부재(18)는 하니스 커넥터(14)에 대하여 인입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측벽(34)의 개구(54)에 수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재(18)의 등배도이다. 레버부재(18)는 하니스 커넥터(14; 도 1)의 측벽(34; 도 1)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캠 암(50)을 가지는 레버 암(46)을 포함한다. 캠 암(50)은 랙 갭(68; rack gap)만큼 이격된 기어 치구(74; gear teeth)를 가진다. 캠 암(50)은 레버부재(18)가 헤더 커넥터(22)와 하니스 커넥터(14)를 연결하기 위해 회전되어짐에 따라 헤더 커넥터(22; 도 1)의 랙(70; 도 1)과 연결된다. 긴 직사각형 슬롯(90; long rectangular slot)은 위치 확보 탭(94; 도 1)을 수용하도록 레버 암(46)을 통하여 연장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부면, 헤더 커넥터(22)는 양 측벽(66)이 형성된 마주하는 상부벽(58)과 하부벽(62)을 가진다. 랙(70)은 측벽(66)으로부터 외향연장하고 각 랙(70)은 랙 치구(78)와 치구 갭(82)을 가진다. 작동시, 하니스 커넥터(14)가 초기 단계 위치에서 헤더 커넥터(22)에 배치되고 레버부재(18)가 회전축(86) 주위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되어질 시에, 캠 암(50)은 랙(70)과 결합하여 기어 치구(74)가 치구 갭(82)에 진입하고 랙 치구(78)가 랙 갭(68)에 진입(도 2)한 상태에서 기어 치구(74)는 랙 치구(78) 주위를 회전한다. 랙 치구(78) 및 기어 치구(74) 간의 상호작용은 헤더 커넥터(22)에 대하여 하니스 커넥터(14)를 끌어당기고 상기 전기접점들을 접속한다. 하니스 커넥터(14)와 헤더 커넥터(22)를 연결하기 위해 레버부재(18)가 A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어질 시에, 하니스 커넥터(14)와 헤더 커넥터(22)는 최종 위치에 놓이게 되고 레버부재(18)는 연결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하니스 커넥터(14) 및 헤더 커넥터(22)를 연결해제하기 위해, 레버부재(18)는 회전축(86) 주위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레버 암(46)은 직사각형 위치 확보 탭(94; PAT-Positioning Assurance Tab)을 보유한다. 위치 확보 탭(94)은 일측면에 2개의 누름패드(98)를 갖고 반대측면에 저지부(102; stop)를 가진다. 저지부(102)는 L 형상이고 직사각형 기저부(106)와 직사각형 연장부(110)를 가진다. 레버부재(18)가 인입 위치에 있을 때, 위치 확보 탭(94)이 슬롯(90)에 삽입되어 연장부(110)의 저면(114)이 측벽(34)의 방사형 상부면(38) 상에 안착하고 연장부(110)의 상부면(118)이 슬롯(90)의 상부면(122)과 결합한 상태에서 연장부(110)는 레버 암(46)을 통하여 연장한다. 따라서 위치 확보 탭(94)은 슬롯(90) 내에서 상부 위치에 유지된다. 레버부재(18)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 기저부(106)의 저면(126)은 슬롯(90)의 저면(130)과 결합한다. 따라서 위치 확보 탭(94)은 슬롯(90) 내에서 하부 위치에 유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단계 위치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10)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니스 커넥터(14)가 초기 단계 위치에서 헤더 커넥터(22)로 이동되어질 시에, 레버부재(18)는 하니스 커넥터(14)와 헤더 커넥터(22)를 연결하기 위해 회전축(86) 주위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된다. 레버부재(18)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위치 확보 탭(94)은 저지부(102; 도 1)의 연장부(110; 도 1)가 방사형 상부면(38)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태에서 슬롯(90) 내에서 상부 위치에 체류한다. 레버부재(18)가 방사형 상부면(38)에서 걸쇠(42) 위의 일 지점까지 회전되면, 저지부(102)의 연장부(110)가 걸쇠(42) 내에 보유된 상태에서 위치 확보 탭(94)은 레버 암(46)에 대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슬롯(90) 내에서 직선으로 하향 슬라이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최종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10)의 등배도이다. 위치 확보 탭(94)이 하부 위치에 놓이게 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8)는 하니스 커넥터(14)와 헤더 커넥터(22)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위치에서 체결되어진다. 따라서, 위치 확보 탭(94)이 하부 위치에 놓이게 되면, 하니스 커넥터(14)와 헤더 커넥터(22)가 최종 위치에 놓이고 상기 전기접점들이 접속되는 시각적 확신을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준다. 그리고,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까지 위치 확보 탭(94)을 이동하고 걸쇠(42; 도 1)로부터 연장부(110; 도 1)를 제거하기 위하여 누름패드(98)를 레버 암(46)에 대하여 화살표 K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레버부재(18)는 연결 위치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연장부(110)가 걸쇠(42)에서 해제되면, 레버부재(18)는 헤더 커넥터(22)로부터 하니스 커넥터(14)를 결합해제하도록 회전축(86) 주위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되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200)의 등배도이다. 커넥터 조립체(200)는 레버부재(204), 하니스 커넥터(208) 및 헤더 커넥터(212)를 포함한다. 레버부재(204)는 인입 위치에 놓여있고 하니스 커넥터(208)의 측벽(22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보유되는 레버 암(216)을 가진다. 레버 암(216)은 상술된 바와 같이 헤더 커넥터(212)의 랙(252)과 연결하는 캠 암(248)을 포함한다. 레버부재(204)가 인입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까지 회전축(224) 주위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될 때 하니스 커넥터(208)는 헤더 커넥터(212)를 수용하고 헤더 커넥터(212)에 완전히 연결된다.
레버 암(216)은 노브형(knob-shaped) 위치 확보 탭(232)을 수용하는 개구(미도시)를 포함한다. 위치 확보 탭(232)은 손잡이(240)가 형성된 지주(236)를 포함하고, 지주(236)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연장한다. 하니스 커넥터(208)의 측벽(220)은 그 안에 위치된 걸쇠 또는 지주 홀(244)을 포함한다. 레버부재(204)가 인입 위치로부터 최종 위치까지 회전축(224) 주위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된 때, 손잡이(240)는 레버 암(216)에 대하여 내향으로 눌러져서 지주(236)가 지주 홀(244) 위에 위치되어질 때까지 지주(236)는 측벽(220)에 대하여 슬라이드한다. 이후 지주(236)는 지주 홀(244) 내로 슬라이드하고 손잡이(240)는 레버 암(126)에 대하여 내향 슬라이드한다. 위치 확보 탭(232)이 지주 홀(244) 내로 체결되어져서 레버부재(204)는 연결 위치에 놓이며 회전축(224) 주위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회전되어질 수 없게 된다. 레버부재(204)가 연결 위치에 놓이면, 하니스 커넥터(208)와 헤더 커넥터(212)는 최종 위치에 놓이게 되고 상기 전기접점들은 완전히 접속된다. 따라서, 위치 확보 탭(232)은 연결 위치에서 레버부재(204)를 체결하도록 작용하고 하니스 커넥터(208)와 헤더 커넥터(212)가 완전히 연결되는 시각적 확신을 제공한다.
그리고, 레버부재(204)가 손잡이(240)를 레버 암(216)으로부터 외향 이동함으로써 연결 위치로부터 해제되어질 수 있어서 지주(236)는 지주 홀(244)로부터 회수되어진다. 지주(236)가 지주 홀(244)에서 회수되어지면, 레버부재(204)는 헤더 커넥터(212)로부터 하니스 커넥터(208)를 연결해제하기 위해 회전축(224) 주위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되어질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실시예의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로,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작업자에게 상기 레버부재가 연결 위치에 놓여서 상기 하니스 커넥터와 상기 헤더 커넥터가 최종 위치에서 완전히 연결되고 상기 전기접점들이 접속되는 시각적 확신을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하니스 커넥터가 상기 헤더 커넥터로부터 연결해제되어지지 않을 것 또는 상기 전기접점들이 연결해제되어질 것을 인지한다. 둘째로,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연결 위치에서 상기 레버부재를 체결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위치 확보 탭이 상기 레버부재를 체결해제하기 위해 조작취급되지 않는다면 연결 위치로부터 제거되어질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는 자잔해서 회전하지 않고 상기 하니스 커넥터와 상기 헤더 커넥터 및 상기 전기접점들을 연결해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레버부재 상의 상기 위치 확보 탭의 위치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레버부재의 회전 또는 상기 하니스 커넥터 및 상기 헤더 커넥터의 연결을 간섭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제작하기 용이하고 상기 하니스 커넥터에 상기 레버부재를 연결하기 전에 상기 레버부재에 미리 조립(pre-assembled)될 수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하니스 커넥터와 상기 헤더 커넥터로부터 별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등가로 대체되어질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게 인식되어질 것이다. 게다가, 다양한 수정이 본 발명의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채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요지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것이라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진 단부를 갖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도록 상호접속가능하게 형성됨-;
    상기 레버부재가 인입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까지 동작영역을 통하여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캠 암을 포함하는 레버부재-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로 회전될 시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연결되며, 상기 래버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된 위치 확보 탭을 가짐-;
    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동작영역을 통하여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위치 확보 탭을 수용하도록 된 걸쇠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슬롯을 가지는 레버 암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저지부를 보유하여 상기 저지부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와 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상부 위치 및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에 놓여지는 하부 위치 사이의 상기 슬롯 내에서 슬라이드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슬롯을 가지는 레버 암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지부는 기저부 및 연장부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위치 확보 탭이 상기 제1하우징 상의 걸쇠에 놓여질 때 상기 홈에 보유되고 상기 슬롯의 저면과 연결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와 상기 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슬롯을 통해 연장하고 상기 제1하우징 상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부를 가지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상기 레버부재 내 슬롯에 보유된 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와 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상부를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방사형 상부면을 가지는 측벽을 포함하고, 걸쇠는 상기 방사형 상부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까지 상기 측벽을 따라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방사형 상부면을 따라서 상기 걸쇠 내로 슬라이드하며, 상기 걸쇠는 상기 연결 위치 내 상기 레버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저지부를 보유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상기 레버부재 내의 슬롯에 수용되는 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지부는 상기 저지부가 걸쇠 내에 놓이면 상기 슬롯 내의 하부 위치에 놓이며, 상기 저지부는 상기 슬롯 내에서 상기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까지 이동되는 누름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걸쇠는 상기 제1하우징의 측벽에 위치되고 원형형상이며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원통형 지주를 가지며, 상기 걸쇠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 내에 위치되어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 내에 고정될 때 상기 지주를 고정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개구를 가지는 레버 암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가 상기 지주를 수용하여 상기 지주는 걸쇠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를 통하여 슬라이드가능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개구를 갖는 레버 암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손잡이가 형성된 지주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까지 회전된 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레버 암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서 걸쇠까지 상기 지주를 슬라이드시키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상기 레버부재 내 개구에 보유되는 손잡이 및 지주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에 놓일 시에 걸쇠 내에 놓이며, 상기 지주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레버부재로부터 외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쇠로부터 제거되어지게 되어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개구를 가지는 레버 암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지주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여 상기 지주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와 연결 위치 사이에서 상기 측벽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의 측벽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 내에 놓일 때 걸쇠에 의해 수용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3.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됨-;
    레버부재-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가 인입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까지의 동작영역을 통하여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캠 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까지 회전될 시에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위치 확보 탭으로부터 연장하는 저지부를 수용하는 슬롯을 가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동작영역을 통해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저지부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해 방사형 상부면에 걸쇠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부는 기저부와 연장부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기저부는 상기 위치 확보 탭이 상기 걸쇠 내에 위치할 시에 상기 슬롯 내 보유되고 상기 슬롯의 저면에 연결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와 상기 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슬롯을 통하여 연장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상기 방사형 상부면과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레버 암을 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저지부를 보유하여 상기 저지부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와 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상부 위치 및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에 놓여지는 하부 위치 사이의 상기 슬롯 내에서 슬라이드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형 상부면은 상기 제1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연장하며, 상기 걸쇠는 상기 방사형 상부면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저지부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인입 위치로부터 상기 연결 위치까지 상기 측벽을 따라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방사형 상부면을 따라서 상기 걸쇠 내로 슬라이드하며, 상기 걸쇠는 상기 연결 위치 내 상기 레버부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저지부를 보유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7. 전기접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단부를 가지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됨-;
    레버부재-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가 인입 위치로부터 연결 위치까지의 동작영역을 통하여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는 캠 암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까지 회전될 시에 대응하는 전기접점들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위치 확보 탭으로부터 연장하는 지주를 수용하는 개구를 가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동작영역을 통해 회전되어짐에 따라 상기 지주를 수용하고 보유하기 위하여 측벽에 지주 홀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홀은 원형이고 상기 지주는 원통형이며, 상기 지주 홀은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 내에 있을때 상기 지주를 수용하여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연결 위치에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개구를 갖는 레버 암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보 탭은 손잡이가 형성된 지주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까지 회전된 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해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레버 암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통해서 지주 홀까지 상기 지주를 슬라이드시키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는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연결 위치에 놓일 시에 상기 지주 홀 내에 놓이며, 상기 지주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레버부재로부터 외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주 홀로부터 제거되어지게 되어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연결 위치로부터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057001630A 2002-07-31 2003-07-30 접속 보증형상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981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08,916 2002-07-31
US10/208,916 US6881081B2 (en) 2002-07-31 2002-07-31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971A true KR20050026971A (ko) 2005-03-16
KR100981013B1 KR100981013B1 (ko) 2010-09-07

Family

ID=3118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630A KR100981013B1 (ko) 2002-07-31 2003-07-30 접속 보증형상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81081B2 (ko)
EP (1) EP1535368B1 (ko)
JP (1) JP4270464B2 (ko)
KR (1) KR100981013B1 (ko)
CN (1) CN100420102C (ko)
AU (1) AU2003257035A1 (ko)
CA (1) CA2494457C (ko)
WO (1) WO2004012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0252B2 (ja) * 2003-04-15 2007-08-1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6824406B1 (en) * 2003-06-26 2004-11-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255593B2 (en) * 2006-01-09 2007-08-1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member
JP4593480B2 (ja) * 2006-01-11 2010-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US7387545B2 (en) * 2006-03-24 2008-06-1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pre-lock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US7396240B2 (en) * 2006-04-05 2008-07-08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US7396242B2 (en) * 2006-06-08 2008-07-08 Molex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8011938B2 (en) * 2008-05-21 2011-09-06 Tyco Electronic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inear actuator
JP4947181B2 (ja) * 2010-04-13 2012-06-06 日立電線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419224B2 (ja) 2010-04-13 2014-02-19 日立金属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2610963B (zh) * 2011-01-20 2014-07-0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DE102011056556B4 (de) 2011-12-16 2016-01-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Gehäuse für einen optischen oder elektrischen Steckverbinder zur Verwendung mit und ohne Hebel sowie Baukasten mit einem solchen Gehäuse
CN102891397B (zh) * 2012-09-19 2016-05-18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锁紧功能的矩形电连接器及其组件
CN103904479A (zh) * 2012-12-27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插拔装置
US9048576B2 (en) * 2013-08-02 2015-06-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ple-stage interlock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assurance mechanism
US9876316B2 (en) * 2013-10-10 2018-01-23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device
JP2015118830A (ja) * 2013-12-19 2015-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014202296A1 (de) * 2014-02-07 2015-08-13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Gerät und Verbindungsanordnung mit einem elektrischen Gerät
US9748693B1 (en) 2016-02-10 2017-08-29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with identification feature
US9935389B1 (en) * 2017-02-23 2018-04-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Inline connector housing assemblies with removable TPA
DE102017125860A1 (de) * 2017-11-06 2019-05-0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bügel für ein Steckverbindergehäuse
JP6826758B2 (ja) * 2017-07-18 2021-0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10383586B (zh) * 2017-09-22 2021-06-2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机械紧固件、三维增材制造设备和凸轮锁连接器
JP2019091610A (ja) * 2017-11-14 2019-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276961B2 (en) * 2019-05-31 2022-03-15 Tyco Electronics (Suzhou) Ltd. Connector housing, connector housing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GB2597960B (en) * 2020-08-11 2022-09-07 Aptiv Tech Ltd Connector assembly with sealed symmetrical split lev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940B2 (ja) * 1994-02-18 2000-0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H09204956A (ja) * 1996-01-26 1997-08-05 Amp Japan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152155B2 (ja) * 1996-10-03 2001-04-0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345566B2 (ja) * 1997-07-01 2002-11-1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4168483B2 (ja) 1998-05-29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線中継方法及び電気コネクタ構造
JP2000036357A (ja) * 1998-07-16 2000-02-02 Tokai Rika Co Ltd プラグイン結合構造
US6368125B1 (en) * 1999-05-18 2002-04-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lever
US6332789B1 (en) * 1999-05-31 2001-12-25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supporting mechanism
DE19938930C1 (de) 1999-08-17 2001-04-12 Framatome Connectors Int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6544053B2 (en) 2000-09-18 2003-04-08 Tyco Electronics Amp Gmbh Plug connector arrangement
DE10232969B4 (de) * 2001-07-23 2012-08-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ebel
US6540532B1 (en) * 2001-12-13 2003-04-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US6558176B1 (en) * 2002-03-07 2003-05-06 Tyco Electronics Corp. Mate assist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5368B1 (en) 2014-05-21
CN1672299A (zh) 2005-09-21
JP4270464B2 (ja) 2009-06-03
US6881081B2 (en) 2005-04-19
CA2494457C (en) 2007-11-13
KR100981013B1 (ko) 2010-09-07
US20040023535A1 (en) 2004-02-05
CA2494457A1 (en) 2004-02-05
WO2004012305A1 (en) 2004-02-05
JP2005535073A (ja) 2005-11-17
AU2003257035A1 (en) 2004-02-16
EP1535368A1 (en) 2005-06-01
CN100420102C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6971A (ko) 접속 보증형상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6368125B1 (en) Connector with lever
KR101797249B1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US6099330A (en) Connector with lever
US8057245B2 (en) Lever-type connector
US6193531B1 (en) Lever type connector
JP4236034B2 (ja) 電気コネクタ
JP312342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102633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ry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685499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JP2010114057A (ja) コネクタ
KR20080012183A (ko) 캠 레버 리테이너를 갖는 전기 커넥터
US10290973B1 (en) Lever release for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EP3789235A1 (en) Plug-in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JP2739627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結合機構
US5328377A (en) Lever type connector
KR100920098B1 (ko) 레버식 커넥터
US6682359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7325965B2 (en) Locking socket for biax plug-in lamp
CN212968298U (zh) 插接连接件和具有插接连接件的装置
KR100969115B1 (ko) 커넥터 결합장치
US11658429B1 (en) Bus device of terminal block
JPH08185925A (ja) コネクタ
JP2000040554A (ja) コネクタ
JPH1031285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