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098B1 - 레버식 커넥터 - Google Patents

레버식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098B1
KR100920098B1 KR1020070113199A KR20070113199A KR100920098B1 KR 100920098 B1 KR100920098 B1 KR 100920098B1 KR 1020070113199 A KR1020070113199 A KR 1020070113199A KR 20070113199 A KR20070113199 A KR 20070113199A KR 100920098 B1 KR100920098 B1 KR 100920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rm
fastening
support shaft
ty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165A (ko
Inventor
연복희
노용준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0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는 외주면에 한 쌍의 지지축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중심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arm)부가 마련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암부 바깥에 위치하는 암부를 구비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레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변위를 방지하는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레버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버식 커넥터{Lever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 결합시 레버가 변위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를 구비한 레버식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버식 커넥터는 한 쌍의 커넥터를 결합 또는 분리하는 데 큰 힘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커넥터 사이의 확실한 연결을 위해 큰 결합력이 요구되는 다수의 터미널을 구비하는 자동차 및 다른 응용분야에서 많이 이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레버식 커넥터는 커넥터 단자가 크거나 다극일 경우 커넥터 결합시 결합 마찰력이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레버(도 1의 120)의 장탈착시 작동 부하가 레버(120)에 상당량이 가해져 레버(120)의 변형(밖으로 휘는)을 가져오고 이로 인해 레버(120)가 지지축(112)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커넥터 결합시 결합력으로 인한 레버의 양쪽 암이 변위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한 레버식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는 이탈방지 부재의 암부가 커버의 암부를 홀딩(holding)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는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면에 한 쌍의 지지축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중심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arm)부가 마련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암부 바깥에 위치하는 암부를 구비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레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의 암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끼워지는 축받침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으로서, 상기 이탈방지 부재의 암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축의 체결홈에는 그 입구 부근에 비해 안쪽의 구경이 더 크게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체결홈에 억지끼움된 후 상기 체결홈의 안쪽 부분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 부재에는 상기 이탈방지 부재의 암부에 연결되는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판형의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탈방지 부재를 커버 암부에 체결함으로써, 커넥터 결합시 결합력으로 인해 레버가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내어 커넥터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부재가 설치된 레버식 커넥터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레버식 커넥터의 정면도,
도 3은 도 2b의 A부분의 단면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이탈방지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10 : 하우징 112 : 지지축
114 : 체결홈 120 : 레버
122 : 암(arm)부 124 : 축받침공
130 : 이탈방지 부재 132 : 암부
134 : 지지대 136 : 체결돌기
138 : 걸림턱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 부재가 설치된 레버식 커넥터의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에서 레버식 커넥터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는 하우징(110), 레버(120) 및 이탈방지 부재(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절연성 물질로서, 그 내부에 적어도 케이블에 결합된 접속단자 및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케이블의 중심선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앞쪽 부분에는 대응 커넥터의 하우징(미도시)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된 수용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레버(120)를 장착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축(도 3의 112 참조)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중심에는 체결홈(도 3의 114 참조)이 형성된다.
레버(120)는 'ㄷ'자 형상으로 외주면에 한쌍의 지지축이 형성된 상기 하우징(110)의 대향측면상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암부(122)가 마련된다. 상기 암부(122)의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지지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축받침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에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축받침공이 상기 지지축에 끼워짐에 따라 레버(120)가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동 조작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탈방지 부재(130)는 상기 레버(120)의 암부(122) 바깥에 위치하는 한 쌍의 암부(132)와, 상기 암부(132)에 연결되고 하우징(110)을 기준으로 레버(12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판형의 지지대(134)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대(134)는 상기 암부(132)가 레버(120)의 회동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암부(132)가 지지대(134)에 연결되어 소정의 탄성력으로 레버(120)의 암부(122)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레버(120)와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도 3은 도 2b의 A부분의 단면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이탈방지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레버(120)에 있어서 암부(122)의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지지축(1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축받침공(124)이 형성되고, 이 축받침공(124)에 하우징(110)의 지지축(112)이 끼워짐으로써 레버(120)와 하우징(1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결합을 통해 상기 레버(120)는 커넥터 하우징(110)에 대하여 회동 조작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음으로, 레버(120)의 외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이탈방지 부재(130)가 끼워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 부재(130)의 암부(132)에는 상기 지지축(112)의 체결홈(114)에 끼워지는 체결돌기(136)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36)에는 상기 체결홈(114)에 억지끼운된 후 상기 체결홈(114)의 안쪽 부분에 걸리는 걸림턱(138)이 형성된다. 걸림턱(138)의 세부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이어서, 지지축(112)의 체결홈(114)에는 그 입구 부근에 비해 안쪽의 구경이 더 크게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114)의 안쪽 부분에 걸리는 걸림턱(138)이 형성된 이탈방지 부재(130)의 체결돌기(136)가 끼워진다.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식 커넥터와 이에 대응하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 간의 결합은 대응 커넥터 하우징의 캠 돌기를 레버(120)의 캠에 끼우고 레버(120)를 회동시킴으로써 캠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커넥터 단자가 크거나 다극이어서 커넥터 삽발력이 많이 요구되는 경우, 레버(120)의 회동에 따라 레버(120)를 바깥쪽으로 휘게하여 이탈되게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레버(120)의 바깥쪽 변위를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130)가 장착되어 있어 레버(1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입구 부근에 비해 안쪽의 구경이 더 크게 단차가 형성된 체결홈(114)에 걸림턱(138)이 형성된 체결돌기(136)가 끼워짐으로써 높은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레버식 커넥터에 있어서,
    외주면에 한 쌍의 지지축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의 중심에는 체결홈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arm)부가 마련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암부 바깥에 위치하는 암부를 구비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레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암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끼워지는 축받침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으로서, 상기 이탈방지 부재의 암부에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지지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체결홈에는 그 입구에 비해 안쪽의 구경이 더 크게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체결홈에 억지끼움된 후 상기 체결홈의 안쪽 부분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부재에는 상기 이탈방지 부재의 암부에 연결되는 상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레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판형의 지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식 커넥터.
KR1020070113199A 2007-11-07 2007-11-07 레버식 커넥터 KR100920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99A KR100920098B1 (ko) 2007-11-07 2007-11-07 레버식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99A KR100920098B1 (ko) 2007-11-07 2007-11-07 레버식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65A KR20090047165A (ko) 2009-05-12
KR100920098B1 true KR100920098B1 (ko) 2009-10-01

Family

ID=40856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199A KR100920098B1 (ko) 2007-11-07 2007-11-07 레버식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8617B2 (ja) * 2011-07-01 2015-04-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20220150704A (ko) 2021-05-04 2022-11-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KR20220168642A (ko) 2021-06-17 2022-12-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230035781A (ko) 2021-09-06 2023-03-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KR20240062609A (ko) 2022-11-02 2024-05-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및 이를 가진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706A (ja) * 1992-10-15 1994-05-13 Sanden Corp 空調装置の動力伝達板姿勢規制装置
JPH06290832A (ja) * 1993-03-30 1994-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16209A (ja) * 2003-10-03 2005-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96985A (ja) * 2003-12-26 2005-07-21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9706A (ja) * 1992-10-15 1994-05-13 Sanden Corp 空調装置の動力伝達板姿勢規制装置
JPH06290832A (ja) * 1993-03-30 1994-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16209A (ja) * 2003-10-03 2005-04-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96985A (ja) * 2003-12-26 2005-07-21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65A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6121B1 (en) Lever type connector
TWI237928B (en) Connector
US7785146B2 (en) Locking device for connector elements and a connector provided with said device
KR100894952B1 (ko) 캠 레버 리테이너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4843669B2 (ja) ロック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709051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KR100920098B1 (ko) 레버식 커넥터
US9252507B2 (en) Terminal block
JP4881805B2 (ja) 防水コネクタ
US7168972B1 (en) Computer interface jack
EP2337157B1 (en) Connector
US8419462B2 (en) Lever type connector
US2012006475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H07106018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05232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331984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15206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8147008A (ja) 電気コネクタ
US6102717A (en) Cam mechanism for attaching and detaching interconnecting structures with a low insertion force
JP2004319225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2240983A1 (en)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KR100593824B1 (ko) 분리를 위한 조작 부재가 잠금 기구로 사용되는 커넥터
CN112086820A (zh) 具有闭锁杆的电缆连接器
JP2010257725A (ja) コネクタ
US5848908A (en) Lever typ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