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361A -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361A
KR20050026361A KR1020040071981A KR20040071981A KR20050026361A KR 20050026361 A KR20050026361 A KR 20050026361A KR 1020040071981 A KR1020040071981 A KR 1020040071981A KR 20040071981 A KR20040071981 A KR 20040071981A KR 20050026361 A KR20050026361 A KR 2005002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sewing
supporting
support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282B1 (ko
Inventor
다지마이쿠오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9/00Workpiece carri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3/00Devices associated with the loop-taker thread, e.g. for tension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 D05C9/06Feeding arrangements therefor, e.g. influenced by patterns, operated by panto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미싱 프레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롤러를 에워싸서 피봉제물을 대략 루프 형태로 펼친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를 확실하게 지지하고, 이로써 무늬 처짐을 방지한다.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있어서, 피봉제물은 미싱 프레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뻗은 4개의 롤러(6)를 에워싸며 대략 루프 형태로 펼쳐지고, 그 루프를 따라 타이밍 벨트(15)를 통하여 이송된다. 펼쳐진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는, 타이밍 벨트(15)에 장착된 지지 부재(17)에 의하여 지지되고, 당해 지지 부재(17)에 의하여 피봉제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타이밍 벨트(15)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피봉제물이 이송된다.

Description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OBJECT TRANSFER APPARATUS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피봉제물을 복수의 롤러에 대략 루프 형태로 펼쳐서 이송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2-102567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1’이라 한다)에는, 좌우 한 쌍의 지지체에 대하여, 베드(bed)의 전방 및 후방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뻗는 전 롤러 및 후 롤러와, 베드의 하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뻗은 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봉제틀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봉제틀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체의 한쪽은 슬라이드 레일 부재를 통하여 기계틀에 장착되어, 기계틀에 대하여 좌우(X 방향)로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드 레일 부재에는 지지체를 X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슬라이드 구동 기구가 연결되어 있고, 슬라이드 구동 기구의 X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당해 봉제틀이 X 방향으로 구동된다.
봉제틀에 포함된 3개의 각 롤러(전 롤러, 후 롤러 및 하 롤러)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좌우 한 쌍의 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그 3개의 각 롤러는, 좌우 각 단부에 있어서 풀리에 감겨진 한 쌍의 연동 벨트에 의하여 연동 가능하게 된다. 각 풀리에는 볼 스플라인 축이 삽입되어, 각 풀리는 볼 스플라인 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볼 스플라인 축의 회전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각 볼 스플라인 축의 한쪽의 단부는 기계틀에 대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봉제틀은 X 방향에 있어 구동될 때 당해 볼 스플라인 축에 의해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각 볼 스플라인 축 중, 하 롤러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 풀리에 삽입된 것은, 그 단부에 있어서, 기계틀에 장착되는 것은 아니고, Y 구동 모터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고, 당해 Y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3개의 롤러가 연동 회전된다. 또한, 여기에서 「Y」는 각 롤러의 회전 방향을 가리킨다.
연동 벨트에는, 옷감 고정 기구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취부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취부 부재는 X 방향에 따라 각각 한 쌍의 연동 벨트를 넘도록 가교 설치되어 있다. 이 취부 부재와 취부 부재에 끼워 맞춰져야 할 덮음 부재에 의하여 피봉제물을 끼워 넣음으로써, 봉제틀에 있어서, 피봉제물이 각 롤러를 에워싸는 대략 C 자의 루프 형태가 되도록 펼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피봉제물은, X 구동 모터를 구동하면 봉제틀과 함께 X 방향으로, 또 Y 구동 모터를 구동하면 3개의 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Y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1의 장치에서는, 피봉제물의 지지는, 대략 C 자의 루프 형태로 펼쳐진 피봉제물(옷감 등)의 옷감 길이(전후) 방향의 양단부에서 이루어져 있고, 옷감 폭(좌우) 방향의 양단부는 지지되지 않거나 혹은 연동 벨트의 외주면에 설치한 점착성 물질에 의하여 점착 지지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옷감 폭방향의 양단부가 지지되지 않는 경우에서는, 피봉제물의 펼쳐짐이 불충분하거나, 혹은 봉제의 진행에 따라 피봉제물이 당겨져서 무늬 처짐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옷감 폭 방향의 양단부를 점착성 물질에 의하여 점착 지지한 경우에도, 그 지지가 확실하지 않고 봉제의 진행에 따라 피봉제물의 점착 유지 부분에 처짐이 생기거나, 또는, 펼쳐진 피봉제물로부터 부하되는 장력에 의해 연동 벨트가 휘어 버리고 말아, 그 때문에 무늬 처짐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략 루프 형태로 펼쳐진 피봉제물의 횡폭(옷감 폭) 방향의 양단부를 확실하게 지지하여, 이로써 무늬 처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싱 프레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롤러를 에워싸며 피봉제물을 대략 루프 형태로 펼치고 , 그 피봉제물을 그 루프에 따라 운송 기구를 통하여 이송하는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로서, 상기 펼쳐진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운송 기구에 장착된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그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펼쳐진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한 상태에서 그 운송 기구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상기 피봉제물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다두 자수 미싱의 전체 평면도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다두 자수 미싱의 전체적인 틀체인 미싱 프레임(1)에는, 크게 나누어 복수(도면의 예에서는 4개)의 미싱 헤드(2), 각 미싱 헤드(2)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4개)의 가마 토대 및 피봉제물 이송 장치(4)가 구비된다. 이하에 있어서, 본 명세서중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당해 다두 자수 미싱의 좌우 방향(도 1의 좌우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당해 다두 자수 미싱의 전후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을 Y 방향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는 도 1의 I-I 선 단면도, 도 3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요소를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피봉제물 이송 장치(4)는, 대략 미싱 프레임(1)에 대하여 횡방향(X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기초재(5)와, 그 한 쌍의 기초재(5)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4개의 롤러(6)를 갖는다.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초재(5)의 상호간, 즉 롤러(6) 부분이, 피봉제물의 봉제부로 되고, 거기에 장착된 피봉제물(전형적으로는 옷감)은 미싱 헤드(2)와의 대향면에 있어서 봉제 가공을 받는다. 또한, 피봉제물의 장착 태양(態樣)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양 기초재(5)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좌우 측면부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네모(矩形) 형상을 이루는 틀체이고, 그 틀 내에 있어서, 미싱 프레임(1)에 포함된 횡프레임(1a)이 관통 가능하다. 4개의 롤러(6)는, 그 길이 방향이 X 방향을 따라 뻗는 방향으로, 각각의 양단부가 좌우 양 기초재(5)의 네모퉁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즉, 4개의 롤러(6)는 각각,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대하여, 상방 전측, 상방 후측, 하방 전측 및 하방 후측에 배치된다. 이들 양 기초재(5) 및 4개의 롤러(6)가,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전체적인 틀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각 기초재(5)의 상측 모서리부에는 토대부(7)가 각각 고정되어 있고, 각 기초재(5)는, 토대부(7)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8)을 통하여 미싱 프레임(1)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레일(8)은, 기초재(5)의 X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것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기구의 일 구성 요소로서 기능한다.
각 기초재(5)에 대응하여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8)은, 각각, 미싱 프레임(1)의 상기 횡프레임(1a) 상면에 있어서 X 방향에 대해 평행으로 배치된 2개의 레일(9)과, 그 2개의 레일(9)에 각각 걸려 맞추어지고, 이들을 따라 슬라이드 해야 할 2개의 슬라이더(10)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슬라이더(10)는 토대부(7)의 하면부에 고정된다. 또한, 도 2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슬라이드 레일(8)이 배치되어야 할 횡프레임(1a)의 상면은, Y 방향에 대해 폭이 넓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상호 간격을 두고 2개의 레일(9)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기초재(5)는, 미싱 프레임(1) 상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X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당해 다두 자수 미싱을 전면(도 1의 하측)에서 보았을 때 우측의 기초재(5)가 추출되어 나타나 있다. 도시된(즉 미싱 전면에서 보아 우측에 배치된 기초재(5)에 갖추어진) 토대부(7)에는, 주위에 나사산이 설치된 나사봉(11)이 관통되어 끼워져 있고, 도시한 바대로, 이 나사봉(11)은 토대부(7)로부터 기초재(5)를 꿰뚫는다. 이 토대부(7)의 나사봉(11)이 관통되는 부분에는, 나사봉(11)의 나사산에 나사맞춤하는 이동자(12)가 고정된다. 나사봉(11)의 일단은, 미싱 프레임(1) 상에 대좌(臺座)를 통하여 고정된 X 구동 모터(13)에 대하여, 그 모터의 회전축과 나사봉(11)이 동축이 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나사봉(11)은, X 구동 모터(13)의 구동에 의하여, 나사봉(1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나사봉(11)과 이동자(12)와의 나사 작용에 의하여 X 구동 모터(13)의 회전 구동은, 토대부(7)에 있어서, 따라서 당해 기초재(5)에 있어서, 나사봉(11)의 축방향(X 방향)에 따른 슬라이드 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당해 기초재(5)는 X 구동 모터(13)의 구동에 의하여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4개의 롤러(6)의 좌우 양단에서는, 각각의 대략 중심에 관하여 동축으로 배치된 축(6a)이 각각 뻗어나와 있다. 각 롤러(6)는 이들 축(6a)을 통하여 양 기초재(5)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고, 각 축(6a)은 기초재(5)를 관통하여 기초재(5)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각 축(6a)에 있어서, 기초재(5)로부터 돌출된 단부에는, 각각 풀리(14)가 고정적으로 끼워 장착된다. 즉,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각 기초재(5)에 있어서, 4개의 풀리(14)가 배설되고, 또한 각 풀리(14)와 그것에 대응하는 각 축(6a)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의 각 기초재(5)에 있어서, 고리 형상(環狀)으로 닫은 타이밍 벨트(15)가 4개의 풀리(14)에 건너 질러져 있고, 4개의 롤러(6)는 이 타이밍 벨트(15)에 의하여 서로 연락받는 것으로, 연동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3에 있어서 타이밍 벨트(15)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상후측에 배치된 롤러(6)의 오른쪽 끝에서 뻗은 축(6a)은, Y 구동 모터(16)에 대해 그 모터 축과 동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Y 구동 모터(16)는, 당해 우측의 기초재(5) 상에 고정되고 있고, 이것에 연결된 상기 상후측의 롤러(6)를, 그 축(6a)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시킨다. Y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상기 상후측의 롤러(6)에 장착된 풀리(14)가 회전하면, 그 회전이 타이밍 벨트(15)에 전달되어 다른 3개의 풀리(14)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Y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하여, 4개의 롤러(6)가 회전 구동된다. 또한, 각 풀리(14)의 주위 및 타이밍 벨트(15)의 내주면에는, 서로 치합해야 하는 줄기-홈 구조(筋溝)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 풀리(14)와 타이밍 벨트(15)가, 공회전하지 않고(미끄러지지 않고), 확실하게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타이밍 벨트(15)는, 롤러(6)의 좌우 양단측에 있어서 각각 무한 궤도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양 타이밍 벨트(15)의 가장자리부에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지지 기초부)(17)가 당해 타이밍 벨트(15)의 전체 길이에 걸쳐 복수개 장착되고 있다. 이들 지지 부재(17)는,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를 펼쳐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고, 지지해야 할 피봉제물의 일단부를 따라, 타이밍 벨트(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비교적 조밀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4 및 도 5는, 이 지지 부재(17)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있어서 주요 부분을 확대 추출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지지 부재(17)는, 그 기단부(도 4에서는 우측의 단부)에 있어서, 나사, 리벳 등의 알맞은 고정 수단에 의하여 타이밍 벨트(15)에 대해 고정된다. 지지 부재(17)는 이 기단부에서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내측을 향하여 기초재(5)를 넘어가도록 뻗고, 다른 쪽의 단부(선단부)에 있어서, 피봉제물을 지지하기 위한 오목부(17a)가 형성됨과 동시에, 오목부(17a)로부터 다시 선단으로 뻗는 부위는, 완만한 경사면이 되도록 솟아올라서 형성되고, 그 솟아오르는 부위의 상면에는, 펼쳐진 피봉제물에 찔러지는 핀(18)이 돌출 설치된다.
또, 지지 부재(17)의 기단 부근에는, 지지부(17b)가, 기초재(5)의 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부(17b)에는, 위치 결정 롤러(19)가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롤러(19)는, 롤러 외주가 기초재(5)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지지 부재(17)(또는 타이밍 벨트(15))가 피봉제물에 잡아당겨져 당해 피봉제물 내측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이밍 벨트(15)의 전체 둘레에 배열된 지지 부재(지지 기초부)(17)의 오목부(17a)에는, 그 오목부(17a)의 위에 놓여진 피봉제물을 그 위로부터 끼워 넣어서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0)가, 피봉제물의 루프를 따라(즉 모든 지지 부재(17) 즉 지지 기초부를 에워싸도록) 끼워 맞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부재(20)는, 타이밍 벨트(15)와 대략 동일한 전체 길이를 갖는 끈 형태의 부재이고, 탄성 재료인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로 형성된다. 고정부재(20)는, 그 길이 방향에 따라, 지지 부재(17)의 오목부(17a)에 대하여 비교적 강하게 끼워 맞추기에 적합한 단면으로 거의 원형부(20a)를 갖는다. 이 원형부(2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7a)에 끼워 맞춤되었을 때, 그 외주면이 오목부(17a)의 내벽면에 밀착할 수 있는 폭을 갖고 있다. 또, 고정부재(20)의 상측 가장자리에서는, 한 쌍의 손잡이부(20b)가 뻗어 있고, 그 한 쌍의 손잡이부(20b)는, 지지 부재(17)의 배열에 대응하여, 복수쌍 설치되어 있다.
도 6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피봉제물(S)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피봉제물(S)는 일례로서 봉제 가공되어야 할 옷감이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 옷감이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대해 장착되었을 때에 X 방향(횡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당해 옷감의 옷감 폭 방향, 또, Y 방향(전후 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당해 옷감의 옷감 길이 방향이라 한다.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대하여 피봉제물(S)을 장착할 때, 피봉제물(S)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상부전방측, 상부후방측, 하부전방측 및 하부후방측에 배치된 4개의 롤러(6)에 대하여, 옷감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각 롤러(6)를 대략 루프 형태로 에워싸도록 펼쳐진다. 이 때, 대략 루프 형태로 감겨진 피봉제물(S)의 옷감 폭 방향의 양단 부분(도 1에서 보아 좌우 단부)은, 피봉제물 이송 장치(4)의 좌우 양측에 배열된 지지 부재(17)의 오목부(17a) 위에 위치된다. 그리고, 그 위로부터, 고정부재(20)의 원형부(20a)를 각 지지 부재(17)의 오목부(17a)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끼워 맞춰감으로써, 피봉제물(S)은 지지 부재(17)와 고정부재(2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렇게, 피봉제물(S)의 옷감 폭 방향의 양단부분을 충분히 펼쳐서 지지할 수 있다.
피봉제물(S)의 미싱 헤드(2)에 대한 상대적인 옷감 길이 방향(Y 방향)의 이송은, Y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하여 4개의 롤러(6) 및 타이밍 벨트(15)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지지 부재(17)는 타이밍 벨트(1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봉제물(S)은, 지지 부재(17)에 의하여 횡폭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미싱 헤드(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부재(17)에 의하면, 비교적 작은 복수의 당해 부재(17)가 타이밍 벨트(15)의 회전 방향(Y 방향)에 따라 배열됨으로써, 루프 형태로 펼쳐진 피봉제물(S)의 양단부를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부재의 구성은, 타이밍 벨트(15) 상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 부재(17)가 벨트의 회전을 저해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 피봉제물(S)은, 지지 부재(17)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옷감면이 매우 팽팽하게 펼쳐져 있고, 지지 부재(17) 선단에 설치된 핀(18)이 피봉제물(S)을 찌른다. 이와 같이 피봉제물(S)은 그 옷감 폭 방향의 양단부를, 지지 부재(17)에 있어서, 고정부재(20)에 의한 밀착 지지 및 핀(18)의 지지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봉제 가공의 진행에 따라 피봉제물(S)의 펼쳐지는 팽팽함 정도가 증가하여, 당해 피봉제물(S)의 내측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여도 지지 부재(17)에 대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봉제 가공의 진행에 따라 당해 피봉제물(S)의 내측 방향의 장력이 증가하면, 지지 부재(17) 자체가 타이밍 벨트(15)와 함께 피봉제물의 내측 방향으로 끌려가게 되지만, 지지 부재(17)의 위치 결정 롤러(규제 부재)(19)가 기초재(5)의 측면에 접촉하여, 지지 부재(17)가 내측 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타이밍 벨트(15)가 휘고 지지 부재(17) 자체가 내측으로 변위해 버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가능한 위치 결정 롤러(19)는, 지지 부재(17)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지만, 지지 부재(17)의 피봉제물의 내측방향으로의 변위는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지지된 피봉제물(S)의 미싱 헤드(2)에 대한 상대적인 옷감 폭 방향(X 방향)에 관한 구동은, X 구동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X 구동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이것에 연결된 기초재(5)가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피봉제물 이송 장치(4)가 미싱 프레임(1)에 대해 X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피봉제물(S)의 X 방향 이송이 이루어진다.
피봉제물(S)을 떼어낼 때는, 조작자는, 고정부재(20)의 한 쌍의 손잡이부(20b)를 쥐어 원형부(20a)를, 그 폭이 내향하여 좁아지도록 변형시킴으로써, 오목부(17a)와의 결합을 완화시키고, 그런 다음 각 지지 부재(17)의 오목부(17a)로부터 순차적으로 빼 나감으로써, 고정부재(20)를 지지 부재(17)로부터 떼어내면 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끈 모양인 고정부재(20)는, 양단부 사이를 연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고정부재(20)의 원형부(20a)를 지지 부재(17)의 오목부(17a)에 끼워 맞추어 피봉제물(S)을 지지한 상태에서, 즉, 피봉제물(S)의 루프에 따라 고리 형상(環狀)으로 배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맞닿는 고정부재(20)의 단부 사이를 연결시켜도 좋다. 이로 인해, 원형부(20a)와 오목부(17a)와의 끼워맞춤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상술한 예에서는, 피봉제물의 옷감 폭 방향의 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덧붙여, 피봉제물의 옷감 길이 방향의 단부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 일례로서 도 7에는, 피봉제물(S)의 옷감 길이 방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레버(21)를 나타내고 있다. 지지 레버(21)는,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된 길이 막대 형태로 뻗은 부재이며, 단면 대략 C 자의 개구(開口)부분에 대하여, 1개의 지지 부재(17)의 선단부에 설치 가능하다. 이것을,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있어서, X 방향을 따라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17)의 양 선단에 놓이도록 설치한다. 피봉제물은, 그 위에서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대하여 감겨진다. 그리고, 지지 레버(21)와 끼워 맞추는 반전(原反) 클립(22)을 그 위에서 장착함으로써, 지지 레버(21)와 반전 클립(22)에 의하여 피봉제물을 끼워 넣어서 지지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루프 형태로 감겨진 피봉제물(S)의 옷감 길이 방향의 양단을 함께 지지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각각 일단마다 지지하는 지지 레버(21)를 2개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지지 부재(17)가, 타이밍 벨트(15) 전체 면에 걸쳐 긴밀히 배치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지지 부재(17)는, 적절히 솎아 내어(즉 서로 간격을 적절히 비우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피봉제물로서 1장의 옷감을 대략 루프형태로 감은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지지 부재(17)는, 루프를 형성하는데 충분한 길이를 갖지 않는 옷감(피봉제물)도 또한 지지하게 된다. 또, 그러한 옷감(피봉제물)을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대하여 복수 장착하고, 이들을 지지 부재(17) 나아가서는 지지 레버(21)에 의해 지지하여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4)에 있어서 4개의 롤러(6)가 구비된 예를 나타내었지만, 롤러(6)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당해 롤러(6) 중 하방에 배치된 것은, 적어도 1개 구비되어 있으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지장이 없다. 또, 본 발명은 자수 미싱에 한하지 않고, 그 밖에 알맞은 타입의 미싱에 적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피봉제물 이송 장치는, 미싱 프레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롤러를 에워싸며 피봉제물을 대략 루프 형태로 펼치고, 그 피봉제물을 그 루프에 따라 운송 기구를 통하여 이송하고, 지지 부재는, 펼쳐진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이 운송 기구에 장착된다. 피봉제물은, 이 지지 부재에 의하여 횡폭 방향의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운송 기구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이송된다. 피봉제물은, 지지 부재에 의하여 양단부에서 펼침 지지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봉제의 진행에 따라 피봉제물이 내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무늬 처짐의 발생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각 지지 부재가 피봉제물의 내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각 지지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함으로써, 지지 부재 자체의 변위도 규제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한 무늬 처짐 또한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식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를 통하는 봉제 가공에 있어서, 무늬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다두식(多頭式) 미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피봉제물 이송 장치의 일부로서, 기초재(基材)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구비된 지지 부재를 추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에 관한 지지 부재와 이것에 끼워맞춤하는 고정부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에 관한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피봉제물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동 실시예에 관한 피봉제물 이송 장치에 적용 가능한 피봉제물의 옷감 길이 방향에 관한 단부 지지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싱 프레임 2 : 미싱 헤드
3 : 가마(釜) 토대 4 : 피봉제물 이송 장치
5 : 기초재 6 : 롤러
7 : 토대부 8 : 슬라이드 레일
11 : 나사봉 12 : 이동자(移動子)
13 : X 구동 모터 14 : 풀리
15 : 타이밍 벨트 16 : Y 구동 모터
17 : 지지 부재 18 : 핀
19 : 위치 결정 롤러 20 : 고정부재
21 : 지지 레버(保持杆) S : 피봉제물

Claims (8)

  1. 미싱 프레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롤러를 에워싸며 피봉제물을 대략 루프 형태로 펼치고, 그 피봉제물을 그 루프에 따라 운송 기구를 통하여 이송하는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로서,
    상기 펼쳐진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해 상기 운송 기구에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이 지지 부재에 의하여 상기 펼쳐진 피봉제물의 횡폭 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한 상태에서 그 운송 기구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상기 피봉제물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 부재가 피봉제물의 내측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각 지지 부재에 대응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봉제물의 일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부재는, 그 피봉제물의 일단부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피봉제물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 수단을 포함하고, 이 롤러 수단을 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이송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지만, 그 지지 부재의 피봉제물의 내측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기구는, 상기 복수의 롤러를 에워싸며 루프 형태로 설치되어서 이 롤러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타이밍 벨트에 따라 장착된 복수의 지지 기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 기초부는, 상기 피봉제물의 단부가 배치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그 오목부에 끼워맞춤하는 고정부재를 더 가지며, 그 지지 기초부의 오목부에 배치된 상기 피봉제물의 단부 상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그 오목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이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 기초부는, 상기 피봉제물을 찌르기 위한 핀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핀에 의하여 상기 피봉제물을 찌름으로써 이 피봉제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기구에 펼쳐진 피봉제물의 세로방향의 양단부를 각각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봉제물 이송 장치.
KR1020040071981A 2003-09-09 2004-09-09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KR100596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6797A JP2005080895A (ja) 2003-09-09 2003-09-09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JPJP-P-2003-00316797 2003-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361A true KR20050026361A (ko) 2005-03-15
KR100596282B1 KR100596282B1 (ko) 2006-07-03

Family

ID=3441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81A KR100596282B1 (ko) 2003-09-09 2004-09-09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080895A (ko)
KR (1) KR100596282B1 (ko)
CN (1) CN15947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577A (ja) 2008-03-07 2009-09-2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被縫製物移送装置
CN109706636B (zh) * 2018-12-05 2020-11-24 郑州轻工业学院 基于机器视觉感知的毛衣自动缝合设备
CN109457398B (zh) * 2018-12-05 2020-08-21 郑州轻工业学院 基于机器视觉感知的毛衣自动缝合方法
CN113026219B (zh) * 2021-02-22 2022-11-29 浙江天派针织有限公司 一种自动分割悬挂毛衣织片套口机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5876A (ja) 2000-09-13 2002-03-26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枠
KR100397867B1 (en) 2002-12-31 2003-09-13 Humantex Co Ltd Continuous embroidery frame for embroidery or quil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80895A (ja) 2005-03-31
CN1594704A (zh) 2005-03-16
KR100596282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874B1 (ko) 다침 자수 미싱
US5022336A (en) Pin type conveyor fabric feeding apparatus for a sewing machine
CN103603147B (zh) 定位装置及含有该装置的缝纫机
KR100596282B1 (ko)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EP1178144B1 (en) Sewing machine
JP5241405B2 (ja) ループ材供給装置
JP5372451B2 (ja) ループ材供給装置
US10316446B1 (en) Sewing machine for continuous strength members
KR100311878B1 (ko)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 미끄럼방지장치
JP6994144B2 (ja) 衣類の縫目拡張装置
KR20090096333A (ko) 미싱의 피봉제물 이송 장치
KR200466197Y1 (ko) 패턴 재봉기의 x-y 이송 구동장치
JP4629844B2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JP7288996B2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縫着装置
JP2003010578A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KR101656704B1 (ko) 직물재 제조장치
JP4510949B2 (ja) ミシンの下糸手繰装置
US3981255A (en) Curtain hemming device
EP0394522B1 (en) Fabric feed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2559666B2 (ja) 長尺布加工機における主送り装置
KR200219772Y1 (ko) 퀼팅머신용 옥 투입 장치
JPH038230Y2 (ko)
US499849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ducing puckering occurring in a line of machine stitching during the stitching operation
JP3750607B2 (ja) 芯付及び天伏用カーテン縫製機
JP2019209095A (ja) 衣類の縫目拡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