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250A - 차량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250A
KR20050026250A KR1020030063265A KR20030063265A KR20050026250A KR 20050026250 A KR20050026250 A KR 20050026250A KR 1020030063265 A KR1020030063265 A KR 1020030063265A KR 20030063265 A KR20030063265 A KR 20030063265A KR 20050026250 A KR20050026250 A KR 20050026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utside mirror
outside
ventil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6250A/ko
Publication of KR20050026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25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창문이나 썬루프 등을 열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생산비용을 크게 늘리지 않고서도 차체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환기장치{ventilating apparatus mounted in outside rear view mirrors for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측후방 시계의 확보를 위한 아웃사이드미러는 그 고정부(4)(4)와 가니쉬(6)(6)가 차량의 앞문짝(1)에 형성되어 있는 아웃사이드미러 장착부(2)(2)를 사이에 두고 결합됨으로서 차체에 설치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미러가 설치되는 부분에 특히 간단히 설치될 수 있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는 비좁고 폐쇄적이어서 내부공기가 탁해지기 쉽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동차의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경우도 있어 공기의 오염정도가 심하다. 이와 같이 차량 내부공기가 오염된 상태에서 장시간 있게 되면 공기중의 산소 부족으로 호흡시 뇌로 공급되는 산소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두통을 일으키거나 졸음을 유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실내공기가 오염된 경우에는 내부공기를 밖으로 배출하여 내부공기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는데, 통상은 창문이나 썬루프를 열어 환기시키게 된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바깥 날씨가 추운 관계로 창문등을 잘 열지 않게 되거나 창문 등을 열어 환기를 시키더라도 그 시간을 짧게 하게 되어 환기가 잘 안 돼는 경우가 많고, 더우기 차량이 많은 도심 한가운데에서는 외부공기가 자동차 매연으로 이미 오염되어 있는 상태라 환기를 하고픈 마음이 없어져 결국 환기를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차를 정차한 후 그 안에서 잠시 잠을 자거나 또는 아이를 재워 놓고 한 두시간 일을 보는 경우에는 왠지 불안한 마음에 차문을 잠그고 창문을 모두 닫아 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공기의 유출입이 거의 없는 폐쇄된 공간에서 잠을 자게 되면 수면 중에 질식사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창문을 열지 않고서도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장치가 마땅히 마련되어 있지 않았거나 있더라도 생산비용이 비싸 실제 차량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창문 등을 열지 않고도 차량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그 생산비용을 저렴하게 하여 실제 차량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아웃사이드미러는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차체의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에 아웃사이드미러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와 상기 고정부(4)에 힌지로 연결되어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거울로 이루어지며, 통상은 아웃사이드미러를 장착시킨 후 차량의 내부 마감을 위해 가니쉬(6)가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에 차량 내부에서 부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아웃사이드미러가 설치되는 부분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차량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기구가 형성된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와,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환기팬(20)과, 통기구가 형성된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와, 상기의 환기팬(20)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부마감이 필요하여 가니쉬(6)를 부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가니쉬(6)에도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에 형성된 통기구는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으로 족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4) 중 지면쪽에 통기구(10)를 형성함으로서 우천시 빗물이 들어 오지 않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통기구(10)에는 소정의 필터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럴 경우 관통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티끌 등을 걸러낼 수 있을 것이며, 장착되는 필터의 성능에 따라서 관통되는 공기를 어느정도 정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향기가 나는 필터를 사용하여 방향제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통기구에 필터를 장착하는 것은 상기의 통기구를 통해 차량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고자 할 때 유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에 형성된 통기구(10)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킬 때에는 차량 내부 공기가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곳이 되며, 반대로 차량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때에는 외부 공기를 차량 내부로 최초로 유입시키는 곳이 된다.
상기에서 환기팬(20)은 모터와 팬으로 구성되어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의 내부에 설치 되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차량 내부 공기를 밖으로 송풍시키기도 하고 차량 외부 공기를 안으로 송풍시키기도 한다.
상기에서 차체 중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에 형성된 통기구(30)는 차량 내부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킬 때에는 내부공기를 처음으로 유입시키는 곳이며,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때에는 외부공기가 최종적으로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곳이다.
상기의 통기구(30)에 있어서도 상기의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에 형성된 통기구(1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필터를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스위치부는 상기의 환기팬(20)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부분으로, 상기 환기팬(20)의 모터 회전방향을 단방향으로만 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ON/OFF 스위치로만 구성할 수도 있겠으나, 모터의 회전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 모두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전원의 스위칭이 달리 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환기팬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량의 밧데리 전원과는 무관하게 독립된 전원을 이용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밧데리 전원을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아웃사이드미러를 차체에 장착시킬 때 차량 내부마감을 위해 가니쉬(6)를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에 부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니쉬(6)에도 통기구(30)를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는 본 발명은, 스위치부에서 전원이 ON으로 스위칭됨으로서 환기팬(20)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환기팬(20)이 작동하고,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의 통기구(30)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의 환기팬(20)에 의해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의 통기구(10)로 송풍되며 최종적으로 차량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환기팬(20)의 모터 회전방향을 반대방향으로 하면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의 통기구(10)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이를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의 통기구(30)를 통해 실내로 송풍함으로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는 2개의 아웃사이드미러 모두에 대해 구성을 동일하게 하여 적용할 수도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아웃사이드미러에 장착되는 환기장치에 대해서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만 하게 하고 다른 하나의 아웃사이드미러에 장착되는 환기장치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만 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서 상기의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장치에 대해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필터를 장착하여 정화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방향제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 내부의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창문이나 썬루프 등에 의하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에 의함으로서 외부의 오염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차안에서 잠을 자거나 아이를 차안에 재워놓고 일을 보는 경우 등에 있어서 창문 등을 열지 않고서도 본 발명에 의해 차량 실내공기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하여 질식사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부분에 적용되므로 기존의 차량 외관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아웃사이드미러의 설치와 함께 간단히 설치됨으로서 작업공수에 추가부담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인 자동폴딩 룸미러를 사용하면 운전자가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룸미러를 접을 수 있어 편리하다.
도1은 차량에 있어 아웃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 : 차체의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 4 :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
6 : 가니쉬 20 : 환기팬

Claims (2)

  1.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에 의해 차체의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에 고정 설치되는 차량의 아웃사이드미러에 있어서;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된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와;
    상기 아웃사이드미러고정부(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환기팬(20)과;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통기구가 형성된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와;
    상기 환기팬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미러장착부(2)에 차량 내부에서 가니쉬(6)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가니쉬(6)에도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환기장치
KR1020030063265A 2003-09-09 2003-09-09 차량용 환기장치 KR20050026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265A KR20050026250A (ko) 2003-09-09 2003-09-09 차량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265A KR20050026250A (ko) 2003-09-09 2003-09-09 차량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250A true KR20050026250A (ko) 2005-03-15

Family

ID=3738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265A KR20050026250A (ko) 2003-09-09 2003-09-09 차량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62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667A (ko) * 2013-10-21 2015-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천장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5667A (ko) * 2013-10-21 2015-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천장 디스플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40736Y2 (ko)
KR20050026250A (ko) 차량용 환기장치
KR101402298B1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KR100731871B1 (ko) 차량용 공기청정장치
KR200141332Y1 (ko) 자동차의실내환기장치
JP3299533B2 (ja) 自動車室内換気装置
KR200246734Y1 (ko) 승용차용 환풍구
CN111942120B (zh) 一种车辆天窗控制方法、系统及汽车
KR200167731Y1 (ko) 자동차용 외기 도입장치
KR200440222Y1 (ko) 통기공이 구비된 자동차 유리창
KR19980013625U (ko) 자동차의 선루프
KR200242252Y1 (ko) 통풍조절기
KR970005702A (ko) 차량 실내환기장치
KR0134824B1 (ko) 승용차의 통풍장치
KR200367919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JP2002160517A (ja) 車両用換気装置
JPH0313383Y2 (ko)
KR200282652Y1 (ko) 통풍이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
KR19980022812U (ko) 자동차용 승객룸 환기장치
KR200160925Y1 (ko) 자동차 썬바이져
JPH06320939A (ja) 自動車の換気装置
KR0132382Y1 (ko) 버스의 공조장치
KR0136940Y1 (ko) 자동차 도어용 환풍장치
KR19980031321U (ko) 자동차의 선루프용 햇빛 가리개
KR20030014022A (ko) 자동차용 선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