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623A -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결정 개질형 ⅱ - Google Patents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결정 개질형 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623A
KR20050025623A KR1020057000984A KR20057000984A KR20050025623A KR 20050025623 A KR20050025623 A KR 20050025623A KR 1020057000984 A KR1020057000984 A KR 1020057000984A KR 20057000984 A KR20057000984 A KR 20057000984A KR 20050025623 A KR20050025623 A KR 2005002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triazole
methyl
chlorophenyl
triazole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이델에리카
베르메르로날트
하세낙카린
올레닉브리타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01282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256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filed Critical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2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62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49/12Oxygen or 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6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647Triazoles; Hydrogenated triazoles
    • A01N43/653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A)의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결정형 Ⅱ, 그의 제조방법 및 원치않는 미생물을 구제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결정 개질형 Ⅱ{Crystal modification II of 2-[2-(1-chlorocyclopropyl)-3-(2-chlorophenyl)-2-hydroxypropyl]-2,4-dihydro-3H-1,2,4-triazole-3-thiones}
본 발명은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결정형 Ⅱ, 그의 제조방법 및 원치않는 미생물을 구제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및 살미생물제, 특히 살진균제로서의 그의 용도는 공지되었다(참조: WO 96-16 048). 이 물질은 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1-(2-클로로페닐)-3-(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을, (a) 약 200 ℃의 온도에서 N-메틸피롤리돈의 존재하에 황과 반응시키거나, (b) 우선 헥산의 존재하에 n-부틸리튬과 반응시킨 후,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존재하에 황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음이 또한 알려졌다(참조: WO 96-16 048). 활성 화합물은 상이한 두 결정형으로 수득될 수 있으며, 그의 I 형은 실온에서 준안정성이며, II 형은 실온에서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활성 화합물이 상이한 결정형(= 다형체)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는 제조방법을 구상하고 제제를 개발하는데 공히 매우 중요하다. 즉, 상이한 형태의 화학적 화합물은 외관(결정 행태) 및 경도가 상이한 것 이외에, 또한 다수의 추가적인 물리화학적 성질이 상이하다. 이 경우, 안정성, 용해도, 흡습성, 융점, 입자 밀도 및 유동성의 차이가 작물 처리제의 품질 및 효과에 강력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물리화학적 성질을 포함하여 결정형의 존재 및 수를 예견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특히, 살아있는 유기체에 투여후 열역학적 안정성 및 또한 상이한 동태를 사전에 결정할 수 없었다.
일반적으로, 상이한 형태의 물질은 모노트로픽(monotropic) 또는 에난티오트로픽(enantiotropic)일 수 있다. 모노트로픽 다형체인 경우, 결정형은 융점 이하의 전 온도 범위에 걸쳐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을 나타낼 수 있는 반면, 에난티오트로픽 시스템의 경우는 안정한 관계가 역전되는 전이점이 존재한다. 안정성 관계, 특히 전이점의 존재여부 및 위치를 예측하는 것은 가능한 일이 아니다. 이들 주요 열역학적 관계를 고찰한 최근의 선행 기술은 Angew. Chem. Int. Ed. 1999, 38, 3440-3461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은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I 결정형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최대 피크값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I 결정형의 라만 스펙트럼에 대한 파수 및 밴드
도 2는 단결정 X-선 구조 분석으로 결정된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I 결정형의 결정 구조를 나타낸다. 결정 구조를 명백하게 특정하는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I 결정형의 결정형 결합 길이 및 각
표 2 - 계속
도 3은 단결정 X-선 구조 분석으로 결정된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I 결정형의 결정 구조를 나타낸다. 결정 구조를 명백하게 특정하는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I 결정형의 결정학적 데이터(결정 구조)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제조하는데 출발물질로 필요한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 I은 공지되었다(참조: WO 96-16 048). 융점은 140.3 ℃이며, 라만 스펙트로스코피에 의해 특정화할 수 있다.
도 4는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 결정형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최대 피크값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 결정형의 라만 스펙트럼에 대한 파수 및 밴드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 및 II 결정형의 입자 밀도를 하기 표 5에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표 5
결정형의 입자 밀도
다형체 밀도 [Mg/m3]
(I 형), 실험적 1.39
(I 형), SCA로부터 산출 1.432
(II 형), 실험적 1.43
(II 형), SCA로부터 산출 1.471
Perkin Elmer의 DSC Pyris 1을 이용하여 융점을 결정하였다. 가열 속도를 10 K 분-1으로 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각 경우, 주어진 융점은 주어진 조건하에서의 최대 피크를 나타낸다. 결정형의 라만 스펙트럼은 Bruker로부터의 RFS 100/S FT-Raman을 이용하여 기록하였다(측정당 128 스캔). 입자 밀도는 단결정 X-선 구조 부석(SCA)로부터 이론적으로 또는 Quanta-Chrome으로부터의 Ultrapyknometer 1000 T를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하는 SOP 5024 방법에 따라 실험적으로 측정하였다. 회전 음극 발생기, 흑연 모노크로마토, 섬광 계수기 및 저온 유니트와 함께 Siemens로부터의 P4RA 4-사이클 회절분석기를 사용하여 단결정 X-선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0.71073(MoKα) 파장의 몰리브덴 조사선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에 주어진 측정 데이터는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 및 II 결정형이 확연히 차이나는 융점, 각각의 라만 스펙트럼 및 입자 밀도로 명백히 특정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한 희석제는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아세톤, 2-부타논 및 에틸 아세테이트이다. 용매는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 형태 둘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반응 온도는 특정의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일반적으로 대기압하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승압하에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각각의 바람직한 양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 결정형을 해당 희석제에 현탁 또는 용해시킨 후, 혼합물을 II 결정형으로 전환될 때까지 특정의 소정 온도에서 교반한다. 이때,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 및 희석제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전환 속도는 결정형 II의 시드 결정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고온에서, 전환은 저온보다 신속히 진행한다.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 결정형을 완전히 용해시키는 용매가 사용되는 경우, 결정형 II로의 전환은 기껏해야 출발물질을 약간만 용해시키는 현탁액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빠르게 진행한다. 또한, 결정형 I의 결정형 II로의 전환은 결정형 II의 시드 결정에 의해 촉진된다.
일반적으로, 결정형 I의 결정형 II로의 전환은 시드 결정의 사용없이 실온에서 냉각을 이용한 결정화로 승온에서 직접 이루어질 수 있다. 시드 결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결정형 I이 결정형 II로 전환되는데는 7 내지 14일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결정형 I의 현탁액이 결정형 II로 전환되는 동안 결정형 II의 시드 결정이 첨가되는 경우, 24 내지 48 시간의 처리 시간이면 결정형 II로 정량적으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하다. 각 경우, 결정형 I을 재구성하지 않고 처리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정형 II의 분리는 각 경우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된다. 현탁액이 존재하는 경우, 결정형 II는 일반적으로 여과되고 건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결정형 II로의 전환이 정량적이지 않은 경우, 결정형 I과 II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그러나, 결정형 I은 결정형 II 보다 열역학적으로 덜 안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결정형 I을 소량으로만 함유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은 일반적으로 결정형 I을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본 발명에 따른 II 결정형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제제를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고, 제제 제조후에도, 활성 화합물은 결정성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용액 형태로 존재한다.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II 결정형이 각 경우 목적하는 제제로 정량적으로 전환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결정적으로 응집 및/또는 침강으로 인해 복용량이 부정확해 지는 위험을 줄인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 즉 결정형 I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는 뛰어난 살미생물 작용을 가지며, 작물 보호 및 재료 보호시에 원치않는 미생물, 예를 들어 진균 및 박테리아를 구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모든 식물 및 식물의 일부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물이란 원하거나 원치않는 야생 식물 또는 작물(자연 발생 작물 포함)과 같은 모든 식물 및 식물 개체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물은 변종 소유권으로 보호될 수 있거나 보호될 수 없는 식물 품종 및 형질전환(transgenic) 식물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육종 및 최적화 방법에 의해, 생명공학적 및 유전자공학 방법에 의해 또는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식물의 일부는 식물의 모든 지상 및 지하 부분 및 기관, 예를 들어 싹, 잎, 꽃 및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의 예로 잎, 침엽(needles), 줄기(stem), 자루(trunk), 꽃, 과실체, 과일, 종자, 뿌리, 괴경 및 뿌리 줄기가 언급될 수 있다. 식물의 일부는 또한 수확 물질, 및 영양 및 생식 번식 물질, 예를 들어 묘목, 괴경, 뿌리 줄기, 삽목 및 종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로 식물 및 식물의 일부를 처리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침지, 분무, 증발, 분사, 살포, 도포에 의해서 및, 전파 물질, 특히 종자의 경우에는 또한 일 또는 다중 코팅을 적용하여 직접, 또는 활성 화합물을 그의 환경, 서식지 또는 저장 공간에 작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재료를 보호하는데 있어 공업용 물질이 원치 않는 미생물에 의해 감염 및 파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은 용액제, 유제, 현탁제, 산제, 포움제, 페이스트, 과립제, 에어로졸, 및 중합물질 및 종자용 코팅 조성물중의 극미세 캅셀제와 같은 통상의 제제 및 ULV 냉무제 및 온무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들 제제는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임의로 계면활성제, 즉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포움 형성제를 사용하여 활성 화합물을 증량제, 즉 액상 용매, 가압 액화가스 및/또는 고형 담체와 혼합하여 제조한다. 사용된 증량제가 물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유기 용매가 또한 보조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액상 용매는, 주로 크실렌, 톨루엔 또는 알킬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 클로로벤젠, 클로로에틸렌 또는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염소화 방향족 또는 염소화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산 또는 파라핀, 예를 들어, 석유 분획물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부탄올 또는 글리콜과 같은 알콜 및 그들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강한 극성 용매, 또는 물이다. 액화가스 증량제 또는 담체란 표준 온도 및 대기압하에서 가스 상태인 액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또한 부탄, 프로판, 질소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에어로졸 추진제이다. 적합한 고형 담체는 예를 들어 카올린, 점토, 활석, 백악, 석영, 아타펄기트, 몬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분쇄된 천연 광물, 및 미분 실리카, 알루미나 및 실리케이트와 같은 분쇄된 합성 광물이다. 적합한 과립제용 고형 담체는 예를 들어 방해석, 대리석, 경석, 해포석 및 백운석과 같은 분쇄 및 분류된 천연 암석, 또는 무기 및 유기가루의 합성과립, 및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및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물질의 과립이다. 적합한 유화제 및/또는 포움 형성제는 예를 들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예를 들어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아릴설포네이트 또는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다. 적합한 분산제는 예를 들어 리그노설파이트 폐액 및 메틸셀룰로오즈이다.
접착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분말, 과립 또는 라텍스 형태의 천연 및 합성 중합체, 또는 세팔린 및 레시틴과 같은 천연 인지질 및 합성 인지질이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첨가제는 광유 및 식물유이다.
착색제, 예를 들어 산화철, 산화티탄 및 프루시안 블루와 같은 무기안료, 및 알리자린 염료, 아조염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와 같은 유기 안료, 및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과 같은 미량 영양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제는 일반적으로 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90 중량%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그 자체로, 또는 그의 제제중에 예를 들어 활성 스펙트럼을 넓히거나 내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된 살진균제, 살균제, 살비제, 살선충제 또는 살충제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경우, 상승 효과가 얻어지며, 즉, 혼합물의 활성은 개별 성분들의 활성을 능가한다.
적합한 혼합 성분의 예는 다음과 같다:
살진균제:
알디모르프, 암프로필포스, 암프로필포스 포타슘, 안도프림, 아닐라진, 아자코나졸, 아족시스트로빈,
베날락실, 베노다닐, 베노밀, 벤자마크릴, 벤자마크릴-이소부틸, 비알라포스, 비나파크릴, 비페닐, 비테르타놀, 블라스티시딘-S, 브로무코나졸, 부피리메이트, 부티오베이트,
칼슘 폴리설파이드, 카프로파미드, 캅시마이신, 캅타폴, 캅탄, 카벤다짐, 카복신, 카르본, 퀴노메티오네이트, 클로벤티아존, 클로르페나졸, 클로로네브, 클로로피크린, 클로로탈로닐, 클로졸리네이트, 클로질라콘, 쿠프라네브, 시목사닐, 사이프로코나졸, 사이프로디닐, 사이프로푸람,
데바카브, 디클로로펜, 디클로부트라졸, 디클로플루아니드, 디클로메진, 디클로란, 디에토펜카브, 디페노코나졸, 디메티리몰, 디메토모르프, 디니코나졸, 디니코나졸-M, 디노캅, 디페닐아민, 디피리티온, 디탈림포스, 디티아논, 도데모르프, 도딘, 드라족솔론,
에디펜포스, 에폭시코나졸, 에타코나졸, 에티리몰, 에트리디아졸,
파목사돈, 페나파닐, 페나리몰, 펜부코나졸, 펜푸람, 펜헥사미드, 페니트로판, 펜피클로닐, 펜프로피딘, 펜프로피모르프, 펜틴 아세테이트, 수산화 펜틴, 페르밤, 페림존, 플루아지남, 플루메토버, 플루오로미드, 플루퀸코나졸, 플루프리미돌, 플루실라졸, 플루설파미드, 플루톨라닐, 플루트리아폴, 폴페트, 포세틸-알루미늄, 포세틸-소듐, 프탈리드, 푸베리다졸, 푸랄락실, 푸라메트피르, 푸르카보닐, 푸르코나졸, 푸르코나졸-시스, 푸르메사이클록스, 플루옥사스트로빈,
구아자틴,
헥사클로로벤젠, 헥사코나졸, 하이멕사졸,
이마잘릴, 이미벤코나졸, 이미녹타딘, 이미녹타딘 알베실레이트, 이미녹타딘 트리아세테이트, 요오도카브, 이프코나졸, 이프로벤포스(IBP), 이프로디온, 이소발리카브, 이루마마이신, 이소프로티올란, 이소발레디온,
카수가마이신, 크레속심-메틸, 구리 제제, 예를 들어 수산화 구리, 구리 나프테네이트, 옥시염화구리, 황산구리, 산화구리, 옥신-구리 및 보르도(Bordeaux) 혼합물,
만코퍼, 만코제브, 마네브, 메페림존, 메파니피림, 메프로닐, 메탈락실, 메트코나졸, 메타설포카브, 메트푸록삼, 메티람, 메토메클람, 메트설포박스, 밀디오마이신, 마이클로부타닐, 마이클로졸린,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니트로탈-이소프로필, 누아리몰,
오푸라스, 옥사딕실, 옥사모카브, 옥솔린산, 옥시카복심, 옥시펜티인,
파클로부트라졸, 페푸라조에이트, 펜코나졸, 펜시쿠론, 포스디펜, 피콕시스트로빈, 피마리신, 피페랄린, 폴리옥신, 폴리옥소림, 프로베나졸, 프로클로라즈, 프로사이미돈, 프로파모카브, 프로파노신-소듐, 프로피코나졸, 프로피네브, 피라클로스트로빈, 피라조포스, 피리페녹스, 피리메타닐, 피로퀼론, 피록시푸르,
퀸코나졸, 퀸토젠(PCNB), 퀴녹시펜,
황 및 황 제제, 스피록사민,
테부코나졸, 테클로프탈람, 테크나젠, 테트사이클라시스, 테트라코나졸, 티아벤다졸, 티사이오펜, 티플루자미드, 티오파네이트-메틸, 티람, 티옥시미드, 톨클로포스-메틸, 톨릴플루아니드, 트리아디메폰, 트리아디메놀, 트리아즈부틸, 트리아족사이드, 트리클라미드, 트리사이클라졸, 트리데모르프, 트리플록시스트로빈, 트리플루미졸, 트리포린, 트리티코나졸,
유니코나졸,
발리다마이신 A, 빈클로졸린, 비니코나졸,
자릴라미드, 지네브, 지람, 및 또한
다거(Dagger) G,
OK-8705,
OK-8801,
α-(1,1-디메틸에틸)-β-(2-페녹시에틸)-1H-1,2,4-트리아졸-1-에탄올,
α-(2,4-디클로로페닐)-β-플루오로-β-프로필-1H-1,2,4-트리아졸-1-에탄올,
α-(2,4-디클로로페닐)-β-메톡시-α-메틸-1H-1,2,4-트리아졸-1-에탄올,
α-(5-메틸-1,3-디옥산-5-일)-β-[[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렌]-1H-1,2,4-트리아졸-1-에탄올,
(5RS,6RS)-6-하이드록시-2,2,7,7-테트라메틸-5-(1H-1,2,4-트리아졸-1-일)-3-옥타논,
(E)-α-(메톡시이미노)-N-메틸-2-페녹시페닐아세트아미드,
1-(2,4-디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에타논 O-(페닐메틸)옥심,
1-(2-메틸-1-나프탈레닐)-1H-피롤-2,5-디온,
1-(3,5-디클로로페닐)-3-(2-프로페닐)-2,5-피롤리딘디온,
1-[(디요오도메틸)설포닐]-4-메틸벤젠,
1-[[2-(2,4-디클로로페닐)-1,3-디옥솔란-2-일]메틸]-1H-이미다졸,
1-[[2-(4-클로로페닐)-3-페닐옥시라닐]메틸]-1H-1,2,4-트리아졸,
1-[1-[2-[(2,4-디클로로페닐)메톡시]페닐]에테닐]-1H-이미다졸,
1-메틸-5-노닐-2-(페닐메틸)-3-피롤리디놀,
2',6'-디브로모-2-메틸-4'-트리플루오로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1,3-티아졸-5-카복스아닐리드,
2,6-디클로로-5-(메틸티오)-4-피리미디닐티오시아네이트,
2,6-디클로로-N-(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벤즈아미드,
2,6-디클로로-N-[[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메틸]벤즈아미드,
2-(2,3,3-트리요오도-2-프로페닐)-2H-테트라졸,
2-[(1-메틸에틸)설포닐]-5-(트리클로로메틸)-1,3,4-티아디아졸,
2-[[6-데옥시-4-O-(4-O-메틸-β-D-글리코피라노실)-α-D-글루코피라노실]아미노]-4-메톡시-1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2-아미노부탄,
2-브로모-2-(브로모메틸)펜탄디니트릴,
2-클로로-N-(2,3-디하이드로-1,1,3-트리메틸-1H-인덴-4-일)-3-피리딘카복사미드,
2-클로로-N-(2,6-디메틸페닐)-N-(이소티오시아네이토메틸)아세트아미드,
2-페닐페놀(OPP),
3,4-디클로로-1-[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1H-피롤-2,5-디온,
3,5-디클로로-N-[시아노-[(1-메틸-2-프로피닐)옥시]메틸]벤즈아미드,
3-(1,1-디메틸프로필)-1-옥소-1H-인덴-2-카보니트릴,
3-[2-(4-클로로페닐)-5-에톡시-3-이속사졸리디닐]피리딘,
4-클로로-2-시아노-N,N-디메틸-5-(4-메틸페닐)-1H-이미다졸-1-설폰아미드,
4-메틸테트라졸로[1,5-a]퀴나졸린-5(4H)-온,
8-하이드록시퀴놀린 설페이트,
9H-크산텐-2-[(페닐아미노)카보닐]-9-카복실산 하이드라지드,
비스-(1-메틸에틸)-3-메틸-4-[(3-메틸벤조일)옥시]-2,5-티오펜디카복실레이트,
시스-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사이클로헵탄올,
시스-4-[3-[4-(1,1-디메틸프로필)페닐-2-메틸프로필]-2,6-디메틸모르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틸 [(4-클로로페닐)아조]시아노아세테이트,
탄산수소칼륨,
메탄테트라티올 소듐염,
메틸 1-(2,3-디하이드로-2,2-디메틸-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메틸 N-(2,6-디메틸페닐)-N-(5-이속사졸릴카보닐)-DL-알라니네이트,
메틸 N-(클로로아세틸)-N-(2,6-디메틸페닐)-DL-알라니네이트,
N-(2,6-디메틸페닐)-2-메톡시-N-(테트라하이드로-2-옥소-3-푸라닐)아세트아미드,
N-(2,6-디메틸페닐)-2-메톡시-N-(테트라하이드로-2-옥소-3-티에닐)아세트아미드,
N-(2-클로로-4-니트로페닐)-4-메틸-3-니트로벤젠설폰아미드,
N-(4-사이클로헥실페닐)-1,4,5,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아민,
N-(4-헥실페닐)-1,4,5,6-테트라하이드로-2-피리미딘아민,
N-(5-클로로-2-메틸페닐)-2-메톡시-N-(2-옥소-3-옥사졸리디닐)아세트아미드,
N-(6-메톡시-3-피리디닐)사이클로프로판카복사미드,
N-[2,2,2-트리클로로-1-[(클로로아세틸)아미노]에틸]벤즈아미드,
N-[3-클로로-4,5-비스(2-프로피닐옥시)페닐)-N'-메톡시메탄이미드아미드,
N-포르밀-N-하이드록시-DL-알라닌 소듐염,
O,O-디에틸 [2-(디프로필아미노)-2-옥소에틸]에틸포스포르아미도티오에이트,
O-메틸 S-페닐 페닐프로필포스포르아미도티오에이트,
S-메틸 1,2,3-벤조티아디아졸-7-카보티오에이트,
스피로[2H]-1-벤조피란-2,1'(3'H)-이소벤조푸란-3'-온,
4-[(3,4-디메톡시페닐)-3-(4-플루오로페닐)아크릴로일]모르폴린.
살균제:
브로노폴, 디클로로펜, 니트라피린,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카수가마이신, 옥틸리논, 푸란카복실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프로베나졸, 스트렙토마이신, 테클로프탈람, 황산구리 및 기타 구리 제제.
살충제 / 살비제 / 살선충제:
아바멕틴, 아세페이트, 아세트아미프리드, 아크리나트린, 알라니카브, 알디카브, 알독시카브, 알파사이퍼메트린, 알파메트린, 아미트라즈, 아베르멕틴, AZ 60541, 아자디라크틴, 아자메티포스, 아진포스 A, 아진포스 M, 아조사이클로틴,
바실러스 포필리아, 바실러스 스파에리쿠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 바쿨로바이러세스, 뷰베리아 바시아나, 뷰베리아 테넬라, 벤디오카브, 벤푸라카브, 벤설탑, 벤족시메이트, 베타사이플루트린, 비페나제이트, 비펜트린, 비오에타노메트린, 비오퍼메트린, 비스트리플루론, BPMC, 브로모포스 A, 부펜카브, 부프로페진, 부타티오포스, 부토카복심, 부틸피리다벤,
카두사포스, 카바릴, 카보푸란, 카보페노티온, 카보설판, 카탑, 클로에토카브, 클로르에톡시포스, 클로르페나피르, 클로르펜빈포스, 클로르플루아주론, 클로르메포스, 클로르피리포스, 클로르피리포스 M, 클로바포트린, 크로마페노자이드, 시스-레스메트린, 시스퍼메트린, 클로사이트린, 클로에토카브, 클로펜테진, 클로티아니딘, 시아노포스, 사이클로프렌, 사이클로프로트린, 사이플루트린, 사이할로트린, 사이헥사틴, 사이퍼메트린, 사이로마진,
델타메트린, 데메톤 M, 데메톤 S, 데메톤-S-메틸, 디아펜티우론, 디아지논, 디클로르보스, 디코폴, 디플루벤주론, 디메토에이트, 디메틸빈포스, 디오페놀란, 디설포톤, 도쿠사트-소듐, 도페나핀,
에플루실라네이트, 에마멕틴, 엠펜트린, 엔도설판, 엔토모프토라 종, 에스펜발레레이트, 에티오펜카브, 에티온, 에토프로포스, 에토펜프록스, 에톡사졸, 에트림포스,
펜아미포스, 펜아자퀸, 산화 펜부타틴, 페니트로티온, 페노티오카브, 페녹사크림, 페녹시카브, 펜프로파트린, 펜피라드, 펜피리트린, 펜피록시메이트, 펜발레레이트, 피프로닐, 플루아지남, 플루아주론, 플루브로사이트리네이트, 플루사이클록수론, 플루사이트리네이트, 플루페녹수론, 플루메트린, 플루텐진, 플루발리네이트, 포노포스, 포스메틸란, 포스티아제이트, 푸브펜프록스, 푸라티오카브,
그라뉼로시스 바이러세스,
할로페노자이드, HCH, 헵테노포스, 헥사플루무론, 헥시티아족스, 하이드로프렌,
이미다클로프리드, 인독사카브, 이사조포스, 이소펜포스, 이속사티온, 이버멕틴,
뉴클레아 폴리헤드로시스 바이러세스,
람다-사이할로트린, 루페누론,
말라티온, 메카르밤, 메트알데하이드, 메타미도포스, 메타리지움 아니소플리아, 메타리지움 플라보비리데, 메티다티온, 메티오카브, 메토프렌, 메토밀, 메톡시페노자이드, 메톨카브, 메톡사디아존, 메빈포스, 밀베멕틴, 밀베마이신, 모노크로토포스,
날레드, 니텐피람, 니티아진, 노발루론,
오메토에이트, 옥사밀, 옥시데메톤 M,
파에실로마이세스 푸모소로세우스, 파라티온 A, 파라티온 M, 퍼메트린, 펜토에이트, 포레이트, 포살론, 포스메트, 포스파미돈, 폭심, 피리미카브, 피리미포스 A, 피리미포스 M, 프로페노포스, 프로메카브, 프로파지트, 프로폭수르, 프로티오포스, 프로토에이트, 피메트로진, 피라클로포스, 피레스메트린, 피레트럼, 피리다벤, 피리다티온, 피리미디펜, 피리프록시펜,
퀴날포스,
리바비린,
살리티온, 세부포스, 실라플루오펜, 스피노사드, 스피로디클로펜, 설포텝, 설프로포스,
타우-플루발리네이트, 테부페노자이드, 테부펜피라드, 테부피리미포스, 테플루벤주론, 테플루트린, 테메포스, 테미빈포스, 테르부포스, 테트라클로르빈포스, 테트라디폰, 테타사이퍼메트린,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티아프로닐, 티아트리포스, 티오사이클람 하이드로젠 옥살레이트, 티오디카브, 티오파녹스, 투린기엔신, 트랄로사이트린, 트랄로메트린, 트리아라텐, 트리아자메이트, 트리아조포스, 트리아주론, 트리클로페니딘, 트리클로르폰, 트리플루무론, 트리메타카브,
바미도티온, 바닐리프롤, 버티실리움 레카니,
YI 5302,
제타-사이퍼메트린, 졸라프로포스,
(1R-시스)-[5-(페닐메틸)-3-푸라닐]-메틸 3-[(디하이드로-2-옥소-3(2H)-푸라닐리덴)메틸]-2,2-디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
(3-페녹시페닐)-메틸 2,2,3,3-테트라메틸사이클로프로판카복실레이트,
1-[(2-클로로-5-티아졸릴)메틸]테트라하이드로-3,5-디메틸-N-니트로-1,3,5-트리아진-2(1H)-이민,
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4-[4-(1,1-디메틸에틸)페닐]-4,5-디하이드로-옥사졸,
2-(아세틸옥시)-3-도데실-1,4-나프탈렌디온,
2-클로로-N-[[[4-(1-페닐에톡시)페닐]아미노]카보닐]벤즈아미드,
2-클로로-N-[[[4-(2,2-디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톡시)페닐]아미노]카보닐]벤즈아미드,
3-메틸페닐 프로필카바메이트,
4-[4-(4-에톡시페닐)-4-메틸펜틸]-1-플루오로-2-페녹시벤젠,
4-클로로-2-(1,1-디메틸에틸)-5-[[2-(2,6-디메틸-4-페녹시페녹시)에틸]티오]-3(2H)-피리다지논,
4-클로로-2-(2-클로로-2-메틸프로필)-5-[(6-요오도-3-피리디닐)메톡시]-3(2H)-피리다지논,
4-클로로-5-[(6-클로로-3-피리디닐)메톡시]-2-(3,4-디클로로페닐)-3(2H)-피리다지논,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 스트레인 EG-2348,
2-벤조일-1-(1,1-디메틸에틸)히드라지노벤조산,
2,2-디메틸-3-(2,4-디클로로페닐)-2-옥소-1-옥사스피로[4.5]덱-3-엔-4-일 부타노에이트,
[3-[(6-클로로-3-피리디닐)메틸]-2-티아졸리디닐리덴]시아나미드,
디하이드로-2-(니트로메틸렌)-2H-1,3-티아진-3(4H)-카복스알데하이드,
에틸 [2-[[1,6-디하이드로-6-옥소-1-(페닐메틸)-4-피리다지닐]옥시]에틸]카바메이트,
N-(3,4,4-트리플루오로-1-옥소-3-부테닐)글리신,
N-(4-클로로페닐)-3-[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4,5-디하이드로-4-페닐-1H-피라졸-1-카복사미드,
N-[(2-클로로-5-티아졸릴)메틸]-N'-메틸-N"-니트로구아니딘,
N-메틸-N'-(1-메틸-2-프로페닐)-1,2-히드라진디카보티오아미드,
N-메틸-N'-2-프로페닐-1,2-히드라진디카보티오아미드,
O,O-디에틸-[2-(디프로필아미노)-2-옥소에틸]-에틸포스포르아미도티오에이트,
N-시아노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니코틴아미드,
3,5-디클로로-1-(3,3-디클로로-2-프로페닐옥시)-4-[3-(5-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프로폭시]벤젠.
제초제와 같은 기타 공지된 활성 화합물, 또는 비료 및 성장조절제와의 혼합물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은 매우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이들은 특히 피부진균(dermatophyte) 및 효모, 사상균 및 이상 진균(예를 들어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칸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와 같은 칸디다 종(Candida species)) 및 에피더모파이톤 플로코숨(Epidermophyton floccosum),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oger) 및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와 같은 아스퍼질러스 종(Aspergillus species), 트리코파이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와 같은 트리코파이톤 종(Trichophyton species), 마이크로스포론 카니스(Microsporon canis) 및 아우도우이니(audouinii)와 같은 마이크로스포론 종(Microsporon species))에 대해 매우 광범위한 항균 활성 스펙트럼을 가진다. 이들 진균 리스트는 결코 커버되는 항균 스텍트럼을 한정하지 않으며 단지 설명만을 목적으로 한다.
활성 화합물은 그 자체로, 그의 제제 형태로, 또는 즉시 사용형 용액, 현탁제, 수화성 산제, 페이스트, 가용성 산제, 분제 및 과립제와 같이 이들로부터 제조된 사용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통상의 방식, 예를 들어 살수, 분무, 연무, 살포, 산포, 포밍(foaming), 도포 등에 의해 적용된다. 또한, 활성 화합물을 극소 용적 방법에 의해 적용하거나, 활성 화합물 제제 또는 활성 화합물 자체를 토양에 주입할 수 있다. 식물의 종자를 처리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모든 식물 및 이들 부분을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 야생 식물종 및 식물 품종 또는 통상적인 생물학적 육종법, 예를 들어 교잡육종 또는 원형체 유합(protoplast fusion)에 의해 얻어진 식물종 및 식물 품종뿐 아니라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 적합하다면 통상적인 방법과 함께 유전자공학적으로 얻어진 형질전환 식물(transgenic plant) 및 식물 품종(유전자 변형 유기체) 및 이들의 일부가 처리된다. 용어 "부분", "식물의 일부" 또는 "식물 부분"은 상기에 설명되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시판되거나 사용중인 식물 품종의 식물이 처리된다. 식물 품종이라는 것은 통상적인 재배 기술, 돌연변이형성 또는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성질("특성")을 갖는 식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들은 품종(cultivar), 생리형(biotype) 또는 유전자형 (genotype)일 수 있다.
식물 종 또는 식물 품종, 이들의 장소 및 성장 조건(토양, 기후, 생장기, 영양분)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또한 상가("상승")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물질의 적용비율의 감소 및/또는 활성 스펙트럼의 확대 및/또는 활성 증가, 식물 성장성 향상, 고온 또는 저온 내성 증가,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분에 대한 내성 증가, 개화량 증가, 수확 용이성, 성숙성 촉진, 작화량 증가, 수확 산물의 품질 향상 및/또는 영양가 증대, 및 수확 산물의 저장 안정성 및/또는 처리성 향상과 같은 효과가 실제 기대되는 것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처리되는 형질전환 식물 또는 식물 품종(즉, 유전 공학적으로 얻어진 것)은 유전자 변형시 이들 식물에 특히 유리한 성질("특성")을 부여하는 유전자 물질을 수용하는 모든 식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질의 예로는 식물 성장성 향상, 고온 또는 저온 내성 증가, 가뭄, 또는 물 또는 토양 염분에 대한 내성 증가, 개화량 증가, 수확 용이성, 성숙성 촉진, 작화량 증가, 수확 산물의 품질 향상 및/또는 영양가 증대, 및 수확 산물의 저장 안정성 및/또는 처리성 증대가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특히 주목할만한 상기 성질의 예로 동물 및 미생물 해충, 예를 들어 곤충, 응애, 식물병원성 진균, 박테리아 및/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의 방어력 증가 및 또한 특정 제초 활성 화합물에 대한 식물의 내약성 증가가 있다. 형질전환 식물의 예로 중요한 작물, 예를 들어 곡물(밀, 쌀), 옥수수, 대두, 감자, 목화, 유지종자 평지 및 또한 과수 식물(사과, 배, 감귤 및 포도 과일이 열리는)이 언급될 수 있으며, 옥수수, 대두, 감자, 목화 및 유지종자 평지가 특히 주목된다. 강조되는 특성은 특히 식물에 형성된 독소, 특히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로부터 얻은 유전자 물질(예를 들어 유전자 CryIA(a), CryIA(b), CryIA(c), CryIIA, CryIIIA, CryIIIB2, Cry9c, Cry2Ab, Cry3Bb 및 CryIF 및 이들 조합)에 의해 식물(이후 "Bt 식물"로 언급)에 형성된 독소로 인한 곤충에 대한 식물의 방어력 증가이다. 또한, 특히 강조되는 특성은 전신 획득한 내성(SAR), 시스테민, 피토알렉신, 엘리시터 및 내성 유전자 및 상응하게 발현된 단백질 및 독소로 인한 진균,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의 방어력 증가이다. 특히 강조되는 특성은 또한 특정 제초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이미다졸리논, 설포닐우레아, 글리포세이트 또는 포스피노트리신(예를 들어 "PAT" 유전자)에 대한 식물의 내약성 증가다. 목적하는 해당 특성을 부여하는 유전자가 또한 형질전환 식물에서 상호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Bt 식물"의 예로 YIELD GARDR(예: 옥수수, 목화, 대두), KnockOutR(예: 옥수수), StarLinkR(예: 옥수수), BollgardR (예: 목화), NucotnR(예: 목화) 및 NewLeafR(예: 감자)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 품종, 목화 품종, 대두 품종 및 감자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의 예로 Roundup ReadyR(글리포세이트 내약성, 예: 옥수수, 목화, 대두), Liberty LinkR(포스피노트리신 내약성, 예: 유지종자 평지), IMIR(이미다졸리논 내약성) 및 STSR(설포닐우레아 내약성, 예: 옥수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옥수수 품종, 목화 품종 및 대두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제초제-내약성 식물(제초제 내약성을 위해 통상적인 방법으로 육종된 식물)의 예로 ClearfieldR 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품종(예: 옥수수)이 또한 언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설명은 또한 미래에 개발되고/되거나 시장화될 식물로, 상술된 특성을 지니거나 유전자 특성이 여전히 개발될 여지가 남아 있는 식물 품종에도 적용된다.
상기 서술된 식물들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 II의 제조를 이후 실시예로 설명한다.
제조 실시예
실시예 1
결정형 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5 g을 메탄올 50 g에 현탁시켰다. 결정형 I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현탁액을 60 ℃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그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에 따라 결정성 생성물이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여 60 ℃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결정형 I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4 g을 수득하였다. 라만 스펙트럼에서, 생성물은 표 1에 주어진 파수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었다.
융점: 140.0 ℃(최대 피크).
실시예 2
결정형 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5 g을 아세톤 40 g에 현탁시켰다. 결정형 I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현탁액을 50 ℃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그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에 따라 결정성 생성물이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여 60 ℃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결정형 I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3 g을 수득하였다. 라만 스펙트럼에서, 생성물은 표 1에 주어진 파수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었다.
융점: 138.6 ℃(최대 피크).
실시예 3
결정형 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5 g을 에틸 아세테이트 40 g에 현탁시켰다. 결정형 I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현탁액을 70 ℃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그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에 따라 결정성 생성물이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여 60 ℃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결정형 I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3 g을 수득하였다. 라만 스펙트럼에서, 생성물은 표 1에 주어진 파수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었다.
융점: 138.7 ℃(최대 피크).
실시예 4
결정형 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5 g을 증류수 100 g에 현탁시켰다. 현탁액을 80 ℃에서 2 주간 교반하였다. 생성된 결정성 생성물을 여과하여 60 ℃ 미만의 온도에서 건조시켰다. 결정형 II의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 4 g을 수득하였다. 라만 스펙트럼에서, 생성물은 표 1에 주어진 파수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었다.
융점: 138.4 ℃(최대 피크).
비교 실시예 A
-20 ℃에서, 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1-(2-클로로페닐)-3-(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 3.12 g(10 mmol) 및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5 ㎖의 혼합물에 헥산중의 n-부틸리튬 8.4 ㎖(2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그후, 반응 혼합물을 -70 ℃로 냉각하고, 황 분말 0.32 g(10 mmol)을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 ℃로 가온한 후, 빙수를 가하고, 묽은 황산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5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반복하여 추출한 후, 유기상을 합하여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결정형 I의 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1-(2-클로로페닐)-3-(5-머캅토-1,2,4-트리아졸-1-일)프로판-2-올 3.2 g(이론치의 93%)을 수득하였다. 라만 스펙트럼에서, 생성물은 표 4에 주어진 파수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었다.
융점: 139.3 ℃.
본 발명자들은 하기 화학식 (A)의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II 결정형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A)의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II 결정형이 상기 물질의 결정형 I을 0 내지 90 ℃의 온도에서
· 물 및/또는
· 탄소수 1 내지 10의 하나 이상의 지방족 알콜 및/또는
· 각 알킬 부분에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디알킬 케톤 및/또는
· 각 알킬 부분에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알킬 알킬카복실레이트의 존재하에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A)의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II 결정형은 원치않는 미생물, 특히 진균을 구제하는데 매우 적합함이 밝혀졌다.
상응하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형태에 비해, 준안정성 결정형은 일반적으로 불리하다. 즉, 준안정성 형태는 제조공정 및 운반 또는 저장시 활성 화합물 또는 그의 제제의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J. Pharm. Sei. 1969, 58, 911]로부터,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결정형이 사용되는 경우, 제조중 또는 저장시에 다른 다형체로 부분 또는 완전한 전환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원치않는 결졍 성장(재결정화), 생체이용성 변화, 케이킹 또는 응집을 야기하며, 변환은 자발적으로, 또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며, 예견이 불가능하다.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준안정성 형태 I도 마찬가지로 실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지 않은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진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II 형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하며, 그의 제조시에나 저장시에 순수한 형태, 또는 제제 형태, 특히 현탁 농축물이 어떤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본 발명에 따른 II 결정형의 형성은 선행기술에 기초하여 예견할 수 없었기 때문에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본 발명에 따른 II 결정형은 예기치 않은 것이다.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본 발명에 따른 II 결정형은 1013 mbar의 압력에서 90 ℃ 미만의 온도에서 안정하다. 융점은 138.3 ℃이며, 라만 스펙트로스코피에 의해 특정화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a) 내지 e)를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A)의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 결정형 II:
    a) 라만 스펙트럼에서 하기 파수[㎝-1]에서 최대 피크:
    b) 하기 결합 길이[Å] 및 결합각[o]:
    c) 하기 치수의 단위 셀
    a = 9.8927(8) Å α= 90o
    b = 9.5635(8) Å β= 92.651(6)o
    c = 16.448(10) Å γ= 90o
    d) 융점: 138.3 ℃ 및
    e) 입자 밀도 1.471 Mg/m3.
  2.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 I을 0 내지 90 ℃의 온도에서
    · 물 및/또는
    · 탄소수 1 내지 10의 하나 이상의 지방족 알콜 및/또는
    · 각 알킬 부분에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디알킬 케톤 및/또는
    · 각 알킬 부분에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알킬 알킬카복실레이트의 존재하에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 II를 제조하는 방법.
  3. 증량제 및/또는 계면활성제와 함께, 결정형 II의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살미생물제 조성물.
  4. 원치않는 미생물을 구제하기 위한,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 II의 용도.
  5.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 II를 미생물 및/또는 이들의 서식지에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원치않는 미생물을 구제하는 방법.
  6.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A)의 트리아졸 유도체의 결정형 II를 증량제 및/또는 계면활성제와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여, 살미생물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057000984A 2002-07-22 2003-07-10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결정 개질형 ⅱ KR20050025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3171A DE10233171A1 (de) 2002-07-22 2002-07-22 Kristallmodifikation II des 2-[2-(Chlor-cyclopropyl)-3-(2-chlorphenyl)-2-hydroxy-propyl]-2,4dihydro-3H-1,2,4-triazol-3-thions
DE10233171.5 2002-07-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623A true KR20050025623A (ko) 2005-03-14

Family

ID=3012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984A KR20050025623A (ko) 2002-07-22 2003-07-10 2-[2-(1-클로로사이클로프로필)-3-(2-클로로페닐)-2-하이드록시프로필]-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의결정 개질형 ⅱ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7176226B2 (ko)
EP (1) EP1524905B1 (ko)
JP (1) JP4757490B2 (ko)
KR (1) KR20050025623A (ko)
CN (1) CN1681390B (ko)
AR (1) AR040505A1 (ko)
AU (1) AU2003246673B2 (ko)
BR (1) BR0312839A (ko)
CA (1) CA2492973C (ko)
DE (1) DE10233171A1 (ko)
EA (1) EA007384B1 (ko)
IL (2) IL166303A0 (ko)
MX (1) MX252778B (ko)
PL (1) PL206586B1 (ko)
UA (1) UA80291C2 (ko)
WO (1) WO2004008860A1 (ko)
ZA (1) ZA2005005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54777A1 (es) * 2005-06-20 2007-07-18 Basf Ag Modificaciones cristalinas de piraclostrobina
EP2703389A1 (en) * 2008-06-17 2014-03-05 Makhteshim Chemical Works Limited Crystalline modifications of prothioconazole
EP3762356A4 (en) * 2018-03-06 2021-09-29 UPL Ltd IMPROVED PROCESS FOR MANUFACTURING INTERMEDIATE PRODUCTS
CN110272393B (zh) * 2018-03-13 2022-08-09 华东理工大学 丙硫菌唑溶剂化物及其制法和应用
CN110372617B (zh) * 2019-08-08 2021-03-12 北京颖泰嘉和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药用组合物、丙硫菌唑的晶型及其制备方法、应用
CN110981822A (zh) * 2019-11-27 2020-04-10 海利尔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丙硫菌唑ⅰ型晶型的制备方法
CN113019269B (zh) * 2021-03-09 2022-11-04 江阴苏利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百菌清晶格转型装置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8046A1 (de) * 1994-11-21 1996-05-23 Bayer Ag Triazolyl-Derivate
DE19617282A1 (de) * 1996-04-30 1997-11-06 Bayer Ag Triazolyl-mercaptide
DE19619544A1 (de) * 1996-05-15 1997-11-20 Bayer Ag Triazolyl-Disulfide
DE19620407A1 (de) * 1996-05-21 1997-11-27 Bayer Ag Thiocyano-triazolyl-Derivate
DE19620590A1 (de) * 1996-05-22 1997-11-27 Bayer Ag Sulfonyl-mercapto-triazolyl-Derivate
DE19716257A1 (de) * 1997-04-18 1998-10-22 Bayer Ag Fungizide Wirkstoffkombination
DE19744401A1 (de) * 1997-10-08 1999-04-1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iazolinthion-Derivaten
DE19744400A1 (de) * 1997-10-08 1999-04-1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iazolinthion-Derivaten
AU9441898A (en) * 1997-10-08 1999-04-27 Bayer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producing triazolinthion derivatives
DE19744706A1 (de) * 1997-10-10 1999-04-1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riazolinthion-Derivaten
DE19917617A1 (de) * 1999-04-19 2000-10-26 Bayer Ag -(-)Enantiomeres des 2-[2-(1-Chlor-cyclopropyl)-3-(2-chlorphenyl) 2-hydroxy-propyl]-2,4-dihydro-[1,2,4]-triazol-3-thions
DE19961603A1 (de) * 1999-12-21 2001-06-28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iazolinthion-Deriv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40505A1 (es) 2005-04-06
AU2003246673B2 (en) 2009-07-16
EA007384B1 (ru) 2006-10-27
BR0312839A (pt) 2005-04-26
EP1524905A1 (de) 2005-04-27
EA200500195A1 (ru) 2005-06-30
CA2492973C (en) 2010-06-01
CN1681390A (zh) 2005-10-12
UA80291C2 (en) 2007-09-10
CA2492973A1 (en) 2004-01-29
US7176226B2 (en) 2007-02-13
PL374797A1 (en) 2005-10-31
WO2004008860A1 (de) 2004-01-29
US20060106080A1 (en) 2006-05-18
MX252778B (es) 2007-12-18
JP2006502994A (ja) 2006-01-26
DE10233171A1 (de) 2004-02-12
IL166303A (en) 2010-06-30
CN1681390B (zh) 2010-05-26
IL166303A0 (en) 2006-01-15
MXPA05000853A (es) 2005-04-19
EP1524905B1 (de) 2010-05-26
ZA200500515B (en) 2006-03-29
AU2003246673A1 (en) 2004-02-09
JP4757490B2 (ja) 2011-08-24
PL206586B1 (pl) 201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9697C2 (ru) Дифторметилтиазолилкарбоксанилиды
US20160152578A1 (en) Crystalline modifications of prothioconazole
EP1513824B1 (de) Furancarboxamide
IL166303A (en) Crystal modification ii of 2 - [2 - (1 - chloro - cyclopropyl) - 3 - (2 - chlorophenyl) - 2 - hydroxy -propyl] - 2,4 - dihydro - 3h - 1,2,4 - triazole - 3 - thions
EP1509513B1 (de) Mikrobizide oxathiincarboxamide
JP2004533436A (ja) 殺真菌作用を有するトリアゾロピリミジン
WO2001064644A1 (en) Dichloropyridyl- and dichloroisothiazolyl-thiocarboxamides and their use as microbicides
EP1173425B1 (de) (-)-enantiomeres des 2-[2-(1-chlor-cyclopropyl)-3-(2-chlorphenyl) -2-hydroxypropyl]-2,4-dihydro-[1,2,4]-triazol-3-thions
JP2005528364A (ja) トリアゾロピリミジン類
US20040242662A1 (en) Azinyl sulfonylimidazoles for use as microbicidal agents
NZ537811A (en) Crystal form II of 2-[2-(1-chlorocyclopropyl)-3-(2-chlorophenyl)-2-hydroxypropyl]-2,4-dihydro-3H-1,2,4-triazole-3-thione
KR20030059332A (ko) 디클로로피리딜 메틸 시안아미딘
US20040077880A1 (en) Sulfonylpyrroles
KR20010079748A (ko) 설포닐 옥사졸론 및 원치않는 미생물을 구제하기 위한그의 용도
DE10063109A1 (de) Dichlorpyridymethylim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328

Effective date: 201207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17

Effective date: 201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