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963A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963A
KR20050022963A KR1020040088324A KR20040088324A KR20050022963A KR 20050022963 A KR20050022963 A KR 20050022963A KR 1020040088324 A KR1020040088324 A KR 1020040088324A KR 20040088324 A KR20040088324 A KR 20040088324A KR 20050022963 A KR20050022963 A KR 20050022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oading
plate body
flat glas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115B1 (ko
Inventor
민이식
김중한
이범노
이충길
박원규
김영택
김준한
임상재
김성철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41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8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 B65D71/0092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 B65D71/0096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the dimensions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oad, e.g. 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횡방향의 위치가 각기 미세 조절되어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좌우 어라인먼트 및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및 정면 영역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적재 프레임이, 적재되는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적재면, 적재면의 후단부에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 및 등받이면과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좌우 측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PACKING CONTAINER FOR FLAT DISPLAY GLAS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L' 자형 프레임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대량 적재하고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소정의 어라인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이송 도중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거나 좌우로 쏠림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따라 액정 모니터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판재료로서 이용되는 평면유리 또한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 및 이송을 위하여 종래와 같이 수평적재 방식을 사용할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평판유리 간의 상호 접촉이나 외부 오염물질로 인하여 평판유리가 오염 또는 손상될 수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판유리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적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들이 대두되었는데, 그 실례로서 일본국 특개평 2000-203679호(유리판의 수납 방법, 이하 '공개특허'라 한다.)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시된 평판유리 수납체의 측면도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개특허에서 제시된 수납체는, 평판유리(G)를 수직방향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면(14a)과 적재면의 후단부로부터 수직방향에 연장되는 등받이면(14b)이 'L' 자형 지지대 위에 형성되며, 적재면이 등받이면을 향해서 2 내지 20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평판유리(G)를 등받이면(14b)에 기대어 세움으로써 적재하게 된다. 또한, 각 평판유리(G)의 테두리 부분과 각 평판유리 사이에는 적층되는 평판유리의 테두리부에만 둘러지는 이간부재(15)를 넣도록 하며, 최전방에 위치하는 평판유리 외측 및 최후방에 위치하는 평판유리와 등받이면(14b) 사이에는 보강판(16, 17)을 배치시키고 평판유리(G)와 보강판 사이에도 이간부재(15)를 넣어 평판유리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한편,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적재된 평판유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등받이면(14b)과 최전방의 보강판(16)에 고무밴드(18, 19)를 걸어 고정하였으며, 그 위로 포장자루(20)를 씌운 뒤 다시 고무밴드(21) 등으로 묶어 밀봉하였다.
또한, 평판유리(G)를 이송할 때에는 포장자루(20)에 의해 밀봉한 후,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별도의 박스를 씌운 상태로 이송한 후, 박스와 포장자루를 해체하고 고무밴드를 풀어 적재된 유리를 내려놓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의 경우 적재된 평판유리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자루나 박스와 같은 외부포장재를 별도로 관리해야 하고, 이송 후 해체된 외부포장재를 적재할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판유리의 대형화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인원이 늘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작업으로 마무리 포장작업을 할 경우 작업자가 다칠 위험이 있으며 작업실수로 인해 적재된 평판유리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재의 경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고정 상태가 단단하지 못하여 이송 도중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고 좌우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간에 부딪치거나 압력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측면 정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 및 이송에 있어서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측면 정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좌우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포장작업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소정의 어라인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이송 도중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렬 상태가 좌우로 비뚤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용이하게 포장 및 포장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는,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횡방향의 위치가 각기 미세 조절되어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좌우 어라인먼트 및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및 정면 영역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적재 프레임이, 적재되는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적재면, 적재면의 후단부에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 및 등받이면과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좌우 측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어라인먼트가, 납작한 판형을 이루고, 측면벽과 평행 상태를 이루면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에 제 1 면이 밀착되는 판체 및 판체의 제 1 면의 반대측 면인 제 2 면에 고정되고, 판체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조절 부재가,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판체의 제 2 면에 고정되는 제 1 봉 및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제 1 봉의 고정되지 않은 제 2 단부와 결합하고 제 2 단부가 측면벽에 맞물림 형태로 결착하는 제 2 봉을 포함하고, 제 1 봉과 제 2 봉의 결합부위에 각기 나사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측면벽이 제 2 봉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의 영역에 소정의 직경으로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1 삽입공을 포함하고, 조절 부재가, 일단부가 제 1 삽입공에 삽입되어 제 2 봉의 제 2 단부에 결착하고, 외력에 의한 회전력을 제 2 봉에 전달하여 제 2 봉을 회전시키는 제 1 레버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각 어라인먼트가, 판체의 제 2 면에 제 1 단부가 고정되고 측면벽의 내측면에 제 2 단부가 결착되어 판체를 지지하여 판체와 측면벽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이때 각 지지 부재는,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판체의 제 2 면에 고정되는 지지봉 및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며, 개방된 제 1 단부로 지지봉의 고정되지 않은 제 2 단부가 삽입되고, 제 2 단부가 측면벽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지지관을 포함하고, 미세 조절되는 판체의 위치에 따라 지지봉이 지지관을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전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아울러, 개폐 부재는,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며, 좌우 측면벽의 상단과 하단에 횡방향으로 각기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다수의 롤러, 각 롤러와 등받이면을 함께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각 롤러에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기 감겨 고정되어 각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일련의 좌우 체인 및 길쭉한 조각편 모양을 이루고, 좌우 체인에 양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서로 밀착하여 설치되며, 적어도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과 정면 영역을 커버하는 다수의 셔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적재면의 전단부에 좌우 체인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개폐 부재는, 적재 프레임의 일 측면벽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력을 전달받아 종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 1 기어 및 각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 1 기어를 상호 연동시켜, 제 1 기어의 종방향의 회전력을 롤러에 전달하여 롤러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회전력 전달부재는, 제 1 기어와 결속하여 제 1 기어의 종방향의 회전력을 횡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제 2 기어 및 제 2 기어에 결속하여 제 2 기어의 횡방향의 회전력을 종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각 롤러 중 어느 하나와 결속하여 종방향의 회전력을 롤러로 전달하는 제 3 기어를 포함하거나, 각 롤러 중 어느 하나와 제 1 기어 사이에 감겨서 고정되는 밸트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측면벽이 제 1 기어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의 영역에 소정의 직경으로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2 삽입공을 포함하고, 개폐 부재는, 일단부가 제 2 삽입공에 삽입되어 제 1 기어에 결착하고, 외력에 의한 회전력을 제 1 기어에 전달하는 제 2 레버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는,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적재 프레임의 적재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부인 하부 측면에 장착되고, 횡방향의 위치가 각기 미세 조절되어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좌우 어라인먼트 및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고, 적재 프레임이, 적재되는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적재면 및 적재면의 후단부에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어라인먼트가, 납작한 판형을 이루고, 제 1 면이 적재면의 하부 측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며 장착되는 판체 및 판체의 제 1 삽입공에 끼워지고 제 1 단부가 적재면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판체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판체가, 적재면의 횡방향의 연장선에 의해 하부 영역 및 상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하부 영역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1 삽입공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판체가, 제 1 면이 적재면의 하부 측면과 평행상태를 이루며 적재면의 횡방향의 연장선 하부에 장착되고, 제 1 삽입공을 포함하는 제 1 판체, 제 1 판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적재면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부로 노출되고, 제 1 면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 2 판체 및 제 1 판체 및 제 2 판체의 제 1 면의 반대측 면인 제 2 면에 고정되어 제 1 판체와 제 2 판체를 접이식으로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고, 제 2 판체가 적재면의 반대 방향으로 접히도록 한다. 이때, 판체는, 제 1 판체의 제 2 면에 상하 관통 형성된 고정공 및 고정공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제 2 판체의 제 2 면을 지지하는 고정바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조절 부재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고, 제 1 삽입공에 삽입 장착되고, 내부 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조절관 및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적재면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조절관에 삽입 장착되고, 외주를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는 조절봉을 포함하고, 조절봉의 나사홈과 조절관의 나사홈이 상호 결속되도록 한다. 아울러, 판체가 하부 영역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공을 더 포함하고, 각 어라인먼트가,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어 각 제 2 삽입공에 끼워지고 제 1 단부가 적재면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판체의 횡방향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제 1 판체와 적재면의 하부 측면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개폐 부재는,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도어편으로 이루어지고, 각 도어편이 접이식으로 여닫히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 영역을 개폐하는 좌우 정면 도어, 좌우 정면 도어의 접혀진 도어편이 각기 회전하여 포개지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측면 영역을 개폐하는 좌우 측면 도어 및 좌우 측면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좌우 측면 도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영역을 개폐하는 상면 도어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적재 프레임이, 적재면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영역 중 좌우 어라인먼트보다 적어도 외측에 형성되는 좌우 제 1 레일부 및 등받이면의 양 측면부에 형성되는 좌우 제 2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좌우 측면 도어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제 1 레일부에 결착하는 제 1 결합부재 및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 2 레일부에 결착하는 제 2 결합부재를 각기 포함하고, 좌우 측면 도어가 제 1 레일부 및 제 2 레일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에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개폐 부재를 닫아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적재면(112)과 등받이면(114)이 서로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적재 프레임(110),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양 측면을 고정시키는 어라인먼트(130) 및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는 보강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정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보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 프레임(110)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부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의 기본골격을 형성한다. 적재 프레임(110)은 적재면(112), 등받이면(114) 및 좌우의 측면벽(116)으로 이루어지는데, 적재면(112)은 적재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등받이면(114)은 적재 프레임의 배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적재면(112)과 등받이면(114)은 상호 수직을 이루는 'L' 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좌우의 측면벽(116)은 적재면과 등받이면의 양 측단부를 연결하며 형성되어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 영역을 차단하게 된다. 적재 프레임(110)에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는 적재면과 등받이면에 의해 각기 하단과 배면이 지지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와 접촉되는 적재면(112)의 상면 및 등받이면(114)의 정면부에 완충재(113, 115)를 부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자체의 하중과 외부로부터의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한다. 또한, 좌우의 측면벽(116)의 내측으로도 완충재(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130)는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양 측면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 프레임(110)의 좌우 측면벽(116)의 내측에 좌우로 쌍을 이루며 구비된다. 이때, 서로 쌍을 이루는 어라인먼트(130)는 서로 동일한 횡방향의 연장선 상에 배치하도록 하여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각 어라인먼트(130)는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116)의 외측에서 소정의 제 1 레버 등을 이용하여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함으로써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또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양 측면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어라인먼트(130)는 적어도 한쌍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라인먼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 5 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어라인먼트(130)와는 별도로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적재 프레임(11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고정장치는 적재 프레임(110)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부에 버클 또는 후크 등이 구비된 밸트 타입 또는 클램프 타입으로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부재(140)는 적재 프레임(110)의 개방된 영역, 구체적으로 적재 프레임의 상면 및 정면 영역을 개폐시키는 구성부로서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는 개폐 부재(140)로 등받이면(114)을 전체적으로 감싸며 적재 프레임(11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련의 셔터(이하에서는 '롤링 셔터'라 한다.)를 사용한다. 롤링 셔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개폐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도 4(a)는 도 3(a)의 A-A' 방향의 단면도,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우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개폐 부재, 즉 롤링 셔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140)는 적재 프레임(110)의 좌우 측면벽(116)의 내측으로 밀착하여 구비되며 등받이면(114)을 앞뒤로 감싸는 구성을 이룬다. 롤링 셔터(140)는, 적재 프레임(110)의 좌우 측면벽(116)의 내측에 양 단부가 밀착 설치되며 적어도 좌우 측면벽의 상단과 하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다수의 롤러(146), 상기 각 롤러와 등받이면(116)을 함께 감싸며 롤러의 좌우 단부에 각기 감겨 고정되는 일련의 체인(144), 상기 체인 중 일정 영역에 장착되는 다수의 셔터 플레이트(142), 외력을 전달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 1 기어(148) 및 제 1 기어의 회전력을 롤러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재(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146)는 외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체인(144)을 회전시키는 구성부로서 적재 프레임(1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각 롤러(146)의 양 단부는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116)의 내측, 즉 각 측면벽의 대향하는 면에 밀착 배치되거나 장착되며, 체인(144)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적어도 적재 프레임(1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각 롤러(146)는 단면이 원형을 이루는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한편, 체인(144)이 결착되는 각 롤러(146)의 양 단부를 톱니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 롤러의 회전력이 체인에 유실 없이 전달되어 롤러가 헛돌거나 체인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144)은 각 롤러(146)에 감긴 상태로 수직 방향(종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부로서, 각 롤러와 적재 프레임(110)의 등받이면(114)을 함께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체인(144)은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롤러(146)의 좌우 단부에 각기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좌우의 각 체인(144)은 좌우 측면벽(116)의 대향하는 면에 밀착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적재하거나 내릴 때 체인(144)과 접촉하거나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과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 영역 사이에 충분한 여유를 두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 플레이트(142)는 길쭉하고 얇은 조각편 모양을 이루고, 좌우 체인(144)의 일정 영역에 장착되어 적재 장착되어 적재 프레임(110)의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는 구성부이다. 셔터 플레이트(142)는 적재 프레임(110)의 정면과 상면 영역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되며, 각 셔터 플레이트는 좌우 체인(144)에 양 단부가 고정되는 형태로 서로 밀착하여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셔터 플레이트(142)의 양 단부를 나사 등의 결속수단(142a)을 이용하여 체인(144)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링 셔터(140)는 적재 프레임(110)의 정면 및 상면 영역에는 다수의 셔터 플레이트(142)가 배치되고 배면 및 저면 영역으로는 체인(144)만이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체인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셔터 플레이트가 장착된 부분을 움직여 적재 프레임의 정면 및 상면 영역을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롤링 셔터(140)는 상호 연결된 상태로 자유로이 상하로 움직여야 하므로 적재면(112)을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면(112)의 전단부에는 롤링 셔터(140)가 지나갈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구(118)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롤링셔터(140)가 관통구(118)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관통구의 좌우 폭은 롤링셔터(140)의 폭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하고 전후 폭은 셔터 플레이트(142)와 체인(144)의 두께를 합한 것과 적어도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 관통구가 체인(144)과 셔트 플레이트(142)의 결합체가 아닌 체인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적재면(112) 전단부에 좌우의 체인(144)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관통구를 좌우에 두개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롤링 셔터(140)를 올림으로써 적재 프레임(110)의 정면 및 상면을 개방하고, 다시 롤링 셔터를 내림으로써 적재 프레임의 정면 및 상면을 일련의 셔터 플레이트(142)로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어(148)는 외력을 전달받아 일정한 회전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롤러(14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부로서, 적재 프레임(110)의 일 측면벽(116)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력의 방향은 롤러(146)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종방향을 이루도록 한다. 제 1 기어(148)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은 회전력 전달부재(150)에 의해 롤러에 전달된다.
회전력 전달부재(150)는 제 1 기어(148)와 각 롤러(146) 중 적어도 하나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써 제 1 기어의 회전력을 롤러에 전달하여 롤러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력 전달부재(150)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기어 타입)하거나 밸트 형태로 구성(밸트 타입)할 수 있다. 기어 타입의 경우, 회전력 전달부재(150)는, 제 1 기어(148)와 결속하여 제 1 기어로부터 발생되는 종방향의 회전력을 횡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기어와, 제 2 기어에 결속하여 제 2 기어의 횡방향의 회전력을 다시 종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제 3 기어를 포함하고, 제 3 기어는 각 롤러 중 하나와 결속되어 변환된 종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밸트 타입의 경우, 회전력 전달부재(150)는 제 1 기어(148)와 각 롤러(146) 중 어느 하나 사이에 감겨 제 1 기어와 롤러를 연동시키는 밸트를 포함한다. 회전력 전달부재(150)는 밸트와 기어가 혼용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1 기어(148)를 회전시키기 위하여는 제 1 기어에 외력을 전달하여야 하는데, 이때 외력은 사용자 또는 소정의 모터 등에 의해 발생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소정의 제 2 레버(미도시)를 이용해 제 1 기어(148)를 회전시키거나 모터(미도시)의 구동축과 제 1 기어를 결착시켜 모터를 이용하여 제 1 기어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일 측면벽(116) 중 제 1 기어(148)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으로는 소정의 직경으로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2 삽입공(149)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기어(148)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삽입공(149)을 통해 소정의 제 2 레버를 삽입하여 제 1 기어와 제 2 레버의 삽입된 단부를 결착시킨 후 제 1 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축을 삽입하여 구동축과 제 1 기어(148)를 결착시킴으로써 제 1 기어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밀착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밀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서는 어라인먼트의 동작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어라인먼트(130)는 적재 프레임(110)의 좌우 측면벽(116)의 내측에 좌우 한 쌍을 이루며 배치되며, 횡방향의 위치가 미세 조절되어 적재 프레임에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양 측면을 밀착하여 고정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라인먼트(130)는 적어도 좌우의 한쌍을 구비하도록 하는데, 서로 쌍을 이루는 두개의 어라인먼트는 횡방향으로 동일 연장성 상에 구비하도록 한다. 각 어라인먼트(130)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판체(132), 판체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조절부재(134, 135) 및 판체와 측면벽(116) 사이의 평행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재(138, 13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체(132)는 납작한 판형을 이루며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116)과 평행상태를 유지한다. 판체(132)는 조절부재(134, 135)에 의해 횡방향의 위치가 미세 조절되며 지지부재(138, 139)에 의해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도 측면벽(116)과의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판체(132)의 제 1 면에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재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부재(134, 135)는 판체(132)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구성부로서, 판체와 고정되는 제 1 봉(134)과 제 1 봉에 결착되는 제 2 봉(135)을 포함한다. 제 1 봉(134)은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판체(132)의 제 1 면의 반대측 면인 제 2 면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봉(135)의 제 1 단부는 제 1 봉(134)의 고정되지 않은 제 2 단부와 결합한다. 이때, 제 1 봉과 제 2 봉의 결합부위에는 나사홈(134a, 135a)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봉(135)의 결합되지 않은 제 2 단부는 측면벽(116)에 결착하여 좌우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 2 봉(135)이 회전하면서 상기 나사홈(134a, 135a)을 따라 제 1 봉(134)을 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제 1 봉이 고정된 판체(132)가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이게 된다. 한편, 제 2 봉(135)의 결착되지 않은 제 2 단부로는 제 2 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레버(136)의 일단부가 결착된다. 또한,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116) 중 제 2 봉(135)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의 영역에 소정의 직경으로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1 삽입공(137)을 포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레버(136)를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116)의 외부에서 제 1 삽입공(137)을 통해 삽입하여 제 2 봉(135)과 결합한 후 사용자가 제 1 레버를 돌림으로써 제 2 봉을 회전시켜 판체(132)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 1 레버(136)가 제 2 봉(135)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 레버는 측면벽(116)에 결착시켜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단지 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138, 139)는 판체(132)와 고정되어 판체가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흔들리거나 측면벽(116)과의 평행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부로서, 판체(132)와 고정되는 지지봉(138)과 지지봉의 외주를 감싸는 지지관(139)을 포함한다. 지지봉(138)은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판체(132)의 상기 제 2 면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관(139)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관 형상을 이루고 개방된 제 1 단부를 통해 지지봉(138)의 고정되지 않은 제 2 단부가 삽입된다. 지지관(139)은 적재 프레임(110)의 측면벽(116)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지지관의 제 2 단부와 적재 프레임의 측면벽의 내측면은 소정 거리 이격된다. 지지봉(138)과 지지관(139)의 결합면은 나사홈 등이 형성되지 않은 매끈한 형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봉(138)은 판체(132)의 횡방향의 위치에 따라 지지관(139)을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봉(138)은 지지관(139)의 제 1 단부측으로 노출되어 나오거나 지지관(139)과 측면벽(116)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봉(138)의 최대 이동범위는 지지관(139)의 길이와 상기 공간의 폭을 합한 길이만큼 된다. 한편, 이와는 달리 지지관(139)의 제 2 단부를 측면벽(116)의 내측면에 고정하고, 지지봉(138)이 지지관의 내부로 삽입 또는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봉(138)의 좌우 이동범위는 최대 지지관(139)의 길이만큼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 및 이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클린룸에서 검사가 끝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이송하기 위하여 적재 프레임(110)에 적재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하단은 적재면(112)에 의해 지지되며 배면은 등받이면(114)에 기대어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 사이에 이간재를 넣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모두 적재한 후에는 최전방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정면으로 보강재를 적재한다.
다음으로 좌우의 어라인먼트(130)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여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양 측면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삽입공(137)을 통해 제 1 레버(136)를 삽입하여 조절부재의 제 2 봉(135)에 결착시킨 후 제 1 레버를 일정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돌린다. 제 2 봉(135)은 회전하면서 제 1 봉(134)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데, 제 2 봉은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결국 제 1 봉이 적재 프레임(110)의 내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판체(132)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일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판체(132)는 제 1 봉(134)과 제 2 봉(135)의 나사홈(134a, 135a)에 의해 움직이게 되므로 횡방향의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일측면에 완전 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라인먼트 조절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충격이나 과도한 압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라인먼트(130) 이외에 별도의 평판유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고정장치를 이용해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시킨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적재 및 어라인먼트(130)의 조정이 완료되면, 제 2 레버 또는 소정의 모터의 구동축을 제 2 삽입공(149)에 삽입하여 제 1 기어(148)와 결착한 후 제 1 기어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 1 기어(148)의 회전력은 회전력 전달부재(150)를 통해 롤러(146)로 전달되고, 롤러가 종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인(144)이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셔터 플레이트(142)가 장착된 부분이 적재 프레임(110)의 상면 및 정면 영역으로 이동하여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닫게 된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적재 및 포장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100)를 이송 장소로 이송한다.
또한, 이송 후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하역하기 위하여, 제 2 삽입공(149)을 통해 제 2 레버 또는 모터의 구동축을 삽입하여 제 1 기어(148)와 결착한 후 제 1 기어를 회전시킨다. 제 1 기어(148)의 회전력은 롤러(146)로 전달되어 체인을 움직이고, 이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142)가 장착되지 않은 부분, 즉 좌우 체인(144)만이 장착된 부분이 적재 프레임(110)의 정면 및 상면으로 이동하여 적재 프레임을 개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1 삽입공(137)으로 제 1 레버(136)를 삽입하여 조절부재의 제 2 봉(135)에 결착한 후 상기와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2 봉이 제 1 봉(134)을 조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봉(135)은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제 1 봉(134)이 적재 프레임(110)의 외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판체(132)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강재 등을 꺼낸 후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120)를 하나씩 하역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로서, 도 8(a)는 측면 도어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8(b)는 측면 도어를 연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는 개폐 부재로 접이식 및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하되. 상기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200)는,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 프레임(210),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고정하는 좌우의 어라인먼트(230) 및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252, 254, 25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 프레임(210)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를 적재하는 구성부로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적재면(212)과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면(214)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200)의 적재 프레임(210)은 좌우의 측면벽을 구비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면과 등받이면은 상호 수직으로 'L'자 형상을 형성함은 물론이다. 한편, 적재 프레임(210)이 좌우의 측면벽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어라인먼트(230)는 적재면(212)의 좌우에 장착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좌우의 어라인먼트(230)는 적재면(2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부(이하 '적재면의 하부 측면'이라 한다.)에 각기 장착되며, 적어도 일정 영역이 적재면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좌우의 어라인먼트(230)는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양 측면 중 하부 영역을 밀착 고정하게 된다. 어라인먼트(23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 9 및 도 10 의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 부재(252, 254, 256)는 적재 프레임(210)의 개방된 영역, 즉 적재 프레임의 정면, 상면 및 양 측면 영역을 개폐한다. 개폐 부재는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을 개폐하는 좌우의 정면 도어(252), 적재 프레임의 양 측면을 개폐하는 좌우의 측면 도어(256) 및 적재 프레임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면 도어(254)를 포함한다. 좌우의 정면 도어(252)는 좌우의 측면 도어(256)와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상면 도어(254)의 좌우 단부는 좌우 측면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즉, 상면 도어(254)와 좌우의 측면도어(256)는 수직으로 선 'ㄷ'자 모양으로 일체형을 이루며, 따라서 상면 도어는 측면 도어를 따라 함께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의 정면 도어(252)는 각기 상호 연결된 복수의 도어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편은 좌우의 측면 도어(256)와 각기 연결된다. 즉, 좌우의 정면 도어 및 측면 도어는 상호 연결된 일련의 도어편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도어편은 인접한 도어편과 소정의 링크 및 경첩을 통해 연결된다. 정면 도어(252)는 각 도어편을 접이식으로 개폐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상호 인접한 도어편을 상호 겹침으로써 적재 프레임(210)의 정면 영역을 개방하게 된다. 각 정면 도어(252)의 도어편을 전부 접은 후에는 접혀진 전체 도어편을 각기 좌우의 측면 도어(256) 상에 겹쳐서 포개도록 한다. 도 7 의 경우 좌측의 정면 도어(252)를 완전히 접은 후 측면 도어(256) 상에 포갠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정면 도어(252)를 닫은 후 좌우의 정면 도어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우의 측면 도어(256)는 정면 도어(252)의 각 도어편이 포개진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적재 프레임(210)의 양 측면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면 도어(254)의 좌우 단부가 좌우의 측면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된 일체형을 이루므로, 측면 도어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에 의해 적재 프레임(210)의 상면 영역 역시 개폐되게 된다. 좌우의 측면 도어(256)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위하여는 적재 프레임(210)은 소정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측면 도어가 각 레일부에 결착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적재 프레임(210)은 적재면(212)의 좌우 연장선 상의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레일부(216)를 구비하고, 등받이면(214)의 양 측면부에는 역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레일부(218)를 구비한다. 각 제 1 레일부(216)는 상면 영역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좌우의 제 2 레일부(218) 역시 외측면, 즉 상호 대향하는 측면의 반대측 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219)를 구비한다. 한편, 적재면(212)의 좌우 단부에 어라인먼트(230)가 장착되므로 상기 제 1 레일부(216)는 적재면(212)의 좌우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하도록 하며, 적어도 좌우 어라인먼트보다 외측에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좌우의 측면 도어(256)가 좌우의 어라인먼트(230)의 외부를 감싸며 배치되게 된다.
좌우의 측면 도어(256)는 제 1 레일부(216)와 제 2 레일부(218)에 결착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데, 각 측면 도어의 하단부에는 제 1 레일부에 결착하는 제 1 결합부재(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각 측면 도어(256)의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에는 제 2 결합부재(미도시)를 구비하도록 한다. 각 결합부재는 소정 크기의 돌출된 돌기 형태를 이루어, 제 1 결합부재는 제 1 레일부(216)의 요홈부에 결착되고 제 2 결합부재는 제 2 레일부(218)의 요홈부(219)에 결착된다.
따라서, 좌우의 측면도어(256)는 각 결합부재가 각 레일부(216, 218)에 결합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제 1 레일부 및 제 2 레일부에 의해 각 측면 도어의 하단부 뿐만 아니라 측면부도 지지되므로 각 측면 도어를 적재 프레임(21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각 레일부가 요홈부를 형성 구비하고 각 측면 도어에는 돌기 형성의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실시례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각 레일부가 소정의 돌기 형상을 이루고 각 측면도어의 결합부재가 상기 돌기가 결착되는 요홈부 형태의 실시례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로서, 도 9(a)는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를 편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0(a)와 도 10(c)는 어라인먼트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밀착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10(b)는 어라인먼트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밀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어라인먼트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0(c)는 어라인먼트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230)는, 적재면(212)의 좌우 하부 측면에 장착되며 일정 영역이 적재면의 상부로 노출되고, 적재면의 하부 측면과 평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횡방향의 위치가 각기 미세 조절되어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양 측면 중 하부 영역을 밀착하여 고정 지지하게 된다. 각 어라인먼트(230)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일측면에 밀착하는 판체(232, 236), 판체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조절 부재(240, 242) 및 판체의 횡방향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판체와 상기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과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244)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어라인먼트(230)는 지지 부재와 조절 부재에 의해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조절 부재에 의해 횡방향의 위치가 미세 조절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체(232, 236)는 납작한 판형을 이루고 서로 대향하는 면인 제 1 면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200)는 측면 도어(256)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적재 프레임(210)의 측면 영역을 개폐하고,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230)는 각 판체의 일정 영역이 적재면(212)의 상부로 노출되는 형태를 이루므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판체를 뒤로 젖힐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적재 및 하역시 상기 판체(232, 236)를 뒤로 젖힘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 프레임(210)의 정면 영역 뿐만 아니라 개방된 측면 영역으로도 적재가 가능하게 되고,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좌우의 어라인먼트(230)와 부딪침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체는, 제 1 면이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과 평행 상태를 이루며 장착되는 제 1 판체(232), 제 1 판체의 상단에 장착되어 적재면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 2 판체(236) 및 제 1 판과 제 2 판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경첩(238)을 포함한다.
제 1 판체(232)는 납작한 판형을 이루며 제 1 면, 즉 적재면(212)을 향하는 면이 적재면의 하부 측면 중 일측면과 평행상태를 이루면서 적재면의 하부 측면에 장착된다. 즉, 제 1 판체(232)는 적재면(212)의 횡방향의 연장선 하부 영역에 지지 부재(244) 및 조절 부재(240, 242)에 의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판체(232)의 상단부와 적재면(212)의 횡방향의 연장선이 동일선상에 오도록 한다. 제 1 판체(232)는 지지 부재 및 조절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좌우 관통 형성된 제 1 삽입공(233)과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공(234)을 포함하도록 한다.
제 2 판체(236)는 납작한 판형을 이루며 제 1 판체(232)의 상단부에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 2 판체(236)는 적재면(212)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부에 배치되게 되어 제 2 판체의 제 1 면, 즉 적재면을 향하는 면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일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경첩(238)은 제 1 판체(232)와 제 2 판체(236)를 상호 연결 고정시키는 구성부로서, 제 1 판체와 제 2 판체의 상기 제 1 면의 반대측 면인 제 2 면에 각기 장착된다. 제 1 판체(232)와 제 2 판체(236)를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경첩(238)은 적어도 두개 이상 구비하도록 한다. 제 1 판체와 제 2 판체는 경첩에 의해 접이식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제 2 판체(236)는 제 1 판체(2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적재면(212)의 반대쪽으로 젖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고정시에는 제 2 판체(236)를 펴고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적재 또는 하역시에는 제 2 판체를 반대로 젖혀 적재면(212)의 양 측면부를 완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판체(236)를 폈을 때 제 2 판체가 반대쪽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제 2 판체의 제 2 면을 지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제 1 판체(232)의 제 2 면 또는 제 1 판체의 상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소정의 고정공(23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수직 방향으로 제 1 단부가 삽입 장착되는 고정바(239)를 구비하여 제 2 판체의 제 2 면을 지지한다. 이때, 고정바(239)는 고정공(235)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출된 제 2 단부가 적어도 제 2 판체(236)의 일정 높이까지 올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바(239)를 제 2 판체(236)에 결착한 후 제 2 판체를 펼 경우에는 고정바의 제 1 단부를 고정공에 삽입 장착하고, 제 2 판체를 접을 경우에는 고정바의 제 1 단부를 고정공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 2 판체(236)의 제 2 면으로는 고정바(239)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결합부(237)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판체(236)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고정바(239)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두개의 고정공(235)을 구비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 부재(240, 242)는 제 1 단부가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판체(232)의 제 1 삽입공(233)에 끼워져 판체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게 된다. 조절 부재는, 양 단부가 관통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 1 삽입공(233)에 장착되는 조절관(242) 및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조절관(233)에 끼워지는 조절봉(240)을 포함한다. 조절관(242)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된 관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 1 삽입공(233)에 삽입 결착된다. 또한, 제 1 판체(232)의 양 단부로 노출되는 조절관의 양 단부를 상기 제 1 삽입공(233)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절관이 제 1 삽입공에 결착된 상태로 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상기 삽입공을 따라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한다. 조절관(242)의 내부 측면에는 나사홈(242a)이 형성된다. 또한, 조절봉(240)은 제 1 단부가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조절관(242)에 삽입 결착되며, 외주를 따라 상기 조절관의 나사홈(242a)에 결속하는 나사홈(24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관(242)의 나사홈(242a)과 조절봉(240)의 나사홈(240a)이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므로, 조절관을 돌림에 따라 나사홈을 따라 좌우로 미세하게 움직이게 되고 제 1 판체(232) 역시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부재(244)는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상기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 판체(232)의 제 2 삽입공(234)에 끼워진다. 지지 부재(244)의 외주는 별도의 나사홈 등이 형성되지 않은 매끈한 면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제 2 삽입공(234)의 내부면 역시 매끈한 면을 이루므로, 지지 부재는 제 1 판체(232)의 좌우 움직임에 어떠한 저항도 발생하지 않으면서 횡방향의 이동축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판체(232)는 지지 부재(244)에 의해 횡방향의 이동시에도 흔들림 없이 적재면(212)의 하부 측면과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를 적재 및 이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이송할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를 적재 프레임(210)에 적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 사이에 이간재를 개재하고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전방에 보강재를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적재시에는 좌우의 측면 도어(256)가 뒤로 슬라이딩되어 열린 상태이고 좌우 어라인먼트(230)의 제 2 판체(236)가 적재 프레임의 바깥쪽으로 젖혀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를 적재 프레임(210)의 정면 뿐만 아니라 측면을 통해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적재가 끝나면, 좌우 어라인먼트(230)의 제 2 판체(236)를 펴고 고정바(239)를 고정공(235)에 끼워 제 2 판체의 제 2 면을 지지한 후, 좌우의 어라인먼트(230)의 좌우 위치를 미세 조절하여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조절관(242)을 일정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조절관과 조절봉(240)의 나사홈(240a, 242a)이 서로 맞물리면서 조절관이 조절봉을 따라 적재면(210)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조절관이 결착되어 있는 제 1 판체(232) 역시 적재면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제 1 판체(232)에 고정된 제 2 판체(236)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일측면에 밀착하게 된다. 상기 제 1 판체(232) 및 제 2 판체(236)는 지지관과 지지봉의 나사홈(240a, 242a)에 의해 움직이게 되므로 횡방향의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일측면에 완전 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라인먼트(230) 조절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충격이나 과도한 압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어라인먼트 이외에 별도의 평판유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고정장치를 이용해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고정시킨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적재 및 어라인먼트(230)의 조정이 완료된 후, 좌우의 측면 도어(256)를 앞으로 당기면 좌우의 측면 도어는 제 1 레일부(216) 및 제 2 레일부(218)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여 적재 프레임(210)의 측면 영역을 닫게 된다. 이때, 좌우의 측면 도어(256) 상단에 고정된 상면 도어(254) 역시 측면 도어를 따라 앞으로 이동하여 적재 프레임(210)의 상면 영역을 닫게 된다. 다음으로, 측면 도어(256)에 포개진 좌우 정면 도어(252)의 각 도어편을 펼쳐 적재 프레임(210)의 정면 영역을 닫는다. 좌우의 정면 도어를 결속하는 별도의 잠금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잠금 수단을 이용하여 좌우의 정면 도어를 상호 결속시킨다.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의 적재 및 포장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200)를 이송 장소로 이송한다.
또한, 이송 후에 적재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를 하역하기 위하여, 먼저 정면 도어(252)의 잠금 수단을 해제한 후 좌우 정면 도어의 각 도어편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차례로 접어서 적재 프레임(210)의 정면 영역을 개방한다. 다음으로, 상호 접혀진 좌우 정면 도어(252)의 도어편을 좌우의 측면 도어(256) 상에 접어서 포갬으로써 적재 프레임(210)의 정면 영역을 완전 개방한다. 정면 도어(252)의 도어편이 포개진 측면 도어(256)를 뒤로 밀게 되면 좌우의 측면 도어가 제 1 레일부(216) 및 제 2 레일부(218)를 따라 뒤로 슬라이딩하여 적재 프레임(210)의 측면 영역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면 도어(254) 역시 측면 도어(256)를 따라 뒤로 이동하여 적재 프레임의 상면 영역 역시 개방된다.
다음으로, 좌우 어라인먼트(230)의 조절관(242)을 상기와 반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조절관과 조절봉(240)의 나사홈(240a, 242a)이 서로 맞물리면서 조절관이 조절봉을 따라 적재 프레임(210)의 바깥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 1 판체(232)는 조절관(242)과 결착되어 있으므로 조절관을 따라 적재 프레임(210)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제 1 판체와 연결된 제 2 판체(236) 역시 적재 프레임의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후에, 고정공(235)에 끼워진 고정바(239)를 위로 올린 후 제 2 판체(236)를 적재 프레임의 바깥쪽으로 젖히게 된다.
다음으로, 보강재 등을 꺼낸 후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220)를 하나씩 하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 프레임(210)의 정면 영역 뿐만 아니라 측면 영역도 좌우의 어라인먼트(230) 등이 제거된 완전 개방 상태가 되므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 프레임의 정면 또는 측면에서 자유로이 하역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및 포장방법은, 적재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어라인먼트를 이용하여 고정 지지함으로써 이송 중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및 포장방법은,
첫째로, 좌우의 어라인먼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측면 정렬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 중에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측면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이송 중 또는 하역 중에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로, 어라인먼트의 횡방향의 위치를 나사홈을 이용하여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므로 어라인먼트를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고, 어라인먼트가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에 과도한 압력 또는 충격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로, 개폐 부재를 도어 형태로 구성하는 실시례에 있어서, 각 어라인먼트를 적재 프레임의 바깥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적재 프레임의 정면 뿐만 아니라 측면 영역에서도 자유로이 적재 또는 하역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개폐 부재로 롤링 셔터 또는 도어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도 1 은 일본국 특개평 2000-203679호에서 제시된 평판유리 수납체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개폐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의 또 다른 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어라인먼트의 또 다른 실시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200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10, 210 : 적재 프레임 112, 212 : 적재면
114, 214 : 등받이면 120, 220 :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130, 230 : 어라인먼트 140 : 롤링 셔터
142 : 셔터 플레이트 144 : 체인
146 : 롤러 252 : 정면 도어
254 : 상면 도어 256 : 측면 도어

Claims (19)

  1.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이,
    적재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적재면;
    상기 적재면의 후단부에 상기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 및
    상기 등받이면과 상기 적재면의 양 측단을 연결하며 형성되는 좌우 측면벽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 측면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횡방향의 위치가 각기 미세 조절되어 적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좌우 어라인먼트; 및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및 정면 영역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라인먼트가,
    납작한 판형을 이루고, 상기 측면벽과 평행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에 제 1 면이 밀착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제 1 면의 반대측 면인 제 2 면에 고정되고, 상기 판체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가,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상기 판체의 제 2 면에 고정되는 제 1 봉; 및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상기 제 1 봉의 고정되지 않은 제 2 단부와 결합하고 제 2 단부가 상기 측면벽에 맞물림 형태로 결착하는 제 2 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봉과 제 2 봉의 결합부위에 각기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이,
    상기 제 2 봉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의 영역에 소정의 직경으로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1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가,
    일단부가 상기 제 1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봉의 제 2 단부에 결착하고, 외력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제 2 봉에 전달하여 상기 제 2 봉을 회전시키는 제 1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라인먼트가,
    상기 판체의 제 2 면에 제 1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측면벽의 내측면에 제 2 단부가 결착되어 상기 판체를 지지하여 상기 판체와 상기 측면벽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 부재가,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며, 제 1 단부가 상기 판체의 제 2 면에 고정되는 지지봉; 및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며, 개방된 제 1 단부로 상기 지지봉의 고정되지 않은 제 2 단부가 삽입되고, 제 2 단부가 상기 측면벽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지지관을 포함하고,
    미세 조절되는 상기 판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봉이 상기 지지관을 따라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전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벽의 내측에 밀착 설치되며, 상기 좌우 측면벽의 상단과 하단에 횡방향으로 각기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다수의 롤러;
    상기 각 롤러와 상기 등받이면을 함께 감싸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각 롤러에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기 감겨 고정되어 상기 각 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는 일련의 좌우 체인; 및
    길쭉한 조각편 모양을 이루고, 상기 좌우 체인에 양측 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서로 밀착하여 설치되며, 적어도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과 정면 영역을 커버하는 다수의 셔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면의 전단부에 상기 좌우 체인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적재 프레임의 일 측면벽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력을 전달받아 종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 1 기어; 및
    상기 각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 기어를 상호 연동시켜, 상기 제 1 기어의 종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에 전달하여 상기 롤러를 종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가,
    상기 제 1 기어와 결속하여 상기 제 1 기어의 종방향의 회전력을 횡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에 결속하여 상기 제 2 기어의 횡방향의 회전력을 종방향의 회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각 롤러 중 어느 하나와 결속하여 상기 종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롤러로 전달하는 제 3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가,
    상기 각 롤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 기어 사이에 감겨서 고정되는 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이,
    상기 제 1 기어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의 영역에 소정의 직경으로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2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 부재가,
    일단부가 상기 제 2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기어에 결착하고, 외력에 의한 회전력을 상기 제 1 기어에 전달하는 제 2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2. 다수의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를 수직으로 적재 및 포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가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기 적재 프레임이,
    적재되는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적재면; 및
    상기 적재면의 후단부에 상기 적재면과 수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각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배면을 지지하는 등받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적재 프레임의 좌우 측면부인 하부 측면에 장착되고, 횡방향의 위치가 각기 미세 조절되어 적재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양 측면을 고정 지지하는 좌우 어라인먼트; 및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어라인먼트가,
    납작한 판형을 이루고, 제 1 면이 상기 적재면의 하부 측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며 장착되는 판체; 및
    상기 판체가,
    상기 적재면의 횡방향의 연장선에 의해 하부 영역 및 상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부 영역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제 1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삽입공에 끼워지고 제 1 단부가 상기 적재면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판체의 횡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가,
    제 1 면이 상기 적재면의 하부 측면과 평행상태를 이루며 상기 적재면의 횡방향의 연장선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삽입공을 포함하는 제 1 판체;
    상기 제 1 판체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적재면의 횡방향의 연장선 상부로 노출되고, 제 1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 2 판체; 및
    상기 제 1 판체 및 상기 제 2 판체의 제 1 면의 반대측 면인 제 2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판체와 상기 제 2 판체를 접이식으로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체가 상기 적재면의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가,
    상기 제 1 판체의 제 2 면에 상하 관통 형성된 고정공; 및
    상기 고정공에 수직 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제 2 판체의 제 2 면을 지지하는 고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양 단부가 개방 형성된 관 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 1 삽입공에 삽입 장착되고, 내부 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조절관; 및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고, 제 1 단부가 상기 적재면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조절관에 삽입 장착되고, 외주를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는 조절봉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봉의 나사홈과 상기 조절관의 나사홈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가,
    상기 하부 영역에 좌우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삽입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어라인먼트가,
    길쭉한 봉 형상을 이루어 상기 각 제 2 삽입공에 끼워지고 제 1 단부가 상기 적재면의 하부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판체의 횡방향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판체와 상기 적재면의 하부 측면의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가,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도어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도어편이 접이식으로 여닫히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정면 영역을 개폐하는 좌우 정면 도어;
    상기 좌우 정면 도어의 접혀진 도어편이 각기 회전하여 포개지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측면 영역을 개폐하는 좌우 측면 도어; 및
    상기 좌우 측면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좌우 측면 도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의 개방된 상면 영역을 개폐하는 상면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프레임이,
    상기 적재면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영역 중 상기 좌우 어라인먼트보다 적어도 외측에 형성되는 좌우 제 1 레일부; 및
    상기 등받이면의 양 측면부에 형성되는 좌우 제 2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 측면 도어가,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일부에 결착하는 제 1 결합부재; 및
    서로 대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레일부에 결착하는 제 2 결합부재를 각기 포함하고,
    상기 좌우 측면 도어가 상기 제 1 레일부 및 상기 제 2 레일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KR1020040088324A 2004-11-02 2004-11-02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KR10057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24A KR100574115B1 (ko) 2004-11-02 2004-11-02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324A KR100574115B1 (ko) 2004-11-02 2004-11-02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963A true KR20050022963A (ko) 2005-03-09
KR100574115B1 KR100574115B1 (ko) 2006-04-26

Family

ID=3723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324A KR100574115B1 (ko) 2004-11-02 2004-11-02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41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655B1 (ko) * 2006-09-18 2007-11-21 (주)천하테크 패널적치장치
KR100863083B1 (ko) * 2006-07-10 2008-10-13 한화테크엠주식회사 유리판 적재용 파레트
KR101385218B1 (ko) * 2012-08-03 2014-04-14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반송을 위한 적재 컨테이너
KR101470551B1 (ko) * 2012-05-30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KR101590563B1 (ko) * 2014-08-04 2016-02-18 (주)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커버장치
CN117068768A (zh) * 2023-10-16 2023-11-17 粤水电建筑安装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装修的建材智能转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4981B2 (ja) 2006-12-07 2012-04-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パレット及びガラス板梱包体
KR101571744B1 (ko) * 2014-08-11 2015-11-25 (주)젠틸패키징시스템 글라스패널 운반용 크레이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0445B2 (ja) * 1992-10-08 2002-02-2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等の大型板状物の荷役用保持具
JP3429664B2 (ja) * 1997-05-27 2003-07-2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パレットに積載した板状体の固定方法および固定具
KR200272351Y1 (ko) * 1997-12-23 2002-10-31 주식회사 포스코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JP2000203679A (ja) * 1998-11-13 2000-07-2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収納方法
KR200437020Y1 (ko) * 2006-12-05 2007-10-25 김호열 회전박스를 구비한 책상겸용 서랍통
KR200437019Y1 (ko) * 2006-12-15 2007-10-25 정해천 미끄럼 방지용 다단 접철식 휴대용 방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83B1 (ko) * 2006-07-10 2008-10-13 한화테크엠주식회사 유리판 적재용 파레트
KR100777655B1 (ko) * 2006-09-18 2007-11-21 (주)천하테크 패널적치장치
KR101470551B1 (ko) * 2012-05-30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평판 유리용 크레이트
KR101385218B1 (ko) * 2012-08-03 2014-04-14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반송을 위한 적재 컨테이너
KR101590563B1 (ko) * 2014-08-04 2016-02-18 (주)젠틸패키징시스템 크레이트의 글라스패널 커버장치
CN117068768A (zh) * 2023-10-16 2023-11-17 粤水电建筑安装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装修的建材智能转运设备
CN117068768B (zh) * 2023-10-16 2023-12-29 粤水电建筑安装建设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装修的建材智能转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4115B1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9382B2 (ja) ディスプレイ用平面ガラス板の包装コンテナ
KR100438200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및 포장방법
KR100574115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AU2007214260B2 (en) Structural member
RU2555894C2 (ru) Контейнер на колесах
KR101166206B1 (ko) 화물차의 화물상하차 장치
US7686550B2 (en) Container for packaging and transporting glass sheet(s)
CZ296417B6 (cs) Kontejner se sklápecími stranami
KR100438201B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WO2006009225A1 (ja) 板状体梱包箱、板状体搬送方法及び板状体積載・取出し方法
KR101587588B1 (ko) 하방 프레임 잠금 장치가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JP4372610B2 (ja) パネル搬送コンテナ
KR100918680B1 (ko) 글라스패널 운송용 팔레트
FR2972179A1 (fr) Conteneur repliable equipe d'un amenagement specifique a poches repliable independamment
KR101749490B1 (ko) 접이식 컨테이너용 힌지유닛
CN102161394B (zh) 一种托盘箱
KR101626091B1 (ko) 완충 유닛이 장착된 전면 벽체를 구비한 접이식 컨테이너
KR20140138594A (ko) 유리판 곤포체
RU2489337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ревозки,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опрокидыванием сыпучих грузов
CN220010758U (zh) 折叠集装箱
US20170081115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removable door header, method and use therewith
KR101626090B1 (ko) 전면 벽체의 하단부가 접혀지는 접이식 컨테이너
WO2021111797A1 (ja) コンテナ
CA3164551A1 (en) Transportable enclosure with rotary door
JPH07315479A (ja) 荷箱の天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