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351Y1 -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 Google Patents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351Y1
KR200272351Y1 KR2019970039709U KR19970039709U KR200272351Y1 KR 200272351 Y1 KR200272351 Y1 KR 200272351Y1 KR 2019970039709 U KR2019970039709 U KR 2019970039709U KR 19970039709 U KR19970039709 U KR 19970039709U KR 200272351 Y1 KR200272351 Y1 KR 200272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ole
molten steel
tundish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7124U (ko
Inventor
조선근
남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70039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3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7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 B22D41/58Pouring-nozzles with gas inj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편을 제조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는 턴디쉬에 공급된 용강의 응고를 방지하여 원활한 출강 및 용강에 포함된 슬래그의 출강을 방지할 수 있는 턴디쉬용 용강응고 방지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턴디쉬에 담겨진 용강이 출강되는 출강구에 삽입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출강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노즐의 내측 둘레면에 설치된 다공체 연와와, 상기 다공체 연와의 일측에 설치되여 가스를 공급하는 제 1공급관과, 상기 상부노즐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광하협으로 된 통공이 형성된 하부노즐과, 상기 통공의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가스공급공과, 상기 가스공급공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 2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턴디쉬의 용강응고 방지노즐
본 고안은 턴디쉬용 용강응고 방지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편을 제조하는 연속주조 공정에서는 턴디쉬에 공급된 용강의 응고를 방지하여 원활한 출강 및 용강에 포함된 슬래그의 출강을 방지할 수 있는 턴디쉬용 용강응고방지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편을 생산할 때에는 용강을 래들(도면 미도시)에 담아 이동시킨 후 상기 래들에 담겨진 용강을 턴디쉬에 공급하여 연주기로 출강하고 있는바, 주조되는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강의 상부에 부상된 슬래그가 연주기로 출강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용강의 출강시간을 적정하게 지연시킨 후 초기에 출강되는 용강의 응고를 방지 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디쉬(1)의 하부에 형성된 출강구(2)에 중공부(3a)를 갖는 튜브(3)를 삽입한 후 래들에 담겨진 용강(4)을 턴디쉬(1)에 공급하면 용강(4)과 슬래그(5)는 상·하부로 분리되고 상기 튜브(3)는 적정시간(턴디쉬에 공급된 용강의 높이 : 300 ~ 750mm, 턴디쉬의 중량 : 6.5 ~ 21.2TON)후 용강(4)에 의해서 용융되여 출강구(2)가 개방되므로 용강은 상기 튜브(3)가 용융되는 시간동안 턴디쉬에서 지연된 후 출강구(2)를 통하여 연주기로 출강되어 슬래그(5)의 출강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튜브(3)는 턴디쉬(1)에 공급된 용강의 양이 적정량(용강의 높이 : 300 ~ 750mm, 턴디쉬의 중량 :6.5 ~ 21.2TON)보다 적을 때 용융되면 용강(4)의 상부에 부상된 슬래그(5)가 출강구(2)를 통하여 연주기로 출강되므로 연주기에서 생산되는 초기의 주편은 불량품이 생산되었다.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강구(2)의 하부에 개폐판(6)을 설치하여 턴디쉬(1)에 공급된 용강(4)에 포함된 슬래그(5)가 분리 부상된 후(공급된 용강이 약 40 TON이상) 개폐판(6)을 제거하여 출강구(2)를 개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때에는 용강(4)에 포함된 슬래그(5)의 출강은 방지할 수 있으나 출강구가 개방되는 초기의 온도와 상기 출강구(2)로 출강되는 용강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상기 용강(4)이 출강구(2)에서 응고되어 용강(4)의 출강불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에는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로 출강구(2)에 응고된 용강(4)을 수작업으로 반드시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였음은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초기에 출강되는 용강이 출강구에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여 용강의 출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턴디쉬용 용강응고 방지노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턴디쉬에 담겨진 용강이 출강되는 출강구에 삽입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출강구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노즐의 내측 둘레면에 설치된 다공체 연와와, 상기 다공체 연와의 일측에 설치되여 가스를 공급하는 제 1공급관과, 상기 상부노즐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광하협으로 된 통공이 형성된 하부노즐과, 상기 통공의 둘레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가스공급공과, 상기 가스공급공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 2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a 및 도 1b은 종래 용강응고 방지노즐이 설치된 턴디쉬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강응고 방지노즐이 설치된 턴디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용강응고 방지노즐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턴디쉬 11 : 출강구
20 : 용강 21 : 슬래그
30 : 상부노즐 40 : 다공체 연와
50 : 제 1 공급관 60 : 개폐판
70 : 하부노즐 80 : 가스공급공
90 : 제 2 공급관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강응고 방지노즐이 설치된 턴디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용강응고 방지노즐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턴디쉬(10)에 담겨진 용강(20)이 출강되는 출강구(11)에 상부노즐(30)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상부노즐(30)의 내측 둘레면에는 다공체 연와(4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체 연와(40)의 일측에는 Ar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공급관(5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노즐(30)의 저부와 개폐판(60)의 사이에는 하부노즐(7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노즐(70)의 중앙에는 상광하협으로 된 통공(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71)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가스공급공(8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가스공급공(80)은 15。하향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일측은 상호 연결되어 있고 연결된 가스공급공(80)에는 Ar가스를 공급하는 제 2 공급관(90)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턴디쉬(10)의 출강구(11)에 상부노즐(30)을 삽입하고 이의 하부와 개폐판(60)의 사이에 하부노즐(70)을 설치한 후 래들(도면 미도시)에 담겨진 용강(20)을 상기 턴디쉬(10)로 공급하면 상기 용강(20)은 상부노즐(30)과 하부노즐(7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상부노즐(30)과 하부노즐(70)에 설치된 제 1·제 2 공급관(50)(90)으로 Ar가스를 공급하되 제 1 공급관(50)으로는 5 ~ 6ℓ/mim를 공급하고 제 2 공급관(90)으로는 80 ~ 100ℓ/mim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1·제 2 공급관(50)(90)으로 공급된 Ar가스는 다공체연와(40)와 하부노즐(70)에 형성된 가스공급공(80)을 통하여 공급되므로 상기 상부노즐(30)과 하부노즐(70)로 유입된 용강을 환류시키게 되므로 상기 용강(20)이 응고되지 않게 됨은 물론 용강에 포함된 슬래그(21)를 조기에 분리부상 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턴디쉬(10)에 슬래그(21)가 완전히 분리 부상될 수 있는 양(약 40 TON)의 용강(20)이 공급되면 하부노즐(70)의 하부에 설치된 개폐판(60)을 제거하면 턴디쉬(10)내부의 용강(20)은 연주기측으로 출강되어 주편이 제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턴디쉬(10)에 공급된 용강(20)에 포함되어 있는 슬래그(21)가 완전 분리 부상된 후 출강구(11)를 개방하고 상기 출강구(11)를 통해서 출강되는 초기의 용강(20)이 응고되지 않게 되므로 연주기에서 생산되는 초기 주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턴디쉬(10)에 담겨진 용강(20)이 출강되는 출강구(11)에 삽입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출강구(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노즐(30)의 내측 둘레면에 설치된 다공체 연와(40)와, 상기 다공체 연와(4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제 1공급관(50)과, 상기 상부노즐(30)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광하협으로 된 통공(7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하부노즐(71)과, 상기 통공(71)의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스공급공(80)과, 상기 가스공급공(80)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제 2 공급관(9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턴디쉬용 용강응고 방지노즐.
KR2019970039709U 1997-12-23 1997-12-23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KR200272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09U KR200272351Y1 (ko) 1997-12-23 1997-12-23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709U KR200272351Y1 (ko) 1997-12-23 1997-12-23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24U KR19990027124U (ko) 1999-07-15
KR200272351Y1 true KR200272351Y1 (ko) 2002-10-31

Family

ID=5389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709U KR200272351Y1 (ko) 1997-12-23 1997-12-23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3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115B1 (ko) * 2004-11-02 2006-04-2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115B1 (ko) * 2004-11-02 2006-04-26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콘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24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9969B1 (en) Metal casting
US20090114685A1 (en) Ladle for Molten Metal Delivery
US4298147A (en) Discharging mechanism for molten metal and slag remaining i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KR200272351Y1 (ko) 턴디쉬의용강응고방지노즐
JP2797829B2 (ja) タンディッシュの注入管
JPH02263565A (ja) 冶金容器用ガス吹込み装置
KR101091955B1 (ko) 출강 지연 장치
US6120726A (en) Automatic tapping thimble
KR20080001842A (ko) 응고잔탕 분리기능을 갖는 연속주조기의 슬래그유입방지장치
JP3739561B2 (ja) 連続鋳造用ロングノズルにおけるスラグ吹上げ防止方法
KR200272344Y1 (ko) 턴디쉬용용강주입지연튜브
KR950010210Y1 (ko) 보조 구멍을 갖춘 턴디쉬(Tundish)의 웰 블럭(Well Block)
JPH11138244A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のスライディングプレートおよびその再使用方法
KR200184910Y1 (ko) 연속주조기용 슬래그 유입방지장치
KR100368256B1 (ko) 턴디쉬내의용강주입방법
JPH03106537A (ja) 鋳型
SU7572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фонной разливки 1
KR200291711Y1 (ko) 턴디쉬 노즐 마개
SU1563840A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 заготовок
KR100650598B1 (ko) 배재성 확보를 위한 열간 재사용 턴디쉬
JPS6120659A (ja) 溶融金属排出装置
JP3739557B2 (ja) 連続鋳造用ロングノズルにおけるスラグ吹上げ防止方法
JPS58154438A (ja) 鋼の鋳造方法および溶湯容器
JPH0691365A (ja) スライドバルブ装置のノズル孔に凝固した鋼を強制的に溶融、開口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3194418B2 (ja) アルミニウム溶湯配湯用漏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