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33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333A
KR20050021333A KR1020040067665A KR20040067665A KR20050021333A KR 20050021333 A KR20050021333 A KR 20050021333A KR 1020040067665 A KR1020040067665 A KR 1020040067665A KR 20040067665 A KR20040067665 A KR 20040067665A KR 20050021333 A KR20050021333 A KR 2005002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refrigerator
attached
refrigerant
refrigera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야노고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33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냉장고의 증발기 내의 액체 냉매는 완전히 증발되지 않고 일부분이 액체 냉매로서 남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리 제거용 가열 히터에 통전한 경우, 액체 냉매가 남아 있는 부분의 부하가 크고, 액체 냉매가 남아 있지 않은 부분의 부하가 작아지므로 서리의 융해에 변동이 발생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이러한 변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증발기의 냉매 파이프의 직관부는 냉장고 본체에 대해 수평으로 부착되고, 냉장고는 설치 장소에 있어서 높이 조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변동은 발생되어 있었다.
동일한 기종에 있어서의 서리의 용융의 변동을 억제함으로써, 설계의 간소화를 도모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증발기(8)를 조금만 기울여 냉장고에 설치한다. 겉보기에는 수평 설치로 종래와 다르지 않다. 그러나, 액체 냉매가 저장되는 측이 우측인지 좌측인지를 특정할 수 있고, 그에 맞추어 구조 설계 및 제어 설계를 행할 수 있으므로 설계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증발기(냉각기라고도 함) 주변의 구조에 관해서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6 참조).
냉장고에서는 냉장고 내의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를 계측하고, 냉동 회로의 온/오프 제어를 하여 냉장고 내의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조정하고 있다. 이 냉장고에서는, 냉동 회로의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를 냉기 순환용 팬으로 고내로 순환시킨다.
증발기의 냉매 파이프는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고 있고, 직선 상의 복수의 직관부와 이들 직관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락부(벤드부라고도 함)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증발기의 상기 직관부에는 다수의 핀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증발기는 상기 직관부가 수평이 되도록 냉장고 내에 부착되고, 고내의 냉동실 등으로부터 되돌아오는 공기는 이 증발기의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핀 사이를 통과하고, 이 증발기 상으로부터 다시 고내의 냉동실 등으로 나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증발기로 유입된 공기는 이 증발기에서 이슬점 이하까지 냉각되므로, 증발기에는 서리가 부착되어 버린다.
이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증발기로부터 약간 떨어진 하방에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 문헌 1, 2 참조). 또는, 이 증발기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서리 제거용 유리관 히터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 문헌 3 참조).
이상적으로는, 냉각 운전 중에는 증발기의 전체에 걸쳐 똑같이 서리 부착되고, 서리 제거시에는 증발기의 전체에 걸쳐 똑같이 서리가 융해되어 가는 것이 좋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공기가 유입되는 부근에서 서리 부착이 많이 발생되어, 유리관 히터의 주위로부터 서리의 융해가 진행되기 때문에 똑같이 되는 경우는 없다.
이로 인해, 서리 부착만이라도 똑같이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증발기를 기울여 부착하는 동시에, 이 기울기에 의해 올라가는 측으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이다(전술한 특허 문헌 4 참조). 이에 의해, 서리 부착의 균일화를 추진할 수 있다. 그러나, 증발기를 기울이고 또한 공기를 증발기의 가로로부터 유입시키기 때문에, 서리 부착 이외의 점에서 곤란한 점이 발생되어 버린다.
그런데, 여기서 서리 제거 제어의 종료에 대해 설명한다. 서리 제거 제어의 종료는, 서리 제거 종료 검출용 온도 센서(서리 제거 종료 온도 감지부, 이하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라 함)로 검지한다. 증발기에는 서리 제거 종료 검출용 온도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증발기로의 서리 부착의 분포 상황에는 변동이 있고, 또한 유리관 히터에 의한 융해 진행 상황에도 변동이 있지만 동일한 구조(동일한 설계)의 냉장고라면 어느 정도 유사하다.
그래서, 통상은 마지막까지 서리가 남을 것이라(마지막으로 서리가 녹을 것이라) 예상되는 위치에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를 배치한다. 그리고, 이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에 의해, 예를 들어 8 ℃가 된 것을 감지하여 이 서리 제거 운전을 종료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는 마지막까지 서리가 남는 위치가 베스트 포지션이지만, 서리의 부착 상황 및 서리의 융해 진행 상황이 어느 정도 예측되므로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며, 마지막까지 서리가 남는 위치의 주변이라도 문제없다.
다음에, 이상 고온에 대한 안전책에 대해 설명한다. 유리관 서리 제거 히터로 서리 제거하는 경우, 이 유리관 서리 제거 히터의 주변은 고온이 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서리 제거시에 유리관 히터 주변의 냉장고의 부분에는 고온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이격시키거나, 알루미늄 부재를 배치하기도 한다. 또한, 온도 퓨즈를 증발기 자체, 또는 증발기의 근방에 배치하여 이상 고온 상태가 되면 서리 제거 동작을 강제 종료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온도 퓨즈는 65 ℃, 68 ℃, 70 ℃, 75 ℃가 설정 온도의 온도 퓨즈 내로부터 탑재되는 냉장고에 맞는 것을 선택하고, 또한 탑재되는 냉장고에 최적의 위치에 배치한다.
즉, 이러한 설계는 그 냉장고의 서리 부착의 분포 상황, 유리관 히터에 의한 융해 진행 상황, 서리 제거시의 서리 제거용 히터에 의한 온도 상승 상황을 분석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동일한 구조의 냉장고(동일한 기종)라면 약간의 변동은 있지만, 거의 동일한 것으로서 설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003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5-13364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2-l47925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9-113097호 공보
[특허 문헌 5]
실용 신안 공고 소60-38120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평9-4961호 공보
본 발명은 동일한 설계의 냉장고에서의 변동을 더욱 적게 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냉장고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냉장고의 서리 제거 동작을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서리 부착의 분포에 대해서는, 전술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액체 냉매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건 발명자는, 동일한 구조(동일한 기종)이면서 전술한 유리관 히터에 의한 융해 진행 상황에 변동이 발생되는 1가지 원인이 액체 냉매의 존재인 것을 깨달았다. 또한, 마찬가지로 서리 제거시의 서리 제거용 히터에 의한 온도 상승 상황에 변동이 발생되는 1가지 원인도 액체 냉매인 것을 깨달았다.
즉 냉장고의 냉각 운전에 있어서, 증발기로 유입된 액체 냉매는 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동안에 주위의 열을 빼앗아 증발하여 주위의 공기를 냉각한다. 이 액체 냉매는 항상 출구까지 증발한다고 단언할 수는 없으며, 일부분이 액체 냉매로서 냉매 파이프 내에 잔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냉장고에 따라서는 이 액체 냉매를 적극적으로 증발기에 저장하는 하는 것까지 있다(특허 문헌 5, 6 참조).
이 액체 냉매의 잔존량에 따라서 상기 융해 진행 상황의 시간적 경위가 달라져 버린다. 그러나, 이는 설계 상에서는 그다지 장해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이 액체 냉매가 증발기의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와,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이다. 이 기울기에 따라 증발기의 좌우에서의 상기 융해 진행 상황이 어긋나 버린다.
즉, 증발기의 직관부는 통상 수평이 되도록 부착된다. 그러나, 증발기의 부착시의 위치 어긋남, 냉장고의 설치 장소의 기울기 및/또는 냉장고의 높이 조정의 불충분함으로 인해 냉장고의 증발기가 완전히 수평으로 유지되는 일은 없고, 조금이라도 기울게 된다.
약간의 기울기라도 액체 냉매는 낮은 쪽으로 흐르고, 그곳에 저장된다. 즉, 기운 낮은 쪽에 액체 냉매가 저장되고, 그 쪽측의 서리의 융해는 크게 지연되게 된다. 항상 정해진 한 쪽측이 지연되는 것이라면 그를 고려하여 냉장고를 설계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실제로 냉장고를 부엌 등에 실제로 설치하여 보지 않으면 어느 쪽측으로 기우는 것인지 알 수 없어 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동일한 구조(동일한 기종)의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에 잔존하는 액체 냉매와 증발기의 기울기에 의해 야기되는 서리의 융해 진행 상황의 변동을 적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리 제거를 행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8)를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냉매 파이프(20)와, 이 냉매 파이프(20) 내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관부(20A)와, 이 냉매 파이프(2O) 내에서 상기 직관부(20A)끼리 연결하는 벤드부(20B)와, 상기 직관부(20A)에 부착된 복수의 핀(21)과, 상기 직관부(20A)와 대략 평행하고 또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유리관 히터(24)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8)의 직관부(20A)가 조금만 기울도록 이 증발기(8)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리 제거를 행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8)를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냉매 파이프(20)와, 이 냉매 파이프(20) 내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관부(20A)와, 이 냉매 파이프(20) 내에서 상기 직관부(20A)끼리 연결하는 벤드부(20B)와, 상기 직관부(20A)에 부착된 복수의 핀(21)과, 상기 직관부(20A)와 대략 평행하고 또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유리관 히터(24)와, 상기 증발기(8)가 부착되는 내부 상자(3)와, 상기 증발기(8)가 조금만 기울도록 이 증발기(8)를 상기 내부 상자(3)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착부(3A)는 상기 내부 상자(3)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부착부(3A)는 증발기(8)의 벤드부(20B)가 끼워 맞추어져 이 증발기(8)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끼워 맞춤부(3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착부는 상기 내부 상자(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관 히터(24)는 상기 증발기(8)의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관 히터(24)는 상기 증발기(8)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8)의 한 쪽은 다른 쪽과 비교하여 1.5 ㎜ 내지 10 ㎜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8)의 한 쪽은 다른 쪽과 비교하여 2.5 ㎜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8)는 0.5도 내지 4도 기울어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8)는 0.86도 기울어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기가 상기 증발기(8)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하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매 파이프(20)는 상기 증발기(8)의 상부에 냉매의 입구부와 출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이 냉매 파이프(20)가 상기 증발기(8)의 전방면측과 후방면측에 병렬로 지그재그 배치되고, 이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 부분의 하변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 부분의 하변부가 연속하여 일련의 냉매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변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변부 중 한 쪽이 냉매의 입구부를, 다른 쪽이 냉매의 출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8)가 경사진 높은 측에 소정의 고온을 감지하여 상기 유리관 히터(24)의 통전을 차단하는 온도 퓨즈(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매 파이프(20)는 전방면측과 후방면측에 병렬로 지그재그 배치되고, 이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하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하부가 연속하고 있고, 상기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부의 한 쪽에 냉매의 입구부가, 다른 쪽에 냉매의 출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발기(8)가 경사진 낮은 측에 서리 제거 종료를 검지하는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기(8)가 경사진 낮은 측에 어큐뮬레이터(2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8)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7)의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발기를 경사시켜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서리 제거시의 변동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냉장고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은 본 실시예의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 도1에서는 냉장고의 도어나 압축기 등을 생략하고 있다.
도2는 증발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3은 냉장고에 증발기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는 증발기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단열 하우징 부재이다. 이 단열 하우징 부재(1)는, 외부 상자(2)와 내부 상자(3) 사이에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어 형성되어 있다.
부호 4는 구획 부재(3)이다. 이 구획 부재(3)는 상부의 냉동실(5)과 하부의 냉장실(6)을 구획하고 있다. 부호 7은 냉각실이며, 이 냉각실(7)에는 증발기(8)가 배치되어 있다.
부호 9는 팬이다. 이 팬(9)의 회전에 의해, 증발기(8)로 냉각된 냉기는 냉동실(5)로 취출된다. 이 냉기는 냉동실(5)을 순환한 후에 증발기(8)의 하방으로 되돌아가고, 다시 증발기(8)를 통과하여 냉각된다.
부호 10은, 증발기(8)의 하방의 흡입측과 상방의 취출측을 구획함으로써 냉각실(7)을 형성하는 구획판이다. 부호 11은 냉동실의 배면판이다.
도2를 참조하면서, 증발기(8)에 대해 설명한다.
증발기(8)는 냉매 파이프(20)에 핀(21)이 다수 부착된 것이다. 핀(21)은 냉매 파이프의 직선형의 직관부에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직관부의 단부끼리는, U자형의 벤드부(20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부호 22는 좌우 양단부에 부착된 측판이다.
부호 23은 측판(22)에 형성된 절결부이다. 이 절결부(23)에는 유리관 서리 제거 히터(24)가 전방측으로부터 부착된다.
부호 25는 지붕판이다. 서리 제거시에 증발기(8)로부터 적하하는 서리 제거수로부터 유리관 히터(24)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부호 26은 측판(22)에 형성된 절결부이다. 이 절결부(23) 부분에 상기 지붕판(25)이 부착된다. 부호 27은 어큐뮬레이터이다.
이 증발기(8)의 냉매 파이프(20)는, 증발기(8)의 상부에 냉매의 입구부와 출구부가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이 냉매 파이프(20)가 상기 증발기(8)의 전방면측과 후방면측에 병렬로 지그재그 배치되고, 이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 부분의 하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 부분의 하부가 연속하여 일련의 냉매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부 중 한 쪽이 냉매의 입구부를, 다른 쪽이 냉매의 출구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냉매의 출구부에는 어큐뮬레이터(27)가 배치되어 있다.
도3을 참조하면서 증발기(8)의 부착 위치의 설정 등에 대해 설명한다.
단열 하우징 부재(1)는 외부 상자(2)와 내부 상자(3) 사이에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어 형성되어 있다. 부호 3A는 끼워 맞춤부이다.
증발기(8)의 냉매 파이프(20)에는 핀(21)이 다수 부착되어 있다. 이 핀(21)은 서리 부착이 많은 냉기 유입측에서는 배열 피치를 크게 하여, 증발기(8)로의 서리 부착의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고 있다.
핀(21)은, 냉매 파이프(20)의 직선형의 직관부(20A)에 직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직관부(20A)의 단부끼리는, U자형의 벤드부(20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부호 22는 좌우 양단부에 부착된 측판이다. 부호 24는 유리관 서리 제거 히터이다. 부호 25는 지붕판이다. 부호 27은 어큐뮬레이터이다.
이 내부 상자(3)에 증발기(8)가 부착되지만, 이 증발기(8)의 설정 위치는 벤드부(20B)가 끼워 맞춤부(3A)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결정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증발기(8)의 직관부(20A)가 냉장고의 수평 라인과 일치하도록 이 끼워 맞춤부(3A)를 설계하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증발기(8)의 좌우에 위치하는 끼워 맞춤부(3A) 중, 좌측의 끼워 맞춤부(3A)의 형성 위치를 종래와 비교하여 2.5 ㎜ 정도 높아지도록 내부 상자(3)를 설계하였다.
이에 의해, 증발기(8)는 종래와 동일하게 냉장고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좌측이 올라간 상태가 되어, 우측에 액체 냉매가 저장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증발기(8)의 편측을 2.5 ㎜ 올리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조(동일한 기종)의 냉장고라면 동일하게 서리가 용융하여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냉매가 우측에 저장되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우측 서리의 용융은 지연되지만 마지막까지 서리가 남는 부분이 반드시 우측이 되는지 여부는 단정할 수 없다.
어느 쪽이든, 동일한 구조(동일한 기종)의 냉장고 중에서의 변동이 억제되어 설계가 용이해진다.
도4를 참조하면서, 증발기(8)의 부착 등에 대해 설명한다.
단열 하우징 부재(1)는, 외부 상자(2)와 내부 상자(3) 사이에 발포 단열재가 충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상자(3)에 증발기(8)가 부착되지만, 이 증발기(8)의 설정 위치는 벤드부(20B)가 끼워 맞춤부(3A)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결정된다.
구획판(10)에는 돌기부(10A)가 설치되고, 끼워 맞춤부(3A)와 함께 증발기(8)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물론, 좌측의 돌기부(10A)의 형성 위치는 종래와 비교하여 5 ㎜ 정도 높아지도록 구획판(10)을 설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동일한 구조(동일한 기종)의 냉장고라면 동일하게 서리가 용융되고,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설계가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유리관 서리 제거용 히터의 통전에 의한 이상 과열로 작동하는 온도 퓨즈의 부착 위치도 정하기 쉬워진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서 실제의 온도 퓨즈(29)와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9)의 부착 위치의 일예를 도시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반대로 증발기(8)의 우측을 올리도록 냉장고를 설계하여, 좌측에 액체 냉매를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부호 28은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이다. 부호 29는 온도 퓨즈이다. HLC는 증발기(8)의 직관부(20A)의 수평 라인을 나타내는 선이고, HLR은 냉장고 본체측의 수평 라인을 나타내는 선이다. 본 예에서는, 증발기(8)는 α°만큼 좌측으로 경사져 있다(증발기의 좌측이 내려가 있음). 또한, 도5 및 도6에 있어서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8) 및 온도 퓨즈(29)를 위한 배선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리 제거시의 서리 부착 상황 및 융해 진행 상황은 변동이 있고, 마지막으로 어느 부분의 서리가 남을지는 일률적으로는 결정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증발기(8)는 좌측이 내려가 있고, 또한 어큐뮬레이터(27)도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냉장고에서는 유리관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우측의 하부로부터 서리의 용융이 개시되고, 마지막으로 좌측의 상부의 서리가 녹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증발기의 좌측의 상부이며, 또한 어큐뮬레이터(27)의 근방에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8)를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마지막까지 서리가 남는 부분에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8)를 배치할 수 있어, 서리 제거의 종료를 적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이상 고온을 검지하여 안전을 위해 유리관 히터(24)로의 통전을 차단하는 온도 퓨즈(29)는, 고온이 되기 쉬운 증발기(8)의 우측에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서리 제거시에 이상 고온이 되기 쉬운 부분에 온도 퓨즈(29)를 배치할 수 있어, 이상시에 정확하게 유리관 히터(8)로의 통전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경사를 생각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각각의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한 냉동 냉장고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냉장실만을 구비한 냉장고나 냉동실만을 구비한 냉동고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2도어 냉장고이지만, 3도어 이상이거나 1도어라도 상관없다. 서리 제거를 행하는 냉장고라면 채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 상자(3)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3A)에 의해 증발기(8)를 기울였지만, 증발기(8)를 기울이기 위한 수단(구조, 부품)은 물론 이 끼워 맞춤부(3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고에 증발기(8)가 1개 탑재되는 냉장고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물론 증발기(8)가 복수개 있고 그 중의 하나만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8)의 편측을 2.5 ㎜ 올려 기울였지만, 이는 1.5 ㎜ 내지 10 ㎜라도 좋다. 또한, 이는 기울기를 각도로 나타내도 좋고, 0.86도 기울어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각도를 0.5도 내지 4도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냉장고의 증발기를 의도적으로 한 쪽으로 경사시켜 부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액체 냉매가 저장되는 측은 동일한 기종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좌우 중 어느 한 쪽에 고정된다. 즉, 동일한 기종의 냉장고에 있어서 발생되는 서리의 용융 진행 상황의 좌우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사는 작은 것이고, 겉보기에는 수평 배치로 보인다. 따라서, 이 경사로 인해 다른 부분의 설계가 복잡화되거나, 다른 부분의 설계가 재검토되는 경우도 없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냉장고의 단면도.
도2는 제1 실시예의 증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예의 증발기의 부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4는 제1 실시예의 냉장고의 내부 상자로 증발기와 구획판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서리 제거 온도 센서 및 온도 퓨즈 부착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증발기의 사시도.
도6은 서리 제거 온도 센서 및 온도 퓨즈 부착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열 하우징 부재
2 : 외판
3 : 내부 상자
3A : 끼워 맞춤부(부착부)
5 : 냉동실
6 : 냉장실
8 : 증발기(냉각기)
9 : 팬
10 : 구획판
10A : 돌기부
20 : 냉매 파이프
20A : 직관부(냉매 파이프)
20B : 벤드부(냉매 파이프)
21 : 핀
24 : 유리관 서리 제거 히터(유리관 히터)
27 : 어큐뮬레이터
28 :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
29 : 온도 퓨즈

Claims (17)

  1. 서리 제거를 행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8)를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냉매 파이프(20)와,
    이 냉매 파이프(20) 내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관부(20A)와,
    이 냉매 파이프(20) 내에서 상기 직관부(20A)끼리 연결하는 벤드부(20B)와,
    상기 직관부(20A)에 부착된 복수의 핀(21)과,
    상기 직관부(20A)와 대략 평행하고 또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유리관 히터(24)를 구비하고,
    상기 증발기(8)의 직관부(20A)가 조금만 기울도록 증발기(8)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서리 제거를 행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증발기(8)를 형성하는 지그재그 형상의 냉매 파이프(20)와,
    이 냉매 파이프(20) 내에서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직관부(20A)와,
    이 냉매 파이프(20) 내에서 상기 직관부(20A)끼리 연결하는 벤드부(20B)와,
    상기 직관부(20A)에 부착된 복수의 핀(21)과,
    상기 직관부(20A)와 대략 평행하고 또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는 유리관 히터(24)와,
    상기 증발기(8)가 부착되는 내부 상자(3)와,
    상기 증발기(8)가 조금만 기울도록 이 증발기(8)를 상기 내부 상자(3)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3A)는 상기 내부 상자(3)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내부 상자(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 히터(24)는 상기 증발기(8)의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관 히터(24)는 상기 증발기(8)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의 한 쪽은 다른 쪽과 비교하여 1.5 ㎜ 내지 10 ㎜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의 한 쪽은 다른 쪽과 비교하여 2.5 ㎜ 하방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는 0.5도 내지 4도 기울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는 0.86도 기울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기가 상기 증발기(8)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하 방향으로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20)는 상기 증발기(8)의 상부에 냉매의 입구부와 출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가 경사진 높은 측에 소정의 고온을 감지하여 상기 유리관 히터(24)의 통전을 차단하는 온도 퓨즈(2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 내지 제11항,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파이프(20)는 전방면측과 후방면측에 병렬로 지그재그 배치되고, 이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하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하부가 연속하고 있고, 상기 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부와 상기 후방면측 냉매 파이프의 상부의 한 쪽에 냉매의 입구부가, 다른 쪽에 냉매의 출구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가 경사진 낮은 측에 서리 제거 종료를 검지하는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8)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가 경사진 낮은 측에 어큐뮬레이터(2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리 제거용 온도 센서(28)는 상기 어큐뮬레이터(27)의 근방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40067665A 2003-08-28 2004-08-27 냉장고 KR200500213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05526 2003-08-28
JP2003305526A JP2005076921A (ja) 2003-08-28 2003-08-28 冷蔵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333A true KR20050021333A (ko) 2005-03-07

Family

ID=3440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665A KR20050021333A (ko) 2003-08-28 2004-08-27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76921A (ko)
KR (1) KR20050021333A (ko)
CN (1) CN100371666C (ko)
TW (1) TWI3212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243A (ko)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5011B2 (ja) * 2007-10-02 2014-02-05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凍装置
JP5402224B2 (ja) * 2009-05-11 2014-0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却器および物品貯蔵装置
WO2014203393A1 (ja) * 2013-06-21 2014-12-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冷蔵庫
CN104596159A (zh) * 2015-01-26 2015-05-0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蒸发器组件及具有其的冰箱
JP2016161183A (ja) * 2015-02-27 2016-09-05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JP6799853B2 (ja) * 2016-12-15 2020-12-16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CN106642921B (zh) * 2016-12-28 2019-02-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制冷控制方法及冰箱
JP2019070484A (ja) * 2017-10-10 2019-05-0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8592474B (zh) * 2018-05-10 2021-05-25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风冷冰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644A (ja) * 1991-11-08 1993-05-28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の蒸発器
JPH094961A (ja) * 1995-06-16 1997-01-10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100210471B1 (ko) * 1995-09-18 1999-07-15 전주범 냉장고 냉장실의 냉기류 순환구조
JP3686463B2 (ja) * 1995-10-20 2005-08-24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CN2256088Y (zh) * 1995-12-28 1997-06-11 安徽博西扬家用冷柜有限公司 间冷式冰箱用除臭装置
JPH10300307A (ja) * 1997-04-23 1998-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熱電モジュール式電気冷蔵庫
KR19990005704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냉장고의 제상장치
JP2002147925A (ja) * 2000-11-06 2002-05-22 Fujitsu General Ltd 電気冷蔵庫
JP4120181B2 (ja) * 2001-05-25 2008-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用ヒータの設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243A (ko)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1666C (zh) 2008-02-27
TWI321210B (en) 2010-03-01
TW200508558A (en) 2005-03-01
JP2005076921A (ja) 2005-03-24
CN1590937A (zh)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6242B1 (en) Refrigerator
JP2000329447A (ja) 冷蔵庫および除霜用ヒーター
JP2010002071A (ja) 冷蔵庫
KR20050021333A (ko) 냉장고
JP6752107B2 (ja) 冷蔵庫
EP1369650B1 (en) Refrigerator
KR10190819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제어 방법
JP2006250473A (ja) 冷蔵庫
EP4273474A1 (en) Ice-making assembly and refrigerator
JP2010230212A (ja) 冷蔵庫
JP2013253763A (ja) 冷却貯蔵庫
JP3647727B2 (ja) 冷却貯蔵庫
JP5294580B2 (ja) 冷却貯蔵庫
JP7424742B2 (ja) 冷蔵庫
EP3435010A1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JP3809545B2 (ja) 冷蔵庫
KR200220618Y1 (ko) 냉장고의 제상히터커버
JP2006071250A (ja) 冷凍冷蔵庫
KR100270984B1 (ko) 냉장고의 제상히터 보호장치
KR20070065749A (ko) 냉장고의 제상 제어 방법
JP5490620B2 (ja) 冷蔵庫の製造方法
KR20050016027A (ko) 냉장고
JP2014098549A (ja) 冷蔵庫の製造方法
KR100379165B1 (ko) 냉장고의 제상 장치
JP2005076919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