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121A - 마직물 직조 방법 - Google Patents

마직물 직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121A
KR20050020121A KR1020030057828A KR20030057828A KR20050020121A KR 20050020121 A KR20050020121 A KR 20050020121A KR 1020030057828 A KR1020030057828 A KR 1020030057828A KR 20030057828 A KR20030057828 A KR 20030057828A KR 20050020121 A KR20050020121 A KR 20050020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warp
yarn
cone
fin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049B1 (ko
Inventor
장병곤
Original Assignee
장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곤 filed Critical 장병곤
Priority to KR10-2003-0057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0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0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Woven Fabric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직물 직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 등으로 된 생사 콘(10)을 자동식 타래염색기에 의해 부분 염색하여 획득한 염색 콘(11)을 이용하여 경사를 사이징한 후, 종래의 세폭직기(50)에 비해 경사 폭이 제한되지 않고 위사가 경사 폭으로 절사된 상태를 유지하는 대폭직기(51)를 이용하여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짠 다음, 필요에 따라서 위사 믹싱작업을 추가한 후, 텐터(tenter; 55)를 이용하여 기계염색기(54)에 의해 바탕 염색이 완료된 완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당기면서 건조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종래의 세폭직기(50)에 비해 경사 폭이 제한되지 않는 대폭직기(51)를 이용하여 넓은 폭으로 마직물을 직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직물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조하는 경우, 여러 개의 원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봉제작업을 해야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원단을 이용하여 간편한 재단작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의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직물 직조 방법 {HEMP CLOTH WEAVING METHOD}
본 발명은 마직물 직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자동식 타래염색기와 대폭직기를 이용하는 마직물 직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마직물 직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 등으로 된 생사 콘(cone; 10)을 염색 수조(20)에 침지하여 수작업으로 부분 염색한 후(S100), 단사의 장력 개선을 위해 부분 염색된 콘(11)의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 등을 풀었다가 다시 감는 리와인딩(rewinding) 작업을 한다(S120). 이때, 상기 생사 콘(10)은 종래의 치즈 염색방법으로 부분 염색할 수도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염색 콘(11)의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4개의 모퉁이(콘의 상단 좌우측 모퉁이와 하단 좌우측 모퉁이) 부분만을 적색(R)으로 염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부분 염색된 콘(11)과 염색되지 않은 생사 콘(10)을 특정한 경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크릴(creel) 다이(30)에 혼합 배치하여 경사의 양을 맞추는 정경작업을 수행한 후(S120), 사이징 드럼(41)을 경유하여 사이징 빔(40)에 특정한 폭으로 경사를 감은 다음(S130), 상기 사이징 빔(40)에 감겨진 경사를 직조에 적합한 사이즈로 오려낸 후, 이렇게 오려낸 경사와 위사가 공급되는 셔틀 직기(shuttle loom)와 같은 세폭직기(50)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의 마직물(60)을 짠다(S140). 이때, 상기 세폭직기(50)는 통상적으로 대략 33cm 정도의 작은 경사 폭으로 마직물(60)을 짤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위사(6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폭으로 절사되지 않고 계속해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사이징 빔(40)에서 오려낸 경사(60a)에 짜여진다.
끝으로, 특정 규격으로 짜여진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0)을 염색 수조(21)에 침지하여 수작업을 통해 바탕 염색한 후(S150), 건조시킨 다음 롤러(70)에 감는다(S160). 특히, 상기 바탕 염색 과정 중에 염료에 수지를 첨가하여 염색 작업을 수행하면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0)을 더욱더 빳빳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직물 직조 방법은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 등으로 된 생사 콘(10)을 수작업으로 부분 염색하기 때문에, 정경작업에 필요한 부분 염색 콘(11)을 대량으로 확보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세폭직기(50)에 비해 마직물의 경사 폭이 제한되지 않는 대폭직기를 이용하여 마직물을 직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세폭직기(50)를 이용하는 종래의 마직물 직조 방법에 의해 직조된 마직물은 그 폭이 대략 33cm 정도의 작은 경사 폭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이러한 마직물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조하는 경우, 여러 개의 원단 측면을 별도로 봉제하여 연결한 다음 재단작업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 등으로 된 콘을 자동식 타래염색기에 의해 부분 염색하여 획득한 염색 콘을 이용하여 경사를 사이징한 후, 종래의 세폭직기에 비해 경사 폭이 제한되지 않고 위사가 경사 폭으로 절사된 상태를 유지하는 대폭직기를 이용하여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짠 다음, 필요에 따라서 위사 믹싱작업을 추가한 후, 텐터(tenter)를 이용하여 기계염색기에 의해 바탕 염색이 완료된 완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당기면서 건조시키도록 된 직물을 직조하도록 된 마직물 직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마직물 직조 방법의 일실시예는,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로 된 생사 콘을 회사기를 이용하여 풀어 타래 형태로 감는 단계와; 상기 타래를 자동식 타래염색기를 이용하여 부분 염색하는 단계; 부분 염색된 타래를 염색 콘 형태로 감는 단계; 상기 염색 콘과 생사 콘을 크릴 다이에 혼합 배치하여 경사의 양을 맞추는 정경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경사의 인장강도 향상을 위해 정경작업이 완료된 경사를 사이징 드럼을 경유하여 호부기로 공급하여 풀을 입히고 건조시키는 호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호부작업이 완료된 경사를 특정한 폭으로 사이징 빔에 감은 다음, 직조에 적합한 사이즈로 오려내는 단계; 상기 사이징 빔에서 오려진 경사와 이 경사의 폭으로 절사된 상태를 유지하는 위사가 공급되는 대폭직기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의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짜는 단계;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짜는 과정 중에, 필요에 따라서 위사믹싱기를 이용하여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에 위사를 추가하는 위사 믹싱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호발기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으로 짜여진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로부터 상기 호부작업에 의해 입혀진 풀을 제거하는 호발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호발작업이 완료된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더욱더 빳빳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염료에 수지를 첨가한 후, 자동식 기계염색기에 의해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바탕 염색하는 단계; 및 바탕 염색 완료된 완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텐터(tenter)를 이용하여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당기면서 건조시킨 다음 롤러에 감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일 먼저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로 된 생사 콘(10)을 회사기(20a)를 이용하여 풀어 타래(21a) 형태로 감는다(S200).
이어서, 상기 타래(21a)를 자동식 타래염색기(20b)를 이용하여 부분 염색한 후(S210), 부분 염색된 타래(21b)를 회사기(20c)를 이용하여 염색 콘(11) 형태로 감는다(S220). 참고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염색 타래(21b)의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볼 때 염색 타래(21b)의 둘레를 4분하는 4개 부분만을 적색(R)으로 염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타래(21a)를 자동식 타래 염색기(20b)를 이용하여 부분 염색한 후 콘(11) 형태로 감는 작업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서 종래의 수작업을 통한 부분 염색 작업 시간에 비해 현저하게 짧은 시간에 정경작업에 필요한 부분 염색 콘(11)을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부분 염색 콘(11)을 대량으로 확보하고 나면, 연이어서 상기 부분 염색 콘(11)과 염색되지 않은 생사 콘(10)을 특정한 경사 패턴을 형성하도록 크릴 다이(30)에 혼합 배치하여 경사의 양을 맞추는 정경작업을 수행한다(S230).
다음으로, 경사의 인장강도 향상을 위해 정경작업이 완료된 경사를 사이징 드럼(41)을 경유하여 호부기(42)로 공급하여 전분으로 만든 풀을 입히고 건조시키는 호부작업을 수행한 후(S240), 호부작업이 완료된 경사를 특정한 폭으로 사이징 빔(40)에 감은 다음, 직조에 적합한 사이즈로 오려낸다(S250).
상기와 같이 사이징 빔(40)에 감겨진 경사를 적합한 사이즈로 오려내고 나면, 연이어서 상기 사이징 빔(40)에서 오려진 경사와 위사가 공급되는 래피어 직기, 에어제트 직기 등과 같은 대폭직기(51)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의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짠다(S260). 이때, 상기 대폭직기(51)는 통상적으로 대략 33cm 정도의 작은 경사 폭으로 마직물(60)을 짤 수 있도록 경사 폭이 제한되는 종래의 세폭직기(50)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사 폭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위사(61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 폭으로 절사된 상태로 상기 사이징 빔(40)에서 오려낸 경사(61a)에 짜여진다.
더불어,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짜는 과정 중에, 필요에 따라서 위사믹싱기(52)를 이용하여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에 위사를 추가하는 위사 믹싱작업을 수행한다(S262). 이러한 위사 믹싱작업을 통해 마직물(61)의 위사(61b) 패턴을 다양한 색상으로 배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이 짜여지고 나면, 먼저 호발기(53)를 이용한 호발작업을 수행하여 특정 규격으로 짜여진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로부터 상기 호부작업에 의해 입혀진 풀을 제거한다(S270).
이어서, 호발작업이 완료된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더욱더 빳빳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염료에 수지를 첨가한 후, 자동식 기계염색기(54)에 의해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바탕 염색한 다음(S280), 바탕 염색 완료된 완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텐터(55)를 이용하여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당기면서 건조시켜 롤러(70)에 감아 줌으로써(S290) 마직물 직조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직물 직조 방법에 있어서, 특히 상기 래피어 직기, 에어제트 직기 등과 같은 대폭직기(51)는 수작업을 통해 정경작업에 필요한 염색 콘(11)을 확보하는 종래의 마직물 직조 방법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장치이고, 상기 위사믹싱기(52) 또한 위사(60b)가 절사되지 않은 상태로 경사(60a)에 짜여지는 종래의 마직물 직조 방법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장치이며, 상기 텐터(55)도 역시 세폭 마직물에 적용하기 어려운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직물 직조 방법은,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 등으로 된 콘을 자동식 타래염색기에 의해 부분 염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작업을 통한 부분 염색 작업 시간에 비해 현저하게 짧은 시간에 정경작업에 필요한 염색 콘을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의 세폭직기에 비해 경사 폭이 제한되지 않는 대폭직기를 이용하여 마직물을 직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폭직기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마직물 직조 방법에 의해 직조된 마직물은 대략 33cm 정도의 작은 경사 폭으로 직물의 폭이 제한되는 세폭직기에 비해 더욱더 넓은 폭으로 직조 가능하므로, 이러한 마직물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조하는 경우, 여러 개의 원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봉제작업을 해야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원단을 이용하여 간편한 재단작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의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마직물 직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마직물 직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직물 직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생사 콘 11: 염색 콘
20,21: 염색 수조 20a,20c: 회사기
20b: 자동식 타래염색기 21a,21b: 타래
30: 크릴 다이 40: 사이징 빔
41: 사이징 드럼 42: 호부기
50: 세폭직기 51: 대폭직기
52: 위사믹싱기 53: 호발기
54: 자동식 기계염색기 55: 텐터
60,61: 마직물 60a,61a: 경사
60b,61b: 위사 70: 롤러

Claims (1)

  1. 마사 또는 혼방사, 순면사로 된 생사 콘(10)을 회사기(20a)를 이용하여 풀어 타래(21a) 형태로 감는 단계(S200)와;
    상기 타래(21a)를 자동식 타래염색기(20b)를 이용하여 부분 염색하는 단계(S210);
    부분 염색된 타래(21b)를 회사기(20c)를 이용하여 염색 콘(11) 형태로 감는 단계(S220);
    상기 염색 콘(11)과 생사 콘(10)을 크릴(creel) 다이(30)에 혼합 배치하여 경사의 양을 맞추는 정경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230);
    경사의 인장강도 향상을 위해 정경작업이 완료된 경사를 사이징 드럼(41)을 경유하여 호부기(42)로 공급하여 풀을 입히고 건조시키는 호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240);
    호부작업이 완료된 경사를 특정한 폭으로 사이징 빔(40)에 감은 다음, 직조에 적합한 사이즈로 오려내는 단계(S250);
    상기 사이징 빔(40)에서 오려진 경사와 이 경사의 폭으로 절사된 상태를 유지하는 위사가 공급되는 대폭직기(51)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의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짜는 단계(S260);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짜는 과정 중에, 필요에 따라서 위사믹싱기(52)를 이용하여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에 위사(61b)를 추가하는 위사 믹싱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262);
    호발기(53)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으로 짜여진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로부터 상기 호부작업에 의해 입혀진 풀을 제거하는 호발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270);
    호발작업이 완료된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더욱더 빳빳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염료에 수지를 첨가한 후, 자동식 기계염색기(54)에 의해 상기 반제품 상태의 마직물(61)을 바탕 염색하는 단계(S280); 및
    바탕 염색 완료된 완제품 상태의 마직물을 텐터(tenter; 55)를 이용하여 경사방향과 위사방향으로 당기면서 건조시킨 다음 롤러(70)에 감는 단계(S29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직물 직조 방법.
KR10-2003-0057828A 2003-08-21 2003-08-21 마직물 직조 방법 KR10052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828A KR100525049B1 (ko) 2003-08-21 2003-08-21 마직물 직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7828A KR100525049B1 (ko) 2003-08-21 2003-08-21 마직물 직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121A true KR20050020121A (ko) 2005-03-04
KR100525049B1 KR100525049B1 (ko) 2005-11-01

Family

ID=3722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828A KR100525049B1 (ko) 2003-08-21 2003-08-21 마직물 직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0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436A (zh) * 2013-05-03 2013-08-28 常熟常红织造有限公司 亚麻纱浆轴工艺生产方法
CN104278407A (zh) * 2013-07-12 2015-01-14 际华三五四二纺织有限公司 经二重组织双层织物织造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30055T1 (de) * 1997-12-19 2006-07-15 Novozymes North America Inc Kontinuierliches biopolishing von cellulose enthaltenden fasern
KR19990084309A (ko) * 1998-05-04 1999-12-06 한형수 섬유직물의 항균 방취성 위생 가공제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0483809B1 (ko) * 2002-05-17 2005-04-2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이염성 셀룰로오스 직편물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6436A (zh) * 2013-05-03 2013-08-28 常熟常红织造有限公司 亚麻纱浆轴工艺生产方法
CN103266436B (zh) * 2013-05-03 2015-08-05 常熟常红织造有限公司 亚麻纱浆轴工艺生产方法
CN104278407A (zh) * 2013-07-12 2015-01-14 际华三五四二纺织有限公司 经二重组织双层织物织造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049B1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40263A (zh) 一种采用双织轴织造的四面弹牛仔布及其织造方法
CN108866727A (zh) 一种经向高弹低缩水经纬双弹牛仔布的生产工艺
CN102733129A (zh) 一种丝光纱线、免浆料梭织面料及其生产方法
WO2019109693A1 (zh) 一种生产纯天然染色纱线的方法
KR100525049B1 (ko) 마직물 직조 방법
CN101929047A (zh) 一种生产混彩花纹效果布料的方法及其设备
GB2066706A (en) Continuous vat dyeing of warp threads as a sheet
CN112626871A (zh) 一种提花面料的生产工艺
CN109881501A (zh) 一种牛仔经纱染色生产工艺
CN103938355A (zh) 仿丝绸风格牛仔布的生产方法
CN110318277A (zh) 一种烂花织物的制造方法
CN114672914A (zh) 一种蚕丝复合纺织面料及其制备方法
CN108642643A (zh) 一种浆染联合机环保染料染色牛仔布的生产方法
WO2019056955A1 (zh) 一种针织牛仔布的后整理方法
CN114351322A (zh) 一种机织织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34906A (zh) 一种立体牛仔面料的织造方法
US5775382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textile
JP2007190323A (ja) タオルハンカ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023636A (zh) 一种减少靛蓝色织物色档的方法
KR100447862B1 (ko) 경사 날염방법
US342988A (en) Method of making paper fabric
CN115094557A (zh) 一种人丝人棉交织织物的制备工艺
KR100205558B1 (ko) 연속가공 및 염색방식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선염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14045664B (zh) 面料及其制造方法
CN1079458C (zh) 一种针织牛仔纱的制造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