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847A - 자동차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847A
KR20050019847A KR10-2005-7000571A KR20057000571A KR20050019847A KR 20050019847 A KR20050019847 A KR 20050019847A KR 20057000571 A KR20057000571 A KR 20057000571A KR 20050019847 A KR20050019847 A KR 20050019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runk
loop
protective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9126B1 (ko
Inventor
께보제라드
께보폴
귀이예쟝마르크
Original Assignee
프랑스 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스 디자인 filed Critical 프랑스 디자인
Publication of KR2005001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60J7/207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adjustable in volume, i.e. collapsible in order to increase luggage space in boot when roof is not sto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60J7/208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with improved trunk access by moving the folded roof package when opening the trunk lid for loading or unloading lugg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7)을 수용하는데 사용되고 후방 트렁크(2)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될 때에 접근할 수 있는 후방 트렁크(2)의 보호 영역(10)과 접힌 보관 위치에서 보호 영역(10) 위쪽에 위치된 후방 트렁크(2)의 제2 영역(11)사이에서 수직 범위를 형성하는 패널(9)을 포함하는 장치(8)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패널(9)은 저 보호 위치와 고 보호 위치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은, 루프(1)가 패널(9)이 저 보호 위치 상부에 있을때에 루프(1)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센서(1)와 패널(9)이 고 보호 위치 상부에 있을때에 트렁크(2)가 밀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센서(15)와 패널이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호 장치{Protective Device for Object Placed Inside the Rear Boot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트렁크내로 접혀지는 루프를 갖는 자동차의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승객 칸막이를 덮는 전개 위치와, 후드로 덮힌 트렁크에 보관(stored)되고 수축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접철식(foldaway) 루프를 갖는 자동차의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관 장치에 관해 알려져 있다. 그러한 장치는, 물건을 수용하는데 사용되고 트렁크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될 때에 접근 가능한 트렁크의 보호 영역과, 접힌 보관 위치의 루프를 수용하고 보호 영역 위에 위치한 제2 영역 사이에서 수직 범위를 형성하고, 보호 영역이 트렁크가 밀폐되고 루프가 그것의 접힌 보관 위치에 있을 때에 비어 있는 제1 공간을 차지하는 저 보호 위치와, 보호 영역이 트렁크가 밀폐되고 루프가 그것의 전개 위치에 있을때에 비어 있는 제2 공간을 차지하는 고 보호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패널과; 루프의 접힘을 보장하도록 제1 센서와 함께 협동하는데 사용되는 저 보호 위치와, 고 보호 위치에 각각 패널을 고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제1 및 제2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는 예를들면, 프랑스 특허 출원 제2 796 90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출원에서, 물건을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되는 후방 도어에 의해 접힌 보관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를 루프가 이동하는 동안에 루프를 통과시키도록 후방 트렁크는 전방 후위로부터 개방되는 후드에 의해 밀폐된다. 이 종래의 출원에서, 루프와 후드의 이동은 패널이 저 보호 위치(low protecting position)에 있을 때만이 작동자에 의해 제어되는데, 이것은 물건의 보호를 보장한다. 후방 도어의 이동은 수동으로 제어되고, 사용자는 물건의 보호를 보장한다.
그러나, 후방 트렁크의 개방과 밀폐가 전적으로 자동화된 자동차가 있는데, 전술한 출원에서와 같이, 각각의 이동이 작동자에 의해 제어되는 후드와 후방 도어를 포함하는 트렁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방 후위로부터 또는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되도록 분절되고 작동자에 의해 제어되는 트렁크를 포함한다.
이런 이유로, 종래의 물건 보호 장치는 트렁크의 자동 밀폐 동안에는 물건이 보호될 수 없었다.
도 1은 물건 보호장치가 끼워진 자동차 뒤 트렁크(rear boot)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패널이 저 보호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건 보호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도이다.
도 3은 패널이 고 보호 위치에 있는 도 2에 유사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끼워진 자동차 뒤 트렁크에 대한 세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트렁크의 밀폐 부재의 밀폐 이동에 관계없이 자동차의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짐의 양호한 보호를 보장할 수 있고, 단순하며 신뢰성이 있고,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용이한 물건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과 제1 센서의 협동 작용은, 패널이 저 보호 위치보다 높이 있을 때에 루프가 접힐 수 없도록 이루어지고, 패널과 제2 센서의 협동 작용은 패널이 고 보호 위치보다 높이 있을 때에 트렁크가 밀폐되지 않도록 이루어 진다.
패널의 위치에 의존하는 두 센서중의 하나와 패널의 협동 작용은 루프의 접힘 또는 트렁크의 밀폐를 통하여 야기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물건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단순하게 보호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잇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자동차는 자동차 승객 칸막이를 덮는 전개된 위치와, 자동차 뒤 트렁크(2)내에 보관되고 수축된 접힌 보관 위치사이를 이동하는 접철식 루프(1)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루프(1)는, 트렁크(2)의 상부내로 거의 수평으로 접히어 사용되는 전방 루프 부재(3)와 후방 루프 부재(4)인 적어도 두 개의 루프 부재를 포함한다.
후방 트렁크(2)에는, 한편으로는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되어 물건(7)이 트렁크(7)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방 후위로부터 개방되어 절첩식 루프(1)가 통과하도록 몸체(6)에 분절되는(articulated) 후드(5)가 끼워진다.
트렁크(2)내부에 위치된 물건(7) 보호 장치(8)는 자동차에 끼워진다. 본 보호 장치(8)는 트렁크(2)의 보호 영역(10)과 보호 영역(10)위에 위치된 트렁크(2)의 제2 영역(11)사이에 수직 범위를 형성하는 패널(9)을 포함한다.
보호 영역(10)은 물건(7)을 수용하는데 사용되고 트렁크(2)의 후드(5)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될 때에 접근가능하다. 제2 보호 영역(11)은 접히고 보관된 위치의 루프(1)를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패널(9)은 견고하고, 적어도 저 보호 위치와 고 보호 위치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패널(9)이 그것의 저 보호 위치에 있을 때에, 보호 영역(10)은, 후드(5)가 트렁크(2)를 덮고 그 후에 루프(1)가 접힌 보관 위치에 있을 때에 비어 있는 제1 공간을 차지한다.
패널(9)이 그것의 고 보호 위치에 있을 때에, 보호 영역(10)은, 후드(5)가 트렁크(2)를 덮고 그 후에 루프(1)가 그것의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비어 있는 제2공간을 차지한다.
제1 고정 수단(12)이 패널(9)을 그것의 저 보호 위치에 고착시키도록 사용되고, 제2 고정 수단(13)이 패널(9)을 그것의 고 보호 위치에 고착시키도록 사용된다.
더욱이, 저 보호 위치의 패널(9)은 루프(1)의 접힘과 후드(5)의 고착을 보장하도록 제1 센서(14)와 함께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9)과 제1 센서(14)의 협동 작용은, 패널(9)이 저 보호 위치보다 높은 상태에서 루프(1)가 접히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패널(9)과 제2 센서(15)의 협동 작용은 패널(9)이 고 보호 위치보다 높은 상태에서 트렁크(2)가 닫히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작동기가 트렁크(2)의 자동 개방과 밀폐 및 루프(1)의 접힘과 전개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물론 양 센서(14, 15)는 루프(1)와 후드(5)의 이동제어를 위한 수단이 연결된 전기회로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영역(10) 내부에 위치된 물건(7)은 루프(1)나 후드(5)에 의해 손상될 수 없고, 그러므로 루프(1)는 물건(7)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접힌 보관 위치의 루프(1)와 밀폐된 위치의 후드(5)는, 패널(9)의 설치 위치때문에 저 보호 위치의 패널(9)과 접촉할 수 없다.
더욱이, 밀폐위치의 후드(5)는 패널(9)의 설치 위치때문에 고 보호 위치의 패널(9)과 접촉할 수 없다.
패널(9)이 그것의 고 보호 위치보다 높은 상태라면, 후드(5)는 밀폐될 수 없다. 비슷하게, 패널(9)이 그것의 저 보호 위치보다 높은 상태라면, 루프(1)는 접힐 수 없다.
따라서, 그것의 위치에 관계없이, 패널(9)은 루프(1) 또는 후드(5)의 어떤 이동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물론, 이것은 또한 상부 수직 범위를 형성하는 보호 영역에 있는 물건(7)을 나타내기도 한다. 따라서, 루프(1)는 루프를 손상 시킬 수 있는 물건(7)과의 어떤 접촉으로부터도 보호 된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16)이 자동차를 횡단하는 방향에서 이동가능한 방법으로 패널(9)의 양측에 부착된다.
두 아암(16)의 각각은 보호 영역(10)의 외측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브(stub, 17)를 포함한다. 각 스터브(17)는 몸체(6)와 일체로 고정 부재(19)에 만들어지고, 저 보호 위치에 패널(9)을 고착시키도록 저 보호 위치를 형성하는 제1 개구(18)내로 침투하는데 사용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각 아암(16)은 트렁크(2)의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신축적인 방법으로 그것의 상부 단부에 의해 패널(9)에 부착되고, 각 아암은 대응하는 고정부재(19)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동요한다. 각 스터브(17)는 대응하는 아암(16)의 하부 단부에 있다. 아암(16)을 패널(9)에 부착하는 신축성은 충분히 커서 대응 스터브(17)가 충분한 이동범위를 갖게되어 스터브가 대응 고정 부재(19)의 제1개구 내로 접촉 할 수 있고 그리고 그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각 아암(16)은 사용자가 아암(16)을 휠 수 있게 하는 파지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핸들(34)을 포함한다.
도 3에서 볼수 있는바와 같이, 제1 센서(14)는 제1 개구(18)내에 감싸진다. 제1 센서는 스터브가 제1 개구(18)에 있을 때에 스터브(17)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조된다.(도 2 참조)
도 2 내지 도 5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고정부재(19)는 고 보호 위치를 형성하고 대응 스터브(17)가 이 위치에 패널(9)을 고착시키기 위해 침투하는 제2 개구(20)를 포함한다. 제2 센서(15)가 제2 개구(20)내에 감싸지고 스터브가 제2 개구(20)에 있을때에 스터브(17)에 의해 작동되도록 제조된다.(도 3 참조)
더욱이, 트렁크(2)의 후드(5)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되고 루프(1)가 그것의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물건(7)을 보호 영역(10)에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패널(9)은 고 보호 위치 위쪽의 고 예비 위치(high introductory position)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패널(9)의 후방 에지와 트렁크(2)의 후방 에지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패널(9)이 그것의 고 보호 위치에 있을때의 거리(A)와 그것의 고 예비 위치에 있을때의 거리(B)를 참조)
특징적으로는, 제3 고정 수단(21)이 패널(9)을 그것의 고 예비 위치에 고착시키도록 사용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고정 부재(19)는 고 예비 위치를 형성하고 대응 스터브(17)가 패널(9)을 이 위치에 고착시키도록 침투하는데 사용되는 제3 개구(22)를 포함한다.
물론, 패널(9)이 이 고 보호 위치까지 낮아지지 않는한, 후드(5)는 밀폐되지 않는다. 또한, 패널이 그것의 저 보호 위치까지 낮아지지 않으면, 루프(1)는 접힐 수 없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루프(1) 아래에 물건을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 장치(장치는 도시되지 않음)가 자동차에 끼워졌다. 이 장치는 루프(1)를 그것의 접힌 보관 위치에서, 트렁크(2)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되어 루프(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트렁크(2)로부터 돌출하는 접힌 상승 위치로 루프(1)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트렁크(2)의 후드(5)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되어 루프(1)가 그것의 접힌 상승 위치에 있을때에, 패널(9)은 물건(7)을 보호 영역(10)에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저 보호 위치 위쪽의 저 예비 위치내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패널(9)의 후방 에지와 트렁크(2)의 후방 에지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패널(9)이 그것의 저 보호 위치에 있을 때의 거리(C)와 그것의 저 예비 위치에 있을 때의 거리(D)를 참조)
특징적으로는, 제4 고정 수단(23)이 패널(9)을 그것의 저 예비 위치에 고착시키기위해 사용된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각 고정 부재(19)는 대응 스터브(17)가 패널(9)을 그것의 낮은 예비 위치에 고착시킬 수 있도록 침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4 개구(24)를 포함한다.
물론, 패널(9)이 그것의 저 보호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한, 루프(1)는 낮아질 수 없고 후드(5)는 밀폐될 수 없다.
이 특별한 예에서, 고정 수단(12,13,21,23)의 구조는 패널(9)이 네 개의 안정된 위치를 단지 가질수 있도록 이루어 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패널(9)이 몸체(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그 전방 단부에서 회전 축(25)에 의해 지지되고 자동차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정향되고 축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패널이 두 쌍의 선회 아암(26,27)을 경유하여 몸체에 대해 이동가능한 접속 방법으로 장착된다. 선회 아암(26)의 제1 쌍은 제1단부에서 몸체(6)에 대해서 제1 선회축(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제2단부에서 패널(9)에 대해서 제2 선회축(2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비슷하게, 선회 아암(28)의 제2 쌍은 제1 단부에서 몸체(6)에 대해서 제3 선회축(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단부에서 패널(9)에 대해서 제4 선회 축(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패널(9)은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두 쌍의 선회 아암(26,27)의 회전에 의해 안내되는데, 네 개의 선회축 (28,29,30,31)은 각각 자동차의 횡단 방향으로 정향된다. 물론,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패널(9)은 저 그리고 고 보호 위치와 저 그리고 고 예비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더욱이, 물건(7)의 보호를 개선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하게는, 보호 장치(8)는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고 자동차 전방으로 보호 영역(10)을 제한하는 후방 벽(32)과,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고 자동차 횡단방향으로 보호 영역(10)을 제한하는 두 개의 측벽(33)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측면 패널은 고정 수단(19)을 구성한다.
물론, 본 발명은 전술한 상세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패널(9)을 그것의 위치중의 하나에 고착시키기 위해서 몸체(6)에 대해 패널(9)을 분절시키기 위해서 스터브(7)를 이동가능하게 만드는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패널(9)을 분절하기 위한 다른 수단은 패널(9)을 그것의 위치에 관계없이 안정하게 만드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따라서 제1 및 제2 센서는 각각 가장 높은 저 보호 위치 아래에, 그리고 가장 높은 저 보호 위치와 가장 높은 고 보호 위치사이의 패널의 궤도를 따라서 위치된다.
측면 패널(33)과 관계없이 고정 수단(19)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자동차 승객 칸막이를 덮는 전개 위치와 후드(5)로 밀폐된 트렁크(2)에 보관되고 수축된 접힌 보관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접철식 루프(1)를 갖는 자동차 뒤 트렁크(2) 내부에 위치된 물건(7)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물건(7)을 수용하는데 사용되고 트렁크(2)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될 때에 접근 가능한 트렁크(2)의 보호 영역(10)과, 접힌 보관 위치의 루프(1)를 수용하고 상기 보호 영역(10) 위에 위치한 제2 영역(11) 사이에서 수직 범위를 형성하고, 보호 영역(10)이 트렁크(2)가 밀폐되고 루프(1)가 그것의 접힌 보관 위치에 있을 때에 비어 있는 제1 공간을 차지하는 저 보호 위치와, 보호 영역(10)이 트렁크(2)가 밀폐되고 루프(1)가 그것의 전개 위치에 있을때에 비어 있는 제2 공간을 차지하는 고 보호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패널(9)과; 루프(1)의 접힘을 보장하도록 제1 센서(14)와 함께 협동하는데 사용되는 저 보호 위치와, 고 보호 위치에 각각 패널(9)을 고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제1 및 제2 고정 수단(12,13)을 포함하고, 패널(9)과 제1 센서(14)의 협동 작용이, 패널(9)이 저 보호 위치보다 높은때에 루프(1)가 접힐 수 없도록 이루어 지고, 패널(9)과 제2 센서(15)의 협동작용이, 패널(9)이 고 보호 위치보다 높은 때에 트렁크(2)가 밀폐될 수 없도록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보호 영역(10)의 외측을 향하여 횡단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브(17)를 각각 포함하는 아암(16)이 자동차의 횡단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패널(9)의 각 측면에 부착되고, 몸체(6)와 일체로된 고정 부재(19)가 제1 센서(14)가 감싸지는 제1 개구(18)를 포함하며, 상기 스터브(17)는 패널(9)을 그것의 저 보호 위치에 고착시키고 제1 센서(14)를 작동시키도록 제1 개구(18)내로 침투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트렁크(2)의 하부 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패널(9)에 신축적인 방법으로 부착된 대응 아암(16)의 하부 단부에 위치한 상기 각 스터브(17)는 대응하는 고정부재(19)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동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각 고정 부재(19)는 제2 센서(15)가 감싸지는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스터브(17)는 패널(9)을 그것의 고 보호 위치에 고착시키고 제2 센서(15)를 작동시키도록 제2 개구(20)내로 침투되는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루프(1)가 그것의 전개 위치에 있고 트렁크(2)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될 때에, 보호 영역(10)에 짐을 위치시키는 것을 용히하게 하도록 패널(9)이 고 보호 위치 위쪽의 고 예비 위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제 3 고정 수단(21)이 패널(9)을 그것의 고 예비 위치에 고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19)가, 패널(9)을 그것의 고 예비 위치에 고착 시키도록 스터브(17)가 침투하는데 사용되는 제3 개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루프를 그것의 접힌 보관 위치에서 트렁크(2)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되고 루프(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트렁크(2)로부터 돌출하는 접힌 상승 위치로 안내하는 것에 의해 루프(1) 아래에 물건을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데 자동차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되고, 루프(1)가 그것의 접힌 상승 위치에 있고, 트렁크(2)가 후방 전위로부터 개방될 때에, 짐을 보호 영역(10)에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패널(9)이 저 보호 위치 넘어의 저 예비 위치내로 이동될 수 있고, 패널(9)과 제1 센서(14)의 협동 작용이 패널(9)이 저 보호 위치보다 높이 있을 때에 루프(1)가 낮아질 수 없고 트렁크(2)가 밀폐될 수 없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제 4 고정 수단(23)이 패널(9)을 그것의 저 예비 위치에 고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19)가 패널(9)을 그것의 저 예비 위치에 고착시키기 위해서 스터브(17)가 침투되는 제4 개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 보호 장치.
KR1020057000571A 2002-07-19 2003-06-26 자동차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호 장치 KR100939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9220A FR2842481B1 (fr) 2002-07-19 2002-07-19 Dispositif de protection d'objets disposes dans le coffr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FR02/09220 2002-07-19
PCT/FR2003/001980 WO2004009386A1 (fr) 2002-07-19 2003-06-26 Dispositif de protection d'objets disposes dans le coffr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847A true KR20050019847A (ko) 2005-03-03
KR100939126B1 KR100939126B1 (ko) 2010-01-28

Family

ID=29797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571A KR100939126B1 (ko) 2002-07-19 2003-06-26 자동차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273244B2 (ko)
EP (1) EP1523422B1 (ko)
JP (1) JP4227958B2 (ko)
KR (1) KR100939126B1 (ko)
CN (1) CN100345700C (ko)
AT (1) ATE332247T1 (ko)
AU (1) AU2003267496A1 (ko)
DE (1) DE60306655T2 (ko)
FR (1) FR2842481B1 (ko)
WO (1) WO2004009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3593D0 (en) * 1992-11-11 1992-12-23 Rolls Royce Plc Gas turbine engine fan blade assembly
FR2872479B1 (fr) 2004-07-02 2006-09-08 France Design Sa Dispositif de protection d'objets disposes dans le coffre arriere d'un vehicule automobile a toit retractable
DE202005001425U1 (de) 2005-01-29 2006-06-08 METTERNICH, Heinz-Rüdiger Kuppl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einer Zugmaschine mit einem Anhängerfahrzeug
DE102005053879A1 (de) * 2005-09-15 2007-04-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einer Zwischenwand zwischen einem Verdeckaufnahmeraum und einem Gepäckraum
DE102005053878A1 (de) * 2005-09-23 2007-03-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 mit Zwischenwand zwischen einem Verdeckaufnahmeraum und einem Gepäckraum
DE102005047315A1 (de) * 2005-09-30 2007-04-05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einem in geöffneter Stellung als Zugangshilfe anhebbaren Dach
DE102006027950A1 (de) * 2006-06-17 2007-12-20 Wilhelm Karmann Gmbh Verdeckkastenanordnung für ein Cabriolet-Fahrzeug
DE102008003897A1 (de) * 2008-01-10 2009-07-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utzein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mit Falt- oder Klappverdeck
US9790406B2 (en) 2011-10-17 2017-10-17 Berry Plastics Corporation Impact-resistant fil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2906C1 (de) * 1995-11-17 1996-11-1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staueinrichtung, insbesondere an einem Cabriolet
FR2759052B1 (fr) * 1997-02-05 1999-03-12 France Design Malle arriere pour vehicule decouvrable
DE19706830A1 (de) * 1997-02-21 1998-08-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ariables Aufnahmefach, insbesondere für ein Faltverdeck
FR2777241B1 (fr) * 1998-04-09 2000-06-09 France Design Malle arrier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cette malle pouvant s'ouvrir de l'arriere vers l'avant et de l'avant vers l'arriere
DE19834850B4 (de) * 1998-08-01 2004-09-23 Daimlerchrysler Ag Kraftfahrzeug mit versenkbarem Verdecksystem
JP2000104445A (ja) * 1998-09-29 2000-04-11 Toyota Motor Corp ラゲージの開閉機構
CN2351348Y (zh) * 1998-10-16 1999-12-01 郝建新 新型汽车后备箱
FR2796901B1 (fr) 1999-07-30 2001-09-21 France Design Dispositif de protection de bagages disposes dans le coffre arriere d'un vehicule ayant un toit retractable
DE19940959B4 (de) * 1999-08-28 2004-10-21 Daimlerchrysler Ag Kraftfahrzeug mit einer Karosserie
US6508502B2 (en) * 2001-02-08 2003-01-21 Asc Incorporated Convertible roof and tonneau cov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8488A (zh) 2005-09-14
JP2006501093A (ja) 2006-01-12
US7273244B2 (en) 2007-09-25
DE60306655D1 (de) 2006-08-17
EP1523422A1 (fr) 2005-04-20
FR2842481A1 (fr) 2004-01-23
EP1523422B1 (fr) 2006-07-05
AU2003267496A1 (en) 2004-02-09
US20060145500A1 (en) 2006-07-06
WO2004009386A1 (fr) 2004-01-29
JP4227958B2 (ja) 2009-02-18
FR2842481B1 (fr) 2004-10-01
CN100345700C (zh) 2007-10-31
KR100939126B1 (ko) 2010-01-28
ATE332247T1 (de) 2006-07-15
DE60306655T2 (de)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9483A (en) Convertible motor vehicle roof
US7559595B2 (en) Convertible device for a vehicle
KR100575196B1 (ko) 트렁크 덮개와 후방 선반을 구비하는, 접이식 루프를 가진 컨버터블 차량의 트렁크
US5195798A (en) Retractable roof for vehicles
JP4139640B2 (ja) 自動車ルーフ及びカブリオーレ
US6422637B1 (en) Retractable motor vehicle top as well as motor vehicle comprising this top
US6283532B1 (en) Convertible top having a back lite forming part of a tonneau cover
JP4776786B2 (ja) コンバーチブル車両ルーフ
US6695386B1 (en) Vehicle retractable hardtop roof
US6419295B1 (en) Folding top rear quarter window storage system
KR100939126B1 (ko) 자동차 후방 트렁크 내부에 위치된 물건 보호 장치
ITRM970526A1 (it) Struttura di capote retrattile
US20130038084A1 (en) Convertible top
US6302470B1 (en) Convertible vehicle
SK123694A3 (en) Motor vehicle inner rearview mirror with integrated glove box
US6672645B2 (en) Convertible having a top storable underneath a plane of a top cover
US20070200385A1 (en) Openable vehicle roof having a fabric cover
US20070194595A1 (en) Convertible vehicle having a folding top
US20040174039A1 (en) Hardtop convertible
EP1136295B1 (en) Tonneau cover for covering the boot of a convertible, and a convertible
US6688669B2 (en) Motor vehicle having a folding roof which can be opened
US7497496B2 (en) Vehicle and folding roof top for a vehicle
US6955388B2 (en) Hardtop vehicle roof with rigid roof parts
JP7403740B2 (ja) 薬剤散布車両
US20220001727A1 (en) Car wing type rainwater shiel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