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962A -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기계 구조물 및몰드 - Google Patents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기계 구조물 및몰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962A
KR20050015962A KR1020040014395A KR20040014395A KR20050015962A KR 20050015962 A KR20050015962 A KR 20050015962A KR 1020040014395 A KR1020040014395 A KR 1020040014395A KR 20040014395 A KR20040014395 A KR 20040014395A KR 20050015962 A KR20050015962 A KR 2005001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jection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pr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렌진로렌조
Original Assignee
메인 그룹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인 그룹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메인 그룹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5001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9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42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using dispensing heads, e.g. extruders, placed over or apart from the moulds
    • B29C31/04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using dispensing heads, e.g. extruders, placed over or apart from the moulds with moving heads for distributing liquid or viscous material into the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 A01C15/124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with adjustable shutters or sl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7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injection units
    • B29C45/076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injection units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대응하는 몰드(14)를 지지하는 몰드 홀더(13)를 구비하며 수직 폐쇄 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프레스(12)를 지지하는 다리부(1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몰드(14)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조립체(15)에 의해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형태의,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10, 210)가 개시된다. 상기 주입 조립체(15)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주입하도록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14) 중 적어도 일부의 몰드(14)와 상기 주입 조립체(15) 사이의 상대 운동용 부품(16, 3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기계 구조물 및 몰드{MACHINE, MACHINE STRUCTURE AND MOLD FOR THE INJECTION-MOLDING OF SOLES, TECHNICAL ARTICLE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창(sole),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사출성형용 기계 구조물 및 그러한 기계용 몰드(mold)에 관한 것이다.
다중 스테이션 사출성형기는 일반적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개의 프레스로 구성되는데, 내부에 몰드가 배치되고, 상기 몰드는 일반적으로 상부 몰드부와 하부 몰드부로 구성된다.
성형될 재료는 수평 방향으로 주입하도록 장착된 하나 이상의 주입기를 구비한 주입 조립체에 의해 주입된다.
성형될 주입된 재료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재료, 고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등이다.
주입 조립체는 가이드 상에서 주행하여, 실질적으로 직선 경로를 따르거나, 하나의 프레스로부터 다음의 인접 프레스로 병진 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지의 성형 기계에서, 주입기의 노즐은 2개의 절반부(half)에 의해 형성된 실질적으로 수평 구멍에 의해 몰드에 공급하는데, 제1 절반부는 상부 몰드부 상에 있고 제2 절반부는 하부 몰드부 상에 있다.
2개의 폐쇄된 몰드부에 의해 형성된 임프레션(impression) 내로 주입된 재료의 이탈은 유압 또는 공기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핀으로 주입 구멍을 막음으로써 간편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공지의 다중 스테이션 사출성형기는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좋게 평가되고 있지만 단점을 갖는다.
첫 번째 단점은 열(row)로 또는 써클 형태로 배치된 프레스에 대해 측방향으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수평 주입 조립체에 의해 주로 야기되는 이러한 기계의 상당한 전체적 크기와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다.
더욱이, 이러한 기계에서, 주입기는 그 열의 마지막 몰드 내로 주입한 후에 동일한 열의 첫 번째 몰드로 복귀하여야만 하고, 따라서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상당한 휴지(休止) 시간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형태의 기계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사람의 조작자에 의해 접근되는 단일 작업 프론트를 갖는데, 적어도 두 사람의 조작자는 나란히 작업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종종 서로 방해가 된다.
다른 단점은 2개의 몰드부의 메이팅 평면(mating plane) 상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가진 구멍으로의 주입으로 인한 것이다.
주입 채널을 구성하는 상기 구멍의 형상 및 배치는 상당한 양의 탕구(湯口)(sprue)를 발생시키는 외에도 몰드 클램핑력(clamping force)의 면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프레스에 의해 반드시 제공되어야만 하는 클램핑력은 주입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2개의 성분을 고려하여야 한다.
제1 성분은 주입된 재료가 통상적으로 매우 좁은 단면을 가진 주입 채널에 적용하는 힘이고, 제2 성분은 가교 결합(cross-linking) 및 팽창 동안에 재료에 의해 임프레션 내에 적용된 힘에 의해 구성된다.
공지의 기계의 프레스는 상기 힘 둘 다에 대항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140 톤을 넘는 클램핑력을 발생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한 중량이 가능한 프레스는 매우 무겁고 본래부터 비싸고, 전력 소비 면에서 부담스럽다.
따라서, 프레스가 작용하는 몰드는 매우 강하고 특히 비싼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표는 공지의 종류의 기계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는 창, 기술적 제품 등을 사출성형하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의 형태에 비해 동일한 수의 프레스에 대해 작은 크기를 갖고 더욱 컴팩트한 사출성형용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지 시간을 최소로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공지의 형태보다 큰 생산성을 가진 사출성형용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자가 기계에 접근할 때 서로 방해하지 않게 하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색깔 제품을 얻도록 구성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열가소성 재료, 고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등이 공급되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몰드가 수동식 적량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사출성형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폐기물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클램핑력을 요구하는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공지의 설비와 기술로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사출성형기 구조물, 및 상기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표와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인데, 대응하는 몰드를 지지하는 몰드 홀더를 구비하면서 수직 폐쇄(closure) 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프레스를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몰드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조립체에 의해 공급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에 있어서, 상기 몰드 중 적어도 일부의 몰드와 상기 주입 조립체 사이의 상대 운동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주입하도록 상기 프레스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스와 각각의 상기 몰드 홀더는 2개의 평행하고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은 둘 다,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주입하도록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 조립체에 의해 서비스된다.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몰드를 지지하는 몰드 홀더가 제공되어 있으며 수직 폐쇄(closure) 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프레스를 상호 나란히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는,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구조물은 상기 프레스와 각각의 상기 몰드 홀더가 2개의 평행하고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몰드부와 상기 하부 몰드부를 수직방향으로 폐쇄시키기에 적합한 상부 몰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몰드부는 프레스의 대응하는 상부 몰드부 홀더와 하부 몰드부 홀더와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창, 기술적 제품 등을 사출성형하는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는 상기 상부 몰드부가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가진 주입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도시된,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다.
기계(10)는 수직 폐쇄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프레스(12)를 나란히 지지하는 다리부(11)를 포함한다.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에는 8개의 프레스(12)가 있다.
다리부(11)는 각각 2개의 프레스(12)를 지지하는 4개의 모듈러 프레임(11a)으로 구성된다.
프레스(12)에는 대응하는 몰드(14)를 지지하는 몰드 홀더(13)가 제공된다.
각각의 몰드는 상부 몰드부(14a)와 하부 몰드부(14b)로 구성되는데, 상부 몰드부(14a)상에는 하부 몰드부(14b)가 덮인다.
몰드부는 적절한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주입 조립체(15)에 의해 공급된다.
주입 조립체(15)에 대해서, 주입 조립체(15)와 몰드(14)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위한 도면부호(16 및 30)로 표시되는 수단이 있다.
주입 조립체(15)와 몰드(14)의 적어도 일부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위한 상기 수단은 조립체(15)용 슬라이딩 가이드(16)와 상기 가이드(16) 상에서 주입 조립체(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30)을 포함한다.
프레스(12)와 각각의 몰드 홀더(13)는 2개의 평행하고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열(row)(17)를 따라 배치된다.
두 개의 평행한 열(17)는 둘 다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주입하도록 위에 배치된 상기 주입 조립체(15)에 의해 서비스된다.
주입 조립체(15)는 이 경우에 주입기(18)를 포함한다.
수직 주입기(18)는 각각의 프레스(12)의 중심에서 주입을 수행하고, 따라서 균형된 방법으로 동작한다.
그러한 균형된 주입으로 인해서, 공지의 기계의 중량보다 작은 중량이 프레스(12)의 부분 상에 몰드(14)를 클램핑하기에 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몰드(14)는 더욱 값이 싸다.
각각의 프레스(12)는 상향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발생하기에 적합한 유압 작동기(19)를 포함한다.
각각의 몰드 홀더(13)는 상부 몰드부 홀더(13a)와 하부 몰드부 홀더(13b)로 구성된다.
상부 몰드부 홀더(13a)는 주입기(18)의 주입 노즐(21)이 자신의 아래에 있는 몰드(14) 상에 직접 놓이게 하기에 적합한 관통 개구(20)를 구비한다.
관통 개구(20)는 각각의 프레스(12)의 중심에 위치된다.
개구(20)의 중앙 배치로 인해서 공지의 기계에 비해 감소된 폐쇄 중량(closure tonnage)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스(12)를 요구하는 균형된 주입을 얻어진다.
하부 몰드부 홀더(13b)는 대응 유압 작동기(19)의 스템(22)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스템(22)은 몰드(14)를 폐쇄할 때에 하부 몰드부 홀더(13b) 및 관련 하부 몰드부(14b)를 안내한다.
2개의 열(17)는 몰드(14)의 실리콘화를 자동화하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수단(8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상호 거리에 배치된다.
자동화 수단(80)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막대(83) 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판(82)에 의해 지지된 실리콘화 로봇(81)에 의해 구성된다.
막대(83)는 본 실시예에서 2개이다.
도시되지 않은 몰드 세척 로봇은 실리콘화 로봇(8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16)는 쌍으로 정렬된 4개의 길이방향 부재(23)에 의해 구성된다.
길이방향 부재(23)는 상부 몰드부 홀더(13a)에 고정된 포스트(24)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 몰드부 홀더(13a)는 지지 어깨부(25)에 의해 지지된다.
횡방향 레일(26)은 길이방향 부재(23)를 따라 주행한다.
주입 조립체(15)는 레일(26) 상에 놓여 병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수단(30)은 2개의 축(axes) 상에서 작용하기에 적합하고, 편리하게 주입 조립체(15)가 실질적으로 사각형 경로를 따르게 한다.
이동 수단(30)은 제1 병진 운동 수단(31)과 제2 병진 운동 수단을 포함한다.
제1 병진 운동 수단(31)은 그 동작 방법이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되었으며 길이방향 부재(23)에 대해 레일(26)을 이동시킨다.
제2 병진 운동 수단은, 도시되지 않았는데, 작동 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며, 작동 실린더는 주입 조립체(15)에 작용하여 주입 조립체(15)가 레일(26)을 따라 이동하고 2개의 열(17)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병진 운동을 수행하게 한다.
제1 병진 운동 수단(31)은 레일(26)이 견고하게 결합된 수평 유압 실린더(34)를 포함한다.
제1 수직 실린더(36)는 수평 실린더(34)의 재킷(35)에 고정되고, 수평 실린더(34)의 스템(37)에는 그 단부에 제2 수직 실린더(38)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수단의 이동의 시퀀스는 상기와 같이 도 10 내지 도 16에 도시된다.
예시된 초기 위치에서, 수직 실린더(36 및 38)는 둘 다 하강되고 다리부(11) 내의 상보적으로 형성된 구멍(39) 내에 삽입된 각각의 스템(36a와 38a)을 구비한다.
제2 수직 실린더(38)는 자신의 스템(38a)을 제1 결합 구멍(39a)으로부터 퇴출시킨다.
그러면, 수평 실린더(34)는 실린더(38)가 자신의 스템(38a)을 아래에 있는 제2 구멍(39b) 내에 삽입하는 다음 유지 위치에 제2 수직 실린더(38)가 배치될 때까지 수평 실린더(34)의 스템(37)을 연장시킨다.
다음에는, 제1 수직 실린더(36)의 스템(36a)은 자신이 삽입된 제3 구멍(39c)으로부터 분리되고, 레일(26)이 견고하게 결합된 재킷(35)은 제4 앵커링 구멍(39d)에 도달할 때까지 제2 수직 실린더(38)로 향해 이동한다.
여기에서, 제1 수직 실린더(36)는 자신의 스템(36a)을 구멍(39d)내로 다시 하강시킨다.
레일(26)의 전방 및 후방 병진 운동(31)을 위한 제1 수단은 따라서 실질적으로 유압식으로 작동되고, 저비용의 전자 부품에 의해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다.
제1 수단(31)은 주입 조립체(15)가 2개의 열(12)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게 한다.
제1 병진 운동 수단(31a)의 다른 실시예는 길이방향 부재(23)의 단부들 사이에서 연장된 벨트(33)와 주입 조립체(15)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벨트(33)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전기 모터(60)를 포함한다.
제1 벨트 수단(31a)은, 다른 실시예로서, 동등한 웜 스크루 장치, 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된다.
실제로, 이동 수단(30)은 상기 제1 수단(31)에 의해 제1 열(17a)의 제1 프레스(12a)로부터 제1 열(17a)의 최종 프레스(12b)로 주입 조립체(15)를 계단식으로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제2 수단은 조립체(15)를 제2 열(17b)로 이동시키는데, 제2 열(17b)에서 제1 수단(31)은 조립체(15)로 하여금 최종(last) 프레스(12b)에 평행하고 측방향으로 인접한 프레스(12c)로부터 제1 프레스(12a)에 평행하고 측방향으로 인접한 단부(end) 프레스(12d)로 병진운동을 수행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체(15)는 원형 기계에서 통상적인 경로와 편리하게도 유사한 실질적으로 사각형 경로를 따른다.
상기 2개의 축을 따른 이동은 공지의 형태의 선형 기계에서 야기되는 중단 시간을 최종 프레스로부터 제1 프레스로의 주입 조립체의 복귀 운동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의 면에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 기계(10)는 프레스(12) 위에 배치되어 따라서 몰드(14)의 측방향이 아니라 몰드(14) 위에 배치된 주입 조립체(15)의 위치의 면에서 공지의 형태에 비해 매우 조밀하다.
여기에서 예로서 설명된 것과 같은 8개의 프레스를 가진 기계(1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조된 공지의 형태의 8-프레스 기계의 크기의 십분의 일(1/10)보다 작은 평면 크기를 갖는다.
2개의 평행하고 인접한 열(17)를 따른 배치로 인해서, 조립체(15)의 사각형 및 편리하게 닫힌 경로(closed path)를 얻는 것에 추가하여, 두 사람의 조작자(90)를 위한 2개의 개별 작업 프론트(front)를 얻을 수 있게 하여, 두 사람의 조작자는 공지의 선형 기계에서 발생하듯이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
기계(10)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입 조립체(15)는 도시되지 않은 2개의 횡방향으로 인접한 주입기를 포함하는데, 그 주입기에 의해 다중-색깔 성형 제품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2개의 주입기는 길이방향으로만 이동되고, 각각의 주입기는 2개의 열(17) 중 하나의 열(17) 상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몰드(14)는 동일한 하부 몰드부(14b)를 공유한다.
하부 몰드부는 제1 상부 몰드부 아래에 배치되어, 제1 색깔의 재료가 주입되는 제1 임프레션(impression)을 형성한다.
부분 단일-색깔 제품은 상기 제1 몰드가 개방될 때 얻어진다.
하부 몰드부는, 단일-색갈 중간 부품을 포함하는데, 측방향으로 인접한 제2 상부 몰드부 아래에 배치될 때까지, 도시되지 않은 적절한 가이드 상에서 이동 수단에 의해 병진 운동을 수행한다.
제2 몰드가 닫힐 때, 제2 색깔의 재료는 중간 부품 상에 주입되어 2-색깔 최종 제품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주입기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다.
이 실시예의 예는 도 21에 도시되고 도면부호 210으로 표시되며, 2개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주입기(218)가 제공된 주입 조립체(215)를 구비한다.
기계(210)는 각각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몰드(14)를 수용할 수 있는 몰드 홀더(213)를 포함한다.
각각의 하부 몰드부 홀더(213b)는 균형된 주입을 얻도록 배치된 2개의 유압식 작동기(219)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몰드부 홀더(213a)로 향해 밀린다.
그러한 또 다른 실시예(210)의 특정 실시예에서, 2개의 작동기(219) 중 하나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 하나의 작동기(219)는 자신이 지지하는 몰드부 홀더(213b)에 대해 중심에 배치된다.
기계(210)는 각각 2개의 프레스(212)를 지지하는 2개의 프레임의 2개의 평행 열 상에 배치된 4개의 모듈러 프레임(211a)에 의해 구성된다.
각각의 프레스(212)에는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몰드(14)에 대해 하나의 몰드 홀더(213)가 제공되고, 상기와 같이, 각각의 몰드 홀더(213)는 2개의 유압 작동기(219)에 의해 지지된다.
2개의 주입기(218)는 동일 몰드 홀더(213)와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2개의 몰드(14) 내로 동시에 주입한다.
이 추가적 실시예에서, 각각의 주입기는 단일-색깔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서 몰드 위에 배치된다.
대체로, 적어도 2개의 주입기를 가진 조립체는 다음에는 후속 단일-색깔 성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주입기의 수만큼의 몰드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전진한다.
프레스의 열의 끝에서, 조립체는 인접 열 상에서 횡방향 병진 운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동일한 단일-색깔 제품이 기계 상에 장착된 주입기만큼 많은 다른 색깔로 얻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이 하부 몰드부(14b)를 수직으로 폐쇄하기에 적합한 상부 몰드부(14a)로 구성된 몰드(14)에 관한 것이다.
상부 몰드부(14a)와 하부 몰드부(14b)는 대응 프레스(12)의 대응 상부 몰드부 홀더(13a) 및 하부 몰드부 홀더(13b)와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다.
몰드(14)는 각각 상부 몰드부(14a)가 실질적으로 수직 축을 가진 주입 구멍(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몰드(14)는 주입된 성형 재료(50)의 이탈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폐쇄 수단(41)을 구비한다.
폐쇄 수단(41)은 주입 구멍(40)에 일체화된 일방향 밸브(42)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되듯이, 비동작 위치에서, 밸브(42)에 제공된 볼(43)은 밸브 몸체(45)와 일체로 된 적어도 3개의 지지 돌출부(44) 상에 놓인다.
돌출부(44)는 주입된 재료(50)가 볼(43)을 지나 흘러 몰드(14)의 임프레션(46)에 도달하게 한다.
주요 단계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주입 동작의 끝에서, 노즐(21)은 멀리 이동되어, 주입 구멍(40)을 개방시킨다.
주입된 재료(50)는 팽창되어, 볼(43)을 위로 밀어 구멍(40)을 막는다.
구성의 변경예에서, 폐쇄 수단(41)은 상부 몰드부 홀더(13a) 상에 제공된 길로틴(guillotine) 장치(47)에 의해 완성된다.
길로틴 장치(47)는 상부 몰드부 홀더(13a)에 고정된 잭(48)을 포함한다.
잭(48)은 주입 구멍(40)이 막힐 때까지 상보적 형상의 채널(51) 내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게이트(49)에 연결된다.
길로틴 장치(47)는 구멍(40)으로부터 이탈하는 재료(50)의 플래시(flash)를 제거하는 데에 있어서의 문제를 제거하도록 설계된다.
다른 구성상의 변경예에서, 폐쇄 수단(41)은 길로틴 장치(47)만으로 구성된다.
주입 구멍(40)을 위한 상기 일방향 밸브(42)는 공지의 핀 수단보다 구성이 간단하고 값싸다.
개구(20) 및 수직 주입 구멍(40)에 의해 가능하게 된 위로부터의 주입은 주요 이점으로서 주입 채널의 단축을 포함하는데, 주입 채널은 구멍(40)만 남도록 감소되었다.
더욱이, 주입 구멍(40)은 실제로 상부 몰드부(14a)의 상부 상에 중심에 배치됨으로써 공지의 몰드의 주입 구멍의 평균보다 짧아, 주입 노즐(21)과 몰드(14)의 임프레션을 더욱 짧은 경로를 따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주입 채널의 이러한 감소는 폐기물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몰드(14)를 최적의 방법으로 클램핑하기 위해서 프레스(12)가 인가해야만 하는 힘을 감소시킨다.
프레스(12)가 대항하는 힘의 상기한 제1 성분은 실제로 주입된 재료가 통상적으로 매우 좁은 단면을 가진 주입 채널에서 인가하는 힘이다.
주입 채널을 감소시킴으로써, 이 성분은 그에 따라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몰드(14)를 폐쇄하기 위해 프레스가 인가해야만 하는 클램핑력은 공지의 기계의 프레스에서의 140 톤 이상으로부터 약 40 톤으로 감소된다.
그러한 감소로 인해서 크기 및 비용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또한 전력 소모 비용이 극적으로 감소된 프레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클램핑력의 감소의 직접적인 결과는 몰드의 비용의 감소인데, 몰드는 감소된 압축만 견딜 수 있으면 되므로, 몰드는 어떤 경우에도 견디어야만 하는 압력에 의해 설정되는 구속조건 내에서 구조적으로 덜 강해도 된다.
몰드가 요구하는 이러한 감소된 저항은 몰드를 생산하는 데에 사용된 재료의 면에서, 또한 몰드를 얻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제조 기술의 면에서 추가적 절약을 할 수 있게 하며, 몰드는 주조(casting)에 의해 값싸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주입 성형용 기계 구조물(110)이다.
기계(10)와 같이, 구조물(110)은 수직 폐쇄 동작을 하는 복수개의 프레스(112)를 나란히 지지하는 지지 다리부(111)를 포함한다.
프레스(112)에는 상기와 같이 대응 몰드(14)를 지지하는 몰드 홀더(113)가 제공된다.
구조물(110)은 또한 2개의 평행하고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열(117) 내에 프레스(112)와 각각의 몰드 홀더(113)를 구비한다.
주입 조립체를 구비하지 않는 구조물(110)에는 도시되지 않은 재료 도입용 수동식 적량 공급 시스템(manual dosage system)에 의해 위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은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종래 형태의 기계 및 기계 구조물과 특히 사출성형 기계용 종래 형태의 몰드에서 주목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공지의 형태에 비해 동일한 수의 프레스에 대해 더욱 작고 컴팩트한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휴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공지의 형태의 기계보다 큰 생산성을 주는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자들이 기계에 접근 시에 서로 방해가 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 고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등이 공급될 수 있는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몰드가 수동식 적량 공급 시스템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사출성형 기계 구조물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폐기물을 감소시키고 보다 작은 클램핑력을 요구하는 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몰드용 로봇화된 실리콘화 수단을 열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사출성형 기계 구조, 및 공지의 설비 및 기술을 사용하여 값싸게 제조될 수 있는 상기 기계 및 기계 구조용 몰드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 및 변경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상세사항은 기술적으로 동등한 다른 요소들로 대치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 및 크기는 구체적인 용도와 호환 가능한 한 본 기술분야의 요구사항 및 종래기술에 따른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수의 프레스를 가진 공지의 형태에 비해 더욱 작고 컴팩트한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휴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따라서 공지의 형태의 기계보다 큰 생산성을 제공하는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자들이 기계에 접근 시에 서로 방해가 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재료, 고무,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등이 공급될 수 있는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몰드가 수동식 적량 공급 시스템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사출성형 기계 구조물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폐기물을 감소시키고 보다 작은 클램핑력을 요구하는 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몰드용 로봇화된 실리콘화 수단을 열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사출성형 기계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사출성형 기계 구조, 및 공지의 설비 및 기술을 사용하여 값싸게 제조될 수 있는 기계 및 기계 구조용 몰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주입 동작의 제1 단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도면이다.
도 5는 주입 동작의 제2 단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도면이다.
도 6은 주입 동작의 제3 단계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8에 도시된 동일한 상세도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이동 수단의 이동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17은 이동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 구조물의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또 다른 상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계의 측면도이다.

Claims (30)

  1. 대응하는 몰드(14)를 지지하는 몰드 홀더(13, 213)를 구비하며 수직 폐쇄(closure) 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프레스(12)를 지지하는 다리부(1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몰드(14)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 조립체(15, 215)에 의해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형태의, 창(sole),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10, 210)에 있어서,
    상기 몰드(14) 중 적어도 일부의 몰드(14)와 상기 주입 조립체(15, 215) 사이의 상대 운동용 수단(16, 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 조립체(15, 215)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주입을 위해 상기 프레스(12) 위에 배치되어 있는
    사출성형용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12)와 각각의 상기 몰드 홀더(13, 213)는 2개의 평행하고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열(17, 17a, 17b)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열(17, 17a, 17b)는 둘 다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 주입을 위해 상부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 조립체(15, 215)에 의해 서비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입 조립체(15, 215)는 적어도 하나의 주입기(18, 2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12)는 각각 상향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발생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유압 작동기(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홀더(13, 213) 각각의 상부 몰드부 홀더(13a, 213a)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입기(18, 218)의 주입 노즐(21)을 하부에 위치하는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몰드(14) 상에 직접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관통 개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20)는 상기 상부 몰드부 홀더(13a)의 중심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홀더(13) 각각의 하부 몰드부 홀더(13b)는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압 작동기(19)의 스템(22)과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스템(22)은 상기 몰드(14)를 닫을 때 상기 하부 몰드부 홀더(13b) 및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하부 몰드부(14b)를 안내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8.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조립체(215)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주입기(2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홀더(213) 각각은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몰드(14)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하부 몰드부 홀더(213b)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압 작동기(219) 중 2개의 유압 작동기(219)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개의 모듈러 프레임(211a)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러 프레임(211a)은 각각 2개의 프레스(212)를 지지하고, 상기 프레스(212)는 각각 나란히 배치된 한 쌍의 상기 몰드(14)용 상기 몰드 홀더(213) 중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몰드 홀더(213)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압 작동기(219) 중 2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열(17)은 상기 몰드(14)의 실리콘화(siliconization)를 자동화하고 세척하는 수단(8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화 수단(80)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 막대(83) 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판(82)에 지지된 실리콘화 로봇(81)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14) 중 적어도 일부의 몰드(14)와 상기 주입 조립체(15, 215) 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위한 상기 수단(16, 39)은, 상기 가이드(16)와, 상기 가이드(16) 상에서 상기 주입 조립체(15, 215)를 이동시키는 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6)는 횡방향 레일(26)이 주행하는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 부재(23)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주입 조립체(15, 215)는 병진 운동을 수행하도록 상기 횡방향 레일(26) 상에 놓이고, 상기 길이방향 부재(23)는 상기 프레스(12, 212)의 상기 상부 몰드부 홀더(13a, 213a)에 고정된 포스트(24)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30)은 2개의 축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30)은 상기 주입 조립체(15, 215)를 실질적으로 사각형 경로에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30)은 상기 길이방향 부재(23)에 대한 상기 레일(26)의 병진 운동을 위한 제1 수단(31)과, 상기 레일(26)에 대한 상기 주입 조립체(15)의 병진 운동을 위한 제2 수단(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단(32)은 상기 횡방향 레일(26)의 양 단부 사이에서 연장된 벨트(33)와, 상기 주입 조립체(15, 215)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벨트(33)와 결합되기에 적합한 전기 모터(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프레스(12)와, 2개의 평행하고 대칭적인 열을 따라 배치된 대응하는 몰드 홀더(13)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하고 대칭적인 열는 각각 상기 적어도 4개의 프레스(12)의 절반(hal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21. 대응하는 몰드(14)를 지지하는 몰드 홀더(113)가 제공되어 있으며 수직 폐쇄(closure) 운동을 하는 복수개의 프레스(112)를 상호 나란히 지지하는 다리부(111)를 포함하는 형태의,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구조물(110)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112)와 각각의 상기 몰드 홀더(113)는 2개의 평행하고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구조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112)는 각각 상향 클램핑력(clamping force)을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유압 작동기(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구조물.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홀더(113) 각각의 하부 몰드부 홀더(113b)는 대응하는 상기 유압 작동기(119)의 스템(122)과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스템(122)은 상기 몰드(14)를 닫을 때 상기 하부 몰드부 홀더(113b) 및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하부 몰드부(14b)를 안내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구조물.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의 프레스(112)와, 2개의 평행하고 대칭적인 열에 배치된 대응하는 몰드 홀더(13)를 포함하고, 상기 평행하고 대칭적인 열는 각각 상기 적어도 4개의 프레스(112)의 절반(hal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구조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창, 기술적 제품 등을 사출성형하는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14)로서,
    하부 몰드부(14b) 및 상기 하부 몰드부(14b)를 수직으로 폐쇄시키기에 적합한 상부 몰드부(14a)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몰드부(14a) 및 상기 하부 몰드부(14b)는 프레스(12, 212)의 대응하는 상부 몰드부 홀더(13a, 213a)와 하부 몰드부 홀더(13b, 213b)와 연동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는
    사출성형용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1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부(14a)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가진 주입 구멍(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
  26. 제25항에 있어서,
    주입된 성형 재료(50)의 이탈을 방지하기에 적합한 폐쇄(closure) 수단(4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41)은 상기 주입 구멍(40)에서 상기 상부 몰드부(14a)에 일체로 된 일방향 밸브(42)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41)은 상기 상부 몰드부 홀더(13a, 213a) 상에 제공된 길로틴(guillotine) 장치(47)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길로틴 장치(47)는, 상기 상부 몰드부 홀더(13a, 213a)에 고정되고 게이트(49)에 작용 가능하게 연결된 잭(48)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49)는 상기 주입 구멍(40)을 막을 때까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채널(51) 내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
  30.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41)은 상기 상부 몰드부(14a) 내에 통합된 일방향 밸브(42)와, 상기 상부 몰드부 홀더(13a, 213a) 상에 있는 길로틴 장치(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기계 및 기계 구조물용 몰드.
KR1020040014395A 2003-08-07 2004-03-03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기계 구조물 및몰드 KR200500159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0183A ITPD20030183A1 (it) 2003-08-07 2003-08-07 Macchina, struttura di macchina e stampo per stampaggio ad
ITPD2003A000183 2003-08-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962A true KR20050015962A (ko) 2005-02-21

Family

ID=3354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395A KR20050015962A (ko) 2003-08-07 2004-03-03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기계 구조물 및몰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504871B1 (ko)
KR (1) KR20050015962A (ko)
CN (2) CN2902668Y (ko)
AT (1) ATE377498T1 (ko)
BR (1) BRPI0401657A (ko)
DE (1) DE602004009866D1 (ko)
IT (1) ITPD20030183A1 (ko)
TW (1) TWI2712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D20050374A1 (it) * 2005-12-21 2007-06-22 Main Group Spa Macchina ad iniezione verticale perfezionata, per stampaggio di suole, articoli tecnici e simili
CN101607436B (zh) * 2009-07-13 2013-03-27 上海杜尔邦泰富实业有限公司 合成橡胶材料注射机及其注射装置
CN103465435B (zh) * 2013-08-30 2016-03-30 孟轲 注塑机
JP6320821B2 (ja) * 2014-03-27 2018-05-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射出成形機
CN103950213B (zh) * 2014-05-14 2016-04-27 陈洁 一种雨靴悬挂装置
US11845206B2 (en) * 2021-07-06 2023-12-19 CMH Lahore Medical College & IOD Nasal impression assembly and method of measuring/imprinting the nasal i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2607A (en) * 1944-11-06 1948-06-01 Goodrich Co B F Apparatus for molding articles from plastic material
JPS6225028A (ja) * 1985-07-25 1987-02-03 Aisin Seiki Co Ltd 保圧装置を有する射出成形機
JPH07308935A (ja) * 1994-03-23 1995-11-28 Asahi Optical Co Ltd 複合型射出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PD20030183A1 (it) 2005-02-08
EP1504871A2 (en) 2005-02-09
CN1579734A (zh) 2005-02-16
BRPI0401657A (pt) 2005-05-17
ATE377498T1 (de) 2007-11-15
TWI271297B (en) 2007-01-21
EP1504871B1 (en) 2007-11-07
TW200505656A (en) 2005-02-16
DE602004009866D1 (de) 2007-12-20
EP1504871A3 (en) 2005-04-06
CN2902668Y (zh)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7862B1 (ko) 사출성형기,그에사용되는셔틀조립체및,사출성형법
US5731013A (en) Reconfigurable mold having travelling separator assist
KR100921807B1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CN104960155B (zh) 一种包胶模板浮动侧边顶出脱模机构及其包胶模具
KR20050015962A (ko) 창, 기술적 제품 등의 사출성형용 기계, 기계 구조물 및몰드
US4861258A (en) Press and method for molding plastics articles, in particular thermoplastic, thermosetting and polyurethane polymeric articles
US5711971A (en) Reconfigurable mold having traveling ejector system
CN104924527A (zh) 一种热流道双层模具注塑结构注塑模具
KR101329988B1 (ko) 이동식 사출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사출 금형 시스템
WO2007071594A1 (en) Vertical injection machine for molding soles, technical articles and the like
US3723040A (en) Injection-molding machine with transverse feed
KR100874414B1 (ko) 성형 시스템에서의 성형 방법
CN212021460U (zh) 一种用于双色、包胶类滑板式注塑机
KR20080005268U (ko) 사출금형용 핫트런너 밸브의 개폐장치
KR101442116B1 (ko) 수직형 사출성형기의 이젝트장치
EP2024160A1 (en) Machine for molding rubber and plastics
KR20100133794A (ko) 사출성형장치
JP2009039908A (ja) 射出成形装置
CN219235937U (zh) 一种eva双色注射发泡成型机
CN219768919U (zh) 一种新型双色圆周自动换色机构
CN212400211U (zh) 一种用于薄壁产品成型的薄壁多穴模具
CN219360099U (zh) 一种新型无转盘双色自动成型机构
EP0846047B1 (en) Reconfigurable mold having travelling ejector system
KR950009198Y1 (ko) 다색 실리콘 사출성형장치
JPH04323014A (ja) 立て形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