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730A -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730A
KR20050014730A KR1020040060010A KR20040060010A KR20050014730A KR 20050014730 A KR20050014730 A KR 20050014730A KR 1020040060010 A KR1020040060010 A KR 1020040060010A KR 20040060010 A KR20040060010 A KR 20040060010A KR 20050014730 A KR20050014730 A KR 20050014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onnector
liquid crystal
board
printed wiring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010B1 (ko
Inventor
와다야스유끼
와따나베사또루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4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DIP 타입의 수형 커넥터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방부가 개구부(5)인 상자형의 베이스 하우징(3)에 좌우 병렬로 수용된 2개의 핀 콘택트(4)가 베이스 하우징(3)의 후방측벽(6)으로부터 개구부(5)로 연장 돌출되는 접촉핀부(15)와, 후방측벽(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53)을 한 쪽 면(53a)으로부터 관통하여 다른 쪽 면(53b)에 납땜되는 리드부(17, 19)를 갖고, 개구부(5)에 암형 커넥터(2)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수형 커넥터(1)로 베이스 하우징(3)의 하부에 양 리드부(17, 19)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하방으로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53)을 관통하는 하부 격벽(50)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ELECTRIC CONNECTO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의 고전압화에 대응한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어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고성능화를 도모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의 허용 범위 내에서 액정 화면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경향이 있어, 액정 화면의 확대에 수반하여 그 광원이 되는 후방 라이트에는 고전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기판은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조립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액정 화면을 대형화하면 인버터 기판의 실장 면적이 제약되므로 소형화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인버터 기판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인버터 기판과 후방 라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개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이들 커넥터는 모두 양면 기판인 인버터 기판에 이용되므로, 이른바 SMT 타입으로 수형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할 프린트 배선이 있는 면에 실장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06292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3262726호 공보
여기서, 액정 화면, 후방 라이트, 인버터 기판 및 인버터 기판과 함께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기판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가 구성되지만, 액정 화면의 크기에 대한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비용 절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종래 양면 기판이었던 인버터 기판과 한 쪽면 기판이었던 전원 기판을 1매의 한 쪽면 기판에 일체화시켜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를 위해서는, 한 쪽면 기판과 후방 라이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SMT 타입이 아닌, 이른바 DIP 타입, 즉 수형 커넥터가 프린트 배선이 없는 면에 실장되어 핀 콘택트가 기판을 관통하여 반대측의 프린트 배선에 납땜되는 타입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DIP 타입의 커넥터에는 상술한 SMT 타입과 같이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없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의 고성능화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액정 화면의 바로 아래에 보다 다수의 직관형 후방 라이트나 U자형 후방 라이트를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를 위해서는, 인버터 기판에 다수의 수형 커넥터를 좁은 간격으로 실장할 필요가 있고, 보다 소형으로 고전압 나아가서는 열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SMT 타입에서는 소형화 및 고전압 대응에 한도가 있어, 종래의 DIP 타입에도 적절한 것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크게 하여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고전압 대응형의 DIP 타입의 수형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구성에 관한 수형 커넥터는 전방부가 개구부인 상자형의 베이스 하우징에 좌우 병렬로 수용된 2개의 핀 콘택트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후방측벽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연장 돌출되는 접촉핀부와, 상기 후방측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을 한 쪽 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다른 쪽 면에 납땜되는 리드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암형 커넥터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양 리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린트 배선판을 관통하는 하부 격벽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구성에 따르면, 프린트 배선판을 한 쪽 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다른 쪽 면에 납땜되는 양 리드부 사이에 프린트 배선판을 관통하는 하부 격벽이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로서 설치되므로, DIP 타입이면서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있어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DIP 타입 쪽이 SMT 타입보다도 땜납량이 많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큰 동시에, 열 변동에도 강하고, 땜납 균열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도 유리하다.
이 제1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 격벽이 상기 양 리드부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격벽의 하단부가 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 리드부는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하도록 굴곡하여 연장 돌출되고, 그 납땜 부분의 피치가 상기 양 접촉핀부의 피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구성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화면과, 그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후방 라이트와, 그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한 쪽면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의 상기 양 리드부가 상기 한 쪽면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인버터 회로의 출력부에 납땜됨으로써 상기 수형 커넥터가 상기 한 쪽면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양 접촉핀부에 끼워 맞추어진 상기 암형 커넥터의 양 소켓 콘택트가 전선을 거쳐서 상기 후방 라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인버터 기판과 전원 기판을 1매의 한 쪽면 기판에 일체화시키므로, 액정 화면의 크기에 대한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비용 절감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구성에 관한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화면과, 그 액정 화면의광원이 되는 후방 라이트와, 그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전원 기판과, 상기 전원 회로와 함께 상기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인버터 기판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의 상기 양 리드부가 상기 인버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인버터 회로의 출력부에 납땜됨으로써, 상기 수형 커넥터가 상기 인버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접촉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소켓 콘택트가 전선을 거쳐서 상기 후방 라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3 구성에 따르면, 인버터 기판에 다수의 상기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를 좁은 간격으로 실장함으로써 액정 화면의 바로 아래에 다수의 후방 라이트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고성능화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상기 수형 커넥터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3은 상기 수형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
도4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도1에 있어서의 Ⅳ-Ⅳ 단면도.
도5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도1에 있어서의 V-V 단면도.
도6은 상기 수형 커넥터의 핀 콘택트의 사시도.
도7은 상기 수형 커넥터의 핀 콘택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상기 수형 커넥터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
도9는 상기 수형 커넥터에 암형 커넥터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10은 상기 수형 커넥터에 암형 커넥터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평면 단면도.
도11은 상기 수형 커넥터의 배면 단면도.
도12는 상기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의 하부 격벽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단면도.
도13은 상기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의 하부 격벽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14는 상기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의 하부 격벽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15는 상기 수형 커넥터의 하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의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형 커넥터
2 : 암형 커넥터
3 : 베이스 하우징
4 : 핀 콘택트
5 : 개구부
6 : 후방측벽
15 : 접촉핀부
17, 19 : 리드부
19 : 납땜 부분
19a : 리드부의 하단부(납땜 부분의 하단부)
22 : 소켓 콘택트
41 : 액정 화면
42, 72 : 후방 라이트
45 : 전선
50 : 하부 격벽
50a : 하부 격벽의 하단부
53, 63, 73 : 프린트 배선판(한 쪽면 기판, 인버터 기판)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수형 커넥터는, 도1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가 개구부(5)인 상자형(편평한 사각통 형상)의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3)에 핀 콘택트(4)를 수용하고 있고, 개구부(5)에는 도2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암형 커넥터(2)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다. 핀 콘택트(4)는 도3의 평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좌우 병렬로 베이스 하우징(3)에 수용되어 있고, 베이스 하우징(3)의 후방측벽(6)으로부터 개구부(5)로 연장 돌출되는 접촉핀부(15)와, 리드부(17, 19)를 갖고 있다. 리드부(17, 19)는, 도11의 배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벽(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53)을 한 쪽 면(여기서는 상면)(53a)으로부터 관통하여 다른쪽 면(여기서는 하면)(53b)에 납땜된다.
여기서, 베이스 하우징(3)의 하부에 양 리드부의 납땜 부분(19, 19)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하방으로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53)을 관통하는 하부 격벽(50)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 격벽(50)은 양 리드부(17, 19)의 하단부(19a)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부 격벽(50)의 배치 위치는 양 리드부의 납땜 부분(19, 19) 사이의 정확히 중심에 한정되지 않고, 양 납땜 부분(19, 19)을 납땜한 땜납(프린트된 랜드 패턴과 동일 폭임)(51, 51) 사이이면, 좌우 방향에 오프셋하고 있어도 좋다.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격벽(50)의 하단부(50a)는 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어도 좋고,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에의 연장 돌출은 한 측만이라도 좋다. 또한,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격벽(50)은 프린트 배선판(53)(도10)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할 때에 횡방향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두 갈래형로 형성하여 하단부(50a)에 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양 리드부(17, 19)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분(17)에 있어서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하도록 굴곡하여 연장 돌출되고,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땜 부분(19)의 피치가 양 접촉핀부(15)의 피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수형 커넥터(1) 및 이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2)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은, 도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측벽(6)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개구부(5)를 향해 돌출되는 격벽(7)이 설치되어 있고, 격벽(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 콘택트(4, 4) 사이에 배치되어 그 접촉핀부(15, 15)의 선단부(15a, 15a)보다도 길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격벽(7)의 양측면은 베이스 하우징(3)의 중심선(도10의 C 참조)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여기서는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짧은 베이스부 평행면(8, 8)과, 베이스부 평행면(8, 8)에 연속해서 뾰족한 쐐기형을 형성하는 테이퍼면(9, 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부 평행면(8, 8)과 테이퍼면(9, 9)의 비율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예를 들어 선단부(7a)의 최근방만이 테이퍼면(9, 9)이고 나머지부가 모두 베이스부 평행면(8, 8)이라도 좋고, 전체가 테이퍼면(9, 9)이고 베이스부 평행면(8, 8)은 없어도 좋다.
또한, 후방측벽(6)에 인접하는 양측벽(10, 1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암형 커넥터(2)의 계지 돌기 부재(28, 28)(도8)를 결합시키는 계지 홈(11, 11)이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개구부(5)에 인접하는 양측벽(10, 10)의 내측면에는 안내 홈(12, 1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후방측벽(6)에는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격벽(13)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3)에는 중공 부분(두께 제거 부분)(13a)이 있어도 좋다.
핀 콘택트(4, 4)는 구리나 구리 합금(황동 등)의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굽힘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도6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핀부(15)의 후단부에 폭 넓은 부착부(16)가 연장 설치되어 있어, 그 부착부(16)의 후방부에 연속 설치되는 리드부(17, 19)가 서로 반대 방향의 횡외측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중간 부분(17)과, 그 중간 부분(17)의 외측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납땜 부분(19)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양 핀 콘택트(4, 4)는 도3(또는 도1의 Ⅳ-Ⅳ 단면도인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부착부(16, 16)를 후방측벽(6)에 관통 상태로 보유 지지 고정시켜, 접촉핀부(15, 15)가 격벽(7)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3)의중심선과 평행하게 개구부(5)를 향해 돌출되는 동시에,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땜 부분(19, 19)이 서로 횡외측방으로 이반하도록 배치하여 베이스 하우징(3)에 수용되어 있다. 또, 도6에서는, 납땜 부분(19)은 중간 부분(17)의 외측단부로부터 일단 전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된 후 하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어 있지만,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분(17)의 외측단부로부터 그대로 하방으로 굴곡하여 연장해도 좋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3) 내에 수용하여 배치된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핀부(15, 15)는 그 선단부(15a, 15a)가 격벽(7)의 선단부(7a)보다도 후방측벽(6)측으로 후퇴하여 위치하고 있고, 그 결과 양 접촉핀부(15, 15) 사이의 피치를 작게 해도 양 선단부(15a, 15a)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어,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핀 콘택트(4, 4)의 납땜 부분(19, 19) 사이의 피치가 양 접촉핀부(15, 15) 사이의 피치보다도 커져 있으므로, 양 접촉핀부(15, 15) 사이의 피치를 작게 해도 프린트 배선판(53)의 상면(53a)측에 있어서 양 납땜 부분(1) 사이의 공간 거리가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는 데 충분한 길이로 확보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벽(6)에 설치된 격벽(13)의 존재에 의해 프린트 배선판(53)의 상면(53a)측에 있어서 양 납땜 부분(19, 19) 사이의 연면 거리도 충분한 길이로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양 접촉핀부(15, 15) 사이의 피치를 좁게 하여 베이스 하우징(3)을 작게 하고, 수형 커넥터(1) 전체를 소형화해도 프린트 배선판(53)의 상면(53a)측에 있어서 양 핀 콘택트(4, 4)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충분히 길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프린트 배선판(53)의 하면(53b)측에서는 프린트 배선판(53)에 직교하여 양 납땜 부분(19, 19)을 포함하는 면(도11의 지면)에 있어서, 양 납땜 부분(19, 19)을 납땜한 땜납(프린트된 랜드 패턴과 동일 폭임)(51, 51) 사이의 공간 거리(CL)가 문제가 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에 따르면, 프린트 배선판(53)을 상면(5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53b)에 납땜되는 양 리드부(17, 19) 사이에 프린트 배선판(53)을 관통하는 하부 격벽(50)이 베이스 하우징(3)의 하부로서 설치되므로, DIP 타입이면서 상기 양 납땜 부분(19, 19)을 포함하는 면에 있어서 공간 거리(CL)를 확보할 수 있어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에서는 하부 격벽(50)이 양 리드부의 하단부(19a, 19a)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보다 길게 공간 거리(CL)를 확보할 수 있다. 도12와 같이 하부 격벽(50)의 하단부(50a)가 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으면, 더 긴 공간 거리(CL)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에서는 양 리드부의 납땜 부분(19, 19)의 피치가 양 접촉핀부(15, 15)의 피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땜납(51, 51)의 피치(랜드 패턴의 피치)도 커지고, 이에 의해서도 보다 길게 공간 거리(CL)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배선판(53)의 하면(53b)측에서는 그 하면(53b)에 있어서 도15의 하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땜납(51, 51) 사이의 연면 거리(CD)가 문제가 되지만,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에 따르면 하부 격벽(50)이 전후 방향으로도 충분히 연장 돌출되어 있으므로, DIP 타입이면서 프린트 배선판(53)의 하면(53b)에 있어서 연면 거리(CD)를 확보할 수 있어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 수형 커넥터(1)는 DIP 타입이고, 도11과 같이 땜납(51)이 납땜 부분(19)에 따라서 융기하여 부착되어 땜납량이 SMT 타입보다도 많기 때문에, 열 변동이 강하고, 땜납 균열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 유리하기도 하다.
또,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3)의 양측벽(10, 10)의 전단부 하부에는 보강 부재(20, 20)가 매립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20)도 V-V 단면도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도11의 프린트 배선판(53)을 상면(5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53b)에 납땜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도2의 암형 커넥터(2)는 수형 커넥터(1)의 개구부(5)(도1)에 삽입하여 끼워 맞추어지는 소켓 하우징(21)과, 도8의 평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선(45, 45) 단부에 접속되어 소켓 하우징(21)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2개의 소켓 콘택트(22, 22)로 이루어져 있다.
소켓 하우징(21)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 형상이 편평한 직육면체를 이루고, 전반 부분에 수형 커넥터(1)의 격벽(7)(도3)과 결합하는 절결부(23)를 설치하여 한 쌍의 통형 부재(24, 24)로 이루어지는 두 갈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통형 부재(24)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를 개별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비어 있는 부분(25)을 갖고, 그 비어 있는 부분(25)은 소켓 하우징(21)의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전선(45)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22)가 후단부 개구(26)로부터 삽입하여 비어 있는 부분(25)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통형 부재(24)의 전단부에는 핀 콘택트(4)의 접촉핀부(15)(도3)의 삽통 구멍(27)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양 통형 부재(24, 24)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의 내측에 마련한 계지 홈(11, 11)(도3)에 결합하는 계지 돌기 부재(28, 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의 후방부 양측면에는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의 내측에 마련된 안내 홈(12, 12)(도1)에 결합하는 안내 돌조(29, 29)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23)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은 격벽(7)의 양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8의 소켓 콘택트(22)는 전방부에 접촉핀부(15)(도3)에 끼워 맞추는 소켓부(32)를 갖고, 후방부에 전선의 압착부(33)를 갖고 있고, 중간 부위에 빠짐 방지용 랜스(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암형 커넥터(2)가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 단면도를 도9에, 평면 단면도를 도10에 도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도16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 등의 본체 프레임(40)에 조립 부착되는 액정 화면(41)과, 그 액정 화면(41)의 광원이 되는 후방 라이트(여기서는 직관형)(42) 및 그 반사판(44)과, 후방 라이트(4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여기서는 하면)에 갖는 한 쪽면 기판(5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의 양 리드부의 납땜 부분(19)(도11)이 한 쪽면 기판(53)을 상면(5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53b)의 인버터 회로의 출력부에 납땜됨으로써 수형 커넥터(1)가 한 쪽면 기판(53)에 실장되고, 상기 양 접촉핀부(15)(도3)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2)의 양 소켓 콘택트(22)(도8)가 전선(45)을 거쳐서 후방 라이트(4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형 커넥터(1)의 보강 부재(20)(도1)도 한 쪽면 기판(53)을 상면(5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53b)에 납땜된다. 또, 한 쪽면 기판(53)은 프린트 배선이 상면에 오도록, 즉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도1)이 하면측에 오도록 본체 프레임(40)에 부착해도 좋다.
암형 커넥터(2)를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의 개구부(5)(도1)로부터 삽입하면, 절결부(23)의 테이퍼면(31, 31)(도8)이 격벽(7)의 테이퍼면(9, 9)(도3)에 결합하는 동시에, 양측의 안내 돌조(29, 29)(도2)가 안내 홈(12, 12)(도1)에 결합하여 정확한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되고, 수형 커넥터(1)의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핀부(15, 15)(도3)가 삽통 구멍(27, 27)(도8)을 통해 각 통형 부재(24, 24) 내로 진입하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의 소켓부(32, 32)에 끼워 맞추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2)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암형 커넥터(2)의 양 계지 돌기 부재(28, 28)가 수형 커넥터(1)의 계지 홈(11, 11)에 결합하고, 그 결합시에 있어서의 클릭감에 의해 정확한 끼워 맞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접속된수형 커넥터(1)의 핀 콘택트(4, 4)와, 암형 커넥터(2)의 소켓 콘택트(22, 22)는 각각 충분히 긴 공간 거리와 연면 거리를 갖고 있으므로, 도16의 한 쪽면 기판(53)의 전원 회로 및 인버터 회로를 통해 후방 라이트(42)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해도, 단락 사고 등의 장해를 발생시킬 우려는 없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를 이용함으로써 인버터 기판과 전원 기판을 1매의 한 쪽면 기판(53)에 일체화시키므로, 액정 화면(41)의 크기에 대한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소형화 및 액정 표시 장치 전체의 비용 절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도16의 제2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액정 화면(41)의 바로 아래에 복수의 후방 라이트(42)를 배치하기 위해 각 부의 구성이 다르지만, 다른 부분에 대해 도17에 도시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화면(41)(도16)과, 그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복수(여기서는 6개)의 직관형 후방 라이트(42) 및 그 반사판(64)과, 그 후방 라이트(4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전원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전원 회로와 함께 후방 라이트(42)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여기서는 하면)에 갖는 인버터 기판(6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후방 라이트(42)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의 양 리드부의 납땜 부분(19)(도11)이 인버터 기판(63)을 상면(6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63b)의 인버터 회로의 출력부에 납땜됨으로써 수형 커넥터(1)가 인버터 기판(63)에 실장되고, 상기 접촉핀부(15)(도3)의 한 쪽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2)의 한 쪽 소켓 콘택트(22)(도8)가 전선(45)을 거쳐서 후방 라이트(42)의 우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각 후방 라이트(42)의 좌측 단자는 전선(45) 등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다른 기판에 접속되지만, 이쪽은 고전압에 대응할 필요는 없다. 또한, 수형 커넥터(1)의 보강 부재(20)(도1)도 인버터 기판(63)을 상면(6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63b)에 납땜된다. 또, 인버터 기판(63)은 프린트 배선이 상면에 오도록, 즉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도1)이 하면측에 오도록 본체 프레임(40)(도16)에 부착해도 좋다.
암형 커넥터(2)를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의 개구부(5)(도1)로부터 삽입하면, 절결부(23)의 테이퍼면(31, 31)(도8)이 격벽(7)의 테이퍼면(9, 9)(도3)에 결합하는 동시에, 양측의 안내 돌조(29, 29)(도2)가 안내 홈(12, 12)(도1)에 결합하여 정확한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되고, 수형 커넥터(1)의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핀부(15, 15)(도3)가 삽통 구멍(27, 27)(도8)을 통해 각 통형 부재(24, 24) 내에 진입하고, 한편 접촉핀부(15)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의 소켓부(32)에 끼워 맞춤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2)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암형 커넥터(2)의 양 계지 돌기 부재(28, 28)가 수형 커넥터(1)의 계지 홈(11, 11)에 결합하고, 그 결합시에 있어서의 클릭감에 의해 정확한 끼워 맞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접속된 수형 커넥터(1)의 핀 콘택트(4, 4)와, 암형 커넥터(2)의 소켓 콘택트(22)는 각각 충분히 긴 공간 거리와 연면 거리를 갖고 있으므로, 도17의 인버터 기판(63)의 인버터 회로를 통하여 후방 라이트(42)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해도 단락 사고 등의 장해를 발생시킬 우려는 없다. 또한, 인버터 기판(63)에 다수의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를 좁은 간격으로 실장함으로써, 액정 화면(41)(도16)의 바로 아래에 다수의 후방 라이트(42)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고성능화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도 도16의 제2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액정 화면(41)의 바로 아래에 복수의 후방 라이트(72)를 배치하므로 각 부의 구성이 다르지만, 다른 부분에 대해 도18에 도시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화면(41)(도16)과, 그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복수(여기서는 3개)의 U자형 후방 라이트(72) 및 그 반사판(64)과, 그 후방 라이트(7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전원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전원 회로와 함께 후방 라이트(72)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여기서는 하면)에 갖는 인버터 기판(7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후방 라이트(72)에 대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의 양 리드부의 납땜 부분(19)(도11)이 인버터 기판(73)을 상면(7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73b)의 인버터 회로의 출력부에 납땜됨으로써 수형 커넥터(1)가 인버터 기판(73)에 실장되고, 상기 양 접촉핀부(15)(도3)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2)의 양 소켓 콘택트(22)(도8)가 전선(45)을 거쳐서 후방 라이트(7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형 커넥터(1)의 보강 부재(20)(도1)도 인버터 기판(73)을 상면(73a)으로부터 관통하여 하면(73b)에 납땜된다. 또, 인버터 기판(73)은 프린트 배선이 상면에 오도록, 즉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도1)이 하면측에 오도록 본체 프레임(40)(도16)에 부착해도 좋다.
암형 커넥터(2)를 수형 커넥터(1)의 베이스 하우징(3)의 개구부(5)(도1)로부터 삽입하면, 절결부(23)의 테이퍼면(31, 31)(도8)이 격벽(7)의 테이퍼면(9, 9)(도3)에 결합하는 동시에, 양측의 안내 돌조(29, 29)(도2)가 안내 홈(12, 12)(도1)에 결합하여 정확한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되고, 수형 커넥터(1)의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핀부(15, 15)(도3)가 삽통 구멍(27, 27)(도8)을 통하여 각 통형 부재(24, 24) 내에 진입하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의 소켓부(32, 32)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수형 커넥터(1)와 암형 커넥터(2)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암형 커넥터(2)의 양 계지 돌기 부재(28, 28)가 수형 커넥터(1)의 계지 홈(11, 11)에 결합하고, 그 결합시에 있어서의 클릭감에 의해 정확한 끼워 맞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워 맞춤 접속된 수형 커넥터(1)의 핀 콘택트(4, 4)와, 암형 커넥터(2)의 소켓 콘택트(22, 22)는 각각 충분히 긴 공간 거리와 연면 거리를 갖고 있으므로, 도18의 인버터 기판(73)의 인버터 회로를 통하여 후방 라이트(72)에 고전압의 전력을 공급해도 단락 사고 등의 장해를 발생시킬 우려는 없다. 또한, 인버터 기판(73)에 다수의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를 좁은 간격으로 실장함으로써 액정 화면(41)(도16)의 바로 아래에 다수의 후방 라이트(72)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 장치의 고성능화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트 배선판을 한 쪽 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다른 쪽 면에 납땜되는 양 리드부 사이에 프린트 배선판을 관통하는 하부 격벽이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로서 설치되므로, DIP 타입이면서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소형으로 고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DIP 타입 쪽이 SMT 타입보다도 땜납량이 많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큰 동시에, 열 변동에도 강하고, 땜납 균열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전방부가 개구부인 상자형의 베이스 하우징에 좌우 병렬로 수용된 2개의 핀 콘택트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후방측벽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로 연장 돌출되는 접촉핀부와, 상기 후방측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을 한 쪽 면으로부터 관통하여 다른 쪽 면에 납땜되는 리드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암형 커넥터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수형 커넥터이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하부에 상기 양 리드부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린트 배선판을 관통하는 하부 격벽이 설치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이 상기 양 리드부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의 하단부가 횡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리드부는 서로 횡방향으로 이격하도록 굴곡하여 연장 돌출되고, 그 납땜 부분의 피치가 상기 양 접촉핀부의 피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5. 액정 화면과,
    그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후방 라이트와,
    그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한 쪽면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이며,
    제1항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의 상기 양 리드부가 상기 한 쪽면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인버터 회로의 출력부에 납땜됨으로써 상기 수형 커넥터가 상기 한 쪽면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양 접촉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양 소켓 콘택트가 전선을 거쳐서 상기 후방 라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6. 액정 화면과,
    그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후방 라이트와,
    그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전원 기판과,
    상기 전원 회로와 함께 상기 후방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한 쪽면에 갖는 인버터 기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이며,
    제1항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의 상기 양 리드부가 상기 인버터 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인버터 회로의 출력부에 납땜됨으로써 상기 수형 커넥터가 상기 인버터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접촉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상기 암형 커넥터의 소켓 콘택트가 전선을 거쳐서 상기 후방 라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40060010A 2003-07-31 2004-07-30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04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83446 2003-07-31
JP2003283446A JP4331990B2 (ja) 2003-07-31 2003-07-31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730A true KR20050014730A (ko) 2005-02-07
KR101046010B1 KR101046010B1 (ko) 2011-07-01

Family

ID=3426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010A KR101046010B1 (ko) 2003-07-31 2004-07-30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31990B2 (ko)
KR (1) KR101046010B1 (ko)
CN (1) CN100463299C (ko)
TW (1) TWI3680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5733B2 (en) 2006-06-30 2011-03-15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board, on-board connector,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3493B (zh) * 2006-06-30 2011-12-28 夏普株式会社 电源基板、基板连接器、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KR101265372B1 (ko) 2008-05-02 2013-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5632189B2 (ja) * 2010-04-26 2014-11-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67122B2 (ja) * 2012-05-10 2013-12-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40188086A1 (en) * 2012-12-31 2014-07-03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connector
JP2014192035A (ja) * 2013-03-27 2014-10-06 Oki Electric Ind Co Ltd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CN109431462A (zh) * 2018-10-17 2019-03-08 南京沃福曼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增加oct设备爬电距离和电气间隙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948A (en) * 1992-12-14 1993-11-02 Molex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JP3062924B2 (ja) * 1995-10-24 2000-07-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JP3069636B2 (ja) * 1996-10-23 2000-07-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62726B2 (ja) * 1996-12-16 2002-03-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3254188B2 (ja) * 1998-11-30 2002-02-0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JP3227138B2 (ja) * 1999-03-01 2001-11-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高電圧用コネクタ
JP2002164110A (ja) * 2000-11-27 2002-06-07 Jst Mfg Co Ltd 高電圧用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5733B2 (en) 2006-06-30 2011-03-15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board, on-board connector,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039168B1 (ko) * 2006-06-30 2011-06-1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전원 기판, 기판 커넥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31990B2 (ja) 2009-09-16
KR101046010B1 (ko) 2011-07-01
TWI368060B (en) 2012-07-11
JP2005050745A (ja) 2005-02-24
CN100463299C (zh) 2009-02-18
CN1581595A (zh) 2005-02-16
TW200519456A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581B1 (ko) 고전압용 커넥터
US5772452A (en)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KR100659637B1 (ko) 고전압용 커넥터
JP3262726B2 (ja) コネクタ
JP2011146210A (ja) 電気コネクタ
KR101046010B1 (ko) 커넥터 및 그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794082B1 (ko) 고전압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US7300290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623735B2 (ja) コネクタ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KR100580426B1 (ko) 프린트 배선판용 커넥터
JPH11144823A (ja) 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構造
KR20060030488A (ko) 인쇄 회로 기판용 전도체 접속 모듈
KR100810403B1 (ko) 단락 커넥터
JP2007157408A (ja) コネクタ
JP2006012625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0740400B1 (ko) 압전 트랜스 수용 케이스와 상기 수용 케이스에 접속하는전선 접속용 베이스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JP200512316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0257942A (ja) 電気コネクタ
JP2847033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H10173311A (ja) 回路基板
JP2006139528A (ja) シーケンサ用の分岐ユニット
JPH1186976A (ja) 電気コネクタ
JP2000252013A (ja) 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