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599A -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599A
KR20050012599A KR1020030051717A KR20030051717A KR20050012599A KR 20050012599 A KR20050012599 A KR 20050012599A KR 1020030051717 A KR1020030051717 A KR 1020030051717A KR 20030051717 A KR20030051717 A KR 20030051717A KR 20050012599 A KR20050012599 A KR 2005001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hoto
information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규
Original Assignee
한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규 filed Critical 한민규
Priority to KR1020030051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2599A/ko
Publication of KR2005001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59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사진 데이터로 생성하여 소정의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업로드 된 사진 데이터에 대한 사진 인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진 인화와 관련된 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진 인화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와의 세션이 열린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부터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와의 세션을 닫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편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입력한 사진 선택 정보 또는 사진 편집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진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사용자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서 사진 데이터의 인화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A METHOD OF PROVIDING PICTURE PRINTING SERVICE VIA COMMUNICATION NETWORKS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사진 데이터로 생성하여 소정의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업로드 된 사진 데이터에 대한 사진 인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진 인화와 관련된편리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빛을 포착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장 또는 내장형 기록 매체(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에 저장하는 사진 데이터 생성 장치를 일컫는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는 반영구적인 이미지 센서의 사용으로 인해 촬영을 위한 필름이 필요하지 않고, 더불어 필름에 형성된 잠상을 이미지로 형성을 하기 위한 필름 현상 처리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경제적으로 유리하며, 또한, 필름 현상 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약품의 미사용으로 환경 친화적인 전자 제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 디지털 카메라로 캡쳐된 이미지는 디지털 사진 데이터를 시현할 수 있는 이미지 프로그램을 내장한 사용자 PC와 모니터를 통해 간단하게 출력될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 자체에 출력 기능이 있으면 촬영한 즉시 출력하여 볼 수 있다. 여기서, 즉시 출력이란 필름의 현상처럼 특정 전문가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비전문가일지라도 표시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의 편리성 및 출력의 용이성에 반하여, 사진 데이터를 하드 카피로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와 유사한 방식, 즉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를 사진 현상소에 가지고 가서 사진 인화 처리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소량의 사진 데이터를 인화 작업하는 개인 사용자가 비교적 고가에 속하는 사진 인화 프린터를 구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불편을 감수하며 사진 현상소에 사진 인화를 의뢰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진 인화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는 편리하게 하드 카피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실정이다.
이에 대한 개선된 인화 방식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하고, 업로드 된 사진 데이터를 전문 업체에서 인화하여 사용자의 주소지로 배달해주는 서비스가 성업 중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인터넷 등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진 데이터를 서비스 업체로 전송하는 것 만으로 인화 처리를 마무리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서비스는 소정의 사진 데이터의 업로드와 인화, 배달까지의 사진 인화를 위한 사용자 대기 시간이 상당하며, 사진 데이터에 편집 등의 가공 처리를 원하는 경우에는 사진 데이터의 업로드 전에 사용자가 사전에 편집 작업을 완료한 후 업로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는, 서비스 서버 상에서 업로드 된 사진 데이터에 대한 편집 처리가 용이하지 않고, 또한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작에는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서 사진 데이터에 대한 편집 작업과 인화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진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사용자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서 사진 데이터의 인화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서버 접속 요청에 대해 콜-백 URL 확인 응답이나 무선인터넷 콘텐츠 접근번호체계(WINC)에 의한 접속 번호 입력에 의해 무선 인터넷 접속이 수행되어 소정의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인화하고자 하는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가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사진 데이터를 편집에 의한 가공 처리를 수행하여 사진 인화할 수 있는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사진 인화 단말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인화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진 인화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c 및 도 7d는 WINC에 기초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단말기의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 120 : 사진 인화 시스템
125 : 데이터베이스 수단 130 : 사진 인화 단말기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진 인화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와의 세션이 열린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부터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와의 세션을 닫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편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입력한 사진 선택 정보 또는 사진 편집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과의 세션을 오픈 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인화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사진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화하는 단계와,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과의 세션을 닫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상기 소정의 편집 정보는 사진 선택 정보 또는 사진 편집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계정 및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와, 사진 인화 단말기의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사진 인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망 인터페이스부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통신망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단문자 메시지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사진 인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소정의 과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과금 모듈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진 인화 단말기는 소정의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사진 데이터를 인화하도록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 및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과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망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및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진 인화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인화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피사체의 이미지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110)과, 업로드 되는 사진 데이터를 보관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장소의 사진 인화 단말기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진 인화 시스템(120), 및 원격지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인화 요청에 따라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된 사진 데이터를 인화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110)은 디지털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 즉 디지털 카메라(114), 디지털 캠코더(116), 및 이러한 카메라 수단를 내장 또는 외장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112)일 수 있다.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110)은 사용자가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비트맵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휘도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함으로써 사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사진 데이터를 내부의 소정 기록 매체에 저장한다. 또한, 기록 매체의 사진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진 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통신 단말기(112)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114) 또는 디지털 캠코더(116)의 경우에는 사진 데이터의 생성 즉시 소정의 계약 관계에 있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진 인화 시스템(120)은 사진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포함되며, 내부에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125)을 포함하여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110) 또는 사용자의 단말 수단(118)으로부터 전송되는 사진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 수단(125)은 사용자 계정에 따라 사용자 각각에 할당되는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된 사진 데이터와 사용자를 연관하여 사용자에게 할당된 저장 영역에 사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사진 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도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시각 정보, 간단한 메시지 정보(사진 데이터에 명명되는 제목 또는 내용에 관한 정보 포함), 사진 데이터의 분류 정보 등을 포함하여 사진 데이터 관련 서비스(예컨대 사용자의 주제별 전자 앨범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예컨대, 아이디, 전자 메일, 식별 코드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에게 할당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이동 전화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 계정을 할당할 수 있다. 이것은 1 개인-1 이동 전화 번호(1 개인-복수의 이동 전화 번호 포함)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식별 방식으로, 소정 이동 전화 번호의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12)가 분실 등의 사고 사실이 없는 경우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12)를 점유하고 있는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동 전화 번호를 사용자 계정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112)에 의해 생성된 사진 데이터는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전송된 사진 데이터는 사용자의 저장 영역에 대한 추가 어드레싱 없이 이동 전화 번호를 통해 식별되는 사용자의 해당 저장 영역에 자동저장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정 생성에 따른 불필요한 전송 처리의 지연 및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시스템의 추가 증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구현 비용상의 이점도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더불어, 사용자의 단말 수단(118)을 통한 사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도,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식별자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 받을 필요 없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접속을 하는 것 만으로 사용자 인증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저장 영역에의 어드레싱이 가능하게 된다.
사진 인화 단말기(130)는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사진 데이터를 가공 처리하여 하드 카피로 출력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화 처리 장치이다. 사진 인화 단말기(130)는 원격지의 소정 장소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또한, 각 사진 인화 단말기(130)는 고유의 디바이스 식별자(DID: Device ID)로 구분되며, 이 디바이스 식별자(DID)를 통해 사용자는 사진 데이터의 인화 장소, 즉 인화 처리를 하고자 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되는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본 사진 인화 서비스는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업로드하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예컨대 편의점 또는 역 구내 등)에 설치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서 업로드된 사진 데이터를편집 및 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개념의 사진 인화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사진 인화 시스템(200)은, 사용자 계정 및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와,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바이스 식별자(DID) 및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접속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사진 인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와, 인터넷을 통하여 사진 인화 단말기(130)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16)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30)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40)와, 데이터베이스(210,220)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0)와, 사용자를 인증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 소정의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단문자 메시지 서버(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60), 및 사진 인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소정의 과금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제어하기 위한 과금 모듈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는 과금 모듈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시스템 외부의 과금 모듈을 이용하여 소정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우선,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는 사용자 별로 저장 영역을 할당하고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사진 데이터를 기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사용자 고유의 저장 영역이 할당되며 식별된 사용자에 의해 전송되는 사진 데이터를 저장 영역에 기록한다. 또, 사용자의 최초 회원 가입 시에 요구되는 기본 신상 정보가 기록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인증 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기본 신상 정보로는 예컨대, 사용자 이름, 식별 아이디, 이동 통신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저장 영역에서의 사진 데이터의 기록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310)에 의해 생성된 사진 데이터는 소정의 메시지 정보와 함께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0)로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술한 사진 데이터의 제목 정보, 사진 데이터의 메모 정보 이외에 카테고리 정보, 비밀 등급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접속하는 사용자의 이동 전화 번호에 따라 사용자 계정이 생성되며, 사용자 계정 각각으로 소정의 저장 영역이 할당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 계정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 번호일 수 있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폰 E-mail에 포함된 상기 사용자 계정, 제목, 메모, 사진 데이터 등을 추출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0)의 소정의 저장 영역에 각 항목별로 기록될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상기 메시지 정보를 각 항목별로 정리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정보 및 비밀 등급 정보는, 예컨대, 사진 앨범, 사진 다이어리, 사진 일기 등의 다양한 인터넷 포토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비밀 등급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0)에 기록된 사진 데이터에 대한 접속 허용 수준을 지정하여 타인의 불법적인 사진 데이터 열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진 데이터의 상세 설명 및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고, 이동 전화 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계정의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생성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만들지 않고도 이동 통신 단말기(310)를 이용하여 사진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와 관련된 항목 내역 데이터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320)에 각 항목별로 분류하여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사진 인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식별을 위한 디바이스 식별자(DID)와 각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 접속과 연관된 접속 정보를 기록한다. 디바이스 식별자(DID)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부여되는 하나의 식별 코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정보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위치 정보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어드레스(예컨대 해당 사진 인화 단말기의 IP 주소 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디바이스 식별자(DID)가 입력되는 경우, 사진 인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참조하여 입력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DID)에 대응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접속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사진 인화 시스템(200)과 해당 디바이스 식별자(DID)의 사진 인화 단말기(130)가 연결된다. 또한, 접속 정보는 사용자의 사진 인화 요청 즉,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통한 사진 데이터의 인화 요청에 대한 이력을 기록하여 후술되는 과금 처리의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제1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30)는 인터넷 등 유선 통신망을 통한 사진 데이터 및 사진 인화 서비스와 연관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하나 이상의 사진 인화 단말기(113)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즉, 제1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30)는 인터넷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업로드 하는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전송 요청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사진 데이터를 유선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4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와 사진 인화와 연관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2 통신망 인터페이스부(240)는 사진 데이터 이외의 사용자 이동 통신 단말기(120)와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접속 요청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12)와의 접속 방식으로는,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3-7278호에 기재된 콜백 URL을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접속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더불어, 무선인터넷 콘텐츠 접근번호체계(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 WINC)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URL에 대응하는 숫자를 단말기 상에 입력함으로써 소정의 URL로 접속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5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와 사진 인화 단말기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OODBM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접속 요청 시에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진 데이터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콜백 URL을 포함한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자 메시지 서버를 제어하여 접속 요청을 한 사용자에게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무선 연결되도록 한다.
과금 모듈 제어부(270)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통한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의 인화에 따른 서비스 요금을 과금 처리하는 과금 모듈을 제어한다. 이러한, 과금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시스템(200) 내에 위치하여 소정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외부의 과금 모듈(예컨대, 과금 결제 대행 서버)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시스템(200)의 과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과금 모듈 제어부(270)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되는 과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신호가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과금이 수행될 수 있도록,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 연동하여 소정의 과금 수행을 제어한다. 이 때, 사용자의 이동 전화 요금에 포함시켜 과금 처리하는 것과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소정의 금액을 투입하여 실시간으로 과금 처리하는 것 등 다양한 과금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진 인화 단말기(400)는, 소정의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10)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편집 정보에 따라 사진 데이터를 인화하도록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420)와, 인터넷을 통하여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망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10)는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치로서, 사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이미지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 편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입력 장치(예컨대 키보드, 컴퓨터 마우스 등)나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편집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진 데이터의 표시에 있어, 디스플레이 수단의 사진 데이터 배열은 디스플레이부(410)의 화면 분할 제어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8등분, 16등분 등 다양한 화면 구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사진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프린터 제어부(420)는 입력 받은 편집 정보에 따라 가공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포토 용지에 인화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편집 정보는 다수의 사진 데이터 중 사진 인화를 요하는 사진 데이터의 선택, 사진 데이터의 스케일 조정, 사진 데이터의 줌-인/줌-아웃에 의한 일부 영역 출력 등 사진 데이터 출력에 있어서의 사진 선택 정보 또는 사진 편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진 데이터의 사진 인화에 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기술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망 인터페이스부(430)는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진 인화와 연관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디바이스 식별자(DID)에 의해 식별된 사진 인화 단말기(400)로 전송되는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시 버퍼 또는 하드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한다. 저장된 사진 데이터는 소정 기간 동안 사용자의 사진 인화 단말기(400) 접속을 대기하며 사용자 요청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수단에 소정의 표시 방법으로 표시된다. 또, 사용자의 편집 정보를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전송하여 과금에 대한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진 인화 시스템(120) 및 사진 인화 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업로드 한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가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 위치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서 인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 인화의 편리성과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과금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시스템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S510)와,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125)에 유지하는 단계(S520)와,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530)와,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S540)와,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의 세션이 열린 경우, 데이터베이스 수단(125)에 유지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전송하는 단계(S550)와,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부터 소정의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60)와,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부터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570), 및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의 세션을 닫는 단계(S580)를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110)에 의해 생성된 사진 데이터를 수신한다(S510). 사진 데이터는 통상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업로드 되거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110),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폰 메일을 이용하여 소정의 메일에 사진 데이터를 첨부하여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예, 포토 메일 서비스 등).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112)를 이용한 사진 데이터의 업로드는, 상술한 서비스 서버의 IP 주소로 메일 전송을 통한 사진 데이터의 첨부 방식 이외에, 통상의 전화 통화를 위한 키 버튼 입력(소정의 서비스 서버와 대응되는 전화 번호 입력)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접속 방식도 가능하다. 이러한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접속 방식은, 서비스 서버의 접속 주소(예 URL 또는 IP 주소 등)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특정 이동 전화 번호로 발송하고, 수신된 단문자 메시지를 사용자가 확인 클릭함으로써 해당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는 방식으로, 확인 클릭과 함께 사진 데이터의 첨부 여부를 묻는 메뉴를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사진 데이터가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여,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S5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도 5의 사용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a). 사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수단, 즉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폰, 디지털 캠코더, 카메라 등의 촬상 수단을 내장 또는 외장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영상 데이터일 경우 정지 화상 이미지)를 사진 데이터로 변환하여 내장된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기록된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시점에서 서비스 서버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며,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 즉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진 데이터를 업로드 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전송되는 사진 데이터는 이동 통신 단말기(112)와 서비스 서버 사이의 무선 프로토콜에 의한 전송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변환 처리가 수행될 수도 있다.
사진 데이터의 수신 후, 사진 인화 시스템(120)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계정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620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진 인화 시스템(120)에서의 사용자 계정은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전화 번호에 따라 부여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분실 사고 등의 사고 처리에 있지 않은 전화 번호를 통한 사용자의 전송 행위를 정당한 사용자에 의한 사용 행위로 인정한다. 사고 처리 중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의한 사진 데이터의 전송은 사진 데이터의 전송 단계에서 관련 업체에 의해 정지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부여에 있어, 이동 통신 전화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본 실시예에서의 사진 데이터의 전송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에 의한 전송으로 사용자 식별이 용이하며 사진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이동 전화 번호 만으로 사용자 계정의 인지가 가능하여 사용자 계정을 묻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단계(S620a)에서 사용자의 계정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한다(S630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이동 전화 번호이며, 사진 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수신되는 사용자 이동 전화 번호 정보로서 사용자 계정을 형성하고 소정의 사용자 저장 영역과 연관시킨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 6b에서 상술한다.
도 6b는 도 4의 사용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610b). 본 단계(S610b)는 사진 데이터 생성 수단(110)에 의해 생성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 장치(118)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단말 장치는 소정의 프로세서 수단을 구비하여 소정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클라이언트 컴퓨터, 노트북, 인터넷 기능을 탑재한 가전 제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접속 요청은 유선 통신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접속 요청의 수신 후,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식별자(ID) 또는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 처리한다(S620b). 사용자 인증 처리를 위한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에 기록되며,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의 일치를 통해 사용자 인증 처리가 이루어진다.
인증 처리된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사진 데이터를 수신한다(S630b). 수신된 사진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전화 번호에 기초한 사용자 계정을 유무를 판단하며(S640b),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소정의 사용자 저장 영역에 사진데이터를 저장한다(S650b).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전화 번호에 기초한 사용자 계정의 설정을 예시하고 있지만, 사용자 식별 아이디나 전자 메일을 통한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수신되는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 계정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125)에 유지한다(S520). 사진 데이터 수신과 함께 사진 데이터와 연관된 정보도 수신되며,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분류하거나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사진 데이터 전송 요청시 용이하게 사용자가 요구하는 사진 데이터를 찾아 인출함으로써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수단(125)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530). 본 단계(S530)는 사용자가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통한 사진 데이터의 인화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사진 데이터의 사진 인화 시스템(120)의 업로드 후, 불특정 시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접속 요청 작업에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도 5의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 시스템 접속을 위한,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Uniform Resource Locator)를 포함하는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S710a). 이러한 접속 기능을 만족하는 것으로서, 콜백 URL(call-back URL)을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가 있을 수 있으며, 이것은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서버의 URL)를 남겨 통화 버튼(또는 접속 버튼)만 클릭 함으로써 무선 인터넷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 단문자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신한다(S720a). 사용자가 단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를 사용자가 접속 확인(클릭을 통한)함으로써 확인 응답의 수신이 가능해진다.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입력 받는다(S730a). 사용자는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최적의 위치에 있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선정하고, 해당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미리 부여된 디바이스 식별자(DID)를 인지하고 디바이스 식별자에 대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식별자(DID)의 인지는 예컨대, 복수의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자(DID) 리스트를 사전에 사용자에게 배포하여 선정한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바이스 식별자(DID) 조사를 통해 인지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와 물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부착된 해당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바이스 식별자(DID)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인지할 수 있다. 그 외에 GPS 기능 지원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에서 지근에 위치한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바이스 식별자(DID) 정보를 단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제공하거나, 음성 알림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b는 도 5의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작업 흐름도이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인터넷 콘텐츠 접근번호체계(WINC)에 기초하여 선정된 소정의 접속 번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710b). 무선 인터넷 콘텐츠 접근 번호 체계는 기존의 도메인에 소정의 번호를 대응하여 배정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12) 상에 중복 배열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도록 한 입력 체계이다. 즉,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을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문자 입력 대신 번호(숫자)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용이한 접속 환경을 부여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이용 환경의 개선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속을 원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 URL에 해당하는 번호(숫자)를 입력하고, 나열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 URL 중 원하는 사이트를 선택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속이 가능하다. 이 때, 입력하는 번호(숫자)의 자릿수는 2 자리에서 63 자리 이내로서 통상적인 URL의 월드 와이드 웹(www) 및 최상위 도메인(co.kr, com 등)은 입력에서 제외된다.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여 WINC에 기초한 무선 인터넷 접속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c 및 도 7d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및 WINC에 기초한 무선 인터넷 접속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접속하고자 하는 URL이 www.wisegram.co.kr일 경우, www 및 co.kr을 제외한 wisegram에 해당하는 94734726를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한다(도 7c 참조). 접속 번호를 입력하면,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94734726을 접속 번호로 갖는 모든 URL 주소가 표시되는데(예 wisegram.co.kr, yipfiran.com 등), 그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www.wisegram.co.kr에 해당하는 ①번을 클릭 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한다.
접속 번호의 입력에 의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720b). WINC에 의한 접속은 통상적인 URL 입력에 의한 접속과 마찬가지로 무선 인터넷상에 있는 각종 정보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접속 번호에 해당되는 사진 인화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바이스 식별자(DID)를 입력 받는다(S730b). 본 단계(S630b)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것(단계 S730a)과 유사 내지 동일한 것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접속 요청을 수신한 후,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사용자의 정보 및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한다(S540). 여기서 세션이란 통신망 환경에서의 두 지점 간의 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정된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 사진 인화 시스템(120) 간의 연결 채널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식별자(DID)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부여된 유일한 식별자이며, 이 디바이스 식별자(DID)에 의해 사용자가 선정한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디바이스 식별자(DID)에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위치 정보 및 세션 정보 등이 포함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디바이스 식별자(DID)로 특정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사용자의 정보 및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된다.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의 세션이 열린 경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에 유지되는 사진 데이터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전송한다(S550). 전송되는 사진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는 해당 사용자의 모든 사진 데이터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접속 요청 시에 사진 데이터의 전송 범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상응하는 사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한 사진 데이터의 편집 정보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다(S560). 사용자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를 편집/가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편집 정보로서 수신하고, 이것을 사진 인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편집 정보는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에 관한 이력 관리 정보 및 과금 처리에 대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서의 인화 작업 종료되고,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부터 수신한다(S570).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수신한 사진 인화 시스템(120)은, 해당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의 세션을 클로즈하며, 이로서 사진 인화 서비스가 종료된다(S580).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 기 업로드 한 사진 데이터를 특정의 원하는 장소에서 용이하게 인화 작업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도 8을 참조하여 사진 인화 단말기의 인화 작업에 따라 부과되는 과금에 대한 결제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부터 인화 작업에 따른 소정의 과금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10)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 소정의 과금 정보와 시스템 접속을 위한,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820)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 단문자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S830), 및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과금 요청 정보에 대한 과금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840)를 포함한다.
우선,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부터 소정의 과금 기준에 근거한 과금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S810).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서 생성되는 과금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인화 사진 수, 인화 매수, 줌-인/줌-아웃에 따른 가공 처리의 난이도 등 과금을 산정하는 데에 요소가 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과금 정보는 사진 인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기록된다.
수신된 과금 정보와 함께, 시스템 접속을 위한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 전송한다(S820). 여기서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는 상술한 콜-백 URL일 수 있으며, 이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에는 과금 모듈이 있는 과금 결제 서버의 URL을 포함하여 사용자의확인 응답을 통해 과금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를 클릭 함으로써 생성한 확인 응답을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수신한다(S830). 이 경우, 사용자의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의 클릭으로 사진 인화에 관련된 과금 결제를 승인되며, 예컨대, 이동 통신의 통신 요금에 합쳐서 부과되는 방식이나, 소정의 절차에 따른 신용 결제(계좌 이체나 신용 카드 결제 등)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된 과금 확인 정보를 사진 인화 단말기(130)로 전송한다(S840). 이는 과금 결제 완료에 따른 사진 인화 작업의 계속 진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진 인화 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 데이터에 대한 하드 카피 처리를 수행하여 인화된 사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관리자로 하여금, 사용자에게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함으로써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간소한 과금 처리를 통한 사진 인화 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과금 결제 과정의 다른 실시예로서 사진 인화 작업을 수행하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소정의 과금 결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현금이나 신용 카드 등으로 현장에게 직접 결제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단말기의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단말기의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은, 소정의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910)와, 사진 인화 시스템과의 세션을 오픈 하는 단계(S920)와,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930)와, 수신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940)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950)와, 사용자로부터 사진 인화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사진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화하는 단계(S960)와,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970), 및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의 세션을 닫는 단계(S980)를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의 접속 요청 후,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보 및 세션 오픈 요청을 수신한다(S910). 사용자는 사진 인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 사진 인화 단말기(130)를 선정하고, 이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바이스 식별자(DID)를 인지하여 사진 인화 시스템(120)에 입력한다.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DID)는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18) 등 다양한 단말 수단을 통해 입력 가능하다. 디바이스 식별자(DID)를 수신한 사진 인화 시스템(120)은 해당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의 연결을 위한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하게 된다.
세션 오픈 요청에 응답하여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의 세션을 오픈 한다(S920). 본 단계(S820)는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 사진 인화 단말기(130)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논리적 연결 통로의 형성 과정이다.
세션 오픈 후,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한다(S930). 사진 인화 시스템(120)은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수단(125)을 포함하며, 상술의 디바이스 아이디(DID)에 의해 오픈 되어진 세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25)에 기록되는 사진 데이터가 전송된다.
도 10a를 참조하여, 사진 인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a는 사진 인화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수신한다(S1010a).
사진 데이터의 수신 후, 사진 인화 시스템(120)은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112)의 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계정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1020a).
상기 단계(S920a)에서 사용자의 계정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한다(S1030a).
또, 도 10b에 사진 인화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S1010b).
접속 요청의 수신 후,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사용자 식별자(ID) 또는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사용자를 인증 처리한다(S1020b).
인증 처리된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사진 데이터를수신한다(S1030b).
수신된 사진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전화 번호에 기초한 사용자 계정을 유무를 판단하며(S1040b),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소정의 사용자 저장 영역에 사진 데이터를 저장한다(S1050b).
도 10a 및 도 10b는 사진 데이터 수신은 상술한 도 5a 및 도 5b의 사진 데이터 수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사용자의 사진 인화 요청에 따라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940). 사용자는 사진 인화 단말기(130)에 제공되는 사진 인화와 연관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화 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진 데이터는 소정의 이미지 프로그램을 통해 사진 인화 단말기(130)의 디스플레이부(41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수단 상에 다양한 화면 구성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10)에 표시된 사진 데이터를 확인하고, 자신의 기호에 맞는 편집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사진 인화 단말기에 입력한다(S950). 편집 정보에는 기본적인 사진 데이터의 스케일의 줌-인/줌-아웃 처리, 사진 데이터의 일부 인화 등 사진 편집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편집 정보에는, 상술의 사진 편집 정보와 함께 사진 선택 정보가 포함되어 실제 사진 인화하는 사진 데이터 및 인화 매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사진 인화 요청을 입력 받고, 편집 정보에 따라 사진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화 작업한다(S960).
다음으로, 사진 인화 시스템(120)으로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전송한후(S970), 사진 인화 시스템(120)과의 세션을 닫는다(S980).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장소에서 자신이 촬영한 사진 데이터를 인화 작업을 할 수 있는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첨식 전자 상거래 운영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11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1120)과 롬(ROM: ReadOnly Memory)(11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11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11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1120) 및 롬(11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11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11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11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10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1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1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진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사용자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서 사진 데이터의 인화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서버 접속 요청에 대해 콜-백 URL 확인 응답이나 무선인터넷 콘텐츠 접근번호체계(WINC)에 의한 접속 번호 입력에 의해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표시하고자 하는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가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서 표시하고, 표시된 사진 데이터를 편집에 의한 가공 처리를 수행하여 사진 인화할 수 있는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업로드 하는 사진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통신망을 통하여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진 인화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와의 세션이 열린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부터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와의 세션을 닫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편집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입력한 사진 선택 정보 또는 사진 편집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 또는 메시지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사용자 식별자(ID)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 또는 메시지 정보를 전송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정보는 상기 사진 데이터의 제목 정보, 상기 사진 데이터의 카테고리 정보, 및 비밀 등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진 데이터와 함께 전송 받은 상기 메시지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목 정보, 상기 카테고리 정보, 상기 비밀 등급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수단의 선정된(predetermined) 저장 영역에 분류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시스템 접속을 위한,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문자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무선인터넷 콘텐츠 접근번호체계(WINC)에 기초하여 선정된 소정의 접속 번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 번호의 입력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는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에 부여된 유일한 식별자이고,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로 특정되는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의 정보 및 상기 세션 오픈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과금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과금 정보와 시스템 접속을 위한, 접속 범용 리소스 로케이터를 포함하는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문자 메시지에 대한 확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로 상기 과금 요청 정보에 대한 과금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9. 통신망을 통하여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보 및 소정의 세션 오픈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과의 세션을 오픈하는 단계;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편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인화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사진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화하는 단계;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사진 인화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과의 세션을 닫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상기 소정의 편집 정보는 사진 선택 정보 또는 사진 편집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기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의 사용자 식별자(ID)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진 인화 요청을 입력 받고, 상기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사진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화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진 인화 요청에 대응하여 소정의 과금 확인 정보를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과금 확인 정보에 따라 상기 사진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통신망을 통하여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계정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사진 인화 단말기의 디바이스 식별자 및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의 접속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사진 인화 단말기 정보 데이터베이스;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사진 인화 단말기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통신망 인터페이스부;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통신망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단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단문자 메시지 서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사진 인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소정의 과금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과금 모듈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통신망을 통하여 사진 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진 인화 단말기에 있어서,
    소정의 사진 인화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편집 정보에 따라 상기 사진 데이터를 인화하도록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 및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과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망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진 인화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인화 단말기.
KR1020030051717A 2003-07-26 2003-07-26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20050012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17A KR20050012599A (ko) 2003-07-26 2003-07-26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717A KR20050012599A (ko) 2003-07-26 2003-07-26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599A true KR20050012599A (ko) 2005-02-02

Family

ID=3722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717A KR20050012599A (ko) 2003-07-26 2003-07-26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25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36B1 (ko) * 2006-09-29 2007-04-18 정용주 데이터출력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서비스 시스템
US9066057B2 (en) 2006-10-11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ing file according to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936B1 (ko) * 2006-09-29 2007-04-18 정용주 데이터출력물 자동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서비스 시스템
US9066057B2 (en) 2006-10-11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ing file according to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4802B2 (en) Unifie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devices and their clouds
US9209975B2 (en) Secure access of electronic documents and data from client terminal
JP200236641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ビスプロバイダ(asp)の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EP1298522A2 (en) Print control method, print control program, and print control apparatus
JP2003044509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ビスプロバイダ(asp)処理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261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Messag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Portable Terminals
JP7205697B2 (ja) 通信端末、共用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1194903A (ja) 編集画像印刷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2032611A (ja) 手続管理システム
JP2013004047A (ja) サーバ、企業間情報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93370B2 (ja) 機器使用システム、機器、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
EP2144178A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with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5235035A (ja) サーバ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287497B2 (ja) 応答処理システム
JP2003333181A (ja)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スケジュール管理サービス処理方法
JP2005010944A (ja) 印刷課金管理システム、印刷課金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50012599A (ko) 통신망을 이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JP7338214B2 (ja) 通信端末、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626684B (zh) 智能税务处理方法、装置、终端和介质
KR20020074236A (ko) 원클릭 접속 아이콘의 이메일 발송을 통한 인터넷폰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47319B1 (ko) 세대기를 이용한 메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244964A (ja) 情報供給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8065501A (ja) サービス利用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利用制御装置、およびサービス利用制御プログラム
JP2002077862A (ja) デジタル画像通信システム
JP7322480B2 (ja) 通信端末、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