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666A -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 Google Patents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666A
KR20050011666A KR1020040017369A KR20040017369A KR20050011666A KR 20050011666 A KR20050011666 A KR 20050011666A KR 1020040017369 A KR1020040017369 A KR 1020040017369A KR 20040017369 A KR20040017369 A KR 20040017369A KR 20050011666 A KR20050011666 A KR 20050011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vable member
terminal
switch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마루다카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11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가동단자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우징(11)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탄지된 가동부재(41)를 하우징(11)내로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41)를 압입위치로 로크함과 동시에 스위치가 오프하고, 압입위치의 가동부재(41)를 하우징(11)내로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41)가 돌출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스위치가 온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L)에 있어서, 스위치를, 가동부재(41)에 부착되며 가동부재(41)의 대향하는 2측면으로에서 양단부가 돌출하는 핀(81)과, 하우징(11)내에 고정되며 가동부재(41)가 돌출위치인 경우 핀(81)의 양단부가 접촉해서 도통상태가 되고, 가동부재(41)가 압입위치인 경우 핀(81)의 양단부가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가 되는 1쌍의 고정단자(31)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LATCH WITH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라디오 카셋트의 도어 등의 개폐부재를 눌러서 닫고, 이 닫은 개폐부재를 다시 한 번 눌러서 열기 위해서, 본체 등의 피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래치에 스위치를 설치한,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의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는,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탄지부재에 의해서 탄지되어 있는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하우징내에 압입함으로써 푸시·푸시식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압입위치로 로크함과 동시에 스위치가 온하고, 압입위치의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내에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돌출위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스위치가 오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있어서의 스위치는, 하우징에 고정된 고정단자와, 이 고정단자에 대해서 접촉/분리됨과 아울러, 고정단자에 대해서 슬라이드접촉하는 브러시형상의 탄성을 가진 가동단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가동단자는, 금속박판에 절단가공, 굽힘가공을 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고가(코스트가 높아짐)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가 고가가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7-14062호(단락〔0007〕∼단락〔0020〕, 도 6∼ 도 9)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동단자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게 하여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에 의한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좌측면도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저면도
도 14는 도 12의 C-C선 단면도
도 15는 도 2에 나타낸 가이드 레버의 평면도
도 16은 하우징내에 고정단자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평면도
도 26은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정면도
도 27은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28은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29는 도 27의 D-D선 단면도
도 30은 도 27의 E-E선 단면도
도 31은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평면도
도 32는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정면도
도 33은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우측면도
도 34는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좌측면도
도 35는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저면도
도 36은 도 34의 F-F선 단면도
도 37은 도 24에 나타낸 가이드 레버의 평면도
도 38은 하우징내에 고정단자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4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4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4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 -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11- 하우징
11A - 하우징 12 - 상자부
12f - 정면벽 12b - 이면벽
12u - 천정벽 12d - 저벽
121 - 좌측면벽 13 - 탄성 끼움편
14A - 제 1 캠돌조 14B - 제 2 캠돌조
15 - 가이드 장공 15a - 가이드홈
16 - 걸림편 16a - 걸림돌기
17 - 단자 가이드홈 17a - 걸어맞춤부
17b - 오목부 18 - 삽입구멍
19 - 스프링 받침 20 - 가이드 레버 부착부
21 - 삽입구멍 22A - 오목부
22B - 오목부 23 - 탄성 압압편
24 - 테두리부 31 - 고정단자
31A - 고정단자 32 - 접속부
32a - 관통구멍 33 - 평판부
33A - 평판부 33a - 걸어맞춤구멍
33b - 단자구멍(잘림부) 33c - 걸어맞춤 단자구멍(잘림부)
33d - 접촉부 34 - 걸어맞춤부
34a - 걸어맞춤 오목부 41 - 가동부재
41A - 가동부재 42 - 본체
43 - 전벽부 44 - 가이드 돌기
44A - 가이드 걸림돌기 45 - 사각기둥부
46 - 원형구멍 48 - 관통구멍
49 - 안내돌기 50 - 평판부
51 - 제 1 하트캠 51a - 제 1 캠오목부
52 - 제 1 캠돌부 53 - 제 2 하트캠
53a - 제 2 캠오목부 54 - 끼움편
55 - 힌지부 71 - 코일 스프링(탄지부재)
71 - 가이드 레버 72 - 축부
73 - 제 1 암부 73a - 제 1 트레이스부
74 - 제 2 암부 74a - 제 2 트레이스부
81 - 핀(가동단자) S - 스트라이커
본 발명은,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탄지부재에 의해서 탄지되어 있는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내로 압입함으로써 푸시·푸시식의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압입위치로 로크함과 동시에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하며, 압입위치의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내에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돌출위치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스위치가 오프 또는 온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있어서, 스위치를, 가동부재에 부착되며 가동부재의 2측면에서 양단부가 돌출하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가동단자와, 하우징내에 고정되며 가동부재가 돌출위치인 경우 가동단자의 양단부가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 또는 접촉하여 도통상태가 되고, 가동부재가 압입위치인 경우 가동단자의 양단부가 접촉하여 도통상태 또는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가 되는 1쌍의 고정단자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가동부재의 2측면을 대향하는 2측면으로 함과 아울러, 가동단자를 가동부재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하거나, 가동단자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거나, 가동단자를, 1쌍의 고정단자의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게 하여 하우징의 개구부측에서부터 고정단자의 잘림부내로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단자를, 1쌍의 고정단자의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게 하여 하우징의 개구부측에서부터 고정단자의 잘림부내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 하우징의 개구부측의 내측에, 1쌍의 고정단자의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가동단자를 저렴하게 제조한다는 목적을 핀을 이용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L은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나타내며, 일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하우징(11)과, 이 하우징(11)내에 고정되는 1쌍의 고정단자(31)와, 하우징(11)내로 삽입되는 가동부재(41)와, 이 가동부재(41)와 하우징(11)의 사이에 장전되며, 가동부재(41)를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61)과, 하우징(11)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버(71)와, 가동부재(41)에 부착되며 가동부재(41)가 하우징(1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저지함과 동시에 고정단자(31)에 대해서 접촉/분리되는, 단면형상이 원형을 한 가동단자로서의 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5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B-B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후의 설명의 상하좌우 및 전후는, 각 부재의 정면도에 있어서의 상하좌우 및 전후로 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11)은, 일단(우측면:우측면벽)이 개구부가 되도록, 정면벽(12f), 이면벽(12b), 천정벽(12u), 저벽(12d), 좌측면벽(121)으로 이루어지는 상자부(12)와, 이 상자부(12)의 우측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자부(12)의 상하로 돌출하고, 상자부(12)보다 전후로 폭이 넓은 우측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의 테두리부(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자부(12)에는, 정면벽(12f) 및 이면벽(12b)의 테두리부(24)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측에서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 연장되며 테두리부(24)와 함께 피부착부재를 끼워서 지지하는 탄성 끼움편(13)이 각각 형성되고, 정면벽(12f)의 내면의 좌측면벽(121)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으로부터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 수평하게, 가동부재(41)의 평판부(50)가 끼워져 이동할 수 있는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제 2 캠돌조(14A,14B)가 형성되고, 천정벽(12u) 및 저벽(12d)의 이면벽(12b)측 근처이며 좌측면벽(121)측 근처에, 일단{테두리부(24)}측에서 좌측면벽(121)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걸림편(16)의 내측은, 일단{테두리부(24)}측에서 좌측면벽(121)측에 기울어지면서 상자부(12)내로 약간 돌출하여 고정단자(31)의 걸어맞춤구멍(33a)에 걸어맞춤되는 걸림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자부(12)에는, 천정벽(12u)의 좌측면벽(121)에 연속되는 내면의 단에서부터 테두리부(24)의 우측 상측면의 상단, 및, 저벽(12d)의 좌측면벽(121)에 연속되는 내면의 단에서부터 테두리부(24)의 우측 하측면의 하단에 이르는 걸림편(16)의 연장상에, 고정단자(31)를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안내하는,고정단자(31)의 두께를 깊이로 하는 단자 가이드홈(17)이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고, 좌측면벽(121)의 내면의 천정벽(12u) 및 저벽(12d) 근처이며 걸림편(16)의 연장상에, 고정단자(31)의 접속부(32)를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삽입할 수 있는, 단자 가이드홈(17)에 연속되는 삽입구멍(18)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면벽(121)의 내면의, 2개의 걸림편(16)의 중간에, 코일 스프링(61)을 위치결정하는 스프링 받침(19)이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 천정벽(12u) 및 저벽(12d)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단자 가이드홈(17)의 테두리부(24)의 우측면 부분에는, 고정단자(31)의 걸어맞춤 오목부(34a)에 걸어맞춰져서 각 고정단자(31)의 우측단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17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자 가이드홈(17)의, 하우징(11)의 개구부측의 내측에, 고정단자(31)의 하우징(11)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핀(81)을 통과시키는 오목부(17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부(12)에는, 가이드 레버(71)를 부착하는 가이드 레버 부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버 부착부(20)는, 가이드 레버(71)를 삽입하기 위해서 좌측면벽(121)에 형성된 삽입구멍(21)과, 이 삽입구멍(21)에 연이어 통하고, 제 1, 제 2 캠돌조(14A,14B)의 좌측면벽(121)측이고, 정면벽(12f)에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레버(71)의 축부(72)를 회동가능하게 위치결정하는 오목부(22A,22B)와, 이 오목부(22A,22B)내로 가이드 레버(71)의 축부(72)를 회동가능하게 압압하는 탄성 압압편(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31은 도전성을 가진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해서 형성한 고정단자를 나타내며, 하우징(11)내로부터 하우징(11) 밖으로 일부가 돌출하는 접속부(32)와, 이 접속부(32)에, 양측으로 비어져 나온 직사각형이며 동일 평면형상으로 우측으로 연속되며, 하우징(11)의 단자 가이드홈(17)내에 위치되는 평판부(33)와, 이 평판부(33)에, 절곡되어서 우측으로 연속되며, 하우징(11)의 개구부측 부분에 위치하는 단자 가이드홈(17) 부분에 위치되는 걸어맞춤부(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32)에는 도선을 끼워서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32a)이 형성되며, 평판부(33)에는, 하우징(11)의 걸림돌기(16a)가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져서 빠짐방지기능을 가지는 걸어맞춤부로서의 직사각형상을 한 걸어맞춤구멍(33a)과, 핀(81)이 가장자리에 접촉/분리되는 잘림부로서의 단자구멍(33b)이 형성되며, 또한 걸어맞춤부(34)에는, 걸어맞춤부(17a)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오목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구멍(33b)은,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우측에 정상부를 둥글게 한 이등변삼각형이 연속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구멍(33b)의 직사각형의 우측변의 길이는, 이등변삼각형의 저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좌측면도,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저면도, 14는 도 12의 C-C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41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가동부재를 나타내며, 하우징(11)내로 삽입되는 본체(42)와, 이 본체(42)의 정면의 우측단 및 이면의 우측단에 힌지부(55)를 통해서 대향시켜서 연이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트라이커(S)를 끼워서 지지하거나, 끼워서 지지한 스트라이커(S)를 개방하는 2개의 끼움편(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42)는, 우측단에 위치하며, 2개의 끼움편(54)이 연이어 형성된 우측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의 전벽부(43)와, 이 전벽부(43)의 좌측면의 앞쪽 상측에 연이어 형성되며, 이면측의 좌측모퉁이가 직선형상으로 잘라져 경사면(캠면)으로 된, 전벽부(43)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가이드 돌기(44)와, 전벽부(43)의 좌측 이면측 절반에, 전벽부(43)의 상하와 단차를 형성하여 좌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사각기둥부(45)와, 전벽부(43)의 좌측 정면측 절반이며, 사각기둥부(45)의 높이방향의 중간에 위치하게 하고, 전벽부(43)와 사각기둥부(45)에 좌측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된 평판부(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기둥부(45)에는, 좌측면에, 우측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61)을 수용하는 원형구멍(46)이 형성되고, 단자 가이드홈(17)과 대향하는 우측단부분에, 상하로 관통하고, 핀(8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관통되는, 예를 들면, 단면 원형의 관통구멍(48)이 형성되고, 좌측단의 상하이며, 이면측 근처의 모퉁이에, 전벽부(43)의 상단과 동일 높이까지 연장되는 안내돌기(49)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평판부(50)에는, 상면에, 제 1 캠오목부(51a)를 가지는 제 1하트캠(51)과, 가이드 레버(71)의 제 1 트레이스부(73a)를 가이드하는 제 1 캠돌부(52)가 연이어 형성되며, 하면에, 제 2 캠오목부(53a)를 가지는 제 2 하트캠(53)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캠돌조(14A), 제 2 캠돌조(14B), 가이드 돌기(44)의 경사면(캠면), 제 1 하트캠(51), 제 1 캠돌부(52), 제 2 하트캠(53)은, 제 1 트레이스부(73a)와 제 2 트레이스부(74a)의 간격이 변하면, 가이드 레버(71)의 축부(72)에 되돌림력 또는 굽힘력을 발생시키고, 이 되돌림력 또는 굽힘력에 의해서 제 1 트레이스부(73a) 또는 제 2 트레이스부(74a)에 순환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기구는, 제 1 캠돌조(14A), 제 2 캠돌조(14B), 가이드 돌기(44)의 경사면(캠면), 제 1 하트캠(51), 제 1 캠돌부(52), 제 2 하트캠(53), 코일 스프링(61) 및 가이드 레버(7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5는 도 2에 나타낸 가이드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2 또는 도 15에 있어서, 71은 가이드 레버를 나타내고, 상하로 연장되는 축부(72)의 상하에 제 1, 제 2 암부(73,74)가 수평하고 평행하게 연속되도록 금속봉을 정면에서 봤을 때 ㄷ자형상으로 구부리고, 제 1, 제 2 암부(73,74)의 개방된 선단부분끼리를 각각 내측으로 가동부재(41)의 평판부(50)를 관통시킬 수 있 간격으로 구부려서 제 1, 제 2 트레이스부(73a,74a)로 한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81은 가동단자로서의 핀을 나타내며, 단면 원형의 도전성을 가진 금속봉에 도전성의 도금을 한 것으로, 길이가 평행하는 단자가이드홈(17)의 바닥간의 간격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도 16은 하우징내에 고정단자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S는 도어등의 개폐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를 나타낸다.
이어서, 조립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걸어맞춤부(34)를 하우징(11)의 걸어맞춤부(17a)에 대응시켜서, 접속부(32)측에서부터 단자 가이드홈(17)을 따라서 하우징(11)내에 고정단자(31)를 삽입하면, 접속부(32) 및 평판부(33)의 좌측이 걸림편(16)에 걸려서 걸림돌기(16a)를 누름으로써, 걸림편(16)은 외측으로 휘어져, 접속부(32)를 삽입구멍(18)내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부(33)의 좌측단이 좌측면벽(121)의 내면에 맞닿으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32)의 대부분은 하우징(11)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고, 걸림편(16)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해서 걸림돌기(16a)가 평판부(33)의 걸어맞춤구멍(33a)내로 돌입하여 걸어맞춤구멍(33a)의 가장자리와 걸어맞춤된다.
이 때,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가이드홈(17)의 우측단에 걸어맞춤부(34)가 끼워맞춤됨과 아울러, 걸어맞춤부(17a)가 걸어맞춤 오목부(34a)에 걸어맞춤되기 때문에, 고정단자(31)는 단자 가이드홈(17)내에 이동이 저지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1쌍(2개)의 고정단자(31)를 하우징(11)내에 고정하면, 고정단자(31)는 상하로, 평행하게 대향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코일 스프링(61)의 일단을 가동부재(41)의 원형구멍(46)내에 삽입함과 아울러, 관통구멍(48)내로 핀(81)을 끼워서 통과시킨 후, 코일 스프링(61)의 타단을 하우징(11)의 스프링 받침(19)에 대응시킴과 아울러, 핀(81)의 양단을 1쌍의 고정단자(31)의 단자구멍(33b)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가동부재(41)를 안내돌기(49)측에서부터 하우징(11)내로 삽입하면, 스프링 받침(19)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1)의 안으로 진입하여 코일 스프링(61)이 신축시에 구부러져 쓰러지지 않도록 가이드하고, 각 고정단자(31)의 하우징(11)의 개구부측 부분이 핀(81)의 양단에 의해서 눌려 외측으로 휘어져서, 오목부(17b)내로 후퇴하기 때문에, 핀(81)이 고정단자(31)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핀(81)의 우측단이 단자구멍(33b)에 도달하면, 각 고정단자(31)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핀(81)의 양단은, 단자구멍(33b)의 우측단, 즉, 이등변삼각형의 둥근 정상부와 대향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부재(41)를 하우징(11)에 삽입하면, 평판부(50)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돌조(14A)와 제 2 캠돌조(14B)의 사이에 진입하여, 상하가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부재(41)의 하우징(11)내로의 압입력을 해제하면,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동부재(41)가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탄지됨으로써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81)의 양단이 단자구멍(33b)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춤되어 하우징(11)으로부터 가동부재(41)가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위치(돌출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스위치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도통)상태가 된다.
이어서, 가이드 레버(71)의 제 1, 제 2 트레이스부(73a,74a)측을 하우징(11)의 좌측면벽(121)측을 향하게 하고, 가동부재(41)의 평판부(50)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제 1 트레이스부(73a)를 상측으로 하는 동시에, 제 2 트레이스부(74a)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트레이스부(73a,74a)측에서 하우징(11)의 삽입구멍(21)내로 압입하면, 축부(72)가 탄성 압압편(23)을 눌러 넓힘으로써 축부(72)를 오목부(22A,22B)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72)가 오목부(22A,22B)내에 삽입되면, 탄성 압압편(23)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오목부(22A)와 오목부(22B) 사이의 축부(72)를 제 1, 제 2 캠돌조(14A,14B)측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가이드 레버(71)를 빠져나오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 레버(71)는 오목부(22A,22B)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부착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자부(12)의 좌측면벽(121)측을 피부착부재, 예를 들면, 라디오 카셋트의 도어의 회동단에 대응시켜서 본체에 형성한 브래킷의 부착구멍에 대응시키고,스위치를 가지는 래치(L)를 좌측면벽(121)측으로부터 부착구멍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압입하면,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각 탄성지지편(13)이 눌림으로써 내측으로 휘어지므로, 상자부(12)를 부착구멍내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24)가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면, 각 탄성지지편(13)이 브래킷의 안측에 돌출하고,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각 탄성지지편(13)이 브래킷의 이면측 부착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어맞춤된다.
따라서,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L)는, 탄성지지편(13)과 테두리부(24)에 의해서 브래킷을 끼워서 지지한 상태로 브래킷에 부착된다.
이어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조립된 상태, 즉, 가동부재(41)가 돌출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1)의 탄지력에 의해서 탄지된 가동부재(41)를 통과한 핀(81)의 양단이 각 고정단자(31)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는 온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동부재(41)의 전벽부(43)가 스트라이커(S)에 눌리고, 코일 스프링(6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가동부재(41)가 하우징(11)내로 압입되면, 각 끼움편(54)이 테두리부(24)에 눌려, 힌지부(55)에 의해서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끼움편(54)은 스트라이커(S)를 빠져나오지 않도록 끼워서 지지한다.
그리고, 가동부재(41)가 하우징(11)내로 압입되면, 가이드 레버(71)의 각 트레이스부(73a,74a)는, 도 18에 있어서의 각 하트캠(51,53)의 하측을 트레이스하도록 요동하고,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41)가 하우징(11)의 최심부까지 압입된다.
이 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41)를 하우징(11)내로 압입하는 힘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가동부재(41)가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따라서, 제 2 트레이스부(74a)가 제 2 하트캠(53)의 선단의 캠면에 의해서 유도되는 복원력에 의해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트레이스부(73a,74a)가 대응하는 각 캠오목부(51a,53a)와 대향하여 걸어맞춤됨으로써,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41)를 압입위치에 로크시킨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부터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가동부재(41)가 하우징(11)내로 압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핀(81)의 양단은 고정단자(31)에 접촉하지 않고 단자구멍(33b)내를 이동한다.
따라서,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41)가 압입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핀(81)의 양단은 각 고정단자(31)와 비접촉상태가 되어, 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된다.
이 로크기구가 로크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41)를 하우징(11)내로 코일 스프링(6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다시 압입하면, 각 트레이스부(73a,74a)는, 도 20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44)의 경사면(캠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된다.
따라서, 로크기구의 언로크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41)를 하우징(11)내로 압입하는 힘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가동부재(41)가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가동부재(41)는, 도 17,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돌출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가동부재(41)가 돌출위치로 복귀하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81)의 양단이 코일 스프링(61)에 탄지된 가동부재(41)를 통해서 각 고정단자(31)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스위치를, 가동부재(41)에 부착되며 가동부재(41)의 대향하는 2측면에서 양단부가 돌출하는 핀(81)과, 하우징(11)내에 고정되며 가동부재(41)가 돌출위치인 경우 핀(81)의 양단부가 접촉하여 도통상태가 되고, 가동부재(41)가 압입위치인 경우 핀(81)의 양단부가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가 되는 1쌍의 고정단자(31)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핀(81)은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항시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이 탄지된 상태로 고정단자(31)에 접촉하기 때문에, 핀(81)과 고정단자(31)의 접촉불량이 잘 발생하지 않아, 스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핀(81)을 가동부재(41)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1쌍의 고정단자(31)와 접촉하는 핀(81)의 부분이 변화함으로써 스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핀(81)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였기 때문에, 고정단자(31)와 핀(81)의 접촉상태를 안정시켜, 스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하우징(11)의 개구부측의 내측에, 1쌍의 고정단자(31)의 하우징(11)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에 휘어지게 하는 오목부(17b)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하우징(11)을 변형시키지 않고 핀(81)을 끼워 넣을 수 있다.
(실시예 2)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L은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나타내며, 일측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하우징(11A)과, 이 하우징(11A)내에 고정되는 1쌍의 고정단자(31A)와, 하우징(11A)내로 삽입되는 가동부재(41A)와, 이 가동부재(41A)와 하우징(11A)의 사이에 장전되며 가동부재(41A)를 하우징(11A)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61)과, 하우징(11A)내에 부착되는 가이드 레버(71)와, 가동부재(41A)에 부착되며 고정단자(31A)에 대해서 접촉/분리되는, 단면형상이 원형을 한 가동단자로서의 핀(8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평면도, 도 26은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정면도, 도 27은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28은 도 24에 나타낸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29는 도 27의 D-D선에 의한 단면도, 도 30은 도 27의 E-E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11A)은, 일단(우측면:우측면벽)이 개구부가 되도록, 정면벽(12f), 이면벽(12b), 천정벽(12u), 저벽(12d), 좌측면벽(121)으로 이루어지는 상자부(12)와, 이 상자부(12)의 우측에 연이어 형성되며, 상자부(12)의 상하로 돌출하고, 상자부(12)보다 전후로 폭이 넓은 우측면에서봤을 때 직사각형상의 테두리부(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자부(12)에는, 정면벽(12f) 및 이면벽(12b)의 테두리부(24)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측으로부터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 연장되며, 테두리부(24)와 함께 피부착부재를 끼워서 지지하는 탄성 끼움편(13)이 각각 형성되고, 정면벽(12f)의 내면의 좌측면벽(121)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으로부터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 수평하게, 가동부재(41A)의 평판부(50)가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제 2 캠돌조(14A,14B)가 형성되고, 천정벽(12u)의 정면벽(12f)측 근처이며 일단{테두리부(24)}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측으로부터 테두리부(24)까지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가이드 장공(15)이 형성되고, 천정벽(12u) 및 저벽(12d)의 이면벽(12b)측 근처이며 좌측면벽(121) 측 근처에,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부터 좌측면벽(121)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부(24)의 천정의 내측에는, 가이드 장공(15)에 연속되며 테두리부(24)의 우측단에 도달하는 가이드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림편(16)의 내측은,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부터 좌측면벽(121)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상자부(12)내로 약간 돌출하여, 고정단자(31A)의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에 걸어맞춤되는 걸림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부(12)에는, 천정벽(12u)의 좌측면벽(121)에 연속되는 내면의 단에서부터 테두리부(24)의 우측 상측면의 상단, 및, 저벽(12d)의 좌측면벽(121)에 연속되는 내면의 단에서부터 테두리부(24)의 우측 하측면의 하단에 이르는걸림편(16)의 연장상에, 고정단자(31A)를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안내하는, 고정단자(31A)의 두께를 높이로 하는 단자 가이드홈(17)이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고, 좌측면벽(121)의 내면의 천정벽(12u) 및 저벽(12d) 근처이며, 걸림편(16)의 연장상에, 고정단자(31A)의 접속부(32)를 덜거덕거리지 않도록 삽입할 수 있는, 단자 가이드홈(17)에 연속되는 삽입구멍(18)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면벽(121)의 내면의 2개의 걸림편(16)의 중간에, 코일 스프링(61)을 위치결정하는 스프링 받침(19)이 일단{테두리부(24)}측으로 천정벽(12u) 및 저벽(12d)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 가이드홈(17)의 테두리부(24)의 우측면부분에는, 고정단자(31A)의 걸어맞춤 오목부(34a)에 걸어맞춰져서 각 고정단자(31A)의 우측단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걸어맞춤부(17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자 가이드홈(17)의, 하우징(11A)의 개구부측의 내측에, 고정단자(31A)의 하우징(11A)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핀(81)을 통과시키는 오목부(17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부(12)에는, 가이드 레버(71)를 부착하는 가이드 레버 부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버 부착부(20)는, 가이드 레버(71)를 삽입하기 위해서 좌측면벽(121)에 형성된 삽입구멍(21)과, 이 삽입구멍(21)에 연이어 통하고, 제 1, 제 2 캠돌조(14A,14B)의 좌측면벽(121)측이며, 정면벽(12f)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레버(71)의 축부(72)를 회동가능하게 위치결정하는 오목부(22A,22B)와, 이 오목부(22A,22B)내에 가이드 레버(71)의 축부(72)를 회동가능하게 압압하는탄성 압압편(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4에 있어서, 31A는 도전성을 가진 금속평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한 고정단자를 나타내며, 하우징(11A)내에서 하우징(11A)밖으로 일부가 돌출하는 접속부(32)와, 이 접속부(32)에, 양측으로 비어져 나온 직사각형이며 동일 평면형상으로 우측으로 연속되며 하우징(11A)의 단자 가이드홈(17)내에 위치되는 평판부(33A)와, 이 평판부(33A)에 절곡되어서 우측으로 연속되며 하우징(11A)의 개구부측 부분에 위치하는 단자 가이드홈(17)부분에 위치되는 걸어맞춤부(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32)에는 도선을 끼워넣어서 접속하기 위한 관통구멍(32a)이 형성되고, 평판부(33A)에는, 하우징(11A)의 걸림돌기(16a)가 가장자리에 의해서 걸어맞춤되어서 빠짐방지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핀(81)이 접촉/분리되는 잘림부로서의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이 형성되고, 또 걸어맞춤부(34)에는 걸어맞춤부(17a)가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은 가로로 긴 직사각형구멍이다.
그리고, 평판부(33A)에는, 통과하는 핀(81)에 접촉/분리되는, 탄성을 가진 접촉부(33d)가 전후로 대향하여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으로 돌출하도록,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평판부(33A)와 동일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31은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평면도, 도 32는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정면도, 도 33은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우측면도, 도 34는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좌측면도, 도 35는 도 24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저면도, 도 36은 도 34의 F-F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41A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가동부재를 나타내며, 하우징(11A)내로 삽입되는 본체(42)와, 이 본체(42)의 정면의 우측단 및 이면의 우측단에 힌지부(55)를 통해서 대향시켜서 연이어 형성되며, 스트라이커(S)를 끼워서 지지하거나, 끼워서 지지한 스트라이커(S)를 개방하는 2개의 끼움편(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42)는, 우측단에 위치하며, 2개의 끼움편(54)이 연이어 형성된 우측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의 전벽부(43)와, 이 전벽부(43)의 좌측면의 앞쪽 상측에 연이어 형성되며, 하우징(11A)의 가이드 장공(15) 및 가이드홈(15a)에 대응시켜서 상면이 좌측으로 하강하는 경사면이 됨과 아울러, 이면측의 좌측 모퉁이가 직선형상으로 잘려서 경사면(캠면)으로 된, 전벽부(43)의 상단보다 약간 높은 가이드 걸림돌기(44A)와, 전벽부(43)의 좌측 이면측 절반에, 전벽부(43)의 상하와 단차를 두고 좌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사각기둥부(45)와, 전벽부(43)의 좌측 정면측 절반에, 사각기둥부(45)의 높이방향의 중간에 위치하게 하고, 전벽부(43)와 사각기둥부(45)에 좌측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된 평판부(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각기둥부(45)에는, 좌측면에, 우측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61)을 수용하는 원형구멍(46)이 형성되고, 단자 가이드홈(17)과 대향하는 우측단부분에, 상하로 관통하여, 핀(8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통과되는, 예를 들면, 단면 원형의 관통구멍(48)이 형성되고, 좌측단의 상하이며, 이면측 근처의 모퉁이에, 전벽부(43)의 높이와 동일 높이까지 연장되는 안내돌기(49)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평판부(50)에는, 상면에, 제 1 캠오목부(51a)를 가지는 제 1하트캠(51)과, 가이드 레버(71)의 제 1 트레이스부(73a)를 가이드하는 제 1 캠돌부(52)가 연이어 형성되며, 하면에, 제 2 캠오목부(53a)를 가지는 제 2 하트캠(53)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캠돌조(14A), 제 2 캠돌조(14B), 가이드 걸림돌기(44A)의 경사면(캠면), 제 1 하트캠(51), 제 1 캠돌부(52), 제 2 하트캠(53)은, 제 1 트레이스부(73a)와 제 2 트레이스부(74a)의 간격이 변하면, 가이드 레버(71)의 축부(72)에 되돌림력 또는 굽힘력을 발생시키고, 이 되돌림력 또는 굽힘력에 의해서 제 1 트레이스부(73a) 또는 제 2 트레이스부(74a)에 순환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기구는, 제 1 캠돌조(14A), 제 2 캠돌조(14B), 가이드 걸림돌기(44A)의 경사면(캠면), 제 1 하트캠(51), 제 1 캠돌부(52), 제 2 하트캠(53), 코일 스프링(61) 및 가이드 레버(71)로 구성되어 있다.
도 37은 도 24에 나타낸 가이드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 24 또는 도 37에 있어서, 부호 71은 가이드 레버를 나타내며, 상하로 연장되는 축부(72)의 상하에 제 1, 제 2 암부(73,74)가 수평하고 평행하게 연속되도록 금속봉을 정면에서 봤을 때 ㄷ자형상으로 절곡하고, 제 1, 제 2 암부(73,74)의 개방된 선단부분끼리를 각각 내측으로 가동부재(41A)의 평판부(50)를 끼워넣을 수 있는 간격으로 절곡해서 제 1, 제 2 트레이스부(73a,74a)로 한 것이다.
도 24에 있어서, 부호 81은 가동단자로서의 핀을 나타내며, 단면 원형의 도전성을 가진 금속봉에 도전성 도금을 한 것으로, 길이가 평행하는 단자가이드홈(17)의 바닥간의 간격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도 38은 하우징내에 고정단자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에 상당하는 설명도, 도 41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2 및 도 43에 있어서, S는 도어등의 개폐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를 나타낸다.
이어서, 조립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걸어맞춤부(34)를 하우징(11A)의 걸어맞춤부(17a)에 대응시키고, 접속부(32)측에서부터 단자 가이드홈(17)을 따르게 하여 하우징(11A)내에 고정단자(31A)를 삽입하면, 접속부(32) 및 평판부(33A)의 좌측이 걸림편(16)에 걸려서 걸림돌기(16a)를 누름으로써 걸림편(16)은 외측으로 휘어져, 접속부(32)를 삽입구멍(18)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부(33A)의 좌측단이 좌측면벽(121)의 내면에 맞닿으면,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32)의 대부분은 하우징(11A)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고, 걸림편(16)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해서 걸림돌기(16a)가 평판부(33A)의 걸어맞춤 단자구멍(33c)내로 돌입하여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걸어맞춤된다.
이 때,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가이드홈(17)의 우측단에 걸어맞춤부(34)가 끼워맞춤과 아울러, 걸어맞춤부(17a)가 걸어맞춤 오목부(34a)에 걸어맞춤되기 때문에, 고정단자(31A)는 단자 가이드홈(17)내에 이동이 저지되어 하우징(11A)내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1쌍(2개)의 고정단자(31A)를 하우징(11A)내에 고정하면, 고정단자(31A)는 상하로, 평행하게 대향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코일 스프링(61)의 일단을 가동부재(41A)의 원형구멍(46)내에 삽입함과 아울러, 관통구멍(48)내로 핀(81)을 끼워서 통과시킨 후, 코일 스프링(61)의 타단을 하우징(11A)의 스프링 받침(19)에 대응시키고, 가동부재(41A)의 가이드 걸림돌기(44A)를 하우징(11A)의 가이드 장공(15) 및 가이드홈(15a)에 대응시키는 동시에, 핀(81)의 양단을 1쌍의 고정단자(31A)의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가동부재(41A)를 안내돌기(49)측에서부터 하우징(11A)내로 삽입하면, 스프링 받침(19)은,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1)의 안으로 진입하여, 코일 스프링(61)이 신축시에 구부러져 쓰러지지 않도록 가이드 하며, 각 고정단자(31A)의 하우징(11A)의 개구부측 부분이 핀(81)의 양단에 눌려서 외측으로 휘어져, 오목부(17b)내로 후퇴하기 때문에, 핀(81)이 고정단자(31A)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가이드 걸림돌기(44A)는 사면에 의해서 테두리부(24)를 밀어 올림으로써, 본체(42)를 하우징(11A)내로 밀어넣을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걸림돌기(44A)의 우측단이 테두리부(24)를 타고 넘어 가이드 장공(15)과 대향하면, 테두리부(24)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가이드 걸림돌기(44A)는 가이드 장공(15)의 우측가장자리{테두리부(24)의좌측단}에 대향한다.
또 핀(81)의 우측단이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에 도달하면, 각 고정단자(31A)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핀(81)의 양단은 걸어맞춤 단자구멍(33c)의 우측단과 대향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가동부재(41A)를 하우징(11A)에 삽입하면, 평판부(50)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돌조(14A)와 제 2 캠돌조(14B)의 사이에 진입하여 상하가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부재(41A)의 하우징(11A)내로의 압입력을 해제하면, 하우징(11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동부재(41A)가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탄지됨으로써,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이드 걸림돌기(44A)가 가이드 장공(15)의 우측 가장자리{테두리부(24)의 좌측단}에 충돌하여 하우징(11A)으로부터 가동부재(41A)가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위치(돌출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가동부재(41A)가 돌출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81)의 양단이 평판부(33A) 및 접촉부(33d)와 비접촉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치는, 오프(비도통)상태가 된다.
이어서, 가이드 레버(71)의 제 1, 제 2 트레이스부(73a,74a)측을 하우징(11A)의 좌측면벽(121)측을 향해서, 가동부재(41A)의 평판부(50)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제 1 트레이스부(73a)를 상측으로 함과 아울러, 제 2 트레이스부(74a)를 하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트레이스부(73a,74a)측에서 하우징(11A)의 삽입구멍(21)내로 압입하면, 축부(72)가 탄성 압압편(23)을 눌러 넓힘으로써축부(72)를 오목부(22A,22B)내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72)가 오목부(22A,22B)내에 삽입되면, 탄성 압압편(23)은,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오목부(22A)와 오목부(22B)간의 축부(72)를 제 1, 제 2 캠돌조(14A,14B)측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가이드 레버(71)를 빠져나오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 레버(71)는 오목부(22A,22B)내에 회동가능하게 되고, 조립이 완료된다.
이 제 2 실시예의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L)의 부착은, 제 1 실시예의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L)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39 및 도 40과 같이 조립된 상태, 즉, 가동부재(41A)가 돌출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1)의 탄지력에 의해서 탄지된 가동부재(41A)를 통한 핀(81)의 양단이 각 고정단자(31A)와 비접촉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치는 오프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동부재(41A)의 전벽부(43)가 스트라이커(S)에 의해서 눌리고, 코일 스프링(6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가동부재(41A)가 하우징(11A)내로 압입되면, 각 끼움편(54)이 테두리부(24)에 눌리고, 힌지부(55)에 의해서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끼움편(54)은 스트라이커(S)를 빠져나오지 않도록 끼워서 지지한다.
그리고, 가동부재(41A)가 하우징(11A)내로 압입되면, 가이드 레버(71)의 각 트레이스부(73a,74a)는, 도 40에 있어서의 각 하트캠(51,53)의 하측을 트레이스하도록 요동하고,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41A)가 하우징(11A)의 최심부까지 압입된다.
이 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41A)를 하우징(11A)내로 압입하는 힘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가동부재(41A)가 하우징(11A)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따라서, 제 2 트레이스부(74a)가 제 2 하트캠(53)의 선단의 캠면으로 유도되는 복원력에 의해서,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트레이스부(73a,74a)가 대응하는 각 캠오목부(51a,53a)와 대향하여 걸어맞춤됨으로써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고, 가동부재(41A)를 압입위치로 로크시킨다.
또, 도 4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도 43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가동부재(41A)가 하우징(11A)내로 압입되는 과정에 있어서, 핀(81)의 양단은,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접촉부(33d)와 접촉한 후,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단자(31A) 및 양 접촉부(33d)와 접촉하지 않게 되지만,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접촉부(33d)와 다시 한 번 접촉하고 그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43 및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41A)가 압입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핀(81)의 양단은 양 접촉부(33d)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가 온상태가 된다.
이 로크기구가 로크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41A)를 하우징(11A)내로 코일 스프링(6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다시 한 번 압입하면, 각 트레이스부(73a,74a)는, 도 42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걸림돌기(44A)의 경사면(캠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된다.
따라서, 로크기구의 언로크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41A)를 하우징(11A)내로 압입하는 힘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61)에 의해서 가동부재(41A)가 하우징(11A)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가동부재(41A)는, 도 39,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돌출위치로 복귀한다.
또, 가동부재(41A)가 돌출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 있어서, 핀(81)의 양단은, 상술한 설명과 반대의 과정을 거쳐서 고정단자(31A) 및 양 접촉부(33d)와 접촉/분리되고,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81)의 양단이 각 고정단자(31A)에 비접촉이 되어 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부재(41A)가 돌출위치인 경우 스위치가 오프가 되고, 가동부재(41A)가 압입위치인 경우 스위치가 온이 되는 구성이지만,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1쌍의 고정단자를 가동부재의 대향하는 2측면에 대응시킨 하우징내에 배치하고, 가동단자의 양단부를 가동부재의 대향하는 2측면에 돌출시키며, 가동단자가 가동부재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가동단자를 대략 직각으로 구부린 형상으로 하여 몰드성형함으로써, 가동단자의 양단부를 가동부재의 인접하는 2측면에서 돌출시키고, 가동부재의 인접하는 2측면에 대응시켜서 1쌍의 고정단자를 하우징내에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가동단자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가동단자의 단면형상은 원형이외라도 좋다.
또한, 하우징의 개구부측의 내측에, 1쌍의 고정단자의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하우징 및 고정단자를 그 탄성을 이용함으로써 가동부재 및 가동단자를 하우징내에 편성할 수 있으면, 상술한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라디오 카셋트에 부착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개폐도어를 가지는 다른 기기, 압입위치와 돌출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체를 가지는 기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를, 가동부재에 부착되며 가동부재의 2측면으로부터 양단부가 돌출하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가동단자와, 하우징내에 고정되며 가동부재가 돌출위치인 경우 가동단자의 양단부가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 또는 접촉하여 도통상태가 되고, 가동부재가 압입위치인 경우 가동단자의 양단부가 접촉해서 도통상태 또는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가 되는 1쌍의 고정단자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가동단자는 탄지부재에 의해서 항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이 탄지된 상태에서 고정단자에 접촉하기 때문에, 가동단자와 고정단자의 접촉불량이 잘 발생하지 않아, 스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재의 2측면을 대향하는 2측면으로 함과 아울러, 가동단자를가동부재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1쌍의 고정단자와 접촉하는 가동단자의 부분이 변함으로써 스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가동단자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였기 때문에, 고정단자와 가동단자와의 접촉상태를 안정시켜, 스위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가동단자를, 1쌍의 고정단자의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게 하여 하우징의 개구부측에서부터 고정단자의 잘림부내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단자를, 1쌍의 고정단자의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하우징의 개구부측에서부터 고정단자의 잘림부내로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 하우징의 개구부측의 내측에, 1쌍의 고정단자의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을 변형시키는 일 없이 가동단자를 끼워 넣을 수 있다.

Claims (6)

  1.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탄지부재에 의해서 탄지되어 있는 가동부재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하우징내로 압입함으로써, 푸시·푸시식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압입위치에 로크하는 동시에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하고, 상기 압입위치의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하우징내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돌출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상기 스위치가 오프 또는 온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상기 가동부재에 부착되며 상기 가동부재의 2측면으로부터 양단부가 돌출하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가동단자와, 상기 하우징내에 고정되며 상기 가동부재가 돌출위치인 경우 상기 가동단자의 양단부가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 또는 접촉하여 도통상태가 되고, 상기 가동부재가 압입위치인 경우 상기 가동단자의 양단부가 접촉하여 도통상태 또는 비접촉이 되어 비도통상태가 되는 1쌍의 고정단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2측면이 대향하는 2측면이고,
    상기 가동단자가 상기 가동부재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의 단면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를, 상기 1쌍의 고정단자의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여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측에서부터 상기 고정단자의 잘림부내로 끼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측의 내측에, 상기 1쌍의 고정단자의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측 부분을 외측으로 휘어지게 할 수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1020040017369A 2003-07-23 2004-03-15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20050011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8224A JP2005042428A (ja) 2003-07-23 2003-07-23 スイッチ付ラッチ
JPJP-P-2003-00278224 2003-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666A true KR20050011666A (ko) 2005-01-29

Family

ID=3407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369A KR20050011666A (ko) 2003-07-23 2004-03-15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42428A (ko)
KR (1) KR20050011666A (ko)
TW (1) TWI264496B (ko)
WO (1) WO2005008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57B1 (ko) 2005-12-05 2007-12-04 (주)카마다코리아 푸시락 스위치
KR100747222B1 (ko) * 2005-12-08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택트 스위치
JP5216626B2 (ja) 2009-02-19 2013-06-19 株式会社ニフコ スイッチ装置
WO2019115288A1 (en) * 2017-12-12 2019-06-20 Cebi Italy S.P.A. Lock for vehicle lid
CN108049130B (zh) * 2018-01-30 2020-09-15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可自动开盖的波轮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073Y2 (ja) * 1989-01-20 1995-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蓋体のロツク装置
JPH0714062U (ja) * 1993-08-06 1995-03-10 株式会社テーケィアール スイッチ付きロック及び解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08005A1 (ja) 2005-01-27
JP2005042428A (ja) 2005-02-17
TWI264496B (en) 2006-10-21
TW200504274A (en) 200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2167A (en) Push-button switch
JP3775338B2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280144B2 (ja) スイッチ付ラッチ
EP1174955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9185973A (ja) 表面接点付カード用コネクタ
US8017883B2 (en) Switch
JP4167091B2 (ja) スイッチ付ラッチ
KR20050011666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EP2889886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093380B1 (ko) 스위치 장치
US6433291B1 (en) Switch device
KR20090018309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890005142Y1 (ko) 로크식 푸시 버튼 스위치
CN114388288B (zh) 开关连接器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JP2567068Y2 (ja) 配線器具スイッチの取付枠への取付構造
KR19990023781A (ko) 푸쉬 스위치 장치
JPH0129953Y2 (ko)
JPS6144350Y2 (ko)
JPH02935Y2 (ko)
JPS597493Y2 (ja) ドア−キヤツチヤ−
TWM641212U (zh) 電連接器之定位結構
JP3021565U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910005408Y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H03247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