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380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380B1
KR101093380B1 KR1020100004838A KR20100004838A KR101093380B1 KR 101093380 B1 KR101093380 B1 KR 101093380B1 KR 1020100004838 A KR1020100004838 A KR 1020100004838A KR 20100004838 A KR20100004838 A KR 20100004838A KR 101093380 B1 KR101093380 B1 KR 10109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movable
state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936A (ko
Inventor
슈이치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9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얻는다.
(해결수단) 스트라이커(88)가 래치(9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터미널 베이스(14)의 고정단자(54)에 스프링 터미널(70)의 가동단자(74)가 접촉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는 온(ON)상태이다. 이때, 가동단자(74)는 외측에 향해 절곡되어 있고, 판 스프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단자(74)의 선단부에는 반구형상의 접점부(74A)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접점부(74A)가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접점부(74A)가 접점부(54A)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동단자(74)에는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따라서, 단순히 가동단자(74)와 고정단자(54)를 접촉시킬 뿐인 경우와 비교해서, 가동단자(74)와 고정단자(54)의 접촉력이 향상되므로, 가동단자(74)와 고정단자(54)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컵 홀더나 재떨이 등의 차량 내부의 액세서리나 오디오기기 등에는 스위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스위치를 구비한 래치가 개시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돌출위치에 위치하는 가동부재를 하우징 내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가 압입위치에 로크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마이크로 스위치가 오프되고, 압입위치의 가동부재를 다시 하우징 내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 로크기구의 로크상태가 해제되어 가동부재가 돌출위치로 복귀함과 아울러,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된다.
이 스위치를 구비하는 래치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가동부재에 부착된 핀과,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가동부재가 돌출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핀의 양단부에 접촉해서 통전(通電)상태가 되며, 가동부재가 압입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핀의 양단부에 비(非) 접촉해서 비(非) 통전상태가 되는 1쌍의 고정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단자에는 단자 구멍이 형성되며, 이 단자 구멍 내에 핀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부재가 돌출위치에 도달하면, 단자 구멍의 단부에 핀이 접촉해서 통전상태가 되는데, 단자 구멍의 폭은 핀의 외경 치수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단자 구멍의 단부는 핀의 외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1쌍의 고정단자의 위치가 어긋나면, 단자 구멍의 내연부가 핀에 접촉하지 않을 경우가 우려된다.
특허문헌1:일본국특허공개2005-42428호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해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에 형성되며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춰지는 래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에 탄지력이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이동부재가 하우징에 로크된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하우징 내로 압입되면 이동부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가동단자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로크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에 접촉되어 통전상태가 되고, 이동부재의 로크해제 상태에서 가동단자에 비 접촉되어 비 통전상태가 되는 고정단자;를 구비하고, 적어도 가동단자 또는 고정단자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가 접촉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서는, 하우징으로부터 이동부재가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이동부재에는 스트라이커에 걸어맞춰지는 래치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동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탄지수단에 탄지력이 축적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대해서 이동부재를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이동부재가 하우징에 로크된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하우징 내로 압입되면 이동부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동부재에는 가동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단자와 상기 가동단자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이동부재의 로크상태에서는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접촉되어 통전상태가 되고, 이동부재의 로크해제 상태에서는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대해서 비 접촉되어 비 통전상태가 된다.
이때, 적어도 가동단자 또는 고정단자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에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가 접촉된다. 이것에 의해, 단순히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접촉시킬 뿐인 경우에 비교해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의 접촉력이 향상된다. 즉,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확실하게 접촉(통전)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에 형성되며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춰지는 래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에 탄지력이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이동부재가 하우징에 로크된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하우징 내로 압입되면 이동부재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가동단자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로크해제 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에 접촉되어 통전상태가 되고, 이동부재의 로크상태에서 가동단자에 비 접촉되어 비 통전상태가 되는 고정단자;를 구비하고, 적어도 가동단자 또는 고정단자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가 접촉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서는, 이동부재의 로크해제 상태에서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접촉해서 통전상태가 되고, 이동부재의 로크상태에서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대해서 비 접촉되어 비 통전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도 제 2 특징에 기재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제 1 특징 또는 제 2 특징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이동부재의 이동량을 상기 래치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캠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서는, 래치부재가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캠 수단에 의해 이동부재의 이동량을 래치부재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제 1 특징 내지 제 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서는, 하우징에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고정부재를 하우징에 대해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제 4 특징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로 진입해서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걸리는 돌기부;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5 특징에서는, 하우징에 개구를 형성하고, 고정부재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 고정부재를 삽입해서 돌기부가 개구로 진입하면, 돌기부가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고 고정부재가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하면,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돌기부가 노출되기 때문에, 고정부재가 하우징에 확실하게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특징은, 제 1 특징 내지 제 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이; 상기 이동부재에 형성된 순환 캠 홈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순환 캠 홈을 따라 순환하고, 순환 캠 홈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로크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서는, 로크수단이, 이동부재에 형성된 순환 캠 홈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부재가 순환 캠 홈을 따라 순환하고, 가이드부재가 순환 캠 홈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로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7 특징은, 제 1 특징 1 내지 제 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순환 캠 홈과; 상기 이동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순환 캠 홈을 따라 순환하고, 순환 캠 홈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를 로크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서는, 하우징에 순환 캠 홈이 형성되고, 이동부재에 가이드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부재가 순환 캠 홈을 따라 순환하고, 가이드부재가 순환 캠 홈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린 상태에서 이동부재가 로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8 특징은, 제 1 특징 내지 제 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가 상기 고정부재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8 특징에서는, 고정단자를 고정부재에 인서트 성형하는 것에 의해, 고정단자를 고정부재에 장착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동단자와 고정단자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횡 단면도로서, 스위치 장치에 스트라이커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만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종 단면도로서, 스위치 장치에 스트라이커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종 단면도로서, 스위치 장치에 스트라이커가 걸리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종 단면도로서, 스위치 장치에 스트라이커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횡 단면도로서, 스위치 장치에 스트라이커가 걸린 상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만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종 단면도로서, 스위치 장치에서 스트라이커를 무리하게 잡아당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0)에는 하우징(12)이 구비되어 있고, 이 하우징(12) 내에 터미널 베이스(14) 및 슬라이더(16) 등이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
우선, 하우징(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0)에는 각통형을 이루는 하우징(12)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상측의 화살표는 하우징(12)의 상측을 나타내고, 하측의 화살표는 하우징(12)의 하측을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12)의 길이방향 일단측(도 1의 우측)에는, 하우징(12)의 측벽(12A)에서 돌출되는 플랜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18)는 하우징(12)의 하벽(12B)측에 형성된 경사부(20)와, 이 경사부(20)와 이어지고 하우징(12)의 측벽(12A)과 평행하게 형성된 직선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직선부(22)의 근방에는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24) 내에는 직선부(22)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편(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 2는 스위치 장치(10)의 횡 단면도이다), 상기 걸림편(26)은 선단측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플랜지(18)와의 사이에, 프레임(11)에 형성된 부착구멍(11A)의 가장자리부를 끼우는 것에 의해, 하우징(12)을 프레임(11)에 설치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측벽(12A)에서 플랜지(18)의 직선부(22)가 외측으로 돌출된 만큼, 직선부(22)의 내벽 사이의 거리가 경사부(20)의 내벽 사이의 거리보다 넓고, 하우징(12)의 일단측에 있어서, 하우징(12) 상벽(12C)측의 개구(28)가 하벽(12B)측의 개구(30)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6)를 하우징(12) 내에 수용시킬 때, 슬라이더(16)가 상하방향으로 거꾸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일단측 측벽(12A)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삼각형을 이루는 캠 경사면(32, 캠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12)의 타단측(도 1의 좌측) 상벽(12C) 및 하벽(12B)에는 하우징(12)의 폭방향을 따라 사각형 구멍(36)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2) 내에는, 사각형 구멍(36)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일단측을 향한 가장자리부 근방에 스토퍼(38)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8)는 직사각형을 이루는 목부(40)와 몸통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목부(40)에 있어서의 하우징(12)의 일단측을 향한 면의 상단부에는 걸어맞춤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고, 대략 U자형을 이루는 레버(46)(도 1 참조)의 기부(46A)를 걸어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터미널 베이스(14)의 연장편(48)(도 1 참조)과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사이에 레버(46)의 기부(46A)가 유지된다(도 4 참조 ; 도 4는 스위치 장치의 종 단면도이다). 이것에 의해, 레버(46)가 기부(46A)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몸통부(42)에 있어서의 하우징(12)의 일단측을 향한 면의 중앙부에는,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막대형상의 장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50)에 코일 스프링(52)(도 1 참조)이 장착된다. 또한 목부(40)의 양 측벽에는, 하우징(12)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 후, 하우징(12) 상벽으로 연장되는 아암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토퍼(38)의 목부(40)의 상면과 하우징(12)의 상벽(12C)의 사이, 및 몸통부(42)와 하우징(12)의 측벽(12A)의 사이에는 각각 간격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터미널 베이스(14)의 연장편(48) 및 고정단자(54)가 각각의 간격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터미널 베이스〉
이어서, 터미널 베이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미널 베이스(14)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하우징(12)의 길이방향 타단측(도 1의 좌측)에서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12) 내에는 스토퍼(3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38)에 의해 터미널 베이스(14)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때, 터미널 베이스(14)의 일단면은 하우징(12)의 개구에 위치하고, 일단면의 중앙부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1쌍의 긴 판형상의 도전성(導電性) 고정단자(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단자(56)는 예를 들면, LED의 점등장치 등과 접속되어 있다.
또, 터미널 베이스(14)의 타단면의 하부 양단부에는 고정단자(56)와 접속된 긴 판형상의 도전성 고정단자(54)가 각각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인서트성형에 의해서 고정단자(56)와 함께 수지제 터미널 베이스(1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단자(54, 56)를 터미널 베이스(14)에 장착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 고정단자(5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측벽(12A)과 스토퍼(38)의 몸통부(42)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고정단자(54)의 선단부에는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기립하는 접점부(接點部, 54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터미널 베이스(14)의 타단면의 상부 중앙에서는 연장편(48)이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상벽(12C)과 목부(4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고, 연장편(48)이 상기 간격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편(48)과 스토퍼(38)의 걸어맞춤 오목부(44)의 사이에 레버(46)가 유지된다(도 4 참조).
또한, 터미널 베이스(14)의 상면 및 하면에는 돌기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58)는 하우징(12)에 형성된 사각형 구멍(36)에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우징(12)의 길이방향 타단측에서 터미널 베이스(14)를 압입해서, 터미널 베이스(14)가 스토퍼(38)에 맞닿아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돌기부(58)가 사각형 구멍(36)으로 진입해서 상기 돌기부(58)가 사각형 구멍(36)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각각 걸린다.
이것에 의해, 터미널 베이스(14)가 하우징(12)에 고정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하우징(12)의 사각형 구멍(36)으로부터 돌기부(58)가 노출되기 때문에, 터미널 베이스(14)가 하우징(12)에 확실하게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슬라이더〉
이어서, 슬라이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6)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어 있고, 하우징(12)의 길이방향 일단측에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16)는 캠부(60)와 지지부(6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캠부(60)측이 하우징(12) 내에 수용된다.
캠부(60)의 단면 중앙부에는 슬라이더(16)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원주형상의 수용 오목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토퍼(38)의 장착부(50)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52)의 타단부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6)는 상기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되게 되어 있다.
또, 캠부(60)의 양 측벽의 상부에는 대략 하트형을 이루는 캠 홈(6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66)에, 스토퍼(38)의 걸어맞춤 오목부(44)에 걸어맞춰진 레버(46)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핀(46B)이 각각 걸어맞춰진다.
캠부(60)의 양 측벽의 하부 단면측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64)의 근방에는 걸림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구멍(68)을 통해서, 도전성의 스프링 터미널(70)이 캠부(60)의 양 측벽의 하부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프링 터미널(70)은, 캠부(60)의 하벽에 면 접촉되는 기부(72)와, 기부(72)의 양측에 서로 대면하도록 해서 절곡된 가동단자(74)로 구성되어 있다. 가동단자(74)는 기부(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단자(74)의 기부측에는 장착편(76)이 형성되고, 이 장착편(76)이 걸림구멍(68)에 걸린다.
또, 가동단자(74)는 서로 이간하는 방향을 향해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판 스프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단자(74)의 선단부의 외면에는 반구(半球)형상의 접점부(74A)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 접점부(74A)들의 외면 사이의 이간 거리는, 터미널 베이스(14)에 형성된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들의 내면 사이의 이간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고, 접점부(74A)가 접점부(54A)와 대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점부(74A)가 축경된 상태에서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와 접촉된다. 그리고, 접점부(74A)가 접점부(54A)에 접촉한 상태에서 서로 통전(通電)상태가 되어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가 고정단자(54)의 선단부에서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단자(54)의 기부측과 접점부(54A) 사이에는 높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가동단자(74)의 접점부(74A)가 접점부(54A)와의 대면위치에서 벗어나면, 가동단자(74)의 접점부(74A)와 고정단자(54)는 접촉하지 않는 상태(비 접촉상태)가 된다.
한편, 지지부(62)는 캠부(60)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캠부(60)의 일부를 덮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부(62)가 캠부(60)를 덮고 있는 영역에 있어서, 지지부(62)와 캠부(60)의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62)에는 슬라이더(16)의 폭방향을 따라 축지지구멍(78)이 형성되어 있고, 래치부재(80)에 형성된 축부(82)가, 지지부(62)와 캠부(60)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 내를 통과해서, 축지지구멍(78)에 축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래치부재(80)가 축부(82)를 중심으로 슬라이더(1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 지지부(62)의 단면에는, 상부가 절삭되고 캠부(60)의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진 돌출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84)에는 그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구멍(86)이 형성되어 있고, 래치부재(80)의 일단부에 형성된 래치(90)가 삽입구멍(86) 내에서 상하로 이동(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래치(90)에 의해 스트라이커(88)(도 4 참조)가 걸린다.
또, 래치부재(80)의 타단부에는 캠부(6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92)가 하우징(12)의 일단측의 내측에 형성된 캠 경사면(32)(도 3 참조)에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고, 캠 경사면(32)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부(92)를 통해서 래치부재(80)가 축부(82)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즉, 래치부재(80)가 슬라이더(16)의 지지부(6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캠 경사면(32)에 의해, 가이드부(92)를 통해서 슬라이더(16)의 이동량을 래치부재(80)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6)의 캠부(60) 하면의 지지부(62)측 중앙에는 돌기(16A)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2)의 일단측의 하벽(12B)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 홈(도시생략)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돌기(16A)가 삽입 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16A)의 이동범위 내에서 슬라이더(16)가 하우징(1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16)가 함부로 하우징(12)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스위치 장치의 작용〉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위치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도 2에서는 스트라이커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트라이커(88)가 래치(9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슬라이더(16)가 하우징(12)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캠 홈(66)의 도입부(66A)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하우징(12)에 형성된 삽입 홈(도시생략) 및 슬라이더(16)에 형성된 돌기(16A)를 통해서 슬라이더(16)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 슬라이더(16)가 하우징(12)으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상태에서는 터미널 베이스(14)에 형성된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에 스프링 터미널(70)에 형성된 가동단자(74)의 접점부(74A)가 접촉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ON)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88)를 하우징(12)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트라이커(88)는 표면이 곡면형상을 이루는 버튼부(94)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버튼부(94)의 이면 상부, 즉, 지지부(62)의 상부 단면과 대면 가능한 위치에는 피 걸림편(96)이 돌출되어 있다. 이 피 걸림편(96)의 선단부에 형성된 갈고리형상의 피 걸림부(96A)가 래치부재(80)의 래치(90)에 걸림 가능하게 된다.
우선,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 버튼부(94)를 압압해서 스트라이커(88)를 하우징(12)측으로 이동시키면, 스트라이커(88)의 피 걸림부(96A)가 지지부(62)의 상부 단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스트라이커(88)를 하우징(12)측으로 더 이동시키면, 지지부(62)를 통해 슬라이더(16)가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저항해서 하우징(12) 내로 압입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6)가 하우징(12) 내로 압입되면, 슬라이더(16)에 형성된 가이드부(92) 및 하우징(12)에 형성된 캠 경사면(32)을 통해서, 래치(90)가 상측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16)의 캠 홈(66)의 이동과 함께, 캠 홈(66)의 형상을 따라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요동된다.
이때, 캠 홈(66)에는 슬라이더(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종단부(66B)가 돌출되어 있고, 이 제 1 종단부(終端部, 66B)에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맞닿으면, 슬라이더(16)를 통해서 스트라이커(88)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버튼부(94)에 대한 압압력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 슬라이더(16)가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이때, 캠 홈(66)의 이동과 함께,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홈(66)의 오목부(66C)에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걸려서 슬라이더(16)의 이동이 규제됨과 아울러, 피 걸림부(96A)가 래치(90)에 걸린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상태에서는(도 7에서는 스트라이커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스프링 터미널(70)에 형성된 가동단자(74)의 접점부(74A)가, 터미널 베이스(14)에 형성된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와의 대면위치에서 벗어나 있고, 접점부(74A)와 접점부(54A)가 비(非) 접촉상태가 된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가 오프(OFF)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스트라이커(88)의 버튼부(94)를 다시 압압해서 슬라이더(16)를 하우징(12) 내로 압입하면, 캠 홈(66)의 이동과 함께, 캠 홈(66)의 오목부(66C)에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걸린 상태가 해제되고, 제 1 종단부(66B)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종단부(終端部, 66D)에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맞닿아서, 슬라이더(16)를 통해 스트라이커(88)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버튼부(94)에 대한 압압력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52)의 탄지력에 의해, 슬라이더(16)가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이때, 캠 홈(66)의 이동과 함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캠 홈(66)의 도입부(66A)로 복귀한다. 또, 슬라이더(16)의 가이드부(92)가 캠 경사면(32)을 따라 이동해서 래치(90)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피 걸림부(96A)가 래치(90)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터미널(70)에 형성된 가동단자(74)의 접점부(74A)가, 터미널 베이스(14)에 형성된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에 접촉되어,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단자(74)가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고, 판 스프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동단자(74)의 선단부에는 반구형상의 접점부(74A)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접점부(74A)가 터미널 베이스(14)에 형성된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에 접촉된다. 그리고, 접점부(74A)가 접점부(54A)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된다.
즉, 가동단자(74)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에서, 고정단자(54)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단순히 가동단자(74)와 고정단자(54)를 접촉시킬 뿐인 경우와 비교해서, 가동단자(74)와 고정단자(54)의 접촉력이 향상되므로, 가동단자(74)와 고정단자(54)를 확실하게 접촉(통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고정단자(54)에 접촉된 상태에서 가동단자(74)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도록 했지만, 고정단자(54)측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도록 해도 좋고, 또한, 가동단자(74) 및 고정단자(54)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상태에서, 스트라이커(88)의 버튼부(94)를 압압해서 슬라이더(16)를 하우징(12) 내로 압입함으로써, 캠 홈(66)의 오목부(66C)에 레버(46)의 걸어맞춤 핀(46B)이 걸린 상태를 해제시키고, 코일 스프링(52)에 의해 슬라이더(16)를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래치부재(80)를 회동시켜서 피 걸림편(96)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키도록 했지만, 반드시 슬라이더(16)를 하우징(12) 내로 압입할 필요는 없다.
래치부재(80)가 지지부(62)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상태에서 스트라이커(88)를 잡아당기면, 스트라이커(88)의 피 걸림편(96)을 통해서 래치부재(80)가 지지부(62)에 대해서 회동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90)를 피 걸림편(96)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스트라이커(88)와 래치부재(80)의 사이에 필요 이상의 외력(外力)이 작용한 경우에, 피 걸림편(96) 및 래치(9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88)가 래치(9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터미널 베이스(14)의 고정단자(54)의 접점부(54A)와 스프링 터미널(70)의 가동단자(74)의 접점부(74A)를 접촉시켜서,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되도록 했지만, 스프링 터미널(70)의 가동단자(74)의 접점부(74A)의 위치를 변경해서, 스트라이커(88)가 래치(90)에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스위치가 오프(OFF)상태가 되고, 스트라이커(88)가 래치(90)에 걸린 상태에서 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되도록 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레버(46)를 스토퍼(38)에 설치하도록 했지만, 슬라이더(16)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면 되므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우징(12)에 레버(46)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스트라이커(88)의 형상이 버튼부(94)를 가지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판형상의 덮개의 이면에 피 걸림편을 형성한 형상이어도 좋고, 또, 상기 스트라이커의 형상에 따라서 래치(90)의 형상을 변경해도 좋다.
10 - 스위치 장치 12 - 하우징
14 - 터미널 베이스(고정부재) 16 - 슬라이더(이동부재)
32 - 캠 경사면(캠 수단) 36 - 사각형 구멍(개구, 고정수단)
46 - 레버(가이드부재) 52 - 코일 스프링(탄지수단)
54 - 고정단자 58 - 돌기부(고정수단)
66 - 캠 홈(순환 캠 홈) 66C - 오목부(걸림부)
74 - 가동단자 80 - 래치부재
88 - 스트라이커 92 - 가이드부(캠 수단)

Claims (19)

  1.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16)와;
    상기 이동부재(16)에 형성되며 스트라이커(88)와 걸어맞춰지는 래치부재(80)와;
    상기 이동부재(16)를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52)과;
    상기 탄지수단(52)에 탄지력이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에 대해서 상기 이동부재(16)를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이동부재(16)가 하우징(12)에 로크된 상태에서 이동부재(16)가 하우징(12) 내로 압입되면 이동부재(16)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이동부재(16)에 설치된 가동단자(74)와;
    상기 하우징(12) 내에 고정된 고정부재(14)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6)의 로크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74)에 접촉되어 통전(通電)상태가 되고, 이동부재(16)의 로크해제 상태에서 가동단자(74)에 비(非) 접촉되어 비(非) 통전상태가 되는 고정단자(54);를 구비하고,
    적어도 가동단자(74) 또는 고정단자(54)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74)와 상기 고정단자(54)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부재(16)와;
    상기 이동부재(16)에 형성되며 스트라이커(88)와 걸어맞춰지는 래치부재(80)와;
    상기 이동부재(16)를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52)과;
    상기 탄지수단(52)에 탄지력이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에 대해서 상기 이동부재(16)를 이동 불가능하게 로크하고, 이동부재(16)가 하우징(12)에 로크된 상태에서 이동부재(16)가 하우징(12) 내로 압입되면 이동부재(16)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로크수단과;
    상기 이동부재(16)에 형성된 가동단자(74)와;
    상기 하우징(12) 내에 고정된 고정부재(14)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16)의 로크해제 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74)에 접촉되어 통전상태가 되고, 이동부재(16)의 로크상태에서 가동단자(74)에 비 접촉되어 비 통전상태가 되는 고정단자(54);를 구비하고,
    적어도 가동단자(74) 또는 고정단자(54)에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단자(74)와 상기 고정단자(54)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80)가 상기 이동부재(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12) 내에는 이동부재(16)의 이동량을 상기 래치부재(80)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캠 수단(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80)가 상기 이동부재(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12) 내에는 이동부재(16)의 이동량을 상기 래치부재(80)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캠 수단(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에 상기 고정부재(1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에 상기 고정부재(1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에 상기 고정부재(1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에 상기 고정부재(14)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된 개구(36)와;
    상기 고정부재(14)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36)로 진입해서 개구(36)의 가장자리부에 걸리는 돌기부(58);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이;
    상기 이동부재(16)에 형성된 순환 캠 홈(66)과;
    상기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순환 캠 홈(66)을 따라 순환하고, 순환 캠 홈(66)에 형성된 걸림부(66c)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를 로크하는 가이드부재(46);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이;
    상기 이동부재(16)에 형성된 순환 캠 홈(66)과;
    상기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순환 캠 홈(66)을 따라 순환하고, 순환 캠 홈(66)에 형성된 걸림부(66c)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를 로크하는 가이드부재(46);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이;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된 순환 캠 홈(66)과;
    상기 이동부재(1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순환 캠 홈(66)을 따라 순환하고, 순환 캠 홈(66)에 형성된 걸림부(66c)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를 로크하는 가이드부재(46);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이;
    상기 하우징(12)에 형성된 순환 캠 홈(66)과;
    상기 이동부재(16)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순환 캠 홈(66)을 따라 순환하고, 순환 캠 홈(66)에 형성된 걸림부(66c)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를 로크하는 가이드부재(46);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54)가 상기 고정부재(14)에 인서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54)가 상기 고정부재(14)에 인서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54)가 상기 고정부재(14)에 인서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54)가 상기 고정부재(14)에 인서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54)가 상기 고정부재(14)에 인서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54)가 상기 고정부재(14)에 인서트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00004838A 2009-02-19 2010-01-19 스위치 장치 KR101093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37200 2009-02-19
JP2009037200A JP5216626B2 (ja) 2009-02-19 2009-02-19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936A KR20100094936A (ko) 2010-08-27
KR101093380B1 true KR101093380B1 (ko) 2011-12-14

Family

ID=4263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838A KR101093380B1 (ko) 2009-02-19 2010-01-19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33356B2 (ko)
EP (1) EP2400519B1 (ko)
JP (1) JP5216626B2 (ko)
KR (1) KR101093380B1 (ko)
CN (1) CN102326220B (ko)
WO (1) WO20100955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36013T3 (es) * 2008-10-29 2017-10-05 Nifco Inc. Dispositivo de cerrojo
CN102074401B (zh) * 2010-12-24 2014-04-02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雾灯开关
CN105023785B (zh) * 2014-04-21 2018-09-18 星电株式会社 按压开关
CN104456287B (zh) * 2014-10-13 2017-02-15 凯迈(洛阳)测控有限公司 一种辅助照明装置
JP6467287B2 (ja) * 2015-05-19 2019-02-13 株式会社ハーマン プッシュスイッ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248A (ja) 2003-10-21 2005-05-19 Nifco Inc スイッチ付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9558Y2 (ko) * 1980-04-16 1987-10-08
JPS56153040A (en) 1980-04-28 1981-11-26 Oshita Kazuyoshi Heat collecting wall
JPH0545853A (ja) 1991-02-19 1993-02-2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方法
JP2571575Y2 (ja) * 1991-11-18 1998-05-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US5821490A (en) * 1996-07-26 1998-10-13 Yazaki Corporation Push button switch module
US6028274A (en) * 1998-02-10 2000-02-22 Harris; Timothy S. Fail-safe switch
JP3980915B2 (ja) 2002-03-15 2007-09-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4164329B2 (ja) * 2002-10-17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ラッチ装置
JP4167091B2 (ja) 2003-02-27 2008-10-15 株式会社ニフコ スイッチ付ラッチ
JP2005042428A (ja) 2003-07-23 2005-02-17 Nifco Inc スイッチ付ラッチ
JP2008117684A (ja) * 2006-11-07 200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248A (ja) 2003-10-21 2005-05-19 Nifco Inc スイッチ付ラ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16626B2 (ja) 2013-06-19
KR20100094936A (ko) 2010-08-27
US8933356B2 (en) 2015-01-13
US20120037483A1 (en) 2012-02-16
CN102326220A (zh) 2012-01-18
EP2400519A1 (en) 2011-12-28
JP2010192339A (ja) 2010-09-02
EP2400519A4 (en) 2014-05-21
EP2400519B1 (en) 2017-11-08
WO2010095595A1 (ja) 2010-08-26
CN102326220B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380B1 (ko) 스위치 장치
CN107863649B (zh) 杆式连接器
JP6539634B2 (ja) コネクタ
KR102622672B1 (ko) 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
WO2016132697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280144B2 (ja) スイッチ付ラッチ
US112452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ating interlock members
US6837727B2 (en) Power supply switch of motor vehicle
JP2005216792A (ja) コネクタ
JP2004257188A (ja) スイッチ付ラッチ
US8460025B2 (en) Detecting connector
KR20160036468A (ko) 기기의 레일 장착 구조 및 그 레일 장착 구조를 구비한 개폐기
CN116057781A (zh) 接线端子
KR101052680B1 (ko) 세탁기 도어락 스위치 유니트
US7922505B2 (en) Card connector
JP2021111535A (ja) コネクタ
KR20160134720A (ko) 시트벨트 장치의 벨트 버클용 스위치
JP2010257917A (ja) ショート端子
CN114388288B (zh) 开关连接器
WO2021145172A1 (ja) コネクタ
JP3973650B2 (ja) 貯蔵庫用ドアスイッチ
JP2006004842A (ja) 電気コネクタ
JPH11260471A (ja) コネクタ
JP2011243539A (ja) ポジティブ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JP202111153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