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8309A -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 Google Patents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8309A
KR20090018309A KR1020070082671A KR20070082671A KR20090018309A KR 20090018309 A KR20090018309 A KR 20090018309A KR 1020070082671 A KR1020070082671 A KR 1020070082671A KR 20070082671 A KR20070082671 A KR 20070082671A KR 20090018309 A KR20090018309 A KR 20090018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switch
housing
movable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묵
시게미츠 도미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8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8309A/ko
Publication of KR20090018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2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bifurcated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4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with a bifurcated l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크기구를 2개로 함으로써 로크강도를 향상시키거나, 스위치를 가동부재의 양면에 설치함으로써 폭을 좁게 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하우징(11)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탄지된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 내로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31)를 압입위치로 로크함과 아울러 스위치가 온 하고, 압입위치의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 내로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13)가 돌출위치로 복귀함과 아울러 스위치가 오프가 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있어서, 가동부재(31)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31)의 표리와 대향하는 하우징(11)과의 사이에 로크기구 및 스위치를 각각 설치한다.

Description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LATCH WITH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라디오 카세트의 도어 등의 개폐부재를 눌러서 닫고, 이 닫은 개폐부재를 다시 열기 위해서, 본체 등의 피부착부재에 부착되는 래치에, 스위치를 설치한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는,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탄지부재에 의해서 탄지된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내에 압입함으로써 푸시·푸시식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압입위치로 로크함과 아울러 스위치가 온하고, 압입위치의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 내로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돌출위치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스위치가 오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7-14062호(단락[0018]∼단락[0020], 도6 내지 도9)
상기한 특허문헌 1의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는, 로크기구가 가동부재의 일면측(표면 또는 이면)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즉, 로크기구가 하나이기 때문에 로크강도가 약했다.
또 스위치가 로크기구와 반대측인 가동부재의 타면측에 설치된 것이므로,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폭을 좁게 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로크기구를 2개로 함으로써 로크강도를 향상시키거나, 스위치를 가동부재의 양면에 설치함으로써 폭을 좁게 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탄지부재에 의해서 탄지된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 내로 압입함으로써 푸시·푸시식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압입위치로 로크함과 아울러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하고, 압입위치의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 내로 압입함으로써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를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돌출위치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스위치가 오프 또는 온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있어서, 로크기구를, 가동부재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의 표리와 대향하는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스위치를, 가동부재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의 표리와 대향하는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하거나, 또, 가동부재의 표리에 설치한 스위치를 구성하는 단자를 도통(導通)시키거나, 또, 가동부재의 표리에 설치한 단자를 가동부재의 압입방향에서 봤을 때 ㄷ자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기구를, 가동부재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의 표리와 대향하는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하였기 때문에, 로크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표리의 로크력의 밸런스를 잡을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를, 가동부재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의 표리와 대향하는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동단자의 가동접편이 하우징의 내면 또는 고정단자 또는 가동부재에 탄성접속함으로써 가동부재가 기울어지는 일 없이 확실하게 작동한다.
또한, 가동부재의 표리에 설치한 스위치를 구성하는 단자를, 도통시켰기 때문에, 가동부재의 폭, 나아가서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의 표리에 설치한 단자를, 가동부재의 압입방향에서 봤을 때 ㄷ자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가동부재에 ㄷ자형상부분(부착부)을 끼워맞춤으로써 단자를 가동부재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가동부재에 대한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고정단자의 접속부는 래칫 스위치의 와이어 납땜 후 상대물과의 장 착시 접촉으로 인한 긁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단자의 접속부 구성을 내측으로 절곡되게 밴딩부를 형성하므로 써, 래칫 스위치에 와이어 납땜 후 상대물의 장착홀에 장착시 상대물의 장착홀부의 외관부 긁힘 및 장착 불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를 갖고 있는 래칫을 와이어 체결방식 납땜 후에도 조립성 향상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에는 전자, 일반상품 등에 적용하고 있으나, 자동차분야의 on, off 기능을 갖고 있는 제품에도 적용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하우징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에 의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에 의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의 좌측에 있어서의 상측에 가이드 장공에 연이어 통하는 가이드홈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후 설명의 상하좌우는, 각 부재의 정면도에 있어서의 상하좌우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11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하우징을 나타내며, 일단(우측면:우측면벽)이 개방되도록, 정면벽(12f), 이면벽(12b), 천정벽(12u), 저벽(12d), 좌측면벽(121)으로 이루어지는 상자부(12)와, 이 상자부(12)의 우측면측의 천정벽(12u) 및 저벽(12d)에 연이어 형성되고, 상자부(12)와 높이가 같으며, 상자부(12)보다 폭이 넓은 직사각형형상의 테두리부(2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자부(12)에는, 정면벽(12f) 및 이면벽(12b)의 테두리부(24)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측에서 일단측으로 연장되며, 테두리부(24)와 함께 피부착부재를 끼워서 유지하는 탄성 협지편(13)이 각각 형성되고, 정면벽(12f)의 내면의 좌측면벽(121)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에서 일단측으로 수평하게, 후술하는 가동부재(31)의 평판부(40)가 끼워져 이동할 수 있는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제 2 캠돌조(14A,14B)가 형성되고, 천정벽(12u)의 정면벽(12f)측 근처로서, 일단측(우측면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측에서 일단측으로 테두리부(24)까지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가이드 장공(15)이 형성되고, 천정벽(12u) 및 저벽(12d)의 이면벽(12b)측 근처로서, 좌측면벽(121)측 근처에, 좌측면벽(121)측에서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걸림편(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부(24)의 천정의 내측에는, 가이드 장공(15)에 연속되며 테두리부(24)의 우측단에 도달하는 가이드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걸림편(16)에는, 상자부(12) 내로 약간 돌출하며, 후술하는 고정단자(71)의 걸어맞춤구멍(72h)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부(12)에는, 천정벽(12u) 및 저벽(12d)의 내면의, 걸림편(16)의 연장상에 고정단자(71)의 끝을 천정벽(12u) 또는 저벽(12d)과 함께 유지하는 유지편(17)이 각각 형성되고, 좌측면벽(121)의 내면의, 2개의 걸림편(16)의 중간에, 후술하는 탄지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51)을 위치결정하는 스프링 받침(18)이 일단측에 천정벽(12u) 및 좌측면벽(12d)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좌측면벽(121)의 내면의 천정벽(12u) 및 저벽(12d) 근처로서, 걸림편(16) 및 유지편(17)의 연장상에, 고정단자(71)의 삽입부(72)를 덜거덕거리지 않게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멍(1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자부(12)에는, 후술하는 가이드 레버(61)를 부착하는 가이드 레버 부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버 부착부(20)는, 후술하는 가이드 레버(61)를 삽입하기 위해서 좌측면벽(121)에 형성된 삽입구멍(21)과, 이 삽입구멍(21)에 연이어 통하는, 제 1, 제 2 캠돌조(14A,14B)의 좌측면벽(121)측에서, 정면벽(12f)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가이드 레버(61)의 축부(62)를 회동가능하게 위치결정하는 오목부(22A,22B)와, 이 오목부(22A,22B) 내로 가이드 레버(61)의 축부(62)를 회동가능하게 압압하는 탄성 압압편(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저면도, 도 13은 도 11의 D-D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31은 합성수지로 성형된 가동부재를 나타내며, 하우 징(11) 내로 삽입되는 본체(32)와, 이 본체(32)의 정면의 가장자리 및 이면의 가장자리에 힌지부(45)를 통해서 대향시켜 연이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트라이커(S)를 끼워서 지지하거나, 끼워서 지지한 스트라이커(S)를 해방하는 2개의 협지편(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체(32)는, 우측단에 위치하고, 2개의 협지편(44)이 연이어 형성된 측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형상의 앞벽부(33)와, 이 앞벽부(33)의 이면의 상측에, 하우징(11)의 가이드 장공(15)에 대응시켜, 상면이 좌측으로 하강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면측의 좌측 모퉁이가 노치된 경사면(캠면)으로 된 걸림돌기(34)와, 앞벽부(33)의 이면측 절반에, 앞벽부(33)의 상하와 단차를 형성하여 좌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4각기둥부(35)와, 앞벽부(33)의 정면측 절반에, 4각기둥부(35)의 높이방향의 중간에 위치시켜, 앞벽부(33)와 4각기둥부(35)에 좌측으로 수평하게 연이어 형성된 평판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4각기둥부(35)에는, 좌측단면에 우측으로 연장되는 코일 스프링(51)을 수용하는 원형구멍(36)이 형성되고, 앞벽부(33)에 연속되는 이면에, 상하로 연이어 통하고, 후술하는 가동단자(81)의 연결편(83)을 수용하는 수용 단차부(37)가 형성되고, 우측단 부분에서, 수용 단차부(37)에 대응하는 정면측에, 상하로 관통하고, 가동단자(81)의 걸어맞춤돌기(84a)에 걸어맞춤되는 걸림구멍(38)이 형성되고, 좌측단의 상하에서, 이면측 근처의 모퉁이에, 앞벽부(33)의 높이와 동일높이로 연장되는 보호·안내돌기(39)가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평판부(40)에는, 상면에, 제 1 캠오목부(41a)를 가지는 제 1 하트 캠(41)과, 후술하는 가이드 레버(61)의 제 1 트레이스부(63a)를 가이드하는 제 1 캠돌부(42)가 연이어 형성되고, 하면에, 제 2 캠오목부(43a)를 가지는 제 2 하트캠(43)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돌기(34)의 경사면(캠면), 제 1 캠돌조(14A), 제 2 캠돌조(14B), 제 1 하트캠(41), 제 1 캠돌부(42), 제 2 하트캠(43)은, 제 1 트레이스부(63a)와 제 2 트레이스부(64a)와의 간격이 변하면, 가이드 레버(61)의 축부(62)에 비틀리는 힘 또는 구부러지는 힘을 발생시키고, 이 비틀리는 힘 또는 구부러지는 힘에 의해서 제 1 트레이스부(63a) 또는 제 2 트레이스부(64a)에 순환방향으로의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기구는, 걸림돌기(34)의 경사면(캠면), 제 1 캠돌조(14A), 제 2 캠돌조(14B), 제 1 하트캠(41), 제 1 캠돌부(42), 제 2 하트캠(43), 코일 스프링(51) 및 가이드 레버(6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버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가이드 레버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61은 가이드 레버를 나타내고, 상하로 연장되는 축부(62)의 상하에 제 1, 제 2 암부(63,64)가 수평하고 평행하게 연속되도록 금속봉을 정면에서 봤을 때 ㄷ자형상으로 절곡하고, 제 1, 제 2 암부(63,64)의 개방된 선단부분끼리를 각각 내측으로 가동부재(31)의 평판부(40)를 끼워서 통과시킬 수 있는 간격으로 절곡하여 제 1, 제 2 트레이스부(63a,64a)로 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고정단자 의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고정단자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71은 도전성을 가진 금속의 평판으로 구성된, 스위치를 구성하는 고정단자를 나타내며, 하우징(11) 내로 삽입되는 직사각형형상의 삽입부(72)와, 이 삽입부(72)와 동일 평면형상으로 연속되며, 하우징(11) 내로 삽입되지 않고 하우징(11) 밖에 위치하는 접속부(7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부(72)에는 하우징(11)의 걸림돌기(16a)가 걸어맞춰져 빠짐방지기능을 가지는 걸어맞춤부로서의 직사각형형상의 걸어맞춤구멍(72a)이 형성되고, 또한 접속부(73)에는, 도선을 끼워서 통과시켜 접속하기 위한 삽통구멍(7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가동단자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가동단자의 정면도,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가동단자의 우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81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의 평판으로 구성된, 스위치를 구성하는 가동단자를 나타내며, 우측면에서 본 경우{가동부재(31)의 압입방향에서 본 경우)에 ㄷ자형상을 한 부착부(82)와, 이 부착부(82)의 대향하는 협지편(84)으로부터 각각 압입방향으로, 하우징(11)의 유지편(17)에 대응하여 2개씩 연장되는 가동접편(8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82)는, 상하로 연장되는 연결편(83)과, 이 연결편(83)의 상하에서 동일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2개씩의 가동편(85)이 연이어 형성된 협지편(8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협지편(84)에는, 가동부재(31)의 걸림구멍(38)에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돌기(8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조의 가동접편(85)의 간격은, 하우징(11)의 유지편(17)이 왕복운동할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도 21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51은 탄지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을 나타내며,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것이다.
S는 도어 등의 개폐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스트라이커를 나타낸다.
이어서, 조립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가동단자(81)의 연결편(83)을 가동부재(31)의 수용 단차부(37)에 대응시킴과 아울러, 각 협지편(84)을 4각기둥부(35)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협지편(84)의 사이로 4각기둥부(35)를 압입하면, 각 걸어맞춤돌기(84a)가 4각기둥부(35)를 타고 올라서 협지편(84)의 사이로 4각기둥부(35)를 압입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편(83)이 수용 단차부(37)에 수용되면, 걸어맞춤돌기(84a)가 걸림구멍(38)과 대향함으로써 각 협지편(84)이 연결편(83) 및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수평상태로 복귀하므로, 각 걸어맞춤돌기(84a)가 걸림구멍(38) 내로 돌입하여 걸림구멍(38)의 가장자리와 걸어맞춤되기 때문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단자(81)를 가동부재(31)에 일체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단자(81)를 가동부재(31)에 부착하면, 가동단자(81)는, 앞벽 부(33)와 수용 단차부(37)에 의해서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연결편(83)의 외면은, 앞벽부(33) 및 4각기둥부(35)의 면과 면이 일치하는 평면형상이 된다.
또 각 가동접편(85)은, 앞벽부(3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4각기둥부(35)로부터 멀어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코일 스프링(51)의 일단을 가동부재(31)의 원형구멍(36) 내로 삽입하고, 이 코일 스프링(51)의 타단을 하우징(11)의 스프링 받침(18)에 대응시키는 동시에, 가동부재(31)의 걸림돌기(34)를 하우징(11)의 가이드 장공(15) 및 가이드홈(15a)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가동부재(31)를 보호·안내돌기(39)측에서 하우징(11) 내로 삽입하면, 각 가동접편(85)은 선단이 상자부(12)의 내면에 의해서 눌려 4각기둥부(35)측으로 휘고, 걸림돌기(34)는 사면에 의해서 테두리부(24)를 밀어 올림으로써 본체(32)를 하우징(11) 내로 압입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34)가 테두리부(24)를 타고 넘어서 가이드 장공(15)과 대향하면, 테두리부(24)가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므로,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가동부재(31)가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탄지됨으로써 걸림돌기(34)가 가이드 장공(15)의 가장자리{테두리부(24)}에 맞붙기 때문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에 부착하면, 스프링 받침(18)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1)의 안으로 진입하여, 코일 스프링(51)이 신축시에 쓰러지지 않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가동부재(31)의 평판부(40)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돌조(14A)와 제 2 캠돌조(14B)와의 사이로 진입하여 상하가 지지된다.
이어서, 가이드 레버(61)의 제 1, 제 2 트레이스부(63a,64a)측을 하우징(11)의 좌측면벽(121)측을 향하게 하여, 가동부재(31)의 평판부(40)를 끼워서 지지하도록 제 1 트레이스부(63a)를 상측으로 함과 아울러 제 2 트레이스부(64a)를 아래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제 2 트레이스부(63a,64a)측으로부터 하우징(11)의 삽입구멍(21) 내로 압입하면, 축부(62)가 탄성 압압편(23)을 눌러 넓힘으로써 축부(62)를 오목부(22A,22B)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축부(62)가 오목부(22A,22B) 내로 삽입되면, 탄성 압압편(23)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오목부(22A)와 오목부(22B) 간의 축부(62)를 제 1, 제 2 캠돌조(14A,14B)측으로 압압하기 때문에, 가이드 레버(61)를 빠져나오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이드 레버(61)는 오목부(22A,22B) 내에서 회동가능해 진다.
이어서, 고정단자(71)의 삽입부(72)측을 하우징(11)의 좌측면벽(121)측으로 향하게 하고, 삽입부(72)를 하우징(11)의 삽입구멍(19) 내로 압입하면, 삽입부(72)가 걸림편(16)의 걸림돌기(16a)를 눌러서 걸림편(16)이 외측으로 휨으로써 삽입부(72)를 삽입구멍(19) 내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72)를 삽입구멍(19) 내로 삽입하고, 삽입부(72)의 선단이 상측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유지편(17)에 유지되면, 걸림돌기(16a)가 걸어맞춤구 멍(72a)과 대향함으로써 걸림편(16)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므로, 걸림돌기(16a)가 걸어맞춤구멍(72a) 내로 돌입하여 걸어맞춤구멍(72a)의 가장자리{삽입부(72)}에 걸어맞춤됨으로써 각 고정단자(71)를 하우징(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다.
이어서,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부착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자부(12)의 좌측면벽(121)측을 피부착부재, 예를 들면, 라디오 카셋트의 도어의 회동단에 대응시켜 본체에 설치한 브래킷의 부착구멍에 대응시키고,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좌측면벽(121)측으로부터 부착구멍 내로 삽입함과 아울러, 압입하면,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각 탄성 협지편(13)이 눌려서 내측으로 휘어지므로, 상자부(12)를 부착구멍 내로 압입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24)가 브래킷의 일면에 맞닿으면, 각 탄성 협지편(13)이 브래킷의 이면측으로 돌출하여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본래의 상태로 복귀하므로, 각 탄성 협지편(13)이 브래킷의 이면측의 부착구멍의 둘레에 걸어맞춤된다.
따라서,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는, 탄성 협지편(13)과 테두리부(24)에 의해서브래킷을 끼워 지지한 상태로 브래킷에 부착된다.
이어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1과 같이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단자(81)의 각 가동접편(85)이 대응하는 고정단자(71)의 삽입부(72)로부터 떨어져 비접촉이므로 스위치는 오프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가동부재(31)의 앞벽부(33)가 스트라이커(S)에 눌려, 코일 스 프링(5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하우징(11) 내로 압입되면, 각 협지편(44)이 테두리부(24)에 눌려, 힌지부(45)에서 내측으로 구부러짐으로써,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협지편(44)은 스트라이커(S)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끼워서 지지한다.
그리고, 가동부재(31)가 하우징(11) 내로 압입되면, 가이드 레버(61)의 각 트레이스부(63a,64a)는, 도 21에서의 각 하트캠(41,43)의 하측을 트레이스하도록 요동하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31)가 하우징(11)의 최심부까지 압입된다.
이 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 내로 압입하는 힘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가동부재(31)가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된다.
따라서, 제 2 트레이스부(64a)가 제 2 하트캠(43)의 선단의 캠면에 의해서 유도되는 복원력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트레이스부(63a,64a)가 대응하는 각 캠오목부(41a,43a)와 대향하여 걸어맞춤됨으로써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가동부재(31)를 압입위치로 로크시킨다.
또한,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가동부재(31)가 하우징(11) 내로 압입되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단자(81)의 각 가동접편(85)이 대응하는 고정단자(71)의 삽입부(72)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가 온상태가 된다.
이 로크기구가 로크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 내로 코일 스프링(5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다시 압입하면, 각 트레이스부(63a,64a)는, 도 23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돌기(34)의 경사면 (캠면)으로 안내되어,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된다.
따라서, 로크기구의 언로크상태에서, 스트라이커(S)를 통해서 가동부재(31)를 하우징(11) 내로 압입하는 힘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51)에 의해서 가동부재(31)가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가동부재(31)는, 도 21에 나타내는 돌출위치로 복귀한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 가동부재(31)가 복귀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단자(81)의 각 가동접편(85)이 대응하는 고정단자(71)의 삽입부(72)로부터 떨어져, 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의하면, 로크기구를, 가동부재(31)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31)의 표리와 대향하는 하우징(11)과의 사이에 각각 형성하였기 때문에, 로크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표리의 로크력의 밸런스를 잡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를, 가동부재(31)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31)의 표리와 대향하는 하우징(11)과의 사이에 각각 형성하였기 때문에, 가동단자(81)의 가동접편(85)이 하우징(11)의 내면 또는 고정단자(71)에 탄성접속함으로써 가동부재(31)가 기울어지는 일 없이 확실하게 작동한다.
또, 가동단자(81)의 가동접편(85)을 가동부재(31)의 압입방향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가동접편(85)을 로크기구에 나란히 설치하고, 가동부재(31)의 표리에 설치한 스위치를 구성하는 가동단자(81)를 도통시켰기 때문에, 가동부재(31)의 폭, 나아가서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31)의 표리에 설치한 가동단자(81)를, 가동부재(31)의 압입방향에서 봤을 때 ㄷ자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가동부재(31)에 ㄷ자형상부분{부착부(82)}을 끼워맞춤으로써 가동단자(81)를 가동부재(31)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단자(81)의 가동부재(31)에 대한 조립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고정단자(71)의 부착부(72)를 좌측면벽(121)의 삽입구멍(19) 내로 삽입하면, 걸림편(16)의 걸림돌기(16a)가 부착부(72)의 걸어맞춤구멍(72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고정단자(71)를 하우징(11)에 부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고정단자(71)의 조립작업성이 좋고, 자동기에 의한 조립도 가능해짐과 아울러, 고정단자(71)를 빠져나오지 않도록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72)의 가장자리를 유지편(17)에 의해서 하우징(11)의 내면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시켰기 때문에, 가동단자(81)의 가동접편(85)이 구부러져서 동작불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6에서 도 27까지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단자(71)의 접속부(73)는
는 래칫 스위치의 와이어(200)부재의 납땜(200) 후 상대물과의 장착 시 긁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
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2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단자(71)의 접속부(73) 구성을 상대물(100)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밴딩부(73b)를 형성하므로 써,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27 및 도 2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단자(71)의 접속부(72)
구성을 내측으로 소정거리 절곡시켜 상대물(100)의 장착홀(110)의 거리(L1)보다 폭이 작게 벤딩부(73b)의 거리(L2)로 형성하여 래칫 스위치에 와이(200)어 납땜 후 상대물(100)의 장착홀(110)에 장착시 상대물(100)의 장착홀(110)부의 외관부 긁힘 및 장착 불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래칫 스위치의 경우 접속부(73)가 "ㅡ" 자 형상이어서 와이어(200)부재의 납땜(300) 후 높이가 래칫 스위치 의 폭높이보다 돌출되어 상대물(100)에 장착시 긁힘이나 장착불가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재(31)의 표리에 가동단자(81)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가동부재(31)의 표면, 이면, 또는, 표리 이외의 면에만 가동단자를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가동부재(31)의 표면, 이면, 또는, 표리 이외의 면에만 가동단자를 설치하는 경우, 부착부를 1실시형태와 같이 ㄷ자형상으로 구성하거나, 평판형상의 부착부를 가동부재에 설치한 걸림편의 사이에 끼워넣는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 가동부재(31)의 표리에 가동단자(81)를 설치하고, 표리의 가동단자(81)를 도통시켜서 1회로의 스위치로 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표리의 가동단자를 비도통으로 하고 2회로의 스위치로 해도 좋다.
그리고,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라디오 카셋트에 적용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기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하우징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하우징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가동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우측면도
도 11은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가동부재의 저면도
도 13은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가이드 레버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가이드 레버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고정단자 의 평면도
도 17 도 16에 나타낸 고정단자의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를 구성하는 가동단자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가동단자의 정면도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가동단자의 우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4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인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의 동작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구성에서 와이어가 고정단자에 납땜되어 대상물의 장착홀 내측으로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고정단자의 접속부에 형성된 밴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2 - 상자부
12f - 정면벽 12b - 이면벽
12u - 천정벽 12d - 저벽
121 - 좌측면벽 13 - 탄성 협지편
14A - 제 1 캠돌조 14B - 제 2 캠돌조
15 - 가이드 장공 15a - 가이드 홈
16 - 걸림편 16a - 걸림돌기
17 - 유지편 18 - 스프링받침
19 - 삽입구멍 20 - 가이드레버 부착부
21 - 삽입구멍 22A - 오목부
22B - 오목부 23 - 탄성압압편
24 - 테두리부 31 - 가동부재
32 - 본체 33 - 앞벽부
34 - 걸림돌기 35 - 사각기둥부
36 - 원형구멍 37 - 수용 단차부
38 - 걸림구멍 39 - 보호·안내돌기
40 - 평판부 41 - 제 1 하트캠
41a - 제 1 캠오목부 42 - 제 2 하트캠
43a - 제 1 캠오목부 44 - 협지편
45 - 힌지부 51 - 코일스프링
61 - 가이드 레버 62 - 축부
63 - 제 1 암부 63a - 제 1 트레이스부
64 - 제 2 암부 64a - 제 2 트레이스부
71 - 고정단자 72 - 삽입부
72h - 걸어맞춤구멍 73 - 접속부
73b - 밴딩부 73h - 삽통구멍
81 - 가동단자 82 - 부착부
83 - 연결편 84 - 협지편
84a - 걸어맞춤돌기 85 - 가동접편
S - 스트라이커

Claims (4)

  1. 하우징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는 돌출위치로 탄지부재에 의해서 탄지된 가동부재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압입함으로써, 푸시·푸시식 로크기구가 로크상태가 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압입위치로 로크함과 아울러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하며, 상기 압입위치의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하우징내로 압입함으로써, 상기 로크기구가 언로크상태가 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탄지부재의 탄지력에 의해서 상기 돌출위치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가 오프 또는 온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를, 상기 가동부재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의 표리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상기 가동부재의 표리와, 이 가동부재의 표리와 대향하는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표리에 설치한 상기 스위치를 구성하는 단자는, 도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표리에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를 구성하는 고정단자의 접속부는 내측으로 소정거리 절곡시켜 상대물의 장착홀보다 폭이 작도록 구성된 벤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1020070082671A 2007-08-17 2007-08-17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200900183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71A KR20090018309A (ko) 2007-08-17 2007-08-17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71A KR20090018309A (ko) 2007-08-17 2007-08-17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309A true KR20090018309A (ko) 2009-02-20

Family

ID=4068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671A KR20090018309A (ko) 2007-08-17 2007-08-17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83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43U (ko) * 2020-08-21 2023-03-02 (주)루맷 캠 와이어를 이용한 밀폐박스용 원터치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443U (ko) * 2020-08-21 2023-03-02 (주)루맷 캠 와이어를 이용한 밀폐박스용 원터치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161B1 (ko) 표면접점부착 카드용 커넥터
US6332790B1 (en) Card connector
KR100661058B1 (ko) 슬라이드기구
KR20040077418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US8017883B2 (en) Switch
KR20050038570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JP4714964B2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EP2889886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090018309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KR20050011666A (ko) 스위치를 가지는 래치
JP2809339B2 (ja) エッジコネクタ
US7922505B2 (en) Card connector
KR100449657B1 (ko) 푸시록 스위치
CN212562799U (zh) 自动门窗锁
JPS6224951Y2 (ko)
CN219317339U (zh) 紧固机构
JPS6213298Y2 (ko)
JP2005340061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6156107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543053Y2 (ja) スイッチの可動接点組付構造
JPH054661Y2 (ko)
JPS6236191Y2 (ko)
JPH024424Y2 (ko)
JPH048581Y2 (ko)
JP2000337036A (ja) 窓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