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556A - 주차 설비 - Google Patents

주차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556A
KR20050011556A KR1020030050704A KR20030050704A KR20050011556A KR 20050011556 A KR20050011556 A KR 20050011556A KR 1020030050704 A KR1020030050704 A KR 1020030050704A KR 20030050704 A KR20030050704 A KR 20030050704A KR 20050011556 A KR20050011556 A KR 2005001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moving
vehicle
fork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593B1 (ko
Inventor
권신안
Original Assignee
권신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신안 filed Critical 권신안
Priority to KR102003005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59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 E04H6/186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car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 자체가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차량을 입·출고시키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주차시설은 일열 다층으로 설치된 주차실(10)들과, 이 주차실(10)들의 전방에서 종·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량을 원하는 위치에 주차 및 출차시키는 운반장치와, 이 운반장치의 정확한 작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확보된 주차공간내에 다층의 주차실이 일열 다층으로 설치되고 그 전방에서 수평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평 및 수직이송장치를 통해 차량의 입·출고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어 기존의 건물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차 및 출차동작의 전과정을 차량의 동력이 전혀 들어가지 않도록 자동으로 실시하게되어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또 주차관리를 위한 인력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차 설비{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주차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트 자체가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차량을 입·출고시키는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주차공간의 확보가 사회전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도심과 같이 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곳에서는 주차로 인한 주민들간의 분란이 잦을 뿐만 아니라 이면도로에 주차된 차량들이나 불법 주차 차량들에 의해 화재 발생시 소방차의 진입이 차단되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커지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요즘은 신축되는 건물에 반드시 충분한 주차공간을 확보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건물들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별다른 대책이 없는 실정이어서 앞으로도 주차문제가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주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주차시설들이 개발되어 시설되고 있는데, 이 주차시설들을 구조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크게 팰릿 방식, 포크(50)방식 및 로터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팰릿방식은 팰릿에 주차될 차를 위치시키면, 팰릿을 승강 또는 이송시켜 팰릿과 함께 격납시키는 방식이고, 포크방식은 일정한 위치에서 리프트가 승하강하여 특정 위치의 주차실에 포크를 이용하여 격납시키면 주차실 하부의 트레이가 이동하면서 적당한 위치에 주차시키게 되고 출고시에도 트레이가 특정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면 리프트가 포크로 차량을 들어올려 출고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로터리 방식은 각 주차실가 체인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거나 또는 원형 프레임에 현수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차시설들은 대부분 지하 주차시설에 적당한 것이어서 기존의 건물들에 적용하기가 어렵고 또 적용하더라도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채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 팰릿방식은 지상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장치이지만 다층으로의 설비가 불가능한 구조이어서 주차용량에 한계가 있는 관계로 기존의 건물들이 필요한 주차용량을 만족시킬 수가 없다. 그리고 로터리 방식은 지상에 설치할 수 있기는 하지만 하나의 차량을 입·출고 하기 위해서는 주차 시설 전체를 움직여야만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또 시설 공간에 비하여 추차용량은 매우 낮은 방식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확보된 주차공간내에 다층의 주차시설을 하고, 이에 차량의 입·출고 동작을 종횡으로 이동이 가능한 하나의 리프트를 설치하여 기존의 건물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층의 주차실과,
상기 주차시설의 전방에서 수평 이동하면서 상·하부의 주차실을 연결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수평이동수단에 지지되어 주차 차량을 승·하강시키도록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입·출차시키는 수직이송수단과,
상기 수평이동수단과 리프가 이동하여 원하는 주차실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어수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승강기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포크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포크 승강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주차설비의 대차 이동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대차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승강기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의 대차 이동 동작 상태도.
도 9a,9b는 본 발명 포크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팰릿부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주차실 20 - 수평이동수단 21 - 수직프레임
22 - 수평지지프레임 231,232,233 - 상·하부레일 241a,241b - 상부롤러
242 - 안전롤러 243 - 하부롤러 25 - 수평구동모터
251 - 래크 252 - 피니언 30 - 수직이송수단
31 - 승강기 32 - 유동팰릿 331,332 - 수직이동롤러
34 - 가이드홈 35 - 윈치 351 - 와이어
352 - 지지아암 353 - 롤러 40 - 대차
401 - 롤러 421,422 - 레일 43a - 대차구동모터
431 - 래크 432 - 피니언 50 - 포크
501 - 살 52 - 포크지지프레임 53 - 포크구동모터
541 - 나사축 542,543 - 이동체 544 - 링크부재
55 - 차륜안착부 551 - 지지발 56 - 회전축
57 - 캠롤러 571 - 제1피니언 572 - 제2피니언
58 - 승강구동모터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전체적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의 리프트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차시설은 일열 다층으로 설치된 다층의 주차실(10)과, 이 주차실(10)들의 전방에서 종·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량을 원하는 위치에 주차 및 출차시키는 운반장치와, 이 운반장치의 정확한 작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운반장치는 상·하부의 주차실(10)을 연결하면서 주차실(10)의 열방향으로 수평이동하는 수평이동수단(20)과, 이 수평이동수단(20)에 지지되어 주차 차량을 승·하강시켜 입·출차시키는 수직이송수단(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수평이동수단(20)은, 다층의 주차실(10) 최상부와 최하부를 연결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 두개의 수직프레임(21)을 차량의 전·후진입이 가능할 정도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하고, 그 사이를 연결프레임으로 연결하여 일체화 시킨 구조를 갖는다.
이 수직프레임(21)은 주차실(10)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레일은 주차시설의 전면 하부와 상부에 각각 설치된다. 즉, 주차실(10)을 구획하는 횡방향의 프레임 앞면부에 횡으로 하부레일(233)이 설치되고, 상기 주차시설의 상부 즉, 상면에는 복수개의 상부레일(231,232)이 횡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하부레일(231,232)(233)과 대응되는 상부롤러(241a,241b)와 안전롤러(242) 및 하부롤러(243)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부레일(231,232)은 수직프레임(21)의 상부에 후측으로 직각되게 연결된 수평지지프레임(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레일(231,232)에 하중을 지지하도록 안착되며, 안전롤러(242)는 전방에 위치한 상부레일(231,232)의 후측부에 접촉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또는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어 수직프레임(21)이 전방으로 기울어 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하부롤러(243)는 상기 하부레일(233)의 전면 또는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수직프레임(21)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수평구동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수평구동장치는, 주차실(10)을 상하로 구분하는 프레임 전면에 횡방향으로 래크(251)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수직프레임(21)에는 피니언(252)이 설치되어 맞물리며, 이 피니언(252)은 수평구동모터(25)에 의해 정·역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수직이송수단(30)은, 주차 또는 출차되는 차량을 들어올리는 승강장치로서, 차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갖는 승강기(31)와, 상기 수직프레임(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기(31)를 승하강시키는 수직구동장치로 구성되는데, 승강기(31)는 하부 바닥을 이루는 유동팰릿(32)과, 이 유동팰릿(32)의 후미부 양측에 상기 수직프레임(21)에 지지되는 수직이동롤러(331,332)로 구성된다. 이는 마치 수직프레임(21)의 전방에 외팔보식으로 지지되어 승하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수직이동롤러(331,332)는 유동팰릿(32)이 외팔보식으로 수직프레임(21)에 연결되기 때문에 수직프레임(21)과의 연결부에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하 두 개소에서 지지를 해주어야만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승강기(31) 양측 후미부 상하부에 각각 상·하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이동롤러(331,332)가 구비되며, 특히 상하 수직이동롤러(331,332)는 전·후 두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이동롤러(331,332)의 간격은 넓으면 넓을 수록 승강기(31)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다.
한편, 수직이동롤러(331,332)와 대응되는 수직프레임(21)에는 가이드홈(34)이 세로로 형성되어 있어 이에 상하부의 전후 수직이동롤러(331,332)가 수용되어 이 가이드홈(34)에 지지되어 승하강하게 된다.
또 수직구동장치는 윈치(35)로서, 수직프레임(21)의 상부에 복수개 설치되며 윈치(35)의 와이어(351) 하단이 승강기(31)의 상부에 연결되며, 수직프레임(21)의 상부에는 와이어(351)가 승강기(31)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지지아암(352)이 설치되고, 이 지지아암(352)의 단부에는 와이어(351)의 감김과 풀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롤러(353)가 설치되어 와이어(351)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승강기(31)의 유동팰릿(32) 상부에는 유동팰릿(32) 및 주차실(10) 고정팰릿(12)으로 차량을 수평 이동시키는 차량입·출고장치가 구비된다..
이 차량입·출고장치는, 승강기(31)의 유동팰릿(32)과 주차실(10)로 이동하는 대차(40)와, 이 대차(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을 들어올리는 포크(50)로 구성된다. 대차(40)는 하부 양측 전후부에 롤러(401)가 구비되어 레일(421)(422)을 타고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레일(421)은 승강기(31) 유동팰릿(32)의 중앙부 양측에 전·후로 놓여지고, 이와 나란하게 상기 각 주차실(10) 중앙 하부에도 레일(422)이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 대차(40)는 별도의 대차구동장치를 갖는데, 대차구동장치는 여러가지로 구현할 수가 있다. 즉, 단순히 승강기 유동팰릿(32)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를 설치하여 이 실린더에 의 출몰에 의해 전후 이동되도록 하거나, 도 3과 같이 승강기(31)의 유동팰릿(32)에 전후로 래크(431)가 설치되고, 대차(40)에는 래크(431)와 맞물리는 피니언(432) 및 이 피니언(432)을 회전시키는 대차구동모터(43a)가 설치되어 대차구동모터(43a)의 회전에 의해 진·퇴동작하도록 하거나, 또는 승강기(31) 전후부에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이에 일측이 대차(40)와 연결된 체인이 연결되어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대차(40)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가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과 같이 대차(40)의 하부 양측에 래크(431-1)를 설치하고, 승강기(31) 유동팰릿(32)의 후측에 상기 래크(431-1)와 맞물려 회전되는 피니언(432-1) 및 이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대차구동모터(43a-1)를 설치하여 대차구동모터(43a-1)가 피니언(432-1)을 회전시키면 이와 맞물려 있는 래크(431-1)가 전후진하여 대차(40)가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포크(50)는 양측이 개방된 포크지지프레임(52) 내부 양측에 출몰되게 설치된다. 특히 포크(50)의 전후부는 차량의 바퀴를 떠받쳐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해 여러개의 살(501)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구조를 가지며, 양측 포크(50)의 살(501) 단부는 바깥쪽을 항하여 서로 대향 설치된다. 그리고 포크(50)를 진·퇴시키는 장치는 양측 포크(50)의 중앙부에 포크구동모터(53)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541)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축(541)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54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너트 구조의 이동체(542)(543)가 전후 복수개 구비되고, 이 이동체(542)(543)들과 양측 포크(50) 사이에 이동체(542)(543)의 이동에 의해 절첩되는 링크부재(544)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 때 나사축(541)의 나사산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 나사방향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포크는 도 4에서와 같이 포크구동모터(53)가 회전하게 되면 나사축(541)이 회전하여 이동체(542)(54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연결된 링크부재(544)가 펴지거나 절첩되는 동작을 하여 이와 연결된 포크(50)는 출·몰작동하게 된다.
포크를 구동하는 장치는 도 9a와 같이 래크와 피니언 구조로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양측 포크(50)에 상,하 대향되는 래크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회전축(541-1)을 설치하며 회전축(541-1)상에 상하 래크(542-1)(543-1)와 맞물리는 피니언(544-2)을 설치하여 포크구동모터(5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41-1)의 정역회전에 래크(542-1)(543-1)가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포크가 출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래크(542-1)(543-1)의 상하부에 지지롤러(r1,r2)를 설치하여 래크(542-1)(543-1)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포크(50)를 구동하는 장치는 도 9a와 같이 래크와 피니언 구조로 실시하되, 그 구조를 도 9b와 같이 포크구동모터(5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41-2)이 양측 포크(50)의 중앙부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그 둘레에 피니언(544-3)을 설치하고, 그 피니언(544-3)의 전후부에 양측 포크(50)의 레크래크(542-2)(543-2)가 맞물리도록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양측 래크(542-2)(543-2)의 외측면에 지지롤러(r3,r4)를 설치하여 래크(542-2)(543-2)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주차되는 차량의 차륜이 놓여지는 승강기(31)의 유동팰릿(32) 및 주차실(10) 바닥의 고정팰릿(12) 양측 상면 전후부에 차륜안착부(55)가 설치되며, 이 차륜안착부(55)는 일정 높이를 갖는 횡방향의 지지발(551)을 포크(50)의 살(501)이삽입될 정도의 간격으로 배열된다. 특히 각 지지발(551)은 도 5에서와 같이 포크(50)의 살(501)과 엇물림되며, 그 높이는 포크(50)의 살(501)보다 높아 차륜이 안착된 상태에서 포크(50)의 살(501)이 지지발(551)의 사이로 원활하게 출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차(40)에는 포크(50)를 수용하는 포크지지프레임(52)을 일정 높이 들어올리는 포크승강장치가 설치된다. 이 포크승강장치는 대차(40)의 양측에 전·후로 회전축(56)이 설치되고, 이 회전축(56)의 전후부에 캠롤러(57)가 설치되며, 회전축(56)을 일정구간 내에서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가 연결 설치된다. 또 승강구동부는 회전축(56) 단에 제1피니언(571)이 설치되고, 이 제1피니언(571)에 맞물리는 제2피니언(572)과 상기 제2피니언(572)을 정·역회전시키는 승강구동모터(58)로 구성된다. 따라서 승강구동모터(58)의 회전 또는 정·역회전에 의해 제1,제2피니언(571)(572)이 회전축(56)을 회전 또는 정·역회전시켜 캠롤러(57)가 회전축(56)의 상부에 승강 및 하강하게 되므로 결국 포크지지프레임(52)을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팰릿부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의 구조도로서,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실(10)의 양측 차륜안착부(55)의 후측에는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0)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60)는 차륜안착부(55)에 제공되는 설치공간내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62)의 작동에 의해 출몰된다.
이 스토퍼(60)는 차량이 주차되었음이 감지되면 즉, 포크(50)를 하강시키는 명령신호가 전달되면 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승강돌출하여 차륜의 후측을 지지하므로 차량이 후측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고, 차량의 출차명령 신호가 제어부로부터 떨어져 포크(50)가 차량을 들어올린 상태가 인식되면 즉, 포크(50)를 들어올리는 명령신호가 전달되면 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하강하여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스토퍼(60)를 구동하는 장치는 솔레노이드(62)에 국한되지 않고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나, 구동모터를 이용한 캠이나 링크 등과 같은 일반적인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에서는 승강기(31)가 차량이 진입이 용이한 선택된 위치에서 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승강기(31)에 진입하여 바퀴가 승강기(31) 유동팰릿(32)의 차륜안착부(55)에 올라앉게 되면 수직프레임(21)상에 설치된 윈치(35)가 동작하여 승강기(31)를 원하는 위치까지 들어올리게 됨과 동시에 수직프레임(21)의 수평구동모터(25)가 피니언(252)을 맞물려있는 래크(451)상에서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로 수평이동하게되며, 수직프레임(21)은 하부레일(233)과 상부레일(231,232)에 지지되어 원활하게 원하는 위치까지 수평이동하게 된다.
원하는 주차실(10) 입구에 승강기(31)가 정확히 위치하게 되면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포크구동모터(53)가 작동하여 나사축(541)을 회전시키게 되고 나사축(541)에 결합된 이동체(542)(543)는 링크를 펼쳐 이와 연결된 포크(50)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 작동에 의해 포크(50)의 살(501)단부는 지지대간의 공간부로 삽입되어 결국 차량 바퀴의 하부에 포크(50)의 살(501)이 위치하게 된다. 이 작동이 완료되면다시 승강구동모터(58)가 회전축(56)을 회전시켜 축상의 캠롤러(57)를 상부로 회동시키므로 포크(50)가 장치된 포크지지프레임(52)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 동작에 의해 포크(50)의 살(501)단부는 도 5에서와 같이 차량의 바퀴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어서 대차(40)를 구동하는 대차구동장치가 도 6에서와 같이 대차(40)를 주차실(10)의 내부로 밀어넣게 되면 대차(40)는 레일(421)(422)을 타고 추차실 내부로 이동하게되고, 정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승강구동모터(58)가 다시 회전축(56)을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포크지지프레임(52)을 들어올렸던 캠롤러(57)를 하강시키므로 그 상부에 놓여진 포크지지프레임(52)이 하강하게 된다. 이동작에 의해 포크(50)의 살(501) 단부는 주차실(10) 양측 전후부에 바닥의 차륜안착부(55a)의 각 지지대(551a)의 사이로 삽입되고 차량의 바퀴는 다시 주차실(10)의 차륜안착부(55) 상에 올라앉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포크구동모터(53)가 회전하여 나사축(541)을 역회전시키면 나사축(541)상의 이동체(542)(543)가 역으로 이동하여 링크를 절첩시키므로 양측 포크(50)는 포크지지프레임(52) 내부에 삽입이 되어 대차(40)가 이동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해준다.
이 상태에서 대차구동장치가 역으로 작동하여 대차(40)를 다시 승강기(31)의 상부로 위치시킨 다음 다음 명령이 있을 때까지 대기상태로 들어 간다.
한편, 출차를 할 때에는 출차될 차량이 있는 주차실(10)에서부터 상기 주차시 이루어졌던 공정 들을 역으로 동일하게 반복하여 입차하던 그 위치에 차량을 내려놓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확보된 주차공간내에 주차실이 일열 다층으로 설치되고 그 전방에서 수평 수직으로 이동하는 수평 및 수직이송장치를 통해 차량의 입·출고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어 기존의 건물이나 학교 병원 및 관공서와 같이 차량의 출입이 많은 곳에 시설을 하게 되면 적은 비용으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차 및 출차동작의 전과정을 차량자체의 동력이 전혀 들어가지 않도록 자동으로 실시하게되어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또 주차관리를 위한 인력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입·출고 과정이 모두 이동장치를 통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난이나 차량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다층의 주차실과,
    상기 주차시설의 전방에서 수평 이동하면서 상·하부의 주차실을 연결하는 수평이동수단과,
    상기 수평이동수단에 지지되어 주차 차량을 승·하강시켜 입·출차시키는 수직이송수단과,
    상기 수평이동수단과 리프가 이동하여 원하는 주차실에 위치하도록 하는 제어수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수단은, 차량의 전·후진입이 가능할 정도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주차시설의 앞면부에 횡으로 설치된 하부레일과,
    상기 주차시설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레일과,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상부레일에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상부레일의 후측에 지지되어 전방으로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안전롤러와,
    상기 하부레일에 지지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수직프레임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수평구동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시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장치는,
    상기 주차시설의 전면에 수평하게 설치된 래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래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 구동시키는 수평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시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수단은,
    후미부 양측에 상기 수평이동수단의 수직프레임에 지지되는 상·하부 수직이동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이동수단의 전방에 외팔보식으로 지지되어 승하강하는 유동팰릿과,
    상기 유동팰릿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구동장치와,
    상기 유동팰릿 상부에 팰릿 및 주차실 고정팰릿으로 차량을 수평 이동시키는 차량입·출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시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구동장치는 수평이동장치의 상부에 설치되는 윈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시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입·출고장치는, 주차되는 차량의 차륜이 놓여지는 상기 유동 및 고정팰릿의 양측 상부에 일정 높이를 갖는 지지대가 일정간격으로 수평하게 이격설치되는 차륜안착부와,
    유동팰릿의 중앙부 양측에 전·후로 놓여지고 이와 나란하게 상기 각 주차실 중앙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레일과,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대차와,
    내부 양측에 양방향으로 출몰되면서 다수의 살단부가 상기 유동 및 고정팰릿의 차륜안착부의 지지대 사이에 엇물리게 삽입되는 한 쌍의 포크를 구비며 상기 대차의 상부에 재치되는 포크지지프레임과,
    상기 대차상에서 상기 포크지지프레임을 일정 높이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를 수평이동하는 대차구동수단은, 상기 유동팰릿의 일측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래크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의 전방 일측에 설치된 피니언 및 이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대차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를 수평이동하는 대차구동수단은, 상기 유동팰릿의 전·후부에 스프로킷과 이에 감겨회전되면서 상기 대차의 전방 일측에 연결된 체인 및 상기 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대차구동모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대차의 양측에 전·후로 설치된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전후부에 설치된 캠롤러와,
    상기 회전축과 기어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일정구간 내에서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포크의 중앙부에 포크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양측의 나사방향이 반대인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너트구조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들과 양측 포크 사이에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절첩되도록 연결된 링크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양측 포크의 중앙부에서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그 축상에 피니언을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의 전후부에 양측 포크의 레크가 맞물리도록 설치하고, 양측 상기 래크의 외측면에 지지롤러를 설치하여 래크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설비.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실의 양측 차륜안착부의 후측에 주차된 차량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KR1020030050704A 2003-07-23 2003-07-23 주차 설비 KR10055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704A KR100556593B1 (ko) 2003-07-23 2003-07-23 주차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704A KR100556593B1 (ko) 2003-07-23 2003-07-23 주차 설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860U Division KR200332635Y1 (ko) 2003-08-21 2003-08-21 주차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556A true KR20050011556A (ko) 2005-01-29
KR100556593B1 KR100556593B1 (ko) 2006-03-07

Family

ID=3722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704A KR100556593B1 (ko) 2003-07-23 2003-07-23 주차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59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7B1 (ko) * 2009-05-15 2011-07-14 권회왕 파레트형 주차설비
CN103821398A (zh) * 2013-10-19 2014-05-28 梁崇彦 一种载车板平面纵向及横向移动系统
CN105178669A (zh) * 2015-10-12 2015-12-23 江苏顺达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架空车库
CN105937323A (zh) * 2016-06-22 2016-09-14 武汉智象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停车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06522620A (zh) * 2016-10-21 2017-03-22 安徽乐库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
CN107060429A (zh) * 2017-05-11 2017-08-18 南安创源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场
CN107060430A (zh) * 2017-05-11 2017-08-18 南安创源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箱式立体停车场专用停车箱
CN108756383A (zh) * 2018-04-20 2018-11-06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载车板移动系统和车辆搬运系统
WO2019015495A1 (zh) * 2017-07-18 2019-01-24 武汉智象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地下停车库及其停车方法
CN110344622A (zh) * 2019-07-04 2019-10-18 天津市职业大学 一种高效汽车停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0097A (zh) * 2020-04-28 2020-08-18 芜湖彰鸿工程技术有限公司 多车位智能机器人停车装备及其停车方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87B1 (ko) * 2009-05-15 2011-07-14 권회왕 파레트형 주차설비
CN103821398A (zh) * 2013-10-19 2014-05-28 梁崇彦 一种载车板平面纵向及横向移动系统
CN103821398B (zh) * 2013-10-19 2015-09-02 梁崇彦 一种载车板平面纵向及横向移动系统
CN105178669B (zh) * 2015-10-12 2017-09-29 江苏顺达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架空车库
CN105178669A (zh) * 2015-10-12 2015-12-23 江苏顺达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架空车库
CN105937323A (zh) * 2016-06-22 2016-09-14 武汉智象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停车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05937323B (zh) * 2016-06-22 2019-07-09 武汉智象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停车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06522620A (zh) * 2016-10-21 2017-03-22 安徽乐库智能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
CN107060429A (zh) * 2017-05-11 2017-08-18 南安创源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立体停车场
CN107060430A (zh) * 2017-05-11 2017-08-18 南安创源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集装箱式立体停车场专用停车箱
WO2019015495A1 (zh) * 2017-07-18 2019-01-24 武汉智象机器人有限公司 一种智能地下停车库及其停车方法
CN108756383A (zh) * 2018-04-20 2018-11-06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载车板移动系统和车辆搬运系统
CN108756383B (zh) * 2018-04-20 2024-02-20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载车板移动系统和车辆搬运系统
CN110344622A (zh) * 2019-07-04 2019-10-18 天津市职业大学 一种高效汽车停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593B1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0130A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KR100556593B1 (ko) 주차 설비
JPH06503618A (ja) 車のような物体を収容するための機械化した全自動制御装置
WO2016008420A1 (zh) 立体车库
JPH1061235A (ja) 最大効率自動駐車装置
JP2004108134A (ja) 駐車システム
JP2016065436A (ja) 機械式駐車設備
KR20100097775A (ko) 로봇을 이용한 자전거 주차장치
JPH06293404A (ja) 搬送装置を備えた棚設備
KR200332635Y1 (ko) 주차 설비
ES2276051T3 (es) Instalacion de almacenamiento.
JPH04353175A (ja) 立体駐車装置
JP2001151310A (ja) 立体収容庫
RU2304207C1 (ru) Многоэтажная стоянка для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US20040037678A1 (en) High throughput parking system
JPH06264638A (ja) 立体駐車場
JPS63284372A (ja) 連棟形立体駐車装置
JP5787227B2 (ja) 棚式駐輪設備
JPH08158686A (ja) 簡易型パレット式立体駐車場
KR910001079B1 (ko) 밀집 주차 방법 및 장치
JPH09256661A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HU226452B1 (hu) Fémanyagú építõelemekbõl összeállított gépesített raktárépület
CN115822347A (zh) 环形多层立体停车库
JP2501979B2 (ja) 立体駐車装置
JP3849732B2 (ja) 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