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1407A -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1407A
KR20050011407A KR1020030050500A KR20030050500A KR20050011407A KR 20050011407 A KR20050011407 A KR 20050011407A KR 1020030050500 A KR1020030050500 A KR 1020030050500A KR 20030050500 A KR20030050500 A KR 20030050500A KR 20050011407 A KR20050011407 A KR 2005001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sb
controller module
memory car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697B1 (ko
Inventor
손창일
방삼룡
안종근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697B1/ko
Priority to TW093121579A priority patent/TWI249137B/zh
Priority to US10/895,666 priority patent/US7287703B2/en
Priority to JP2004216490A priority patent/JP2005044366A/ja
Publication of KR2005001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697B1/ko
Priority to US11/650,667 priority patent/US20070108300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3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taining at least one further contact interface not conform ISO-78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Source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 및 커넥터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는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와의 통신을 위한 복수개의 연결핀들 및 별도의 USB 파워 핀을 구비한다. 커넥터는 USB 파워 공급 핀 및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와 통신하며 상기 USB 호스트와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 카드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USB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USB 호스트 이외의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컨트롤러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전원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모리 카드로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클럭 발진 회로 및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반전 데이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와 USB의 연결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확장성 및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Memory card, connector for Universal Serial Bus and Universal Serial Bus connection system}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을 위한 메모리 카드와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카드(Nand Flash Memory Card) 란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 기입 및 독출(Write and Read)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총칭한다. 예를 들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카드에는 MMC(Multi Media Card), SD(Secure Digital) 카드, CF(Compact Flash)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있다. 모든 낸드 플래시 메모리 카드에 대해서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MMC(Multi Media Card)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기존의 MMC는 MMC 호스트(host)와만 통신할 수 있어 PC(Personal Computer) 및 USB 호스트와의 통신을 위해서는 USB 리더(Reader)라는 장치가 필요하다. USB 리더(Reader)는 내부에 MMC 인터페이스 기능과 USB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높은 가격 및 큰 사이즈를 가진다. 또한 기존의 MMC 컨트롤러(Controller)에 USB 구동 기능을 추가하려면 USB 구동 클럭의 기준(specification)을 만족하기 위해서 MMC 컨트롤러는 외부의 안정된 클럭을 수신해야 한다.
그러나 MMC는 카드 두께의 한계(1.4mm ±0.1mm)로 인하여 수정(Crystal) 발진기와 같은 클럭 발생 소자 및 일반적인 소자들(예를 들어, 저항 등)을 추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USB와 통신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 카드와 USB가 통신하도록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메모리 카드와 USB가 연결되는연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카드의 핀 구성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는 USB(Universal Serial Bus) 파워 핀, 복수개의 연결핀들 및 컨트롤러를 구비한다.컨트롤러는 상기 USB 파워 핀 및 상기 연결핀들을 통하여 외부의 호스트와 통신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USB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USB 호스트 이외의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컨트롤러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전원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상기 메모리 카드는 MMC(Multi Media Card) 이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MMC(Multi Media Card) 컨트롤러 모듈이다.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접지 핀을 공유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한 쪽이 동작되면 다른 한쪽은 동작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클럭 핀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RSV 핀을 통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커맨드 핀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핀을 통하여 반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USB(Universal Serial Bus) 파워 공급 핀,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및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파워 공급 핀 및 상기 공급 연결핀들을 통하여 외부의 메모리 카드와 통신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의 USB 호스트와 통신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모리 카드로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클럭 발진 회로 및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반전 데이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한다. 상기 클럭 발진 회로는 오실레이터 또는 수정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정 발진기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클럭 출력 핀과 연결 클럭 입력 핀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데이터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저항 및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반전 데이터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파워 공급 핀과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접지 핀 사이에 상기 USB 파워 공급 핀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가 연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접지 핀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외부 USB의 실딩(shielding) 접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파워 공급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상기 USB 파워 공급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 및 커넥터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는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와의 통신을 위한 복수개의 연결핀들 및 별도의 USB 파워 핀을 구비한다. 커넥터는 USB 파워 공급 핀 및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와 통신하며 상기 USB 호스트와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상기 메모리 카드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USB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USB 호스트 이외의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컨트롤러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전원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모리 카드로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클럭 발진 회로 및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반전 데이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파워 핀(8), 복수개의 연결핀들(1~7) 및 컨트롤러(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100)는 다양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여기서는 MMC(Multi Media Card)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컨트롤러(110)는 USB 파워 핀(8) 및 연결핀들(1~7)을 통하여 외부의 호스트(미도시)와 통신한다. 컨트롤러(110)는 USB 호스트(미도시)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1 컨트롤러 모듈(120) 및 USB 호스트 이외의 호스트(미도시)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을 구비한다.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은 USB 파워 핀(8)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고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은 복수개의 연결핀들(1~7) 중 전원 전압 핀(4)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은 MMC(Multi Media Card) 컨트롤러 모듈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10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메모리 카드(100)는 외부의 USB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전원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핀인 USB 파워 핀(8)을 구비한다.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은 USB 파워 핀(8)을 통하여 USB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은 외부의 MMC 호스트(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USB 파워 핀(8)과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에 전원 전압을 인가하는 핀은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컨트롤러 모듈(120) 및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은 한 쪽이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동작되면 다른 한쪽은 동작되지 아니한다.
즉, 제 1 컨트롤러 모듈(120)과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의 동작은 특별한 인식 프로토콜(protocol)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인가되는 전원 전압을 분리시켜 구분한다. 결국 메모리 카드(100) 상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나 전원 전압의 공급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므로 서로의 간섭현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이 동작되는 경우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은 전력을 소비하지 아니하고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이 동작되는 경우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은 전력을 소비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 카드의 핀 구성을 설명하는 도표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컨트롤러 모듈(120) 및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의 핀 연결상태를 설명한다.
메모리 카드(100)의 핀 구성을 살펴보면, 연결핀들(1~7)은 RSV 핀(1), 커맨드 핀(2), 접지 핀(3, 6), 전원 전압 핀(4), 클럭 핀(5) 및 데이터(7)핀을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100)가 USB 호스트(미도시) 이외의 외부 호스트(미도시)에 연결되는 경우, 즉,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이 이용되는 경우 연결핀들(1~7)중 RSV 핀(1)은 연결되지 아니하고 명령 핀(2), 접지 핀(3, 6), 클럭 핀(5) 및 데이터 핀(7)이 연결된다.메모리 카드(100)가 외부의 USB 호스트(미도시)와 연결되는 경우, 즉,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이 이용되는 경우,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은 복수개의 연결핀들(1~7) 중 클럭 핀(5)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RSV 핀(1)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 카드(100)가 수정 발진기(미도시)에 의해서 발생되는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클럭 신호의 입력과 출력을 위하여 클럭 핀(5)과 RSV 핀(1)이 모두 이용되지만 만일 오실레이터(oscillator)로부터 발생되는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클럭 핀(5)과 RSV 핀(1) 중 하나만 이용된다. 그리고, 커맨드 핀(2)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핀(7)을 통하여 반전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은 USB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전압은 USB 파워 핀(8)을 통하여 수신한다.
제 1 컨트롤러 모듈(120) 및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은 복수개의 연결핀들(1~7) 중 접지 핀(3, 6)을 공유한다.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은 USB 파워 핀(8)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USB 호스트의 전원 전압 레벨은 보통 5V인데 레귤레이터(미도시)는 이를 3.3V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레귤레이터(미도시)를 외부에 배치하고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은 레귤레이터를 통과한 전원 전압을 수신할 수도 있다. 레귤레이터(미도시)가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USB 파워 핀(8)을 통하여 3.3V의 전원 전압이 수신되며 레귤레이터(미도시)가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에 배치되는 경우는 USB 파워 핀(8)을 통하여 5V 전원 전압이 수신된다.
제 1 컨트롤러 모듈(120)과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을 제외한 메모리 카드(100)의 컨트롤러(110)의 다른 로직들(미도시)의 전원 전압은 USB 파워 핀(8) 또는 연결핀들(1~7) 중의 전원 전압 핀(4)을 통하여 수신된다.
메모리 카드(100) 내부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140)로 공급되는 전원 전압은 USB 파워 핀(8) 또는 연결핀들(1~7) 중의 전원 전압 핀(4)을 통하여 직접 수신되거나 또는 컨트롤러(110)를 통하여 수신된다. 도 1의 메모리 카드(100)가 외부의 USB 호스트(미도시)에 연결되어 동작되기 위해서는 클럭 발생을 위한 발진기나 저항 등이 필요한데 이러한 소자들은 메모리 카드(100)의 두께로 인하여 메모리 카드(100)에 배치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소자들을 장착하고 메모리 카드(100)와 외부의 USB 호스트(미도시)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가 필요하다. 커넥터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파워 공급 핀(38),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31 ~ 37) 및 USB 인터페이스(310)를 구비한다.
커넥터(300)는 USB 파워 공급 핀(38) 및 공급 연결핀들(31 ~ 37)을 통하여외부의 메모리 카드(미도시)와 통신하며 USB 인터페이스(310)를 통하여 외부의 USB 호스트(미도시)와 통신한다. 커넥터(300)는 메모리 카드(미도시)로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클럭 발진 회로(320) 및 USB 호스트(미도시)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반전 데이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330)를 구비한다.
클럭 발진 회로(320)는 오실레이터 또는 수정 발진기 일 수 있다. 수정 발진기는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31 ~ 37) 중 연결 클럭 출력 핀(31)과 연결 클럭 입력 핀(35) 사이에 연결된다. 수정 발진기는 연결 클럭 출력 핀(31)을 통하여 메모리 카드(미도시)로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연결 클럭 입력 핀(35)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수신한다.
만일 클럭 발진 회로(320)가 오실레이터라면 클럭 신호는 연결 클럭 출력 핀(31)과 연결 클럭 입력 핀(35) 중 하나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미도시)로 인가된다.
임피던스 매칭부(330)는 제 1 저항(R1) 및 제 2 저항(R2)을 구비한다. 제 1 저항(R1)은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31 ~ 37) 중 연결 데이터 핀(32)과 USB 인터페이스(3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 1 저항(R1)은 22?? ~ 44??의 저항 값을 가진다.
제 2 저항(R2)은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31 ~ 37) 중 연결 반전 데이터 핀(37)과 USB 인터페이스(3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 2 저항(R2)은 22?? ~ 44??의 저항 값을 가진다.
외부의 USB 호스트(미도시)로부터 데이터와 반전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와 반전 데이터가 인가되는 라인(미도시)과 데이터와 반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라인의 임피던스가 매칭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1 저항(R1)과 제 2 저항(R2)은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저항이다.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31 ~ 37) 중 연결 접지 핀(33, 36)은 USB 인터페이스(310)와 연결되는 외부 USB의 실딩(shielding) 접지와 연결된다. USB 통신을 위한 버스는 일반적으로 4개이고 4개의 버스를 둘러싸는 케이블의 외부에 실딩 접지가 존재한다. 실딩 접지는 연결 접지 핀(33, 36)과 연결한다.커넥터(300)는 USB 파워 공급 핀(38)과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31 ~ 37) 중 연결 접지 핀(33, 36) 사이에 USB 파워 공급 핀(38)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CAP1, CAP2)가 연결된다.
커넥터(300)는 USB 파워 공급 핀(38)과 USB 인터페이스(310) 사이에 USB 파워 공급 핀(38)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3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340)는 5V의 전원 전압 레벨을 3.3V로 전환시킨다. 레귤레이터(340)는 커넥터(300)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의 메모리 카드(100)의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SB 구동 드라이버가 풀 스피드(Full speed)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인가되는 버스에 약 3.3K??의 풀 업(Pull-up) 저항을 연결해야 한다. 또한 풀 업 저항이 연결된 장치가 USB 호스트(미도시)에 연결되면 USB 호스트(미도시)는 USB 클라이언트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풀 업저항은 커넥터(300)에 배치되지 않는다. 대신 풀 업 저항은 도 1의 메모리 카드(100)의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의 데이터 입력 버퍼(미도시)의 패드에 연결된다. 도 1의 메모리 카드(100)의 연결없이 커넥터(300)만 단독으로 USB 호스트(미도시)에 연결될 경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도 3의 커넥터(300)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의 두께로 인하여 메모리 카드에 실장 될 수 없는 클럭 발진 회로(320)나 제 1 및 제 2 저항(R1, R2) 등을 구비하고 메모리 카드(미도시)와 USB 호스트(미도시)를 연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100) 및 커넥터(300)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10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420)와의 통신을 위한 복수개의 연결핀들 및 별도의 USB 파워 핀을 구비한다. 커넥터(300)는 USB 파워 공급 핀 및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을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100)와 통신하며 USB 호스트(420)와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메모리 카드(100)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110)는 USB 호스트(42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1 컨트롤러 모듈(미도시) 및 USB 호스트(420) 이외의 호스트(410)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컨트롤러 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제 1 컨트롤러 모듈(미도시)은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고 제 2 컨트롤러 모듈(미도시)은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전원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커넥터(300)는 메모리 카드(100)로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클럭 발진 회로(미도시) 및 USB 호스트(42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반전 데이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메모리 카드(100)에 별도의 USB 파워 핀을 하나 추가하고, USB 호스트(420)에서 전달되는 전원 전압을 커넥터(300)를 통하여 USB 파워 핀으로 수신한다. USB 파워 핀은 메모리 카드(100)의 ??이나 ②의 위치에 추가한다. 만일 메모리 카드(100)가 고속(High Speed) MMC라면 ③의 위치에 추가한다.
메모리 카드(100)가 USB 호스트(420)와 커넥터(300)를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 메모리 카드(100) 내부의 제 1 컨트롤러 모듈(120)이 동작된다. 메모리 카드(100)가 MMC 호스트(410)와 연결되는 경우 메모리 카드(100) 내부의 제 2 컨트롤러 모듈(130)이 동작된다.
메모리 카드(100) 및 커넥터(300)의 내부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내지 도 3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카드, 커넥터 및 메모리 카드와 USB의 연결 시스템은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확장성 및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8)

  1. USB(Universal Serial Bus) 파워 핀 ;
    복수개의 연결핀들 ; 및
    상기 USB 파워 핀 및 상기 연결핀들을 통하여 외부의 호스트와 통신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USB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1 컨트롤러 모듈 ; 및
    상기 USB 호스트 이외의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컨트롤러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전원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MMC(Multi Media Card) 이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MMC(Multi Media Card) 컨트롤러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접지 핀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한 쪽이 동작되면 다른 한쪽은 동작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클럭 핀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RSV 핀을 통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커맨드 핀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핀을 통하여 반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7. USB(Universal Serial Bus) 파워 공급 핀 ;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 및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USB 파워 공급 핀 및 상기 공급 연결핀들을 통하여 외부의 메모리 카드와 통신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의 USB 호스트와 통신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모리 카드로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클럭 발진 회로 ; 및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반전 데이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진 회로는,
    오실레이터 또는 수정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발진기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클럭 출력 핀과 연결 클럭 입력 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데이터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저항 ; 및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반전 데이터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SB 파워 공급 핀과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접지 핀 사이에 상기 USB 파워 공급 핀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접지 핀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외부 USB의 실딩(shielding) 접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USB 파워 공급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상기 USB 파워 공급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MMC(Multi Media Card)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USB(Universal Serial Bus) 호스트와의 통신을 위한 복수개의 연결핀들 및 별도의 USB 파워 핀을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 ; 및USB 파워 공급 핀 및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와 통신하며 상기 USB 호스트와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USB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1 컨트롤러 모듈 ; 및
    상기 USB 호스트 이외의 호스트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제 2 컨트롤러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전원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는,MMC(Multi Media Card) 이고,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MMC(Multi Media Card) 컨트롤러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접지 핀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 및 상기 제 2 컨트롤러 모듈은, 한 쪽이 동작되면 다른 한쪽은 동작되지 아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핀들 중 클럭 핀을 통하여 클럭 신호를 수신하고, RSV 핀을 통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커맨드 핀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 핀을 통하여 반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트롤러 모듈은,
    상기 USB 파워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메모리 카드로 클럭 신호를 인가하는 클럭 발진 회로 ; 및
    상기 USB 호스트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및 반전 데이터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진 회로는,
    오실레이터 또는 수정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발진기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클럭 출력 핀과 연결 클럭 입력 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매칭부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데이터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1 저항 ; 및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반전 데이터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 2 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파워 공급 핀과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접지 핀 사이에 상기 USB 파워 공급 핀을 통하여 전송되는 전원 전압의 안정화를 위한 커패시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복수개의 공급 연결핀들 중 연결 접지 핀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외부 USB의 실딩(shielding) 접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2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파워 공급 핀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사이에 상기 USB 파워 공급 핀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와 USB 호스트의 연결 시스템.
KR10-2003-0050500A 2003-07-23 2003-07-23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KR100505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500A KR100505697B1 (ko) 2003-07-23 2003-07-23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TW093121579A TWI249137B (en) 2003-07-23 2004-07-20 Removable memory cards including USB and other controllers, connector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10/895,666 US7287703B2 (en) 2003-07-23 2004-07-21 Removable memory cards including USB and other controllers, connector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JP2004216490A JP2005044366A (ja) 2003-07-23 2004-07-23 Usbおよび他のコントローラ、コネクタを具備する着脱式メモリカードおよび動作方法
US11/650,667 US20070108300A1 (en) 2003-07-23 2007-01-08 Removable memory cards including USB and other controllers, connector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500A KR100505697B1 (ko) 2003-07-23 2003-07-23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407A true KR20050011407A (ko) 2005-01-29
KR100505697B1 KR100505697B1 (ko) 2005-08-02

Family

ID=34074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500A KR100505697B1 (ko) 2003-07-23 2003-07-23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287703B2 (ko)
JP (1) JP2005044366A (ko)
KR (1) KR100505697B1 (ko)
TW (1) TWI24913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685A (ko) * 2006-03-10 2007-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Ⅰcc에서 프로토콜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882207B1 (ko) * 2007-04-04 2009-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메모리 장치를 호스트와 독립적으로 인터페이스시키기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697B1 (ko) * 2003-07-23 2005-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US20050041473A1 (en) * 2003-08-06 2005-02-24 Phison Electronics Corp. Non-volatile memory storage integrated circuit
JP2006139556A (ja) * 2004-11-12 2006-06-01 Toshiba Corp メモリカード及びそのカードコントローラ
KR100707308B1 (ko) * 2005-06-13 2007-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엠엠씨 인터페이스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포함한 메모리 시스템
US7464193B2 (en) * 2005-08-29 2008-12-09 Sandisk Il Ltd.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flash memory controller
US20070083559A1 (en) * 2005-10-12 2007-04-12 Harris Brock M Media/data card
US7792859B2 (en) * 2005-10-12 2010-09-07 Hb Media, Llc Media/data card
TW200729210A (en) * 2006-01-27 2007-08-01 Instant Technology Co Ltd Memory card compatible to USB storage disk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TW200734901A (en) * 2006-03-06 2007-09-16 Benq Corp Image-signal adapter which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a computer
EP1887494A1 (fr) * 2006-07-31 2008-02-13 Axalto SA Dispositif électronique disposant de plusieurs interfaces de communication court-circuitables
US20080070699A1 (en) * 2006-09-15 2008-03-20 Sung Park Networked electronic game tracking
CN101192274A (zh) * 2006-11-24 2008-06-04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具有接口触点的卡片及其制作方法
US20080235514A1 (en) * 2007-03-22 2008-09-25 Erf Wireless, Inc. Safeguarding router configuration data
JP2008257506A (ja) * 2007-04-05 2008-10-23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US8327051B2 (en) * 2007-11-20 2012-12-04 Sandisk Technologies Inc. Portable handheld memory card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5117317B2 (ja) * 2008-08-06 2013-01-16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タイムレコーダ
US7802044B2 (en) * 2008-12-24 2010-09-21 Mediatek Inc. Pin shar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a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module and a universal serial bus module
JP2011048756A (ja) * 2009-08-28 2011-03-10 Toshiba Corp メモリモジュール
US8234416B2 (en) * 2010-04-06 2012-07-31 Via Technologies, Inc. Apparatus interoperable with backward compatible optical USB device
US8270840B2 (en) 2010-04-06 2012-09-18 Via Technologies, Inc. Backward compatible optical USB device
KR101822977B1 (ko) * 2010-12-21 2018-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인터페이스 메모리 카드와 이의 동작 방법
JP5792526B2 (ja) * 2011-06-27 2015-10-14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情報保護方法
CN102890553A (zh) * 2011-07-19 2013-01-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内存及具有该内存的内存供电系统
JP5819678B2 (ja) * 2011-08-30 2015-11-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Usbハブ及びusbハブの制御方法
FR2980875B1 (fr) * 2011-10-03 2014-06-20 Oberthur Technologies Dispositif a microcircuit equipe de plages de contac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ispositif
US9159374B2 (en) * 2011-11-02 2015-10-13 Novachips Canada Inc. Flash memory module and memory subsystem
CN102521186B (zh) * 2011-11-22 2015-01-14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USB Key及其与终端进行通信的方法
EP2663164B1 (en) * 2012-05-10 2019-02-13 LG Innotek Co., Ltd. Communication module and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4459386B (zh) * 2014-11-24 2017-11-03 东莞理工学院 一种usb数据线测试仪
US20180011809A9 (en) * 2016-03-25 2018-01-11 Le Holdings (Beijing)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reading uart data
CN117669631A (zh) * 2017-06-05 2024-03-08 铠侠股份有限公司 存储卡及主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354A (en) * 1999-04-05 2000-11-14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Architecture for a universal serial bus-based PC flash disk
KR100402196B1 (ko) * 1999-11-25 2003-10-22 리-호 야오 두 개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메모리카드 및 그의 전환모듈
KR100391489B1 (ko) * 2000-04-12 2003-07-12 리-호 야오 복수 인터페이스 메모리카드 및 그 전환모듈
JP4650651B2 (ja) * 2000-08-31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メモリカード、並びにプログラム格納媒体
KR20020037779A (ko) * 2000-11-15 2002-05-23 최천우 Usb포트 동작형 ic카드시스템
JP2003067320A (ja) * 2001-08-15 2003-03-07 Carry Computer Engineering Co Ltd 通信協定装置を具えたダブルインタフェース保存通信ネットワークカード
TWI286763B (en) * 2002-04-19 2007-09-11 Carry Computer Eng Co Ltd Dual-interface SD flash memory card
US20040033727A1 (en) * 2002-08-16 2004-02-19 Chi-Lei Kao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40087213A1 (en) * 2002-08-16 2004-05-06 Chi-Lei Kao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KR100476929B1 (ko) * 2002-09-03 2005-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형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갖는 유에스비 시스템
TWI222009B (en) * 2003-03-21 2004-10-11 Carry Computer Eng Co Ltd Universal micro memory card
KR100505697B1 (ko) * 2003-07-23 2005-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2685A (ko) * 2006-03-10 2007-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Ⅰcc에서 프로토콜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882207B1 (ko) * 2007-04-04 2009-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메모리 장치를 호스트와 독립적으로 인터페이스시키기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8300A1 (en) 2007-05-17
US7287703B2 (en) 2007-10-30
KR100505697B1 (ko) 2005-08-02
JP2005044366A (ja) 2005-02-17
US20050021895A1 (en) 2005-01-27
TW200511139A (en) 2005-03-16
TWI249137B (en) 200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697B1 (ko) 메모리 카드 및 usb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및 연결 시스템
US20230106495A1 (en) Memory card and host device thereof
US75197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s of PC cards and a passive-card-adapting card used for connecting one of the PC cards to the apparatus
KR100524988B1 (ko) Usb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mmc 장치 및 이에대한 인터페이스 방법
US7809866B2 (en) Double interface SD flash memory card
EP2040174B1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20060200620A1 (en) Memory hub with integrated non-volatile memory
US6684283B1 (en) Method for interfacing a cardbay card to the host system by indicating a 16-bit or cardbus PC card insertion to host software
US20060047982A1 (en) Mult-interface auto-switch circuit and memory device with dual interface auto-switch circuit
US20050182881A1 (en) Extended-Secure-Digital Interface Using a Second Protocol for Faster Transfers
US6681991B1 (en) Card reading device having a multi-functional connector
ATE357020T1 (de) Zwei-schnittstellenspeicherkarte und anpassungsmodul dafür
US20060161716A1 (en) Adapter for connecting a portable memory unit to a host, and a memory device having the adapter
US20070067539A1 (en) Enhanced CCID circuits and systems utilizing USB and PCI functions
JP2013012211A (ja) レセプタクルデバイス
US5877882A (en) Optical docking station
EP0709785B1 (en) Internal state determining apparatus
US20100125692A1 (en) Computer interface kit and computer interface device thereof
US20060095626A1 (en) Multifunction adapter
CN214480922U (zh) 一种摄像控制模组
JPH0736586A (ja) 異種メモリカード用変換アダプタ
KR200385063Y1 (ko) 고속 카드 인터페이스 어댑터
KR200394660Y1 (ko) 카드 검출기를 구비한 유에스비 커넥터
KR20010063912A (ko) 마스터 및 슬레이브 기능 변환장치
EP1679609A1 (en) Multifunction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