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819A -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819A
KR20050010819A KR10-2004-7018649A KR20047018649A KR20050010819A KR 20050010819 A KR20050010819 A KR 20050010819A KR 20047018649 A KR20047018649 A KR 20047018649A KR 20050010819 A KR20050010819 A KR 20050010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ndroitin sulfate
protein complex
composition
sulfate protein
u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로타이츠키
니시카와마사즈미
타마이타다카즈
요시카이카즈요시
키하라미노루
Original Assignee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8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8Substances of animal origin,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4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besit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이다. 이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은 혈청 요산치 저하 작용을 가지며, 특히, 통풍(痛風)의 치료, 통풍발작의 예방 및 경감의 새로운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hyperuricemia}
통풍(痛風)은 최근의 식생활 향상에 따라, 중대한 생활 습관병이 되고 있다. 통풍은 체내에 발생한 과잉의 요산이 손가락 및 발가락 등에 요산칼슘으로서 침착 함으로써 발생하여, 돌연히 심한 아픔을 발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통풍의 치료에는, ①체내에서의 요산의 축적을 저해하기 위한 요산 합성 저해제의 사용, 및, ②체내에 축적된 요산을 신속하게 배설하기 위한 요산 배설 촉진제나 소변의 알칼리화제의 사용이 행해지고 있다.
현재,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요산 합성 저해제로서 알로푸리놀(allopurinol)을 들 수 있다. 요산 배설 촉진제로서는 프로베네시드(probenecid), 설핀피라존(sulfinpyrazone), 벤즈브로마론(benzbromarone)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알로푸리놀은 피진(皮疹), 중독증후군, 골수억제, 간장해 등의 전신성 과민증상을 발생시키는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 그 사용에는 충분한 배려가 요구된다. 또한, 벤즈브로마론 등의 요산 배설 촉진제도, 사용법을 틀리면 오히려 통풍발작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콘드로이틴황산은 대표적인 황산화 무코다당이며, 0-황산기의 위치나 수에 의해 A∼K의 서브타입(subtypes)이 존재한다. 연골에는 콘드로이틴황산 A, C가, 피부에는 콘드로이틴황산 B가 존재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는데, 상어 연골에는, 콘드로이틴황산 D, 오징어 연골에는 콘드로이틴황산 E, 투구게 연골에는 콘드로이틴황산 K와 같은 황산기의 함유율이 높은 콘드로이틴황산도 포함되어 있다(도쿄 화학동인의 생화학사전 제3판 제556페이지의 콘드로이틴황산의 항을 참조).
콘드로이틴황산은 정상적인 생체에서는 유리(遊離)의 상태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단백질과 결합한 무코다당 단백질(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로서 존재하여, 그 기능을 발휘한다(New Food Industry, vol.41, No.9, 1999를 참조). 프로테오글리칸은, 주로 연골, 피부, 힘줄, 인대, 뼈 등에 분포하며, 그 중에서도 연골 중에 특히 많이 포함된다(New Food Industry, vol.40, No.2, 1998을 참조).
그 생리기능으로서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구성하여 실질 세포를 유지하는 것이며, 각 기관의 특정 구조를 짜는 데 있다(New Food Industry, vol.41, No.9, 1999를 참조). 또한 그 외에, 매우 보수성(保水性)이 커서 생체중에서의 수분을 통한 영양운반, 흡수에 관여하고 있으며(New Food Industry, vol.31, No.9, 1989를 참조), 최근의 생화학적 연구의 진보 및 동물 실험을 포함시킨 임상시험의 경험으로부터, 대표적인 특징으로서, 체내 수분량을 조절하고, 뼈의 형성을 도우며,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히 하고, 혈중 지질을 개선하며, 혈관신생을 조절하고, 세포를 드나드는 물질을 조절하며, 상처를 신속히 치료하고, 세균의 감염을 막으며, 혈액응고를 억제하고, 눈의 투명도를 유지한다고 하는 10항목을 들 수 있다(New Food Industry, vol.41, No.9, 1999를 참조).
예를 들면, 본원 출원인은 골다공증을 유발시킨 쥐에, 칼슘 또는 그 함유물을 칼슘으로 환산하여 3중량부당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를 20∼80중량부 첨가한 사료, 또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비첨가의 사료를 섭취시킨 결과,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섭식군은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비섭식군에 비해서, 칼슘 흡수가 촉진되어, 뼈 강도가 증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일본국 특허 제3248170호 공보를 참조).
본 발명은 혈청 요산치 저하 작용을 갖는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후기 실험예 2에 있어서 고요산 혈증 유발물질 섭식군(攝食群)과 고요산 혈증 유발물질+SCP 섭식군의 혈청 요산치의 변동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후기 실험예 2에 있어서 고요산 혈증 유발물질 섭식군과 섭식 개시 29일째에 고요산 혈증 유발물질 섭식에서 고요산 혈증 유발물질+SCP 섭식으로 전환한 군(群)의 혈청 요산치의 변동을 조사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후기 실험예 3에 있어서 28일간 시험식 섭식 후의 혈청 요산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혈청 요산치 저하 작용을 가지며, 특히, 통풍의 치료, 통풍발작의 예방 및 경감의 새로운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 타입의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혈청 요산치를 저하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본 발명의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의 함유량이 10mg∼5g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함유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통풍발작시에는 요산 대사 항상성 기구(homeostatic mechanism)에 이상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혈청 요산치를 저하시킨다고 하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에 의해, 종래의 요산 합성 저해제의 사용이나 요산 배설 촉진제의 사용과는 다른, 통풍의 치료, 통풍발작의 증상을 예방 및 경감하는 새로운 방법의 가능성을 연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는 천연물 유래이며, 일반적으로 먹고 있는 식품중의 한 성분이기 때문에, 그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다. 상기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연골어류, 경골어류,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생류, 갑각류 또는 연체동물 유래의 것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연골어류 유래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는, 도 4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순서에 준하여 제조된다. 즉, 연골을 원료로 하는 경우, 상어, 소 등의 연골을 프로테아제에 의해 소화 후, 소화물을 정제(여과, 활성탄 처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분무건조하여 제조된다. 또한, 연골을 열수(熱水)로 추출 후 또는 연골을 염산 등의 산으로 분해 후, 추출물 또는 분해물을 정제(여과, 활성탄 처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분무건조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는, 예를 들면, SCP, SCP(NB)(이상,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Maruha Corporation)제), 콘드로이틴 Q(20%)(큐피 가부시키가이샤제), SNC(가부시키가이샤 니치로(Nichiro Corporation)제), 콘드로이틴황산(식품용)(신닛폰 야쿠교 가부시키가이샤(Shin Nippon Yakugyo Co., Ltd.)제), 콘드로이틴황산(연대동성생화유한공사제), PCS-20(Pacific Corporation제) 등으로서도 시판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들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로서는, 무코다당을 황산바륨 중량법에 따라 측정한 경우, 무코다당을 15질량%이상, 특히 30질량%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단법인 일본건강ㆍ영양식품협회(Japan Health & Nutrition Food Association) 무코다당ㆍ단백식품 규격기준의 무코다당ㆍ단백의 함유량 측정법인 카르바졸황산법(carbazole-sulfuric acid method)에 따라 측정한 경우에서는, 무코다당을 6질량%이상, 특히 13질량%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는, 단백질에 대해서는, 재단법인 일본건강ㆍ영양식품협회 무코다당ㆍ단백식품 규격기준의 무코다당ㆍ단백의 함유량 측정법인 세미마이크로 켈달법(semi-micro Kjeldahl method)에 따라 측정한 경우, 단백질을 4질량%이상, 특히 20질량%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는 pH가 4.0∼8.0, 특히 5.5∼7.0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건조감량이 20.0질량%이하, 특히 10.0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강열잔분(회분(灰分))이 1.0∼20.0질량%, 특히 5.0∼2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지질의 함유량이 5.0질량%이하, 특히 1.0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외에, 필요하다면, 당류 또는 염 등의 등장제(等張劑), 생체 내의 pH에 적응하는 pH를 제공하는 완충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흡수지연제 등을 함유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락토오스, 백토(白土), 수크로오스(Sucrose), 덱스트린, 탤크, 젤라틴, 한천(寒天), 펙틴, 아카시아,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적당한 고체 담체를 사용하여, 정제(錠劑), 산제(散劑), 과립제, 트로키제 또는 캡슐제로 하거나, 시럽, 식물오일(vegetable oils), 물 등의 액체 담체를 적절히 사용하여, 시럽이나 소프트 젤라틴 캡슐제나 드링크제로서, 경구투여에 의해 섭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식품에 첨가한 형태로 섭취시킬 수도 있으며, 목적으로 하는 식품의 형상에 맞춰 어떠한 형태로서 첨가하더라도 효과가 변하는 것이 아니다. 그 때문에 많은 식품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빵, 프랑스빵, 버터롤, 밀크쉐이크, 콘스프, 포타주스프, 카레, 스튜 등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의 함유량은, 하기의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의 유효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루의 복용 횟수나 용량을 고려해서 결정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다른 식품에 첨가하는 경우도, 하기의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의 유효량을 기준으로 하여, 그 첨가량을 결정하면 된다.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의 유효량은, 혈청 요산치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성인 하루당, 정제물로서, 바람직하게는 10mg∼5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g∼1g이며, 하루에 1회∼수회로 나누어 섭취한다. 단, 여기에 나타내는 하루당의 섭취량은 단지 기준으로서 나타내는 것이며, 구체적 섭취량은, 섭취자의 연령, 체중, 성별, 증상, 그 밖의 상황에 따라서 결정해야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청 요산치의 저하를 필요로 하는 경우란, 통풍의 발작이 발생하고 있거나, 식사 또는 음주의 직전, 한창 진행되고 있는 도중, 직후와 같이 통풍 발작의 위험성이 예측되는 경우이다. 또한, 혈청 요산치가 7.0mg/dl을 넘을 때도, 그 값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실험예 및 실시예를 들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험예 및 실시예에 조금도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생후 7주된 SD 자성(雌性) 쥐(n=5, 합계 10마리)에, 상어 유래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SCP: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제) 또는 증류수(대조)를 상기 쥐의 체중 1kg당 1g량을 14일간 강제로 위 내에 투여하였다. 투여 종료 후,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 혈청화하여, GOT, GPT,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글루코오스, 총 빌리루빈(bilirubin), 총 단백질, 알부민, 요소질소, 크레아티닌(creatinine), Ca, Na, Cl, 알칼리포스파타아제(ALP), 요산의 합계 15항목의 생화학 검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SCP군(群)은 요산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값(p〈0.01)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대조군 SCP군 T-test
총 단백질(g/dl) 4.82 5.32 n.s.
HDL-콜레스테롤(mg/dl) 39.0 34.0 n.s.
알부민(g/dl) 3.22 3.16 n.s.
총 빌리루빈(mg/dl) 0.24 0.26 n.s.
글루코오스(mg/dl) 122.0 117.0 n.s.
총 콜레스테롤(mg/dl) 70.0 53.7 n.s.
요소질소(mg/dl) 20.3 21.0 n.s.
크레아티닌(mg/dl) 0.46 0.40 n.s.
나트륨(mEq/l) 128.2 123.8 n.s.
염소(mEq/l) 89.8 86.4 n.s.
GOT(IU/1/37℃) 56.6 49.6 n.s.
GPT(IU/1/37℃) 16.3 17.3 n.s.
ALP(KAU) 548.0 557.0 n.s.
칼슘(mg/100ml) 9.76 9.38 n.s.
요산(mg/100ml) 1.13 0.47 p〈0.01
n.s.:유의차 없음
(실험예 2)
순화(馴化) 사육 종료 후, 생후 10주된 SD 자성 쥐(n=6, 합계 18마리)에, 오리엔탈 효모(주)(Oriental Yeast Co., Ltd.)제의 오리엔탈 배합 사료에 고요산 혈증을 유발시키는 옥손산칼륨(potassium oxonate)을 전체의 2.5질량% 함유시킨 사료(유발식(誘發食)), 또는, 이 사료(유발식)에 또한 상어 유래의 콘드로이틴황산단백 복합체(SCP: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전체의 1.5질량% 함유시킨 사료(유발+SCP식)를 자유 섭식(10∼15g/day)시키고, 혈청 요산치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실험군은, "유발식군"과 "유발+SCP식군"의 2군, 혈청 요산치가 양군 사이에서 차이가 생긴 시점에서 유발식에서 유발+SCP식으로 전환하는 "유발식→유발+SCP식군"의 합계 3군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혈청 요산치에 대해서는, "유발식군"이 서서히 상승해 갔던 것에 비하여, "유발+SCP식군"은 2mg/ml 전후의 값을 유지하였으므로, 시험 개시 후 29일 이후에서, "유발+SCP식군"이 "유발식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아졌다(p〈0.001). 또한, "유발식→유발+SCP식군"은 시료의 전환을 행한 후, 혈청 요산치가 거의 변동하지 않게 되고, 사료 전환 약 10일 후에 "유발식→유발+SCP식군"은 "유발식군"에 비하여, 혈청 요산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p〈0.01).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실험예 3)
순화 사육 종료 후, 생후 4주된 Wister 웅성(雄性) 쥐(n=6, 합계 60마리)에, 오리엔탈 효모(주)제의 오리엔탈 배합 사료에 고요산 혈증을 유발시키는 옥손산칼륨을 전체의 3질량% 함유시킨 사료(유발식), 또는, 이 사료(유발식)에 또한 상어 유래, 연어 유래, 소 유래 혹은 닭 유래의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SCP, 연어 유래 SCP, 소 유래 SCP, 닭 유래 SCP: 모두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제)를 전체의 2.5질량% 함유시킨 사료를 주어(10∼17.5g/day) 사육하고, 혈청 요산치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4종류의 "유발+SCP"군은 사료 섭식 28일째에 혈청 요산치가 "유발"군보다도 유의하게 저값(p〈0.05)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이상의 실험예의 결과로부터,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는 혈청 요산치 저하 작용을 갖는다고 판단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
하기〔원재료〕를 사용하고, 관용의 정제(錠劑) 보조제를 사용하여, 관용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ㆍ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150mg
(SCP: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제)
ㆍ콜라겐 펩티드 50mg
ㆍ곡물 엑기스 50mg
ㆍ비타민 B20.06mg
ㆍ비타민 C 5mg
ㆍ젖당 200mg
ㆍ셀룰로오스 49.89mg
얻어진 정제에 대한 분석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분석시험 방법은, 재단법인 일본건강ㆍ영양식품협회의 건강보조식품 규격기준의 시험방법에준거하였다. 후술하는 분석시험 결과의 시험방법도 동일하다.
분석시험 항목 결과 주(注)
리포플라빈(비타민 B2) 11.3mg/100g -
총 아스코르빈산(총 비타민 C) 1.21g/100g 1
무코다당ㆍ단백의 함유량 39.5질량% 2
콘드로이틴황산의 확인 한도 내 2
분석시험성적서 제102032302-001호 및 제102032302-001호-별첨(모두 2002년 3월 29일 일본식품분석센타 발행)의 결과로부터 계산하였다.
주 1: 히드라지드(hydrazide)로 유도체화한 후, 측정하였다.
주 2: 일본건강ㆍ영양식품협회 규격기준 "무코다당ㆍ단백함유 식품"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SCP: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분석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분석시험 항목 결과
무코다당의 함유량 24.3질량%(주 3)
단백질의 함유량 40.9질량%
중금속의 함유량 20ppm이하
비소의 함유량 2ppm이하
일반 생균수 1.0×103이하
대장균군 음성
주 3: 황산바륨 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하기〔원재료〕를 사용하고, 관용의 정제 보조제를 사용하여, 관용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ㆍ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150mg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SCP: 마루하 가부시키가이샤제)
ㆍ젖당 137.9mg
ㆍ비타민 C 0.1mg
ㆍ향료 2mg
ㆍ스테비아 10mg
얻어진 정제에 대한 분석시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분석시험 항목 결과
무코다당ㆍ단백의 함유량 41.6질량% 4
콘드로이틴황산의 확인 한도 내 4
콘드로이틴황산과 단백질의 비율의 확인 0.5 4
한 알의 무게 0.298g -
분석시험성적서 제102030514-005호 및 제102030514-006호(모두 2002년 3월 19일 일본식품분석센타 발행)의 결과 및 한 알의 무게로부터 계산하였다.
주 4: 일본건강ㆍ영양식품협회 규격기준 "무코다당ㆍ단백함유 식품"의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였다.
(실시예 3)
하기〔원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식빵을 제조하였다.
〔원재료〕
ㆍ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1g
ㆍ강력분 248.37g
ㆍ드라이이스트 3g
ㆍ식염 5g
ㆍ설탕 10g
ㆍ탈지유 3g
ㆍ버터 10g
(실시예 4)
하기〔원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스프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ㆍ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1g
ㆍ스위트콘 250.0g
ㆍ버터 30g
ㆍ양파 20g
ㆍ소맥분 15g
ㆍ우유 200ml
ㆍ식염 1.5g
ㆍ후추 0.1g
ㆍ설탕 1g
ㆍ마늘 5mg
ㆍ셀러리 5mg
ㆍ월계수 1mg
ㆍ글루타민산나트륨 0.1g
ㆍ이노신산나트륨 0.01g
(실시예 5)
하기〔원재료〕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레토르트 카레를 제조하였다.
〔원재료〕
ㆍ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12.5g
ㆍ당근 100g
ㆍ감자 300g
ㆍ양파 200g
ㆍ소고기 300g
ㆍ카레분말 5g
ㆍ소맥분 30g
ㆍ식염 5g
ㆍ후추 1g
ㆍ설탕 0.1g
ㆍ글루타민산나트륨 1g
본 발명의 효과는 혈청 요산치 저하 작용을 가지며, 특히, 통풍의 치료, 통풍발작의 예방 및 경감의 새로운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신규 타입의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 것에 있다.

Claims (10)

  1.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연골어류 유래의 것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경골어류 유래의 것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포유류 또는 조류 유래의 것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파충류, 양생류, 갑각류 또는 연체동물 유래의 것인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동물의 연골의 프로테아제 소화물을 정제함으로써 얻어진 것인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가 동물의 연골의 열수(熱水) 추출물 또는 산분해물을 정제함으로써 얻어진 것인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를 하루당 10mg∼5g의 범위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제제(製劑)된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통풍(痛風)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인 조성물.
  10. 제 1 항에 기재된 조성물을,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의 함유량이 10mg∼5g의 범위가 되도록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드로이틴황산 단백 복합체 함유 식품.
KR10-2004-7018649A 2002-05-20 2003-05-16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50010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5285 2002-05-20
JP2002145285A JP2003335698A (ja) 2002-05-20 2002-05-20 高尿酸血症治療又は予防用組成物
PCT/JP2003/006140 WO2003097081A1 (fr) 2002-05-20 2003-05-16 Composition pour traiter ou prevenir une hyperuricem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819A true KR20050010819A (ko) 2005-01-28

Family

ID=2954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649A KR20050010819A (ko) 2002-05-20 2003-05-16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22010A1 (ko)
EP (1) EP1506785B1 (ko)
JP (1) JP2003335698A (ko)
KR (1) KR20050010819A (ko)
CN (1) CN1655810A (ko)
CA (1) CA2486313A1 (ko)
WO (1) WO20030970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30017B1 (en) * 2005-09-29 2012-05-23 Maruha Nichiro Seafoods, Inc. Composition effectiv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dult disease
CN101230369B (zh) * 2007-01-25 2011-02-09 浙江海洋学院 软骨素的提取方法
CN102077933B (zh) * 2010-09-20 2013-04-24 王强 一种高尿酸患者专用的海洋特膳食品
WO2012070905A2 (ko) * 2010-11-26 2012-05-31 Kim Young-Moon 인체의 희귀 난치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연체동물 추출물
WO2014050717A1 (ja) * 2012-09-27 2014-04-03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肌の状態の改善剤
CN103446175A (zh) * 2013-09-03 2013-12-18 中国海洋大学 水溶性氨基糖在制备治疗高尿酸血症、痛风、肾病的药物和保健品中的应用
CN103719990B (zh) * 2013-12-17 2018-10-12 浙江现代中药与天然药物研究院有限公司 一种含有螺旋藻和鲣鱼骨提取物的功能性饮料
JP5992065B2 (ja) * 2015-04-02 2016-09-14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アスコルビン酸及びその類縁体を安定配合した組成物
CN105709207A (zh) * 2016-01-29 2016-06-29 徐宝贞 一种用于治疗痛风的药物
CN110547466A (zh) * 2019-09-25 2019-12-10 浙江海洋大学 一种功能性鱿鱼软骨低聚糖泡腾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0657A1 (en) 1991-11-15 1993-05-16 Glen M. Hartung Method for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painful arthropathic conditions in human and other mammals
JP3248170B2 (ja) * 1992-12-11 2002-01-21 マルハ株式会社 コンドロイチン硫酸蛋白複合体含有食品
JP3693359B2 (ja) * 1993-07-21 2005-09-07 マルハ株式会社 骨強化促進剤
JPH07308169A (ja) * 1994-05-16 1995-11-28 Haputo Internatl:Kk 加工食品用配合剤
US5888514A (en) 1997-05-23 1999-03-30 Weisman; Bernard Natural composition for treating bone or joint inflammation
FR2791262B1 (fr) 1999-03-22 2001-09-28 Virbac Sa Compositions a base de chondroitine et de chitosan pour la protection, le traitement ou le remplacement des tissus conjonctifs
JP4034024B2 (ja) * 2000-02-22 2008-01-16 株式会社日本バリアフリー 機能性食品
DK1283713T3 (da) * 2000-05-12 2006-07-10 Bengt Krister Olson Kombinerede brusk- og planteekstraktpræpar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5810A (zh) 2005-08-17
EP1506785A4 (en) 2009-07-29
EP1506785A1 (en) 2005-02-16
CA2486313A1 (en) 2003-11-27
US20050222010A1 (en) 2005-10-06
JP2003335698A (ja) 2003-11-25
EP1506785B1 (en) 2013-04-03
WO2003097081A1 (fr)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9734A1 (en) Avian sternal cartilage composition and method of administering
AU2003253371B2 (en) Calcium absorption enhancer
JP2017507920A (ja) 食事性脂肪吸収の低下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オクラを含む組成物
KR20050010819A (ko) 고요산 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13855B1 (ko) 알긴산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L190301B1 (pl) Zastosowanie lektyn i środek farmaceutyczny
JP3280420B2 (ja) 豆乳を含むカルシウム吸収促進組成物
US5880109A (en) Method of accelerating intestinal absorption of calcium in mammals
JP3501237B2 (ja) ミネラル吸収促進剤
JPWO2006120974A1 (ja) 軟骨代謝異常疾患改善用健康食品及び医薬品組成物
JPH0453471A (ja) 骨強化食品、飼料及び医薬
KR20060024766A (ko) 혈중 저분자량질소함유화합물의 농도를 저감시키는질병개선용식품
CN108208813A (zh) 一种具有保健作用的减肥消脂片及其制备方法
Hallfrisch et al. Effect of feeding sucrose or starch to rats made diabetic with streptozotocin
WO2005120541A1 (ja) 血圧降下作用を増強したタンパク質の製造方法
WO2015190682A1 (ko) 쿠마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
JP3248170B2 (ja) コンドロイチン硫酸蛋白複合体含有食品
Jang et al. Effect of anchovy treated with ethanol, citric acid and dietary calcium supplements on calcium metabolism in rats
JP6629469B1 (ja) コンドロイチン硫酸含有ブタ軟骨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圧上昇抑制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JP2012188426A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JP4493736B2 (ja) キチンを含有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性組成物およびミネラル吸収促進用添加剤
CN1927057A (zh) 魔芋精粉方便面
CN1612698A (zh) 改良的富含甲硫氨酸的食品和它们的制造方法
JP2012162472A (ja) 脂質排泄促進剤
JP2000333643A (ja) 高分子量キチンまたはキトサンを含有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