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0387A -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0387A
KR20050010387A KR1020030049617A KR20030049617A KR20050010387A KR 20050010387 A KR20050010387 A KR 20050010387A KR 1020030049617 A KR1020030049617 A KR 1020030049617A KR 20030049617 A KR20030049617 A KR 20030049617A KR 20050010387 A KR20050010387 A KR 20050010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k
fructus
radix
heated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세종
Original Assignee
방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세종 filed Critical 방세종
Priority to KR102003004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0387A/ko
Publication of KR2005001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3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엄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장에서 자연건조 30일간 건조한 후, 공기가 통하지 않는 비닐 봉지에 남아 저온실에 보관한 다음, 엄나무수피3kg을 오존살균 세척기에 잔류농약과 이물질 제거 및 살균 소독을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엄나무수피를 정수 200ℓ을 제1용기에 넣어 30~100℃로 6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다음,
두충300g, 진피300g, 대추300g, 감초300g, 백출 100g, 산수유100g, 산사자 100g, 황기 200g, 복령200g, 모과300g, 당귀200g, 갈근 600g, 사인200g을 오존살균세척기에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잔류농약 및 살균소독을 한 다음, 정수 200ℓ을 제2용기에 넣어 30~100℃에서 4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후에,
상기 엄나무피를 가열 여과한 액과 함께 제3용기에 혼합하여 다시 2시간 정도 30~100℃로 가열하여 원하는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음료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of health drink}
본 발명은 엄나무 수피의 주성분을 주재로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엄나무수피(해동피)와 이미 널리 알려진 풀, 뿌리, 넝쿨 등을 끓여서 농축시켜 복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키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문화와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의해 정신적, 육체적 활동과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체력의 저하를 다양한 증상으로 느끼며 살아가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자양강장 음료 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미 일부는 일반화되어 있고, 한약재를 원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왔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33537호에는 제올라이트와 백복령을 이용한 식음용수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97-68910호에는 연옥분을 녹차 등에 혼합하여 제조된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2-0009754호에는 비파열매를 주재로한 과실쥬스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공보 공개번호 특2002-0024127호에는 한약재료와 해조류와 동물, 광물, 식물, 건강식품을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약이 되는 물질을 함유한 음료가 기술되어 있고,
동공보 공개번호 특1995-0013394호에는 양파분말, 마늘분말, 소맥분, 리보플라빈을 혼합하여 자연염이든 물로 반죽한 다음, 국수를 제조하는 양파를 이용한 콜레스테롤 제거 건강국수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23938호에는 삼백초와 쑥 및 신선초를 추출한 후에 고온 농축하여 알카리성 식품으로 사용하는 생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1998-72976호에는 대추, 검정콩, 감초, 당귀 목단, 백작약 잔대, 올리고당을 주재로 한 건강음료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98-61431호에는 자양강장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원료로 한 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원료를 추출 농축한 다음 차를 제조하거나, 건강음료를 제조하여 편리하게 시음할 수 있으나, 원료의 구입이 어렵고 고가이기 때문에 쉽게 차를 제조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으며, 약리성과 자극적인 독성으로 인하여 맛감각 적으로의 불쾌감은 물론, 장기 복용 시 체내에 과대한 부담을 주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검증이 된 값싸고,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풀, 뿌리 넝쿨 등을 주원료로 하는 추출 및 제조과정을 거쳐 음료를 제조함으로서 취급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시음할 수 있으며, 숙취해소작용 및 현대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엄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장에서 자연건조 30일간 건조한 후, 공기가 통하지 않는 비닐 봉지에 남아 저온실에 보관한 다음, 엄나무수피3Kg을 오존살균 세척기에 잔류농약과 이물질 제거 및 살균 소독을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엄나무수피를 정수 200ℓ을 제1용기에 넣어 30~100℃로 6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다음,
두충300g, 진피300g, 대추300g, 감초300g, 백출 100g, 산수유100g, 산사자 100g, 황기 200g, 복령200g, 모과300g, 당귀200g, 갈근 600g, 사인200g를 오존살균세척기에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잔류농약 및 살균소독을 한 다음, 정수 200ℓ을 제2용기에 넣어 30~100℃에서 4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후에,
상기 엄나무피를 가열 여과한 액과 함께 제3용기에 혼합하여 다시 2시간 정도 30~100℃로 가열하여 원하는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엄나무피(海桐皮 생약명:해동피)는 학명이Kalopanax pictusNakai인 엄나무의 껍질이며, 엄나무는 음나무, 해동목, 개두룹나무, 며느리채찍나무라고도 불리며 한국, 일본, 만주, 중국에 자생하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낙엽교목이며, 높이 25m에 달하며, 가지는 굵으며 크고 밑이 퍼진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9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록색이며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에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5개씩이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나무껍질은 약용하며 뿌리와 어린잎은 식용한다. 농촌에서는 잡귀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엄나무의 가지를 대문 위에 꽂아 둔다. 지방에 따라서는 개두릅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잎 뒷면에 털이 밀생한 것을 털엄나무(var. magnificus)라고 하며, 잎이 깊게 갈라지고 뒷면에 흰털이 다소 있는 것을 가는잎엄나무(var. maximowiczii)라고 한다. 한국·일본·만주·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나무껍질은 검은 회색을 띠고 가지에는 굵고 날카로운 가시가 총총하게 박혀 있다. 옛날부터 잡귀를 쫓는다고 해서 가지를 문설주에 매달아 두는 풍습이 있었다. 잎은 어긋달리고 잎자루는 10~30cm 정도로 길며 5~9개로 얕게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을 한다. 오동나무 잎을 닮았다고 해서 일명 해동이라고 부르고 있다.
뿌리의 껍질을 벗겨서 말린 것을 해동피라고 하고 한방에서는 진해, 거담, 신장병, 당뇨병, 위염, 위궤양, 이뇨, 치풍(治風), 구풍제로 신경통, 류머티즘의 요약으로쓰고, 치담제(治痰劑)로 요통에 쓴다.
음나무는 오갈피나무과에 소속되는 넓은 잎을 지니는 다년성 목복이다. 음나무의 수피는 해동피(海桐皮 . Kalopanacis cortex) 라 해서 널리 약용된다.
이 생약은 낙엽교목으로 25m까지 자라며 가지에는 가시가 있다. 잎은 오갈피나무과의 공통된 특징인 손바닥모양을 한 잎인데 보통 5∼9갈래로 갈라져 있다. 꽃은 항록색인데 5∼6월경에 피며 산형화서로서 정생(頂生)한다. 과실은 핵과로 되어 있고 구형(球形)인데 10월에 흑색으로 익으며 그안에 1∼2개의 종자가 들어가 있다. 근피를 일부에서는 해동피라고하고 있으나 성분상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뿌리를 해동근(海桐根)이라고도 하며 가지를 모아서 해동목(海桐木)이라고도 해서 역시 약용하나 성분상의 차이는 없다. 중국에서는 콩과에 소속되는 Erythrina indica의 수피를 해동피라고 해서 같은 목적에 쓰이기는 하나 성분상에는 차이가 있는데 여기에는 alkaloid가 들어있다.
해동피 기원식물을 음나무류로 규정짓고 있는 것은 동양삼국에서 우리나라뿐인데 이런 까닭으로 해서 음나무는 고려때부터 동약의 일종으로 이용되어 왔다는 것을 인식할 수가 있다. 이 생약은 거풍습( 風濕)하고 활혈(活血)하며 진통, 소종(消腫)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신경통, 요통, 관절염 등에 많이 쓰일 뿐 아니라 피부진균류에 대해서도 강력한 저지 효과가 있어 개선(疥癬)등의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고 이것은 이 생약이 지니는 헤드라제닌모노디모사이드(hederagenin monodsmoside)에 의한 효과라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자추수피(刺楸樹皮)라고 해서 약용되는데 그 효용은 우리나라의 해동피와 같다. 이 생약의 수피에는 탄닌(tannin)이 13∼30% 함유되어 있으며 수피와 중심부목부에는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화합물이 들어 있으며 줄기와 잎에는 강심배당체가 들어있다고 하나 국내의 자료에서는 확인되어 있지 않다.
기타 후라보노이드(flavonoids), 코우마린글루코사이드(coumarin glycoside), 소량의 알칼로이드(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국내 자원에 대해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수피에서 헤드라게닌헥사글루코사이드(hederagenin hexaglycoside) 즉 새로운 사포닌(Saponin) F 가 분리되었고 헤데라게닌펜타글루코사이드(hederagenin penta glycoside)도 새로이 분리되었다. 이 들은 헤데라제닌비스데스모사이드 (hedera genin bisdesmoside)이어서 피부진균류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배당체 외에도 헤드라제닌모노데스모사이드(hederagenin monodesmoside)도 수종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들 모노데스사이드(monodesmoside)가 항피부진균작용이 있어서 실제 의약품으로 개발될 소지를 지니고 있다. 이 생약이 구내염(口內炎)에 유효하다는 것은 이들 성분에 의한 효과라고 단정할 수 있다. 아마도 헤데라제닌비스데스모사이드(hederagenin bisdesmoside) 및 모노데스사이드(monodesmoside)는 소염(消炎)작용의 주체물질로 추정되고 있어 새로운 의약개발의 좋은 소재를 제공하는 우리나라의 자원생약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전지역에서 자라며 자생력이 강할 뿐 아니라 그 발육도 대단히 빠른 것 등이 자원 생약으로서 유리한 점이라고 사료된다. 수근피 뿐만 아니라 잎까지도 유효성분이 거의 고르게 들어있다는 것도 유리한 점이라 하겠다.
민간에서는 해동피를 삶은 물로 단술이나 술을 빚어 마시면 신경통과 요통에 효과를 보고 타박상이나 삔데, 류머티즘에 나무 껍질과 뿌리껍질을 삶은 물로 환부를찜질해서 효과를 본다. 봄에 돋아나는 어린순은 개두릅이라고도 부르며 끓는 물에 대처서 초장에 찍어 먹으면 산채로서 한층 입맛을 돋우어 주는 별미가 된다.
동속식물인 두릅나무는 가지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것은 비슷하나 잎은 다르게 생겼다.(인터넷에서 발췌)
대추는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으며 비장을 보하고 위를 조화롭게 하며, 기운을 보강하고 진액을 생기게 하고, 내외를 조화롭게 하며, 약으로 인한 독을 제거하고, 위의 허약으로 인한 식욕부진, 비장의 허약으로 인한 설사와 기혈, 진액 부족, 가슴이 두근두근한 심계항진 및 여성의 히스테리, 불안증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갈근은 학명이Pueraria thunger giana(Sieb. et Zucc)이며, 다년생 식물로 길이는 10미터나 뻗어 나가며 전체에는 황갈색의 굵은 털로 싸여 있다 뿌리는 비대하고 다육질이며,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길다 개화기는 8월이며 결실기는 9~10월이다 산지나 초원의 음습지에 흔히나며 전국에 분포되어 있다 갈근은 칡의 뿌리로서 봄, 가을 뿌리를 캐어 외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며 폐, 비, 위경에 좋으며, 이소플라본성분은 뇌 및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뇌하수체후엽호르몬에 의한 급성심장지혈에 저항성이 있으며, 퓨어라린(puerarin), 퓨어라린자일로사이드(puerarin xylo side)의 작용으로 진정성분은 히스타민 및 아세틸콜린의 작용에 저항하며, 강한 해열작용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704쪽 참조)
두충은(Eucommiaceae)은 높이 20미터이며 껍질, 가지, 잎에는 모두 교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엽이 호생하며 타원형이거나 난형 끈은 날카롭고 밑부분은 넓은 설형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두충나무 껍질을 4월상순에서 6월 중순사이에 12~15년 이상된 껍질을 벗겨 조피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통풍이 잘되는 곳에 두고 건조한다.
맛은 달고 약간 시며 성질은 따뜻하며, 혈압강압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을 하며, 불면등의 증상에 효력이 있다. (향약(생약)대사전 영림출판사 저자 정진섭, 신민교 1998년 1월 10일 중판605쪽 참조)
사인은 양춘사의 과실이며 양춘사는 학명Amomum villosumLOUR이며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5m에 달한다. 근경은 원주형이고 옆으로 뻗으며 가늘고 작은 마디가 있고 마디에는 관상의 막질인편이 있으며 갈색이다. 개화기는 3~6월 결실기는 6~9월이다. 중국의 광동, 광서 운남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채취하여 과피를 벗기고 햇볕에 말리거나 건조시킨다. 양춘사의 건조된 가실인 사인은 유원형 또는 난원구형이며, 표면에 다갈색에 가시모양의 돌기가 기생하여 있고 한쪽 끝에는 소돌기물이 있다. 과피는 얇고 가볍고 브스러지기 쉽고 안에는 많은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불규칙한 다면체로 표면은 적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내부에는 회백색이고 기름형태이며, 방향이 있고 맛은 시고 종자가 크고 단단하고 충실하고 향기가 짙은 것이 좋다. 맛은 시고 성질은 따듯하며 무독하다. 조중행기, 위를 보호하며,임부태동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255쪽 참조)
당귀는 학명이Anglica sinenses(OLIV) DIELS이며, 다년생의 초본으로 근을 굵고짧다.
당귀는 왜당귀, 당귀의 뿌리이다. 늦가을에 채취하여 깨끗하게 다듬어 통풍이 좋은 그늘에서 건조, 다시 약한불에 쬐어 충분히 건조한다 맛은 달고 시고 성질은 따뜻하며 심장. 간. 비경에 들어간다.
근에는 정유가 0.2%들어 있다 당귀는 부인의 요약이란 관점에서 자궁에 수축작용을 가지며, 물에 잘 녹고 에탄올에도 녹으며, 항균실험에서는 각종균을 제어하며 진통진정작용이 있으며 이뇨작용이 있다 보혈, 화혈, 지통, 골장의 효능이 있다. 월결불순, 월경정지, 자궁암에 의한 자궁출혈, 등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407,408쪽 참조)
황기는 학명이Astragalus membranaceus(FISCH).BGE 제주황기는 학명이A. MumbranaceusGUMGEvar alpinusNAKAI 이며 황기, 제주황기의 뿌리를 일반적으로 통칭하는 황기라 한다.
가을에 흙을 제거하여 햇볕에 말려 잘게 썰어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따듯하며 폐, 비경에 들어간다. 서당, 글루고론산, 점액질, 각종의 아미노산, 감미질, 폴린, 베타인, 엽산이 성분이 있으며, 강심작용이 있으며, 심장의 수축을 증강시켜 중독 및 지친 심장에 좋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663~664쪽 참조)
물푸레나무는 학명이Fraxinus rhynchophyllaHANCE이며 낙엽교목으로 높이 0미터에 달하고 보통은 관목상이며 수피는 회갈색이고 노목이 되면 얕은 열목이 나온다. 잎은 기수익상복엽이 대생하고 소엽은 보통5인데 3 또는 7개가 되는 것도 있다 개화기는 5월 결실기는 9월이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개울가에 나며 전국에 분포한다.
상기 물푸레나무의 수피를 진피라 하며 봄, 가을 수피 또는 건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간. 담경에 들어가고 진피에는 aesculin, aesculetin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류머티즘환자의 뇨산배출작용을 촉진하며, 청열, 조습. 지핵. 명목의 효능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976쪽 참조)
백출은Atractylodes japonicaKOIDZ 의 학명을 가진 큰삽주의 근경으롯 11월경 채취하여 세근 또는 경엽을 제거하고 가볍게 곁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니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비, 위경에 들어가고 정유가 1.4%함유하며 주성분은 아크락틸렌(atractylone), 아크락틸롤(atractylol) 등이며 비타민 A를 함유한다, 위를 유익하게 하고 조습, 식욕부진등을 치료한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1026쪽 참조)
산사는 학명이Crataegus pinnatifidaBUNGE인 산사나무의 과실이다.
산사나무는 낙엽교목으로 높이는 6미터에 달하고 가지에 털이 없고 가시가 있다. 잎은 호생하고 넓은 계란형, 삼각상난형등이며 개화기는 5월 결실기는 9~10월이며 사석이 많은 건조한 산지에 중부이북에 분포한다.
가을에 성숙한 과실을 따서 잘게 썰어서 햇볕에 건조하거나 또는 눌러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시고 달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비, 위 간경에 들어 간다 .
비타민C. 당류, 올레놀산등을 함유하고, 우르솔산, 올레노산, 사과산등이 함유되어 있다. 혈압하강과 자궁수축작용 및 항균작용이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식물편) 1998년 중판, 영림사 609~610쪽 참조)
백복령은 학명이Paria cocos(Schw.) W0lf. 이며, 보통 흔히 볼 수 있는 균핵이며 대부분은 불규칙한 괴상, 구형 등으로 대소가 여러 가지 있으며, 자실체는 우산모양이고,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유성세대는 발견하기가 어렵지만 새등우리 같은 모양으로 보통 균핵의 외피에 붙어서 생기며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점차 연한 갈색으로 변하며 소나무과의 식물로 소나무, 중국적송등의 뿌리에 기생하며 지하 약 20~30Cm의 깊이에 있다.
맛은 담백하고 달며 성질은 평온하며, 이뇨작용, 항균작용, 소화기계에 작용을 하며, 혈당을 저하시키고, 심장수축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도해향약(생약)대사전, 정진섭, 신민교 편저, 영림사, 도서출판 1998년발행 40내지 43쪽 참조)
산수유 나무(Cornus officinalis)는 층층 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한방에서는 그 과육(果肉)을 산수유라고 하며, 자양강장, 강정, 수렴 등의 효능이 있어 현기증, 월경과다, 자궁 출혈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엄나무수피(해동피)를 주로한 각종 약재를 가열농축함으로서, 각 한약재의 건강성분을 이용하여 항암활성 및 간 기능개선, 숙취해소작용이 있는 건강음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엄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장에서 자연건조 30일간 건조한 후, 공기가 통하지 않는 비닐 봉지에 남아 저온실에 보관한 다음, 엄나무수피3Kg을 오존살균 세척기에 잔류농약과 이물질 제거 및 살균 소독을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엄나무수피를 정수 200ℓ을 제1용기에 넣어 30~100℃로 6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다음,
두충300g, 진피300g, 대추300g, 감초300g, 백출 100g, 산수유100g, 산사자 100g, 황기 200g, 복령200g, 모과300g, 당귀200g, 갈근 600g, 사인200g을 오존살균세척기에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잔류농약 및 살균소독을 한 다음, 정수 200ℓ을 제2용기에 넣어 30~100℃에서 4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후에,
상기 제1용기에서 엄나무피를 가열농축, 가열여과한 액과, 제2용기에서 상기 한약재를 가열농축 여과한 여액을 제3용기에 펌프등으로 이송 혼합하여 다시 2시간 정도 30~100℃로 가열한 다음, 통상의 포장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용량의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를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음후 자기체력 또는 피로도를 관능검사하였다. 관능검사는 단순히 피로도 또는 체력 회복정도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표 1
평가항목 한번 시음후 4시간 경과후 일일 3번 시음후 24시간 경과후 삼일간 9번 시음후 24간 경과 후
느낌상 약간 좋음 약간 좋음
실시예 반응 없음
종래의 한약차 반응 없음 느낌상 약간 좋음 약간 좋음
종래의 녹차 반응없음 반응 없음 느낌상 약간 좋음
이는 사람마다 체형별 체질별로 다르기 때문이지만 전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음료가 종래의 한약차와 유사하거나 약간 좋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관능검사)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를 훈련된 관능평가 요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기호도 등에 대해 실시하였다.
표 1
평가항목 기호도 향의 강도 비 고
3.9
실시예 4.5
종래의 한약차 3.8 3.0
종래의 녹차 4.1 4.1
관능평점 - 1 : 아주 나쁘다, 아주 약하다
2 : 나쁘다, 약하다
3 : 보통이다
4 : 좋다, 강하다
관능검사결과 본 발명의 건강음료는 전체적인 맛이 조화를 이루었으며, 각 재료의 향의 강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표2 납 함량 시험
중금속출여부 검사방법 비 고
실시예1 검출되지 않음 원자흡광분석 및USP 23
실험예4
표3 유해중금속검출 여부
납검출여부 검사방법 비 고
실시예1 검출되지 않음 원자흡광분석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피로를 회복하고 숙취 해독시키며 현대인의 공해 및 스트레스로 인하여 인체내에 축척 되어 있는 각종독소를 제거하여 소화력과 이뇨작용, 숙취 및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으며, 한약재 특유의 쓴맛이 제거되어 비위가 약하거나 환자들이 부담없이 시음할 수 있어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높은 것이다.

Claims (1)

  1. 건강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엄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장에서 자연건조 30일간 건조한 후, 공기가 통하지 않는 비닐 봉지에 남아 저온실에 보관한 다음, 엄나무수피3Kg을 오존살균 세척기에 잔류농약과 이물질 제거 및 살균 소독을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엄나무수피를 정수 200ℓ을 제1용기에 넣어 30~100℃로 6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다음, 두충300g, 진피300g, 대추300g, 감초300g, 백출 100g, 산수유100g, 산사자 100g, 황기 200g, 복령200g, 모과300g, 당귀200g, 갈근 600g, 사인200g을 오존살균세척기에 15분간 살균처리하고, 잔류농약 및 살균소독을 한 다음, 정수 200ℓ을 제2용기에 넣어 30~100℃에서 4시간 가열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준비한 후에, 상기 제1용기에서 엄나무피를 가열농축, 가열여과한 액과, 제2용기에서 상기 한약재를 가열농축 여과한 여액을 제3용기에 펌프등으로 이송 혼합하여 다시 2시간 정도 30~100℃로 가열한 다음, 통상의 포장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용량의 용기에 포장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0030049617A 2003-07-21 2003-07-21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050010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17A KR20050010387A (ko) 2003-07-21 2003-07-21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617A KR20050010387A (ko) 2003-07-21 2003-07-21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387A true KR20050010387A (ko) 2005-01-27

Family

ID=3722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617A KR20050010387A (ko) 2003-07-21 2003-07-21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03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5811A (zh) * 2013-10-23 2014-01-29 桂林丰润莱生物科技有限公司 清淤通络美胸饮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5811A (zh) * 2013-10-23 2014-01-29 桂林丰润莱生物科技有限公司 清淤通络美胸饮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4252B2 (ja) 炮製を活用した薬用植物抽出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3382431B (zh) 一种中草药十八子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7156828A (zh) 一种适用于炎性肠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KR100436384B1 (ko) 천연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Reid A Handbook of Chinese Healing Herbs: An Easy-to-Use Guide to 108 Chinese Medicinal Herbs and Dozens of Prepared Herba l Formulas
KR20180089696A (ko) 천연식물 추출물의 잔류농약 제거방법
CN106805235A (zh) 一种适用于呼吸系统疾病患者的全营养配方食品
KR100780552B1 (ko)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CN110279107A (zh) 一种参鹿酥油膏及其制备方法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40060615A (ko) 유황 오리 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609643B1 (ko) 피부염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237A (ko) 백숙용 한방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942507A (zh) 一种防病鹅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996659A (zh) 一种杯中含茶的保健凉茶及其生产方法
KR20050010387A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9646665A (zh) 杜仲清肺抗癌固体茶及其制备方法
KR20010103106A (ko)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190004936A (ko) 보양밥의 제조방법
Ashok et al.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KR20140083931A (ko) 배, 뽕잎, 인진쑥, 독활, 방풍, 백출, 표고버섯, 복령, 개미취 및 숙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20150037106A (ko)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