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8512A -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x선 ct 장치 - Google Patents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x선 ct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8512A
KR20050008512A KR1020040054755A KR20040054755A KR20050008512A KR 20050008512 A KR20050008512 A KR 20050008512A KR 1020040054755 A KR1020040054755 A KR 1020040054755A KR 20040054755 A KR20040054755 A KR 20040054755A KR 20050008512 A KR20050008512 A KR 2005000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central axis
distribution adjusting
movab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하타미츠루
이즈하라아키라
마이다마사시
Original Assignee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이 메디컬 시스템즈 글로발 테크놀러지 캄파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0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8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G21K1/04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variable diaphragms, shutters, c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10Scattering devices; Absorbing devices; Ionising radiation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망의 X선 강도 분포를 공급할 수 있고, 또는 X선의 분포를 원하는 프로파일에 조정할 수 있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로서의 보우타이 필터는, 기부와 경사부를 갖는 고정부와,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제 1 및 제 2 가동부와, 고정부와 가동부와 신축가능한 벨로우즈 사이에 규정되는 캐비티에 유체가 충전되는 제 1 및 제 2 변형부를 갖고, 가동부가 중심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함으로써, 고정부의 경사면과 가동부의 평탄면이 접근 또는 이격하여 가동부의 캐비티내의 유체의 양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보우타이 필터의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이 변화된다.

Description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X선 CT 장치{X-RAY DISTRIBUTION ADJUSTING FILTER APPARATUS AND X-RAY C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X선 CT 장치와, X선 CT 장치에 이용하는 보우타이 필터(bowtie filter)라 불리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X선 CT 장치로 이용하고 있는 X선 소스는 어떤 에너지 폭을 갖는 X선을 출력한다. 피검체를 투과하는 X선의 선흡수 계수(linear absorption coefficient)는 X선 에너지에 의존하고, 피검체의 투과 길이가 길수록, 평균 에너지가 높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빔 하드닝(Beam Hardening: BH)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X선의 투과 강도, 즉 X선 CT 장치에 있어서의 X선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로부터 생성하는 투영 정보값은 투과 길이와 비례 관계가 성립하지 않고, 비선형의 관계가 된다.
BH 효과는 X선 CT 장치에 있어서의 재구성 화상(reconstructed image)의 중앙 부분의 강도가 저하하는 컵핑 효과(cupping effect)를 생기게 하므로, X선 검출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보정할 필요가 있고, 균일한 강도의 재구성 화상을 생성하는 투영 정보값의 보정 계수를 X선 검출기의 채널마다 구함으로써 보정이 실행된다.
보다 높은 레벨의 보정을 실행하기 위해서 팬텀(phantom)이 이용된다. 이러한 팬텀으로서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단면이 촬상 중심으로 배치된 촬상 영역(field of view: FOV) 전체를 실질적으로 덮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원통형 팬텀이 촬상되고, 이 팬텀의 단면으로부터의 투영 정보는 보정 계수(correction coefficient)를 이용하는 보정의 정밀도를 증가시키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X선 소스와 X선 검출기 사이의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짐에 따라서 확산(분산)하는 X선에 대해, 피검체(또는 팬텀)를 투과하는 X선의 강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또는 X선의 프로파일을 조정하기 위해서, X선 소스의 X선 출사부에, 보우타이 필터로 불리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가 설치되고, 이에 따라 X선 강도가 중심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독립적으로 가능한 한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참조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2-102217 호
그러나, 피검체에 의해 촬상 영역에 위치하는 피검체 부위의 단면 형상은 크게 상이하다. 예를 들면, 동일 피검체이여도, 본체의 두부, 흉부 및 몸통부는 그 단면 형상이 크게 상이하다. 물론, 어른과 아이로는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전혀 상이하다.
따라서, 보우타이 필터로 불리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이용하여 X선 강도 분포를 조정하더라도, 피검체의 전체적인 사이즈의 차이 및 동일한 피검체의 영역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X선 CT 장치에 의한 한층 고밀도의 단층 촬영이 요구되고 있으며, 상술한 팬텀을 채용한 채널마다의 정밀한 투영 정보값의 보정과 함께, 피검체의 검사(촬상) 부위에 따른 적절한 X선 분포 조정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망하는 X선 강도 분포를 제공거나, 또는 X선 분포를 소망하는 프로파일에 조정할 수 있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이용하여, 고밀도의 촬상을 가능하게 하는 X선 CT 장치를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소스로부터 방출된 X선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형상으로 넓어지는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축에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면을 갖고,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X선 흡수 부분을 포함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로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형상을 변화시켜서 상기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균일한 두께의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결 접촉 또는 일체 구성되고, 상기 중심축을 축대칭으로서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부의 평탄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를 갖는 고정부와, 상기 중심축을 끼어서 양측에 형성되고, 각각 상기 중심축을 지나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의 양자의 단부가 결합하는 위치를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는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과 대향하는 만곡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각각의 상기 경사면의 상기 결합하는 위치와 대향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의 각각의 상기 평탄면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의 각각의 회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가능한 수단을 갖고,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탄면과 상기 신축가능한 수단 사이에 규정된 캐비티에 상기 캐비티내를 충만 상태에 있는 유체를 충전되는 제 1 및 제 2 변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는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X선 흡수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서 회동함으로써, 상기 고정자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탄면이 근접 또는 이격하여 상기 가동부의 캐비티내의 상기 유체의 충진량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이 변화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는,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대칭인 형상을 갖고, 만곡한 내벽을 갖는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과,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상기 만곡 내벽의 형상과 일치하는 제 1 만곡 외벽과, 상기 제 1 만곡 외벽과 대향하는 면에 제 1 만곡 내벽을 갖고,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상기 만곡 내벽에 상기 제 1 만곡 외벽을 따르게 하여,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내부에 삽입 또는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내부로부터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 및 상기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은 X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내부로의 탈착에 의해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소스와, X선 검출 수단과, 상기 X선 소스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X선 소스의 초점 위치와 상기 X선 검출 수단과의 중심을 맺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분산되는 X선의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축에 따라 만곡면을 갖고,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X선 흡수 부분을 갖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로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켜서 상기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고,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갖는 X선 CT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보우타이 필터로서는 상술한 각종의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소스와, X선 검출 수단과, 상기 X선 소스으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X선 소스의 초점 위치와 상기 X선 검출 수단과의 중심을 맺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분산되는 X선의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축에 따라 만곡면을 갖고,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X선 흡수 부분을 갖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와, 상기 X선 소스의 초점 위치에 대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상기 X선 흡수 부분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상기 X선 흡수 부분을 투과하는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제어부를 갖는 X선 CT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보우타이 필터로서는 상술한 각종의 것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이용하면 임의 소망된 X선 강도 조정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이용하면 고정밀의 픽업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CT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X선 CT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X선 CT 장치에 있어서의 X선관과, X선 검출기와,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보우타이 필터)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X선 CT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4의 (A) 내지 (C)는 피검체의 형상과 소망의 보우타이 필터(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한 희망하는 보우타이 필터(X선 흡수 부분)의 형상 및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 및 그것을 이용한 X선 CT 장치의 부분 개략 구성도,
도 6a는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한 희망하는 보우타이 필터(X선 흡수 부분)의 형상 및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한 희망하는 보우타이 필터(X선 흡수 부분)의 형상 및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a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동작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한 희망하는 보우타이 필터(X선 흡수 부분)의 형상 및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한 희망하는 보우타이 필터(X선 흡수 부분)의 형상 및 특성을 실현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측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보우타이 필터의 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X선 강도 분포 조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a 및 도 10b를 도시한 기술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X선 강도 분포 조정 방법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주사 갠트리 20 : X선관
21 : 보우타이 필터 22 : 콜리메이터
24 : X선 검출기 26 : 데이터 수집부
28 : X선 제어기 29 : 보어
30 : 콜리메이터 제어기 34 : 회전부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X선 CT 장치 및 상기 X선 CT 장치에 사용하는 보우타이 필터 등으로 불리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CT 장치(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기술할 것이다.
도 1은 X선 CT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X선 CT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X선 CT 장치의 처리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X선 CT 장치는 주사 갠트리(scanning gantry)(2)와, 촬영 테이블(4)과, 조작 콘솔(6)을 구비하고 있다.
주사 갠트리
주사 갠트리(2)는 회전부(34)와, 회전부(34)를 회전시키는 콘트롤러(36)를 갖는다.
회전부(34)에는, 도 2에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X선관(20)과, 보어(29)를 거쳐 대향 배치된 X선 검출기(2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부(34)에는 또한 보우타이 필터(21)(도 2 및 도 3)와, 콜리메이터(collimator)(22)(도 2 및 도 3)와, 콜리메이터 제어기(30)와, X선 제어기(28)와, 데이터 수집부(26)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보우타이 필터(21)와 콜리메이터(22)와의 상대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보우타이 필터(21)의 오목면의 배향은 도시한 것과는 반대일 수 있다.
검사시는 보어(29)에 피검체(50)가 보어(29)내에 위치하고, 교정(calibration)시에는 팬텀이 보어(29)내에 위치한다[이하, 피검체(50)에 대해서만 기술함]. 보어(29)에 위치하는 피검체(50)는 회전부(34)의 중심부에 위치된 보어(29)내의 크레이들(cradle)(도시하지 않음)상에 탑재된다.
X선관(20)은 본 발명에 따른 X선 소스에 대응하고, X선 검출기(24)는 본 발명의 X선 검출 수단에 대응한다.
또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실시예가 전술한 보우타이 필터(21)에 대응하지만, 편의성을 위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기술에 있어서는, 용어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용어 "보우타이 필터"가 사용된다.
회전부(34)는 회전 제어기(36)에 의해 제어되면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있어서, X선관(20)으로부터 X선 검출기(24)를 향해서 X선을 방출하고, X선 검출기(24)에 의해 피검체(50)의 투과 X선을 검출하고, X선 검출기(24)의 검출 결과를 데이터 수집부(26)가 수집한다.
이 수집 결과가 각 뷰(view)마다의 투영 정보로서 조작 콘솔(6)에 의해 처리된다.
X선관(20)으로부터의 X선의 조사는 X선 제어기(28)에 의해 제어된다. X선관(20)으로부터 방사된 X선은 콜리메이터(22)에 의해 소정 형상(또는 프로파일), 예컨대 선형상의 X선 빔, 즉 팬 빔(fan-beam) X선이 되도록 성형된다. 콜리메이터(22)는 콜리메이터(30)에 의해 제어된다.
보우타이 필터(2l)는, X선관(20)의 초점 위치(FP)와 중심축을 연결하는 중심축(Xo)의 양측에 선형상으로 넓어지는 X선의 강도를 X선 검출기(24)의 전채널에 걸쳐 동일해지도록 제어하고, X선이 보어(29)를 경유해서 X선 검출기(24)에 입사한다.
그 때문에, 보우타이 필터(21)는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고, X선의 방사 분포 프로파일 및 X선 검출기(24)의 형상에 따라 규정되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오목면(또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심축(Xo)의 부분의 두께는 얇고, 주연을 향해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한 만곡면을 갖고 있다.
보우타이 필터(21) 및 각종의 보우타이 필터(본 발명에 따른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세한 사항이 후술된다.
이 보우타이 필터(21) 및 후술하는 각종의 보우타이 필터(본 발명에 따른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3).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의 상세한 사항도 후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가 실시예에서 기술된 보우타이 필터에 대응하지만,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제어 수단이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에 대응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우타이 필터(21)와 콜리메이터(22)와의 상대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또한, 보우타이 필터(21)의 오목면(만곡면)의 방향도 도시와는 반대일 수 있다.
X선 검출기(2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빔 X선의 확대 방향으로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 채널의 X선 검출 소자를 갖는다. 이와 같이, X선 검출기(24)는 복수 채널의 X선 검출 소자를 어레이 형상으로 배열한 다채널의 검출기로서 구성되어 있고, 원통 오목면 형상의 X선 입사면을 갖는 전체 형상을 형성한다. X선 검출기(24)는, 예컨대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포토다이오드(photodiode)의 조합체로 구성된다. 또한, X선 검출기(24)는, 예컨대 카드뮴 테루르(cadmium·Tellur)(CdTc) 등을 이용한 반도체 X선 검출 소자 또는 Xc 가스를 이용하는 이온화 상자형(inoization chamber type)인 X선 검출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X선 검출기(24)에는 데이터 수집부(26)가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부(26)는 X선 검출기(24)의 각각의 X선 검출 소자의 검출 데이터를 수집한다.
조작 콘솔(operating console)
조작 콘솔(6)은 데이터 처리 장치(60), 제어 인터페이스(62), 데이터 수집 버퍼(64), 기억 장치(66), 표시 장치(68) 및 조작 장치(70)를 갖는다.
데이터 처리 장치(60)는 예컨대 데이터 연산/처리 기능이 높은 컴퓨터로 구성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60)에는 제어 인터페이스(62)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인터페이스(62)에는 주사 갠트리(2)의 촬영 테이블(4)이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60)는 제어 인터페이스(62)를 통해서 주사 갠트리(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주사 갠트리(2)내의 데이터 수집부(26), X선 제어기(28), 콜리메이터(30) 및 회전 제어기(36)가 제어 인터페이스(62)를 통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60)에 의해 제어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60)에는 데이터 수집 버퍼(64)가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 버퍼(64)에는 주사 갠트리(2)의 데이터 수집부(26)가 접속되어 있다. 데이터 수집부(26)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데이터 수집 버퍼(64)를 통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60)에 입력된다.
데이터 처리 장치(60)는 데이터 수집 버퍼(64)를 통하여 수집된 투과 X선 신호, 즉 투영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을 재구성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60)에는 기억 장치(66)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 장치(66)는 데이터 수집 버퍼(64)에 수집된 투영 정보, 재구성된 단층 화상 정보(tomographic information) 및 본 실시예의 X선 CT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다른 항목 사이에서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60)에는 표시 장치(68)와 조작 장치(70)가 각각 접속되어있다. 표시 장치(68)는 데이터 처리 장치(60)로부터 출력되는 단층 화상 정보나 그 밖의 정보를 표시한다. 조작 장치(70)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고, 각종의 지시나 정보 등을 데이터 처리 장치(60)에 입력한다. 오퍼레이터는 표시 장치(68) 및 조작 장치(70)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서 X선 CT 장치를 상호 작용식으로 조작한다.
촬영 테이블(imaging table)
촬영 테이블(4)은 제어 인터페이스(62)를 거쳐서 데이터 처리 장치(60)에 접속되고 있고, X선 CT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 및 조작 기구와, 조작 콘솔(6)로 처리한 X선 CT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보우타이 필터의 바람직한 형상
상술한 바와 같이, X선관(20)으로부터 조사된 X선은 인체를 상정한 팬텀을 지나고, X선 검출기(24)의 전채널에 대해 강도 분포가 동일해지도록 X선의 강도를 조정한다.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로서의 보우타이 필터(21)는 피검체(50)의 크기, 검사 부위(촬상 부위) 및 피검체(50)의 검사 부위의 구성에 따라서, X선관(20)으로부터 방출된 X선의 분포를 적절하게 조정하도록 한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X선이 어디를 지나든지, (인체의 두께) + (보우타이 필터의 두께)가 일정하도록 보우타이 필터의 형상을 설계한다.
예를 들면,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체 크기는 몸통부(복부)보다 작지만 거의 원형의 두부, 타원상의 흉부, 전체 크기가 두부보다 큰 몸통부(복부)에 따라서, 보우타이 필터(21)의 단면 형상, 즉 오목면 형상을 갖는 X선흡수 부분의 오목면 형상 및 두께를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것으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우타이 필터(21)의 단면 형상(오목면 형상 및 두께), 즉 X선 흡수 부분의 형상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실시예가 후술된다.
제 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의 보우타이 필터의 X선 흡수 부분의 선택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X선관(20)과 X선 검출기(24) 사이의 단면도이다.
X선관(20)과 콜리메이터(22) 사이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100)가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의 보우타이 필터(100)는 수동 또는 모터(51)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우타이 필터(100)는 도 4의 (A) 내지 (C)에 나타낸 3종의 X선 흡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보우타이 필터(BF1 내지 BF3)를 미리 연결해 두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X선관(20)과 X선 검출기(24) 사이에 위치하는 보우타이 필터(100)의 단면, 즉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고, X선 분포 조정 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보우타이 필터(100)의 오목면(만곡면)의 배향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반대일 수 있다.
도 5에 예시한 보우타이 필터(100)는 예시적으로 3종의 X선 흡수 부분만으로이루어지는 보우타이 필터(BF1 내지 BF3)를 조합하여 이용한 경우를 기술했지만, 조합시킨 보우타이 필터의 개수 및 각 보우타이 필터의 단면 형상 및 크기는 피검체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기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X선관(20)으로부터 X선 검출기(24)까지의 X선의 강도 분포를 중심축(Xo) 둘레의 도 5의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X선 검출기(24)의 중심부를 끼고, 한쪽의 단부로부터 다른쪽의 단부까지의 X선 검출기(24)의 전채널의 수광 강도(light reception intensity)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100)를 이용하여, 피검체(50)에 대해 촬상할 뿐만 아니라 팬텀에 의한 빔 하드닝을 실행해서 X선 검출기(24)의 각 채널마다의 교정을 실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해서 피검체(50)에 대해서 촬상하고, 데이터 수집부(26)에서 촬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처리 장치(60)로 재구성 화상을 생성함으로써, 고정밀한 X선 CT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보우타이 필터(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200)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X1-X1선에 있어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보우타이 필터(200)는 중심점(O)을 지나는 중심축(Xo)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부(210)와, 변형부(220)와, 가동부(230)와, 가동축(240)을 갖는다.
좌우의 가동부(230), 변형부(220)는 반드시 좌우 대칭일 필요는 없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좌우 대칭인 경우를 예시한다.
고정부(210)는 기부(211)와, 경사부(212)를 갖고 있다. 기부(211)와 경사부(212)는 파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거나, 처음부터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0)는 X선을 흡수하는 X선 흡수 부분(필터)으로서, 카본 분말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의 경사부(212)는 중심축(Xo) 둘레에 측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갖는 경사면(213)을 갖고 있다. 고정부(210)의 평탄면에 대한 경사면(213)의 각도를 α로 한다.
양측의 경사부(212)가 결합하는 중심축(Xo)의 결합 위치를 중심점(O)으로 부른다. 중심점(O)은 고정부(210)의 중앙의 가장 두께가 엷은 부분, 또는 후술하는 대칭인 형상을 갖는 고정부(210)의 2개의 경사면(213)이 결합하는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가동부(230)는 이 중심점(O)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우타이 필터(200)를 X선관(20)과 X선 검출기(24) 사이에 위치시킬 때, 도 6a에 도시한 중심점(O)과 중심축(Xo)이 도 2에 도시한 중심축(Xo)과 서로 만나도록 위치시킨다.
각각의 가동부(230)는 평탄면(231)과, 만곡면(232)과, 단면(233)으로 규정된 형상을 한다. 만곡면(232)은 도 4의 (A) 내지 (C)에 예시한 각종의 보우타이 필터(X선 흡수 부분)의 오목면(만곡면)을 재배치하고 통일한 표준적인 만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230)는 고정부(2l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된 X선 흡수 부분이다.
가동부(230)는 중심축(Xo)을 중심으로 하여 측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을 하고 있고, 양측의 각 가동부(230)는 서로 독립적으로, 고정부(210)의 중심점(O)을 회전 중심으로 하고, 고정부(2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210)의 중심점(O)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가동부(230)의 고정부에 X선을 투과함으로써, X선의 투과량이 변화되어 X선의 분포 특성을 변형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동부(230)의 회전 중심부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우타이 필터(200)의 X선이 투과하는 외측에 대해, 고정 부재(29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변형부(220)는 고정부(210)의 경사면(213)의 외측 단부(전술한 결합 위치와는 다른 단부)와, 가동부(230)의 평탄면(231)의 외측 단부 사이에 고정된 신축가능한 수단, 예컨대 신축가능한 벨로우즈(221)를 갖고, 경사면(213)과 평탄면(231)과 벨로우즈(221) 사이에 규정된 캐비티에는, 저 X선 흡수 특성을 갖고 점성이 낮은 유체(또는 액체)(280)가 충만되어 있다. 이러한 유체(280)로서는, 예컨대 카본 액체에 용해된 카본 유체를 이용할 수 있다.
신축가능한 벨로우즈(221)의 부분은 X선이 투과하지 않으므로, 벨로우즈(221)의 재질 선택시 X선의 투과성을 고려할 필요는 없고, 벨로우즈(221)는 신축가능하고 내구성이 있는 어떠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컨대 탄성 고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신축가능한 수단으로서는, 벨로우즈(221)에 제한되지 않고, 단지 팽창 및 수축가능한 백(bag)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신축가능한 수단으로서, 유체(280)를 상기 캐비티에 충만시켰을 때에 팽창하고, 유체(280)가 캐비티로부터 배출되었을 때에 수축하고, 그리고 후술하는 가동부(23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면, 다양한 변형예가 선택될 수 있다.
보우타이 필터(200)는 또한 관(250)과, 유체 수용부(260)와, 가동부(240)를 가동시키는 가동 수단(270)을 갖는다. 또한, 관(250), 유체 수용부(260) 및 가동 수단(270)은 보우타이 필터(200)에 포함시키지 않고, X선 CT 장치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우타이 필터 장치로서, 관(250), 유체 수용부(260) 및 가동 수단(270)을 포함하는 것으로 취급한다.
도 6a에 있어서 유체 수용부(260)가 2개소에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양측에 공통되는 1개가 있다.
가동 수단(270)은 가동축(240)을 거쳐서 가동부(230)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수동 기구 또는 모터, 나사 등을 이용한 기계적 기구일 수 있다. 후술하는 자동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는, 가동 수단(270)으로서 자동 제어가능한 기계적 기구를 이용한다.
변형부(220)는 관(250)을 거쳐서 유체 수용부(260)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 수용부(260)는 변형부(220)의 캐비티의 압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저 X선 흡수 특성을 가지는 유체 수용부(28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한다.
가동부(230)는 가동 수단(270)에 의해 가동축(240)을 회전시킴으로써, 중심점(O)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고, 가동부(230)의 평탄면(231)이 고정부(210)의 경사면(213)에 접근하거나, 또는 이격된다.
이러한 가동부(230)의 평탄면(231)이 고정부(210)의 경사면(213)으로의 접근 하거나, 또는 이로부터의 이격에 의해 벨로우즈(221)가 신축하고, 변형부(220)의 캐비티의 용적은 변화된다.
변형부(220)의 캐비티의 용적이 작아지면, 캐비티내의 유체(280)는 압출되어 관(250)을 거쳐 유체 수용부(260)에 유입된다. 반대로, 변형부(220)의 내경의 용적이 커지면, 유체 수용부(260)에서의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유체(280)가 관(250)을 거쳐 변형부(220)의 캐비티에 유입하고, 캐비티내에 충만한다.
유체 수용부(260)는 상술한 가동부(230)의 가동을 방해하지 않고, 가동부(230)에 따라 유체(280)가 변형부(220)의 캐비티내에 적절하게 충만하도록 유체(280)를 가압한다.
도 7 및 도 7b는 보우타이 필터(200)의 동작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보우타이 필터(200)의 양측의 가동부(230)를 최소로 좁힌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보우타이 필터(200)의 양측의 가동부(230)를 최대로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변형부(220)의 캐비티에는 유체(280)가 충만해서 중심축(Xo)과 직교하는 방향인 x방향에 있어서의 보우타이 필터(200)의 두께(h)(또는 높이 또는 깊이)가 최대가 되고, 도 7b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는, 변형부(220)의 캐비티로부터 액체(280)가 거의 배출되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보우타이 필터(200)의 두께(h)는 최소가 된다. 이와 같이, 보우타이 필터(200)의 X선 흡수 부분[고정부(210) 및 가동부(230)]의 단면 형상이 변화되고, 중심축(Xo)의 두께가 x방향에 있어서 변화함으로써, 보우타이 필터(200)의 X선 흡수 부분을 투과하는 X선의 투과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우타이 필터(200)는 가동 수단(270)에 의해 가동축(240)을 회동시킴으로써, 그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이 변화된다.
바람직하게는, 가동 수단(270)에 의해 가동축(240)을 회동시킴으로써, 1개의 보우타이 필터(200)에서 연속적으로 그 X선 흡수 부분을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x방향에 있어서의 보우타이 필터(200)의 두께(또는, 높이, 또는, 깊이)는 하기 수학식 1으로 규정된다.
[수학식 1]
h (x, θ) = h0 + h1(x) + h2(x, 0) + h3(x, θ)
h0은 고정부(210)의 기부(211)의 두께이고, 그 값은 x방향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고 일정하게 되어 있다.
hl(x)은 고정부(210)의 경사부(212)의 x방향의 두께이고, 기부(211)의 평탄면에 대한 경사부(212)의 경사 각도(α)를 알고 있기 때문에, x방향의 위치에 따라 경사부(212)의 두께[h1(x)]가 계산될 수 있다.
h2(x, O)는 변형부(220)의 x방향의 두께이고, 가동축(240)이 가동 수단(270)이 회동된 각도(θ)에 따라 변형부(220)의 캐비티의 용적이 변화되었을 때의 중심축(Xo)에 따른 두께이다. h2(x, O)의 값은 가동축(240)의 회동 각도(θ) 및 x방향의 위치(x)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h3(x, 0)은 가동부(230)의 x방향의 두께이고, 가동축(240)이 가동 수단(270)이 회동된 각도(θ)에 따라 가동부(230)가 경사지는 것에 의한 중심축(Xo)에 따른 두께이다. 이 h3(x, θ)의 값은 가동축(240)의 회동 각도(θ) 및 x방향의 위치(x)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h1(x), h2(x, O) 및 h3(x, O)의 값은 미리 계산하여 구해 두고, 수학식 1에 적용하고, 회동 각도(θ) 및 x방향의 위치(x)를 매개변수로서 이용함으로써, 보우타이 필터(200)의 높이(깊이)를 테이블화하고, 메모리에 기억해 둘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그 때마다 회동 각도(θ)에 따른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에 기억된 전술한 테이블의 값을 이용하고, 또는 그 때마다 계산된 결과를 참조함으로써 소망하는 보우타이 필터(200)의 형상을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가동 수단(270)에 의해 가동축(240)을 얼마나 회동시키는지 알 수 있다.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
이러한 보우타이 필터(200)의 고정부(210)와 가동부(230)로 구성된 X선 흡수 부분의 형상 제어를 자동적으로 실행할 경우에는, 도 1을 참조하여 기술한 주사 갠트리(2)에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를 부가한다.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는, 예컨대 메모리 및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성되고, 전술한 사전에 구한 x방향에 있어서의 보우타이 필터(200)의 두께(h)를 회동 각도(θ) 및 x방향의 위치(x)를 매개변수로서 테이블화하여 메모리에 기억해 둔다.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는 보우타이 필터(200)를 원하는 형상으로 하기 위한 메모리로부터 회동 각도(θ)를 반대로 돌리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가동 수단(270)을 구동한다. 물론, 이 경우, 가동 수단(270)은 가동축(240)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어가능한 모터를 갖고,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는 가동 수단(270)을 거쳐서 필요한 회동 각도만 가동축(240)을 회동시킨다.
또한,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용 제어 수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200)를 이용하면, 자동적 또는 수동으로, 연속적으로 X선 흡수 부분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는 보우타이 필터(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우타이 필터(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이용하고, 또한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를 이용하면, 피검체의 종류 및 피검체의 검사 부위에 따라 상술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또는 연속적으로 보우타이 필터의 X선 흡수 부분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소망하는 X선 강도 분포의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고정밀한 촬상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보다 높은 등급의 재구성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우타이 필터(200)는 팬텀을 이용한 빔 하드닝 처리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200)로서, 예시적으로 좌우의 가동부(230)를 같은 회동 각도만 회동시킬 경우를 기술했지만, 좌우의 가동부(230)의 회동 각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좌우의 가동부(230)의 만곡면(232)의 곡률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더욱이, 좌우의 고정부(210)의 경사부(212)의 경사 각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X선 흡수 부분으로서, 원하는 형상 및 형상 변화를 실현하기 위해, 소망하는 형상의 고정부(210)와 가동부(230)를 준비하고, 소망하는 형상을 실현하도록 가동부(2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와 제 1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를 비교하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지 1개의 보우타이 필터를 갖고, X선 흡수 부분에 대하여 연속적인 형상 변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 3 실시예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의 보우타이 필터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8a는 제 3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한 보우타이 필터의 측면도이다.
제 3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300)는 평탄면(312)과 만곡 내벽(311)을 갖는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와, 만곡 외벽(341)과 만곡 내벽(342)을 갖는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와, 만곡 외벽(351)을 갖는 내부 가이드 부재(350)와, 평탄해서 두께가 얇은 바닥부 가이드 부재(320)를 갖는다.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가 본 발명의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에 대응하고,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가 본 발명의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에 대응하고,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가 본 발명의 제 2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에 대응한다.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 제 l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가 실질적으로 X선 흡수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바닥부 가이드 부재(320)와 내부 가이드 부재(350)는 원리적으로 필수 요건은 아니지만,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의 탈착을 안정 또한 원활하게 실현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 가이드 부재(320)에는,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를 도 8a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다.
내부 가이드 부재(350)는 기본 보우타이 필터(3l0)의 내부에 위치하고,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의 사이에,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를 안정 또는 원활하게 탈착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닥부 가이드 부재(320) 및 내부 가이드 부재(350)는 저 X선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발포체(formed material)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닥부 가이드 부재(320) 및 내부 가이드 부재(350)는 최소한으로 X선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저 X선 흡수 특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의 만곡 내벽(3ll)은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의 만곡 외벽(331)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의 만곡 내벽(332)은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의 만곡 외벽(341)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의 만곡 내벽(342)은 내부 가이드 부재(350)의 만곡 외벽(351)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는 모두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의 재료와 같이 필터로서 적절한 X선 흡수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도 9a는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가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 내부 가이드 부재(350) 사이에 삽입되지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상태는,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에 접속되어 있는 축(335)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에 접속되어 있는 축(345)을 이용하여,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를 기본 보우타이 필터(3l0)와 내부 가이드 부재(350)와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에서 규정되는 공간으로부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는 기본 보우타이 필터(3l0)만으로 규정된 제 1 분포 조정 특성을 나타낸다.
도 9a는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가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 내부 가이드 부재(350)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에 접속된 축(335)을 도 8a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를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의 만곡 내벽(311)을 따라,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의 만곡 내벽(311)과 내부 가이드 부재(350)의 만곡 외벽(351) 사이의 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만곡 내벽(311)의 형상과 만곡 외벽(331)의 형상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l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가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의 내부에 수용되면, 실질적으로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가 일체 구성된 상태가 된다.
이것은 보우타이 필터(300)가, 일체 방식으로 조합된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에 의해 규정된 제 2 분포 조정 특성을 분명하게 한다.
도 9c는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및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가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 내부 가이드 부재(350)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에 접속된 축(345)을 도 8b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를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의 만곡 내벽(332)을 따라,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의 만곡 내벽(332)과 내부 가이드 부재(350)의 만곡 외벽(351) 사이의 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만곡 내벽(332)의 형상과 만곡 외벽(351)의 형상은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가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와 내부 가이드 부재(35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면, 실질적으로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와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가 일체 구성된 상태가 된다.
이것은 보우타이 필터(300)가, 일체 방식으로 조합된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와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와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에 의해 규정된 제 3 분포 조정 특성을 분명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300)에 따르면,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와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와의 기본 보우타이 필터(310)의 내부로의 탈착을 적당하게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강도 분포 조정 특성을 도시하는 보우타이 필터(300)를 변화시킬수 있다.
축(335, 345)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 예컨대 모터 및 나사를 갖고, 모터의 회전에 따라 나사가 회전하여 축(335) 및/또는 축(345)을 거쳐서,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를 미끄럼 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접속하고, 또한 구동 수단을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를 이용하여, 제 1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30)와 제 2 탈착가능한 보우타이 필터(340)를 탈착시키면, 자동적으로, 예컨대 피검체(50)의 촬상 부위에 따라, 원하는 형상을 갖는 보우타이 필터(300)를 구성할 수 있고, 원하는 X선 강도 분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 X선 CT 장치에 있어서, 피검체(50) 또는 팬텀에 대해서 고정밀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제 4 실시예의 보우타이 필터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X선관(20)의 초점 위치(FP)에 대해 보우타이 필터(21)를 중심축(Xo)을 따라 이동시켰을 경우와, 그 때의 X선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X선관(20)으로부터 방출된 X선은 X선 검출기(24)를 향하여 선형상으로 확산하기 때문에, 보우타이 필터(21)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서, 보우타이 필터(21) 투과시에 흡수되는 양은 중심축(Xo)을 따라 보우타이 필터(21)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동일한 단면 형상의 보우타이 필터(21)를 이용하더라도, X선관(20)의 초점위치(FP)에 대한 보우타이 필터(21)의 상대 위치를 d1 내지 d2 만큼 변화시킴으로써, X선 강도(Ix)의 분포가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한 것 같이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1은 상술한 지견에 기초한 보우타이 필터(21)의 중심축(Xo)을 따라 이동시키는 방법의 하나의 특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우타이 필터(21)는 양측에 설치된 2개의 가이드 부재(401)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보우타이 필터(21)에는 너트(402)가 끼워넣어져 있고, 이 너트(402)에 결합하여 회전 나사(403)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 나사(403)의 단부에는 회전 나사(403)를 회전시키는 모터(404)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404)는 예를 들면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에 의해 회동된다. 모터(404)의 회동에 의해 회전 나사(403)가 회전하여 결합하고 있는 너트(402)를 거쳐서, 보우타이 필터(21)를 2개의 가이드 부재(401)를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보우타이 필터(21)를 X선관(20)의 초점 위치(FP)에 대해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소망하는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부재(401), 너트(402), 회전 나사(403) 및 모터(404)를 보우타이 필터(21)의 이동 수단으로 칭하고,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를 이동 제어 수단으로 칭한다.
도 11에 도시한 보우타이 필터(21) 및 구동 수단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기술한 X선 CT 장치에 적용하면, 고정밀한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404) 및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를 이용하면, 수동으로 회전 나사(403)를 회전시켜 상술한 바와 동일한 X선 강도 분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예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하는 보우타이 필터(21)로서는, 상술한 고정된 만곡 형상을 갖는 보우타이 필터 대신에, 제 2 및 제 3 실시예로서 기술된 보우타이 필터(100, 200 또는 300)를 이용할 수 있다.
보우타이 필터(100), 보우타이 필터(200) 및 보우타이 필터(300)는 그 자체로 X선 투과 특성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X선 투과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과, 보우타이 필터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조합시킨 것, 희망하는 X선 투과 특성 또는 X선 분포 조정 특성을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조정 방법은 복잡해지지만,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를 이용하면 용이하다. 이에 따라, 보우타이 필터의 특성과, 그 보우타이 필터의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의 특성을 사전에 측정해 두고, 그 측정 결과를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의 메모리에 기억해 둔다.
실제로 피검체(50) 또는 팬텀을 촬상할 때에는,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의 메모리에 기억시킨 데이터를 참조하고, 보우타이 필터 제어부(40)가 보우타이 필터의 형상 및 특성을 조정하면서, 보우타이 필터의 위치를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보우타이 필터) 및 X선 CT 장치의 실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이용하면, 소망하는 X선 강도 조정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X선 CT 장치에 이용하면, 고밀도의 촬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X선 소스로부터 방출되는 X선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에 소정 형상으로 넓어지는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갖는 만곡면을 갖고, X선을 흡수하는 재료에서 형성되는 X선 흡수 부분을 포함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형상을 변화시켜서 상기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따라 균일한 두께의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결 접촉 또는 일체 구성되고, 상기 중심축을 축대칭으로서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부의 평탄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를 갖는 고정부와,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형성되고, 각각 상기 중심축을 지나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의 양자의 단부가 결합하는 위치를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는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과 대향하는 만곡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각각의 상기 경사면의 상기 결합하는 위치와 대향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의 평탄면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의 각각의 회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가능한 수단을 갖고,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탄면과 상기 신축가능한 수단 사이에 규정되는 캐비티에 상기 캐비티내를 충만 상태에 있는 유체가 충전되는, 제 1 및 제 2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는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X선 흡수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탄면이 접근 또는 이격시켜 상기 가동부의 캐비티내의 상기 유체의 양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에 관을 거쳐서 상기 캐비티에 상기 유체를 상기 가동부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상기 가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캐비티에 상기 유체를 충만시키도록 상기 유체를 가압하는 유체 수용부와,
    상기 가동부를 회동시키는 가동 수단을 갖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수단을 거쳐서 상기 가동부를 연속적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형상을 갖고, 만곡된 내벽을 갖는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형상을 갖고,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상기 만곡 내벽의 형상과 일치하는 제 1 만곡 외벽과, 상기 제 1 만곡 외벽과 대향하는 면에 제 1 만곡 내벽을 갖고,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상기 만곡 내벽에 상기 제 1 만곡 외벽을 따르게 하여,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내부에 삽입, 또는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내부로부터 배출가능한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 및 상기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은 X선을 흡수가능한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탈착가능한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상기 기본 X선 분포 조정 필터 부분의 내부로의 탈착에 의해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키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6. X선 CT 장치에 있어서,
    X선 소스와,
    X선 검출 수단과,
    상기 X선 소스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X선 소스의 초점 위치와 상기 X선 검출 수단의 중심을 맺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분산되는 X선의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축을 따르는 만곡면을 갖고,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X선 흡수 부분을 갖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로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변화시켜서 상기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를 포함하는
    X선 CT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는,
    상기 중심축을 따라 균일한 두께의 기부와, 상기 기부에 연결 접촉하거나 또는 일체 구성되고, 상기 중심축을 축대칭으로서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부의 평탄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을 가지는 경사부를 갖는 고정부와,
    상기 중심축의 양측에 형성되고, 각각 상기 중심축을 지나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의 양자의 단부가 결합하는 위치를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에 회동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대향하는 쪽에 위치하는 평탄면과, 상기 평탄면과 대향하는 만곡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각각의 상기 경사면의 상기 결합하는 위치와 대향하는 타단부와, 상기 타단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의 평탄면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의 각각의 회동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가능한 수단을 갖고,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탄면과 상기 신축가능한 수단 사이에 규정되는 캐비티에, 상기 캐비티내를 충만 상태로 하는 유체가 충전되는, 제 1 및 제 2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는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X선 흡수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동부가 상기 중심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가동부의 상기 평탄면이 접근 또는 이격해서 상기 가동부의 캐비티내의 상기 유체의 양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이 변화하는
    X선 CT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에 관을 거쳐 상기 캐비티에 상기 유체를 상기 가동부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상기 가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캐비티에 상기 유체를 충만시키도록 상기 유체를 가압하는 유체 수용부와,
    상기 가동부를 회동시키는 가동 수단을 포함하는
    X선 CT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수단을 거쳐서 상기 가동부를 연속적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단면 형상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X선 CT 장치.
  10. X선 CT 장치에 있어서,
    X선 소스와,
    X선 검출 수단과,
    상기 X선 소스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X선 소스의 초점 위치와 상기 X선 검출 수단의 중심을 맺는 중심축으로부터 소정 형상으로 분산되는 X선의 상기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중심축에 따라 만곡면을 갖고, X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X선 흡수 부분을 갖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와,
    상기 X선 소스의 초점 위치에 대한 상기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의 상기 X선 흡수 부분의 위치를 변화시켜 상기 X선 흡수 부분을 투과하는 X선의 투과 강도 분포를 조정하는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X선 CT 장치.
KR1020040054755A 2003-07-15 2004-07-14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x선 ct 장치 KR20050008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7029A JP4041025B2 (ja) 2003-07-15 2003-07-15 X線分布調整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x線ct装置
JPJP-P-2003-00197029 2003-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8512A true KR20050008512A (ko) 2005-01-21

Family

ID=3347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755A KR20050008512A (ko) 2003-07-15 2004-07-14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x선 ct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82189B2 (ko)
EP (1) EP1498908A3 (ko)
JP (1) JP4041025B2 (ko)
KR (1) KR20050008512A (ko)
CN (1) CN1323643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050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레이 듀얼 에너지 방식 컴퓨터 단층촬영장치의 x-레이 필터 제어기구
KR20190060052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레이 선형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듀얼 에너지 방식의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KR20230001039A (ko) * 2021-06-25 2023-01-04 (주)아이스트 2차 전지 x-선 검사를 위한 보정 데이터 취득 장치 및 방법
WO2024038954A1 (ko) * 2022-08-17 2024-02-22 주식회사 이레이 X선 감쇄 필터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비파괴 검사 장치 및 비파괴 검사 장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4736B2 (en) * 2004-10-01 2009-01-06 Varian Medical 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spatially variable x-ray beam intensity
US7535987B2 (en) * 2005-06-30 2009-05-19 Kabushiki Kaisha Toshiba X-ray CT apparatus
JP4891673B2 (ja) * 2005-06-30 2012-03-07 株式会社東芝 X線ct装置
JP5011482B2 (ja) * 2005-07-19 2012-08-29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X線ct装置
US7254216B2 (en) * 2005-07-29 2007-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 radiation beam and CT imaging systems using same
US7308073B2 (en) * 2005-10-20 2007-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X-ray filter having dynamically displaceable x-ray attenuating fluid
US7330535B2 (en) * 2005-11-10 2008-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X-ray flux management device
CN101548339B (zh) 2006-12-04 2012-06-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尤其适用于x射线的射束过滤器
US7489764B2 (en) * 2007-07-02 2009-02-10 Moshe Ein-Gal Adjustable aperture collimator
CN101854863B (zh) * 2007-11-15 2013-08-1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改进3d x射线成像的图像质量的可移动楔
WO2009083878A1 (en) * 2007-12-28 2009-07-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ilter assembly for computed tomography systems
GB2460089A (en) 2008-05-16 2009-11-18 Elekta Ab Coincident treatment and imaging source
JP5268424B2 (ja) * 2008-05-16 2013-08-21 株式会社東芝 X線ct装置
JP5605985B2 (ja) * 2008-09-26 2014-10-15 株式会社東芝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
US8956044B2 (en) * 2009-05-05 2015-02-17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of acquiring an X-ray image and X-ray acquisition device comprising automatic wedge positioning
JP2011019633A (ja) * 2009-07-14 2011-02-03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及び被曝線量低減用制御プログラム
JP4911373B2 (ja) * 2009-11-26 2012-04-04 横河電機株式会社 X線測定装置
WO2012042484A1 (en) * 2010-09-30 2012-04-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filter for computed tomography (ct)
US9521982B2 (en) 2011-06-17 2016-12-2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puted tomography system with dynamic bowtie filter
US9414792B2 (en) 2011-06-17 2016-08-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puted tomography system with dynamic bowtie filter
WO2012174246A2 (en) * 2011-06-17 2012-12-2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mputed tomography system with dynamic bowtie filter
US8942341B2 (en) * 2011-09-01 2015-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dose reduction for CT imaging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ame
DE102012206953B3 (de) * 2012-04-26 2013-05-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Adaptives Röntgenfilter und Verfahren zur adaptiven Schwächung einer Röntgenstrahlung
DE102012207627B3 (de) * 2012-05-08 2013-05-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daptives Röntgenfilter zur Veränderung der lokalen Intensität einer Röntgenstrahlung
DE102012209150B3 (de) 2012-05-31 2013-04-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daptives Röntgenfilter und Verfahren zur Veränderung der lokalen Intensität einer Röntgenstrahlung
CN104837406B (zh) 2012-12-03 2020-05-05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平移x射线射束发射分布图整形器
DE102012223748A1 (de) * 2012-12-19 2014-06-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Adaptives Bow-Tie-Röntgenfilter und Verfahren zur Veränderung der lokalen Intensität einer Röntgenstrahlung
JP6162446B2 (ja) * 2013-03-21 2017-07-12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および線量減弱装置
US9173621B2 (en) * 2013-04-02 2015-11-03 Triple Ring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X-ray filtration
CN103349555A (zh) * 2013-04-27 2013-10-16 中国人民解放军北京军区总医院 X射线滤过器、x射线滤过系统及移动ct扫描仪
KR101749305B1 (ko) 2013-06-05 201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엑스선 분포 교정 필터, ct 촬영장치 및 그 방법
US20150036792A1 (en) * 2013-08-01 2015-02-0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image by using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EP3033011B1 (en) * 2013-08-13 2019-06-19 Koninklijke Philips N.V. Adjustable bow-tie filter for achieving optimal snr in helical computed tomography
JP6266284B2 (ja) * 2013-09-19 2018-01-24 東芝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
JP2015136390A (ja) 2014-01-20 2015-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断層撮影装置
CN103932729A (zh) * 2014-04-08 2014-07-23 江苏中惠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计算机断层扫描系统的x光射线过滤器
US10667767B2 (en) 2014-05-02 2020-06-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bowtie filter configuration
CN104207799A (zh) * 2014-08-29 2014-12-17 沈阳东软医疗系统有限公司 一种ct扫描设备中形状过滤器的控制方法及装置
CN107072617B (zh) 2014-10-21 2020-12-18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动态波束成形器
US10092257B2 (en) * 2014-10-27 2018-10-09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Dynamic bowtie filter for cone-beam/multi-slice CT
US9936926B2 (en) 2015-02-02 2018-04-10 Palodex Group Oy System and method of small field of view X-ray imaging
US11051772B2 (en) * 2016-04-08 2021-07-06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Filtration methods for dual-energy X-ray CT
JP6885803B2 (ja) * 2017-06-27 2021-06-1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放射線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WO2019048502A1 (en) * 2017-09-08 2019-03-14 Koninklijke Philips N.V. DYNAMIC BUTTERFLY NECK FILT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0097800A1 (zh) * 2018-11-13 2020-05-22 西安大医集团有限公司 滤光器、放射线扫描装置及放射线扫描方法
IT201900001743A1 (it) * 2019-02-06 2020-08-06 Imaginalis S R L Filtro radiologico
US10799193B2 (en) 2019-02-12 2020-10-13 Malcov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atomically-specified conformation computed tomography
CN110353712B (zh) * 2019-07-19 2023-07-21 深圳安科高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滤波器、调节ct系统射线束的方法及装置
US10531844B1 (en) 2019-08-09 2020-01-14 Malcova LLC Narrow beam CT using a 3D fluence modulation and scatter shield system
US11622735B1 (en) 2022-10-20 2023-04-11 MALCOVA, Inc. Plural-plane narrow-beam computed tomograph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7768A (en) 1970-02-09 1973-02-20 Medinova Ab X-ray filter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positioning light converging means
US4288695A (en) 1979-04-13 1981-09-08 Technicare Corporation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ner with shaped radiation filter
US4980904A (en) * 1985-11-15 1990-12-25 Picker International, Inc. Radiation imaging calibration
NL9000896A (nl) * 1990-04-17 1991-11-18 Philips Nv Roentgenstraling absorberend filter.
US5881127A (en) 1996-01-19 1999-03-0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utomatic x-ray beam equalizer
US6259575B1 (en) * 1998-07-01 2001-07-10 Iomega Corporation Readable indelible mark on storage media
US6280084B1 (en) * 1998-08-25 2001-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irect high voltage verification in an imaging system
US6307918B1 (en) 1998-08-25 2001-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Position dependent beam quality x-ray filtration
US6148057A (en) * 1998-11-02 2000-11-14 Analog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detectors in a computed tomography scanner
US6325539B1 (en) 1998-12-31 2001-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Calibration simplification for a computed tomograph system
DE19950794A1 (de) 1999-10-21 2001-06-13 Siemens Ag Röntgen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Beeinflussung von Röntgenstrahlung
DE20009875U1 (de) * 2000-06-02 2000-09-21 Schindler Rolf Lagerungshilfe zur tomographischen Funktionsuntersuchung der Halswirbelsäule
JP2002102217A (ja) 2000-09-28 2002-04-09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X線ctシステム、ガントリ装置、コンソール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6618466B1 (en) 2002-02-21 2003-09-09 University Of Rochester Apparatus and method for x-ray scatter reduction and correction for fan beam CT and cone beam volume CT
US6647095B2 (en) 2002-04-02 2003-11-11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dosage to scan subject
US6529575B1 (en) 2002-04-29 2003-03-04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Adaptive projection filtering scheme for noise reduc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050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레이 듀얼 에너지 방식 컴퓨터 단층촬영장치의 x-레이 필터 제어기구
KR20190060052A (ko)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레이 선형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듀얼 에너지 방식의 컴퓨터 단층촬영장치
KR20230001039A (ko) * 2021-06-25 2023-01-04 (주)아이스트 2차 전지 x-선 검사를 위한 보정 데이터 취득 장치 및 방법
WO2024038954A1 (ko) * 2022-08-17 2024-02-22 주식회사 이레이 X선 감쇄 필터를 포함하는 원통형 배터리 비파괴 검사 장치 및 비파괴 검사 장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8908A3 (en) 2010-03-10
JP2005034173A (ja) 2005-02-10
EP1498908A2 (en) 2005-01-19
US20050013411A1 (en) 2005-01-20
US7082189B2 (en) 2006-07-25
CN1575766A (zh) 2005-02-09
JP4041025B2 (ja) 2008-01-30
CN1323643C (zh)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08512A (ko) X선 분포 조정 필터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x선 ct 장치
JP4345960B2 (ja) 放射線写真撮像時に放射線のフィルタ補正を調節変形する方法及び装置
US730203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X-ray imaging
US6583420B1 (e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ed imaging in nuclear medicine and mammography
US11266364B2 (en) X-ray scatter reducing device for use with 2D mammography and tomosynthesis
US8238522B2 (en) Filter changing assembly for filtering a radiation beam
US9155508B2 (en) X-ray CT device
US20040251419A1 (en) Device and system for enhanced SPECT, PET, and Compton scatter imaging in nuclear medicine
US20060222143A1 (en) Computed tomography system with adjustable focal spot-to-detector distance
US20030209662A1 (e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ed imaging in nuclear medicine {and mammography}
US20030199757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odulating radiation filtering during radiographic imaging
JP4363629B2 (ja) X線ct装置
JP4724250B2 (ja) X線ct装置
JP5758187B2 (ja) X線ct装置
EP3210212B1 (en) Dynamic beam shaper
KR101474926B1 (ko) 엑스선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