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178A -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178A
KR20050006178A KR10-2004-7016978A KR20047016978A KR20050006178A KR 20050006178 A KR20050006178 A KR 20050006178A KR 20047016978 A KR20047016978 A KR 20047016978A KR 20050006178 A KR20050006178 A KR 20050006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iodine
iodide
hot mel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단리
크램프스티븐이.
죠우지밍
슐츠매튜티.
대니얼스마이클피.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50006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9J133/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7/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7/2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7/24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halogen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61L15/58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5/06Copolymers with vinyl aromatic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51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 A61B5/257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 A61B5/259Means for maintaining electrode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 means, e.g. adhesive pads or tapes using conductive adhesive means, e.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6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e.g. iodine, chlo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35Hot melt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Abstract

본 발명은 요오드/요오다이드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을 개별적으로 또는 가용화 액체와 혼합하여 제조한다.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핫 멜트 혼합기 중에서 예비 접착제 조성물과 혼합되는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혼합물 내에 존재한다. 상기 혼합물은 약 130℃ 내지 약 200℃이 온도에서 혼합되며,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형성하기에 충분하다. 대안으로, 요오다이드는 계내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접착제는 차후 기재 상에 코팅하기 위해 포장될 수 있거나, 즉시 코팅하여 접착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가 혼입된 접착제 복합체, 구체적으로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IODINE/IODIDE-CONTAINING HOT MELT COATABLE ADHESIVE, METHODS AND USES THEREFOR}
무균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것은 수술 부위 감염 예방의 기초이다. 환자의 피부, 수술 팀의 멤버들 및 장갑, 가운, 마스크 및 드레이프의 사용을 통해 수술실에서 비멸균 장비로부터 유래하는 박테리아 오염에 대한 환부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부위의 드레이핑은 멸균 시술 표면을 제공하며, 비멸균 부위와 수술 환부 사이에서 미생물의 전염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이들 처치는 건강 관리 전문가들이 환자의 혈액 및 기타 체액내의 병원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수술 부위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개방된 수술 부위 내로의 미생물 진입을 감소시키고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테리-드레이프(상표명) 및 이오반(상표명) 2 항균 피부 프렙핑 시스템(3M)은 수술중 환부 가장자리에 멸균 표면을 제공한다. 필름은 환부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부착하는데, 이는 피부 플로러에 대한 배리어를 유지하는 데 결정적이다. 몇몇 인사이즈 드레이프(incise drape), 예를 들어 이오반(상표명) 2는 접착제 내에 항균제, 바람직하게는 요오도포어를 함유하여 드레이프 자체가 항균 활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내부에 함유된 넓은 범위의 항균제를 보유하는 감압성 접착제는 미국 특허 제4,310,5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피부와 접촉하여 위치되는 경우, 이는 균일하고 조절가능하게 넓은 범위의 항균제를 방출시킨다. 상기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은 넓은 범위의 항균제의 유화 가능한 농축물 또는 유기 용액 농축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이를 접착제 내로 혼합하여 넓은 범위의 항균제가 접착제 매체를 통해 별도의 상으로서 균질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4,323,557호는 요오드, 요오다이드 이온 및 피부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보통의 실온 점착성 감압성 접착제의 안정한 복합체인 감압성 접착제를 개시한다.
특정 항균제를 함유하는 무용매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인 디요오도메틸-p-톨릴설폰은 미국 특허 제6,216,699호 및 제5,829,42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화합물은 열 안정성 항균제인 것으로 상기 '699호 특허의 5 컬럼 47-56행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열 안정성 항균제를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하면 접착제를 275℉ 내지 350℉ 범위내의 온도에서 처리하는 후에도 사용 및 도포 중에 바람직한 특성을 보유하는 효과적인 항균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PCT 공보 WO 00/56828호 및 WO 00/78885호는 한정된 단량체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습윤 점착 감압성 접착제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감압성 접착제는 습윤표면 기재에 접착된다. 이들 접착제는 핫 멜트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부가적으로 수술용 드레이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문헌은 접착제 내에 항균제를 혼입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5,369,155호는 감압성 접착제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팽윤된 히드로콜로이드 겔의 복합체를 개시한다. 상기 겔-접착제 복합체는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균제를 혼입할 수 있다. 임의의 항균제 목록은 12 컬럼 32 내지 39행에 제공되어 있으며, 요오드 및 요오도포어를 포함한다. 상기 예에서, 복합체는 용매로부터 박리 라이너 상에 코팅되고, 배킹에 적층된다.
활성 물질 플래스터는 미국 특허 제6,143,31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플래스터는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발포된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보유하는 배킹 재료를 포함한다. 발포된 핫 멜트 접착제 내에 혼입될 수 있는 활성 물질의 목록은 요오드를 포함하나, 어떻게 요오드가 혼입되는가에 대한 기재는 없으며,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이온 조성물을 위한 착화제에 대한 기재도 없다.
본 발명은 핫 멜트 코팅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그 내부에 함유된 요오드/요오다이드를 보유하는 핫 멜트 코팅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요오드는 요오드 가용화 액체와 혼합하여 요오드 조성물을 형성하고, 요오다이드 염은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와 혼합하여 요오다이드 조성물을 형성하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요오드 조성물, 요오다이드 조성물 및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핫 멜트 혼합기 중에서 혼합되어 혼합물을 형성하는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상기 혼합물 내에 존재한다. 상기 혼합은 약 13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수행하며, 충분히 혼합하여 요오드/요오다이드 착체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접착제는 차후 기재 상에서의 코팅을 위해 포장될 수 있거나, 또는 즉시 코팅되어 접착제 복합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제 복합체, 특히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는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혼합하여 제공된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요오다이드 이온은 적합한 환원제와의 반응에 의해 요오드로부터 원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환원제는 요오드 가용화 액체, 예비 접착제 혼합물 내에 제공할 수도 있거나, 또는 혼합시 또는 혼합후 처리에서 별도의 성분으로 첨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요오드와 환원제의 반응은 가용화 액체 내에서, 핫 멜트 혼합기/압출기 내에서 또는 혼합/압출 후에 또는 이의 몇가지 조합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요오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증기압을 갖는다. 예를 들어, 요오드가 실온에서 승화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증기압은 25℃에서 0.30 mmHg, 90℃에서 26.7 mmHg로 보고되었으며, 184.4℃에서 비등한다(따라서, 184.4℃에서의 증기압은 760 mmHg이다)(머크 인덱스 12판). 이러한 이유로 인해, 요오드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이전의 방법은 요오드의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단지 온화한 처리 단계만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요오드의 손실 없이 130℃를 넘는 온도에서요오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코팅 접착제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사실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또한,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이온이 항균 활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핫 멜트 코팅 접착제 내에 효과적으로 혼입될 수 있다는 것도 놀라운 발견이다.
핫 멜트 접착제는 용매계 접착제 또는 수계 접착제에 비해 다수의 중요한 잇점을 제공한다. 핫 멜트 접착제는 과량의 물 또는 용매 없이 접착제 내에서 사용되는 물질만을 함유하기 때문에, 용매계 접착제 또는 수계 접착제에 비해 수송이 훨씬 더 용이하며 저렴하다. 이는 핫 멜트 접착제가 한 위치에서 배합되고 코팅을 위해 다른 위치로 용이하게 수송되어 접착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수송가능성은 전세계적인 생산 라인에서 균일한 접착제 조성물을 보유할 수 있고, 접착제 조성물의 개별 성분의 공급과 관련하여 효율성과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국부적인 저가의 제조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핫 멜트 접착제는 용매계 접착제 또는 수계 접착제 보다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들을 제조하는 데 비용이 덜 들기 때문이다. 핫 멜트 접착제는 용매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용매 자체에 대한 비용이 들지 않고, 용매를 제거하거나 회수하는데 따른 비용이 들지 않는다. 또한, 핫 멜트 접착제는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가 거의 없다. 핫 멜트 접착제는 외부 액체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코팅 과정은 액체를 제거하기 위해 코팅된 접착제를 건조하는 단계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에너지 측면과 고가의 용매 포획 장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요오드 및/또는 이의 이온 종의 일부는 몇몇 환경에서 특정 금속에 대해 높은 부식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한 압출기의 부식 또는 열화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발견은 놀라운 것이다. 따라서, 놀랍게도 통상적인 도구 강으로 제조한 혼합 및 압출 장비는 본원에 기술한 방법에 따라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하는 경우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3요오드화수소와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착체는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및 아마도 수소 결합과 이온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들 상호작용의 대부분은 사슬내 중합체 상호작용으로 보고되어 왔지만, 사슬간 상호작용도 가능하다. 사슬간 상호작용/착체는 중합체 네트웍을 가교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가교된 또는 배위된 중합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압출 공정에서 중요한 문제점을 유발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시스템이 압출기를 통해 유동하지 않으리라는 예상 때문이다. 따라서, 이온성 착체, 예를 들어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가 착화제로 착화되어 형성된 착체는 핫 멜트 공정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특히 놀라운 사실이다.
"핫 멜트 코팅 접착제(hot melt coatable adhesive)"는 용융 상태로 기재 상에 코팅될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하는데, 코팅후 이 조성물은 한 물품을 다른 물품에 접착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핫 멜트 코팅 접착제는 실온(즉, 약 21℃)에서 감압성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감압성 접착제" 또는 "PSA"는 점착성을 나타내며 단지 가벼운 압력(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누르는 정도의 압력)을 적용한 후, 여러가지 기재에 대해 접착하는 점탄성 물질을 의미한다. 감압성 접착제를 식별하는 한가지 공지된 수단은 달퀴스트 조건(Dahlquistcriterion)이다. 이 조건은 감압성 접착제를 문헌[참조: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Donatas Satas(Ed.), 2판, p. 172, 뉴욕 뉴욕의 반 노스트랜드 레인홀드 (1989)]에 기술된 바와 같이 1초 크리프 컴플라이언스가 1 x 10-6cm2/dyne 보다 큰 접착제로 정의한다.
본원에 기술한 바와 같이 요오드는 본 발명의 접착제 내로의 혼입을 위한 적합한 임의의 짝이온과 함께 염의 형태로 제공되는 이온이다. 그 예로는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수소, 요오드화알루미늄 및 4차 아민-요오다이드 염이 고려된다.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칼륨 및 요오드화수소는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한 요오다이드 염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한 구체예에서, 요오드는 요오드 가용화 액체와 혼합하여 요오드 조성물을 형성하고, 요오다이드 염은 요오다이드 염 가용화 액체와 혼합하여 요오다이드 조성물을 형성한다. 본원에 사용한 용어 "액체"는 100℃ 미만의 온도에서 액체인(즉, 쏟아부을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의 온도, 더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의 온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미만의 온도에서 액체이다.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성분 각각을 위한 가용화 액체는 궁극적인 접착제 조성물내에서 이들 성분의 혼합 이전에 또는 혼합 중에 고체 성분을 용해시키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여 실질적인 크기의 요오드 또는 요오다이드가 궁극적인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 내에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요오드 또는 요오다이드는 예를 들어 몇몇 불용성 요오드 또는 요오다이드 입자를 함유하는 페이스트 형태로 혼합기 내에 투입할 수 있는 반면, 충분한 가용화 액체가 존재하여 혼합 조건 하에서 요오드 또는 요오다이드 입자의 가용화를 용이하게 하여 핫 멜트 코팅 접착제의 코팅시 실질적인 크기의 불용성 입자의 존재를 회피한다. 실질적인 크기의 불용성 입자의 존재는 핫 멜트 코팅 공정에서는 용인될 수 없는 것인데, 그 이유는 이러한 입자들은 접착제가 핫 멜트 코팅기내에 통상적으로 확인되는 필터를 통해 통과하는 경우 핫 멜트 접착제의 유동을 방해하거나 심지어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필터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입자들은 코팅 다이내에 부착되어 코팅 공정을 방해할 수 있고, 코팅 불일치를 유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해를 유발하지 않는 작은 입자들의 임의 존재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각각 가용화되는데, 즉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용액 중에 존재하여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조성물 내에 실질적인 크기의 불용성 입자가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는 단일 조성물로서 함께 가용화된다.
대안적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요오드 조성물 및 요오다이드 조성물은 별도의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본 구체예의 바람직한 양태는 요오드 가용화 액체와 요오다이드 염 가용화 액체가 동일한 경우이다. 이는 원료 물질의 수를 줄이고, 요오드 용액과 요오다이드 용액의 완전한 혼합가능성을 보장한다.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단일 조성물로서 함께 혼합된다. 이 구체예는 제조 설비에 첨가되는 성분의 수를 감소시켜 제조 공정내로 접착제 혼합물에 상기 성분들을 용이하게 첨가할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인 접착제 어셈블링을 단순화시킨다. 이러한 방식의 단순화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제조 플로어에서 취급하여야만 하는 성분의 수가 감소되며, 또한 제조 공정에서 성분의 첨가시 오류 발생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요오다이드 이온은 적합한 환원제를 이용하여 요오드로부터 원위치에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환원제는 비독성이다. 예를 들어, 티오셀페이트 염, 바이설파이트 염 등과 같은 환원제의 첨가는 요오드의 일부분을 요오다이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 환원제는 예비 접착제 혼합물 내에서 요오드 가용화 액체 내에 제공하거나 또는 별도의 스트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요오드와 환원제의 반응은 가용화 액체 내에서, 핫 멜트 혼합기/압출기 내에서, 또는 혼합/압출 후 또는 이의 조합에서 일어날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가 제공되는데, 이 액체는 요오다이드의 생성시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요오드 또는 요오다이드를 위한 가용화 액체는 단일 액체 또는 액체들의 블렌드일 수 있다. 가용화 액체는 혼합 공정 중 또는 이후 조성물로부터 제거되는 단지 일시적인 캐리어이거나, 최종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에 남아있을 수 있다. 가용화 액체는 임의로 최종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에서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그 예로는 가소화 기능, 가용화 액체가 다른 성분들과 반응하여 접착제 매트릭스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반응 작용, 향미와 같은 화장 작용 또는 더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오드/요오다이드를 위한 착화제로서 작용하는 것을 들 수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이온은 요오드/요오다이드를 위한 착화제로서 작용하지 않는 가용화 액체와 혼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가용화 액체는 물 및 비중합성 유기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유기 용매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일 수 있다. 휘발성 비중합성 유기 용매의 예로는 C1-10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 페녹시에탄올 및 부탄올; C3-6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C2-8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아세테이트; C2-8 에테르,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 아미드, 예를 들어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설포르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락톤, 예를 들어 부티로락톤;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케톤, 예를 들어 아세톤 및 메틸에틸케톤; 및 방향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및 크실렌을 들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용화 액체는 비휘발성 유기 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기 용매는 혼합 및 핫 멜트 코팅 공정을 통해 접착제 조성물 내에 용매의 80% 이상이 잔류하는 경우 비휘발성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들 용매는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 내에 잔류하기 때문에, 이들은 가소제로서 작용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강하시킨다. 이들 가소제의 일부는 착화제로서 요오드/요오다이드와 착화될 수 있으며, 추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순히 이들 성분을 용해시키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불활성 유기 가소제의 예로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및 구체적으로 글리콜, 예를 들어 글리세린; 1,2-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뿐만 아니라 일기능성 화합물, 예를 들어 3-메톡시-메틸부탄올("MMB")을 들 수 있다. 비휘발성 유기 가소제의 추가 예로는 폴리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톡시화된 페놀, 예를 들어 피칼 94(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알킬, 아릴 및 아르알킬 에테르 글리콜, 예를 들어 미국 미시간 미드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에서 상표명 도와놀로 시판되는 것,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모노부틸 에테르(도와놀 PnB),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도와놀 TPnB), 디프로피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도와놀 DPnB),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도와놀 PPH),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도와놀 PM); 폴리에톡시화 알킬 페놀, 예를 들어 트리톤 X35 및 트리톤 X102; 일치환 또는 다치환 폴리에틸렌 글리콜, 예를 들어 PEG 400 디에틸헥사노에이트(테그머 809, CP 홀), PEG 400 모노라우레이트(CHP-30N CP 홀에서 시판됨) 및 PEG 400 모노올레이트(CPH-41N CP 홀에서 시판됨); 아미드, 예를 들어, 고급 알킬 치환된 N-알킬 피롤리돈, 예를 들어 N-옥틸피로리돈; 설폰아미드, 예를 들어 N-부틸벤젠 설폰아미드(CP 홀에서 시판됨), 벤조에이트 에스테르, 예를 들어 미국 일리노이 로즈마운트 소재의 벨시콜 케미칼 코포레이션에서 상표명 벤조플렉스로 시판되는 것, 예를 들어 디프로필렌 글리콜디벤조에에트(벤조플렉스 50),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2,2,4-트리메틸 1,3-펜탄 디올의 벤조산 디에스테르(벤조플렉스 354), 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디벤조에이트 등; 분자량의 10,000 달톤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000 달톤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약 2500 달톤 미만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랜덤 및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한 용어 폴리에티렌 글리콜은 에티렌 옥사이드 또는 2-할로에탄올과 반응하는 2 내지 6개의 알콜기를 보유하는 글리콜이다.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수크로즈 등으로부터 형성된다. 가장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부터 형성된다. 폴리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또는 C2-4 알킬렌 옥사이드기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는 가소제로서 선택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의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가소제는 감압성 접착제 중합체와 상용성인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산 작용기를 보유하는 중합체와 블렌딩하는 경우 히드록실기와 같은 2개 미만의 친핵성 기를 보유하는 비휘발성의 비중합성 가소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2개 이상의 친핵성 기를 보유하는 화합물은 높은 압출 온도에서 핫 멜트 압출기내 접착제의 가교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휘발성 가소제가 냉각시 균질한 조성물을 남기는 접착제와 함께 핫 멜트 압출기 내에서 핫 멜트 코팅 접착제와 함께 균질한 용액을 형성하여 압출된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의 요오드 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몇몇 바람직한 가소제 화합물의 목록을 하기 표에 기재한다. 주의할 점은 이들 화합물은 중온으로 가온하면서 6% 요오드/7.2% 요오다이드를 용해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표]
상표명 5% PVPI(*) 2%I2/2.4%NaI 18% I2
피칼 94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가용성 가용성 가용성
플라스톨BSA N-n-부틸벤젠설폰아미드 70℃로 가열후 가용성 가용성 가용성
테그머R 804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불용성 가용성 가용성
테그머R 809 PEG400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불용성 가용성 가용성
CPH-30N PEG400 모노라우레이트 불용성 가용성 가용성
CPH-41N PEG400 모노라우레이트 불용성 가용성 가용성
*PVPV = 포비돈-요오드 USP
필요에 따라, 다른 요오드 종도 요오드 및/또는 요오다이드 조성물, 또는 궁극적인 접착제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요오데이트(IO3 -)도 접착제에 첨가하여 수성 요오드 조성물의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가용화 액체가 중합 가능한 경우이다. 이러한 중합 가능한 가용화 액체의 예로는 알콜 또는 알킬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내에 말단화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사슬을 포함하는 비닐 단량체,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의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메트)아크릴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식에서,
m은 2 이상이고; p는 0∼50이고; q는 0 또는 1이고; R3은 H 또는 CH3이고;R4는 수소 또는 선형 또는 분지된 알킬 및/또는 아릴 기이나; 단, 이소프릴렌 옥사이드 기("p" 기) 및 에틸렌 옥사이드 기("m" 기)는 역 배치, 랜덤 배치 또는 블록 배치로 정렬된다. 다른 유용한 중합 가능한 유기 용매로는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N-비닐 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피롤리돈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합 가능한 가용화 액체는 가능한 조기숙성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 예를 들어 요오드와의 반응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요오드 가용화 액체 및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가 물 및 비반응성 유기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경우이다. 특히 더 바람직한 구체예는 요오드 가용화 액체가 히드록실기 작용기를 보유하는 유기 용매(예를 들어, 글리콜)로부터 선택되고,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가 물인 경우이다. 요오드 가용화 액체 및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가 상이한 액체인 경우, 이들은 핫 멜트 중합체 내에서 요오드/요오다이드 착체를 형성하는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와 함께 동시에 핫 멜트 압출기 내로 비례적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체예는 특정 잇점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가용화 액체는 특정 가용화 액체 내에서 요오다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의 높은 가용성에 부합되도록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요오드는 다수의 글리콜 중에서 요오다이드 보다 훨씬 더 가용성이며, 요오다이드는 물에서 요오드 보다 훨씬 더 가용성이다. 가용화시키려는 특정 종과 부합하는 가용화 유체의 선택에 의해, 압출기 내로 첨가하려는액체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요오드 용액 및/또는 요오다이드 용액(둘이 배합되는 경우, 요오드/요오다이드 배합 용액)은 실온(예를 들어, 23℃)에서 액체, 고체 또는 페이스트로 제조할 수 있는데, 단 핫 멜트 코팅 접착제 내에서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의 균질한 혼합이 가능하여야 한다. 고체 조성물의 경우, 상기 혼합물은 융점을 넘는 온도로 가열하고 핫 멜트 압출기 내로 펌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가용화 액체 내에서 완전히 가용화되어 코팅 온도 또는 코팅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균질한 용액을 형성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코팅 온도 훨씬 미만의 온도에서 가용화 액체 내에 가용화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실온(23℃)에서 가용화 액체 내에 가용화된다. 이는 요오드/요오다이드 물질의 핫 멜트 압출기 내로의 투입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대안으로, 가용화된 성분은 추가의 성분들과 배합되어 핫 멜트 코팅기내로 투입하기에 적합한 고체, 예를 들어 펠릿, 플레이크, 과립 또는 분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이온은 요오드/요오다이드를 위한 착화제로서 작용하는 가용화 액체 중에 가용화된다. 이러한 착화제는 상세히 후술한다. 대안으로, 가용화 액체는 요오드/요오다이드 혼합물을 착화시키지 않는 물질 및 착화제 둘 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 구체예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과의 혼합 이전에 형성된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의 착체를 제공하는데, 기체 상태로의 요오드의 손실은 거의 없거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요오드/요오다이드 착체는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이온의 물질과 결합하는 물질이어서, 요오도포어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요오도포어(Iodophor)는 요오드/요오다이드와 착화제의 착체인데, 이때 원소 요오드 분자의 일부분은 착화제와 평형을 이룬다(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이들 분자는 "유리" 요오드라 칭하며, 이들 착체의 살균 작용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세균이 사멸되는 경우, "유리" 요오드의 일부는 감손되고, 상기 착체로부터 유리된 요오드로 치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착화제는 가용화 액체의 한 성분일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착화제는 별도의 성분으로서 예비 접착제 배합물에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의 일부분으로서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자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착화제는 요오드 또는 요오다이드와 상호작용하여 요오도포어를 형성하는 작용기를 함유하는 접착제 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요오도포어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화합물은 히드록실 작용기, 락탐 작용기, 아미드 작용기, 아민 옥사이드 작용기 또는 폴리에테르 작용기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로는 글리콜 화합물 및 다수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예를 들어 글리콜 단량체;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화합물, 예를 들어 PEG 측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PEG 에스테르; 및 락탐 작용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예를 들어 N-비닐피로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피롤리돈 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카프로락탐 및 n-옥틸 피롤리돈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글리콜로는 폴리히드록시작용성 화합물,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2-메틸-1,3-프로판디올, 뿐만 아니라 모노히드록시작용성 화합물, 예를 들어 피칼 94(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3-메톡시 메틸부탄올("MMB"), 2-페녹시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 피칼 94가 바람직하다. 또한,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아미드 작용기를 보유하는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일 수 있다. 다른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착화성 작용기를 보유하는 부분,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N-비닐 락탐, 피롤리돈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로부터 유도된 것;과 다른 불포화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로는 미국 특허 출원 09/901,219호(2001년 7월 9일; Schaberg 등)에 개시되어 있다. 기타 바람직한 중합체로는 폴리에테르 함유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노닐페놀에톡실레이트 옥틸페놀에톡실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폴리에테르 글리콜; 폴리비닐 알콜; 폴리카르복실산,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로즈 등 및 이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로는 아미드 작용기를 포함하는 중합체, 예를 들어 N-비닐 락탐으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폴리에톡시화 화합물 및 폴리에톡시화기를 포함하는 비닐 중합체를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핫 멜트 공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는 중합체 수지 조성물인데, 상기 성분들은 궁극적인 접착제 복합체의 소정의 접착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다른 성분들의 혼입 및 기재 상의 코팅 이후, 감압성 접착제를 제공하도록 배합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예비 접착제 조성물의 예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이소프렌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크라톤 폴리머스에서 상표명 크라톤으로 시판되는 것,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둘 다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알파 올레핀, 실리콘, 및 이의 블렌드 또는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접착제 조성물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둘 다를 포함함)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다른 비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예를 들어 N-비닐 락탐, (메트)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메틸비닐 에테르, 폴리스티렌 마크로머, 비닐 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완전히 수소화된 접착제는 상기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불포화 작용기에 대한 요오드 첨가를 예방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은 원래 점착성인 중합체의 배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점증제를 베이스 중합체 배합물에 첨가하여 감압성 접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유용한 점증제로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수지, 지방족 탄화수소 수지 및 테르펜 수지를 들 수 있다.
특정 목적을 위해 다른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데, 그 예로는 오일, 가소제, 산화방지제, 자외선("UV") 안정화제, 수소화 부틸 고무, 안료, 염료, 히드로콜로이드 입자,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50,134호 및 미국 특허 제5,633,010호에 기술된 생접착제 조성물 및 환부 드레싱, 추가의 항균제, 산화 방지제 및 경화제를 들 수 있다.
요오드 이외에 임의로 혼입될 수 있는 항균제의 예로는 알파 히드록시산, 예를 들어 락트산, 말산, 시트르산, 2-히드록시부타노산, 3-히드록시부타노산, 만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살리실산 뿐만 아니라 이의 유도체(예를 들어, 히드록실, 페닐기, 히드록시페닐기, 알킬기, 할로겐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치환된 화합물), C8-18 지방산, C8-18 설폰산 및 이의 염, 4차 암모늄 계면활성제(8개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알킬 사슬 또는 벤질기를 보유함), 파라클로로메타크실레놀(PCMX), 트리클로산, 헥사클로로펜, 글리세린과 프로필렌 글리콜의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카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레이트, 페놀, (C12-22)히드로포브와 4차 암모늄 기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 및 중합체, 폴리4차 아민, 예를 들어 폴리헥사메틸렌 바이구아나이드, 4차 실란, 은, 은 염, 예를 들어 염화은, 산화은 및 은 설파디아진,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파라벤, 옥테니덴 등 뿐만 아니라 이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접착제 조성물은 단량체 혼합물 또는 예비중합체 혼합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합하여 핫 멜트 접착제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중합하여 감압성 핫 멜트 접착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무용매 중합 방법,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619,979호 및 제4,843,134호에 기재된 연속적인 자유 라디칼 중합법; 본질적으로 미국 특허 제5,637,646호에 게자된 배치 반응기를 이용하는 단열 중합법을 이용하여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국 특허 제5,804,610호에 기재된 포장된 중합 가능한 혼합물을 중합하기 위해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소량의 휘발성의 비중합가능한 용매는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가교제를 용해시키기 위해 예비 접착제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10 중량% 미만의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5 중량% 미만의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1 중량% 미만의 용매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용매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한 용어 "무용매(solventless)"는 코팅후 용매 제거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핫 멜트 접착제를 의미한다. 이들 무용매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압출 공정에 의해 코팅되어 휘발성 유기물이 5 중량% 미만인 조성물을 산출한다. 전체 휘발성 유기물은 125 미크론 미만의 두께를 가진 코팅된 조성물을 100℃ 및 1 기압에서 3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들 접착제는 상기 평가에서 그들의 전체 중량의 5% 이상이 손실되지 않았다.
중합 방법에 따라,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적합한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한 중합을 위해, 적합한 개시제가 포함된다. 열중합을 위해서는 열 개시제가 포함된다. 자유 라디칼 중합을 위해서는, 적합한 자유 라디칼 개시제, 예를 들어 퍼옥사이드 개시제, 퍼설페이트 개시제, 아조 개시제, 예를 들어 듀퐁에서 상표명 바조로 시판되는 것, 레독스(산화-환원) 개시제가 제공된다. 또한, 열 개시 및 광 개시의 조합과 같이 상이한 개시제 시스템의 조합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반응성 압출기 내에서 중합하여 열 개시제를 이용하는 특정 전환을 수행하고, 생성된 조성물(여전히 예비 접착제 상태)는 포장재(예를 들어, 파우치 또는 쉘 형태) 및 광개시제와 배합하고, 자외선에 노출시켜 중합을 완료시킨다. 역으로, 최초 중합은 광개시제에 의해 개시하고, 중합은 후속적으로 열 개시제를 이용하여 완료한다. 또한, 열 개시제 및 광 개시제는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것 보다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사슬 전이제를 포함하여 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사슬 전이제는 자유 라디칼 중합을 조절하는 물질이며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물질이다. 적합한 사슬 전이제로는 할로겐화된 탄화수소, 예를 들어 탄소 테트라브로마이드; 황 화합물, 예를 들어 헥실 머캅탄, 라우릴 머캅탄, 부틸 머캅탄, 에탄티올, tert-도데실 머캅탄, sec-도데실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이소옥틸티오글리콜레이트(IOTG), 2-에틸헥실 티오글리콜레이트, 2-에틸헥실 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머캅토이미다졸 및 2-머캅토에틸 에테르; 및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유용한 사슬 전이제의 양은 사슬 전이제의 소정 분자량 및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존재하는 경우 사슬 전이제는 전형적으로 전체 단량체 100부 당 약 0.001 중량부 내지 약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0.5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2 중량부 내지 약 0.2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예비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제가 핫 멜트 코팅된 후 활성화될 수 있는 유효량의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핫 멜트 코팅 이전 또는 코팅 중에 중합된 접착제에 첨가할 수 있거나, 또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예비 접착제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 가교제는 접착제 내에서 별개의 종으로서 원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 있다. 가교는 핫 멜트 코팅 후에 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개시되거나, 또는 이온화 방사선, 예를 들어 감마선 또는 전자 빔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별도의 가교제의 이용은 이온화 방사선의 경우에는 임의적이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매질 압력 수은 아크 램프로부터 유래하는 자외선에 노출시킴으로써 가교될 수 있다. 자외선에 의해 활성화된 가교제는 일차적으로 중합체를 위해 사용된 것과는 다른 파장의 에너지에 의해 활성된다. 예를 들어, 낮은 세기의 흑광이 중합을 위해 사용되고, 수은 아크 램프는 후속 가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중합체는 중합 이전에 단량체 내에 용해시켜 접착 특성을 개선시키거나, 또는 시럽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의 예로는 실리콘 감압성 접착제, 아크릴 중합체 및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공중합가능한 마크로머, 예를 들어 미국 특허제4,554,324호(Husman 등)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기타 첨가제는 예비중합체 조성물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핫 멜트 코팅시에 첨가하여 접착제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또는 충전제의 예로는 가소제, 안료, 유리 또는 중합체 버블 또는 비드(팽창될 수 있거나 팽창될 수 없음), 섬유, 강화제, 소수성 또는 친수성 실리카, 탄산칼슘, 강인화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미분 중합체 입자,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 추가의 항균제 및 안정화제를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원하는 최종 특성을 얻기 위해 충분한 양으로 첨가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감압성 접착제는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한다(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감압성 접착제이다). 폴리(메트)아크릴 감압성 접착제는 예를 들어, 1종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단량체, 예를 들어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1종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단량체, 예를 들어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2-메틸-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1종 이상의 임의의 공단량체 성분,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 N-비닐 피롤리돈, (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 에스테르, 푸마레이트, 스티렌 마크로머, 또는 이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 (메트)아크릴 감압성 접착 중합체는 약 0 내지 약 20 중량%의 아크릴산 및 약 100 내지 약 80 중량%의 1종 이상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을 위한 바람직한 감압성 접착제(PSA) 공중합체 구체예는 약 2 내지 약 10 중량% 아크릴산 및 약 90 내지 약 98 중량%의 1 종 이상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조성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을 위한 한가지 특정 PSA 중합체 구체예는 약 2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아크릴산, 약 90 중량% 내지 약 98 중량%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약 2 중량% 내지 약 6 중량%의 스티렌 마크로머로부터 유도된다. 별도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접착제 중합체는 약 85 내지 98%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조합 및 2 내지 15%의 N-비닐 락탐, 예를 들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또는 피롤리돈 에틸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PSA 공중합체는 약 90 내지 98%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의 조합 및 2 내지 10%의 N-비닐 락탐, 예를 들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또는 피롤리돈 에틸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PSA 중합체는 약 35 내지 약 55 중량%의 아크릴산 및 약 35 내지 약 55 중량%의 1종 이상의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및 약 2 내지 약 10 중량%의 1종 이상의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및 피롤리돈 에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습윤 표면에 양호한 접착을 제공하는 궁극적인 접착제 복합체를 생성하는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한다. 습윤 표면 접착제는 의료적 용도로 사용되는 환경에서 특히 중요하며, 특히 환부 드레싱 및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로 사용시 중요하다. 이들 용도는 접착제 복합체의 접착에 대한 극단적인 도전인데, 그 이유는 수술 과정의 결과로서 과량의 유체가 환부에 모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온의 습한 환경에서 이러한 접착제 복합체의 용도는 유체가 존재한다는 이유로 특정 접착제에 대한 도전이다. 습윤 또는 물기가 있는 표면, 예를 들어 습한 피부에 접착하는 PSA는 "습윤-점착성(wet-stick)" 접착제라 칭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a) 단독 중합되는 경우 Tg가 약 10℃ 미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단량체 약 30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
(b) 친수성의 산성 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 약 70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및
(c) 상기 (a) 성분 + (b) 성분의 합 100 부를 기준으로 약 10 내지 100 부의 비반응성 가소제
의 무용매 중합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감압성 접척제는 습윤 기재 표면에 부착한다.
이 접착제는 WO 00/56828호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a) (i) 단독중합되는 경우 유리 전이 온도가 약 10℃ 미만이고 평균 4개 이상의 탄소를 보유하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공중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ii) 단독중합되는 경우 유리 전이 온도가 약 10℃ 이상인 1종 이상의 공중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강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감압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b) (i) 평균 4개 미만의 탄소를 보유하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공중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ii) 1종 이상의 공중합된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의 산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성분
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제이다.
이 접착제는 WO 00/78885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는 피부로부터 저 외상 제거를 제공하기 위해 배합된 핫 멜트 접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접착제 복합체는 피부에 식별 가능한 손상을 입히지 않고 피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구체예는 접착제 복합체가 노인 환자에게 사용되거나 극단적으로 민감하거나 또는 약한 피부를 가진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우 특별한 잇점을 제공한다. 또한, 저 외상 접착제는 트레이프 상에 접착제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천 드레이프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데, 이는 수술용 드레이프의 세탁 및 재사용에 특별한 잇점을 제공한다. 잔류물 평가는 천 드레이프에 접착제 복합체를 먼저 도포하고, 4.5 파운드(0.24 kg)의 롤러를 6회 굴려 압력을 인가하고, 접착제 조성물을 천 드레이프 상에서 8 시간 동안 위치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제거하고, 천 드레이프는 육안으로 잔류물 존재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천 드레이프 상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잔류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저 외상 접착제 조성물은 감압성 접착제 매트릭스 및 상기 감압성 접착제 매트릭스 내의 섬유상 강화 물질을 포함하는 섬유 강화된 접착제 조성물이다. 이 섬유 강화 접착제 조성물은 감압성 접착제 단독에 비해 개선된 접착 강도를 가능하게 하나, 감압성 접착제의 점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지 않는다. 이러한 접착제 조성물의 특정 포맷은 접착제 복합체의 스트레칭 박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접착제 복합체는 바람직하게는 45°이하의 각도 및 30 cm/분의 속도에서 상기 접착제 복합체를 당기고 신장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스트레칭 박리 구체예는 매우 신장가능하고 또한 용이하게 연장가능한 배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거 공정은 기재 표면에 대한 현저한 손상없이 및 상당량의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기재로부터 접착제 복합체를 탈착시킨다.
강화 재료의 섬유는 중합체 그 자체로부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재 상에 코팅하기 이전에 핫 멜트 접착제 복합체는 내부에 분포된 반결정성 중합체를 보유한다. 상기 강화 재료는 접착제 조성물 내에서 혼화할 수 없어 감압성 접착제 내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강화 재료는 평균 직경이 약 20 ㎛ 미만인 실질적으로 구형 입자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강화 재료는 접착제 조성물의 한 성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핫 멜트 혼합기내에서 혼합시 핫 멜트 코팅 접착제의 다른 성분과 함께 별도의 성분으로 첨가될 수 있다.
핫 멜트 코팅 접착제의 코팅중, 상기 혼합물은 신장 전단력을 받는다. 생성된 코팅된 접착제는 접착제 내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섬유로 존재하는 강화 재료를 함유한다.
스트레칭 박리 접착제를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한 접착제 조성물은 미국 특허출원 09/764,478호(2001. 1. 17, Zhou 등)에 개시된 바에 따라 제조하였다.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은 처리 단계에서 상기 조성물의 용이한 취급을 위해 멜트 처리가능한 포장 내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즉시 코팅하지 않는 경우, 핫 멜트 코팅 접착제는 후속 핫 멜트 코팅 조작에서 용이한 취급을 위해 용융 처리가능한 포장 내에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처리가능한 포장재는 접착제와 배합되는 경우 소정 접착 특성에 실질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접착제 및 포장재의 혼합물로 제조된 핫 멜트 코팅 접착제는 접착제만으로 제조된 핫 멜트 코팅 접착제에 비해 개선된 접착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접착제의 처리 온도(즉, 접착제가 유동하는 온도) 이하에서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재는 융점이 200℃ 이하가 바람직하며, 170℃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융점은 90℃ 내지 150℃이다. 상기 포장재는 가용성 열가소성 중합체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아크릴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타디엔 또는 이오노머 필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포장재는 에틸렌-아크릴산 또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필름이다.
포장재의 양은 재료의 유형 및 원하는 최종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포장재의 양은 전형적으로 예비 접착제 조성물 및 포장재의 전체 중량의 약 0.5% 내지 약 20%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재는 2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내지 5 중량%이다. 이러한 포장재는 가소제, 안정화제, 염료, 향료, 충전제, 활제, 블로킹방지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마이크로웨이브 서셉터, 열 전도성 입자, 전기 전도성 입자, 및/또는 가요성, 취급 용이성, 가시성 또는 상기 필름의 다른 유용한 특성을 증가시키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단 이들이 접착제의 소정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핫 멜트 혼합 또는 코팅 공정에 사용하기 전에 포장 내에서 예비 접착제 조성물 성분들의 중합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들 구체예에서, 포장재는 사용된 중합 방법을 위해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광중합을 사용하는 경우, 중합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파장에서 자외선에 충분히 투명한 필름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비 접착제 조성물의 열적 중합은 약 40℃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상기 조성물을 중합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열 교환 매질 내에 포장된 조성물을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매질은 가압 또는 작용 기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물, 퍼플루오르화 액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또한, 열적 중합을 위해 필요한 열은 금속 평판, 가열된 금속 롤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중합된 접착제는 접착제 및 그의 포장재를 접착제 및 그의 포장재가 용융되는 용기 내로 투입함으로써 코팅 가능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핫 멜트 접착제를 제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균질한 혼합(homogeneous mixing)"은 상기 조성물이 접착제 매트릭스 전체를 통해 균일한 농도의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를 획득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코팅된 접착제는 배킹 또는 라이너 상에 균일한 두께로 코팅되는 경우, 균일한 색상을 보유하여 확대경을 사용하지 않는 육안 검사시 시각적으로 분별할 수 있는 변색은 일어나지 않았다.
핫 멜트 혼합기는 소정 온도 범위에서 I2/I-조성물,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 및 접착제 조성물의 일시적인 혼합을 제공할 임의의 적합한 장치이다.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가 차후에 예비성형될 기재 상에 코팅하면서 즉시 저장용으로 제조되는 경우, 핫 멜트 혼합기는 혼합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벌크 탱크 용융기 또는 멜트-온-디멘드(melt-on-demand) 장치가 바람직하다. 용융 블렌딩 장치는 분산 혼합, 분포 혼합 또는 분산 혼합과 분포 혼합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회분식 용융 블렌딩 및 연속식 용융 블렌딩 방법 둘 다 사용할 수 있다. 회분식 방법의 예로는 브라벤더(예를 들어, 미국 뉴저지 사우스 핵켄색 소재의 C.W. 브라벤더 인스트루먼츠, 인크.에서 시판되는 브라벤더 프렙 센터) 또는 밴버리 내부 혼합 및 롤 밀링 장치(예를 들어, 미국 코네티컷 안소니아 소재의 파렐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회분식 혼합후, 생성된 혼합물은 즉시 켄칭하고 차후 처리를 위해 혼합물의 융점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저장한다.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가 기재 상에 즉시 코팅되는 경우, 핫 멜트 혼합기는 가열된 압출기(연속 압출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또는 휴대용 핫 멜트 접착제 총(gun)이 바람직하다. 연속식 멜트 블렌딩 방법의 예로는 단일 스크류 압출, 트윈 스크류 압출, 디스크 압출, 왕복동식 단일 스크류 압출 및 핀 배럴 단일 스크류 압출을 포함한다. 상기 연속식 방법은 분포 부재, 예를 들어 공동 전달 혼합기(예를 들어, 영국 쉬루스버리 소재의 라프라 테크놀로지 리미티드에서 시판되는 CTM) 및 핀 혼합 부재, 정전 혼합 부재 또는 분산 혼합 부재(예를 들어, Chris Rauwendaal에 의해 출판된 "Mixing in Single-Screw Extruders", Mixing in Polymer Processing에 기술된 바와 같은 매독 혼합 부재 또는 삭스톤 혼합 부재; Chris Rauwendaal에 의해 출판된 "Mixing in Single-Screw Extruders", Mixing in Polymer Processing에 기술된 바와 같은 마르셀 데커 부재 또는 삭스톤 혼합 부재;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91) pp. 129, 176-177 및 185-186)의 이용을 포함한다.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가 차후 예비성형될 기재 상에 코팅하면서 중간 저장을 위해 제조되는 경우, 상기 접착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용융 처리 가능한 포장재 내에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는 시트 재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재 상에 접착제를 코팅함으로써 접착제 복합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재료는 테이프 배킹 또는 박리 라이너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가 첨가되는 경우, 코팅된 접착제는 충분한 자외선 또는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시켜 가교를 수행할 수 있다. 가교는 코팅후에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제 복합체는 연속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방법은 신장성 전단력 장치(예를 들어, 인발 다이, 필름 다이 또는 회전 로드다이)로부터 접착제 조성물을 핫 멜트 코팅, 인발 또는 압출하는 단계; 및 후속적으로 인발된 접착제 조성물을 이동 웹(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합한 기재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된 연속 형성 방법은 필름 다이로부터 접착제 조성물 및 동시압출된 배킹 재료를 압출하는 단계 및 층으로 구성된 생성물을 냉각하여 접착제 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연속 형성 방법은 빠르게 이동하는 웹 또는 기타 적합한 예비형성된 기재에 직접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이동하는 예비성형된 웹에 가용성 다이 립을 보유하는 다이, 예를 들어 회전 로드 다이를 이용하여 도포한다. 코팅된 핫 멜트 접착제는 임의로 코팅후 냉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는 직접적인 방법(예를 들어, 냉각 롤 또는 수조) 또는 간접 방법(예를 들어, 공기 또는 기체 작용)을 이용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켄칭함으로써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기재가 적합한 배킹인 테이프, 환부 드레싱,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 등이 형성된다. 전형적인 테이프 배킹은 셀룰로즈 재료, 예를 들어 종이, 크레이프지, 및 천(직물 및 부직물 둘 다 포함함); 필름, 예를 들어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성 폴리에스테르, 이축 및 단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및 나일론; 발포재,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폼 및 아크릴 폼; 및 금속 호일, 예를 들어 알루미늄 호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사이즈 드레이프는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재료는 연장된 수술 시간 동안 필름을 통해 수분 증발을 가능하게 한다. 인사이즈 드레이프용으로 특히 적합한 재료로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저 밀도 폴리에틸렌 및 특히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다우 케미칼에서 시판되는 인게이지(상표명)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예를 들어, 미국 오하이오 클리블랜드 소재의 B.F. 굳리치에서 시판되는 에스탄(상표명)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예를 들어, 미국 델라웨어 윌밍턴 소재의 듀퐁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하디트렐(상표명)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예를 들어,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의 ELF 아토켐, 노스 아메리카 인크.에서 시판되는 페박스(상표명) 레진)을 들 수 있다. 테이프 제품과 같이 라이너 없이 자체 권취된 제품에 있어서, 배킹은 통상 이면 상에 박리 코팅,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처리하며, 핫 멜트 코팅 이전에 처리하여 배킹에 대한 접착제의 접착을 증강시킬 수 있다. 배킹에 대한 접착제의 접착을 증강시키기 위해 유용한 처리는 화학적 프라이밍 및 코로나 처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전사 테이프가 형성되는데, 이때 기재는 박리 라이너이다. 상기 박리 라이너는 박리 코팅과 함께 한면 또는 양면 상에 코팅할 수 있으며, 상기 전사 테이프는 사용시 최종 사용자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박리 라이너는 여러가지 재료, 예를 들어 종이, 플라스틱 코팅지, 플라스틱 필름, 직포, 부직포 또는 편물 뿐만 아니라 필름 구조 적층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는 친수성이어서 유체 흡수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소수성이어서 흡수가 없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인사이즈 드레이프 구체예에서, 바람직한 박리 라이너 재료는 시술의가 필름을 통해 환자를 볼 수 있고 따라서 환자에게 필름을 도포하는 중에상기 필름을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 투명한 중합체 라이너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투명한 중합체 라이너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라이너 뿐만 아니라 적층체,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코팅된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감마 안정화를 위해 의도된 생성물에 있어서,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틸렌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라이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거즈 패드를 포함하는 테이프 내에 사용되며, 구급 드레싱(즉, 환부 또는 수술용 드레싱)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들은 기타 다양한 의약품, 예를 들어 의료용 테이프, 스포츠용 테이프, 수술용 드레이프 또는 의료 장치, 예를 들어 센서, 전극(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15,087호 및 미국 특허 제6,171,985호에 기술된 것), 인공 항문 성형술 어플라이언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접착제 복합체는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이다. 접착제 내에 항균제를 함유하는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는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제4,310,509호; 제4,323,557호; 및 제5,979,450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될 것이다.
재료
약어 상표명 및/또는 설명 공급처/주소
PVPI 포비돈 요오드 바스프 코포레이션뉴저지 마운트 올리브
2EHA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바스프 코포레이션뉴저지 마운트 올리브
AA 아크릴산 바스프 코포레이션뉴저지 마운트 올리브
PPEG PYCAL94/페녹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이씨아이 케미말 인크.델라웨어 윌밍턴
EPPG UCON 50H400, 에틸렌/프로필렌 글리콜 유니온 카바이드-다우 코포레이션 코네티컷 댄버리
PG 프로필렌 글리콜 시그마-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2PE 2-페녹시 에탄올 시그마-알드리치 케미칼 컴퍼니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MPD 2-메틸 1,3-프로판디올 리욘델 케미칼 월드와이드 인크. 텍사스 휴스턴
MMB 3-메톡시 3-메틸, 1-부탄올 CBC 아메리카 코포레이션뉴욕 뉴욕
MPEG 550 카르보왁스 MPEG 550/A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분자량 약 550) 유니온 카바이드-다우 코포레이션 코네티컷 댄버리
Irg 651 이르가큐어 651/A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광개시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코포레이션 뉴욕 태리타운
Irg 1076 이르가녹스 1076/옥타데실 8(e, 5-tert-구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피오네이트산화방지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코포레이션 뉴욕 태리타운
IOTG 이소옥틸 티오글리콜레이트 햄브셔(다우 케미칼의 자회사)메사추세츠 렉싱턴
테그머(Tegmer)R 804 테그머R 804/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 헥사노에이트 CP 홀 컴퍼니일리노이 시카고
테그머R 809 테그머R 809/PEG 400디-2-에틸헥사노에이트 CP 홀 컴퍼니일리노이 시카고
PEG400 카르보왁스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분자량 약 400 유니온 카바이드-다우 코포레이션 코네티컷 댄버리
CPH-30N CPH-30N/PEG 400 모노라우레이트 CP 홀 컴퍼니일리노이 시카고
PHE3040 이그잭트 3040/에틸렌 헥센 공중합체중합체 수지 엑손모빌 컴퍼니 코포레이션텍사스 휴스턴
IOA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3M 컴퍼니미네소타 세인트 폴
NVP n-비닐 피롤리돈 바스프 코포레이션뉴저지 마운트 올리브
POE 10 아탄 4202/옥텐 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다우 케미칼 컴퍼니미시간 미드랜드
NVC n-비닐 카프로락탐 바스프 코포레이션뉴저지 마운트 올리브
I2 요오드 딥워터 케미칼스오크랜드 우드워드
NaI 요오드화나트륨 딥워터 케미칼스오크랜드 우드워드
실시예 1 내지 4
상이한 레벨의 글리콜 및 포비돈 요오드(PVPI)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AA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접착제 단량체 및 글리콜 가소제는 33/33/33 AA/2EHA/PPEG 조성물을 이용하고 미국 특허 제5,804,61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내에 포장하였다. 파우치의 내용물은 이들을 UV-A 방사선에 10분 동안 노출시켜 중합하였는데, 임의의 침지 깊이에서 0.0254 cm(1 인치)에서 측정한 UV 세기는 3.5 mW/cm2였고, 16℃의 물에 침지시켰다.
성분들 PVPI, PPEG 및 MPEG 55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표 1에 나타낸 양을 110℃의 온도에서 2개의 시그마 혼합 블레이드를 구비한 30 ml 보울을 이용하는 프렙 센터 용융 혼합기(미국 뉴저지 핵켄색 소재의 C.W. 브라벤더에서 시판됨)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각 성분의 첨가후, 접착제 조성물은 다음 단계를 진행하기 이전에 약 10분 동안 혼합하였다. 합성된 중합체는 브라벤더 혼합기로부터 꺼내고, 실험실 규모의 용융 혼합 및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154℃에서 실리콘처리된 PET 필름(미국 버지니아 마틴스빌 소재의 C.P. 필름스 인크.에서 시판됨)의 0.0508 mm(2 mil) 두께의 박리 표면 상에 코팅하였다. 상기 장치는 적합한 혼합을 달성하기 위해 한정된 횟수(60 사이클, 이때 1 사이클은 정전 혼합 구역 상으로 2회 통과임)로 3-부재 정전 혼합 구역 상으로 가열 및 용융된 중합체를 반복하여 힘을 가하여 용융 혼합하였다. 밸브는 용융 챔버와 동일한 온도로 가열된 5.08 cm(2 인치) 폭 x 0.0127 cm(0.005 인치) 오리피스를 가진 코트 행어 성형된 공동으로 작은 인발 다이를 통해 흐름을 재유도하였다. 상기 접착제 코팅 두께는 0.0508 내지 0.0762 mm(2-3 mil)이었다.
접착제를 라이너 상에 코팅한 후, 사람의 엄지로 눌러 표면 상에 압착하여 점착성 있음 또는 점착성 없음으로 기재한 상대 점착성, 그리고 강성 또는 연성으로 기재한 상대 경도에 관해 상기 표면을 평가하였다. 상기 접착제의 외관은 균일함에 대해 관찰하였으며, 균일함, 덜 균일함 또는 균일하지 않음으로 기재하였다. 균일하다는 것은 피복된 접착제의 두께가 일정하여 평탄하며, 코팅된 접착제 내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입자 또는 조각이 없다는 의미이다. 덜 균일하다는 의미는 코팅된 접착제의 두께가 일정하여 평탄하나, 몇몇 소입자가 접착제 내에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균일하지 않다는 것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평탄하지 않고 접착제 내에 다수의 입자 또는 조각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색도 기록하였다. 또한, 상대 투명도도 관찰하였으며, 불투명함, 투명함 및 더 투명함으로 기재하였다. 코팅된 접착제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
실시예번호 AA/2EHA/PPEG 접착제 PVPI PPEG MPEG550 표면 점착성 및 경도 외관
양(g) 양(g) 양(g) 양(g) (점착성 있음 또는 점착성 없음)(강성 또는 연성) (균일함)(색)
1 30.00 1.54 0.00 0.00 점착성 없음, 강성 균일함밝은 황색
2 30.00 1.61 1.50 0.00 점착성 없음, 강성 균일함밝은 황색
3 30.00 1.56 0.00 1.40 점착성 있음, 연성 더 투명함균일함밝은 황색
4 30.00 3.23 0.00 2.83 점착성 없음, 강성 균일함밝은 황색
실시예 5 내지 34
상이한 레벨의 비수성 요오드(I2) 용액 및 수성 요오드화나트륨(NaI) 용액을 갖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의 AA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성을 보유하는 6개의 접착 중합체(A-F)는 실시예 1 내지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표 2]
접착중합체 2-EHA AA NVP 10%IOTG 10% Irg651 10% Irg1076 PPEG EPPG
양(g) 양(g) 양(g) 양(g) 양(g) 양(g) 양(g) 양(g)
A 38.9 50.0 5.0 0.6 1.5 4.0 70.0 0.0
B 43.9 45.0 5.0 0.6 1.5 4.0 60.0 0.0
C 48.9 40.0 5.0 0.6 1.5 4.0 50.0 0.0
D 38.9 50.0 5.0 0.6 1.5 4.0 0.0 70.0
E 43.9 45.0 5.0 0.6 1.5 4.0 0.0 60.0
F 48.9 40.0 5.0 0.6 1.5 4.0 0.0 50.0
원소 요오드(I2)는 4개의 상이한 액체, 즉 테그머R 804, 테그머R 809, CPH-30N 및 PPEG에 용해시켜 18 중량% 용액을 얻었다. 상기 용액들은 유리 바이알에 위치시키고, 롤러 상에서 하룻밤 롤링하여 결정이 남지 않도록 하였으며, 최조 용액은 암적색이었다.
요오드화나트륨(NaI) 분말은 탈이온수에 완전히 용해시켜 투명한 50 중량% 용액을 얻었다.
표 2의 접착 중합체 A 내지 F는 각각 50% NaI 수용액 1.2 g 및 18% I2비수용액 2.8 g과 브라벤더 혼합기를 이용하여 110℃에서 약 15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합성된 접착제는 실시예 1 내지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험실 규모의 혼합 및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배킹 재료는 실시예 1 내지 4에 기술한 것과 동일한 0.0508 mm(2 mil) 두께의 PET 필름이었다. 코팅 두께는 약 0.0508 mm(2 mil)이었다. 놀랍게도, 압출중에 요오드는 용융 혼합중의 분위기 내로 거의 휘발되지 않거나 휘발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코팅된 접착제의 외관은 균일함, 덜 균일함 및 균일하지 않음으로 기록하였다. 균일하다는 것은 피복된 접착제의 두께가 일정하여 평탄하며, 코팅된 접착제 내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입자 또는 조각이 없다는 의미이다. 덜 균일하다는 의미는 코팅된 접착제의 두께가 일정하여 평탄하나, 몇몇 소입자가 접착제 내에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균일하지 않다는 것은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평탄하지 않고 접착제 내에 다수의 입자 또는 조각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조성 및 결과는 표 3에 나타냈다.
[표 3]
실시예 5 내지 34의 조성 및 외관
실시예번호 CPH-30내I2 테그머809내I2 테그머804내I2 PPEG중I2 물중NaI 표 2의 접착 중합체 외관(균일함, 덜 균일함, 균일하지 않음)
양(g) 양(g) 양(g) 양(g) 양(g) 양(g)
A B C D E F
5 2.8 0.0 0.0 0.0 1.2 25.0 0.0 0.0 0.0 0.0 0.0 균일함
6 0.0 2.8 0.0 0.0 1.2 25.0 0.0 0.0 0.0 0.0 0.0 균일함
7 0.0 0.0 2.8 0.0 1.2 25.0 0.0 0.0 0.0 0.0 0.0 균일함
8 0.0 0.0 0.0 2.8 1.2 25.0 0.0 0.0 0.0 0.0 0.0 균일함
9 0.0 0.0 0.0 0.0 0.0 25.0 0.0 0.0 0.0 0.0 0.0 NA1
10 2.8 0.0 0.0 0.0 1.2 0.0 25.0 0.0 0.0 0.0 0.0 균일함
11 0.0 2.8 0.0 0.0 1.2 0.0 25.0 0.0 0.0 0.0 0.0 덜 균일함
12 0.0 0.0 2.8 0.0 1.2 0.0 25.0 0.0 0.0 0.0 0.0 덜 균일함
13 0.0 0.0 0.0 2.8 1.2 0.0 25.0 0.0 0.0 0.0 0.0 균일하지 않음
14 0.0 0.0 0.0 0.0 0.0 0.0 25.0 0.0 0.0 0.0 0.0 NA
15 2.8 0.0 0.0 0.0 1.2 0.0 0.0 25.0 0.0 0.0 0.0 균일하지 않음
16 0.0 2.8 0.0 0.0 1.2 0.0 0.0 25.0 0.0 0.0 0.0 덜 균일함
17 0.0 0.0 2.8 0.0 1.2 0.0 0.0 25.0 0.0 0.0 0.0 균일하지 않음
18 0.0 0.0 0.0 2.8 1.2 0.0 0.0 25.0 0.0 0.0 0.0 균일하지 않음
19 0.0 0.0 0.0 0.0 0.0 0.0 0.0 25.0 0.0 0.0 0.0 NA
20 2.8 0.0 0.0 0.0 1.2 0.0 0.0 0.0 25.0 0.0 0.0 균일하지 않음
21 0.0 2.8 0.0 0.0 1.2 0.0 0.0 0.0 25.0 0.0 0.0 균일하지 않음
22 0.0 0.0 2.8 0.0 1.2 0.0 0.0 0.0 25.0 0.0 0.0 덜 균일함
23 0.0 0.0 0.0 2.8 1.2 0.0 0.0 0.0 25.0 0.0 0.0 덜 균일함
24 0.0 0.0 0.0 0.0 0.0 0.0 0.0 0.0 25.0 0.0 0.0 덜 균일함
25 2.8 0.0 0.0 0.0 1.2 0.0 0.0 0.0 0.0 25.0 0.0 NA
26 0.0 2.8 0.0 0.0 1.2 0.0 0.0 0.0 0.0 25.0 0.0 균일함
27 0.0 0.0 2.8 0.0 1.2 0.0 0.0 0.0 0.0 25.0 0.0 균일함
28 0.0 0.0 0.0 2.8 1.2 0.0 0.0 0.0 0.0 25.0 0.0 균일하지 않음
29 0.0 0.0 0.0 0.0 0.0 0.0 0.0 0.0 0.0 25.0 0.0 NA
30 2.8 0.0 0.0 0.0 1.2 0.0 0.0 0.0 0.0 0.0 25.0 균일함
31 0.0 2.8 0.0 0.0 1.2 0.0 0.0 0.0 0.0 0.0 25.0 덜 균일함
32 0.0 0.0 2.8 0.0 1.2 0.0 0.0 0.0 0.0 0.0 25.0 균일하지 않음
33 0.0 0.0 0.0 2.8 1.2 0.0 0.0 0.0 0.0 0.0 25.0 균일함
34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25.0 NA
1NA는 기준을 적용할 수 없다는 의미임.
시험관내 항균 효능 테스트는 직접 접종 분석법(정성적인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예 5 내지 34로부터 취한 샘플에 대해 수행하였다. 또한, 박리 접착력 테스트도 수행하였다.
직접 접종 분석:
샘플은 3.9 cm2샘플에 부착한 스카치(등록상표) 영구 이중 점착 테이프 No. 137(미국 미네소타 세인트 폴 3M 컴퍼니)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는데, 접착제는 표지한 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의 바닥 내의 측벽에 도포하였다. 상기 드레이프 샘플을 함유하는 6-웰 플레이트는 25 킬로그레이의 조사량을 이용하여 감마-멸균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접착제의 표면을 가로질러 액적을 스포팅함으로써 엔테로콕커스 파에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ATCC 10741(약 9.0 x 108cfu/ml)의 현탁액 50 ㎕를 접종하였다. 접종된 샘플은 37℃의 가습 항온기 내에서 기설정한 지점에 이를때까지 항온처리하였다. 시점은 10분, 30분, 60분 및 120분이었다. 가능하다면, 상기 샘플은 한 시점에서 3회 테스트하였다.
일단 상기 시점에 이르면, 샘플은 항온기로부터 꺼내고, 0.1%의 티오황산나트륨을 가진 뇌 심 침출 액체배지(BHIB) 2 ml를 각각의 샘플 웰에 첨가하였다. 각각의 웰에 액체배지를 첨가한 후, 상기 플레이트는 다시 항온기에 하룻밤 위치시켰다. 다음날 각각의 플레이트는 탁도에 대해 평가하여 성장이 종료되었는지 또는 성장이 없는지를 결정하였다. 샘플 간섭으로 인해, 성장의 존재는 트리티카제 소이 아가(TSA) 상에서의 스트리킹에 의해 확인하였다. 결과는 성장이 있는 경우에는 (+)로 나타냈으며, 성장이 없는 경우에는 (-)로 나타냈다.
비교예 1
2 중량%의 요오드 및 2.4 중량%의 요오드화나트륨을 포함하는 용매계 접착제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4,323,527호(Rosso 등)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이를 실리콘 박리 라이너 상에 용매 코팅하고, 건조하여 균질하고 요오드-착색된 접착제 필름(두께: 0.037 mm(1.5 mil))을 형성하였다. 이 비교예(C1)는 표 4의 실시예 5 내지 34, 표 6의 실시예 35 내지 42, 표 9의 실시예 43 내지 47, 표 12의 실시예 48 내지 59, 표 14의 실시예 60 내지 62, 표 16의 실시예 63 내지 64에 대한 항균 효능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180도 박리 접착력 테스트:
합성된 접착제는 실시예 1 내지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약 0.0508 mm(2 mil)의 두께로 실리콘 처리된 PET 필름의 박리 표면 상에 코팅하였다. 접착제의 공기 표면은 53# 폴리 코팅된 크라프트 페이퍼 라이너로 피복하였다. 샘플은 1.27 cm(1/2 인치)의 폭 및 약 25.4 cm(10 인치)의 길이로 잘랐다. 박리 테스트 샘플은 2.04 kg(4.5 lb) 롤러로 6회 통과시키고, 박리 전에 1분 동안 대기시킴으로써 유리 표면에 도포하였다. 접착제 코팅된 필름은 아이매스 필 테스트 모델 SP 2000(미국 메사추세츠 어코드 소재의 아이매스 인크.에서 시판됨) 상에서 5초 동안 180°각도로 30.5 cm/분의 속도로 유리 기재로부터 박리하였다. 박리 값은 온스/1/2인치로측정하였으며, 뉴튼/미터(N/m)로 기록하였다.
[표 4]
실시예 5 내지 34 및 비교예 1의 항균 효능 및 박리 접착력 테스트 결과
샘플실시예번호 10분후 30분후 60분후 120분후 박리 접착력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N/m)
C1 + + + + + + + + + - - - 1NA
5 - - - - - - - - - - - - 482
6 + + + - - - - - - - - - 563
7 - - - - - - - - - - - - 558
8 - - - - - - - - - - - - 547
9 + + + + + + + + + + + + 201
10 - - - - - - - - - - - - 355
11 - - - - - - - - - - - - 407
12 - - - - - - - - - - - - 404
13 - - - - - - - - - - - - 368
14 + + + + + + + + + + + + 265
15 - - - + - - - - - - - - 475
16 - - - - - - - - - - - - 447
17 - - - - - - - - - - - - 482
18 - - - + - - - - - - - - 444
19 + + + + + + + + + + + + 403
20 - - - - - - - - - - - - 420
21 - - - - - - - - - - - - 532
22 - - - - - - - - - - - - 493
23 - - - - - - - - - - - - 543
24 + + + + + + + + + + + + 523
25 - - - - - - - - - - - - 468
26 - - - - - - - - - - - - 644
27 - - - - - - - - - - - - 578
28 - - - - - - - - - - - - 523
29 + + + + + + + + + + + + 468
30 + + + - - - - - - - - - 517
31 _ _ + - - - - - - - - - 506
32 - - - - - - - - - - - - 598
33 - - - - - - - - - - - - NA
34 + + + + + + + + + + + + 545
NA는 기준을 적용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모든 샘플의 박리 접착력은 허용가능하였으며, 201 내지 644 N/m 범위 내였다. 요오드 함유 접착제는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355 내지 644 N/m의 박리접착력 값을 나타냈다. 샘플 5, 7, 8, 10 내지 13, 15 내지 18, 20 내지 23, 25 내지 28 및 31 내지 33의 항균 효능은 예외적으로 양호하였다. 모든 미생물은 10분 안에 사멸되었다. 실시예 9, 14, 19, 24, 29 및 34는 음성 대조군(요오드를 함유하지 않음)이었으며, 따라서 이들은 항균 활성을 보유하지 않았다. 이는 항균 활성이 요오드에 기인하는 것이며 접착제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35 내지 42
상이한 레벨의 IOA 및 NVP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5의 조성을 보유하는 2개의 접착 중합체(G-H)를 실시예 1 내지 4에서와 같이 생성하였다.
[표 5]
접착 중합체 G 및 H의 비교
접착중합체 IOA NVP 10% IOTG 10% Irg 651 10% Irg 1076
양(g) 양(g) 양(g) 양(g) 양(g)
G 90.0 10.0 0.6 1.5 4.0
H 95.0 5.0 0.6 1.5 4.0
이들 접착 중합체 G 및 H 각각의 적합한 양은 150℃에서 약 10분 동안 실시예 1 내지 4에 기술된 브라벤더 혼합기에서 먼저 2.5 중량% NaI 수용액과 혼합하고, 이어서 2 중량% I2분말 및 PHE 3040 중합체 수지와 혼합하였다. 접착제 대 PHE 3040의 비율은 표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요오드화나트륨은 먼저 5분또는 6분 동안 접착제와 혼합하고, 이어서 요오드를 첨가하였다. 이는 또 4분 또는 5분 동안 약식 혼합하여 고온에 대한 연장된 노출을 피했다. 또한, 합성 온도 및 코팅 온도는 140℃ 내지 160℃ 사이에서 조절하였다. 대부분의 실시예는 150℃에서 합성하고 코팅하였다. 180℃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였는데, 그 이유는 요오드의 비등점이 184℃이기 때문이다.
이어서, 혼합된 접착제는 149℃ 내지 160℃에서 하케 단일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상기 접착제는 150℃의 온도에서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0.002 내지 0.005 인치(51 및 130 미크론)로 실리콘 박리 라이너(미국 일리노이 베드포드 파크 소재의 제임스 리버 컴퍼니, H.P. 스미스 디비젼에서 시판되는 폴리실크(상표명) 실리콘 박리지) 상으로 압출하였다. 놀랍게도, 압출중에 요오드 손실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최종 코팅된 접착제는 실시예 5 내지 34에 기술된 항균 효능 테스트에 따라 테스트하였다. 직접 접종 분석 결과는 표 6에 나타냈다.
[표 6]
실시예 35 내지 41 및 비교예 1에 대한 조성, 코팅 두께 및 항균 효능 테스트 결과
실시예번호 접착중합체 NVP/PHE304030/40(%) 코팅두께(mm) 10분후 30분후 60분후 120분후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C1 0 0 0.0254 + + + + + + + + + - - -
35 90 10 0.0508 + + + + + + + + + - - +
36 90 10 0.1270 + + + + + + + + + - - -
37 80 20 0.0508 + + + + + + + + + _ _ _
38 80 20 0.1270 + + NT1 + + + + - + - - -
39 90 10 0.0508 + + + + + + - - + - - -
40 90 10 0.1270 + + NT + - - - - - - - -
41 80 20 0.0508 + + + + + + - - - - - -
42 80 20 0.1270 + + + + + + - - - - - -
1테스트하지 않음
실시예 35 내지 42는 모두 요오드 및 요오드화나트륨을 함유하였으며, 일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모든 샘플은 120분에서 미생물의 완전한 사멸을 나타냈다. 샘플 40 내지 42는 단지 60분 후에 완전한 사멸을 나타냈다.
실시예 43 내지 47
접착 중합체 I은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을 이용하여 실시예 1 내지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EVA 파우치 내에서 생성하였다.
[표 7]
접착 중합체 I의 조성
접착중합체 IOA NVP 10% IOTG 10% Irg 651 10% Irg 1076
양(g) 양(g) 양(g) 양(g) 양(g)
I 91.00 9.00 0.03 0.15 0.30
플라스틱 용기 내에서, 요오드화나트륨/요오드의 농축물은 NaI 25 중량%를 용해시키고, 탈이온수 중의 요오드 20 중량% 내에 혼합하였다. 조성물은 결정이 남지 않으면서 용액이 형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용액은 암자주색으로 되었다.
수용액 중의 NaI/I2및 POE 10 수지의 양(표 8)이 변화되는 접착 중합체 I(IOA/NVP=91/9)를 합성하고, 트위 스크류 압출기(미국 뉴저지 파라머스 소재의 하케 인크.에서 시판되는 하케 트윈 스크류 18 mm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코팅하였다. 실시예 43 내지 45의 경우, 합성 온도 및 코팅 온도는 거의 POE 10 수지의 융점(126℃)이었으며, 실시예 46 내지 47의 경우 접착제의 유동 온도(130℃ 내지 170℃)였다. 상기 양 온도는 요오드의 비등점(184℃) 미만이어서 요오드의 가능한 손실을 감소시켰다. 접착제는 슬롯 다이를 통해 0.0381 mm(1.5 mil) PET 실리콘 박리 라이너 필름(미국 일리노이 윌로우브룩 소재의 DCP-로야 인크.에서 시판됨) 상으로 압출하였다.
[표 8]
실시예 43 내지 47에서 코팅된 접착제의 조성
실시예번호 91/9 IOA/NVP(중량%) I2(중량%) NaI(중량%) POE 10(중량%)
43 95.50 2.00 2.50 0.00
44 93.25 3.00 3.75 0.00
45 91.00 4.00 5.00 0.00
46 85.50 2.00 2.50 10.00
47 83.25 3.00 3.25 10.00
최종 코팅된 접착제는 실시예 5 내지 34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접종 분석 및 박리 접착력에 대해 테스트하였으나, 접착제를 박리 라이너 상에 압출한 후, 접착제 필름은 나(bare) PET 필름 배킹(두께: 0.0381 mm(1.5 mil))에 적층하였다. 이들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냈다.
[표 9]
실시예 43 내지 47 및 비교예 C1의 항균 효능 및 박리 접착력 테스트 결과
실시예번호 10분후 30분후 60분후 120분후 박리접착력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N/m
C1 + + + + + + + + + - - - NA
43 + + + + + + + + + - - - 486
44 + + + + + + - - - - - - 589
45 + + + + - + - - - - - - 488
46 + + + + + + + + + - - - 843
47 + + + + + + - - - - - - 773
실시예 43 내지 47은 요오드/요오드화나트륨을 함유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양호한 항균 활성 및 양호한 박리 접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POE 10의 존재는 항균 활성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놀랍게도, 압출중 요오드 손실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거나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43, 45, 27에서 요오드에 대한 연소 분석
총 요오드는 옥시젠 플라스크 연소(Schoniger 따름) 및 질산은(알드리치)에 의해 결정하였다. 샘플은 ±0.1 g으로 평량하였으며, 재 필터 페이퍼로 싸고, 500 ml 요오드를 함유하는 플라스크내에 현탁된 백금 메쉬 내에서 폴딩하였다. 약 18 MΩ이상의 저항을 갖는 물 약 10 ml 및 5% 나트륨 바이설파이트(EM 사이언스) 20 방울을 상기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상기 플라스크는 일반적으로 순수한 산소로 플러싱하고, 밀봉하고, 상기 종이와 샘플의 발화를 위해 125 와트 초점의 영사용 램프를 이용하여 역전시켰다. 블래스트 쉴드는 연소 중에 역전된 플라스크내의 스톱퍼를 유지하였다. 30분후, 흡수 용액은 적정 비이커 내로 정량적으로 이전하였다. 또 다른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10 방울을 첨가하고, 용액은 브로모크레졸 녹색 지시자(EM 사이언스) 및 수 방울의 진한 질산(알드리치)을 이용하여 산성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샘플은 은 빌렛 조합 전극(silver billet combination electrode) 및 메트롬 751T 자동 적정기를 이용하고 0.005 N 질산은으로 적정하였다. 각 실시예에 대해 측정된 요오드의 중량%는 표 10에 나타냈다. 측정된 요오드를 이론적인 중량%의 요오드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요오드 회수율을 계산하였다.
[표 10]
실시예 43, 45, 27 및 비교예 1에서 요오드에 대한 연소 분석
실시예 번호 I2/NaI(중량%) 이론적인 요오드(중량%) 측정된 요오드(중량%) 요오드 회수율(%)
C1 2/2.4 4.03 3.48 86.4
43 2/2.5 4.12 3.91 94.9
45 4/5 8.23 6.61 80.3
27 1.7/2.1 3.56 2.74 77.0
핫 멜트 공정중 요오드 손실량(실시예 27, 43 및 45)은 코팅 공정중 요오드 손실량(C1)과 거의 동일하였다.
실시예 48 내지 59
표 7에 기재한 조성의 접착 중합체 I은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OE 10 수지의 레벨을 변화시키면서 수용액 중에서 요오드/요오드화나트륨 2/2.5 중량%와 함께 트윈 스크류 압출기 내에서 핫 멜트 합성하였다. POE 10 수지를 혼입하여 스트레칭 박리 특성을 제공하였다.
[표 11]
실시예 48 내지 59의 코팅된 접착제의 조성
실시예 번호 91/9 IOA/NVP(중량%) I2(중량%) NaI(중량%) POE 10(중량%)
48 95.5 2.0 2.5 0.0
49 95.5 2.0 2.5 0.0
50 85.5 2.0 2.5 10.0
51 85.5 2.0 2.5 10.0
52 80.5 2.0 2.5 15.0
53 80.5 2.0 2.5 15.0
54 75.5 2.0 2.5 20.0
55 75.5 2.0 2.5 20.0
56 70.5 2.0 2.5 25.0
57 70.5 2.0 2.5 25.0
58 65.5 2.0 2.5 30.0
59 65.5 2.0 2.5 30.0
접착제의 합성 및 코팅 공정은 실시예 43 내지 47과 동일하였다. 코팅 두께는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합성 및 압출 공정에서 요오드 손실은 없었는데, 이는 IOA/NVP 공중합체 접착제가 요오드를 효과적으로 착화시킴을 입증하는 것이다.
접착제는 실리콘 박리지 라이너(제임스 리버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폴리실크(상표명) 실리콘 박리 페이퍼) 상에 코팅하고, 이어서 나 PET 필름에 적층하였다. 최종 코팅된 접착제는 실시예 5 내지 34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직접 접종 분석을 이용하여 항균 효능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냈다.
[표 12]
실시예 48 내지 59 및 비교예 1의 코팅 두께 및 항균 효능 테스트 결과
실시예번호 코팅 두께(mm) 10분 30분 60분 120분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C1 0.0254 + + + + + + + + + - - -
48 0.0508 + + + + + + + - - - - -
49 0.1270 + + + + + + - - - - - -
50 0.0508 + + + + + + - - + - - -
51 0.1270 + + + + + + - + - - - -
52 0.0508 + + + + + + + - + - - -
53 0.1270 + + + + + + + + + - - -
54 0.0508 + + + + + + + + + - - -
55 0.1270 + + + + + + + + + - - -
56 0.0508 + + + + + + - + - - - -
57 0.1270 + + + + + + + + + - - -
58 0.0508 + + + + + + - - - - - -
59 0.1270 + + + + + + + + + - - -
핫 멜트 코팅된 PSA 조성물의 항균 활성은 대조군과 필적하였다. 따라서, 최종 접착제 내의 POE 10은 항균 효능을 변화시키지 않았다.
실시예 60 내지 62
IOA 및 NVC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실시예 1 내지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EVA 파우치 내에서 제조하였다. 접착 중합체 J, K 및 L 조성물은 표 13에 나타냈다.
[표 13]
접착 중합체 J, K 및 L의 조성
실시예번호 접착중합체 IOA NVC 10% Irg651 10% IOTG 10% Irg1076
양(g) 양(g) 양(g) 양(g) 양(g)
60 J 87.0 7.0 1.5 0.5 4.0
61 K 84.0 10.0 1.5 0.5 4.0
62 L 81.0 13.0 1.5 0.5 4.0
다중 부하 레벨의 I2결정 및 NaI 수용액을 접착제로 합성하였다. 먼저, 접착 중합체 J, K 및 L 25 mg은 각각 110℃의 온도에서 약 15분 동안 브라벤더 혼합기 상에서 I2결정 2.8 g 및 50% NaI 수용액 1.2 g을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된 접착제는 154℃에서 실시예 1 내지 4에서 기재한 실험실 규모의 용융 혼합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배킹 재료는 실시예 1 내지 4에 기재한 것과 동일한 두꼐 0.0508 mm(2 mil)의 PET 필름이었다. 상기 코팅 두께는 약 0.0508 mm(2 mil)이었다. 상기 혼합 및 코팅 공정 중에 요오드 손실은 없음이 명백하였다.
최종 코팅된 접착제는 실시예 35 내지 64의 방법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4에 나타냈다.
[표 14]
실시예 60 내지 62 및 비교예 C1에 대한 항균 효능 테스트 결과
실시예번호 10분후 30분후 60분후 120분후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C1 + + + + + + + + + - - -
60 + + + + + + - - + - - -
61 + + + + + + + + + - - -
62 + + + + + + + + + - - -
각각의 샘플은 양호한 항균 활성을 보유하였는데, 이는 IOA/NVC 공중합 접착제가 매우 높은 온도에서 요오드를 효과적으로 착화시킴에도 불구하고, 요오드는 여전히 접착제로부터 방출되어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63 내지 71
여러가지 상이한 레벨의 글리콜을 가진 상대적으로 높은 레벨의 AA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은 표 15에 나타낸 조성을 이용하고 실시에 1 내지 4에 기재된 바와 같은 EVA 파우치 내에서 생성하였다.
[표 15]
실시예 63 내지 71의 조성
실시예번호 2EHA AA 10%IOTG 10%Irg651 10% Irg1076 PPEG PG 2PE MPD MMB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중량%
63 25.9 29.4 0.3 0.9 2.3 41.2 0.0 0.0 0.0 0.0
64 29.4 33.3 0.3 1.0 2.7 0.0 33.3 0.0 0.0 0.0
65 27.5 31.3 0.3 0.9 2.5 0.0 37.5 0.0 0.0 0.0
66 29.4 33.3 0.3 1.0 2.7 0.0 0.0 33.3 0.0 0.0
67 27.5 31.3 0.3 0.9 2.5 0.0 0.0 37.5 0.0 0.0
68 29.4 33.3 0.3 1.0 2.7 0.0 0.0 0.0 33.3 0.0
69 27.5 31.3 0.3 0.9 2.5 0.0 0.0 0.0 37.5 0.0
70 29.4 33.3 0.3 1.0 2.7 0.0 0.0 0.0 0.0 33.3
71 27.5 31.3 0.3 0.9 2.5 0.0 0.0 0.0 0.0 37.5
실시예 63 내지 71의 접착제 조성물은 PVPI 4%와 함께 합성하였으며, 실시예 1 내지 4에 기술된 실험실 규모의 용융 혼합 및 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실시에 1 내 4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0.0508 mm(2 mil) 두께의 PET 필름 상에 코팅하였다. 코팅 두께는 0,0508 mm(2 mil)이었다. 접착제 잔류물은 압출시 겔화되었다.
실시예 63 및 64는 실시예 5 내지 3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직접 접종 분석법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16에 나타냈다.
[표 16]
실시예 63, 64 및 비교예 1에 대한 항균 효능 테스트 결과
실시예번호 10분후 30분후 60분후 120분후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Rep1 Rep2 Rep3
C1 + + + + + + + + + - - -
63 + + + + + + + + + - - -
64 + + + + + + - - - - - -
상기 샘플들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적어도 동등한 항균 효능을 보유하였다. 균일하게 코팅된 접착제중 하나인 실시예 64는 60분에서 전체 사멸을 나타냈는데, 이는 글리콜의 존재로부터 증강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72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용매 중에서 요오드/요오드화나트륨 및 착화제(폴리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PVP/VA)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대안으로, 이들 성분은 무용매 공정에 의해 핫 멜트 혼합기에 첨가할 수도 있다.
베이스 접착 중합체는 50/50 헵탄/에틸 아세테이트 용매 혼합물 중에서 36% 고체로 미국 재발행 특허 24,90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97/3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마이드 조성물로 구성된 접착제 1663.3 g이었다. 에탄올(무수, 415.8 g, 미국 뉴저지 깁스타운 소재의 EM 사이언스에서 시판됨)을 상기 베이스 중합체에 첨가하고 균일한 용액을 얻을 때까지 교반하였다.
별도의 용기에서, 에탄올 74.88 g, PVP/VA E-535(미국 뉴저지 웨인 소재의 인터내셔날 스페셜티 프로덕츠에서 제조되는 50/50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83.2 g, 요오드(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으 말린크로트 케미칼) 8.32 g 및 요오드화나트륨(미국 뉴저지 페어 론 소재의 피셔 사이언티픽) 9.98 g을 첨가하고, 용액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다이드 용액을 상기 접착제에 첨가하고, 일정하고 균일한 색의 용액이 제조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접착제/요오드 용액은 실리콜 라이너(미국 일리노이 딕슨 소재의 다우버트 코티드 프로덕츠) 상에 쏟아 붓고, 60℃에서 작동되는 강제 공기 오븐(미국 일리노이 블루 아일랜드 소재의 모델 POM-1506G 블루 엠 컴퍼니에서 시판됨)내에 1 시간 동안 위치시켜 용매를 증발시켰다.
고체 무용매 요오드/접착제 조성물은 권취하고, 롤은 스크류 직경이 1.9 cm(3/4 인치)인 하케 압출기(미국 뉴햄프혀 뉴잉턴 소재의 써모 하케 USA)의 공급기 포트내로 45의 1분당 스크류 회전수(RPM)로 공급하였다. 구역 1, 2 및 3의 온도는 121℃, 135℃ 및 149℃였으며, 다이 온도는 149℃로 설정하였다.
압출물은 균일한 적색이었으며, 겔은 전혀 확인할 수 없었고, 50 미크론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평할하게 코팅되었다. 다이로부터의 기체 분출 또는 냄새 등의 요오드 휘발의 증거는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생성된 접착제는 양호한 핑거 점착성(finger tack)을 나타냈다.
실시예 73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용매 중에서 요오드/요오드화나트륨 및 착화제(PVP/VA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대안으로, 이들 성분은 무용매 공정에 의해 핫 멜트 혼합기에 첨가할 수도 있다.
베이스 접착 중합체는 75/25-에틸 아세테이트/이소프로판올 중에서 50% 고체 용액으로서 70/15/15 이소 옥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에틸렌옥사이드 아크릴레이트 조성물(PCT WO 84/03837호의 실시예 14에 기재되 바와 같음)으로 구성된 접착제 2081 g이었다.
별도의 용기 내에서 에탄올 230 g, PVP/VA E-335(미국 뉴저지 웨인 소재의 인터내셔날 스페셜티 프로덕츠에서 제조된 30/70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66.7 g, 요오드 23 g 및 요오드화나트륨 27.6 g을 용해될 때까지 진탕하고, 이어서 교반하면서 베이스 접착 중합체에 첨가하였다. 일정하고 균일한 색이 얻어진 후, 요오드/접착제 용액은 실리콘 라이너 상에 일제히 첨가하고, 용매는 실시예 72에서와 같이 증발시켰다.
유사한 압출 조건을 사용하였으며, 겔이 없는 균일하게 착색된 압출물은 폴리에스테르 상에 코팅하였다. 냄새 또는 가스 분출과 같은 요오드 불안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코팅된 접착제는 접촉에 대해 상당한 점착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74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용매 중에서 착화제(2-피롤리돈/1-에테닐헥사데실 공중합체) 및 요오드/요오드화나트륨과 합성하였다. 대안으로, 이들 성분들은 무용매 과정에 의해 핫 멜트 혼합기에 첨가할 수 있다.
베이스 접착 중합체 블렌드 2138 g, 크라톤 1112/엑손 1310(각각 미국 텍사스 휴스턴 소재의 크라톤 폴리머스/미국 텍사스 휴스턴 소재의 엑손 케미칼 컴퍼니에서 시판됨)의 50/50 혼합물은 30.6% 고체 톨루엔 용액으로서 용해시켰다. 상기 크라톤 1112 수지 및 엑손 1310 수지는 상기 성분들을 함유하는 컨테이터를 롤러 밀 상에 6 시간 동안 위치시킴으로써 톨루엔 중에 용해시켰다.
별도의 용기 내에서, 요오드 22.2 g, 요오드화나트륨 26.6 g, 메틸에틸 케톤 220 g 및 2-피롤리돈/1-에테닐헥사데실 공중합체(미국 뉴저지 웨인 소재의 인터내셔날 스페셜티 프로덕츠에서 가넥스 V-216으로 시판됨) 435 g은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가 용해될 때까지 함께 교반하였다. 요오드 용액은 교반 하면서 상기 접착 베이스 중합체 블렌드에 첨가하였다.
용매의 증발 및 고체 요오드/접착제 조성물의 압출은 실시예 72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압출물은 양호한 용융 균일성을 나타냈으며, 착색되었다. 역시, 핫 멜트 코팅 과정으로 인한 요오드 불안정성의 증거는 없었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75 내지 77
상이한 레벨의 2EHA 및 NVP를 함유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하기 표 17의 조성물을 보유하는 2개의 접착 중합체(M-N)는 실시예 1-4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생성하였다.
[표 17]
접착 중합체 M 및 N의 조성물
접착중합체 2EHA NVP IRG 651 IOTG IRG 1076
양(g)((%)) 양(g)((%)) 양(g)((%)) 양(g)((%)) 양(g)((%))
M 6129.00(90.000) 681.000(10.000) 10.215(0.150) 0.204(0.003) 27.240(0.400)
N 6469.500(95.000) 340.500(5.000) 10.215(0.150) 0.204(0.003) 27.240(0.400)
이들 접착 중합체 M 및 N 각각의 적당량을 160℃에서 10분 동안 실시예 1-4에 기술한 브라벤더 혼합기 내에서 먼저 소량의 물 중의 NaI 2.5 g과 혼합하고, 이어서 I2분말 2 mg과 혼합하였다. 조성물은 하기 표 18에 나타냈다. 조성물은 합성 접착제의 균질성(homogeneity)에 대해 평가하였다. "아니오"는 합성 접착제가 80 메쉬 필터를 통과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예"는 합성 접착제가 80 메쉬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접착 중합체 M은 140∼1701℃에서 10분, 20분 및 30분 동안 실시예 1 내지 4에 기술된 브라벤더 혼합기에서 NaI 결정과 합성하였다. 그 조성물 및 균질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8에 나타냈다.
[표 18]
실시예 75-77 및 비교예 2의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의 균질성
실시예번호 표 17의 접착 중합체 NaI I2 균질성
중합체 양(g) 양(g) 양(g) 양(g) (예 또는아니오)
C2 M 100.0 2.5 0.0 2.0 아니오
75 M 100.0 2.5 1.0 2.0
76 M 100.0 2.5 1.4 2.0
77 M 100.0 2.5 1.4 2.0
균질하지 않은 합성 접착제가 실시예 35-42에 기술된 하케 압출기를 이용하여 코팅되는 경우, 압출기내 필터 웹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요오드화나트륨을 용해시키기 위해 요오드화나트륨에 소량의 물을 첨가하면 상기 문제가 해결되며, 이어서 염 용액 또는 페이스트는 브라벤더 혼합기 또는 하케 압출기에 첨가하여 접착제 조성물과 합성할 수 있었다. 고온에서 합성시 물이 증발되었다. 놀랍게도, 혼합 품질은 매우 양호하였으며, 요오드화나트륨의 분산액은 훨씬 더 균질하였다. 100 ml의 소량의 물은 25℃에서 184 g 이상의 요오드화나트륨을 용해시킬 수 있었으며, 물이 뜨거운 경우 302 g 이상의 요오드화나트륨을 용해시킬 수 있었다. 또한, 더 많은 양의 요오드화나트륨을 첨가하는 경우 염 페이스트가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78 내지 85
스트레칭 박리 특성은 실시예 76 및 77의 접착제와 PHE 3040을 실시예 1 내지 4에 기술한 바와 같이 브라벤더 혼합기를 이용하여 150∼160℃에서 8∼10분 동안 블렌딩하여 얻었다. 생성된 혼합물은 인발 다이가 구비된 실시예 35 내지 42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하케 단일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150℃에서 2개의 박리 라이너 사이에서 핫 멜트 코팅하였다. 박리 라이너중 하나는 실시예 1 내지 4에서 기술한 실리콘 처리한 PET 필름이었으며, 다른 박리 라이너는 실시예 35 내지 42에서 기술한 실리콘 박리 라이너였다.
조성물 및 코팅 두께는 하기 표 19에 나타냈다.
[표 19]
실시예번호 합성 접착제 PHE3040 코팅 두께
실시예 번호 양(부) 양(부) (미크론)
78 76 90 10 50
79 76 90 10 125
80 76 80 20 50
81 76 80 20 125
82 77 90 10 50
83 77 90 10 125
84 77 80 20 50
85 77 80 20 125
인장 테스트
인장 테스트는 크로스헤드 속도 30 cm/분(12 인치/분)으로 인스트론 재료 시험기(미국 메사추세츠 캔톤 소재의 인스트론에서 시판됨)를 이용하고 ASTM 테스트 방법 D882-97 "얇은 플라스틱 시트의 인장 특성을 위한 표준 테스트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항복 강도"(파운드/인치), "인장 강도"(파운드/인치) 및 "파단시 신장율"로 나타냈다. 파운드/인치2은 메가파스칼(MPa)로 전환시켰다. 인장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20에 나타냈다. 실시예 76, 79 및 81은 2개의 샘플의 평균이며, 실시예 77, 83 및 85는 3개 샘플의 평균이다.
[표 20]
실시예 76, 77, 79, 81, 83 및 85에 대한 인장 테스트 결과
실시예 번호 인장 항복 스트레스 파열시 신장률 인장 강도
(MPa) (%) (MPa)
76(대조군) 0.193 1100 0.248
77(대조군) 0.110 500 0.152
79 0.690 670 1.586
81 1.241 610 3.034
83 0.483 700 0.710
85 1.103 500 2.000
PHE 3040 미세섬유의 첨가는 압출된 접착제의 인장 강도를 현저하게 증강시켰다. 실제로, 강화된 접착제의 일부(실시예 79, 81 및 85)는 미세섬유가 없는 접착제(실시예 76 및 77) 보다 10배 더 강했다. 상대적으로 낮은 항복 스트레스, 높은 신장률 및 높은 인장 강도를 보유하는 접착제는 파열없이 스트레칭 박리가능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였다.
스트레칭 박리 테스트 방법
한개의 박리 라이너는 실시예 78 내지 85의 합성 및 압출된 접착제로부터 제거하였다. 접착제는 3개의 상이한 배킹 상에 적층하였다: 배킹 A: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미국 델라웨어 윌밍턴 소재의 듀퐁 컴퍼니에서 시판되는 하이트렐(상표명)); 배킹 B: 스티렌-에틸렌-코-부틸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미국 텍사스 휴스턴 소재의 크라톤 폴리머스 인크.에서 시판되는 크라톤 G 1652); 및 배킹 C: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크라톤 폴리머스 인크.에서 시판되는 크라톤 D 1107). 다음, 제2 박리 라이너는 스트레칭 박리 테스트를 위해 제거하였다. 접착제 적층된 스트립 및 제거된 하나의 박리 라이너를 가진 합성되고 압출된 접착제(실시예 78-85)는 상온(21℃) 및 습도(50% 상대습도)에서 24 시간 이상 동안 평형처리하고, 상기 스트립 상에 2 kg 롤러를 1회 통과시킴으로써 폴리프로필렌(PP) 기재 패널에 접착시켰다. 제2 박리 라이너는 합성되고 압출된 접착제(실시예 78-85)로부터 제거하였다. 이들 접착제는 필름 배킹 없이 테스트하였다. 결합된 어셈블리는 실온에서 1분 동안 유지시켰다. 상기 어셈블리는 IMASS 슬립/박리 테스터(모델 3 M90, 미국 오하이오 스트롱스빌 소재의 인스트루먼터스 인크.에서 시판됨)을 이용하여 30 cm/분(12 인치/분)의 크로스헤드 속도에서 15도 내지 35도 사이의 각도에서 잡아당겨 스트레칭 박리에 대해 테스트하였다. 스트레칭 박리력은 oz/in로 측정하였으며, N/m로 전환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1에 나타냈다.
[표 21]
배킹없이 및 3가지 상이한 배킹에 적층된 실시예 78-85에 대한 스트레칭 박리 테스트
접착제실시예번호 적층된 배킹 필름
A B C 무 필름
스트레칭 박리력(N/m) 스트레칭 박리력(N/m) 스트레칭 박리력(N/m) 스트레칭 박리력(N/m)
78 424 274 230 118
79 396 294 219 201
80 404 250 151 143
81 402 282 268 170
82 364 199 108 89
83 368 244 200 182
84 363 262 166 135
85 447 321 322 230
필름 배킹의 강성은 스트레칭 박리력에 현저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필름 배킹의 강성과 함께 증가되었다. 접착제 필름의 두께 및 미세섬유 부하는 필름 배킹을 합성 접착제에 적층시키는 경우 스트레칭 박리력을 증가시키지 않았으나, 스트레칭 박리력은 합성 접착제의 두께, 또는 합성 접착제가 필름 배킹에 적층되지 않는 경우 미세섬유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프로브 택 테스트(Probe Tack Test)
프로브 택 측정은 TA-XY2 텍스쳐 시험기(영국 서레이 소재의 스테이블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시판됨)을 이용하여 ASTM D 2979-95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2에 나타냈다.
[표 22]
실시예 76-85에 대한 프로브 택 테스트 결과
실시예 번호 프로브 택 테스트(g)
76(대조군) 294
77(대조군) 250
78 261
79 429
80 228
81 420
82 250
83 376
84 278
85 441
상기 표 22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브 택 힘은 PHE 3040 미세섬유의 10∼20%가 접착제와 블렌딩되는 경우 여전히 매우 잘 유지되었다. 그러나, 미세섬유 부하를 더 증가시키는 것은 프로프 택 힘의 감소를 초래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고, 본 발명자들은 전형적으로 미세섬유 부하를 5∼20%로 조절하였다.
모든 부 및 %는 중량을 기준한 것이며, 모든 분자량은 수평균 분자량이다.
본원에 기술한 구체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없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6)

  1. (a) 요오드 가용성 액체 중에서 요오드를 혼합하여 요오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요요다이드 가용성 액체 중에서 요오다이드 염을 혼합하여 요오다이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예비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요오드 조성물, 요오다이드 조성물 및 예비 접착제 조성물을 핫 멜트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때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상기 혼합물 내에 존재하고, 상기 혼합은 약 13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수행하며, 충분히 혼합하여 요오드/요오다이드 착체 함유 핫 멜트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인, 요오드/요오다이드 착체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예비 접착제 조성물과의 혼합 이전에 가용화 액체 중에 가용화시키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 염은 단일 조성물로 혼합하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및 요오다이드를 위한 가용화 액체는 액체들의블렌드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가용화 액체 및 요오다이드 염 가용화 액체는 동일한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가용화 액체 및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는 물 및 비반응성 유기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가용화 액체는 히드록시 작용기를 보유하는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요오다이드 가용성 액체는 물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가용화 액체 및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는 휘발성 유기 용매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가용화 액체 및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는 중합 가능한 유기 용매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가용화 액체 및 요오다이드 가용화 액체는 요오드/요오다이드를 위한 착화제로서 작용하지 않는 액체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요오드 용액 또는 요오다이드 용액 중에 제공하는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의 접착 중합체 상의 작용기로서 제공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 중의 별도 성분으로 제공하는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핫 멜트 혼합기 내에서 배합시 요오드 용액, 요오다이드 용액 및 예비 접착제 조성물에 별도 성분으로서 첨가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요오도포어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복수의 히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락탐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아미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아민 옥사이드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및 폴리에테르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는 요오도포어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N-비닐피롤리돈의 잔기, N-비닐카프로락탐의 잔기, 피롤리돈 에틸아크릴레이트의 잔기,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카프로락탐, n-옥틸 피롤리돈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3-메톡시 에틸 부탄올; 2-페녹시에탄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N-n-부틸벤젠설폰아미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PEG400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PEG400 모노라우레이트, 및 PEG400 모노올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은 습윤 점착성 접착제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는
    (a) 단독 중합되는 경우 Tg가 약 10℃ 미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단량체 약 30 중량부 내지 약 70 중량부;
    (b) 친수성의 산성 에틸렌계 불포화 공단량체 약 70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및
    (c) 상기 (a) 성분 + (b) 성분의 합 100 부를 기준으로 약 10 내지 100 부의 비반응성 가소제
    의 무용매 중합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며, 이때 감압성 접착제는 습윤 기재 표면에 부착하는 것인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은 감압성 접착제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이
    (a) (i) 단독중합되는 경우 유리 전이 온도가 약 10℃ 미만이고 평균 4개 이상의 탄소를 보유하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공중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ii) 단독중합되는 경우 유리 전이 온도가 약 10℃ 이상인 1종 이상의 공중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강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감압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 및
    (b) (i) 평균 4개 미만의 탄소를 보유하는 알킬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공중합된 모노에틸렌계 불포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ii) 1종 이상의 공중합된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의 산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필름 형성 성분
    을 포함하는 감압성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인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은 저 외상 접착제 조성물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은 감압성 접착제 매트릭스 및 상기 감압성 접착제 매트릭스내의 섬유 강화 재료를 포함하는 섬유 강화 접착제 조성물인 방법.
  23. (a) 요오드 가용화 액체 중에서 요오드를 혼합하여 요오드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예비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핫 멜트 혼합기 내에서 상기 요오드 용액 및 예비 접착제 조성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때 요오드/요오다이드 착화제 및 요오드 환원제는 상기 혼합물 내에 존재하며, 상기 혼합은 약 13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수행하며, 충분히 혼합하여 요오드/요오다이드 착체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형성하는 것인 요오드/요오다이드 착체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요오드 가용화 액체 중에 제공하는 것인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예비 접착제 조성물 중에 제공하는 것인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핫 멜트 혼합기에 별도 성분으로 제공하는 것인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는 티오설페이트 염 및 바이설파이트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차후 코팅을 위해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를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는 용융 처리가능한 포장재로 포장하는 것인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기재 상에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31. 제23항에 있어서, 기재 상에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을 코팅하여 접착제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종이, 크레이프 종이, 폼, 금속 호일, 부직물 및 직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중합체 필름인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이축 배향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성 폴리에스테르, 이축 및 단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및 나일론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하는 것인 방법.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복합체는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surgical incise drape)인 방법.
  37.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조성물 내에 균질하게 분산된 착화된 요오드/요오다이드를 포함하는 핫 멜트 코팅 접착제로서, 상기 접착제는 압출 코팅을 위한 핫 멜트 압출기 내에서 처리하기에 적합한 형태인 것인 핫 멜트 코팅 접착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코팅 접착제는 용융 처리 가능한 포장재내에 배치하는 것인 핫 멜트 코팅 접착제.
  39. 접착제가 제37항의 핫 멜트 코팅 접착제에 의해 제공된 것인 접착제 복합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가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인 접착제 복합체.
  41.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접착제.
  42. 제23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접착제.
  43. 제30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접착제 복합체.
  44. 제3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접착제 복합체.
  45. 제36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
  46. 제45항에 있어서, 제2 항균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수술용 인사이즈 드레이프.
KR10-2004-7016978A 2002-04-25 2003-04-11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50006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33,975 US6939936B2 (en) 2002-04-25 2002-04-25 Iodine/iodide-containing hot melt coatable adhesive,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133,975 2002-04-25
PCT/US2003/011035 WO2003091354A1 (en) 2002-04-25 2003-04-11 Iodine/iodide-containing hot melt coatable adhesive, methods and use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178A true KR20050006178A (ko) 2005-01-15

Family

ID=2926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978A KR20050006178A (ko) 2002-04-25 2003-04-11 요오드/요오다이드 함유 핫 멜트 코팅 접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6939936B2 (ko)
EP (2) EP1497389B1 (ko)
JP (1) JP2005523972A (ko)
KR (1) KR20050006178A (ko)
AT (2) ATE352599T1 (ko)
AU (1) AU2003221856B2 (ko)
BR (1) BR0309482A (ko)
CA (1) CA2483161A1 (ko)
DE (2) DE60324040D1 (ko)
MX (1) MXPA04010418A (ko)
NO (1) NO20045031L (ko)
TW (1) TW200400058A (ko)
WO (1) WO20030913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9936B2 (en) * 2002-04-25 2005-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odine/iodide-containing hot melt coatable adhesive, methods and uses therefor
US7098279B2 (en) * 2002-10-22 2006-08-29 Loctite (R&D) Limited Non-flammable and non-combustible adhesive bonding systems having adherence to low energy surfaces
JP2005325165A (ja) * 2004-05-12 2005-11-2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100℃以下の温度で溶融塗布可能なヨウ素含有ホットメルト粘着剤および該粘着剤を用いた医療用粘着シート製品
US7679317B2 (en) * 2005-02-15 2010-03-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charging a chargeable USB device
JP2006306937A (ja) * 2005-04-26 2006-11-09 Shoei Kagaku Kk 抗菌性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および管状樹脂成形体
DE102006037350A1 (de) * 2006-08-09 2008-02-14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ogenfreien ATRP-Produkten
BRPI0810585A2 (pt) * 2007-04-23 2017-05-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gos fibrosos com uma ou mais camadas de polieletrólito nos mesmos e métodos de fabricação dos mesmos
CA2713092A1 (en) * 2008-01-22 2009-07-30 Tesa Se Support film, in particular for an adhesive tape, and use thereof
CN102124384B (zh) 2008-07-10 2016-10-12 3M创新有限公司 粘弹性光导
CN107037526A (zh) 2008-08-08 2017-08-11 3M创新有限公司 具有粘弹性层的用于控制光的光导
EP2373270B8 (en) 2009-01-07 2023-04-12 entrotech life sciences, inc. Chlorhexidine-containing antimicrobial laminates
JP5775078B2 (ja) 2009-08-21 2015-09-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耐水性応力分散材料を用いる、組織損傷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製品
WO2011022023A1 (en) 2009-08-21 2011-0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products for reducing tissue trauma using water-absorbing stress-distributing materials
EP2467087B1 (en) 2009-08-21 2019-09-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and products for illuminating tissue
JP2011094158A (ja) * 2011-02-14 2011-05-1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100℃以下の温度で溶融塗布可能なヨウ素含有ホットメルト粘着剤および該粘着剤を用いた医療用粘着シート製品
US10639118B2 (en) 2011-04-06 2020-05-05 Entrotech Life Sciences, Inc. Surgical incise drapes and methods for their application
US9579684B2 (en) * 2011-06-07 2017-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lot die position adjustment control
US8366848B2 (en) * 2011-07-01 2013-02-05 The Boeing Company Thick doped adhesive tape to enhance backscatter X-ray detectability
EP2735251B1 (en) * 2011-07-18 2018-04-25 Daiwa Co., Ltd. Mat
GB2509752B (en) * 2013-01-14 2019-06-26 Pelican Healthcare Ltd An ostomy pouch assembly
JP6391916B2 (ja) * 2013-06-21 2018-09-1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5153769A1 (en) * 2014-04-04 2015-10-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et or damp surface preparation compositions
CN106459710B (zh) * 2014-04-04 2019-09-03 3M创新有限公司 湿润和干燥表面粘合剂
US11039615B2 (en) 2014-04-18 2021-06-22 Entrotech Life Sciences, Inc. Methods of processing chlorhexidine-containing polymerizable compositions and antimicrobial articles formed thereby
EP3344206B1 (en) 2015-08-31 2020-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dressings comprising (meth)acryl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enhanced adhesion to wet surfaces
US11306224B2 (en) 2015-08-31 2022-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s comprising (meth)acryl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enhanced adhesion to wet surfaces
CN105424834B (zh) * 2015-11-28 2018-06-26 贵州省欣紫鸿药用辅料有限公司 同时检测聚维酮k30中2-吡咯烷酮和甲酸方法
CN105353052B (zh) * 2015-11-28 2018-06-26 贵州省欣紫鸿药用辅料有限公司 同时检测n-乙烯基吡咯烷酮和2-吡咯烷酮的方法
CN113801611B (zh) * 2021-10-29 2022-06-10 新元化学(山东)股份有限公司 工业化连续大规模生产无醛水性粘合剂的绿色安全环保工艺
CN114128941A (zh) * 2021-11-19 2022-03-04 上海凯毅医疗器械有限责任公司 一种含病菌灭活成分的口罩及其制备方法
CN114635308B (zh) * 2022-03-28 2023-02-17 上海希望树生物科技有限公司 基于天然色素的高色差甲醛检测试纸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509A (en) 1979-07-31 1982-01-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therein
US4323557A (en) * 1979-07-31 1982-04-06 Minnesota Mining &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ntaining iodine
US5270358A (en) 1989-12-28 1993-12-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of a disperesed gel in an adhesive matrix
US5069907A (en) 1990-03-23 1991-12-03 Phoenix Medical Technology Surgical drape having incorporated therein a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gent
US5242985A (en) * 1992-06-17 1993-09-07 Isp Investments Inc. Aqueous stable complex of a strongly swellable, moderately 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and iodine
US5670557A (en) 1994-01-28 1997-09-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ized micro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TW369558B (en) 1994-01-28 1999-09-11 Minnesota Mining & Mfg Polymerized micro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US5803086A (en) 1996-05-16 1998-09-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nerless surgical incise drape
US5829442A (en) * 1996-06-12 1998-11-03 Medical Concepts Development, Inc. Antimicrobial containing solventless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EP0984794B1 (en) 1997-05-16 2005-06-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urgical incise drape
DE19749467C2 (de) 1997-11-08 1999-09-23 Beiersdorf Ag Wirkstoffhaltige Pflaster
DE69917812T2 (de) 1999-03-19 2005-06-09 Minnesota Mining And Mfg. Co., St. Paul Klebstoffe für nasse oberflächen
ES2234281T3 (es) 1999-06-18 2005-06-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o de pegado en humedo.
US6939936B2 (en) * 2002-04-25 2005-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odine/iodide-containing hot melt coatable adhesive, methods and use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12176A1 (en) 2003-11-13
TW200400058A (en) 2004-01-01
EP1792962B1 (en) 2008-10-08
DE60324040D1 (de) 2008-11-20
CA2483161A1 (en) 2003-11-06
BR0309482A (pt) 2005-02-15
AU2003221856A1 (en) 2003-11-10
ATE410493T1 (de) 2008-10-15
EP1792962A1 (en) 2007-06-06
US20050202070A1 (en) 2005-09-15
US7704602B2 (en) 2010-04-27
EP1497389A1 (en) 2005-01-19
NO20045031L (no) 2004-11-19
DE60311446T2 (de) 2007-11-15
WO2003091354A1 (en) 2003-11-06
US6939936B2 (en) 2005-09-06
ATE352599T1 (de) 2007-02-15
EP1497389B1 (en) 2007-01-24
MXPA04010418A (es) 2005-03-07
AU2003221856B2 (en) 2006-10-26
US20070142499A1 (en) 2007-06-21
JP2005523972A (ja) 2005-08-11
US7189793B2 (en) 2007-03-13
DE60311446D1 (de) 200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9793B2 (en) Iodine/iodide-containing hot melt coatable adhesive, methods and uses therefor
US6518343B1 (en) Wet-stick adhesives, articles, and methods
JP3305711B2 (ja) 接着剤マトリックス内に分散されたゲルを有する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60223079T2 (de) Druckempfindliche klebstoffe mit quaternären ammoniumgruppen, gegenstände und verfahren
AU2004296818B2 (en) Polymer compositions with bioactive agent, medical articles, and methods
JP2022515476A (ja) ホットメルト加工可能な(メタ)アクリレート系医療用接着剤
CA2721887C (e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H0622558B2 (ja) 抗菌剤を含有する皮膜形成性組成物
US8361493B2 (en) Transdermal patch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rising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N-hydroxyalkyl(meth)acrylamide, and vinyl monomers
WO2021059689A1 (ja) ハイドロゲル
JPH02232048A (ja) 外用貼付材
CA2375654C (en) Wet-stick adhesives, articles, and methods
AU5312199A (en) Wet-stick adhesives
JP4916200B2 (ja) 皮膚貼着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84988B2 (ja) 医療用貼付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9917378B1 (pt) adesivo sensìvel à pressão de aderência a úmido, e, processo para produzir um adesivo sensìvel à pressão de aderência a úmido.
ZA200109978B (en) Wet-stick adhesives, articles, and methods.
JP2011224396A (ja) 皮膚貼着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