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5846A - 이송용 대차 - Google Patents

이송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5846A
KR20050005846A KR1020030045740A KR20030045740A KR20050005846A KR 20050005846 A KR20050005846 A KR 20050005846A KR 1020030045740 A KR1020030045740 A KR 1020030045740A KR 20030045740 A KR20030045740 A KR 20030045740A KR 20050005846 A KR20050005846 A KR 20050005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idth
attachment
auxiliary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940B1 (ko
Inventor
임창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940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각 작업공정의 대차 상에 구성되는 각 어탯치 간의 폭이나 거리를 차종에 따라 다르게 조정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다 차종의 양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차 프레임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차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어탯치가 구성되는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과;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에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방 스크류 바아에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 상호간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과; 상기 대차 프레임의 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각각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우측 스크류 바아에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 이동수단과; 상기 보조 프레임 상의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차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어탯치가 구성되는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과;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에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후방 스크류 바아에 제3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 상호간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이송용 대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송용 대차{A MOVING CART SYSTEM}
본 발명은 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공정의 대차 상에서 해당 차량의 플랫폼에 맞게 어탯치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다 차종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공정 내에서 2만 내지 3만 여개의 부품을 수많은 조립 및 용접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양산공정에서 차체 및 해당 부품들은 이송용 대차를 통하여작업공정을 옮겨다니며 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함으로서, 작업공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공장 자동화의 추세에 발맞추어 상기한 이송용 대차도 그 효과적인 운용 및 관리를 위하여 계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형 콘베이어 연속라인(101)에서 차체(미도시)를 안착시켜 다음공정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성되는데, 그 구성은 대차 베이스 프레임(103)과 대차 베이스 프레임(103)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어탯치(105)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각 어탯치(105) 상에 차량을 올려놓기 위해서는 각 어탯치(105)의 위치가 차량의 멤버와 일치되는 위치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 공장에서는 하나의 양산라인에서 동시에 다른 차종을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어탯치(105) 간의 폭(W)과 거리(L)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랫폼이 동일한 차체만이 생산이 가능하였다.
만약, 차체의 플랫폼이 다른 차종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모든 대차 상의 어탯치(105)를 플랫폼에 맞게 수정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작업공정의 대차 상에 구성되는 각 어탯치 간의 폭이나 거리를 차종에 따라 다르게 조정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다 차종의 양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이송용 대차의 구성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차 프레임 상에 다수개의 어탯치를 구성하여 차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이송용 대차에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차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어탯치가 구성되는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과;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에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방 스크류 바아에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 상호간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과; 상기 대차 프레임의 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각각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우측 스크류 바아에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 이동수단과; 상기 보조 프레임 상의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차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어탯치가 구성되는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과;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에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후방 스크류 바아에 제3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 상호간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대차의 평면 구성도로써, 본 발명의이송용 대차는 차체 양산라인에 구성되어 차체를 해당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그 구성은 상기 대차 프레임(1)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3,5)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7,9)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7,9)의 상단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어탯치(10)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대차 프레임(1)의 전방에는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7,9)과 스크류 너트(11)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방 스크류 바아(13)에 제1구동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7,9) 상호간의 폭(W)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이 구성되는데, 상기 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7,9)의 하부 일측에 각각 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11)가 구성된다.
상기 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11)에는 중앙부에 피동 스프로켓(17)이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피동 스프로켓(17)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반대방향의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 전방 스크류 바아(13)가 양단을 통하여 각각 치합된다.
또한, 상기 대차 프레임(1)의 전방 중앙부 일측에는 제1구동모터(15)가 설치되는데, 이 제1구동모터(15)의 회전축(19)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스크류 바아(13) 상의 피동 스프로켓(17)과 체인(21)을 통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23)을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대차 프레임(1)의 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25,27)을 구성하고, 상기 좌우측 가이드 레일(25,27)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조 프레임(29)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29)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하부에 각각 스크류 너트(31)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우측 스크류 바아(33,35)에 제2구동모터(37)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29)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 이동수단이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 프레임 이동수단은 상기 보조 프레임(29)의 양측 하부에 각각 스크류 너트(31)가 장착되며, 상기 양측 스크류 너트(31)는 각각 좌우측 스크류 바아(33,35)와 치합된다.
즉, 상기 좌우측 스크류 바아(33,35)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일방향의 스크류 나사산을 형성하고, 일단에는 지지블록(43)에 의해 지지되어 각각 피동 스프로켓(39,41)을 장착하며, 그 타단을 통하여 상기 각 스크류 너트(31)에 치합된다.
또한, 상기 대차 프레임(1)의 중앙부 일측에는 제2구동모터(37)가 설치되는데, 이 제2구동모터(37)는 그 회전축에는 상기 좌우측 스크류 바아(33,35) 상의 각 피동 스프로켓(33,35)과 하나의 체인(45)을 통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47)이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조 프레임(29) 상의 좌우측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51,53)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55,57)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29)의 중앙에는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55,57)와스크류 너트(59)를 통하여 연결되는 후방 스크류 바아(61)에 제3구동모터(63)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55,57) 상호간의 폭(W)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이 구성되는데, 상기 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55,57)의 하부 일측에 각각 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59)가 구성된다.
상기 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59)에는,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피동 스프로켓(65)이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피동 스프로켓(65)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반대방향의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된 후방 스크류 바아(61)가 양단을 통하여 각각 치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29)의 중앙부 일측에는 제3구동모터(63)가 설치되는데, 이 제3구동모터(63)의 회전축(67)에는 상기 후방 스크류 바아(61) 상의 피동 스프로켓(65)과 체인(69)을 통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71)을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송용 대차를 이용하여 다 차종의 차체에 대응하여 상기 어탯치(10) 간의 폭(W)이나 거리(L)를 가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2,3구동모터(15,37,63)를 회전 제어하여 조정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제1,2,3구동모터(15,37,63)는 모드 그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방의 제1구동모터(1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수 제어를 통하여 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전방의 양측 어탯치(10)는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7,9)의이동에 의해 폭(W)을 좁히게 되며, 반대로 상기 제1구동모터(1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수 제어를 통하여 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전방의 양측 어탯치(10)는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7,5)의 이동에 의해 폭(W)을 넓히도록 작동하게 된다.
물론, 후방의 보조 프레임(29) 상에 구성된 어탯치(10) 또한, 상기 제3구동모터(6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수 제어를 통하여 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후방의 양측 어탯치(10)는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55,57)의 이동에 의해 폭(W)을 좁히게 되며, 반대로 상기 제3구동모터(6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수 제어를 통하여 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후방의 양측 어탯치(10)는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55,57)의 이동에 의해 폭(W)을 넓히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 프레임(1)의 중앙에 구성된 제2구동모터(3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수 제어를 통하여 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보조 프레임(29)은 상기 대차 프레임(1) 상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하여 전방의 양측 어탯치(10)와 후방의 양측 어탯치(10) 사이의 거리를 좁히게 되며, 반대로 상기 제2구동모터(3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수 제어를 통하여 회전 구동시키면, 상기 전방의 양측 어탯치(10)와 후방의 양측 어탯치(10) 사이의 거리(L)를 넓히도록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1,2,3구동모터(15,37,63)를 회전 제어를 통하여 다 차종의 차체에 대응하여 상기 어탯치(10) 간의 폭(W)이나 거리(L)를 가변할 수 있게 됨으로, 차종에 따라 각 어탯치(10)의 위치를 다르게 조정하여 다 차종의 양산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송용 대차에 의하면, 각 작업공정의 대차 상에 구성되는 각 어탯치 간의 폭이나 거리를 차종에 따라 다르게 조정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다 차종의 양산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무엇보다 차체의 플랫폼이 다른 차종을 생산하기 위해서 모든 대차 상의 어탯치를 플랫폼에 맞게 수정해야하는 등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대차 프레임 상에 다수개의 어탯치를 구성하여 차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이송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대차 프레임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차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어탯치가 구성되는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과;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에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전방 스크류 바아에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 상호간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과;
    상기 대차 프레임의 후방에 전후 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각각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좌우측 스크류 바아에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프레임 이동수단과;
    상기 보조 프레임 상의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차체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어탯치가 구성되는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과;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에 스크류 너트를 통하여 연결되는 후방 스크류 바아에 제3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 상호간의 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은
    상기 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의 하부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와;
    그 중앙부에 피동 스프로켓이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피동 스프로켓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반대방향의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 각각에 양단을 통하여 각각 치합되는 전방 스크류 바아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전방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는 상기 전방 스크류 바아 상의 피동 스프로켓과 체인을 통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을 장착하는 제1구동모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 이동수단은
    상기 보조 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스크류 너트와;
    외주면에 일방향의 스크류 나사산을 형성하고, 일단에는 각각 피동 스프로켓을 장착하며, 타단을 통하여 상기 각 스크류 너트에 치합되는 좌우측 스크류 바아와;
    상기 대차 프레임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는 상기 좌우측 스크류 바아 상의 각 피동 스프로켓과 하나의 체인을 통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을 장착하는 제2구동모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 어탯치 폭 가변수단은
    상기 후방 좌우측 어탯치 블록의 하부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와;
    그 중앙부에 피동 스프로켓이 일체로 장착되며, 상기 피동 스프로켓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반대방향의 스크류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후방 좌우측 스크류 너트 각각에 양단을 통하여 각각 치합되는 후방 스크류 바아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중앙부 일측에 설치되며, 그 회전축에는 상기 후방 스크류 바아 상의 피동 스프로켓과 체인을 통하여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동 스프로켓을 장착하는 제3구동모터;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대차.
KR10-2003-0045740A 2003-07-07 2003-07-07 이송용 대차 KR10049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740A KR100494940B1 (ko) 2003-07-07 2003-07-07 이송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740A KR100494940B1 (ko) 2003-07-07 2003-07-07 이송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846A true KR20050005846A (ko) 2005-01-15
KR100494940B1 KR100494940B1 (ko) 2005-06-13

Family

ID=3721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740A KR100494940B1 (ko) 2003-07-07 2003-07-07 이송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9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79B1 (ko) * 2010-06-30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KR101154391B1 (ko) * 2010-10-06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장 공정용 플로어 운반 장치
EP2650397A2 (en) 2010-12-10 2013-10-16 Posco Steel strip stabilizing apparatus
US8882094B2 (en) 2010-12-08 2014-11-1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ody moving cart
CN111942837A (zh) * 2020-09-01 2020-11-1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沂水县供电公司 转移辅助装置
CN114364595A (zh) * 2019-09-10 2022-04-15 株式会社万都 车辆的转向柱
KR102472652B1 (ko) * 2021-11-16 2022-11-29 (주)엠디디 멀티 피치 스크류 샤프트를 이용한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엔드리스 시스템
KR20220167568A (ko) * 2021-06-14 2022-12-21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경운기 부착형 고구마 수확기 생산조립라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319B1 (ko) 2013-03-18 2014-06-02 김형록 자동차용 시트 장착 지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479B1 (ko) * 2010-06-30 201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KR101154391B1 (ko) * 2010-10-06 2012-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장 공정용 플로어 운반 장치
US8882094B2 (en) 2010-12-08 2014-11-11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ody moving cart
EP2650397A2 (en) 2010-12-10 2013-10-16 Posco Steel strip stabilizing apparatus
KR101322066B1 (ko) * 2010-12-10 2013-10-2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제진장치
US9446929B2 (en) 2010-12-10 2016-09-20 Posco Steel strip stabilizing apparatus
CN114364595A (zh) * 2019-09-10 2022-04-15 株式会社万都 车辆的转向柱
CN111942837A (zh) * 2020-09-01 2020-11-17 国网山东省电力公司沂水县供电公司 转移辅助装置
KR20220167568A (ko) * 2021-06-14 2022-12-21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경운기 부착형 고구마 수확기 생산조립라인
KR102472652B1 (ko) * 2021-11-16 2022-11-29 (주)엠디디 멀티 피치 스크류 샤프트를 이용한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엔드리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940B1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4940B1 (ko) 이송용 대차
JP6478715B2 (ja) 自律走行車両の車体構造
KR100665554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20090063996A (ko) 너트런너용 볼트공급시스템
KR20170120133A (ko) 산업용 로봇
KR100700390B1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KR20020090559A (ko) 차체조립용 용접지그 장치
KR20040028340A (ko) 용접용 로봇의 로봇 행거
JP4221356B2 (ja) 搬送装置
KR101167718B1 (ko) 지그 이송장치
KR100401644B1 (ko) 이송대차의 레일 체인지 장치
KR100369180B1 (ko) 휠 클램프 이송장치
US20230234642A1 (en) Vehicle platform
KR20040039991A (ko) 로봇 행거 장치
KR100836933B1 (ko) 차량용 루프레일 이송장치
KR200161952Y1 (ko) 무인 운반차
KR200297451Y1 (ko) 지게차의 구조
KR20030082230A (ko) 대차용 클램핑 장치
JPH06270851A (ja) 4クロ−ラ型無限軌道車
KR100458897B1 (ko) 지게차의 구조
JP2524385Y2 (ja) 電動走行装置
CN209716976U (zh) 一种座椅组装用流水线
KR100397987B1 (ko) 차체패널 이송용 대차 시스템
KR200350190Y1 (ko) 자력을가지는구동휠이구비된오버헤드가열장치
KR200461369Y1 (ko) 자동차 혼류 생산라인용 마스터핀 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