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4479B1 -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4479B1
KR101134479B1 KR1020100062570A KR20100062570A KR101134479B1 KR 101134479 B1 KR101134479 B1 KR 101134479B1 KR 1020100062570 A KR1020100062570 A KR 1020100062570A KR 20100062570 A KR20100062570 A KR 20100062570A KR 101134479 B1 KR101134479 B1 KR 10113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fer
locking
bloc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34A (ko
Inventor
현 규 곽
장석춘
류성희
권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 규 곽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 규 곽,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4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4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일정 속도로 이동되는 대차에 차종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차체를 모두 거치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에 설치되는 대차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프론트 어태치부와 리어 어태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차종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차체라 하더라도 프론트 어태치부 및 리어 어태치부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고, 이러한 대차 어태치 장치의 공용화에 따라 다차종 조립 생산이 용이하고, 신차종 조립시 별도의 대기 시간이 없어 차량 조립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완성차량의 품질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Carrier-attach device for vehicle assembly line}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립라인에서 일정 속도로 이동되는 대차에 차종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차체를 모두 거치시킬 수 있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체를 구성하기 위한 차체 패널들이 프레스 공정에서 제조된 후, 차체 조립 공장으로 운반되어 하나의 차체로 조립되고, 조립된 차체에는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휀더 등과 같은 외관 패널류가 장착되며, 이어서 도장 공정으로 이동되어 차체에 대한 도색 작업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의장 라인에서 엔진, 트랜스미션, 내,외장재 등, 각종 부품들의 조립 작업이 진행되어, 하나의 완성차량이 된다.
상기 의장라인에는 일정 속도로 이송하는 대차와, 이 대차상에 차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어태치 장치가 포함되어 있지만, 신차종을 조립할 때마다 어태치 장치를 다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기존 차량의 차체 크기와 신차종의 차체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차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어태치 장치의 지지점이 달라지게 되므로, 신차종 조립시마다 새로운 어태치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종 변경때마다 어태치 시스템이 새로이 교체해야 함에 따라, 신규 설비를 위한 투자비가 증대되고, 신규 설비 및 부품 교체에 따른 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결과물로서, 일정 속도로 이동되는 대차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프론트 어태치부와 리어 어태치부를 설치하여, 차종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차체를 프론트 어태치부 및 리어 어태치부에 모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는 대차와; 상기 대차상에 그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차체의 앞쪽 저부를 받쳐주는 한 쌍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과; 각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바깥쪽 위치에서 대차상에 설치되어,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와; 상기 대차상에 그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뒤쪽 저부를 받쳐주는 리어 어태치 유닛과; 상기 리어 어태치 유닛의 바깥쪽 위치에서 대차상에 설치되어, 리어 어태치 유닛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와; 상기 한 쌍의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중 하나의 옆쪽에 나란히 설치되어, 리어 어태치 유닛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세로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상기 프론트 어태치 유닛은: 대차상에 장착되는 가로방향 프레임과;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의 양측단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좌우 위치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이탈방지커버와; 상기 제1 및 제2 이탈방지커버간에 연결되는 홀더블럭과; 상기 홀더블럭이 삽입되도록 좌우로 관통된 이송홀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록킹핀 유닛이 장착된 구조로서, 홀더블럭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에 조립되는 마스터 핀;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블럭의 상면에는 충격 흡수용 패드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핀 유닛은: 가이드블럭의 배면상에 장착되는 록킹핀 하우징와; 외측단은 록킹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보다 큰 직경의 내측단은 가이드블럭의 배면을 관통하는 동시에 홀더블럭의 배면에 형성된 록킹홈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록킹핀과; 상기 록킹핀의 외끝단에 조립되는 동시에 록킹핀 하우징의 외표면에 지지되는 조작핀과; 한쪽은 록킹핀 하우징의 앞쪽 내벽면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은 록킹핀의 외측단과 내측단간의 경계단차면에 지지되는 복원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프론트 어태치 유닛은: 대차상에 장착되는 가로방향 프레임과;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의 양측단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의 좌우 위치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와; 직사각 블럭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블럭과; 상기 회전블럭의 각 표면에 장착되되,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마스터 핀과; 상기 회전블럭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제2지지플레이트의 바깥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 상기 회전블럭 및 제2지지플레이트의 내면에 설치되어, 회전블럭이 제위치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구속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속수단은: 회전블럭의 각 표면에서 그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스토퍼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의 내면 하단에 밀려남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이동하여 스토퍼와 밀착되는 잠금블럭과; 상기 잠금블럭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제2지지플레이트의 외면 하단에 위치되는 언록킹 푸시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는: 대차상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바깥쪽 위치에 장착되는 메인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 한쪽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레일 결합되는 이송프레임과; 상기 메인실린더의 피스톤이 결합되도록 이송프레임의 내측단에 돌출 형성된 피스톤 결합단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상부쪽에 설치되어, 차종을 감지하는 차종감지유닛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하부쪽에 가로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종 감지후 마스터 핀의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조정하는 마스터 핀 조정 유닛;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종감지유닛은: 이송프레임의 상부쪽에 장착되는 업다운 실린더와; 상기 업다운 실린더의 피스톤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저부에 장착되어, 차종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차종감지도그와;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정면쪽에 장착되어, 차종감지도그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근접센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종감지유닛의 승하강프레임의 내측단에는 그 하단이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제2 이탈방지커버의 상면에 지지되는 서포트 포스트가 장착되어, 승하강프레임의 하강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터 핀 조정 유닛은: 상기 이송프레임의 하부쪽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레일 결합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바깥쪽 위치에 장착되어, 서브프레임을 가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서보실린더와; 상기 서브프레임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전후진용 실린더와; 마스터 핀의 위치를 가로방향을 따라 조절하는 최종적인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제1전후진용 실린더의 피스톤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끝단부에는 마스터 핀 삽입을 위한 인입홈이 형성된 마스터 핀 셋팅체와; 록킹핀 유닛의 조작핀을 당겨서, 홀더블럭의 록킹홈으로부터 록킹핀이 분리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2전후진용 실린더의 피스톤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끝단부에는 조작핀을 당기기 위한 당김홈이 형성된 언록킹 플레이트;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는: 업다운 실린더의 피스톤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의 저부에 장착되어 차종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차종감지도그와, 승하강 프레임의 정면쪽에 장착되어 차종감지도그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근접센서와, 승하강프레임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도록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제1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지지되는 서포트 포스트를 포함하는 차종감지유닛과; 대차상의 고정프레임에 장착되어, 언록킹 푸시바를 눌러주는 록킹해제 푸시용 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상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레일 결합되는 모터 이송용 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상에 고정 설치되고, 피스톤이 모터 이송용 프레임과 연결되는 모터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모터 이송용 프레임상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용 클램프와 치합되는 커플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리어 어태치 유닛은: 대차상에 고정 장착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상의 양측단부에 세로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세로레일과; 상기 각 세로레일에 세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이송판과;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의 상면간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3이송판과; 상기 제3이송판의 상면에서 그 전후 위치에 가로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가로레일과; 상기 가로레일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차체 지지점이 되는 리어 어태치판이 부착된 제4 및 제5이송판과;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을 비롯하여, 제3,4,5이송판을 동시에 세로방향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세로방향 이송수단과;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을 가로방향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가로방향 이송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이 이송될 때 잠금해제되고, 이송 완료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이송판을 잠금시키는 세로방향 잠금유닛과;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이 이송될 때 잠금해제되고, 이송 완료된 위치에서 제4 및 제5이송판을 잠금시키는 가로방향 잠금유닛;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방향 이송수단은: 제1이송판 또는 제2이송판의 외측단부에 장착되는 세로방향 랙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외끝단부에 장착되는 지지베어링과; 상기 지지베어링을 관통하는 축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와; 상기 축의 내끝단에 장착되는 피니언;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방향 잠금유닛은: 제1이송판 또는 제2이송판의 외측단 저부에 일체로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잠금홀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 홀더플레이트와; 상기 받침프레임상에 장착되되, 스토퍼 홀더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제1 및 제2잠금블럭과; 상기 제2잠금블럭의 내부에 형성된 홀내에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며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 홀더플레이트의 잠금홀내에 인출입되는 잠금핀과; 상기 제1잠금블럭의 외측 위치에서 받침프레임상에 눌림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블럭과; 상기 제1잠금블럭의 내부에 형성된 홀내에 인입되도록 푸시블럭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봉과; 외끝단은 푸시블럭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끝단은 제1 및 제2잠금블럭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홀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잠금핀에 일체로 연결되는 잠금핀 조작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로방향 잠금유닛은: 내부에 수직스프링이 내재되는 스토퍼 랙 하우징과; 상기 스토퍼 랙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슬롯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한 쌍의 잠금해제홀이 형성된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와; 상기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내에 내재되는 동시에 수직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롯을 통해 돌출되어, 세로방향 이송수단의 세로방향 랙과 치합 가능하고, 양단부에는 잠금해제홀과 일치되는 경사단이 일체로 형성된 랙스토퍼;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방향 이송수단은: 상기 제3이송판의 상면 소정 위치에 장착된 베어링에 내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인 외끝단부는 제4 및 제5이송판의 저부에 스크류 결합되는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와;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방향 잠금유닛은: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의 저면에서 일측쪽 모서리 위치에 설치되는 가로방향 랙과; 제1 및 제2이송판의 소정 위치에 서로 연통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스토퍼 하우징 및 푸시바 하우징; 상면에 슬롯이 형성된 구조로서, 랙스토퍼 하우징의 상면에 조립되는 랙스토퍼 커버와; 상기 랙스토퍼 하우징내에 내재되는 수직스프링과; 상기 가로방향 랙과 잠금 치합 가능하도록 상기 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랙스토퍼 커버의 슬롯을 통해 돌출되고, 일측면에는 경사홀이 형성된 랙스토퍼와; 상기 푸시바 하우징내의 수평홀내에 내재되는 수평스프링과; 내측단 하부에는 수평스프링을 수용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내측단 상부에는 랙스토퍼의 경사홀내로 진입 가능한 경사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단은 수평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푸시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의 상면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레일에 리어 어태치판이 가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는: 대차상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안쪽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피스톤이 이송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상에 설치되는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와;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커플러와; 상기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의 옆쪽에 나란히 설치되고, 가로방향 잠금유닛의 푸시바를 눌러주도록 피스톤의 끝단에 누름봉이 일체로 장착된 제1잠금해제용 실린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는: 대차상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안쪽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피스톤이 이송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상에 설치되는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와; 세로방향 이송수단의 회전용 클램프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커플러와;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의 옆쪽에 나란히 설치되고, 세로방향 잠금유닛의 푸시블럭을 눌러주도록 피스톤의 끝단에 누름봉이 일체로 장착된 제2잠금해제용 실린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는: 대차상에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과; 상기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의 뒤쪽에 장착되는 푸시로드 구동실린더와; 상기 푸시로드 구동실린더의 피스톤에 장착되어,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을 관통하여 배열되는 푸시로드와; 세로방향 잠금유닛의 잠금해제홀로 들어가 랙스토퍼의 경사단을 밀어주도록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구조로서, 푸시로드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중푸시바;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조립라인에 설치되는 대차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프론트 어태치부와 리어 어태치부를 설치함으로써, 차종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차체라 하더라도 프론트 어태치부 및 리어 어태치부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대차 어태치 장치의 공용화에 따라, 다차종 조립 생산이 용이하고, 신차종 조립시 별도의 대기 시간이 없어 차량 조립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완성차량의 품질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와, 제1 및 제2리어 어태치 조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과, 제2리어 어태치 조정기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의 구성중, 세로방향 이송수단 및 세로방향 잠금유닛을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의 구성중, 세로방향 잠금유닛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의 구성중, 가로방향 잠금유닛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에 사용되는 모터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자동차 조립라인에 설치되어 통상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는 대차(100)에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어떠한 차종이라도 거치 고정시킬 수 있는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는 대차(100)상에 그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조립을 위한 차체의 앞쪽 저부를 받쳐주는 한 쌍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과,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자동 조절하는 한 쌍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는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후부쪽 대차(100)상에 그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조립을 위한 차체의 뒤쪽 저부를 받쳐주는 리어 어태치 유닛(500)과, 리어 어태치 유닛(500)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600)와, 리어 어태치 유닛(500)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세로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은 조립 대상의 차체 앞쪽을 지지해주는 부분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차(100)상에 장착되는 가로방향 프레임(301)을 포함하고, 가로방향 프레임(301)의 양단부에 하나씩 한 쌍이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301)의 양측단 상면에 지지블럭(302)이 장착되고, 이 지지블럭(302)의 좌우 위치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 및 제2 이탈방지커버(303,304)가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이탈방지커버(303,304)간에는 배면쪽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록킹홈(322)이 형성된 직사각 바 형태의 홀더블럭(305)이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좌우로 관통된 이송홀(306)을 갖는 사각고리 블럭 형상의 가이드블럭(307)이 구비되어 홀더블럭(305)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가이드블럭(307)의 이송홀(306)내에 홀더블럭(305)이 삽입되도록 한 후, 가이드블럭(307)을 한쪽으로 가압하면, 가이드블럭(307)이 홀더블럭(305)을 따라 이송되는 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블럭(307)의 이송홀(306)내에 이물질이 끼어서 가이드블럭(307)의 원할한 이동이 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송홀(306)의 내표면에 스크래이퍼(미도시됨)를 부착하고, 이와 맞닿는 홀더블럭(305)의 슬라이딩 부위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삼각홈을 형성하여, 스크래이퍼에 의하여 쓸려서 제거된 이물질이 홀더블럭(306)의 삼각홈쪽으로 흘러내려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럭(307)의 상면에는 마스터 핀(308)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바, 이 마스터 핀(308)은 차체의 앞쪽 저부 소정 위치에 끼워져 차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차체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블럭(307)의 상면에는 마스터 핀(308)에 끼워지며 안착되는 차체를 받쳐주는 동시에 차체가 안착될 때의 충격을 흡수해주는 충격 흡수용 패드(309)가 더 부착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블럭(307)의 후면에는 록킹핀 유닛(320)이 장착되는데, 이 록킹핀 유닛(320)은 가이드블럭(307)을 잠금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록킹핀 유닛(320)은 가이드블럭(307)을 비롯한 마스터 핀(308)이 차체의 지지점을 변경하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할 때 가이드블럭(307)을 잠금 해제시키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가이드블럭(307)을 비롯한 마스터 핀(308)이 차체의 지지점 위치로 이송 완료된 후에는 가이드블럭(307)을 잠금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핀 유닛(32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확대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블럭(307)의 배면상에 록킹핀 하우징(321)가 장착되고, 이 록킹핀 하우징(321)내에는 복원스프링(326)이 내재되며, 또한 상기 록킹핀 하우징(321)내에는 홀더블럭(305)의 배면에 형성된 록킹홈(322)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록킹핀(323)이 내재된다.
특히, 상기 록킹핀(323)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환형봉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상으로서, 작은 직경의 외측단은 록킹핀 하우징(321)의 외부로 일부 돌출되고, 보다 큰 직경의 내측단은 가이드블럭(307)의 배면을 관통하는 동시에 홀더블럭(305)의 배면에 형성된 록킹홈(322)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복원스프링(326)의 외끝단부는 록킹핀 하우징(321)의 내벽면에 압축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끝단부는 록킹핀(323)의 외측단과 내측단간의 직경 변화가 일어나는 부분인 경계단차면(325)에 압축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록킹핀 하우징(312)의 외부로 돌출된 록킹핀(323)의 외측단끝에는 보다 큰 직경의 조작핀(324)이 일체로 장착되고, 이 조작핀(324)의 내벽면은 록킹핀 하우징(321)의 외표면에 당김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일 실시예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잠금 해제 작동에 의거, 상기 조작핀(324)이 당겨지면 조작핀(324)과 일체로 된 록킹핀(323)이 복원스프링(326)을 압축시키면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록킹핀(323)의 내측단이 홀더블럭(305)의 록킹홈(32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가이드블럭(307)의 잠금이 해제된다.
연이어, 후술하는 일 실시예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가로방향 이송 작동에 의거, 조작핀(324)이 한쪽의 가로방향으로 가압되면, 가이드블럭(307)이 홀더블럭(305)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차체 지지를 위한 위치까지 이송되고, 이때 가이드블럭(307)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마스터 핀(308)도 차체 지지를 위한 위치까지 이송된다.
물론, 후술하는 일 실시예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잠금 해제 작동 및 가로방향 이송 작동이 정지(완료)되면, 조작핀(324)에 대한 당김 해제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록킹핀(323)이 복원스프링(3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홀더블럭(305)의 록킹홈(322)으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차체 지지를 위한 위치에서 가이드블럭(307)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핀(323)의 끝단면에 구배각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305)의 록킹홈(322) 입구에도 동일한 각도의 구배각을 형성하여, 록킹핀(323)의 구배각과 록킹홈(322)의 구배각이 서로 면접촉되며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에, 대차 산포에 의한 록킹핀(323)의 이탈, 또는 록킹핀(323)이 록킹홈(322)내에 정확히 인입되지 않는 경우, 록킹핀(323)의 구배각과 록킹홈(322)의 구배각이 서로 면접촉되며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록킹핀(323)이 복원스프링(326)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정위치인 록킹홈(322)내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가이드블록(307)을 원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록킹핀 유닛(320)을 갖는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은 마스터 핀(308) 및 록킹핀(323)을 이동시키는 구조로 채택된 것이지만, 마스터 핀(308)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관절 로봇(미도시됨)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한 일 실시예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200)는 상기와 같이 록킹핀 유닛(320)을 조작하여 가이드블럭(307) 및 마스터 핀(308)의 위치를 차종별로 서로 다른 차체 지지 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먼저, 대차(100)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프레임(201)이 장착되고, 이 고정프레임(201)의 바깥쪽 위치에 공압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메인실린더(202)가 고정 장착되며, 고정프레임(201)의 상면 한쪽에는 레일(203)이 가로방향을 따라 부착된다.
상기 레일(203)에는 이송프레임(204)이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이 이송프레임(204)의 내측단부에는 피스톤 결합단(206)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이 피스톤 결합단(206)에는 상기 메인실린더(202)의 피스톤(205) 끝단이 일체로 연결된다(도 4에서는 편의상 피스톤(205)과 피스톤 결합단(206)이 떨어진 것으로 도시됨).
이에, 상기 메인실린더(202)의 전진 구동시 피스톤 결합단(206)과 일체로 연결된 피스톤(205)이 전진하는 동시에 이송프레임(204)은 레일(203)을 따라 안쪽 가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반대로 메인실린더(202)의 후진 구동시 피스톤(205)이 후진하는 동시에 이송프레임(204)은 레일(203)을 따라 바깥쪽 가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프레임(204)의 상부쪽에는 차종을 감지하는 차종감지유닛(210)가 설치되고, 특히 상기 이송프레임(204)의 하부쪽에는 차종감지유닛의 차종 감지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와 같이 마스터 핀(308)의 위치를 차체 지지를 위한 위치까지 조정하는 마스터 핀 조정 유닛(220)이 가로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종감지유닛(210)은 새로운 차종의 차체가 대차(100) 위쪽을 따라 이동하는 샤시 행거(미도시됨)에 매달려 투입될 때, 해당 차종을 감지하여 최종적으로 마스터 핀(308)을 새로 투입되는 차체의 지지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감지 수단으로 채택된 것이다.
상기 차종감지유닛(210)의 일 구성중 업다운 실린더(211)가 이송프레임(204)의 상부쪽에 장착되고, 이 업다운 실린더(211)의 저부로부터 돌출되는 피스톤(212)에는 소정 면적의 승하강프레임(213)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 프레임(213)에는 환봉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차종감지도그(214)가 가로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는데, 이 차종감지도그(214)의 상단 및 하단은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승하강 프레임(213)의 상면에 거치되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차종감지도그(214)는 자중에 의하여 항상 승하강프레임(213)의 저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 프레임(213)의 정면쪽에는 각 차종감지도그(214)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근접센서(215)가 장착되어, 차종감지도그(214)의 높이를 감지하는 동시에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됨)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종감지유닛(210)의 승하강프레임(213)의 내측단에는 그 하단이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제2 이탈방지커버(304)의 상면에 지지되는 서포트 포스트(216)가 장착되는 바, 이 서포트 포스트(216)는 업다운 실린더(211)에 의하여 승하강프레임(213)이 하강할 때, 그 하단끝이 제2 이탈방지커버(304)의 상면에 닿게 되어, 승하강프레임(213)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마스터 핀 조정 유닛(220)은 실질적으로 마스터 핀(308)의 위치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이송프레임(204)의 하부쪽에 가로방향을 따라 부착된 레일(221)에 결합되는 서브프레임(222)과, 이송프레임(204)의 바깥쪽 위치에 장착되어 서브프레임(222)을 가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서보실린더(2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222)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전후진용 실린더(224,225)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1전후진용 실린더(224)의 피스톤에는 마스터 핀(308)의 위치를 가로방향을 따라 조절하는 최종적인 가압 구동수단인 마스터 핀 셋팅체(227)이 결합되는 바, 이 마스터 핀 셋팅체(227)의 외끝단부에는 마스터 핀(308)이 삽입되는 'U'자형의 인입홈(22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전후진용 실린더(225)의 피스톤에는 록킹핀 유닛(320)의 조작핀(324)을 당겨주는 역할을 하는 언록킹 플레이트(229)가 결합되는 바, 그 외끝단부에는 조작핀(324)이 걸림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U'자형의 당김홈(2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작동 과정과, 이 작동에 의하여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차체 지지점이 조절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새로운 차종의 차체가 대차(100) 위쪽을 따라 이동하는 샤시 행거(미도시됨)에 매달려 투입되면, 상기 메인실린더(201)의 피스톤을 전진 구동시킴으로써, 이송프레임(204)이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이 있는 쪽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차종감지유닛(210)의 업다운 실린더(211)의 피스톤이 하향 구동되는 동시에 승하강프레임(213)이 하강을 하게 되고, 승하강프레임(213)에 장착된 서포트 포스트(216)가 제2 이탈방지커버(304)의 상면에 닿게 되어, 승하강프레임(213)은 더 이상 하강을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프레임(213)의 하강시, 승하강프레임(213)에 장착된 다수개의 차종감지도그(214)의 각 하단끝이 새로 투입된 차체의 소정 위치에 닿게 되는 동시에 자중에 의하여 밑으로 쳐져 있던 각 차종감지도그(214)가 승하강프레임(213)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바, 차체의 소정 위치들이 서로 높이가 다름에 따라 각 차종감지도그(214)가 승하강프레임(213)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다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각 차종감지도그(214)의 위치를 다수개의 근접센서(215)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미도시됨)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제어부는 서보실린더(223)에 작동 신호를 보내게 되고, 서보실린더(223)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프레임(204)에 레일(221) 결합된 서브프레임(222)이 안쪽 가로방향을 향하여 이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서브프레임(222)에 장착된 제2전후진용 실린더(225)의 피스톤이 전진하는 동시에 이 피스톤에 결합된 언록킹 플레이트(229)가 전진하여, 언록킹 플레이트(229)의 'U'자형의 당김홈(228)내에 록킹핀 유닛(320)의 조작핀(324)이 걸림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연이어, 제2전후진용 실린더(225)의 피스톤이 후진하는 동시에 언록킹 플레이트(229)도 후진함으로써, 언록킹 플레이트(229)의 'U'자형의 당김홈(228)내에 삽입된 록킹핀 유닛(320)의 조작핀(324)이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핀(324)이 당겨지면 조작핀(324)과 일체로 된 록킹핀(323)이 복원스프링(326)을 압축시키면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록킹핀(323)의 내측단이 홀더블럭(305)의 록킹홈(32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가이드블럭(307)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전후진용 실린더(224)의 피스톤이 전진하는 동시에 마스터 핀 셋팅체(227)도 전진하여, 마스터 핀 셋팅체(227)의 'U'자형의 인입홈(226)내에 마스터 핀(308)이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서보실린더(223)의 작동에 의하여 이송프레임(204)에 레일(221) 결합된 서브프레임(222)이 어느 한쪽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송하게 되면, 상기 마스터 핀 셋팅체(227)도 동일방향으로 이송하게 됨에 따라, 마스터 핀 셋팅체(227)의 'U'자형의 인입홈(226)내에 삽입된 마스터 핀(308)이 동일방향으로 가압되어진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터 핀(308)과 일체로 된 가이드블럭(307)이 홀더블럭(305)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차체 지지를 위한 위치까지 이송됨으로써, 결국 마스터 핀(308)이 신규 차종의 차체 지지 위치로 용이하게 이송되어, 새로운 차종의 차체 앞쪽 저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은 회전 타입 구조로 제작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도 조립 대상의 차체를 지지해주는 부분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차(100)상에 장착되는 가로방향 프레임(301)을 포함하고, 가로방향 프레임(301)의 양단부에 하나씩 한 쌍이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먼저,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301)의 양측단 상면에 지지블럭(311)이 장착되고, 이 지지블럭(311)의 좌우 위치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312,313)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312,313)간에는 직사각 블럭 형상으로 제작된 회전블럭(31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회전블럭(314)의 각 표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를 이루는 마스터 핀(315)이 일체로 돌출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바깥쪽에는 회전블럭(314)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회전용 클램프(316)가 동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회전블럭(314)의 양끝단 표면과,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내외면에 걸쳐, 회전블럭(314)이 조절된 위치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구속수단(33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구속수단(330)의 일 구성으로서, 도 6에서 보듯이 회전블럭(314)의 각 표면에서 그 양측단부에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스토퍼(331)가 일체로 부착되고, 이 스토퍼(331)의 아래쪽에는 잠금블럭(333)이 전후 이송 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블럭(333)은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내면 하단에 스프링(미도시됨)을 압축시키면서 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되, 이 스프링의 압축 전에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스토퍼(331)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외면 하단에는 언록킹 푸시바(334)가 잠금블럭(333)과 일체로 연결되며 눌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상기 언록킹 푸시바(334)를 누르기 전에는 잠금블럭(333)의 상면이 스토퍼(331)의 저면과 밀착되는 상태가 되어, 회전블럭(314)의 회전이 방지되고, 반대로 상기 언록킹 푸시바(334)를 누르면 잠금블럭(333)이 후진하는 동시에 스토퍼(331)와의 밀착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회전블럭(314)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한 다른 실시예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를 조절하기 위한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200)도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서 업다운 실린더(211)의 피스톤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213)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213)의 저부에 장착되어 차종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차종감지도그(214)와, 승하강 프레임(213)의 정면쪽에 장착되어 차종감지도그(214)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근접센서(215)와, 승하강프레임(213)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도록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제1지지플레이트(312)의 상면에 지지되는 서포트 포스트(216)를 포함한다.
그 외에, 대차(100)상의 고정프레임(201)에 장착되어, 회전구속수단(330)의 언록킹 푸시바(334)를 눌러주는 록킹해제 푸시용 실린더(230)를 포함하고, 회전블럭(314)의 회전용 클램프(316)에 치합되어 회전블럭(314)을 돌려주기 위한 모터(235)를 더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201)의 상면에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이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레일(231) 결합되고, 고정프레임(201)의 소정 위치에는 피스톤이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과 연결되는 모터 이송용 실린더(234)가 탑재되며, 또한 상기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상에 모터(235)가 장착되고, 이 모터(235)의 축에는 회전용 클램프(316)와 치합되는 커플러(236)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해제 푸시용 실린더(230)가 작동하여, 그 피스톤이 회전구속수단(330)의 언록킹 푸시바(334)를 눌러주면, 잠금블럭(333)이 후진하여 잠금블럭(333)과 스토퍼(331)간의 밀착상태가 해제되어, 회전블럭(314)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연이어, 상기 모터 이송용 실린더(234)가 구동하여,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이 전진하는 동시에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에 탑재된 모터(235)도 이송하게 되어, 모터(235)의 축에 결합된 커플러(236)가 회전용 클램프(316)와 치합된다.
이에, 모터(235)가 회전 구동하면, 그 회전력이 커플러(236)와 회전용 클램프(316)를 통해 회전블럭(314)으로 전달되어, 회전블럭(314)의 각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블럭(314)의 각 표면에는 서로 다른 위치를 이루는 마스터 핀(315)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바, 회전블럭(314)의 각회전시 마스터 핀(315)의 위치가 해당 차종의 차체 지지점 위치와 일치하면, 모터 구동을 정지하여 회전블럭(314)을 상기와 같이 구속 고정시키고, 차체를 마스터 핀(315)에 지지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과,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자동 조절하는 한 쌍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200)에 의거, 어떠한 차종의 차체라도 그 앞쪽 저부에 대한 지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체의 뒤쪽 저부를 받쳐주는 리어 어태치 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와, 제1 및 제2리어 어태치 조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과, 제2리어 어태치 조정기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리어 어태치 유닛은 차체의 뒤쪽을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먼저, 대차(100)상에 소정 면적의 받침프레임(501)이 고정 설치되고, 이 받침프레임(501)상의 양측단부에는 그 세로방향을 따라 한 쌍의 세로레일(502)이 장착된다.
상기 각 세로레일(502)에는 세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소정 면적의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이 결합되고, 이때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은 제3이송판(505)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즉,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2,3이송판으로 구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실질적으로는 제1,2,3이송판(503,504,505)은 하나의 플레이트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제3이송판(505)의 상면에서 그 전후 위치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가로레일(506)이 장착되고, 이 가로레일(506)의 일측 및 타측에는 각각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이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상면에는 실질적인 차체 지지점이 되는 리어 어태치판(509)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상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레일(554)에 리어 어태치판(509)이 가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리어 어태치판(509)의 가로방향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비롯하여, 제3,4,5이송판(505,507,508)은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에 의하여 세로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은 그 이송을 위하여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에 의하여 잠금해제되고, 이송 완료된 위치에서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에 의하여 잠금된다.
여기서, 상기 세로방향 이송수단 및 세로방향 잠금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의 구성중, 세로방향 이송수단 및 세로방향 잠금유닛을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일 구성으로서, 제1이송판(503) 또는 제2이송판(504)의 외측단부에 세로방향 랙(511)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501)의 외끝단부에 지지베어링(512)이 장착되고, 이 지지베어링(512)을 관통하는 축의 외끝단에는 회전용 클램프(513)가 장착되며, 지지베어링(512)을 관통하는 축의 내끝단에는 세로방향 랙(511)과 치합되는 피니언(514)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용 클램프(513)로 입력되는 회전력이 피니언(514)을 통하여 세로방향 랙(511)으로 전달되면, 제1이송판(503) 또는 제2이송판(504)이 전진 또는 후진의 세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동시에 제1,2이송판(503,504)과 일체로 된 제3이송판(505)과, 제3이송판(505)의 가로레일(506)에 결합된 제4 및 제5이송판(507,508)과,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상면에 부착된 리어 어태치판(509) 등이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의 세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결국, 리어 어태치판(509)이 차체 저부를 받쳐주기 위한 세로방향의 특정 위치로 이송된 상태가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은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이 이송될 때 잠금해제시키고, 이송 완료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잠금시키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잠금홀(5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가 구비되어 제1이송판(503) 또는 제2이송판(504)의 외측단 저부에 일체로 장착된다(도 9a에서, 제1이송판을 분리하여 스토퍼 홀더플레이트만이 도시됨).
이때, 상기 받침프레임(501)상에 장착되되,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를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잠금블럭(523,524)이 장착되고, 제1잠금블럭(523)의 외측 위치에는 푸시블럭(527)이 눌림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잠금블럭(524)의 내부에 형성된 홀내에는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의 잠금홀(521)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잠금핀(526)이 내재되고, 잠금핀(526)의 뒤에는 스프링(525)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잠금블럭(523)의 내부에 형성된 홀내에는 푸시블럭(527)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봉(528)이 직진 안내를 위해 삽입된다.
특히, 상기 푸시블럭(527)의 하단에는 잠금핀 조작단(527-1)의 외끝단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끝단은 제1 및 제2잠금블럭(523,524)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홀(529)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잠금핀(526)에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블럭(527)을 눌러주게 되면, 푸시블럭(527)과 일체로 된 잠금핀 조작단(527-1)이 연동하여 잠금핀(526)을 가압하게 되고, 동시에 잠금핀(526)이 스프링(525)을 압축시키면서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의 잠금홀(521)로부터 빠져나가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져,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비롯하여 제3,4,5이송판(505,507,508)상의 구성부품(리어 어태치판(509) 등)들이 세로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로방향 잠금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의 구성중, 세로방향 잠금유닛을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은 상기한 세로방향 랙(511)을 구속시키거나, 구속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 수직스프링(561)이 압축 가능하게 내재되는 스토퍼 랙 하우징(562)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퍼 랙 하우징(562)의 상면에는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565)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565)의 상면에는 슬롯(563)이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는 한 쌍의 잠금해제홀(564)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565)내에는 랙스토퍼(567)가 내재되는 바, 이 랙스토퍼(567)의 치부분은 수직스프링(561)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롯(563)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한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세로방향 랙(511)과 치합됨으로써,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의 잠금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랙스토퍼(567)의 하단 양단부에는 잠금해제홀(564)과 일치되는 경사단(566)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400)의 이중푸시바(415)가 잠금해제홀(564)로 진입하는 동시에 랙스토퍼(567)의 경사단(566)을 아래로 밀어내게 되면, 랙스토퍼(567)가 수직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어, 결국 랙스토퍼의 치부분이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세로방향 랙(511)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비롯하여 제3,4,5이송판(505,507,508)상의 구성부품(리어 어태치판(509) 등)들이 세로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방향 이송수단을 구동시키는 동시에 세로방향 잠금유닛을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차(100)상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401)에 레일(402)이 부착되고, 이 레일(402)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이송플레이트(403)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바깥쪽에는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404)가 설치되는 바, 이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404)의 피스톤은 이송플레이트(403)에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송플레이트(403)상에는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가 탑재되는 바,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회전용 클램프(513)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의 축에는 커플러(406)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의 옆쪽에는 제2잠금해제용 실린더(408)가 나란히 설치되는 바,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의 푸시블럭(527)을 눌러주도록 그 피스톤의 끝단에는 누름봉(407)이 일체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404)이 구동되어, 그 피스톤이 이송플레이트(403)를 밀어주게 되면, 이송플레이트(403)상에 탑재된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도 함께 이송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의 커플러(406)가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회전용 클램프(513)와 치합되는 동시에 제2잠금해제용 실린더(408)의 피스톤에 장착된 누름봉(407)이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의 푸시블럭(527)을 눌러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의 푸시블럭(527)과 연동하는 잠금핀 조작단(527-1)에 의하여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의 잠금홀(521)로부터 잠금핀이 빠져나가는 잠금 해제가 이루어져,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비롯하여 제3,4,5이송판(505,507,508)상의 구성부품(리어 어태치판(509) 등)들이 세로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져, 커플러(406) 및 회전용 클램프(513)를 통하여 회전력이 세로방향 랙(511)과 치합되는 피니언(514)으로 전달된다.
결국, 회전력이 피니언(514)을 통하여 세로방향 랙(511)으로 전달되면, 상기와 같이 제1이송판(503) 또는 제2이송판(504)이 전진 또는 후진의 세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동시에 제1,2이송판(503,504)과 일체로 된 제3이송판(505)과, 제3이송판(505)의 가로레일(506)에 결합된 제4 및 제5이송판(507,508)과, 그리고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상면에 부착된 리어 어태치판(509) 등이 모두 함께 전진 또는 후진의 세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되어, 차체의 뒤쪽 저부를 받쳐주는 리어 어태치판(509)의 세로방향 위치가 조절되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방향 잠금유닛을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400)는 상기한 다른 실시예로 설명된 세로방향 잠금유닛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차(100)상에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411)과, 이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411)의 뒤쪽에 장착되는 푸시로드 구동실린더(412)와, 상기 푸시로드 구동실린더(412)의 피스톤에 장착되어,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411)을 관통하여 배열되는 푸시로드(413)를 포함하고, 특히 푸시로드(413)의 끝단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의 각 잠금해제홀(564)로 들어가 랙스토퍼(557)의 경사단(556)을 밀어주도록 끝단에 경사면(414)이 형성된 이중푸시바(415)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로드 구동실린더가 구동하여, 그 피스톤이 전진하게 되면, 피스톤에 장착된 푸시로드(413)가 전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푸시로드(413)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이중푸시바(415)가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의 각 잠금해제홀(564)로 들어가게 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푸시바(415)가 잠금해제홀(564)로 진입하는 동시에 랙스토퍼(567)의 경사단(566)을 아래로 밀어내게 되면, 랙스토퍼(567)가 수직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어, 결국 랙스토퍼(567)의 치부분이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세로방향 랙(511)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세로방향 이송수단의 작동에 의거,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비롯하여 제3,4,5이송판(505,507,508)상의 구성부품(리어 어태치판(509) 등)들이 모두 함께 세로방향의 원하는 위치로 이송되어, 차체의 뒤쪽 저부를 받쳐주는 리어 어태치판(509)의 세로방향 위치가 조절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을 가로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가로방향 이송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방향 이송수단(530)은 제1스크류(531) 및 제2스크류(5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3이송판(505)의 상면 소정 위치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33)에 각각 내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인 외끝단부는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저부에 스크류 결합되는 제1스크류(531) 및 제2스크류(5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531,532)의 외끝단에는 회전력을 입력받기 위한 회전용 클램프(534, 본 발명의 모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도 12에 지시됨)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용 클램프(534)에 회전력이 입력되면, 제1 및 제2스크류(531,532)가 제자리 회전을 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스크류(531,532)와 스크류 결합된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이 가로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게 되어, 결국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상면에 부착된 리어 어태치판(509)의 가로방향 위치가 조절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에 대한 잠금 및 잠금해제를 위한 가로방향 잠금유닛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의 리어 어태치 유닛의 구성중, 가로방향 잠금유닛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상기 가로방향 잠금유닛(540)은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이송이 필요할 때 잠금해제시키고, 이송 완료된 위치에서 더 이상 이송되지 않게 잠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저면에서 일측쪽 모서리 위치에 가로방향 랙(541)이 장착되고, 가로방향 랙(541)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된다.
즉, 가로방향 랙(54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구성중,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의 소정 위치에 랙스토퍼 하우징(542) 및 푸시바 하우징(543)이 서로 연통 가능하게 나란히 장착되고, 랙스토퍼 하우징(542)은 상면에 슬롯(544)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랙스토퍼 커버(545)가 조립된다.
이때, 상기 랙스토퍼 하우징(542)내에는 수직스프링(546)이 압축 가능하게 내재되고, 그 위에는 랙스토퍼(548)가 위치되는 바, 이 랙스토퍼(548)는 그 치부분이 가로방향 랙(541)과 잠금 치합 가능하도록 수직스프링(546)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랙스토퍼 커버(545)의 슬롯(544)을 통해 돌출된다.
특히, 랙스토퍼(548)의 일측면에는 경사홀(547)이 형성된다.
상기 푸시바 하우징(543)내의 수평홀(549)내에는 수평스프링(550)이 내재되고, 그 앞쪽에는 푸시바(553)가 위치되는 바, 이 푸시바(553)의 내측단 하부에는 수평스프링(550)을 수용하는 삽입구(551)가 형성되고, 내측단 상부에는 랙스토퍼(548)의 경사홀(547)내로 진입 가능한 경사판(552)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단은 수평홀(549)을 통해 돌출되어 눌림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푸시바(553)가 눌려지게 되면, 수평스프링(550)을 압축시키면서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경사판(552)이 랙스토퍼(548)의 경사홀(547)로 진입하여 랙스토퍼(548)를 끌어내리게 됨으로써, 랙스토퍼(548)의 치부분이 가로방향 랙(541)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결국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가로방향 이송이 가능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로방향 이송수단에 구동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가로방향 잠금유닛을 잠금해제시키기 위한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차(100)상에 지지프레임(601)이 고정되고, 이 지지프레임(601) 안쪽에 레일(602)이 설치되며, 이 레일(602)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이송플레이트(603)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601)의 바깥쪽에는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604)가 고정 장착되는 바, 이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604)의 피스톤은 이송플레이트(603)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송플레이트(603)상에는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가 고정 장착되고, 이 모터(605)의 축에도 가로방향 이송수단(530)의 제1 및 제2스크류(531,532)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534)와 치합될 수 있도록 커플러(606)가 일체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의 옆쪽에는 제1잠금해제용 실린더(608)가 나란히 설치되는 바, 이 제1잠금해제용 실린더(608)의 피스톤 끝에는 가로방향 잠금유닛(540)의 푸시바(553)를 눌러주도록 누름봉(607)이 일체로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604)가 구동하여, 그 피스톤이 이송플레이트(603)를 안쪽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이송플레이트(603)상에 탑재된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와 제1잠금해제용 실린더(608)도 함께 안쪽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잠금해제용 실린더(608)의 누름봉(607)이 푸시바(553)가 누르게 되면, 푸시바(553)는 수평스프링(550)을 압축시키면서 안쪽방향으로 후진하게 되고, 동시에 푸시바(553)에 일체로 된 경사판(552)이 가로방향 잠금유닛(540)의 랙스토퍼(548)의 경사홀(547)로 진입하여 랙스토퍼(548)를 끌어내리게 됨으로써, 랙스토퍼(548)의 치부분이 가로방향 랙(541)으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결국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가로방향 이송이 가능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다.
연이어서, 상기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의 커플러(606)가 제1 및 제2스크류(531,532)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534)와 치합되는 바,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이 커플러(606) 및 회전용 클램프(534)를 통하여, 가로방향 이송수단(530)의 제1스크류(531) 및 제2스크류(532)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531,532)가 제자리 회전을 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스크류(531,532)와 스크류 결합된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이 가로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하고, 이와 동시에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상면에 부착된 리어 어태치판(509)도 전진 또는 후진의 가로방향으로 이송하게 되어, 결국 차체의 뒤쪽 저부를 받쳐주는 리어 어태치판(509)의 가로방향 지지점 위치가 조절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종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차체라 하더라도, 해당 차량을 감지하여 차체의 앞쪽 및 뒤쪽 지지점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자동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차체라도 프론트 어태치부 및 리어 어태치부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공용화를 실현할 수 있고, 공용화에 따라 하나의 조립라인에서 다차종 조립 생산이 가능하여, 조립시간 단축과 더불어 완성차량의 품질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대차
200 :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 201 : 고정프레임
202 : 메인실린더 203 : 레일
204 : 이송프레임 205 : 피스톤
206 : 피스톤 결합단 210 : 차종감지유닛
220 : 마스터 핀 조정 유닛 211 : 업다운 실린더
212 : 피스톤 213 : 승하강프레임
214 : 차종감지도그 215 : 근접센서
216 : 서포트 포스트 221 : 레일
222 : 서브프레임 223 : 서보실린더
224 : 제1 전후진용 실린더 225 : 제2 전후진용 실린더
226 : 인입홈 227 : 마스터 핀 셋팅체
228 : 당김홈 229 : 언록킹 플레이트
230 : 록킹해제 푸시용 실린더 231 : 레일
232 : 모터 이송용 프레임 234 : 모터 이송용 실린더
235 : 모터 236 : 커플러
300 : 프론트 어태치 유닛
301 : 가로방향 프레임 302 : 지지블럭
303 : 제1 이탈방지커버 304 : 제2 이탈방지커버
305 : 홀더블럭 306 : 이송홀
307 : 가이드블럭 308 : 마스터 핀
309 : 충격 흡수용 패드 311 : 지지블럭
312 : 제1 지지플레이트 313 : 제2 지지플레이트
314 : 회전블럭 315 : 마스터 핀
316 : 회전용 클램프 320 : 록킹핀 유닛
321 : 록킹핀 하우징 323 : 록킹핀
322 : 록킹홈 324 : 조작핀
325 : 경계단차면 326 : 복원스프링
330 : 회전구속수단 331 : 스토퍼
333 : 잠금블럭 334 : 언록킹 푸시바
400 :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 401 : 지지프레임
402 : 레일 403 : 이송플레이트
404 :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 405 :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
406 : 커플러 407 : 누름봉
408 : 제2잠금해제용 실린더
411 :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 412 : 푸시로드 구동실린더
413 : 푸시로드 414 : 경사면
415 : 이중푸시바
500 : 리어 어태치 유닛 501 : 받침프레임
502 : 세로레일 503 : 제1이송판
504 : 제2이송판 505 : 제3이송판
506 : 가로레일 507 : 제4이송판
508 : 제5이송판 509 : 리어 어태치판
510 : 세로방향 이송수단 511 : 세로방향 랙
512 : 지지베어링 513 : 회전용 클램프
514 : 피니언 520 : 세로방향 잠금유닛
521 : 잠금홀 522 : 스토퍼 홀더플레이트
523 : 제1 잠금블럭 524 : 제2 잠금블럭
525 : 스프링 526 : 잠금핀
527 : 푸시블럭 527-1 : 잠금핀 조작단
528 : 안내봉 529 : 연장홀
530 : 가로방향 이송수단 531 : 제1스크류
532 : 제2스크류 533 : 베어링
534 : 회전용 클램프
540 : 가로방향 잠금유닛 541 : 가로방향 랙
542 : 랙스토퍼 하우징 543 : 푸시바 하우징
544 : 슬롯 545 : 랙스토퍼 커버
546 : 수직스프링 547 : 경사홀
548 : 랙스토퍼 549 : 수평홀
550 : 수평스프링 551 : 삽입구
552 : 경사판 553 : 푸시바
554 : 슬라이드 레일 561 : 수직스프링
562 : 스토퍼 랙 하우징 563 : 슬롯
564 : 잠금해제홀 565 :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
566 : 경사단 567 : 랙스토퍼
600 : 상기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 601 : 지지프레임
602 : 레일 603 : 이송플레이트
604 :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 605 :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
606 : 커플러 607 : 누름봉
608 : 제1잠금해제용 실린더

Claims (22)

  1. 일정한 속도로 이송되는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상에 그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차체의 앞쪽 저부를 받쳐주는 한 쌍의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과;
    각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바깥쪽 위치에서 대차(100)상에 설치되어,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200)와;
    상기 대차(100)상에 그 폭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되어, 상기 차체의 뒤쪽 저부를 받쳐주는 리어 어태치 유닛(500)과;
    상기 리어 어태치 유닛(500)의 바깥쪽 위치에서 대차(100)상에 설치되어, 리어 어태치 유닛(500)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600)와;
    상기 한 쌍의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600)중 하나의 옆쪽에 나란히 설치되어, 리어 어태치 유닛(500)의 차체 지지점 위치를 세로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은:
    대차(100)상에 장착되는 가로방향 프레임(301)과;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301)의 양측단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블럭(302)과;
    상기 지지블럭(302)의 좌우 위치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이탈방지커버(303,304)와;
    상기 제1 및 제2 이탈방지커버(303,304)간에 연결되고,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록킹홈(322)이 형성된 홀더블럭(305)과;
    상기 홀더블럭(305)이 삽입되도록 좌우로 관통된 이송홀(306)이 형성되고, 배면에는 록킹핀 유닛(320)이 장착된 구조로서, 홀더블럭(305)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블럭(307)과;
    상기 가이드블럭(307)의 상면에 조립되는 마스터 핀(308);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럭(307)의 상면에는 충격 흡수용 패드(309)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323)의 끝단면에 구배각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블럭(305)의 록킹홈(322) 입구에도 구배각을 형성하여, 록킹핀(323)의 구배각과 록킹홈(322)의 구배각이 서로 면접촉되며서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록킹핀(323)이 복원스프링(326)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록킹홈(322)내로 정확히 이동 삽입되어 가이드블록(307)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핀 유닛(320)은:
    가이드블럭(307)의 배면상에 장착되는 록킹핀 하우징(321)와;
    외측단은 록킹핀 하우징(321)의 외부로 돌출되고, 보다 큰 직경의 내측단은 가이드블럭(307)의 배면을 관통하는 동시에 홀더블럭(305)의 배면에 형성된 록킹홈(322)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록킹핀(323)과;
    상기 록킹핀(323)의 외끝단에 조립되는 동시에 록킹핀 하우징(321)의 외표면에 당김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핀(324)과;
    한쪽은 록킹핀 하우징(321)의 앞쪽 내벽면에 지지되고, 다른 한쪽은 록킹핀(323)의 외측단과 내측단간의 경계단차면(325)에 지지되는 복원스프링(326);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은:
    대차(100)상에 장착되는 가로방향 프레임(301)과;
    상기 가로방향 프레임(301)의 양측단 상면에 장착되는 지지블럭(311)과;
    상기 지지블럭(311)의 좌우 위치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312,313)와;
    직사각 블럭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플레이트(312,313)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블럭(314)과;
    상기 회전블럭(314)의 각 표면에 장착되되,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되는 마스터 핀(315)과;
    상기 회전블럭(314)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바깥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316);
    상기 회전블럭(314) 및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내면에 설치되어, 회전블럭(314)이 제위치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구속수단(33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속수단(330)은:
    회전블럭(314)의 각 표면에서 그 양측단부에 장착되는 스토퍼(331)와;
    상기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내면 하단에 밀려남 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이동하여 스토퍼(331)와 밀착되는 잠금블럭(333)과;
    상기 잠금블럭(333)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제2지지플레이트(313)의 외면 하단에 위치되는 언록킹 푸시바(33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200)는:
    대차(100)상에 장착되는 고정프레임(201)과;
    상기 고정프레임(201)의 바깥쪽 위치에 장착되는 메인실린더(202)와;
    상기 고정프레임(201)의 상면 한쪽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레일(203)로 결합되는 이송프레임(204)과;
    상기 메인실린더(202)의 피스톤(205)이 결합되도록 이송프레임(204)의 내측단에 돌출 형성된 피스톤 결합단(206)과;
    상기 이송프레임(204)의 상부쪽에 설치되어, 차종을 감지하는 차종감지유닛(210)과;
    상기 이송프레임(204)의 하부쪽에 가로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종 감지후 마스터 핀(308)의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조정하는 마스터 핀 조정 유닛(22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종감지유닛(210)은:
    이송프레임(204)의 상부쪽에 장착되는 업다운 실린더(211)와;
    상기 업다운 실린더(211)의 피스톤(212)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213)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213)의 저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차종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차종감지도그(214)와;
    상기 승하강 프레임(213)의 정면쪽에 장착되어, 차종감지도그(214)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근접센서(2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종감지유닛(210)의 승하강프레임(213)의 내측단에는 그 하단이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제2 이탈방지커버(304)의 상면에 지지되는 서포트 포스트(216)가 장착되어, 승하강프레임(213)의 하강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핀 조정 유닛(220)은:
    상기 이송프레임(204)의 하부쪽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레일(221)로 결합되는 서브프레임(222)과;
    상기 이송프레임(204)의 바깥쪽 위치에 장착되어, 서브프레임(222)을 가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서보실린더(223)와;
    상기 서브프레임(222)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전후진용 실린더(224,225)와;
    마스터 핀(308)의 위치를 가로방향을 따라 조절하는 최종적인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제1전후진용 실린더(224)의 피스톤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끝단부에는 마스터 핀 삽입을 위한 인입홈(226)이 형성된 마스터 핀 셋팅체(227)와;
    록킹핀 유닛(320)의 조작핀(324)을 당겨서, 홀더블럭(305)의 록킹홈(322)으로부터 록킹핀(323)을 분리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2전후진용 실린더(225)의 피스톤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끝단부에는 조작핀(324)이 걸림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당김홈(228)이 형성된 언록킹 플레이트(229);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어태치 조정기(200)는:
    업다운 실린더(211)의 피스톤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프레임(213)과, 상기 승하강 프레임(213)의 저부에 장착되어 차종을 감지하는 다수개의 차종감지도그(214)와, 승하강 프레임(213)의 정면쪽에 장착되어 차종감지도그(214)의 위치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근접센서(215)와, 승하강프레임(213)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도록 프론트 어태치 유닛(300)의 제1지지플레이트(312)의 상면에 지지되는 서포트 포스트(216)를 포함하는 차종감지유닛(210)과;
    대차(100)상의 고정프레임(201)에 장착되어, 회전구속수단(330)의 언록킹 푸시바(334)를 눌러주는 록킹해제 푸시용 실린더(230)와;
    상기 고정프레임(201)상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레일(231)로 결합되는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과;
    상기 고정프레임(201)상에 고정 설치되고, 피스톤이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과 연결되는 모터 이송용 실린더(234)와;
    상기 모터 이송용 프레임(232)상에 장착되는 모터(235)와;
    상기 모터(235)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용 클램프(316)와 치합되는 커플러(23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어태치 유닛(500)은:
    대차(100)상에 고정 장착되는 소정 면적의 받침프레임(501)과;
    상기 받침프레임(501)상의 양측단부에 세로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세로레일(502)과;
    상기 각 세로레일(502)에 세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이송판(503,504)과;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의 상면간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3이송판(505)과;
    상기 제3이송판(505)의 상면에서 그 전후 위치에 가로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가로레일(506)과;
    상기 가로레일(506)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차체 지지점이 되는 리어 어태치판(509)이 부착된 제4 및 제5이송판(507,508)과;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비롯하여, 제3,4,5이송판(505,507,508)을 동시에 세로방향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세로방향 이송수단(510)과;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을 가로방향을 따라 이송시키기 위한 가로방향 이송수단(530)과;
    상기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이 이송될 때 잠금해제되고, 이송 완료된 위치에서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을 잠금시키는 세로방향 잠금유닛(520)과;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이 이송될 때 잠금해제되고, 이송 완료된 위치에서 제4 및 제5이송판(503,504)을 잠금시키는 가로방향 잠금유닛(54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은:
    제1이송판(503) 또는 제2이송판(504)의 외측단부에 장착되는 세로방향 랙(511)과;
    상기 받침프레임(501)의 외끝단부에 장착되는 지지베어링(512)과;
    상기 지지베어링(512)을 관통하는 축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513)와;
    상기 축의 내끝단에 장착되는 피니언(51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은:
    제1이송판(503) 또는 제2이송판(504)의 외측단 저부에 일체로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잠금홀(5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와;
    상기 받침프레임(501)상에 장착되되,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를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제1 및 제2잠금블럭(523,524)과;
    상기 제2잠금블럭(524)의 내부에 형성된 홀내에 스프링(525)에 의하여 지지되며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 홀더플레이트(522)의 잠금홀(521)내에 인출입되는 잠금핀(526)과;
    상기 제1잠금블럭(523)의 외측 위치에서 받침프레임(501)상에 눌림 가능하게 장착되는 푸시블럭(527)과;
    상기 제1잠금블럭(523)의 내부에 형성된 홀내에 인입되도록 푸시블럭(527)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봉(528)과;
    외끝단은 푸시블럭(527)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끝단은 제1 및 제2잠금블럭(523,524)의 하단에 형성된 연장홀(529)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동시에 잠금핀(526)에 일체로 연결되는 잠금핀 조작단(527-1);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은:
    내부에 수직스프링(561)이 내재되는 스토퍼 랙 하우징(562)과;
    상기 스토퍼 랙 하우징(562)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슬롯(563)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한 쌍의 잠금해제홀(564)이 형성된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565)와;
    상기 스토퍼 랙 하우징 커버(565)내에 내재되는 동시에 수직스프링(561)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롯(563)을 통해 돌출되어,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세로방향 랙(511)과 치합 가능하고, 양단부에는 잠금해제홀(564)과 일치되는 경사단(566)이 일체로 형성된 랙스토퍼(567);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이송수단(530)은:
    상기 제3이송판(505)의 상면 소정 위치에 장착된 베어링(533)에 내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자유단인 외끝단부는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저부에 스크류 결합되는 제1스크류(531) 및 제2스크류(532)와;
    상기 제1 및 제2스크류(531,532)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53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 잠금유닛(540)은: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저면에서 일측쪽 모서리 위치에 설치되는 가로방향 랙(541)과;
    제1 및 제2이송판((503,504)의 소정 위치에 서로 연통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스토퍼 하우징(542) 및 푸시바 하우징(543);
    상면에 슬롯(544)이 형성된 구조로서, 랙스토퍼 하우징(542)의 상면에 조립되는 랙스토퍼 커버(545)와;
    상기 랙스토퍼 하우징(542)내에 내재되는 수직스프링(546)과;
    상기 가로방향 랙(541)과 잠금 치합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스프링(546)의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랙스토퍼 커버(545)의 슬롯(544)을 통해 돌출되고, 일측면에는 경사홀(547)이 형성된 랙스토퍼(548)와;
    상기 푸시바 하우징(543)내의 수평홀(549)내에 내재되는 수평스프링(550)과;
    내측단 하부에는 수평스프링(550)을 수용하는 삽입구(551)가 형성되고, 내측단 상부에는 랙스토퍼(548)의 경사홀(547)내로 진입 가능한 경사판(552)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측단은 수평홀(549)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푸시바(55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4 및 제5이송판(507,508)의 상면에는 슬라이드 레일(554)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 레일(554)에 리어 어태치판(509)이 가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어 어태치 조정기(600)는:
    대차(100)상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601)과;
    상기 지지프레임(601) 안쪽에 설치되는 레일(602)과;
    상기 레일(602)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603)와;
    상기 지지프레임(601)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피스톤이 이송플레이트(603)에 연결되는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604)와;
    상기 이송플레이트(603)상에 설치되는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와;
    가로방향 이송수단(530)의 제1 및 제2스크류(531,532)의 외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용 클램프(534)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의 축에 결합되는 커플러(606)와;
    상기 가로방향 이송용 모터(605)의 옆쪽에 나란히 설치되고, 가로방향 잠금유닛(540)의 푸시바(553)를 눌러주도록 피스톤의 끝단에 누름봉(607)이 일체로 장착된 제1잠금해제용 실린더(60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400)는:
    대차(100)상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401)과;
    상기 지지프레임(401) 안쪽에 설치되는 레일(402)과;
    상기 레일(402)에 가로방향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플레이트(403)와;
    상기 지지프레임(402)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피스톤이 이송플레이트(403)에 연결되는 이송플레이트 이송용 실린더(404)와;
    상기 이송플레이트(403)상에 설치되는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와;
    세로방향 이송수단(510)의 회전용 클램프(513)와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의 축에 결합되는 커플러(406)와;
    상기 세로방향 이송용 모터(405)의 옆쪽에 나란히 설치되고,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의 푸시블럭(527)을 눌러주도록 피스톤의 끝단에 누름봉(407)이 일체로 장착된 제2잠금해제용 실린더(40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어 어태치 조정기(400)는:
    대차(100)상에 소정 위치에 고정되는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411)과;
    상기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411)의 뒤쪽에 장착되는 푸시로드 구동실린더(412)와;
    상기 푸시로드 구동실린더(412)의 피스톤에 장착되어, 푸시로드 가이드용 브라켓(411)을 관통하여 배열되는 푸시로드(413)와;
    세로방향 잠금유닛(520)의 각 잠금해제홀(564)로 들어가 랙스토퍼(557)의 경사단(556)을 밀어주도록 끝단에 경사면(414)이 형성된 구조로서, 푸시로드(413)에 일체로 형성되는 이중푸시바(4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KR1020100062570A 2010-06-30 2010-06-30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KR10113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70A KR101134479B1 (ko) 2010-06-30 2010-06-30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70A KR101134479B1 (ko) 2010-06-30 2010-06-30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34A KR20120001934A (ko) 2012-01-05
KR101134479B1 true KR101134479B1 (ko) 2012-04-13

Family

ID=4560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70A KR101134479B1 (ko) 2010-06-30 2010-06-30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4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748B1 (ko) * 2016-11-29 2019-03-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지그장치
CN108500183B (zh) * 2018-04-02 2024-04-02 合肥市远大轴承锻造有限公司 一种高载荷铁路轴承套圈组件的精密冷辗装置
CN108568681A (zh) * 2018-05-23 2018-09-25 平顶山市美伊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基材炒锅切边过程中的锅具夹持装置
CN109927958A (zh) * 2019-04-19 2019-06-25 广东科达洁能股份有限公司 一种距离可调整的夹具组件
CN111730328A (zh) * 2020-07-07 2020-10-02 安徽环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冷却管末端双头装配生产线
CN112407107B (zh) * 2020-12-13 2024-04-05 富诚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挡泥板防水垫片的检测安装机构
CN114619237B (zh) * 2022-01-21 2023-07-07 沃柏模塑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汽车储物盒组装设备
CN117020079B (zh) * 2023-10-09 2023-12-22 苏州盛贸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锚钉凹槽成型组件及其成型方法
CN117848743B (zh) * 2024-03-05 2024-05-17 中铁一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有轨电车转向架静载试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846A (ko) * 2003-07-07 2005-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용 대차
KR100716814B1 (ko) * 2006-02-21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차체 클램핑 대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846A (ko) * 2003-07-07 2005-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용 대차
KR100716814B1 (ko) * 2006-02-21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차체 클램핑 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34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479B1 (ko) 자동차 조립라인용 대차 어태치 공용화 장치
CN104944066B (zh) 一种跨线输送活动式四车门吊具
EP2251178B1 (de) Einrichtung zum Wechseln eines Extrusionszylinders eines Extruders
DE102012024674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mteilen
JP7049181B2 (ja) 建材用走行搬送台車
DE102010006653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echseln der Materialwagen eines insbesondere fahrerlosen Transportsystems
WO2017194666A1 (de) Fahrschienenhebebühne für fahrzeuge sowie hubeinrichtung für fahrschienenhebebühne
EP3077784A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prüfung von weichenantrieben
DE3316050A1 (de) Einrichtung zum transport von werkstueckpaletten
CN112983018B (zh) 一种用于在建筑表面安装紧固件的施工设备
CN108583403B (zh) 用于共享电动车的运输车
CN204980044U (zh) 一种跨线输送活动式四车门吊具
JP5787178B2 (ja) 生産設備
DE102015015104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ontage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Nutzfahrzeugs
CN205733664U (zh) 轮胎装配供送系统
WO2022238266A1 (de) Verladevorrichtung und transport- und verladeanordnung
CN214835529U (zh) 升降式高铁站台门门锁机构
CN114435041A (zh) 一种机场用牵引车自动托挂钩装置
EP1918157A1 (de) Vorrichtung zum Heben und Transferieren von Gütern sowie Handhubwagen
CN106864625B (zh) 一种汽车座椅靠背装配生产系统
CN108058635B (zh) 用于共享电动车的运输设备
CN219029580U (zh) 一种仓栅式运输半挂车用便于拆卸的仓栅机构
CN219601467U (zh) 吊具挂接装置及其挂接式sps料车
DE102016125234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ördern von Gegenständen
CN209954600U (zh) 副车架总成与控制臂的装配工装及螺栓螺母辅助连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