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311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311A
KR20050004311A KR1020030042544A KR20030042544A KR20050004311A KR 20050004311 A KR20050004311 A KR 20050004311A KR 1020030042544 A KR1020030042544 A KR 1020030042544A KR 20030042544 A KR20030042544 A KR 20030042544A KR 20050004311 A KR20050004311 A KR 20050004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user
pre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104B1 (ko
Inventor
김진범
이희백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030042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104B1/ko
Priority to AU2003273092A priority patent/AU2003273092A1/en
Priority to PCT/KR2003/002223 priority patent/WO2005002089A1/en
Priority to JP2005503236A priority patent/JP4316565B2/ja
Publication of KR2005000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learning systems, e.g. history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서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GPS 신호를 통해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BY USING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cell) 반경 내의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GPS 수신기의 동작이 원활하지 아니할 경우에도 소정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인공 위성을 이용하여 차량 등 운송 장치(vehicle)의 주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자동 항법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수신기를 이용하여 지구상에 떠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한다. 지구 상에는 다수의 GPS 위성이 떠 있는데, 운송 장치는 지구상의 어느 지역에 있던지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3개의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렇게 계산된 자신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주행 정보를 상기 차량 등의 운송 장치에 제공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기존에는 항공기나 선박 등 대형 이동체의 위치 계산과 항법에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자동차 등에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 정보, 운송 장치의 현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운송 장치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 상기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관련된 지도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측에는 GPS 위성으로부터 소정의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통상의 경우 이러한 GPS 수신기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등에 거치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GPS 수신기에서 계산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소정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GPS 수신 모듈을 내장한 이동 통신 단말기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경우에도 소정의 GPS 모듈을 탑재함으로써, GPS 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GPS 수신기에 처음으로 전원을 인가한 경우 또는 GPS 수신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GPS 수신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장거리(통상 300마일 정도)를 이동한 경우, 상기 GPS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데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른바 "cold start"의 경우인데, 이러한 쿨 스타트는 GPS 수신기가 GPS 위성에 대한 정보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아니하거나, 가지고 있더라도 현재의 위치와 GPS 위성의 위치가 맞지 아니하여 GPS 수신기를 다시 초기화하여야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쿨 스타트시에는 GPS 수신기가 GPS 위성을 전부 스캔하여 가용 GPS 위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GPS 위성과의 시간 동기를 맞추는 등의 프로세스를 거친 후 GPS 수신기의 위치를 계산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GPS 수신기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GPS 수신기가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짧게는 90초에서 길게는 10분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아시아권에서 사용되는 GPS 수신기의 경우 "cold start" 시 일본 동경을 기본 위치로 하여 수신되는 GPS 신호로부터 자신의 현재 위치를 계산해 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GPS 수신기의 쿨 스타트시에는 소정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GPS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상당 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2) GPS 수신기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켜는 경우에도 상기 GPS 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데는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른바 "warm start"의 경우인데, 이러한 웜 스타트는 GPS 수신기의 메모리 수단에 GPS 위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만, GPS 수신기의 전원이 새로 인가되는 경우 GPS 위성과의 시간 동기를 맞추어야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러한 웜 스타트시 GPS 수신기의 전원을 껐다가 켠 다음, 상기 GPS 수신기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데는 통상 1-2분, 길게는 3-4분 정도가 소요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얻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소정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GPS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3) 또한, 상술한 콜드 스타트 또는 웜 스타트의 경우 이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차량 운행 도중에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GPS 신호 수신이 단절되는 등의 예기치 못한 이유로 원활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4) 또한, 차량에서 이용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외에도 개인용 네비게이션 시스템(Personal Navigation System)에서 이용되는 GPS 수신기의 경우, 사용자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구역(지하철 역사, 지하 상가 등)에서 소정의 목적지로 출발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없으므로 소정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GPS 수신기 자체가 "cool start"나 "warm start"가 되는 경우, 또는 다양한 원인으로 GPS 신호 수신이 단절된 경우에도 소정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GPS 수신기의 콜드 스타트(cold start) 또는 웜 스타트(warm start)의 경우에도 소정의 대기 시간 없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문제로 인해 차량에 장착된 GPS 수신기가 동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개인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 중 정차하거나 또는 장시간 운행을 중지하였다가 운행을 재개한 경우라도 기제공한 경로 정보 및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요한 통신 비용 또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최근에 이용한 경로 정보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 경로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경로 정보 및 지도 데이터를 추가로 전송받음으로써 발생하는 불요한 통신 비용 및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이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경로 정보를 재산출하여야 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예롤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동 통신 단말기
120 : 기지국(base station)
130 : 홈 로케이션 레지스트리(Home Location Registry; HLR)
140 :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 서버
150 : 위치 정보 서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서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GPS 신호를 통해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서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경로 정보를 상기사용자의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에서 상기 출발지까지의 제2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출발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출발지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아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현재 이동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정보 상의 이동 방향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출발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출발지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경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경로 정보에 대한 소정의 확인 응답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의 경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기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상기 경로 정보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라 함은 소정의 통신 모듈(일예로 CDMA 모듈)을 탑재하여 이동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신 모듈을 내장 또는 장착하고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PC, 또는 휴대폰 등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판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이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이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기지국(120), 홈 로케이션 레지스트리(HLR)(130),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 위치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서버(140), 및 위치 정보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셀룰러 또는 PCS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영역을 소정의 셀(cell)로 구분하고, 각 셀에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120)을 구비한다. 하나의 셀에 위치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기지국(120)과 소정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기지국(120)과의 동기화(synchronization) 및 페이징(paging)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기지국(120)과의 페이징으로 얻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는 홈 로케이션 레지스트리(HLR)(130)에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채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는 다음의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1) 위치 기반 서비스(LBS) 서버(140)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기지국(120)과의 지속적인 통신을 통해 특정 기지국(120)에 대한 기지국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이러한 기지국 파라미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위치 정보 서버(150)로 전송하고, 위치 정보 서버(150)는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 위치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서버(140)로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LBS 서버(140)에서는 상기 전송된 기지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지국(120)의 위치 정보(상기 기지국(120)의 경도 및 위도 정보, 주소 정보 등)를 위치 정보 서버(150)로 제공하고, 위치 정보 서버(150)는 제공된 기지국(120)의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2)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이다. 당업자라면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페이징 채널은 서비스 영역 내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부가정보, 특정 이동국에 대한 페이징, 명령 그리고 채널 할당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채널로서, 9600bps 와 4800bps 두 가지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이 전송 속도 정보는 동기 채널을 통해서 전달된다. 참고로, 상기 페이징이라 함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들어오는 호(call)을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페이징 채널의 변조 과정은 동기 채널과 유사한 변조과정을 거치지만, 추가로 페이징 채널 롱 코드 마스크(long code mask)를 이용하여 데이터 스크램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파일럿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시스템 동기를 얻고, 동기 채널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시스템과 타이밍을 동기시킨 다음, 계속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여 자신으로 향하는 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기지국(120)과의 지속적인 통신을 통해 특정 기지국(120)에 대한 기지국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다. 위치 정보 서버(150)는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기지국 파라미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특정 기지국(120)에 대한 기지국 파라미터를 위치 정보 서버(150)로 전송한다. 위치 정보 서버(150)는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 측에 위치한 위치 기반 서비스(LBS) 서버(140)로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LBS 서버(140)에서는 상기 전송된 기지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지국(120)의 위치 정보(상기 기지국(120)의 경도 및 위도 정보, 주소 정보 등)를 위치 정보 서버(150)로 제공하고, 위치 정보 서버(150)는 제공된 기지국(120)의 위치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3)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GPS 수신 모듈이 장착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장착된 GPS 수신 모듈을 통하여 GPS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수신된 GPS 신호를 다시 위치 정보 서버(150) 내에 위치한 이동 통신 위치 추적 센터(MPC)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로 전송하고, MPC 서버에서는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계산하여 계산된 위치 정보를 다시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채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는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방법 또는 기타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는 이하에서 상술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단말기는 GPS 수신기이다. 전원을 처음 인가하거나, 전원 오프 이후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는 상술한 콜드 스타트 또는 웜 스타트의 경우가 된다. 이러한 경우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대기 시간(수분에서 10분 이상)을 필요로 한다. 또한,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건물이 밀집한 도심 지역(페이딩 현상) 또는 GPS 신호가 미치지 아니하는 음영 지역을 운행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네비게이션 시스템(PNS)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GPS 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있는 경우 또한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탐색할 수 없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2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상술한 3 가지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획득한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출발지 정보로서 입력한다(단계 202). 단계 202에서 입력된 출발지 정보는 엄밀히 말하면 제1 단말기의 정확한 현재 위치가 아니라 제1 단말기가 위치해 있는 셀(cell) 내의 기지국의 위치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출발지 정보는 상술한 방법과 같이 제1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로서 갈음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지역 정보를 직접 입력 받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고(단계 203),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한다(단계 204). 산출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 제공하고(단계 205), 사용자는 경로 정보에 따라 운행을 시작한다.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206). 콜드 스타트 또는 웜 스타트 후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소정의 원인이 제거된 경우에는 제2 단말기를 통하여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단계 207).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와 단계 203에서 입력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204에서 산출한 경로 정보를 보정하고(단계 208), 보정된 경로 정보를 제1 단말기로 다시 제공한다(단계 209).
단계 209에서 보정된 경로 정보를 제1 단말기로 다시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시작할 때 입력된 출발지 정보(제1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 내의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실제 사용자가 위치한 출발지 정보가 상이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경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통상 서울시의 경우 반경 500m 당 하나의 기지국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운행 초기에 이동 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셀 내의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한 경로 정보는 소정의 정확도를 담보할 수 있다. 운행 개시 후 GPS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정확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판명된 후, 경로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속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일련의 수순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웜 스타트 또는 콜드 스타트의 경우나,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즉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탐색할 수 없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3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상술한 3 가지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해 획득한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출발지 정보로서 입력한다(단계 302). 단계 302에서 입력된 출발지 정보는 엄밀히 말하면 제1 단말기의 정확한 현재 위치가 아니라 제1 단말기가 위치해 있는 셀(cell) 내의 기지국의 위치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의 단계 202와 동일하게, 단계 203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서 직접 입력 받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고(단계 303),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기 출발지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경로 정보를 산출한다(단계 304). 산출된 제1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 제공하고(단계 305), 사용자는 경로 정보에 따라 운행을 시작한다.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6). 콜드 스타트 또는 웜 스타트 후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였거나,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던 소정의 원인이 제거된 경우에는 제2 단말기를 통하여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수신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단계 307). 산출된 현재 위치 정보와 단계 303에서 입력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 상기 출발지까지의 제2 경로 정보를 산출한다. 단계 308에서 산출된 경로 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출발지, 즉 기지국 위치까지의 경로에 관한 정보이다. 네비게이션 서비스 개시시에 단계 304에서 산출된 기지국(출발지)에서 소정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가 제1 경로 정보가 되고, GPS 신호 수신 이후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출발지(기지국 위치)까지의 경로 정보가 제2경로 정보가 된다.
산출된 제2 경로 정보가 제1 경로 정보에 대해 유리한 경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9). 유리한 경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새로 산출된 제2 경로 정보를 제1 경로 정보와 대비하여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새로운 경로 정보가 유리한지, 아니면 현재 위치에서 출발지(기지국)까지 이동하여 다시 제1 경로 정보를 따라 목적지로 이동하는 것이 유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 309에서 유리한 경로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이용될 수 있다. 현재 차량의 이동 방향이 산출된 제2 경로 정보와 어긋나는지 여부, 또는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거리가 제2 경로 정보 및 제1 경로 정보에 따라 운행시의 예상 이동 거리보다 큰지 여부 등을 기초로 하여 유리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09에서 제2 경로 정보가 제1 경로 정보에 대하여 유리한 경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경로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제공하고(단계 310), 단계 309에서 제2 경로 정보가 제1 경로 정보에 대하여 불리한 경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단계 307에서 산출된 현재 위치에서 단계 303에서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제3 경로 정보를 산출하여(단계 311) 이를 제1 단말기로 제공한다(단계 312).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경로 정보를 재산출하여야 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출발지(A)에서 출발하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GP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기지국(A') 위치를 출발지 위치로 설정하여 소정의 목적지(B)까지의 제1 경로 정보를 제공 받게 된다. 사용자가 운행을 개시하여 현재 위치(C)에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 경우, 도 3a에 도시된 흐름도에 의하면 현재 위치(C)에서 출발지(A')까지의 제2 경로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로 정보(C->A')는 제1 경로 정보(A'->B)에 대하여 불리하므로, 현재 위치(C)에서 목적지(B)까지의 제3 경로 정보를 다시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제3 경로 정보는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소정의 이동 경로 탐색 서버에서 재산출되어 다시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측의 제1 단말기에서 경로 정보의 재산출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 경로 탐색 서버에서 상기 경로 정보를 재산출하는 경우에는 탐색 대상이 되는 경로의 거리가 단축되므로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경로 정보의 데이터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경로 정보를 재산출하는 경우에는 경로 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빠른 경로 재탐색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시작할 때 입력된 출발지 정보(제1 단말기가 위치하는 셀 내의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실제 사용자가 위치한 출발지 정보가 상이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경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신호를 수신하여 정상적인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영위하고 있는 도중에,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 제2 단말기의 전원이 끊기는 등 GPS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게 된 경우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401). 상기 출발지 정보는 GPS 신호 수신을 통해 산출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출발지 정보로서 입력될 수 있다. 단계 401에서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단계 402), 산출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 제공한다(단계 403). 수신된 GPS 신호를 통하여 산출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소정의 주기에 따라 저장한다(단계 404). 소정의 주기는 GPS 신호의 수신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수단은 제1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 수단일 수 있고, 제1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계된 컴팩트플래시(CF) 카드,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이동식 메모리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 시스템에 위치하고, 필요시마다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405), GPS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404로 회귀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통해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저장하도록 한다. 단계 405에서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 GPS 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아니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404에서 저장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소정의 센서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이동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경로 정보 상의 이동 방향 정보 등을 이용하여 제1 단말기에 차량 이동 방향 정보를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406). 단계 406에서 상기 센서 수단은 제1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지자기 센서 또는 제2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DR(Dead Reckoning) 수단일 수 있다. 이러한 지자기 센서는 지구의 지자기를 센싱하여 현재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휴대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일명 "나침반칩")되어 활용되고 있다. 또한 DR(Dead Reckoning) 수단은 자이로스코프(또는 지자기 센서)와 속도 센서(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초기 위치로부터 현재의 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에 따라, 사용자의 차량 이동 중에 GPS 신호 수신이 원활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는 차량의 이동 방향 정보가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으므로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운행 중 다양한 원인으로 정차 또는 장시간 주차를 하였다가 차량 운행을 재개한 경우 신속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출발지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501). 상기 출발지 정보는 GPS 신호 수신을 통해 산출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상술한 방법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출발지 정보로서 입력될 수 있다. 단계 501에서 입력된 출발지 및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고(단계 502), 산출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 제공한다(단계 503). 수신된 GPS 신호를 통하여 산출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단계 502에서 산출된 경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단계 504).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수단은 제1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 수단일 수 있고, 제1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계된 컴팩트플래시 카드,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이동식 메모리 수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 시스템에 위치하고, 필요시마다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경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운행 중에 정차 또는 장시간 주차를 하고, 제1 단말기를 소정의 네비게이션 세트에서 분리하였다가 다시 제1 단말기를 연결하고 차량 운행을 재개한 경우, 단계 504에서 저장된 현재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 리스트가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다(단계 505). 사용자는 정차 또는 장시간 주차 이전에 자신이 운행하던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확인 응답을 입력하고(단계 506), 사용자의 확인 응답에 대응하여 저장된 상기 현재 위치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제1 단말기에 제공한다(단계 507).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주행을 멈추고 정차 또는 장시간 주차를 한 다음에 운행을 재개하는 경우, GPS 수신기의 전원 인가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다시 획득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다시 산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은 물론, 경로 정보 등을 새로 전송 받기 위해 소요되는 불요한 통신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미 이용한 경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자가 저장된 경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이미 이용한 하나 이상의 경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단계 60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수단은 제1 단말기에 내장된 메모리 수단일 수 있고, 제1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계된 컴팩트플래시 카드,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이동식 메모리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예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수단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앙 시스템에 위치하고, 필요시마다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경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경로 정보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602).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현재 이동하고자 하는 경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소정의 경로 정보를 선택 입력한다(단계 603).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소정의 경로 정보를 제1 단말기로 제공하고(단계 604), 사용자는 상기 경로 정보에 따라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예롤 도시한 도면이다.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a)에서 "최근길 안내"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최근에 이용한 경로 정보에 대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b).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소정의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현재 이용하고자 하는 경로에 대한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의 경로 정보가 제1 단말기로 제공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한 경로 정보에 대해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다시 획득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다시 산출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은 물론, 경로 정보 등을 새로 전송 받기 위해 소요되는 불요한 통신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GPS 수신기의 콜드 스타트 또는 웜 스타트의 경우에도 소정의 대기 시간 없이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문제로 인해 차량의 GPS 수신기가 동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개인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구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 중 정차하거나 또는장시간 운행을 중지하였다가 운행을 재개한 경우라도 기제공한 경로 정보 및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불요한 통신 비용 또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최근에 이용한 경로 정보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저장된 경로 정보를 다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경로 정보 및 지도 데이터를 추가로 전송 받음으로써 발생하는 불요한 통신 비용 및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서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GPS 신호를 통해 산출되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경로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2.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출발지 정보로서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출발지 정보와 상기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GPS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에서 상기 출발지까지의 제2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제2 경로가 현재 상기 제1 경로에 대해 유리한 경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2 경로가 불리한 경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산출된 현재 위치에서 상기 목적지까지의 제3 경로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 경로 정보 대신 상기제3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4.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출발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출발지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제2 단말기에서 GPS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신호가 수신되고 있지 아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소정의 센서 수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이동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상기 경로 정보 상의 이동 방향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상기 제1 단말기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 또는 상기 제2 단말기에 포함된 DR(Dead Reckoning)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6.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출발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출발지 정보 및 상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경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경로 정보에 대한 소정의 확인 응답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 정보와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7.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경로 정보를 소정의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기 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제1 단말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기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상기 경로 정보 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경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유지되는 소정의 기지국 파라미터를 전송 받는 단계;
    전송된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를 위치 기반 서비스(LB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제1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상기 단계는,
    소정의 페이징(paging)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에게 상기 제1 단말기에 유지되는 소정의 기지국 파라미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를 전송 받는 단계;
    전송된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를 위치 기반 서비스(LBS)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LBS 서버로부터 상기 기지국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GPS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에 내장된 GPS 수신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상기 제1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내장형 메모리 수단 또는 상기 제1 단말기에 착탈 가능한 이동식 메모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수단은 소정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위치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30042544A 2003-06-27 2003-06-2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5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544A KR100555104B1 (ko) 2003-06-27 2003-06-2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AU2003273092A AU2003273092A1 (en) 2003-06-27 2003-10-22 A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by using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PCT/KR2003/002223 WO2005002089A1 (en) 2003-06-27 2003-10-22 A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by using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system thereof
JP2005503236A JP4316565B2 (ja) 2003-06-27 2003-10-22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ビスを提供する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544A KR100555104B1 (ko) 2003-06-27 2003-06-2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311A true KR20050004311A (ko) 2005-01-12
KR100555104B1 KR100555104B1 (ko) 2006-02-24

Family

ID=3355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544A KR100555104B1 (ko) 2003-06-27 2003-06-2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16565B2 (ko)
KR (1) KR100555104B1 (ko)
AU (1) AU2003273092A1 (ko)
WO (1) WO200500208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754B1 (ko) * 2005-03-04 2007-01-19 방영철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KR100711318B1 (ko) * 2005-08-16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bs시스템에서 gps 지원 단말의 위치 측위 방법
KR101130857B1 (ko) * 2005-02-03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맵 네비게이팅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3차원 맵 작성방법
KR20210038469A (ko) * 2020-05-29 2021-04-07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장치 및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74481C (zh) * 2005-07-25 2009-12-23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及方法
US8065078B2 (en) 2007-08-10 2011-11-22 Microsoft Corporation Conveying locations in spoken dialog systems
CN102607585B (zh) * 2012-04-01 2015-04-29 北京乾图方园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配置文件的导航语音播报方法和装置
US9651647B2 (en) 2012-04-18 2017-05-16 Henry S. Owen, Llc Navigation track correction
JP7018087B2 (ja) * 2020-03-30 2022-02-09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補正サーバ、移動端末、補正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904372B (zh) * 2021-04-22 2024-01-12 电子科技大学 辅助卫星导航系统及其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0144A (ja) * 1992-10-15 1994-05-13 Toshiba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00209B2 (ja) * 1995-08-21 2005-09-28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携帯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249252B1 (en) * 1996-09-09 2001-06-19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using multiple location estimators
US6204808B1 (en) * 1998-08-13 2001-03-20 Ericsson Inc.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GPS receivers via a cellular or PCS network
KR20000033073A (ko) * 1998-11-19 2000-06-15 김덕중 이동통신기기와 gps 수신기를 이용한 차량항법장치
JP4072658B2 (ja) * 1998-11-25 2008-04-09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ナビゲーション情報提供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1027531A (ja) * 1999-07-13 2001-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現在位置検出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10111982A (ko) * 2000-06-14 2001-12-20 서평원 위치추적방법 및 위치추적단말기
JP2002323336A (ja) * 2001-04-26 2002-11-08 Equos Research Co Ltd 経路情報提供方法,その装置,そのシステム
KR100448574B1 (ko) * 2001-06-05 2004-09-13 주식회사 네비콤 지피에스 단말기 및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측위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857B1 (ko) * 2005-02-03 201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맵 네비게이팅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3차원 맵 작성방법
KR100671754B1 (ko) * 2005-03-04 2007-01-19 방영철 이동통신단말기의 gps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표준화된 gps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적용방법
KR100711318B1 (ko) * 2005-08-16 2007-04-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Lbs시스템에서 gps 지원 단말의 위치 측위 방법
KR20210038469A (ko) * 2020-05-29 2021-04-07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네비게이션 방법, 네비게이션 장치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104B1 (ko) 2006-02-24
AU2003273092A1 (en) 2005-01-13
JP2007520684A (ja) 2007-07-26
JP4316565B2 (ja) 2009-08-19
WO2005002089A1 (en)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793B2 (en) Use of previously-calculated position fix for location based query
US7698062B1 (en) Most convenient point of interest finder apparatus and method
CN101228457B (zh) 卫星定位系统接收机和方法
EP2976658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ocation-triggered sensor initialization
US20090299620A1 (en) Method for searching routes of a portable terminal
JP562274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JP2002022478A (ja) 携帯型gps受信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6546333B2 (en) Car navigation apparatus,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car navigation apparatus,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for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US20110263268A1 (en) Navigation apparatus,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of location determination
KR1005551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서비스 제공 방법
TW201017127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route therefor
US20050131639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service
JP2009198391A (ja) Gps受信機
JP2003035544A (ja) 地図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200627552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198315A (ja) 情報通信端末装置
JP2003231468A (ja) 運行情報処理装置、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56997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05802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00060501A (ko)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설정하는 방법
JP431988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294480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の画面情報データ表示方法
TWI440826B (zh) 導航裝置及方法
JP2002156244A (ja) 位置情報サービス装置
JP2007292771A (ja) 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