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3777A -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3777A
KR20050003777A KR1020030045273A KR20030045273A KR20050003777A KR 20050003777 A KR20050003777 A KR 20050003777A KR 1020030045273 A KR1020030045273 A KR 1020030045273A KR 20030045273 A KR20030045273 A KR 20030045273A KR 20050003777 A KR20050003777 A KR 2005000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ork
fixing hole
ca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국현
Original Assignee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3777A/ko
Publication of KR2005000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7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크 고정 장치는 캐리지(10)의 고정홈(18)에 포크(2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캐리지(10)에 걸어지도록 상기 포크(2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8)과 정렬되는 고정구멍(29)을 갖는 상부후크(26)와, 서로 정렬된 상기 고정구멍(29)과 고정홈(18)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32)과, 상기 고정구멍(29)의 트인 상부를 폐쇄하는 캡(34)과, 상기 캡(3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핀(32)에 조립되는 노브(36)와, 상기 고정핀(32)을 상기 고정홈(18)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멍(29)의 트인 상부를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34)을 상기 고정구멍(29)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결합수단은 상기 조립구멍(29)에 형성된 암나사부(29a)와, 상기 암나사부(29a)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캡(34)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4b)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고정구멍의 트인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고정구멍에 남아 있는 고정핀 조각을 보다 쉽고 빠르게 제거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DEVICE FOR CLAMPING FORK IN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러진 고정핀 조각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하물(荷物)을 들어 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공간내에서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차체가 제공되며, 차체의 전방에는 마스트 레일이 설치된다. 그리고 마스트 레일에는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캐리지가 조립되며, 이 캐리지에는 하물을 받치는 한 쌍의 포크가 설치된다.
도 1에는 캐리지(10)와 포크(20)가 도시되어 있다. 캐리지(10)는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보드(12)와 하부보드(14) 및 상부보드(12)와 하부보드(14)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보드(16)들로 구성된다. 특히, 상부보드(12)의 상면과 하부보드(14)의 밑면에는 한 쌍의 포크(20)가 이동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레일 (12a, 14a)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보드(12)의 조립레일 (12a)에는 포크(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홈(18)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포크(20)는 수직부(22)와, 수직부(22)의 하단으로부터 수평하게 뻗어 있는 수평부(24)로 구성된다. 특히, 수직부(22)의 후면 상단과 하단 각각에는 캐리지(10)의 상부보드(12)와 하부보드(14)의 조립레일(12a, 14a)에 걸어지는 상부후크(26)와 하부후크(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크(20)는 캐리지(10)의 상부보드 (12)와 하부보드(14)를 따라 이동하면서 그 간격이 조절된다.
한편, 포크(20)는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캐리지(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포크(20)에는 상기 포크(20)를 캐리지(10)에 고정시키기 위한 포크 고정 장치(30)가 설치된다. 포크 고정 장치(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20)의 상부후크(26)에 형성된 고정구멍(29)에 끼워지며, 그 하단부가 캐리지(10)의 고정홈(18)에 결합되는 고정핀(32)과, 고정구멍(29)의 트인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부후크(26)에 용접되는 캡(34)과, 상기 캡(34)의 관통구멍(34a)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고정핀(32)의 상단에 조립되는 노브(36)와, 상기 고정핀(32)을 캐리지(10)의 고정홈(18)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포크 고정 장치(30)는, 포크(20)의 상부후크(26)에 조립되는 고정핀 (32)이 캐리지(10)의 고정홈(18)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캐리지(10)에 대한 포크 (20)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따라서, 포크(20)는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캐리지 (10)에 고정된다.
한편, 포크(20)의 간격을 다시 조절하고자 할 경우, 고정핀(32)의 노브(36)를 상부로 들어 올림으로써 고정홈(18)으로부터 고정핀(32)을 결합해제시키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포크 고정 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2)의 단부가 부러질 경우, 부러진 고정핀 조각(32′)의 제거가 어렵고, 그로 인해 포크(20)의 간격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포크 고정 장치(30)는, 고정핀(32)이 끼워진 포크(20)의 고정구멍(29)을 캡(34)으로 폐쇄하되, 이를 용접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도중 고정핀(32)의 단부가 부러져 고정구멍(29)에 그대로 남아 있을 경우, 고정구멍(29)에 용접 고정된 캡(34) 때문에 고정구멍(29)내에 남아 있는 고정핀 조각(32′)을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자석봉을 통해 고정구멍(29)내에 남아 있는 고정핀 조각(32′)을 꺼내어 제거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고정구멍(29)내에 배치된 스프링(38)으로 인해 고정핀 조각(32′)을 고정구멍(29)으로부터 꺼내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고정구멍(29)내에 부러진 고정핀 조각(32′)이 남아 있을 경우, 남아 있는 고정핀 조각(32′)은 캐리지(10)의 고정홈(18)에 끼워진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며, 따라서 포크(20)의 간격 조절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한다. 결국, 이러한 결과는 상부후크(26) 또는 하부후크(28)를 잘라내야만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부러진 고정핀 조각을 고정구멍으로부터 용이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리지와 포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포크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포크 고정 장치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캐리지 12: 상부보드
14: 하부보드 18: 고정홈
20: 포크 22: 상부후크
24: 하부후크 29: 고정구멍
29a: 암나사부 30: 포크 고정 장치
32: 고정핀 32′: 고정핀 조각
34: 캡 34a: 관통구멍
34b: 수나사부 36: 노브
38: 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캐리지의 고정홈에 포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캐리지에 걸어지도록 상기 포크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고정홈과 정렬되는 고정구멍을 갖는 상부후크와, 서로 정렬된 상기 고정구멍과 고정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구멍의 트인 상부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캡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핀에 조립되는 노브와, 상기 고정핀을 상기 고정홈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멍의 트인 상부를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을 상기 고정구멍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조립구멍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와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의 포크 고정 장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의 특징부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포크 고정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20)의 고정구멍(29)에 암나사부(29a)를 형성하고, 고정구멍(29)을 폐쇄하기 위한 캡(34)에 상기 암나사부(29a)와 결합되는 수나사부(34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캡(34)을 고정구멍(29)에 나사결합시키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상기 캡(34)을 고정구멍(29)에 나사결합시킴으로 필요에 따라 포크(20)의 고정구멍(29)으로부터 캡(34)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고정구멍(29)으로부터 캡(34)을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필요에 따라 고정구멍 (29)의 트인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32)의 단부가 부러져 고정구멍(29)에 고정핀 조각(32′)이 그대로 남아 있을 경우, 고정구멍(29)으로부터 캡(34)을 분리하여 상기 고정구멍(29)을 개방시킴으로써 고정구멍(29)에 남아 있는 고정핀 조각(32′)을 보다 쉽고 빠르게 꺼낼 수 있게 한다. 특히, 고정핀 조각(32′)을 보다 쉽고 빠르게 꺼낼 수 있게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고정핀 조각(32′)을 꺼내기 위해 상부후크(26) 또는 하부후크(28)를 잘라내야만 하는 문제를 해소시켜 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는, 필요에 따라 고정구멍의 트인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고정구멍에 남아 있는 고정핀 조각을 보다 쉽고 빠르게 제거 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캐리지(10)의 고정홈(18)에 포크(2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캐리지(10)에 걸어지도록 상기 포크(2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18)과 정렬되는 고정구멍(29)을 갖는 상부후크(26)와, 서로 정렬된 상기 고정구멍(29)과 고정홈(18)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핀(32)과, 상기 고정구멍(29)의 트인 상부를 폐쇄하는 캡(34)과, 상기 캡(34)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고정핀(32)에 조립되는 노브(36)와, 상기 고정핀(32)을 상기 고정홈(18)에 결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멍(29)의 트인 상부를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34)을 상기 고정구멍(29)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조립구멍(29)에 형성된 암나사부 (29a)와, 상기 암나사부(29a)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캡(34)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4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KR1020030045273A 2003-07-04 2003-07-04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KR20050003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73A KR20050003777A (ko) 2003-07-04 2003-07-04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5273A KR20050003777A (ko) 2003-07-04 2003-07-04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777A true KR20050003777A (ko) 2005-01-12

Family

ID=3721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273A KR20050003777A (ko) 2003-07-04 2003-07-04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3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1241A (zh) * 2014-10-18 2015-01-21 奇瑞重工股份有限公司 叉车货叉及叉车
CN112225124A (zh) * 2020-09-17 2021-01-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箱体结构水平转运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1241A (zh) * 2014-10-18 2015-01-21 奇瑞重工股份有限公司 叉车货叉及叉车
CN112225124A (zh) * 2020-09-17 2021-01-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箱体结构水平转运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225124B (zh) * 2020-09-17 2022-04-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箱体结构水平转运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3351A (ko) 테이블 브리징 장치
US6271502B1 (en) Quick-disconnect arrangement for oven door
KR100877338B1 (ko) 유리패널용 진공흡착기
CA2514268A1 (en) Safety hook for patient lift
KR20050003777A (ko) 지게차의 포크 고정 장치
JP2009029484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KR20050107519A (ko) 레일 고정부 구조
KR200180158Y1 (ko) 가구용 다리결합구
KR20060065910A (ko) 지게차의 포크 고정용 고정핀의 절단조각 제거 장치
KR200372026Y1 (ko) 콘센트 안전장치
JP5106951B2 (ja) ジョイント機構及びそれを具備するビーム
KR102404578B1 (ko) 분리형 유리고정구를 구비한 무테형 폴딩도어 프레임
CN221096228U (zh) 一种吊装连接组件、门体连接模块及门体系统
KR940002411Y1 (ko) 카스테레오의 착탈장치
KR200165711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940001997Y1 (ko) 가구용 연결구
JP3967242B2 (ja) パネルの連結装置
KR100874193B1 (ko) 접속단자의 가감이 가능한 단자대용 접속단자 구조
KR200150814Y1 (ko) 전자렌지용 고정장치
JP4452465B2 (ja) オプション部材の取付構造
KR200359739Y1 (ko) 컨테이너 적재 차량의 적재대 하강장치
KR101496002B1 (ko) 볼트 고정장치
KR200345682Y1 (ko) 신문열람대의 신문고정구조
KR20140134892A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KR0125741Y1 (ko) 회로기판 고정브라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